KR200344111Y1 - 구이김 가공 자동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구이김 가공 자동화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44111Y1 KR200344111Y1 KR20-2003-0037352U KR20030037352U KR200344111Y1 KR 200344111 Y1 KR200344111 Y1 KR 200344111Y1 KR 20030037352 U KR20030037352 U KR 20030037352U KR 200344111 Y1 KR200344111 Y1 KR 20034411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asting
- container
- packaging
- cutting
- uni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Abstract
본 고안은 구이김 가공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다수의 포장용기를 적정시간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용기 공급 및 이송유닛과, 상기 용기 공급 및 이송유닛에 의해 이송되는 각 포장용기 내에 방습제 팩을 각각 투입하기 위한 방습제 팩 공급유닛과, 다수 장 적층된 구이김을 절단 가공할 위치로 적정시간간격을 두고 이송시켜주기 위한 구이김 공급유닛과, 상기 구이김 공급유닛으로부터 이송된 구이김을 내부에 수용함과 아울러 절단된 구이김을 각각 수납하기 위한 상기 포장용기를 그 하부에 수용하여 일회의 승강행정으로써 구이김의 절단 및 포장용기내 수납을 동시에 자동 수행하는 김 절단 및 수납유닛과, 절단 구이김이 수납된 다수열의 포장용기들을 밀봉포장이 가능한 적정간격으로 이격시켜 이송시켜주는 용기 포장유닛과, 상기 각 유닛이 순차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제어해주는 제어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김 가공 자동화 시스템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시스템에 의하면, 구이김의 절단으로부터 포장용기내 수납 및 밀봉포장에 이르는 전 공정의 무인자동화를 실현함으로써 가공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구이김 가공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이김의 절단으로부터 포장용기내 수납 및 밀봉포장에 이르는 전 공정의 무인자동화를 실현함으로써 가공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게 한 구이김 가공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와 일본 등 몇몇 국가의 식생활에 있어서 빼놓을 수 없는 전통적인 주요 반찬류 중의 하나로서 김을 꼽을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대부분의 현대인들은 가정에서 별도로 조리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원료김을 직접 구입하기보다는, 기름과 소금 등의 조미료를 가미하여 김 가공장치로 구운 후 취식하기에 적당한 크기로 다수 절 등분하여 포장한 즉석식품 형태의 구이김을 구입하여 간편하게 취식하는 것을 더욱 선호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추세에 힘입어 다양한 형태의 김 가공장치가 개발 및 보급되어 이미 활용되고 있으며, 현재는 김의 가공단계로부터 판매 가능한 형태로 단위 포장하는 단계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공정을 자동화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와 같이 구이김을 제품화하기 위한 전체 공정은, 원료김에 기름과 조미료 등을 가미한 후 구워내는 김 조미공정과, 상기 구이김을 다수 장(통상적으로 10장)씩 적층시킨 상태에서 절단(통상적으로 9등분 절단)하고 그 절단된 구이김을 포장용기 내에 수납한 후 상기 구이김이 수납된 포장용기를 장기보관이 가능한 상태로 유통시킬 수 있도록 밀봉포장하는 등의 구이김 가공공정으로 분류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구이김 가공공정에 있어서, 절단된 적층 구이김의 용기내 수납을 위한 구이김 처리공정은 그 작업조건이 까다로워 현재까지도 상기 수납공정을 제외한 프레스에 의한 절단공정에 대해서만 부분적 자동화를 이룸으로써 포장용기 내에 절단 구이김을 수납하는 공정에 많은 인원이 동원되어 수작업으로 공정을 수행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구이김이 수납된 포장용기를 밀봉하는 공정에 있어서는, 각각의 포장용기를 포장지로 포장하는데 필요한 소정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 포장용기 사이가 각각 이격된 상태로 재배열되어야 하는데, 종래의 구이김 가공장치에서는 이러한 특성에 적합한 컨베이어 구조를 구현하지 못함으로써 원활한 밀봉포장공정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구이김의 절단으로부터 포장용기내 수납 및 밀봉포장에 이르는 전 공정의 무인자동화를 실현함으로써 가공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구이김 가공 자동화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구이김 가공 자동화 시스템은, 다수의 포장용기를 적정시간간격을 두고 소정개수만큼씩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용기 공급 및 이송유닛과, 상기 용기 공급 및 이송유닛에 의해 이송되는 각 포장용기 내에 방습제 팩을 각각 투입하기 위한 방습제 팩 공급유닛과, 다수 장 적층된 구이김을 절단 가공할 위치로 적정시간간격을 두고 이송시켜주기 위한 구이김 공급유닛과, 상기 구이김 공급유닛으로부터 이송된 구이김을 내부에 수용함과 아울러 절단된 구이김을 각각 수납하기 위한 상기 포장용기를 그 하부에 수용하여 일회의 승강행정으로써 구이김의 절단 및 포장용기내 수납을 동시에 자동 수행하는 김 절단 및 수납유닛과, 절단 구이김이 수납된 다수열의 포장용기들을 밀봉포장이 가능한 적정간격으로 이격시켜 이송시켜주는 용기 포장유닛과, 상기 각 유닛이 순차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제어해주는 제어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용기 공급 및 이송유닛은, 장치 전체를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상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설치되어 어느 한 방향으로 순환하는 다수열의 인접한 순환궤도를 형성하되 그 선단부쪽의 각 궤도가 소정 폭으로 이격된 다수열의 체인컨베이어와, 상기 각 체인컨베이어를 구동시켜주기 위한 한 쌍의 스프라킷과, 상기 각 체인컨베이어상에 포장용기를 연속적으로 안착시켜 그 이송방향을 따라 안정적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각 궤도사이와 양측변에 설치된 트로프와, 상기 각 체인컨베이어의 체인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상기 포장용기를 이송방향으로 밀어주기 위한 푸셔와, 상기 각 체인컨베이어의 후단부 상에 각각 입설되어 적층된 다수의 포장용기를 하나씩 분리하여 상기 각 체인컨베이어상에 공급하기 위한 용기공급랙을 포함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구이김 가공 자동화 시스템 전체의 기구적 구성 및 공정의 흐름을 간략화하여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구이김 가공 자동화 시스템의 각 장치부간 배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구이김 가공 자동화 시스템의 각 장치부간 배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시스템에 적용된 방습제 팩 공급유닛의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시스템에 적용된 김 절단 및 수납유닛의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A ; 용기 공급 및 이송유닛 B ; 방습제 팩 공급유닛
C ; 구이김 공급유닛 D ; 김 절단 및 수납유닛
E ; 용기 포장유닛 1 ; 구이김
2 ; 포장용기 3 ; 방습제 팩
3a ; 마킹부 5, 20, 40 ; 프레임
10, 50 ; 체인컨베이어 11 ; 트로프(Trough)
12 ; 푸셔(Pusher) 13 ; 구동스프라킷
14 ; 종동스프라킷 15 ; 지지스프라킷
16 ; 용기공급랙 17 ; 용기분리캠
21 ; 슈트(Chute) 22 ; 방습제 공급부
23a, 23b, 23c, 23d ; 가이드로울러 24a, 24b ; 가압로울러
25 ; 센서 26 ; 구동모우터
27 ; 구동인출로울러 28 ; 절단날
29 ; 날 작동실린더 30 ; 벨트컨베이어
31 ; 구동축 41 ; 절단용 실린더
42 ; 승강판 43 ; 가압봉
44 ; 가압절판 45 ; 절단날
46 ; 가이드케이스 46a ; 투입구
47 ; 인입판 48 ; 인입용 실린더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이김 가공 자동화 시스템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구이김 가공 자동화 시스템의 각부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자동화 시스템 전체의 기구적 구성 및 공정의 흐름을 간략화하여 도시한 블럭도, 도 2 및 도 3은 본 자동화 시스템의 각 장치부간 배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및 측면도, 도 4는 본 자동화 시스템에 적용된 방습제 팩 공급유닛(B)의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개략적 측면도, 도 5는 본 자동화 시스템에 적용된 김 절단 및 수납유닛(D)의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개략적인 종단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구이김 가공 자동화 시스템은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포장용기(2)를 적정시간간격을 두고 소정개수만큼씩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용기 공급 및 이송유닛(A)과, 상기 용기 공급 및 이송유닛(A)에 의해 이송되는 각 포장용기(2) 내에 방습제 팩(3)을 각각 투입하기 위한 방습제 팩 공급유닛(B)과, 다수 장 적층된 구이김(1)을 절단 가공할 위치로 적정시간간격을 두고 이송시켜주기 위한 구이김 공급유닛(C)과, 상기 구이김 공급유닛(C)으로부터 이송된 구이김(1)을 내부에 수용함과 아울러 절단된 구이김(1)을 각각 수납하기 위한 상기 포장용기(2)를 그 하부에 수용하여 일회의 승강행정으로써 구이김(1)의 절단 및 포장용기(2)내 수납을 동시에 자동 수행하는 김 절단 및 수납유닛(D)과, 절단 구이김(1)이 수납된 다수열의 포장용기(2)들을 밀봉포장이 가능한 적정간격으로 이격시켜 이송시켜주는 용기 포장유닛(E)과, 상기 각 유닛이 순차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제어해주는 제어유닛(미도시)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각 장치부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간의 순차적 작동이 가능하도록 제어해주는 것으로서, 매우 다양한 구성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이러한 메커니즘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의 구성이 가능한 것이라 하겠으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구성을 공정 흐름에 따라 간략히 설명하면, 우선 상기 용기 공급 및 이송유닛(A)의 복수열 궤도를 따라 복수개의 포장용기(2)가 이송될 때 상기 방습제 팩 공급유닛(B)으로부터 공급되는 복수개의 방습제 팩(3)이 각 포장용기(2)내에 동시 투입된 채로 상기 김 절단 및 수납유닛(D)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한편, 상기 구이김 공급유닛(C)으로부터는 그 궤도를 따라 적층 구이김(1)이 상기 김 절단 및 수납유닛(D) 일측의 투입구(46a)까지 운반되어 그 내부로 인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셋팅환경에서 상기 김 절단 및 수납유닛(D)의 절단용 실린더(41)가 하강하여 상기 구이김(1)을 절단함과 아울러 각 절단 구이김(1)을 그 하부에 마련된 각 포장용기(2)내로 즉시 수납한 후 원상태로 복귀되고, 정지되어있던 상기 용기 공급 및 이송유닛(A)이 그 궤도를 따라 다시 작동됨으로써 구이김(1) 및 방습제 팩(2)을 수납한 각 포장용기(2)들은 포장에 적합한 이격상태로 상기 용기 포장유닛(E)의 궤도상에 이송되어 각각 밀봉포장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하게 된다.
본 고안의 각부 구성에 있어서, 상기 용기 공급 및 이송유닛(A)은 상기 도 2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1회 작동시마다 용기공급랙(16)으로부터 3개의 포장용기(2)가 동시에 3열의 체인컨베이어(10)상에 떨어지도록 되어 있고, 상기 3열의 체인컨베이어(10)는 동시에 1스텝(Step)씩 전진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용기 공급 및 이송유닛(A)의 구조는, 장치 전체를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5)과, 상기 프레임(5)상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설치되어 어느 한 방향으로 순환하는 다수열의 인접한 순환궤도를 형성하되 그 선단부쪽의 각 궤도가 소정 폭으로 이격된 다수열의 체인컨베이어(10)와, 상기 각 체인컨베이어(10)를 구동시켜주기 위한 구동스프라킷(13), 종동스프라킷(14) 및 지지스프라킷(15)과, 상기 각 체인컨베이어(10)상에 포장용기(2)를 연속적으로 안착시켜 그 이송방향을 따라 안정적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각 궤도사이와 양측변에 설치된 트로프(Trough)(11)와, 상기 각 체인컨베이어(10)의 체인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상기 포장용기(2)를 이송방향으로 밀어주기 위한 푸셔(12)와, 상기 각 체인컨베이어(10)의 후단부 상에 각각 입설되어 적층된 다수의 포장용기(2)를 하나씩 분리하여 상기 각 체인컨베이어(10)상에 공급하기 위한 용기공급랙(1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용기공급랙(16)내에 적층되어 있는 포장용기(2)를 하나씩 분리하여 아래로 떨어뜨리기 위한 수단으로는, 상기 포장용기(2)의 테두리부와 원주면이 인접하도록 용기공급랙(16) 내에 입설된 회전원통체 구조의 용기분리캠(17)을 적용한 것으로서, 그 원주면상에 나선홈이 형성되어 그 나선홈 내에 분리할 최하단쪽 포장용기(2)의 테두리부가 걸려진 상태에서 상기 용기분리캠(17)이 나사체결방향으로 제자리 회전하면 경사진 상기 나선홈이 쐐기 역할을 수행하여 최하단의 포장용기(2)를 아래로 분리시키도록 된 것이다.
또한, 상기 방습제 팩 공급유닛(B)은 상기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일례에서 보는 바와 같이, 1회 작동시마다 3개의 방습제 팩(3)이 3개1조의 장치부로부터 동시에 각각 1개씩 절단되어 각 슈트(21)를 통해 3개의 각 포장용기(2)내로 담겨지도록 하는 구조를 이룬다. 그 단위장치부의 구성은, 프레임(20)과, 방습제 팩(3)을 안내하기 위한 다수의 가이드로울러(23a)(23b)(23c)(23d)와, 복수의 가압로울러(24a)(24b)와, 상기 방습제 팩(3)을 방습제 공급부(22)로부터 인출하기 위한 구동인출로울러(27)와, 상기 구동인출로울러(27)를 구동시켜주는구동모우터(26)와, 상기 방습제 팩(3)을 낱개로 절단하기 위한 절단날(28)과, 상기 절단날(28)을 전후진 구동시켜주는 날 작동실린더(29)와, 상기 방습제 팩(3)의 마킹부(3a)를 인식하여 상기 날 작동실린더(29)가 정확한 절단시점에서 작동되도록 해주는 센서(25)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방습제 팩(3)의 접합부위에 형성된 마킹부(3a)는 상기 센서(25)에 의해 인식할 수 있는 표식으로 작용함으로써 그 하부에 위치한 상기 절단날(28)의 작동시점을 정확히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각 가이드로울러(23a)(23b)(23c)(23d)는 상기 프레임(20)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상기 방습제 공급부(22)로부터 방습제 팩(3)을 일방향으로 안내해주기 위한 것으로서, 소정간격을 두고 상부로 각각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각 가압로울러(24a)(24b)는 상기 가이드로울러(23d) 및 구동인출로울러(27)와 각각 일조를 이뤄 각각의 로울러(23d)(27)쪽으로 가압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20)상에 힌지축으로 연결된 각 힌지레버의 선단부쪽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자중작용에 의해 하향 선회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인출로울러(27)는 방습제 팩(3)이 투출구쪽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구동모우터(26)의 축상에 직접 설치되어 구동된다. 상기 날 작동실린더(29)는 상기 프레임(20)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절단날(28)이 방습제 팩(3)의 인출방향에 대한 직교방향으로 전후진 작동될 수 있도록 구동시켜주는 구동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구이김 공급유닛(C)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공급 및 이송유닛(A)의 체인컨베이어(10)의 3스텝 작동시마다 구동축(31)에 의해 벨트컨베이어(30)가 1회전하여 상기 김 절단 및 수납유닛(D) 일측의 투입구(46a) 안쪽으로 운반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김 절단 및 수납유닛(D)은 상기 도 2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일례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구이김 공급유닛(C)으로부터 투입구(46a)쪽으로 구이김(1)이 운반되면 인입용 실린더(48)의 작동에 의해 인입판(47)이 후진하면서 장치 내측의 정위치까지 상기 구이김(1)을 인입시킨 상태에서, 상기 절단용 실린더(41)가 1회 하강 및 상승하면서 상기 구이김(1)을 절단한 후 각 절단 구이김(1)을 그 하부에 마련된 각 포장용기(2)내로 즉시 수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용기 공급 및 이송유닛(A)의 체인컨베이어(10)는 상기 김 절단 및 수납유닛(D)이 1회 승강작동시 3스텝 작동되므로 상기 김 절단 및 수납유닛(D)의 하부에 9개의 포장용기(2)가 대기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김 절단 및 수납유닛(D)의 구성으로는, 장치 각부의 고정 및 지지를 위한 구조물을 이루는 프레임(40)과, 상기 프레임(40)의 상부에 고정된 구이김 절단용 승강구동원으로서의 절단용 실린더(41)와, 상기 절단용 실린더(41)의 실린더 로드에 결합된 승강판(42)과, 구이김(1)을 각 절단영역별로 가압해주는 다수의 가압절판(44)과, 상기 승강판(42)과 가압절판(44)간을 지지하는 다수의 가압봉(43)과, 구이김(1)을 수용하고 상기 가압절판(44)의 승강작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케이스(46)와, 구이김(1)을 상기 가이드케이스(46) 내부로 이송시켜주는 인입판(47)과, 상기 인입판을 전후진 작동시켜주기 위한 인입용 실린더(48)와, 상기 가압절판(44)의 하강시 구이김(1)을 일정크기로 절단하기 위한 절단날(4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 가압절판(44)은 상기 승강판(42)으로부터 그 하부로 적정간격을 두고 평행을 유지하며 동일 판상에 배치되고 각각 균일 크기로 다수개(본 실시예에서는 통상의 경우에 해당하는 9개로 예시함) 분할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가압봉(43)은, 상기 승강판(42)의 승강시 이와 함께 상기 각 가압절판(44)이 일정 이격거리를 유지하며 승강작동될 수 있도록 상기 승강판(42)과 각 가압절판(44)을 상호 연결시켜줌과 아울러 그 승강작동 과정에서 상기 각 가압절판(44)의 간극이 가변적으로 이격될 수 있도록 각각 작동되는 일종의 분할된 형태의 실린더 로드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그 전체길이 중 상측지점에 대해서 임의방향으로 소정각도만큼 자유롭게 굴절될 수 있는 절점(節點)을 구비하되, 상기 절점부의 구조로는 그 어느 한쪽 단부에 형성된 볼과 나머지 단부에 형성된 소킷에 의해 커플링되는 볼링크(Ball Link)가 적용된다. 이는, 상측 개구의 둘레에 소정 폭의 테두리부가 형성되어 있는 통상의 포장용기(2)의 형상을 감안하여볼 때 이 포장용기(2)들이 최대한 밀접하게 배치된다하여도 그 인접한 포장용기(2)들의 양측면간에 어느 정도의 간극이 발생할 수밖에 없고, 따라서 이와 같이 소정간극을 두로 이격 배치된 각 포장용기(2)의 정 중앙위치에서 절단 구이김(1)이 각각 하강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절단날(45)은, 상기 가이드케이스(46)의 하부에 고정 배치되고 아래로 갈수록 그 두께가 선형적으로 넓어지는 격자형의 구조를 이루는 것으로서,평행 배치된 두 날의 각 외측면에 해당하는 경사면이 연직면에 대해 소정의 경사각으로 하향 경사진 대략 직각삼각형의 단면구조를 각각 형성하되, 상기 두 날 사이의 압출공을 통해 절단 구이김(1)을 원활히 하강시킬 수 있도록 그 마주보는 각 내측면이 연직면에 대해 각각 미소한 절단여유각을 갖게 함에 의해, 상기 두 날 간의 상부 간격보다 그 하부 간격이 미소 폭만큼 증대된 구조를 이룬다.
상기한 바와 같은 김 절단 및 수납유닛(D)의 순차적 작동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구이김(1)과 다수의 포장용기(2)가 장치 내에 셋팅된 초기상태에서는 상기 절단용 실린더(41)의 실린더 로드가 상사점에서 정지되어 있고 상기 인입판(47)이 상기 가이드케이스(46)로부터 완전 이탈된 상태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이김(1)이 절단날(45)상에 정위치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면, 상기 절단용 실린더(41)가 작동하여 그 실린더 로드가 점진적으로 하강 신장되면서 각 가압봉(43)의 하단부에 고정된 각각의 가압절판(44)들이 구이김(1)을 가압하게 되고, 상기 각 가압절판(44)들은 구이김(1)의 절단공정과 함께 격자형의 절단날(45) 사이의 각 압출공의 하부위치까지 지속적으로 가압된 후 상승함으로써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절단 구이김(1)이 각각의 포장용기(2)내에 수납 완료되는 것이다. 상기 절단용 실린더(41)의 실린더 로드가 상사점까지 복귀된 이후에는 상기 인입판(47)이 가이드케이스(46)의 내측으로 원상 투입되고, 또한 후속 일조의 포장용기(2)도 상기 용기 공급 및 이송유닛(A)의 각 체인컨베이어(10)의 스텝모션에 의해 상기 절단날(45)의 하부로 셋팅됨으로써 연속공정을 반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용기 포장유닛(E)은 상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체인컨베이어(50)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용기 공급 및 이송유닛(A)의 각 체인컨베이어(10)로부터 전달된 구이김(1) 및 방습제 팩(3)을 수납한 각 포장용기(2)들을 별도의 포장기(미도시)쪽으로 정렬하여 이송시켜주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장치부들은 이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유닛의 순차적 제어에 의해 일련의 동작들을 연속적으로 수행하게 됨으로써 구이김(1)의 절단으로부터 포장용기(2)내 수납 및 그 밀봉포장에 이르는 전 공정의 무인자동화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의 구이김 가공 자동화 시스템에 의하면, 구이김의 절단으로부터 포장용기내 수납 및 밀봉포장에 이르는 전 공정의 무인자동화를 실현함으로써 가공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실제로, 종래의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절단된 구이김을 포장용기 내에 담아주는 과정에서 4인1조의 인원이 투입되었으나 본 자동화 시스템에 의하면 그 소요인원을 타 공정으로 배치하여 활용할 수 있으므로 인력관리 면에서 매우 효율적이며, 또한, 분당 60개의 구이김 포장이 가능하였던 종래의 경우에 비해 본 자동화 시스템에 의하면 분당 120 내지 150개의 구이김 포장이 가능하여 생산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시스템에 의하면, 종래의 경우에서와 같이 수작업으로 구이김을 포장용기 내에 담는 과정에서 구이김이 파손될 우려가 전혀 없으므로 품질 및 위생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구이김의 절단 및 수납공정이 완전 무인자동화됨으로써 부주의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시스템에 적용된 용기 공급 및 이송용 컨베이어는 구이김의 절단 및 포장용기내 수납 후 적정 간격을 유지하며 분기되는 이송궤도의 구조를 이룸으로써 용기의 포장시 작업상 필요한 포장용기 간의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기준하여 설명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라 할 수 있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들을 생각해 낼 수 있으므로 이러한 균등한 실시예들 또한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함은 극히 당연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
- 다수의 포장용기를 적정시간간격을 두고 소정개수만큼씩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용기 공급 및 이송유닛;상기 용기 공급 및 이송유닛에 의해 이송되는 각 포장용기 내에 방습제 팩을 각각 투입하기 위한 방습제 팩 공급유닛;다수 장 적층된 구이김을 절단 가공할 위치로 적정시간간격을 두고 이송시켜주기 위한 구이김 공급유닛;상기 구이김 공급유닛으로부터 이송된 구이김을 내부에 수용함과 아울러 절단된 구이김을 각각 수납하기 위한 상기 포장용기를 그 하부에 수용하여 일회의 승강행정으로써 구이김의 절단 및 포장용기내 수납을 동시에 자동 수행하는 김 절단 및 수납유닛;절단 구이김이 수납된 다수열의 포장용기들을 밀봉포장이 가능한 적정간격으로 이격시켜 이송시켜주는 용기 포장유닛; 및상기 각 유닛이 순차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제어해주는 제어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김 가공 자동화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용기 공급 및 이송유닛은, 장치 전체를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상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설치되어 어느 한 방향으로 순환하는다수열의 인접한 순환궤도를 형성하되 그 선단부쪽의 각 궤도가 소정 폭으로 이격된 다수열의 체인컨베이어와, 상기 각 체인컨베이어를 구동시켜주기 위한 한 쌍의 스프라킷과, 상기 각 체인컨베이어상에 포장용기를 연속적으로 안착시켜 그 이송방향을 따라 안정적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각 궤도사이와 양측변에 설치된 트로프와, 상기 각 체인컨베이어의 체인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상기 포장용기를 이송방향으로 밀어주기 위한 푸셔와, 상기 각 체인컨베이어의 후단부 상에 각각 입설되어 적층된 다수의 포장용기를 하나씩 분리하여 상기 각 체인컨베이어상에 공급하기 위한 용기공급랙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김 가공 자동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28092 | 2003-08-28 | ||
KR20-2003-0028092U KR200335234Y1 (ko) | 2003-08-28 | 2003-08-28 | 재래김 자동가공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44111Y1 true KR200344111Y1 (ko) | 2004-03-09 |
Family
ID=4934111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28092U KR200335234Y1 (ko) | 2003-08-28 | 2003-08-28 | 재래김 자동가공장치 |
KR20-2003-0037352U KR200344111Y1 (ko) | 2003-08-28 | 2003-11-29 | 구이김 가공 자동화 시스템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28092U KR200335234Y1 (ko) | 2003-08-28 | 2003-08-28 | 재래김 자동가공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200335234Y1 (ko)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65702B1 (ko) | 2012-12-24 | 2013-05-20 | 김우진 | 구이김 절단 및 수납장치 |
KR101532431B1 (ko) * | 2013-11-15 | 2015-06-30 | 두솔메카트로닉스 주식회사 | 김 공급장치 |
KR20160143291A (ko) | 2015-06-05 | 2016-12-14 | 두솔메카트로닉스 주식회사 | 즉석 구이김 절단 및 수납장치와 그 제어방법 |
KR101924633B1 (ko) | 2017-02-27 | 2018-12-03 | 김대석 | 김 양념공급장치 |
KR20190052873A (ko) | 2017-11-09 | 2019-05-17 | 두상수 | 카드형 방습제 자동투입장치 |
KR20190056000A (ko) | 2017-11-16 | 2019-05-24 | 두상수 | 구이김을 절단하여 용기에 수납하는 장치 |
KR20210147617A (ko) | 2020-05-29 | 2021-12-07 | 두솔메카트로닉스 주식회사 | 절단김 자동이송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37842B1 (ko) | 2005-05-18 | 2007-07-12 | 강신탁 | 재래김 절단투입기 |
KR101124306B1 (ko) * | 2009-07-13 | 2012-03-28 | 강신탁 | 김절단 포장장치 |
KR102464323B1 (ko) * | 2021-03-19 | 2022-11-07 | 박태순 | 요리 재료 디스펜서 자동화 시스템 |
-
2003
- 2003-08-28 KR KR20-2003-0028092U patent/KR200335234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3-11-29 KR KR20-2003-0037352U patent/KR200344111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65702B1 (ko) | 2012-12-24 | 2013-05-20 | 김우진 | 구이김 절단 및 수납장치 |
KR101532431B1 (ko) * | 2013-11-15 | 2015-06-30 | 두솔메카트로닉스 주식회사 | 김 공급장치 |
KR20160143291A (ko) | 2015-06-05 | 2016-12-14 | 두솔메카트로닉스 주식회사 | 즉석 구이김 절단 및 수납장치와 그 제어방법 |
KR101924633B1 (ko) | 2017-02-27 | 2018-12-03 | 김대석 | 김 양념공급장치 |
KR20190052873A (ko) | 2017-11-09 | 2019-05-17 | 두상수 | 카드형 방습제 자동투입장치 |
KR20190056000A (ko) | 2017-11-16 | 2019-05-24 | 두상수 | 구이김을 절단하여 용기에 수납하는 장치 |
KR20210147617A (ko) | 2020-05-29 | 2021-12-07 | 두솔메카트로닉스 주식회사 | 절단김 자동이송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35234Y1 (ko) | 2003-12-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344111Y1 (ko) | 구이김 가공 자동화 시스템 | |
US7565781B2 (en) | Conveyor for feeding small objects to a blister-film loader | |
US3112590A (en) | Packaging system and apparatus | |
KR101762810B1 (ko) | 즉석 구이김 절단 및 수납장치와 그 제어방법 | |
KR100842870B1 (ko) | 구이 김 절단 및 수납장치 | |
GB2051722A (en) | Apparatus for stacking trays or boxes filled with articles, such as eggs | |
JPH04251022A (ja) | 物品の群を形成し移送する装置 | |
US3279927A (en) | Packer | |
US4030620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loading containers | |
US4223779A (en) | Automatic transfer mechanism | |
KR101762814B1 (ko) | 조미김 가공장치 | |
KR100515442B1 (ko) | 구이김 자동 절단 및 수납장치 | |
KR101379244B1 (ko) | 두부 포장자동화 시스템의 두부포장용기 공급 및 이송장치 | |
KR20120102854A (ko) | 김 가공용 포장용기 자동공급장치 | |
CN107373691B (zh) | 一种果蔬自动削皮机的输送装置 | |
KR101532431B1 (ko) | 김 공급장치 | |
US3935967A (en) | Apparatus for feeding shell-like articles | |
KR20210129837A (ko) | 김 가공 자동화 시스템 | |
KR100575236B1 (ko) | 조미김 분할 투입장치 | |
US2970418A (en) | Egg handling device | |
CN210321054U (zh) | 分级烘干系统 | |
KR101148180B1 (ko) | 김 이절장치 | |
KR101470797B1 (ko) | 식품 포장 장치 | |
JP6881869B2 (ja) | 軍艦巻成形移載装置 | |
KR102055577B1 (ko) | 구이김을 절단하여 용기에 수납하는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J206 |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11004 Effective date: 2012012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222 Year of fee payment: 10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