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9244B1 - 두부 포장자동화 시스템의 두부포장용기 공급 및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두부 포장자동화 시스템의 두부포장용기 공급 및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9244B1
KR101379244B1 KR1020120150729A KR20120150729A KR101379244B1 KR 101379244 B1 KR101379244 B1 KR 101379244B1 KR 1020120150729 A KR1020120150729 A KR 1020120150729A KR 20120150729 A KR20120150729 A KR 20120150729A KR 101379244 B1 KR101379244 B1 KR 101379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packaging
packaging container
packing
tof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0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숭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일종합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일종합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일종합기계
Priority to KR1020120150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92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9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9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5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roller-ways or endless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44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from supply magaz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01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of foodstuffs, combined with their conserv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부 포장자동화 시스템의 포장용기 공급 및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측 포장용기가 하측 포장용기에 일부 삽입된 상태로 적층되어 있는 복수의 포장용기에서 하측의 포장용기를 하나씩 낙하시키는 용기공급장치와, 상기 용기공급장치에서 하나씩 낙하되는 포장용기를 두부절단장치 쪽으로 이송시키는 용기이송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두부 포장자동화 시스템의 두부포장용기 공급 및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포장용기 공급장치는
상,하로 적층되어 있는 복수의 포장용기 중 최하측의 포장용기 일측에 수평설치되어 상기한 최하측의 포장용기에 형성된 플랜지의 상방을 향해 수평상으로 진퇴작동을 하도록 실린더의 피스톤로드에 용기낙하구를 장착하되, 상기 용기낙하구의 선단은 상,하로 적층된 복수의 플랜지들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공간 사이로 진입할 수 있도록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은 최하측 포장용기 바로 위에 적층되어 있는 상측의 포장용 플랜지를 상향으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상기 선단에서 상향으로 돌출하도록 경사진 경사면의 상단에서 수평하게 돌출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저면은 최하측 포장용기의 플랜지를 수평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수평한 수평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두부포장용기 이송장치는,
양측 체인콘베이어에 양단이 각각 하나씩의 볼트나 리벳으로 고정 부착되는 한쌍의 용기이송구로 구성되어 있되, 상기 한쌍의 용기이송구는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분할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한쌍의 용기이송구 각각의 양단은 양측 체인콘베이어 각각에 부착되어 있는 어태치먼트에 고정 부착되어 있고 상기한 양단 사이에는 포장용기의 양측 몸체를 감싸주는 지지홈과 양측 플랜지를 지지하는 지지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두부 포장자동화 시스템의 두부포장용기 공급 및 이송장치{Supplying and transferring device for bean curd packing container of bean curd packing auto system}
본 발명은 두부 포장자동화 시스템의 두부포장용기 공급 및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중량이 1∼10kg 정도로 크게 제조된 두부를 포장하기 위한 대형포장용기를 체인콘베이어에 의해 이송되고 있는 용기이송구에 하나씩 정확하게 안착시키도록 공급할 수 있으며, 또한 체인콘베이어를 회전이동시키는 구동 및 연동 체인기어 각각을 직경이 작은 소형체인기어를 사용하더라도 상기한 대형포장용기를 안전하게 이송시킬 수 있도록 개선한 두부 포장자동화 시스템의 두부포장용기 공급 및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두부 포장자동화 시스템은, 일정 규격으로 제조된 두부를 안전하게 이송하는 두부이송공정, 일정규격의 두부를 여러 등분으로 절단하는 두부절단공정, 절단된 두부 1모를 포장용기에 투입하는 두부투입공정, 1모의 두부가 투입된 포장용기의 상단을 밀봉필름으로 열접착하여 밀봉하는 실링공정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통상 포장두부는 중량(Kg)을 기준하여 1kg 미만 규격과 1kg 이상의 여러 규격으로 구분되어 크고 작은 포장용기에 밀봉 포장되고 있다.
상기한 1kg 미만 규격의 소형두부를 포장하는 소형포장용기는 그 규격이 작으므로 소형포장용기를 이송하게 되는 체인콘베이어를 회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및 연동 체인기어의 직경이 작은 규격으로 된 것을 사용하게 되더라도 소형포장용기의 이송이 용이하게 되지만, 1kg 이상의 두부를 포장하는 중형(또는 대형)포장용기의 규격은 소형포장용기보다 큰 규격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 기술에서 소형두부를 포장하기 위한 두부 포장자동화 시스템으로 상기한 중형포장용기를 이송하는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뒤따르게 된다.
그 일례로서, 종래 기술에서 소형포장용기를 이송하기 위한 체인콘베이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소형용기 이송구(100)는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소형포장용기(200)가 삽입 안착되는 안착공(110)이 형성되어 있는 이송구본체(12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이송구본체(120)의 양단에는 양측 체인콘베이어(300) 각각에 부착되어 있는 어태치먼트(미도시)에 볼트 및 리벳으로 고정 부착시키기 위한 부착공(130)이 형성되어 있는바,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의 소형용기 이송구(100)는 그 폭의 규격과 같거나 조금 큰 직경을 가지는 체인기어에 의하여 회전 이동하는 체인콘베이어(300)에 장착하게 되더라도 소형용기 이송구(100)는 체인기어에 치합된 상태로 이동하는 체인콘베이어(300)와 함께 체인기어 외주를 회전 이동할 수 있으나, 상기와 같이 작은 크기로 된 소형포장용기(200)를 이송시키는 보다 큰 규격의 중형 내지 대형의 포장용기를 이송시키기 위한 중·대형의 포장용기 이송구(미도시)는 상기한 소형용기 이송구(100)를 회전 이송시키는 체인기어에 설치되는 체인콘베이어(300)에는 장착할 수가 없다.
왜냐하면, 소형용기 이송구(100)는 안착공(110)의 양측에 하나씩 형성된 부착공(130)을 이용하여 양측 체인콘베이어(300) 각각에 장착되어 있는 양측 어태치먼트에 각각 하나씩의 볼트나 리벳으로 고정 연결하게 되더라도 상기 소형용기 이송구(100)는 양측 체인콘베이어(300)에 무게 중심이 일치하도록 안정된 상태로 장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체인콘베이어(300)가 경사상으로 이동하게 될 때 및 체인기어의 외주를 따라 회전 이동하게 될 때에도 한쪽으로 쏠리지 않고 안전하게 경사지동 및 회전이동될 수 있겠지만, 중·대형의 포장용기가 안착되는 중·대형의 포장용기 이송구의 경우는 양측 체인콘베이어(300) 각각에 하나씩의 볼트나 리벳으로 부착하게 되면 체인콘베이어(300)가 경사상으로 이동하게 될 때 중·대형의 포장용기 이송구가 경사진 방향으로 쏠리게 되는 현상이 나타날 뿐 아니라 체인콘베이어(300)가 직경이 작은 체인기어를 따라 회전 이동하게 될 때 무게 중심이 매우 흔들리는 상태로 불안전하게 회전 및 이동하게 되는 현상이 나타나 포장용기를 정확하게 이송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체인콘베이어를 회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및 연동 체인기어를 직경이 큰 체인기어를 사용하게 될 경우에는 두부 포장자동화 시스템이 대형화될 뿐 아니라 시스템의 설치면적이 커지고 시스템 설치비가 비싸지게 되는 등 여러 가지의 문제점이 있어 현재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종래 기술과 같이 소형포장용기로 두부를 포장하는 두부 포장자동화 시스템에 사용되고 있는 체인콘베이어를 이용하여 중·대형의 포장용기를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중·대형 포장용기 이송구가 설치된 용기 이송장치를 제공하며, 또한 중·대형 포장용기 이송구에 중·대형의 포장용기를 하나씩 정확하게 낙하시켜서 수평상으로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용기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측 포장용기가 하측 포장용기에 일부 삽입된 상태로 적층되어 있는 복수의 포장용기에서 하측의 포장용기를 하나씩 낙하시키는 용기공급장치와, 상기 용기공급장치에서 하나씩 낙하되는 포장용기를 두부절단장치 쪽으로 이송시키는 용기이송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두부 포장자동화 시스템의 두부포장용기 공급 및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두부포장용기 공급장치는,
상,하로 적층되어 있는 복수의 포장용기 중 최하측의 포장용기 일측에 수평설치되어 상기한 최하측의 포장용기에 형성된 플랜지의 상방을 향해 수평상으로 진퇴작동을 하도록 실린더의 피스톤로드에 용기낙하구를 장착하되, 상기 용기낙하구의 선단은 상,하로 적층된 복수의 플랜지들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공간 사이로 진입할 수 있도록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은 최하측 포장용기 바로 위에 적층되어 있는 상측의 포장용 플랜지를 상향으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상기 선단에서 상향으로 돌출하도록 경사진 경사면의 상단에서 수평하게 돌출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저면은 최하측 포장용기의 플랜지를 수평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수평한 수평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두부포장용기 이송장치는,
양측 체인콘베이어에 양단이 각각 하나씩의 볼트나 리벳으로 고정 부착되는 한쌍의 용기이송구로 구성되어 있되, 상기 한쌍의 용기이송구는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분할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한쌍의 용기이송구 각각의 양단은 양측 체인콘베이어 각각에 부착되어 있는 어태치먼트에 고정 부착되어 있고 상기한 양단 사이에는 포장용기의 양측 몸체를 감싸주는 지지홈과 양측 플랜지를 지지하는 지지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쌍의 용기이송구는 서로 대칭을 이루는 ㄷ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중량을 기준하여 1∼10kg 정도의 중·대형 두부를 포장하는 포장용기를 이송하기 위한 용기이송구를 1kg 미만의 소형두부 포장용기를 이송하는 체인콘베이어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두부 포장자동화 시스템의 설비를 소형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그 설비의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체인콘베이어를 따라 이동하는 용기이송구에 포장용기를 하나씩 수평상으로 낙하시켜서 정확하게 안착시킬 수 있으므로 두부포장시 나타날 수 있는 포장불량 현상을 없앨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두부 포장자동화 시스템의 포장용기 공급장치 및 이송장치의 설치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포장용기 공급장치 평면 구성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포장용기 공급장치의 용기낙하구가 포장용기를 하나씩 낙하시키는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포장용기 공급장치의 용기이송구 설치상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포장용기 공급장치의 용기이송구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용기이송구로 이송하는 중·대형 포장용기 및 종래 기술의 용기이송구로 이송하는 소형 포장용기 규격을 비교하기 위한 용기의 평면 비교도
도 9는 종래 기술의 용기이송구 평면도
본 발명에 의한 두부 포장자동화 시스템의 두부포장용기 공급 및 이송장치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두부 포장자동화 시스템의 포장용기 공급 및 이송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두부 포장자동화 시스템은 냉각수탱크(1)를 기준하여 포장용기 공급장치(2)는 상기 냉각수탱크(1)의 일측(도면상 좌측) 상방에 설치되어 상,하 겹쳐진 상태로 적층되어 있는 포장용기(10)를 하나씩 밑으로 낙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포장용기 이송장치(3)는 냉각수탱크(1)의 일측 상방에 설치된 상기 포장용기 공급장치(2)에서 하나씩 낙하되는 포장용기(10)를 받아서 냉각수탱크(1)에 저장되어 있는 냉각수 속으로 잠수하는 상태로 이송시키고 다시 상기 냉각수탱크(1)의 타측 상방으로 부상하도록 이동시켜서 포장용기(10)를 포장실링공정으로 운반하는 운반콘베이어(4)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냉각수탱크(1)의 상방에는 두부제조장치에 의해 일정 크기로 완성된 두부를 공급받아 하측에 설치되어 있는 두부절단 및 투입장치(6)로 차례대로 공급하는 두부공급장치(5)와, 상기 두부공급장치(5)로부터 차례대로 공급되는 두부를 설정된 규격에 맞추어 여러 등분으로 절단하고 이어서 절단된 두부를 냉각수탱크(1)에 저장되어 있는 냉각수 속으로 잠수하는 상태로 차례대로 이송하게 되는 포장용기(10)들 각각에 하나씩 투입하는 두부절단 및 투입장치(6)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두부 포장자동화 시스템의 포장용기 공급장치(2)에 대하여 먼저 설명한다.
상기 포장용기 공급장치(2)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하로 겹쳐진 상태로 적층된 복수의 포장용기(10)들 좌,우 2줄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포장용기(10)들은 상측의 포장용기 몸체(11)가 하측의 포장용기 몸체 속으로 삽입된 상태로 적층되어 있되, 하측의 포장용기 플랜지(12)와 상측의 포장용기 플랜지 사이 각각은 소정의 간격(S)으로 이격되도록 적층되어 있다,(도 4,5 참조)
또한 상기 포장용기 공급장치(2)는 상,하로 적층 설치되어 있는 포장용기(10)를 하나씩 밑으로 낙하시키기 위하여 실린더(21)와, 상기 실린더(21)에서 출몰작동하는 피스톤로드(22)와, 상기 피스톤로드(22)의 선단에 연결된 작동간(23)과, 상기 작동간(23)에 연결되어 포장용기(10)를 하나씩 낙하시키기 위한 용기낙하구(24) 및 상,하로 적층되어 있는 포장용기(10)가 정열된 상태로 적층되어 있도록 붙잡아주기 위한 지지구(25)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2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2줄로 적층 설치되어 있는 포장용기(10)의 좌,우 양측에 각각 한대씩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실린더(21)는 응답이 빠른 공압실린더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동간(23)은 양측 실린더(21)에서 출몰작동하는 양측 피스톤로드(22)의 각 선단을 수평상으로 연결하는 구조로 설치되어 상기한 양측 피스톤로드(22)의 출몰작동에 따라 포장용기(10) 측을 향해 전진 및 후퇴하는 작동을 반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작동간(23)에는 포장용기(10)의 몸체(11)에 형성된 좌,우 양측의 플랜지(12)를 동시에 받쳐주는 용기낙하구(24)가 일정 간격으로 장착되어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하 적층되는 포장용기(10)가 좌,우 2줄상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용기낙하구(24)는 2쌍(4개)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용기낙하구(24)는 저면(241)이 수평면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선단(242)은 상,하 적층된 포장용기(10)들 중 하측에 위치한 포장용기(10)를 하나씩 낙하시킬 수 있도록 상,하 적층된 포장용기(10)의 플랜지(12)들 사이에 형성된 간격(S)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선단(242)의 후방에는 상향으로 돌출하도록 경사진 경사면(24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경사면(243)의 끝단에는 최하단에 적층된 하측의 포장용기(10) 바로 위에 적층된 상측의 포장용기(10-1 : 대표적으로 설명할 때에는 부호 '10'으로 설명함)를 일정 높이로 들어올려 주는 상면(244)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상면(244)은 상측의 포장용기(10-1)를 하측 포장용기(10)의 상방을 향해 수평한 상태로 상승시킬 수 수평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용기낙하구(24)가 하측 포장용기(10)의 플랜지(12)와 그 위에 적층된 상측 포장용기(10-1)의 플랜지 사이로 진입하게 될 때 수평한 저면(241)은 하측 포장용기(10)의 플랜지(12)가 수평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도록 하는 한편, 상기 용기낙하구(24)의 상면(244)은 상측 포장용기(10-1)의 플랜지를 일정 높이로 수평하게 상승시켜서 하측 포장용기(10)의 몸체(11) 전체가 동시에 상측 포장용기(10-1)의 몸체에서 분리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측 포장용기(10-1)에서 분리되는 하측 포장용기(10)는 수평을 유지하는 상태로 자연 낙하하게 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수평을 유지하는 상태로 낙하하는 포장용기(1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체인콘베이어(33)에 장착되어 있는 한쌍의 용기이송구(35)에 수평한 상태로 정확하게 안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지지구(25)는 좌,우 양측에 2줄로 적층 설치되는 복수의 포장용기(1)들 각각의 양측을 붙잡아주는 작동과 놓아주는 작동을 반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실린더(21)의 피스톤로드(22)가 후진작동을 할 때에는 상기 지지구(25)는 포장용기(10)의 좌,우 양측 플랜지(12)에 접촉하는 상태로 지지하여 포장용기(10)를 붙잡고 있도록 하며, 상기 피스톤로드(22)가 전진작동으로 용기낙하구(24)를 포장용기(10) 쪽으로 전진이동시킬 때에는 포장용기(10)의 좌,우 플랜지(12)에서 이완되는 작동으로 포장용기(10)를 놓아주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구(25)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2줄로 적층 설치되어 있는 좌,우측 포장용기(10)들 각각을 안정적으로 붙잡고 놓아줄 수 있도록 2쌍씩 설치되어 있는 것을 실시예로 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 도면에서는 상기 포장용기 공급장치(2)에서 상,하 겹쳐진 상태로 적층된 포장용기(10)들을 좌,우 양측에 수직상으로 지지하기 위한 포장용기 지지구조물의 구성은 기존의 두부포장자동화설비에 설치되어 있는 것과 동일 유사하므로 도시하지 않았다.
다음, 상기한 두부 포장자동화 시스템의 포장용기 이송장치(3)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포장용기 이송장치(3)는 냉각수탱크(1)의 일측(도면상 좌측) 상방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구동체인기어(31)와 상기 냉각수탱크(1)의 타측(도면상 우측)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연동체인기어(32)에 무한궤도상으로 연결 설치되는 체인콘베이어(33)로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체인콘베이어(33)에는 일정간격으로 부착되는 어태치먼트(34)에는 한쌍의 용기이송구(35a)(35b)가 각각 볼트나 리벳 등으로 고정 부착되어 있다.
상기 한쌍의 용기이송구(35a)(35b) 각각은 포장용기(10)의 몸체(11) 일측을 감싸는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홈(351)과 플랜지(12) 일측으로 지지하는 지지턱(352)이 일체로 형성된 "ㄷ"자형의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한쌍의 용기이송구(35a)(35b)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대칭상으로 설치되어 하나의 포장용기(10)의 몸체(11) 및 플랜지(12)를 지지하는 상태로 이송하도록 체인콘베이어(33)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대칭을 이루도록 구성된 한쌍의 용기이송구(35a)(35b)는 체인콘베이어(33)에 일정간격으로 복수 쌍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체인콘베이어(33)는 구동체인기어(31), 냉각수탱크(1)의 일측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상,하측 가이드 체인기어(36a,36b), 상기 냉각수탱크(1)에 저장되어 있는 냉각수에 침지된 상태로 설치된 상,하부 수중 가이드 체인기어(37a,37b)(38a,38b), 연동체인기어(32)에 연결되는 구조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냉각수탱크(1)의 일측 상방에 설치되어 있는 포장용기 공급장치(2)에서 차례대로 하나씩 밑으로 낙하하는 포장용기(10)들은 포장용기 이송장치(3)의 체인콘베이어(33)를 따라 회전 이동하는 한쌍의 용기이송구(35a)(35b)에 하나씩 안착되면서 냉각수탱크(1)에 저장되어 있는 냉각수의 수중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용기이송구(35a)(35b)에 안착된 상태로 이송되는 포장용기(10)에는 상기 냉각수탱크(1)의 내부에는 냉각수에 침지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두부 절단 및 투입장치(6)에 의하여 여러 등분으로 절단된 두부가 차례대로 하나씩 투입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절단된 두부가 하나씩 투입되어 있는 포장용기(10)는 연동체인기어(32)에 의하여 냉각수탱크(1)의 타측 상방으로 인출된 후 상기 연동체인기어(32)측에 설치되어 있는 이송안내판(39)에 의하여 체인콘베이어(33)에서 이완되어 운반콘베이어(4) 쪽으로 이송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연동기어(32)를 통과하면서 두부가 담긴 포장용기(10)를 운반콘베이어(4) 쪽으로 이송작동을 완료한 한쌍의 용기이송구(35a)(35b)는 체인콘베이어(33)의 하측으로 이동하여 다시 냉각수탱크(1)에 저장된 냉각수를 수중으로 통과한 후 다시 구동체인기어(31)의 상측으로 이동하여 포장용기 공급장치(2)로부터 하나씩 낙하하는 포장용기(10)를 두부절단 및 투입장치(6) 쪽으로 이송시키는 작동을 반복 되풀이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포장용기 공급장치(2) 및 포장용기 이송장치(3)의 작용을 설명한다.
상기 포장용기 공급장치(2)는 냉각수탱크(1)의 일측 상방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포장용기 지지구조물(미도시)에 상,하 겹쳐진 상태로 적층되어 있는 포장용기(10)들 중 최하측에 위치하고 있는 포장용기(10)를 하나씩 밑으로 낙하시키는 것으로, 실린더(21)의 피스톤로드(22)가 후퇴작동하였을 때에는 용기낙하구(24)가 도 3의 도시와 같이 상,하로 적층되어 있는 포장용기(10)이 전방(도면상 좌측)으로 이동된 상태이며, 이때에는 상,하로 적층되어 있는 포장용기(25)들의 좌,우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 쌍의 지지구(25)들은 포장용기(10)들 좌,우 양측으로 이동하여 포장용기(10)들을 붙잡고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하로 적층되어 있는 포장용기(10)들은 서로 겹쳐진 상태 즉, 하측의 포장용기(10)에 상측의 포장용기(10-1)가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최하측의 포장용기(10)는 그 바로 위에서 삽입되는 상태로 적층되어 있는 상측의 포장용기(10-1)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게 된다.
이어서 상기 실린더(21)가 작동하여 피스톤로드(22)를 전진작동시키게 되면 작동간(23)에 장착되어 있는 용기낙하구(24)가 포장용기(10) 쪽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용기낙하구(24)의 선단(242)이 상,하로 적층된 포장용기(10)의 상,하측 플랜지(12)에 의해 형성된 간격(S) 사이로 진입하게 되며, 계속되는 용기낙하구(24)의 전진작동에 의해 상기 선단(242)이 후단에 상향으로 경사진 경사면(243)이 상측 포장용기(10-1)의 플랜지(12)를 위로 밀어올리게 되며, 상기한 경사면(243)에 의해 상향으로 이동하는 상측 포장용기(10-1)의 플랜지(12)는 상면(244)까지 상향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용기낙하구(24)의 저면(241)은 수평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용기낙하구(24)가 하측 포장용기(10)의 플랜지(12)와 상측 포장용기(10-1)의 플랜지(12) 사이로 진입하여 상측의 포장용기(10-1)의 플랜지(12)를 경사면(243)의 상단 높이까지 상향으로 들어올리게 될 때까지는 하측의 포장용기(10)는 제위치(용기낙하구가 삽입되기 전 상태의 위치)에서 수평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가 상기 용기낙하구(24)의 계속된 전진작동으로 상측 포장용기(10-1)의 플랜지(12)가 용기낙하구(24)의 상면(244) 높이까지 상향 이동하여 수평상태가 되었을 때에는 비로소 하측 포장용기(10)가 상측 포장용기(10-1)에서 이완되면서 자중에 의해 밑으로 낙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전진작동을 하는 용기낙하구(24)에 의하여 상측 포장용기(10-1)에서 이완되면서 자연 낙하하게 되는 하측 포장용기(10)는 수평을 유지하는 상태로 낙하하게 되며, 이에 따라 하측 포장용기(10)는 체인콘베이어(33)를 따라 회전 이동하는 한쌍의 용기이송구(35a)(35b)에 수평상태로 정확하게 안착되는 것이다.
상기 포장용기 이송장치(3)는 포장용기 공급장치(2)에서 하측의 포장용기(10)를 하나씩 낙하시킬 때에는 체인콘베이어(33)의 회전이 일시 정지되었다가 회전하는 작동을 반복하게 된다.
상기 포장용기 이송장치(3)의 체인콘베이어(33)에 일정간격으로 장착된 두쌍의 용기이송구(35a)(35b)가 포장용기 공급장치(2)에 좌,우 2줄로 적층 설치된 양측 포장용기(10)의 직하방으로 이동하게 되었을 때에는 상기 체인콘베이어(33)의 회전작동이 일시 정지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포장용기 공급장치(2)의 좌,우측 각각에서 하나씩 낙하하는 포장용기(10)는 회전이 일시 정지된 두쌍의 용기이송구(35a)(35b) 각각에 수평상으로 정확하게 안착된다. 즉, 포장용기(10)의 몸체(11)는 한쌍의 용기이송구(35a)(35b)의 지지홈(353) 속으로 삽입되고 플랜지(12)는 양단(351,352) 및 지지턱(354)에 안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포장용기 공급장치(2)의 좌,우측에 적층 설치된 포장용기(10)가 하나씩 낙하하여 포장용기 이송장치(3)의 체인콘베이어(33)에 장착된 두쌍의 용기이송구(35a)(35b) 각각에 정확히 안착되었을 때에는 상기 체인콘베이어(33)가 다시 일정시간동안 회전작동을 반복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용기이송구(35a)(35b)에 안착된 포장용기(10)는 냉각수탱크(1)에 저장되어 있는 냉각수를 향해 일정거리씩 간헐적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용기이송구(35a)(35b)와 함께 냉각수 속으로 이동하는 포장용기(10)가 두부절단 및 투입장치(6) 쪽으로 이동하였을 때에도 체인콘베이어(33)는 일시 정지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체인콘베이어(33)가 일시 정지되었을 때 상기 두부절단 및 투입장치(6)에서는 자동으로 절단된 두부를 하나씩 포장용기(10)에 투입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두부절단 및 투입장치(6)에서 포장용기(10)에 절단된 두부를 하나씩 투입하는 작동을 완료하게 되면, 상기 체인콘베이어(33)는 다시 회전하게 되므로 절단된 두부가 투입되어 있는 포장용기(10)는 연동체인기어(32) 쪽으로 이동하여 냉각수탱크(1)의 타측 상방을 향해 수면에서 부상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용기이송구(35a)(35b)와 함께 이동하게 되는 포장용기(10)는 그 일측(연동체인기어를 향하고 있는 부분)이 연동체인기어(32)의 상부에 인접하는 위치로 이동하게 될 때에는 이송안내판(39) 위에 얹혀지는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체인콘베이어(33)의 회전작동에 의해 용기이송구(35a)(35b)와 함께 이동하는 포장용기(10)의 일단이 이송안내판(39) 위에 얹혀진 상태가 될 때에는 한쌍의 용기이송구(35a)(35b) 중 이송안내판(39) 위에 얹혀지는 포장용기(10)의 일측을 지지하고 있는 도면상 우측에 있는 하나의 용기이송구(35b)는 연동체인기어(32)의 상부에서 하측으로 회전 이동하게 되며, 다른 하나의 용기이송구(35a)는 체인콘베이어(33)와 함께 회전이동하면서 포장용기(10)를 계속해서 연동체인기어(32) 쪽으로 밀어주게 되므로, 이에 따라 절단된 두부가 담긴 포장용기(10)는 이송안내판(39)에서 미끄러지는 상태로 이동하여 운반콘베이어(4)로 이송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절단된 두부가 담긴 포장용기(10)를 운반콘베이어(4)로 이송하는 작동을 마친 한쌍의 용기이송구(35a)(35b)는 연동체인기어(32)를 통과하여 체인콘베이어(33)의 하측으로 이동하여 구동체인기어(31) 쪽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구동체인기어(31)의 상부로 이동하는 한쌍의 용기이송구(35a)(35b)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포장용기 공급장치(2)에서 하나씩 낙하하게 되는 포장용기(10)를 공급받아 두부절단 및 투입장치(6)에 소정 크기로 절단된 두부를 담아 운반콘베이어(4)로 이송시키는 작동을 반복 되풀이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중량을 기준하여 1kg 이상의 두부를 포장하는 중·대형의 포장용기를 체인콘베이어(33)에 한쌍씩 일정간격으로 장착되어 있는 용기이송구(35a)(35b)에 정확하게 공급할 수 있으며, 또한 한쌍의 용기이송구(35a)(35b)가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분할 형성되어 있으므로 중·대형의 포장용기(10)를 체인콘베이어(33)으로 이송할 수 있어 두부 포장자동화 시스템의 설비를 소형화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하였을 뿐 아니라 설비제작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1 : 냉각수탱크 10 : 포장용기
11 : 몸체 12 : 플랜지
2 : 포장용기 공급장치 21 : 실린더
22 : 피스톤로드 23 : 작동간
24 : 용기낙하구 241 : 저면
242 : 선단 243 : 경사면
244 : 상면 25 : 지지구
3 : 포장용기 이송장치 31 : 구동체인기어
32 : 연동체인기어 33 : 체인콘베이어
34 : 어태치먼트 35a,35b : 용기이송구
351,352 : 양단 353 : 지지홈
354 : 지지턱 36a,36b :상,하측 가이드 체인기어
37a,37b : 상부 수중 가이드 체인기어
38a,38b : 하부 수중 가이드 체인기어
39 : 이송안내판 4 : 운반콘베이어
5 : 두부공급장치 6 : 두부절단 및 투입장치

Claims (2)

  1. 상측 포장용기가 하측 포장용기에 일부 삽입된 상태로 적층되어 있는 복수의 포장용기에서 하측의 포장용기를 하나씩 낙하시키는 용기공급장치와, 상기 용기공급장치에서 하나씩 낙하되는 포장용기를 두부절단장치 쪽으로 이송시키는 용기이송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두부 포장자동화 시스템의 두부포장용기 공급 및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두부포장용기 공급장치는,
    상,하로 적층되어 있는 복수의 포장용기 중 최하측의 포장용기 일측에 수평설치되어 상기한 최하측의 포장용기에 형성된 플랜지의 상방을 향해 수평상으로 진퇴작동을 하도록 실린더의 피스톤로드에 용기낙하구를 장착하되, 상기 용기낙하구의 선단은 상,하로 적층된 복수의 플랜지들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공간 사이로 진입할 수 있도록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은 최하측 포장용기 바로 위에 적층되어 있는 상측의 포장용 플랜지를 상향으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상기 선단에서 상향으로 돌출하도록 경사진 경사면의 상단에서 수평하게 돌출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저면은 최하측 포장용기의 플랜지를 수평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수평한 수평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두부포장용기 이송장치는,
    양측 체인콘베이어에 양단이 각각 하나씩의 볼트나 리벳으로 고정 부착되는 한쌍의 용기이송구로 구성되어 있되, 상기 한쌍의 용기이송구는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분할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한쌍의 용기이송구 각각의 양단은 양측 체인콘베이어 각각에 부착되어 있는 어태치먼트에 고정 부착되어 있고 상기한 양단 사이에는 포장용기의 양측 몸체를 감싸주는 지지홈과 양측 플랜지를 지지하는 지지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포장자동화 시스템의 포장용기 공급 및 이송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용기이송구는 서로 대칭을 이루는 ㄷ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포장자동화 시스템의 포장용기 공급 및 이송장치.
KR1020120150729A 2012-12-21 2012-12-21 두부 포장자동화 시스템의 두부포장용기 공급 및 이송장치 KR101379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0729A KR101379244B1 (ko) 2012-12-21 2012-12-21 두부 포장자동화 시스템의 두부포장용기 공급 및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0729A KR101379244B1 (ko) 2012-12-21 2012-12-21 두부 포장자동화 시스템의 두부포장용기 공급 및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9244B1 true KR101379244B1 (ko) 2014-03-31

Family

ID=50649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0729A KR101379244B1 (ko) 2012-12-21 2012-12-21 두부 포장자동화 시스템의 두부포장용기 공급 및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924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9671B1 (ko) * 2016-12-19 2017-01-24 송영미 두부 살균장치
KR20210152899A (ko) * 2020-06-09 2021-12-16 정재영 농산물 자동 포장 기계
KR20220124902A (ko) 2021-03-04 2022-09-14 박상현 포장용기 자동공급장치
KR20230117028A (ko) * 2022-01-29 2023-08-07 서신식품 주식회사 어태치먼트 멤버가 구비된 두부 제조장치용 컨베이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9983A (ko) * 1999-08-31 2001-03-15 권세영 두부 자동 포장기
JP2007137459A (ja) 2005-11-17 2007-06-07 Daisey Machinery Co Ltd パック供給方法及び装置
KR20080007750A (ko) * 2006-07-18 2008-01-23 김건우 두부포장용 용기 투입장치
KR200445084Y1 (ko) 2008-01-15 2009-06-26 김기흔 건면정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9983A (ko) * 1999-08-31 2001-03-15 권세영 두부 자동 포장기
JP2007137459A (ja) 2005-11-17 2007-06-07 Daisey Machinery Co Ltd パック供給方法及び装置
KR20080007750A (ko) * 2006-07-18 2008-01-23 김건우 두부포장용 용기 투입장치
KR200445084Y1 (ko) 2008-01-15 2009-06-26 김기흔 건면정렬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9671B1 (ko) * 2016-12-19 2017-01-24 송영미 두부 살균장치
KR20210152899A (ko) * 2020-06-09 2021-12-16 정재영 농산물 자동 포장 기계
KR102393959B1 (ko) * 2020-06-09 2022-05-02 정재영 농산물 자동 포장 기계
KR20220124902A (ko) 2021-03-04 2022-09-14 박상현 포장용기 자동공급장치
KR20230117028A (ko) * 2022-01-29 2023-08-07 서신식품 주식회사 어태치먼트 멤버가 구비된 두부 제조장치용 컨베이어
KR102623486B1 (ko) 2022-01-29 2024-01-10 서신식품 주식회사 어태치먼트 멤버가 구비된 두부 제조장치용 컨베이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9244B1 (ko) 두부 포장자동화 시스템의 두부포장용기 공급 및 이송장치
US20130283731A1 (en) Packaging device
US7565781B2 (en) Conveyor for feeding small objects to a blister-film loader
US20220097884A1 (en) Feeding Method and Apparatus
CZ296795B6 (cs) Plnicí zarízení pro plnení sácku a zpusob otevírání, plnení, uzavírání a chlazení sácku
JP2011251722A (ja) 物品の箱詰め装置及び方法
JP5008102B2 (ja) 豆腐のパック詰め装置
CN101801793A (zh) 用于填装具有交叉分隔层的箱子的装置
ES2499465T3 (es) Método y línea para transportar recipientes, en concreto botellas
CN112707174A (zh) 一种物流搬运用的设备
US11753207B2 (en) Combination for transporting spacers for cigarette packs
KR101511242B1 (ko) 대차에 부품을 자동적재 하는 시스템
KR200344111Y1 (ko) 구이김 가공 자동화 시스템
CN203612591U (zh) 一种口服液瓶的输送装置
US8863936B2 (en) Apparatus for transporting packagings that are not freely stackable, in particular stickpacks, to a transport container
JP6517545B2 (ja) 袋供給装置及び袋供給システム
ES2778600T3 (es) Sistemas y métodos de transportador mecánico y envasado de alimentos
CN110902053A (zh) 一种显示面板自动包装设备
US6928789B2 (en) Assembly for collecting together different goods
CN207242727U (zh) 全自动缓冲上料机
JP6028323B2 (ja) 重量充填装置
KR101595655B1 (ko) 식품용기 포장 장치
WO2013018047A2 (en) Plant for rapid strapping of bottles or other similar containers
KR20050088647A (ko) 조미김 포장장치
KR101606086B1 (ko) 두부의 패킹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