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9671B1 - 두부 살균장치 - Google Patents

두부 살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9671B1
KR101699671B1 KR1020160173780A KR20160173780A KR101699671B1 KR 101699671 B1 KR101699671 B1 KR 101699671B1 KR 1020160173780 A KR1020160173780 A KR 1020160173780A KR 20160173780 A KR20160173780 A KR 20160173780A KR 101699671 B1 KR101699671 B1 KR 101699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cooling water
cooling
steriliz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3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영미
Original Assignee
송영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영미 filed Critical 송영미
Priority to KR1020160173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96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9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9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02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heating materials in packages which are progressively transported, continuously or stepwise, through the apparatus
    • A23L3/022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heating materials in packages which are progressively transported, continuously or stepwise, through the apparatus with packages moving on the spot while being transport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5Mashed or comminuted pulses or legumes; Products made therefrom
    • A23L11/07Soya beans, e.g. oil-extracted soya bean flak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001Details of apparatus, e.g. for transport, for loading or unloading manipulation, pressure feed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6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A23L3/361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the materials being transported through or in the apparatus, with or without shaping, e.g. in form of powder, granules, or flak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부 살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송용기에 다수의 포장두부를 담은 상태에서 살균과 냉각을 하기 때문에 살균 공정이 완료된 포장두부를 재분류하지 않고 곧바로 차량 등에 실을 수 있기 때문에 살균에서부터 유통 사이의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으며, 체인에 연결된 이송바를 통해 이송용기를 이송시키고 각 수조 사이의 경계를 승강하면서 넘어가기 때문에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스프라켓과 체인에 걸리는 하중 내지 부하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두부 살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두부 살균장치{Tofu sterilization device}
본 발명은 두부 살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송용기에 다수의 포장두부를 담은 상태에서 살균과 냉각을 하기 때문에 살균 공정이 완료된 포장두부를 재분류하지 않고 곧바로 차량 등에 실을 수 있기 때문에 살균에서부터 유통 사이의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으며, 체인에 연결된 이송바를 통해 이송용기를 이송시키고 각 수조 사이의 경계를 승강하면서 넘어가기 때문에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스프라켓과 체인에 걸리는 하중 내지 부하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두부 살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두부의 제조과정은 물에 불린콩을 맷돌로 갈아서 가마솥에 끓인 다음 보자기를 이용하여 비지를 걸러낸 후 적당량의 간수(응고제)로서 순두부를 응고시키고 이를 목판 등의 형틀에서 압착하는 방법으로 두부를 제조하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이 제조된 두부는 포장이 안된 상태이기 때문에 온도에 민감하게 작용하여 기온이 높은 여름철 등에는 쉽게 부패하는 반면에 겨울철에는 얼게 되는 등의 단점이 있을 뿐 아니라 먼지 등의 오물이나 운반용기에 부착되어 있는 오물이 묻게 되는 등 취급이 비위생적이었다.
그리고 두부를 비닐포장지 등으로 포장한 포장두부가 등장하고 있지만 비닐포장지로 두부를 포장할 때 어느 정도의 물이 들어가게 되는데, 비닐포장지에 들어간 물에는 물 자체에 있는 대장균 등이 살균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포장된 두부의 유통기간이 짧아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79572호에서는 기대의 상부에 수평상으로 설치되는 열탕살균실 및 저온냉각실과; 상기 열탕살균실과 저온냉각실을 합한 길이를 가지며 기대의 하부에 설치되는 급속 냉각실과; 상기 기대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열탕살균실을 벗어나 높은 위치에 있는 구동축에 축설된 구동체인기어와; 상기 열탕살균실과 저온냉각실 사이의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중간축에 축설된 중간체인기어와; 상기 기대의 타측에 설치되며 저온냉각실을 벗어난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연동축에 축설된 리턴체인기어와; 상기 기대의 일측 중간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급속냉각실을 벗어나 높은 위치에 있는 종동축에 축설된 종동체인기어와; 상기 구동체인기어, 중간체인기어, 리턴체인기어, 종동체인기어에 무한궤도상으로 연설되어 상기 열탕살균실과 저온냉각실 및 급속냉각실의 각 수중을 차례로 통과하는 순환체인과; 및 상기 순환체인에 부착되는 어태치먼트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설치되며, 다수의 포장두부를 수납한 채 상기 열탕살균실, 저온냉각실 및 급속냉각실의 각 수중을 차례로 순환하면서 포장두부를 열탕살균실, 저온냉각, 급속냉각시키는 수납이송구;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두부의 열탕살균 및 냉각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다만, 상기 등록실용신안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두부를 수납이송구(8)가 밀집되게 순환체인(7)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순환체인(7)은 물론, 순환체인을 매달고 있는 구동체인기어(3), 중간체인기어(4) 및 리턴체인기어(5)에 과도한 하중이 걸리기 때문에 기계 고장의 원인이 되며, 순환 회전을 위한 전력도 과도하게 소모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리턴체인기어(5)를 통과할 때 수납이송구(8)에서 포장두부가 이탈되기도 하고, 종동축(6) 측에서 포장두부가 빠지지 않는 경우에는 수납대(22)에서 살균을 하지 않은 포장두부를 수납이송구(8)에 넣지 못하기 때문에 연속적인 작업이 중단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 또한, 살균 및 냉각을 마친 개별적인 포장두부를 다시 유통용 박스에 담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종류가 다른 포장두부를 동시에 살균하는 경우에는 이들을 재분류해야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79572호(2000.05.01.공고)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박스 형태의 이송용기에 다수의 포장두부를 담은 상태에서 살균과 냉각을 하기 때문에 살균 공정이 완료된 포장두부를 재분류하지 않고 곧바로 차량 등에 실을 수 있기 때문에 살균에서부터 유통 사이의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는 두부 살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체인에 연결된 이송바를 통해 이송용기를 이송시키고 각 수조 사이의 경계를 승강하면서 넘어가기 때문에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스프라켓과 체인에 걸리는 하중 내지 부하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두부 살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두부 살균장치는 다수의 포장두부를 수용하는 이송용기와; 가열된 살균수가 수용되는 살균수조와, 상기 살균수를 가열하는 가열수단을 포함하는 살균부와; 상기 살균부의 일측에 병설되고 제1냉각수가 수용되는 제1냉각수조를 포함하는 제1냉각부와; 상기 살균수조 및 제1냉각수조의 직하방에 배치되며 상기 제1냉각수 보다 차가운 제2냉각수가 수용되는 제2냉각수조와, 상기 제2냉각수를 냉각시키는 냉각수단을 포함하는 제2냉각부와; 상기 이송용기를 상기 살균수조, 제1냉각수조 및 제2냉각수조에 순차적으로 침수되도록 이송하는 이송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제2냉각수조는 상기 제1냉각수조의 외측 단부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노출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1냉각부를 통과한 이송용기는 상기 노출부로 자유낙하하여 침수된 다음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두부 살균장치의 이송수단은 상기 살균수조, 제1냉각수조 및 제2냉각수조에 각각 폭방향으로 마주보도록 쌍을 이루며 설치되는 다수의 스프라켓과, 상기 스프라켓에 길이방향으로 체결되는 한 쌍의 체인과, 폭방향으로 마주보는 상기 한 쌍의 체인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의 이송바를 포함하며, 전후로 이웃하는 이송바 사이에 이송용기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두부 살균장치의 살균수조의 일측에는 외부에서 이송용기를 공급하도록 이송용기 공급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2냉각수조 일측에는 상기 제2냉각수조로부터 배출되는 이송용기를 외부로 이송하는 이송용기 배출부;가 설치되고, 상기 이송용기 공급부와 살균수조 사이의 제1경계, 상기 살균수조와 제1냉각수조 사이의 제2경계, 상기 제1냉각수조와 노출부 사이의 제3경계, 상기 제2냉각수조와 이송용기 배출부 사이의 제4경계에는 상기 이송용기가 각 경계 영역을 타고 넘을 수 있도록 상향경사판 및 하향경사판이 순차적으로 이웃하여 설치되며, 상기 이송용기는 각 수조의 바닥을 따라 수평하게 이동하거나 또는 상기 상향경사판을 따라 상승할 때에는 상기 이송용기의 후방에 배치된 이송바에 밀려 이동하고, 상기 하향경사판을 따라 하강할 때에는 전방에 배치된 이송바의 지지를 받으며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두부 살균장치의 스프라켓은 상기 제1경계 내지 제4경계의 상측에 설치되는 경계부 스프라켓과, 이웃하는 경계부 스프라켓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살균수조, 제1냉각수조 및 제2냉각수조마다 서로 수평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수조부 스프라켓과, 상기 제1냉각수조 외측 단부에 설치되는 하향경사판과 이격하여 설치되며 상기 제2냉각수 수면보다 상부에 배치되는 제1 노출부 스프라켓과, 상기 제1 노출부 스프라켓의 일측 상부에 배치되는 제2 노출부 스프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용기가 상기 제1냉각수조 외측 단부에 설치되는 하향경사판을 벗어나 낙하하면, 상기 낙하한 이송용기의 전방에 배치된 이송바는 상기 제1 노출부 스프라켓 쪽으로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두부 살균장치의 살균수조의 적어도 일부 구간에는 덮개가 형성되며, 상기 덮개에는 상기 가열수단인 스팀공급관 또는 히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두부 살균장치에 따르면, 박스 형태의 이송용기에 다수의 포장두부를 담은 상태에서 살균과 냉각을 하기 때문에 살균 공정이 완료된 포장두부를 재분류하지 않고 곧바로 차량 등에 실을 수 있기 때문에 살균에서부터 유통 사이의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두부 살균장치에 따르면, 체인에 연결된 이송바를 통해 이송용기를 이송시키고 각 수조 사이의 경계를 승강하면서 넘어가기 때문에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스프라켓과 체인에 걸리는 하중 내지 부하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두부 살균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송용기가 수조에서 이송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이송용기가 제1냉각수조에서 제2냉각수조로 낙하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두부 살균장치를 도시하는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이송용기가 제1냉각부에서 제2냉각부로 이동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사진이다.
도 6은 종래 두부 살균 및 냉각장치를 도시하는 전체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설명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두부 살균장치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이송용기가 수조에서 이송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이송용기가 제1냉각수조에서 제2냉각수조로 낙하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두부 살균장치를 도시하는 사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이송용기가 제1냉각부에서 제2냉각부로 이동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사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두부 살균장치(100)는 크게 살균부(110)와, 제1냉각부(120)와, 제2냉각부(130)와, 이송수단과, 이송용기(180)와, 좌측 상부의 이송용기 공급부(160)와, 좌측 하부의 이송용기 배출부(170)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송용기 공급부(160)와, 살균부(110)와, 제1냉각부(120)는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냉각부(130)와, 이송용기 배출부(170)는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이송용기 공급부(160)는 이송용기(180)를 살균부(110)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이송용기(180)를 살균부(110) 일측까지 이송시키는 콘베이어벨트(161)와, 살균부(110) 일측으로 이송된 이송용기(180)를 후술할 상향경사판(145)으로 밀어주는 푸싱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푸싱수단은 실린더(163)와, 실린더(163)에 결합된 바 형상의 푸싱부재(165)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푸싱부재(165)는 상기 실린더(163)의 작동에 따라 전, 후로 이동하면서 이송용기(180)를 밀어주게 된다.
상기 살균부(110)는 상기 가열된 살균수가 수용되는 살균수조(111)와, 상기 살균수를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상기 살균수조(111)를 덮는 덮개(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살균수는 대략 70~90℃의 온도로 가열된 물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가열수단은 스팀 공급관(115) 또는 전열 히터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가열수단이 스팀 공급관(115)인 경우 덮개(113)에 관통 형성되는 것을 예시할 수 있으며, 상기 덮개는 복수 개로 분할될 수 있다.
상기 제1냉각부(120)는 상기 살균부(110)의 일측에 나란히 병설되고 제1냉각수가 수용되는 제1냉각수조(121)를 포함한다.
상기 제1냉각수는 20~40℃의 온도의 물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제2냉각부(130)는 상기 살균수조(111) 및 제1냉각수조(121)의 직하방에 배치되며 상기 제1냉각수 보다 차가운 제2냉각수가 수용되는 제2냉각수조(131)와, 상기 제2냉각수를 냉각시키는 냉각수단(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냉각수조(131)는 좌측은 상기 살균수조(111)의 끝단과 일치하지만, 우측은 상기 제1냉각수조보다 길게 형성되며, 여기서 제1냉각수조에서 우측으로 돌출되는 영역이 노출부(133)가 된다.
상기 제2냉각수는 3~5℃의 온도로 냉각된 물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냉각수단은 냉동기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물 온도를 낮출 수 있는 기능을 하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이송용기 배출부(170)는 상기 제2냉각수조(131)로부터 배출되는 이송용기(180)를 외부로 이송하는 컨베이어 벨트(171)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송용기 공급부(160)와 살균수조(111) 사이의 제1경계(141), 상기 살균수조와 제1냉각수조(121) 사이의 제2경계(142), 상기 제1냉각수조(121)와 노출부(133) 사이의 제3경계(143), 상기 제2냉각수조(131)와 이송용기 배출부(170) 사이의 제4경계(144)에는 상기 이송용기(180)가 각 경계 영역을 타고 넘을 수 있도록 상향경사판(145) 및 하향경사판(146)이 순차적으로 이웃하여 설치된다.
상기 이송용기(180)는 상부가 완전 개방된 직육면체 통 형상이며, 측면과 밑면에는 격자 구조 또는 다수의 홀이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물의 자유로운 유입, 유출이 가능하다.
하나의 이송용기(180)에는 다수의 포장두부를 수용할 수 있고, 이러한 이송용기는 수조, 예를 들어 살균조의 폭방향으로 복수 개가 나란히 배치된 상태로 이송된다.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이송용기(180)를 상기 살균수조(111), 제1냉각수조(121) 및 제2냉각수조(131)에 순차적으로 침수되도록 이송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살균수조(111), 제1냉각수조(121) 및 제2냉각수조(131)에 각각 폭방향으로 마주보도록 쌍을 이루며 설치되는 다수의 스프라켓(150)과, 상기 다수의 스프라켓(150)에 체결되는 한 쌍의 체인(152)과, 폭방향으로 마주보는 상기 한 쌍의 체인(152)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의 이송바(1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프라켓(150)은 상기 제1경계 내지 제4경계(141~144)의 상측에 설치되는 경계부 스프라켓(150a,150b,150c,150d)과, 이웃하는 경계부 스프라켓(150a,150b,150c,150d)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살균수조(111), 제1냉각수조(121) 및 제2냉각수조(131)마다 서로 수평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수조부 스프라켓(150e)과, 상기 제1냉각수조(121) 외측 단부에 설치되는 하향경사판(146)과 이격하여 설치되며 상기 제2냉각수 수면보다 상부에 배치되는 제1 노출부 스프라켓(150f)과, 상기 제1 노출부 스프라켓(150f)의 일측 상부에 배치되는 제2 노출부 스프라켓(150g)과, 이송용기 공급부(160)와 이송용기 배출부(170) 측에 각각 배치되는 가이드 스프라켓(150h,150i)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 스프라켓 중 어느 하나(150i)는 구동모터(미도시)와 연결되어 원동축 역할을 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와 이송용기 공급부의 실린더는 연속적으로 작동할 수도 있으나, 각 수조의 길이 등을 고려하여 살균 시간, 냉각 시간을 맞추기 위해 단속적으로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바(155)는 양단이 체인(152)에 체결되어 체인과 함께 순환 회전하면서 이송용기(180)를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이송용기(180)는 전후로 이웃하는 이송바 사이에 삽입된 상태로 이송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송용기(180)는 각 수조의 바닥을 따라 수평하게 이동하거나 또는 상기 상향경사판을 따라 상승할 때에는 상기 이송용기의 후방에 배치된 이송바에 밀려 이동하고, 상기 하향경사판을 따라 하강할 때에는 전방에 배치된 이송바의 지지를 받으며 이동하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이송용기(180)가 상향경사판(145)을 따라 상기 제1냉각수조(121)를 빠져나오면 하향경사판(146)을 타고 내려온 다음, 제2냉각수조(131)의 노출부(133)로 낙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하향경사판(146)의 외측 단부는 노출부(133) 상측에 배치되어야 한다. 낙하한 이송용기(180)는 노출부(133)에 배치된 한 쌍의 이송바(155) 사이에 들어간 다음 제2냉각수에 침수된 상태로 제2냉각수조(131) 바닥을 따라 이송된다.
한편, 이송용기(180)는 측면이 아래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진 구조, 상단에는 측면에서 돌출되는 테두리(181)가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이송용기는 하향경사판의 외측 단부에서 낙하하기 직전, 이송용기의 테이퍼진 전면 내지 테두리가 이송바에 걸린 상태로 내려오다가 낙하하기 때문에 앞으로 쏟아지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이송용기가 상기 제1냉각수조 외측 단부에 설치되는 하향경사판을 벗어나 낙하하면, 상기 낙하한 이송용기의 전방에 배치된 이송바는 상기 제1 노출부 스프라켓 쪽으로 상승하게 되고, 제2 노출부 스프라켓을 거쳐 회전한 다음, 제2냉각수조로 이동하게 된다.
정리하면, 본 발명에 따른 두부 살균장치는 이송용기들이 살균수조와, 제1냉각수조와, 제2냉각수조를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살균과, 냉각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송용기는 제1경계와, 제2경계에서 승강을 반복하고, 제3경계에서는 안전하게 낙하하게 된다.
종래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79572호에서도 순환체인을 이용하여 다수의 포장두부를 살균 및 냉각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다수의 수납이송구가 밀집되게 순환체인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순환체인과 기어들에 과도한 하중이 걸리기 때문에 기계 고장의 원인이 되며, 순환 회전을 위한 에너지 소비도 과도한 문제가 있다.
그리고 살균 내지 냉각 과정 중에 수납이송구에서 포장두부가 종종 이탈되거나, 냉각이 완료된 포장두부가 인출되지 않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공정이 중단되는 등의 문제가 있으며, 살균 및 냉각을 마친 개별적인 포장두부를 다시 유통용 박스에 담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종류가 다른 포장두부를 동시에 살균하는 경우에는 이들을 재분류해야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포장두부를 수용한 이송용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각 이송용기 마다 각기 다른 종류의 포장두부를 넣을 수 있고, 일반적으로 유통 과정에서 사용하는 용기를 이송용기로 사용할 수 있으며, 살균 전 이송용기에 포장두부를 담을 때 두부 종류별로 구분한 경우에는 살균과, 냉각을 마친 다음 별도의 재분류 과정 없이 곧바로 탑차 또는 트럭에 실어서 유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살균과 냉각을 위한 이송 과정에서 이송용기에서 포장두부가 쏟아지지 않기 때문에 연속공정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두부 살균장치
110 : 살균부 111 : 살균수조
113 : 덮개 115 : 스팀 공급관
120 : 제1냉각부 121 : 제1냉각수조
130 : 제2냉각부 131 : 제2냉각수조
133 : 노출부 141~144 : 제1~4경계
145 : 상향경사판 146 : 하향경사판
150 : 스프라켓 152 : 체인
155 : 이송바 160 : 이송용기 공급부
161 : 콘베이어벨트 163 : 실린더
165 : 푸싱부재 170 : 이송용기 배출부
171 : 컨베이어 벨트 180 : 이송용기
181 : 테두리

Claims (5)

  1. 다수의 포장두부를 수용하는 이송용기와; 가열된 살균수가 수용되는 살균수조와, 상기 살균수를 가열하는 가열수단을 포함하는 살균부와; 상기 살균부의 일측에 병설되고 제1냉각수가 수용되는 제1냉각수조를 포함하는 제1냉각부와; 상기 살균수조 및 제1냉각수조의 직하방에 배치되며 상기 제1냉각수 보다 차가운 제2냉각수가 수용되는 제2냉각수조와, 상기 제2냉각수를 냉각시키는 냉각수단을 포함하는 제2냉각부와; 상기 이송용기를 상기 살균수조, 제1냉각수조 및 제2냉각수조에 순차적으로 침수되도록 이송하는 이송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냉각수조는 상기 제1냉각수조의 외측 단부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노출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1냉각부를 통과한 이송용기는 상기 노출부로 자유낙하하여 침수된 다음 이송되되,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살균수조, 제1냉각수조 및 제2냉각수조에 각각 폭방향으로 마주보도록 쌍을 이루며 설치되는 다수의 스프라켓과, 상기 스프라켓에 길이방향으로 체결되는 한 쌍의 체인과, 폭방향으로 마주보는 상기 한 쌍의 체인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의 이송바를 포함하며, 전후로 이웃하는 이송바 사이에 이송용기가 삽입되고,
    상기 살균수조의 일측에는 외부에서 이송용기를 공급하도록 이송용기 공급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2냉각수조 일측에는 상기 제2냉각수조로부터 배출되는 이송용기를 외부로 이송하는 이송용기 배출부;가 설치되고,
    상기 이송용기 공급부와 살균수조 사이의 제1경계, 상기 살균수조와 제1냉각수조 사이의 제2경계, 상기 제1냉각수조와 노출부 사이의 제3경계, 상기 제2냉각수조와 이송용기 배출부 사이의 제4경계에는 상기 이송용기가 각 경계 영역을 타고 넘을 수 있도록 상향경사판 및 하향경사판이 순차적으로 이웃하여 설치되며,
    상기 이송용기는 각 수조의 바닥을 따라 수평하게 이동하거나 또는 상기 상향경사판을 따라 상승할 때에는 상기 이송용기의 후방에 배치된 이송바에 밀려 이동하고, 상기 하향경사판을 따라 하강할 때에는 전방에 배치된 이송바의 지지를 받으며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살균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라켓은 상기 제1경계 내지 제4경계의 상측에 설치되는 경계부 스프라켓과, 이웃하는 경계부 스프라켓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살균수조, 제1냉각수조 및 제2냉각수조마다 서로 수평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수조부 스프라켓과, 상기 제1냉각수조 외측 단부에 설치되는 하향경사판과 이격하여 설치되며 상기 제2냉각수 수면보다 상부에 배치되는 제1 노출부 스프라켓과, 상기 제1 노출부 스프라켓의 일측 상부에 배치되는 제2 노출부 스프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용기가 상기 제1냉각수조 외측 단부에 설치되는 하향경사판을 벗어나 낙하하면, 상기 낙하한 이송용기의 전방에 배치된 이송바는 상기 제1 노출부 스프라켓 쪽으로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살균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수조의 적어도 일부 구간에는 덮개가 형성되며,
    상기 덮개에는 상기 가열수단인 스팀공급관 또는 히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살균장치.
KR1020160173780A 2016-12-19 2016-12-19 두부 살균장치 KR101699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3780A KR101699671B1 (ko) 2016-12-19 2016-12-19 두부 살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3780A KR101699671B1 (ko) 2016-12-19 2016-12-19 두부 살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9671B1 true KR101699671B1 (ko) 2017-01-24

Family

ID=57992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3780A KR101699671B1 (ko) 2016-12-19 2016-12-19 두부 살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96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0429B1 (ko) * 2019-02-11 2019-11-04 이용두 살균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0792A (ja) * 1989-07-06 1991-02-21 Yaskawa Electric Mfg Co Ltd 直流電動機制御装置
KR200179572Y1 (ko) 1997-12-31 2000-05-01 정숭기 포장두부의 열탕살균 및 냉각장치
JP2001037437A (ja) * 1999-07-27 2001-02-13 Ohnit Kk オゾン水による包装豆腐の殺菌システム
KR101379244B1 (ko) * 2012-12-21 2014-03-31 주식회사 제일종합기계 두부 포장자동화 시스템의 두부포장용기 공급 및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0792A (ja) * 1989-07-06 1991-02-21 Yaskawa Electric Mfg Co Ltd 直流電動機制御装置
KR200179572Y1 (ko) 1997-12-31 2000-05-01 정숭기 포장두부의 열탕살균 및 냉각장치
JP2001037437A (ja) * 1999-07-27 2001-02-13 Ohnit Kk オゾン水による包装豆腐の殺菌システム
KR101379244B1 (ko) * 2012-12-21 2014-03-31 주식회사 제일종합기계 두부 포장자동화 시스템의 두부포장용기 공급 및 이송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0429B1 (ko) * 2019-02-11 2019-11-04 이용두 살균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85240A (ko) 두부 살균장치
KR101940474B1 (ko) 파우치에 포장된 소스 냉각 장치
JPS6012018B2 (ja) 連続熱水加熱殺菌法及びその装置
KR101699671B1 (ko) 두부 살균장치
KR102431057B1 (ko) 두부살균 및 두부물 살균기능을 갖는 두부 포장기계
JP2011030449A (ja) 食品処理装置および方法
CN211140654U (zh) 一种牛奶加工过程的传输装置
JP2004173518A (ja) 連続無菌炊飯方法および装置
KR200179572Y1 (ko) 포장두부의 열탕살균 및 냉각장치
JP5223323B2 (ja) 種子温湯消毒装置
JP5663958B2 (ja) 施設
US3886253A (en) Process for heat treating plastic bottles
JP5163426B2 (ja) 温湯加温・冷却設備
CN206278614U (zh) 一种连续自动上料装置
KR101956641B1 (ko) 생선 가공 장치
US6511697B1 (en) Method of using germinated brown rice
JPH0538638Y2 (ko)
JP2011244763A5 (ko)
CN220998328U (zh) 食品物料包装成品的巴氏灭菌生产线
KR102040429B1 (ko) 살균장치
JP5156872B2 (ja) 種籾温湯消毒冷却装置
JP5182403B2 (ja) 種子消毒設備
JP4957344B2 (ja) 種子消毒装置
JP3040792U (ja) 豆腐の殺菌装置
JP5182404B2 (ja) 種子消毒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