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7842B1 - 재래김 절단투입기 - Google Patents

재래김 절단투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7842B1
KR100737842B1 KR1020050041454A KR20050041454A KR100737842B1 KR 100737842 B1 KR100737842 B1 KR 100737842B1 KR 1020050041454 A KR1020050041454 A KR 1020050041454A KR 20050041454 A KR20050041454 A KR 20050041454A KR 100737842 B1 KR100737842 B1 KR 100737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
line
cutting
laver
guid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1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8980A (ko
Inventor
강신탁
Original Assignee
강신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신탁 filed Critical 강신탁
Priority to KR1020050041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7842B1/ko
Publication of KR20060118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8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7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78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65B35/24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endless belts or chains
    • B65B35/243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endless belts or chains using cooperating conveyors engaging the articles simultaneous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1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26D7/0625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by endless conveyors, e.g.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01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of foodstuffs, combined with their conse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56Orientating, i.e. changing the attitude of, articles, e.g. of non-uniform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10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 B65B5/12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e.g. confectionery products, of different shape or size in predetermined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02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food products, e.g. food slic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03Packaging lines, e.g. general layo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래김 절단투입기에 관련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얇고 밀도가 불균일하여 구웠을 때 매우 우굴쭈굴해짐과 동시에 크게 부풀려지게 되는 재래김(업계에서는 '펑김'이라고 통용됨. 따라서 이하 업계의 호칭대로 '펑김'이라 함)을 소정의 크기와 수량으로 절단 및 포장함에 있어서 자동으로 신속 정확하게 절단 및 포장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구성의 특징으로는 펑김을 가로방향으로 다수쪽 절단하는 1차 절단장치부와, 상기 1차 절단된 펑김을 다시 다수쪽으로 세로절단하는 2차 절단장치부로 공급시키기 위해 이송방향을 90°로 전환시켜주는 방향전환부 및, 방향전환후 이송되는 가로 절단된 펑김을 다시 먹기 좋은 크기로 세로절단하는 2차 절단장치부, 그리고 먹기 좋은 크기로 절단된 펑김을 포장 케이스에 자동 공급시키는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로 포장케이스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연속 이송시키면서 포장 케이스에 김이 공급된 후에 이를 포장라인으로 자동 이송시키는 이송장치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송장치부를 제외하고는 모든 구성이 제1라인과 제2라인으로 구분된 복열(포장할 펑김의 수량에 따라 2열 ~ 다수열로 구성할 수도 있음)로 구성되며, 포장수량을 감안하여 각 라인에 펑김을 공급시킬때는 적은 수량으로 나누어 공급시킨 뒤, 이송 절단후 포장케이스에 투입시킬때는 각 라인을 통하여 절단된 펑김을 순차적으로 받아 포장케이스에 채움으로서 펑김을 적은 수량으로 공급, 이송, 절단 및 포장케이스에 투입하도록 한 것이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얇고 조직밀도가 불균일하여 얼키설키하게 형성됨으로서 구웠을 때 부피가 크게 부풀려진 펑김을 이송 절단 및 포장케이스에 투입 포장할 때 포장될 수량을 각 라인에 적은 수량으로 공급시킨 뒤 케이스내에 공급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종래 수작업으로 포장하던 펑김을 자동으로 공급시킬 수 있게 함으로서 매우 위생적이고, 인력절감으로 인한 원가절감과 생산성향상을 도모하는 등의 특징이 따르게 된다.
김 절단장치, 부푼 김, 포장장치, 김 공급장치, 해태 절단기.

Description

재래김 절단투입기{cutting and feeding machine of dride laver}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도 4의 A-A'선 단면도로서 작용상태를 나타낸 것임.
도 6은 본 발명의 작용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본 발명은 재래김 절단투입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얇고 밀도가 불균일하여 구웠을 때 매우 우굴쭈굴해짐과 동시에 크게 부풀려지게 되는 재래김(업계에서는 '펑김'이라 호칭되고 있음. 따라서 이하 업계의 호칭대로 '펑김'이라 함)을 소정의 크기와 수량으로 절단 및 포장함에 있어서 이를 자동으로 안정적이면서도 신속 정확하게 절단 및 포장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김은 산지, 제조상태 등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이 에 따른 명칭도 일반김을 비롯하여 돌김, 반돌김, 재래김 등 여러가지 이름으로 불리운다.
또, 산지에서 제조 및 건조 유통되는 김은 식생활문화의 개선과 변천으로 인하여 중간 가공공장에서 소금, 깨, 기름 등을 도포함과 동시에 구운뒤 먹기 좋은 크기로 절단하여 소정의 수량으로 케이스에 포장하거나, 또는 한 끼니에 먹을 분량을 감안하여 케이스에 포장 유통시킴으로서, 종래와 같이 소비자 들이 가공이 되지 않은 김을 직접 사서 먹을 때 마다 참기름 등을 칠하고 소금을 뿌린 뒤 불에 구워 먹기좋은 크기로 자르는 등의 일련의 작업이 불필요하게 끔 함으로서 소비자 들에게 시간절감과 편리함을 주고 있다.
한편, 근자에 와서는 먹기에 부드럽고 그 맛이 한결 더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는 김으로서 두께가 얇고 밀도가 불균일 함과 동시에 얼키설키한 조직으로 된 김을 구워 포장 유통시키는 추세인데, 위와 같은 김은 열을 가하여 굽는 과정에서 부풀게 되어 표면이 불규칙하고 우굴쭈굴한 모양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업계에서는 펑김이라 호칭되기도 한다. 이는 일반 김에 비하여 한결 더 부드럽고 맛 또한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김의 밀도가 조밀하고 균일하게 형성된 일반 김의 경우는 굽더라도 크게 우굴쭈굴해지거나 부풀게 되는 경우가 거의 없기 때문에 포장케이스에 담을 포장할 수량과 동일한 수량을 1회에 적층 이송시켜 절단하더라도 전혀 문제가 없고, 또 절단된 김을 포장케이스에 담아 주는 일련의 공정 또한 자동으로 이루어지기 쉽기 때문에 여러가지 종류의 절단및 공급장치들이 개발되어 보급된 실정에 있 으나 펑김의 경우는 표면이 심하게 부풀고 불균일하여 포장할 수량과 동일한 수량을 1회에 적층 이송시키려 할 경우 이송과정에서 쓰러지거나 흐트러지게 되고 이송은 물론, 절단, 투입포장에 이르기 까지 자동화가 어려움은 물론, 설사 자동화시킨다 하더라도 1회에 포장수량을 감안한 수량을 적층 이송시키면서 절단 및 포장하려 하면 불량발생이 심하게 발생되어 신뢰성에 중대한 문제점이 야기되기 때문에 현재까지 많은 인력이 투입되어 절단된 김을 일일히 세어 수작업으로 포장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펑김을 절단시켜 포장케이스에 투입하는 작업과정에서 많은 인력이 투입됨에 따라 포장에 따른 원가 상승이 야기되어 경쟁력이 크게 떨어지는 결함이 따르게 되고, 또, 포장과정에서 김이 쉽게 부서지는 경향이 발생되어 상품성이 크게 떨어지게 되며, 많은 인력이 투입된 수작업 포장이기에 매우 비위생적인 등 많은 문제점이 따르게 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특히, 얇고 밀도가 불균일하여 구웠을 때 불규칙하게 부풀은 펑김을 적은 수량으로 적층시켜 매우 안정적으로 자동이송, 절단, 포장케이스에 투입하는 일련의 공정을 자동화시킬 수 있게 하되, 이송라인을 2열 이상으로 구비하여 포장수량을 감안하여 각 열마다 펑김을 적은 수량으로 나누어 적층 이송함으로서 안정된 이송, 안정된 절단 및 포장케이스에 단계적 투입을 유도하고, 이에 따라 펑김 포장에 따른 공정자동화를 이룰 수 있게 하려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펑김을 자동으로 이송, 절단, 포장케이스에 투입시키는 등의 공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함으로서 펑김 포장에 따른 공정자동화를 유도할 수 있게 하는 재래김 절단투입기로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포장 케이스(P)에 1회 포장할 수량의 펑김(R)을 적층 이송시키는 이송체인이 다수열(김의 절단 이송시킬 쪽수대로 설치 구성함)로 구비된 이송라인상에, 상하 다수쌍으로 구비되어 김을 여러쪽(통상 2쪽에서 4쪽임)으로 길게 절단하는 원판형컷터(12)(12')가 장착된 1차 절단장치부(1)와, 상기 1차 절단장치부(1)를 거쳐 절단 이송된 김의 이송방향을 전환시켜 2차 절단장치부(1')로 방향전환시켜주며 공급시킬 수 있도록 에어실린더(21)에 의해 전후진 하는 다수개의 제1 받침수대(2), 1차 절단장치부(1)를 통하여 길게 절단된 김을 먹기 좋은 크기가 되도록 다시 다수쪽으로 절단하는 것으로 이 또한 상기 1차 절단장치부(1)와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1차 절단장치부(1)와는 제1 받침수대(2)를 매개로 'ㄱ'자 형태로 연결 구성된 2차 절단장치부(1'), 그리고 2차 절단장치부(1') 끝에 설치되어 먹기 좋은 크기로 절단된 펑김(R)을 이송콘베이어(10)를 통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이송되는 포장케이스(P)에 자동 공급시킬수 있도록 다수의 에어실린더(21')에 의해 전후진 하는 다수의 제2 받침수대(2')로 이루어지되, 제반 구성이 펑김(R)의 포장수량을 감안하여 적은 수량으로 나누어서 공급이송시킨 뒤 포장케이스(P)에서 취합시킬 수 있도록 제1라인(1A)과 제2라인(1B)으로 구분된 복열(또는 3열~다수열)로 구성하고, 각 라인을 통하여 이송되는 펑김(R')을 포장할 때는 이송되는 포장케이스(P)에 먼저 제1라인(1A)에서 절단된 펑김(P')이 투입되고, 이어서 제2라인(1B)에서 절단된 펑김(P')이 투입 포장되게 함으로서, 펑김(P)을 이송, 절단시켜 포장케이스(P)에 투입시키는 전 공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한 1차 절단장치부(1) 및 2차 절단장치부(1'), 그리고 제1받침수대(2)와 제2받침수대(2') 등이 단열로 된 구성은 펑김(R)과는 달리 굽더라도 부풀지 않는 일반 김을 적층 이송 및 포장케이스에 절단 공급시키는 공지된 구성이며, 이 경우에는 포장케이스(P)에 1회에 투입할 수량과 동일한 수량으로 적층 이송시켜 절단후 포장케이스(P)에 투입시키면 되지만, 이러한 단열구성으로는 펑김(R)을 이송, 절단, 투입 포장시키는 등의 자동화공정이 전혀 이루어질 수 없게 된다.
즉, 펑김(R)의 경우에는 김의 특성상 일반김과는 달리 표면이 불규칙하게 우굴쭈굴하며 부푼상태이므로 몇장만 쌓더라도 적층 높이가 일반김의 몇배에 해당되고, 또, 적층상태도 상당히 불안전하기 때문에 많은 수량을 쌓아 이송, 절단, 포장케이스(P)에 투입시키는 것은 곤란하기 때문이다.
한편, 복렬구성된 상기 2차 절단장치부(1')의 소정위치<제1 받침수대와 원판형컷터(12)(12') 사이의 위치>에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적층 이송되는 1차 절단된 펑김을 가지런하게 정렬시킬 수 있는 정렬장치(5)를 더 설치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정렬장치(5)의 구성은 라인별로 각각 횡바(51)(51')를 이격되게 설치하여 체인휠(56) 및 체인(57)으로 연동시킬 수 있게 하고, 횡바(51)(51') 각각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정렬편(52)을 고정 설치함과 동시에 양단에 각각 진동에어실린더(53) 및 전후진에어실린더(53a)와 인장스프링(54)의 유기적인 작용에 의해 전후로 요동하거나 개방될 수 있도록 밀편(55)을 설치하여, 전후진에어실린더(53a)가 작동하려는 순간<즉 로드(53')가 전진하려는 순간> 진동에어실린더(53)도 작동하면서 순간적으로 수회에 걸쳐 로드를 전후요동시키게 됨으로서 정렬편(52)이 이송 중인 흐트러진 펑김(R)의 이송을 순간적으로 제어함에 따라 정렬시켜주게 되고, 이어서 전후진에어실린더(53a)의 로드(53')가 더 전진하게 됨으로서 정렬편(52)을 이송방향으로 들어주게 됨에 따라 정렬된 펑김(R)이 전진하게 된다. 특히, 위와 같은 전후진에어실린더(53a)의 작용과 진동에어실린더(53)의 작용은 거의 동시에 순식간에 작용하게 됨으로서 펑김(R)의 정렬 및 이송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상기한 정렬장치(5)는 제1라인쪽(1A)과 제2라인(1B)쪽이 시간차가 유지되도록 설치구성하였으므로 포장케이스(P)에 절단된 펑김(R)을 투입시킬 때 라인별로 순차적인 투입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도 4 ~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는 이송콘베이어(10)위에 케이스공급장치(3)로 부터 한개씩 공급되는 포장케이스(P)가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면서 연속 이송되면서 제1라인(1A)을 통하여 절단 이송된 펑김이 먼저 이송중인 빈 포장케이스(P)에 투입되게 하는 제1안내레일(61)과, 상기 제1안내레일(61)을 통과한 포장케이스가 이송되면서 다시 제2라인(1B)의 절단된 펑김(R')을 받을 수 있도록 안내하는 제2안내레일(62)로 구분되며, 상기 제2안내레일은 다시 상부에 제2라인(1B)을 통해 공급되는 절단된 펑김(R')을 안내하는 안내레일(62a)과 제1안내레일(61)을 통과한 포장케이스(P)가 이송되는 케이스안내레일(62b)로 분리 구성하되, 상기 제1 및 제2 안내레일(61)(62)은 이송콘베이어(10)를 구성하는 체인(10a)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밀편(10a')이 관통되도록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밀편 안내공(63)이 형성됨으로서 밀편이 제2안내레일(62)의 상부에 위치한 펑김안내레일(62a)로 안착된 펑김(R')과 케이스안내레일(62b)을 통하여 이송되는 포장케 이스(P)를 동시에 이송시킴으로서 펑김안내레일(62a)이 끝나는 지점에서 자연적으로 펑김이 포장케이스(P)에 투입되게 됨으로서 투입이 완료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미설명 부호 3은 케이스 공급장치이고, 4는 포장장치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제반 구성이 복열(또는 3열이상)로 구성하여 제1라인(1A) 및 제2라인(1B)으로 구분하고, 펑김(R)을 공급시킬 때 그 수량을 적게 하여 각각 제1라인(1A) 및 제2라인(1B)으로 공급하여 상기 제1라인(1A) 및 제2라인(1B)을 통하여 먹기 좋은 소정의 크기로 형성된 펑김(R)을 포장케이스(P)에 공급시키되, 1차적으로 제1라인(1A)의 받침수대(2')에 안착된 펑김(R')을 먼저 투입시킨 뒤 시간 차를 두어 2차적으로 제2라인(1B)의 받침수대(2')에 안착된 펑김(R')을 투입시킴으로서 포장케이스(P)에 투입되는 펑김(R')이 상기 두라인을 통하여 안정적으로 공급될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얇으면서도 밀도가 불균일하여 구웠을때 김의 표면이 심하게 우굴쭈굴하고 부푼 펑김(R)을 이송, 절단, 포장케이스(P)에 투입하는 일련의 공정이 자동화되게 함으로서 매우 위생적이면서 인력절감과 생산성향상 등이 매우 뛰어난 특징이 따르게 되는 것이다.
즉, 펑김(R)은 일반김과는 달리 구운 후 적층시켰을 때 높이가 일반김의 몇배이상으로 매우 높고 표면이 불규칙하여 수량을 적게 적층시키더라도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안정성이 크게 떨어지게 되며, 따라서 많은 수량을 동시에 적층이송 및 절단시키기 곤란한 것이기에 본 발명에서는 복렬(또는 포장하고자 하는 펑김의 수량에 따라 3열이상 구성할 수도 있음)구성으로 되어 있어 포장케이스(P)에 투입될 펑김(R')의 수량을 감안하여 이를 제1라인(1A) 및 제2라인(1B)의 1차 절단장치부(1)로 1/2씩 나누어 각각 이송 공급시켜 먹기 좋은 크기로 절단함으로서 절단 이송 및 포장케이스(P)에 투입될 때까지 쓰러지거나 흐트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투입되게 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1차 절단장치부(1)와 2차 절단장치부(1')가 제1 받침수대(2)를 매개로 하여 구성됨으로서 펑김(R)절단 라인이 전체적으로 'ㄱ'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펑김(R)절단 라인의 선단에 적은 수량으로 적층된 상태에서 소정의 크기로 절단된 절단 펑김(R')을 포장케이스(P)에 투입시켜주는 제2받침수대(2')를 장착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전체적으로 복렬(또는 포장하고자 하는 김의 수량을 감안하여 3열 이상 형성할 수도 있음)구성하여 종래 한 라인으로 포장케이스(P)에 한번에 투입시키던 일반김과는 달리 두 라인(또는 세라인 이상)에 적은 수량으로 각각 나누어 이송 공급 및 절단시킨 뒤, 하나의 포장케이스(P)에 순차적으로 투입시킴으로서 매우 안정적으로 투입 포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펑김(R)은 앞에서도 설명하였던 것처럼 적은 수량으로 적층하더라도 그 높이가 일반김에 비해 몇배에 해당하는 높이가 되는 것이며, 이를 먹기 좋은 크기로 절단하게 되면 절단된 펑김(R')의 단위 면적은 더욱 작아지게 되어 상대적으로 쓰러지거나 흐트러질 염려가 더욱 더 커지는 것이기에 본 발명에서는 종래 장치를 복렬(또는 3열이상)로 구성하여 펑김(R)의 적층 이송 수량을 적은 수량으로 나누어 이송, 절단, 케이스 투입 등의 과정을 거치도록 함으로서 보다 안정적이며 불량발생이 없게 하였다는 것이다.
한편,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2차 절단장치부(1')의 소정위치에 진동에어실린더(53) 및 전후진에어실린더(53a)와 인장스프링(54)에 의해 정렬편(52)의 전후 요동 및 개방이 가능하고 또 일정한 간격으로 정렬편(52)을 다수 형성하여서 된 정렬장치(5)를 설치 구성함으로서 1차 절단된 펑김(R')이 2차 절단장치부(1')로 이송되어 오면서 흐트러진 상태로 절단컷터(12)(12')로 진입되지 못하도록 사전에 가지런히 정렬시켜주게 되며, 이에 따라 신뢰성을 크게 증대시켜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펑김(R)을 이송 절단 및 포장케이스(P)에 투입포장시키는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복열로 구성하여 공급되는 김의 수량을 적은 수량으로 각열로 나누어 공급 절단 시킨 뒤 포장케이스(P)에 투입시킬 수 있게 함으로서 펑김(R)의 포장시 자동화가 이루어져, 생산성 및 신뢰성이 극대화되고 원가절감효과가 극대화되는 등의 특징이 따르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일반김을 포장케이스에 1회 포장할 수량을 감안하여 다수장 적층 이송시키는 이송체인이 다수열로 구비된 이송라인 상에 상하 다수쌍으로 구비되며 이송되어오는 김을 1차적으로 다수쪽으로 길게 절단 이송시키는 원판형컷터(12)(12')가 장착된 1차 절단장치부(1)와,
    상기 1차 절단장치부(1)를 거쳐 길게 절단된 김을 2차 절단장치부(1')로 공급시킬 수 있도록 에어실린더(21)에 의해 전후진 하는 제1 받침수대(2),
    제1 받침수대(2)를 통하여 공급된 1차 절단된 김을 먹기 좋은 크기가 되도록 절단하는 것으로 이 또한 상기 1차 절단장치부(1)와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1차 절단장치부(1)와는 제1 받침수대(2)를 매개로 'ㄱ'자 형태로 연결 구성한 2차 절단장치부(1'),
    그리고 2차 절단장치부(1') 끝에 설치되어 먹기 좋은 크기로 절단된 재래김을 이송콘베이어(10)를 통하여 포장케이스에 자동 공급시킬수 있도록 에어실린더(21')에 의해 전후진 하는 다수의 제2 받침수대(2')로 이루어진 통상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1차 절단장치부(1) 및 2차 절단장치부(1'), 그리고 제1받침수대(2)와 제2받침수대(2')의 구성을 복열로 구성하여 제1라인(1A) 및 제2라인(1B)으로 구분하고, 펑김(R)을 공급시킬 때 제1라인(1A) 및 제2라인(1B)에 적은 수량으로 나누어 이송 절단 한뒤 제1라인(1A) 및 제2라인(1B)을 통하여 절단된 펑김(R')을 순차적으로 포장케이스(P)에 투입 포장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래김 절단투입기.
  2. 제1항에 있어서,
    복렬구성된 상기 2차 절단장치부(1')의 소정위에는 적층이송되는 1차 절단된 김을 가지런하게 정렬시킬 수 있는 정렬장치(5)를 더 설치 구성하되,
    상기 정렬장치(5)는 라인별로 각각 횡바(51) 또는 (51')를 설치하여 체인휠(56) 및 체인(57)으로 연동시킬 수 있게 하고, 횡바(51)(51') 각각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정렬편(52)을 고정 설치함과 동시에 양단에 각각 진동에어실린더(53)와 전후진 에어실린더(53a) 및 인장스프링(54)의 유기적인 작용에 의해 전후로 요동할 수 있도록 밀편(55)을 설치하여 전후로 요동하면서 이송되는 김을 정렬시켜주거나 개방되게 함은 물론 이송되는 김이 라인별로 시간차가 발생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래김 절단투입기.
  3. 제1항에 있어서,
    이송콘베이어(10)위에 케이스공급장치(3)로 부터 한개씩 공급되는 포장케이스(P)가 일정한 간격으로 연속 이송되면서 제1라인(1A)을 통하여 절단 이송된 펑김이 먼저 이송중인 빈 포장케이스(P)에 투입되게 하는 제1안내레일(61)과, 상기 제1안내레일(61)을 통과한 포장케이스(P)가 이송되면서 다시 제2라인(1B)의 절단된 펑 김(R')을 받을 수 있도록 안내하는 제2안내레일(62)로 구분하고,
    상기 제2안내레일은 다시 상부에 제2라인(1B)을 통해 공급되는 절단된 펑김(R')을 안내하는 안내레일(62a)과, 제1안내레일(61)을 통과한 포장케이스(P)가 이송되는 케이스안내레일(62b)로 분리 구성하되, 상기 제1 및 제2 안내레일(61)(62)은 이송콘베이어(10)를 구성하는 체인(10a)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밀편(10a')이 관통되도록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밀편 안내공(63)을 형성하여 밀편(10a')이 제2안내레일(62)의 상부에 위치한 펑김안내레일(62a)로 안착된 펑김(R')과 케이스안내레일(62b)을 통하여 이송되는 포장케이스(P)를 동시에 이송시킴으로서 펑김안내레일(62a)이 끝나는 지점에서 자연적으로 펑김(R')이 포장케이스(P)에 투입 완료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래김 절단투입기기.
KR1020050041454A 2005-05-18 2005-05-18 재래김 절단투입기 KR1007378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1454A KR100737842B1 (ko) 2005-05-18 2005-05-18 재래김 절단투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1454A KR100737842B1 (ko) 2005-05-18 2005-05-18 재래김 절단투입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4025U Division KR200402013Y1 (ko) 2005-05-18 2005-05-18 재래김 절단투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8980A KR20060118980A (ko) 2006-11-24
KR100737842B1 true KR100737842B1 (ko) 2007-07-12

Family

ID=37705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1454A KR100737842B1 (ko) 2005-05-18 2005-05-18 재래김 절단투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784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307B1 (ko) 2007-07-12 2009-09-18 강신탁 김절단 장치
KR101009754B1 (ko) 2010-04-07 2011-01-19 김기문 김 계수장치
KR101148180B1 (ko) 2010-06-09 2012-05-24 두상수 김 이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6860B1 (ko) * 2018-04-03 2019-12-02 주식회사 한양포장기계 김포장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5234Y1 (ko) 2003-08-28 2003-12-03 두상수 재래김 자동가공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5234Y1 (ko) 2003-08-28 2003-12-03 두상수 재래김 자동가공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307B1 (ko) 2007-07-12 2009-09-18 강신탁 김절단 장치
KR101009754B1 (ko) 2010-04-07 2011-01-19 김기문 김 계수장치
KR101148180B1 (ko) 2010-06-09 2012-05-24 두상수 김 이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8980A (ko) 2006-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754963B (zh) 用于生产香烟的装配机以及相关装配方法
KR100737842B1 (ko) 재래김 절단투입기
EP1188670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Umhüllen von Druckereiprodukten mit einem Verpackungsmaterial
CN211685848U (zh) 一种用于单包袋组合包装的包装机
EP0591005A1 (en) Automated line and method for preparing premade food set-ups
US2454316A (en) Dough cutter
KR101987551B1 (ko) 반죽물 패키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0402013Y1 (ko) 재래김 절단투입기
US6494668B2 (en) Method and device for stacking unpacked processed cheese slices
JP5093836B2 (ja) 農産物の包装装置
CN100404379C (zh) 切片面包的包装方法及包装设备
CN102730228A (zh) 生产线上一列以上的食品在线自动合并成单列食品的方法
US7017324B2 (en) Machine for producing strip packages
EP3265410B1 (en) Tray stack dispenser
KR100918307B1 (ko) 김절단 장치
US2144821A (en) Shook selector for box-making machines
US7059468B2 (en) Production line for food products
US6435079B2 (en) Machine for preparing food products
JP2008260567A (ja) スライス食パンの包装装置
US4230004A (en) Method of sawing and stacking board
CN104229206B (zh) 一种适用于扁卷包装机的压扁输送工艺
JP6121372B2 (ja) 横形製袋充填機における付属品供給装置
KR101148180B1 (ko) 김 이절장치
EP1559669B1 (de) Verfahren und Anordnung sowie Vorrichtung zum Quertransport von Riesen
JP3795674B2 (ja) 長物農産物の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