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5702B1 - 구이김 절단 및 수납장치 - Google Patents

구이김 절단 및 수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5702B1
KR101265702B1 KR1020120152125A KR20120152125A KR101265702B1 KR 101265702 B1 KR101265702 B1 KR 101265702B1 KR 1020120152125 A KR1020120152125 A KR 1020120152125A KR 20120152125 A KR20120152125 A KR 20120152125A KR 101265702 B1 KR101265702 B1 KR 101265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blade
fixed
blocks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2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우진
Original Assignee
김우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우진 filed Critical 김우진
Priority to KR1020120152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57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5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5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0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 B26D1/06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wherein the cutting member reciprocates
    • B26D1/08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wherein the cutting member reciprocates of the guillotine type
    • B26D1/09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wherein the cutting member reciprocates of the guillotine type with a plurality of cutting members
    • B26D1/09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wherein the cutting member reciprocates of the guillotine type with a plurality of cutting members for thin material, e.g. for sheets, stri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02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food products, e.g. food slic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간단한 구조로서 구이김의 절단과 수납을 가능하게 하고, 절단된 구이김이 용기에 수납되도록 복수의 수납블럭들이 승강될때 동일한 확장력 및 복원력을 갖도록 하여 원할한 작동을 가능하게 하며, 기구들의 작동시 작동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구이김 절단 및 수납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구이김 절단 및 수납장치{A cutting and putting apparatus for toasted laver }
본 발명은 구이김 절단 및 수납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간단한 구조로서 구이김의 절단과 수납을 가능하게 하고, 절단된 구이김이 용기에 수납되도록 복수의 수납블럭들이 승강될때 동일한 확장력 및 복원력을 갖도록 하여 원할한 작동을 가능하게 하며, 기구들의 작동시 작동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구이김 절단 및 수납장치에 관한 것이다.
김, 파래와 같은 평판상의 건조 해조류를 복수개로 절단시키는 식품 자동절단장치가 한국 특허등록 제10-0966253호에 개시되어 있고,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이는 직사각형상의 구운 김들을 대략 10장 정도로 적층하여서 9개의 조각김으로 절단한 후 9개의 용기에 자동으로 수납되도록 한 장치이다.
상기 선행특허의 장치는 구조물에 고정된 메인프레임(100)과;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제1승강구동원(210)에 의해서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지지되고 하단부에 격자상의 칼날(111)이 고정된 승강프레임(120)과; 상기 승강프레임(120)에 제2승강구동원(220)에 의해서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지지되는 승강판(130)과;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하방에 위치되고 절단하고자 하는 구이김이 투입되어 안착되며, 상기 격자상 칼날(111)과 그 상단부가 맞대향되어 안착된 구이김을 절단가능하도록 지지하며, 그 하방향에 절단된 식품을 수용시키는 복수의 용기(2)가 마련되는 격자상의 커팅몰드(300)와; 상기 승강판(130)에 각 상단부가 고정되고 각 하단부가 상기 격자상의 칼날(111) 사이를 통과하여 분할 절단된 식품을 하방향으로 밀어내어 상기 각 용기(2)에 수용시키는 복수의 푸셔봉(140);을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장치는 구이김을 절단하고 용기(2)에 수납하는 공정을 자동으로 수행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킨다는 효과를 가지지만, 구이김의 절단과 수납시 2개의 제1,2승강구동원(210)(220)이 필요함으로써 장치의 구조를 복잡하게 하고 제작비용을 높이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격자상의 커팅몰드(300)가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칼날(111)과의 잦은 상대접촉으로 마모가 될 경우 커팅몰드(300) 전체를 교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특허등록 제10-096625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하나의 구동원(실린더)으로 구이김의 절단과 수납작동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구이김 절단 및 수납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치의 작동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구이김 절단 및 수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손상된 부분만을 교체할 수 있도록 커킹몰드의 구조가 개선된 구이김 절단 및 수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은 상단에 구이김이 놓이고 하부에 절단된 김을 수용하는 용기들이 위치되는 격자형의 커팅몰드와, 실린더에 의해서 승강되면서 상기 구이김을 절단하며 9개의 공간으로 구획된 격자형의 칼날과, 상기 실린더에 의해 승강되면서 상기 칼날에 의해 절단된 구이김을 상기 커팅몰드 하부로 밀어내어 상기 용기에 수납시키며 상기 격자형 칼날의 각 9개 공간에 각각 위치되는 9개의 수납블럭과, 상기 커팅몰드가 고정되는 하고정판과, 복수의 지지봉에 의해 상기 하고정판 상부에 고정되며 상기 칼날 및 수납블럭들이 통과되는 구멍이 형성된 중고정판과, 복수의 안내봉에 의해 상기 중고정판의 상부에 고정되고 상기 실린더가 고정되는 상고정판과, 상기 안내봉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실린더의 로드가 연결되는 이동판과, 각 일단이 상기 이동판의 하부에 연결되고 각 타단에 상기 수납블럭이 결합되는 복수의 푸셔봉과, 상기 이동판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안내봉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칼날이 연결되는 안내블럭을 구비하고,
상기 칼날이 구이김을 절단한 후 상기 칼날은 정지시키고 절단된 구이김을 용기에 수납되도록 상기 수납블럭들을 상기 커팅몰드내에 진입되도록 하강시키는 연동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연동수단은 상기 상고정판의 하면에 고정되고 일면에 제1캠홈이 형성된 고정캠블럭과, 상기 이동판에 고정되고 상기 제1캠홈과 대향되어 제2캠홈이 형성된 가동캠블럭과, 일단이 상기 안내블럭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 상기 제1캠홈에 안내되는 제1롤러와 상기 제2캠홈에 안내되는 제2롤러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크를 구비하되,
상기 제1캠홈은 상기 제1롤러가 상하로 안내되는 제1수직홈과, 상기 제1수직홈의 하단부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롤러의 하강을 정지시키는 제1수평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2캠홈은 상기 제1롤러를 상기 제1수직홈에 안내되도록 상기 제2롤러가 결합되는 제2수평홈과, 상기 제1롤러가 상기 제1수평홈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롤러에 안내되는 제2수직홈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수직홈과 제1수평홈의 경계부분에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고무재질의 탄성가이드를 구비하여서, 상기 제1롤러가 하강되어 제1수직홈으로부터 제1수평홈으로 진입되어 정지되는 동안 충격을 흡수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팅몰드는 상기 격자형의 칼날이 진입되는 일정간격으로 2개의 커팅슬릿이 형성된 한쌍의 장커팅블럭과, 상기 장커팅블럭들 사이에 배치되고 상단 양측 가장자리에 상기 격자형의 칼날이 진입되는 커팅홈이 형성된 한쌍의 제1 단커팅블럭과, 상기 각 장커팅블럭의 외측에 배치되는 2쌍의 제2 단커팅블럭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납블럭 및 푸셔봉은 가로 및 세로로 각각 3개씩 9개로 구성되고, 중앙의 푸셔봉은 상단이 상기 이동판의 하면에 고정되고, 가장자리의 푸셔봉들은 각 상단이 상기 이동판의 하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커팅몰드는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가장자리의 푸셔봉들은 각각 상기 중앙의 푸셔봉에 탄성부재로 연결되어서, 상기 수납블럭들이 하강되어 상기 커팅몰드 내에서 상호 벌어진뒤, 상기 수납블럭들이 상승되면서 상기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각 수납블럭들이 상기 격자형의 칼날의 측벽면에 밀착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첫째, 고정캠블럭(31), 가동캠블럭(51) 및 링크(60)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하나의 실린더(40)로서 칼날(70)에 의한 구이김의 절단작용과 수납블럭(80)에 의한 수납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 장치보다 구조를 간단히하고 장치의 제작비용을 절감한다.
둘째, 고정캠블럭(31)에 탄성가이드(35)를 채택함으로써, 링크(60)의 하강에 의한 절단작업시 제1롤러(61)의 충격에도 불구하고 소음을 줄이고 장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세째, 커팅몰드(300)를 격자형의 칼날(70)이 진입되는 일정간격으로 2개의 커팅슬릿(311)(321)이 형성된 한쌍의 장커팅블럭(310)(320)과, 장커팅블럭(310)(320)들 사이에 배치되고 상단 양측 가장자리에 격자형의 칼날(70)이 진입되는 커팅홈(331a)(332a)이 형성된 한쌍의 제1 단커팅블럭(331)(332)과, 각 장커팅블럭(310)(320)의 외측에 배치되는 2쌍의 제2 단커팅블럭(333)으로 구성하여, 하고정판(10)에 조립식으로 조립되도록 함으로써, 절단작업중 손상부분만을 교환할 수 있도록 한다.
네째, 중앙 푸셔봉(81)을 중심으로 주변 푸셔봉(82)들이 탄성부재(90)에 의해서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수납블럭(80)들이 승하강될때 푸셔봉(82)들의 유동을 방지하게 하여 하강시 각 수납블럭(80)들이 격자형의 커팅몰드(300)의 상단부분과 간섭없이 안정되게 하강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종래 구이김 절단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a는 도 2의 개략 단면도,
도 3b는 도 3a의 개략 측면도,
도 4a 내지 도 4c는 구이김 절단 및 수납작동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5a 내지 도 5d는 구이김 절단 및 수납작동시 링크의 위치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 장치의 수납블럭과 칼날의 구조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7은 고정캠블럭과 가동캠블럭의 구조를 설명하는 개략 사시도,
도 8은 고정캠블럭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9a는 커팅몰드의 분리사시도,
도 9b는 도 9a의 결합사시도,
도 10은 칼날의 결합상태를 설명하는 요부 분리사시도,
도 11a 내지 도 11d는 구이김의 절단 및 수납작동을 설명하는 요부 작동도이다.
본 발명 실시예의 구이김 절단 및 수납장치는 간단한 구조로서 구이김의 절단과 수납을 가능하게 하고, 절단된 구이김이 용기에 수납되도록 복수의 수납블럭들이 승강될때 동일한 확장력 및 복원력을 갖도록 하여 원할한 작동을 가능하게 하며, 기구들의 작동시 작동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 실시예의 장치는 구이김을 9등분으로 절단하고, 절단된 구이김을 9개의 용기에 자동으로 수납될 수 있도록 한다.
도 2, 도 3 , 도 6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 실시예의 장치는 상단에 구이김(500)이 놓이고 하부에 9등분으로 절단된 김(500a)을 수용하는 9개의 용기(2)들이 위치되는 격자형의 커팅몰드(300)와, 실린더(40)에 의해서 승강되면서 상기 구이김(500)을 절단하며 9개의 공간으로 구획된 격자형의 칼날(70)과, 상기 실린더(40)에 의해 승강되면서 상기 칼날(70)에 의해 절단된 구이김(500a)을 상기 커팅몰드(300) 하부로 밀어내어 상기 용기(2)에 수납시키며 상기 격자형 칼날(70)의 각 9개 공간에 각각 위치되는 9개의 수납블럭(80)과, 상기 커팅몰드(300)가 고정되며 상기 절단된 구이김(500a)들이 통과되는 9개의 구멍이 형성된 하고정판(10)과, 복수의 지지봉(11)에 의해 상기 하고정판(10) 상부에 고정되며 상기 칼날(70) 및 수납블럭(80)들이 통과되는 구멍이 형성된 중고정판(20)과, 복수의 안내봉(21)에 의해 상기 중고정판(20)의 상부에 고정되고 상기 실린더(40)가 고정되는 상고정판(30)과, 상기 안내봉(21)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실린더(40)의 로드(41)가 연결되는 이동판(50)과, 각 일단이 상기 이동판(50)의 하부에 연결되고 각 타단에 상기 수납블럭(80)이 결합되는 복수의 푸셔봉(81)(82)과, 상기 이동판(50)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안내봉(21)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칼날(70)이 연결되는 안내블럭(71)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칼날(70)이 구이김(500)을 절단한 후 상기 칼날(70)은 정지시키고 절단된 구이김(500a)을 용기(2)에 수납되도록 상기 수납블럭(80)들을 상기 커팅몰드(300)내에 진입되도록 하강시키는 연동수단을 구비한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상기 격자형의 커팅몰드(300)는 상기 커팅몰드(300)는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며, 하고정판(10)에 조립식으로 고정된다.
즉, 상기 커팅몰드(300)는 상기 격자형의 칼날(70)이 진입되는 일정간격으로 2개의 커팅슬릿(311)(321)이 형성된 길이가 긴 한쌍의 장커팅블럭(310)(320)과, 상기 장커팅블럭(310)(320)들 사이에 배치되고 상단 양측 가장자리에 상기 격자형의 칼날(70)이 진입되는 커팅홈(331a)(332a)이 형성된 한쌍의 제1 단커팅블럭(331)(332)과, 상기 각 장커팅블럭(310)(320)의 외측에 배치되는 2쌍의 제2 단커팅블럭(333)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커팅몰드(300)는 구임김(500)의 절단작동중에 부분적으로 손상이 발생되는 경우, 손상된 커팅몰드만을 교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격자형 칼날(7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식으로 구성되며, 칼날(70)의 상단면은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형의 칼날홀더(73)에 고정된다.
상기 칼날홀더(73)는 상기 안내블럭(71)에 연결블럭(72)으로 연결되어서, 링크(60)에 의해서 상기 이동판(50)이 승강될때 함께 승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커팅슬릿(311)(321) 및 커팅홈(331a)(332a)은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이김(500)을 절단할때 격자형 칼날(70)과 격자형 커팅몰드(300)가 서로 교차될 수 있도록 칼날(70)이 진입되게 된다.
도 2,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수납블럭(80) 및 푸셔봉(81)(82)은 가로 및 세로로 각각 3개씩 9개로 구성되고, 중앙의 푸셔봉(81)은 상단이 상기 이동판(50)의 하면에 고정되고, 가장자리의 푸셔봉(82)들은 각 상단이 상기 이동판(50)의 하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가장자리의 푸셔봉(82)들은 각각 상기 중앙의 푸셔봉(81)에 탄성부재(90)로 연결되어서, 도 4c 및 도 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블럭(80)들이 하강되어 상기 커팅몰드(300)의 경사면을 따라 상호 벌어진뒤, 상기 수납블럭(80)들이 상승되면서 상기 탄성부재(90)의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각 수납블럭(80)들이 상기 격자형의 칼날(70)의 측벽면에 밀착되도록 된다.
한편, 상기 칼날(70)이 구이김(500)을 절단한 후 상기 칼날(70)은 정지시키고 절단된 구이김(500a)을 용기(2)에 수납되도록 상기 수납블럭(80)들을 상기 커팅몰드(300)내에 진입되도록 하강시키는 상기 연동수단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도 2, 도 3,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연동수단은 상기 상고정판(30)의 하면에 고정되고 일면에 제1캠홈(32)이 형성된 고정캠블럭(31)과, 상기 이동판(50)에 고정되고 상기 제1캠홈(32)과 대향되어 제2캠홈(52)이 형성된 가동캠블럭(51)과, 일단이 상기 안내블럭(7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 상기 제1캠홈(32)에 안내되는 제1롤러(61)와 상기 제2캠홈(52)에 안내되는 제2롤러(62)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크(60)를 구비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1캠홈(32)은 상기 제1롤러(61)가 상하로 안내되는 제1수직홈(32a)과, 상기 제1수직홈(32a)의 하단부로부터 라운드지면서 수평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롤러(61)의 하강을 정지시키는 제1수평홈(32b)을 구비한다.
상기 제2캠홈(52)은 상기 제1롤러(61)가 상기 제1수직홈(32a)에 안내되도록 상기 제2롤러(62)가 결합되는 제2수평홈(52b)과, 상기 제1롤러(61)가 상기 제1수평홈(32b)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롤러(62)에 안내되며 상기 제2수평홈(52b)과 라운드지게 연결되는 제2수직홈(52a)을 구비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1수직홈(32a)과 제1수평홈(32b)의 경계부분에 결합공(33)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33)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고무재질의 탄성가이드(35)를 구비하여서, 상기 제1롤러(61)가 하강되어 제1수직홈(32a)으로부터 제1수평홈(32b)으로 진입되어 정지되는 동안 충격을 흡수하도록 한다.
도 2에서 참조번호 700은 외부로부터 먼지등의 이물질이 구이김 절단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보호케이스로서, 도면에서는 뉘어져 표현되었으나 절단 및 수납작업시에는 세워져 조립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구이김 절단 및 수납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도 3b 및 도 11a를 참조하면, 안착대(610)에 구이김(500)이 안착된 상태로 액튜에이터(600)의 작동으로 커팅몰드(300)의 상부로 공급된다.
이어서 실린더(40)의 작동으로 도 4b에서와 같이 이동판(50)이 하강될때 푸셔봉(81)(82) 및 수납블럭(80)들이 함께 하강되게 된다. 이때 도 4a, 도 5a 및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판(50)과 함께 하강되는 가동캠블럭(51)의 제2수평홈(52b)에 제2롤러(62)가 결합된 상태이므로 이동판(50)이 하강될때 제1롤러(61)가 고정캠블럭(31)의 제1수직홈(32a)에 안내되면서 링크(60)를 통하여 안내블럭(71), 연결블럭(72), 칼날홀더(73) 및 칼날(70)이 함께 하강된다.
여기서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날(70)과 수납블럭(80)이 구임김(500)의 상부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상기 칼날(70)의 하단부가 수납블럭(80)의 하부로 돌출된 상태이며, 칼날(70)의 하단부는 톱니형으로 형성되어서 구이김(500)을 가압하면서 절단할때 절단을 원할하게 하고 김부스러기의 발생을 줄일 수 있게 한다.
상기 실린더(40)의 하강작동에 의해서 수납블럭(80) 및 칼날(70)이 함께 하강되다가 도 11b 및 도 11c에서와 같이 칼날(70)의 하단부에 의해서 최상부의 구이김부터 가압하면서 구이김(500)을 9등분으로 절단한다. 이때 칼날(70)의 하단부는 커팅몰드(300)의 커팅슬릿(311)(321) 및 커팅홈(331a)(332a)에 진입되면서 커팅몰드(300)의 상단부와의 가위작용으로 최하단의 구이김을 절단하게 된다.
상기 구이김(500)이 칼날(70)에 의해서 절단되는 동안 절단된 상부의 구이김들은 수납블럭(80)의 하면에 지지되게 되므로 구이김의 절단을 보다 원할하게 한다.
상기와 같이 구이김(500)이 하강되는 칼날(70)에 의해서 절단이 완료되는 순간, 도 4b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수직홈(32a)에 안내되어 하강되던 제1롤러(61)는 고정캠블럭(31)의 제1수평홈(32b)에 걸려지게 되어 링크(60)에 의해 연결된 칼날(70)의 하강이 정지된다.
상기 링크(60), 안내블럭(71), 연결블럭(72), 칼날홀더(73) 및 칼날(70)의 하강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실린더(40)의 계속적인 작동으로 도 4c 및 도 11d에서와 같이 상기 이동판(50) 및 수납블럭(80)들은 하강되어 절단된 구이김(500a)들을 용기(2)에 수납되도록 밀어내린다.
이때 상기 제1롤러(61)는 고정캠블럭(31)의 제1수평홈(32d)에 걸려져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도 5c 및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60)는 제3롤러(63)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제2롤러(62)에 가동캠블럭(51)의 제2수직홈(52a)이 안내되어 상기 수납블럭(80)들은 더욱 하강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칼날(70)에 의해서 1차적으로 구이김이 절단되고, 2차적으로 수납블럭(80)들이 더 하강되어 절단된 구이김들을 용기에 수납할 수 있도록 한다.
용기(2)에 구이김들이 수납된 뒤에는 컨베이어(미도시)에 의해서 용기들이 취출되고, 새로운 용기들이 커팅몰드(300)의 하부로 공급되어, 상기와 같은 절단 및 수납 작동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수납블럭(80)들이 하강되어 상기 커팅몰드(300) 내에서 상호 벌어지면서 절단된 구이김(500a)들어 밀어낸 후에는, 상기 실린더(40)의 상승작동에 의해서 상기 수납블럭(80)들이 상승되게 되고 상기 탄성부재(90)의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각 수납블럭(80)들이 중앙부분의 중앙 푸셔봉(81)을 향하여 이동되면서 수납블럭(80)들이 상기 격자형의 칼날(70)의 측벽면에 밀착되게 된다.
이 경우 수납블럭(80)들이 승하강될때 푸셔봉(82)들의 유동을 방지하게 하여 하강시 각 수납블럭(80)들이 격자형의 커팅몰드(300)의 상단부분과 간섭없이 안정되게 하강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링크(60)의 승강작동으로 구이김(500)이 절단되게 되는데, 제1롤러(61)가 이동판(50)의 하강과 함께 하강이동되면서 고정캠블럭(31)의 제1수평홈(32b)에 충돌되어 정지되게 되는데, 이때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가이드(35)에 의해서 충돌로 인한 소음 및 제1롤러(61)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참조번호 35a는 손잡이로서 마모된 탄성가이드(35)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한다.
10...하고정판 20...중고정판
30...상고정판 40...실린더
50...이동판 60...링크
70...칼날 80...수납블럭

Claims (4)

  1. 상단에 구이김(500)이 놓이고 하부에 9등분으로 절단된 김(500a)을 수용하는 9개의 용기(2)들이 위치되는 격자형의 커팅몰드(300)와, 실린더(40)에 의해서 승강되면서 상기 구이김(500)을 절단하며 9개의 공간으로 구획된 격자형의 칼날(70)과, 상기 실린더(40)에 의해 승강되면서 상기 칼날(70)에 의해 절단된 구이김(500a)을 상기 커팅몰드(300) 하부로 밀어내어 상기 용기(2)에 수납시키며 상기 격자형 칼날(70)의 각 9개 공간에 각각 위치되는 9개의 수납블럭(80)과, 상기 커팅몰드(300)가 고정되며 상기 절단된 구이김(500a)들이 통과되는 9개의 구멍이 형성된 하고정판(10)과, 복수의 지지봉(11)에 의해 상기 하고정판(10) 상부에 고정되며 상기 칼날(70) 및 수납블럭(80)들이 통과되는 구멍이 형성된 중고정판(20)과, 복수의 안내봉(21)에 의해 상기 중고정판(20)의 상부에 고정되고 상기 실린더(40)가 고정되는 상고정판(30)과, 상기 안내봉(21)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실린더(40)의 로드(41)가 연결되는 이동판(50)과, 각 일단이 상기 이동판(50)의 하부에 연결되고 각 타단에 상기 수납블럭(80)이 결합되는 9개의 푸셔봉(81)(82)과, 상기 이동판(50)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안내봉(21)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칼날(70)이 연결되는 안내블럭(71)을 구비하고,
    상기 칼날(70)이 구이김(500)을 절단한 후 상기 칼날(70)은 정지시키고 절단된 구이김(500a)을 용기(2)에 수납되도록 상기 수납블럭(80)들을 상기 커팅몰드(300)내에 진입되도록 하강시키는 연동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연동수단은 상기 상고정판(30)의 하면에 고정되고 일면에 제1캠홈(32)이 형성된 고정캠블럭(31)과, 상기 이동판(50)에 고정되고 상기 제1캠홈(32)과 대향되어 제2캠홈(52)이 형성된 가동캠블럭(51)과, 일단이 상기 안내블럭(7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 상기 제1캠홈(32)에 안내되는 제1롤러(61)와 상기 제2캠홈(52)에 안내되는 제2롤러(62)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크(60)를 구비하되,
    상기 제1캠홈(32)은 상기 제1롤러(61)가 상하로 안내되는 제1수직홈(32a)과, 상기 제1수직홈(32a)의 하단부로부터 라운드지면서 수평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롤러(61)의 하강을 정지시키는 제1수평홈(32b)을 구비하고,
    상기 제2캠홈(52)은 상기 제1롤러(61)가 상기 제1수직홈(32a)에 안내되도록 상기 제2롤러(62)가 결합되는 제2수평홈(52b)과, 상기 제1롤러(61)가 상기 제1수평홈(32b)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롤러(62)에 안내되며 상기 제2수평홈(52b)과 라운드지게 연결되는 제2수직홈(52a)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김 절단 및 수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직홈(32a)과 제1수평홈(32b)의 경계부분에 결합공(33)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33)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고무재질의 탄성가이드(35)를 구비하여서, 상기 제1롤러(61)가 하강되어 제1수직홈(32a)으로부터 제1수평홈(32b)으로 진입되어 정지되는 동안 충격을 흡수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김 절단 및 수납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몰드(300)는 상기 격자형의 칼날(70)이 진입되는 일정간격으로 2개의 커팅슬릿(311)(321)이 형성된 한쌍의 장커팅블럭(310)(320)과, 상기 장커팅블럭(310)(320)들 사이에 배치되고 상단 양측 가장자리에 상기 격자형의 칼날(70)이 진입되는 커팅홈(331a)(332a)이 형성된 한쌍의 제1 단커팅블럭(331)(332)과, 상기 각 장커팅블럭(310)(320)의 외측에 배치되는 2쌍의 제2 단커팅블럭(333)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김 절단 및 수납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블럭(80) 및 푸셔봉(81)(82)은 가로 및 세로로 각각 3개씩 9개로 구성되고, 중앙의 푸셔봉(81)은 상단이 상기 이동판(50)의 하면에 고정되고, 가장자리의 푸셔봉(82)들은 각 상단이 상기 이동판(50)의 하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커팅몰드(300)는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가장자리의 푸셔봉(82)들은 각각 상기 중앙의 푸셔봉(81)에 탄성부재(90)로 연결되어서,
    상기 수납블럭(80)들이 하강되어 상기 커팅몰드(300) 내에서 상호 벌어진뒤, 상기 수납블럭(80)들이 상승되면서 상기 탄성부재(90)의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각 수납블럭(80)들이 상기 격자형의 칼날(70)의 측벽면에 밀착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김 절단 및 수납장치.
KR1020120152125A 2012-12-24 2012-12-24 구이김 절단 및 수납장치 KR101265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2125A KR101265702B1 (ko) 2012-12-24 2012-12-24 구이김 절단 및 수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2125A KR101265702B1 (ko) 2012-12-24 2012-12-24 구이김 절단 및 수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5702B1 true KR101265702B1 (ko) 2013-05-20

Family

ID=48666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2125A KR101265702B1 (ko) 2012-12-24 2012-12-24 구이김 절단 및 수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570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0905B1 (ko) * 2014-11-05 2015-05-15 두솔메카트로닉스 주식회사 구이김 절단기용 칼날 조립체
KR20160143291A (ko) 2015-06-05 2016-12-14 두솔메카트로닉스 주식회사 즉석 구이김 절단 및 수납장치와 그 제어방법
KR101757778B1 (ko) * 2015-03-18 2017-07-13 코리아팩라인 주식회사 구이김 절단장치
KR20190056000A (ko) 2017-11-16 2019-05-24 두상수 구이김을 절단하여 용기에 수납하는 장치
KR20210147617A (ko) 2020-05-29 2021-12-07 두솔메카트로닉스 주식회사 절단김 자동이송장치
CN115476393A (zh) * 2022-09-19 2022-12-16 重庆市涪陵三海兰陵有限责任公司 一种硫化成型胶片开片机的导向限位机构
CN116713528A (zh) * 2023-08-11 2023-09-08 成都莒纳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电极片切割装置及切割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4111Y1 (ko) 2003-08-28 2004-03-09 두상수 구이김 가공 자동화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4111Y1 (ko) 2003-08-28 2004-03-09 두상수 구이김 가공 자동화 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0905B1 (ko) * 2014-11-05 2015-05-15 두솔메카트로닉스 주식회사 구이김 절단기용 칼날 조립체
KR101757778B1 (ko) * 2015-03-18 2017-07-13 코리아팩라인 주식회사 구이김 절단장치
KR20160143291A (ko) 2015-06-05 2016-12-14 두솔메카트로닉스 주식회사 즉석 구이김 절단 및 수납장치와 그 제어방법
KR20190056000A (ko) 2017-11-16 2019-05-24 두상수 구이김을 절단하여 용기에 수납하는 장치
KR20210147617A (ko) 2020-05-29 2021-12-07 두솔메카트로닉스 주식회사 절단김 자동이송장치
CN115476393A (zh) * 2022-09-19 2022-12-16 重庆市涪陵三海兰陵有限责任公司 一种硫化成型胶片开片机的导向限位机构
CN116713528A (zh) * 2023-08-11 2023-09-08 成都莒纳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电极片切割装置及切割方法
CN116713528B (zh) * 2023-08-11 2023-12-05 成都莒纳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电极片切割装置及切割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5702B1 (ko) 구이김 절단 및 수납장치
KR100842870B1 (ko) 구이 김 절단 및 수납장치
KR100966253B1 (ko) 식품 자동절단장치
CN109159479A (zh) 具有自动开箱功能的箱体输送线及包装箱组装设备
US8967938B2 (en) Transport tray
CN103748418B (zh) 包括可移动支承件的炉
KR101124306B1 (ko) 김절단 포장장치
EP3399894B1 (en) A toaster
KR100515442B1 (ko) 구이김 자동 절단 및 수납장치
KR101721138B1 (ko) 채소 선별기
KR101240421B1 (ko) 김 자동포장기용 김절단장치의 김공급부
US5317960A (en) Bread toaster
KR101262694B1 (ko) 김 자동포장기용 김절단 장치 및 방법
KR101757778B1 (ko) 구이김 절단장치
CN209466750U (zh) 包装箱组装装置
CN109159476A (zh) 包装箱组装装置
KR101070769B1 (ko) 포장김의 절단 수납장치
CN109159474A (zh) 提手筛选机构、包装箱组装设备及提手筛选方法
CN212394584U (zh) 煮食装置
EP3002096A1 (en) Cutting machine
KR101262040B1 (ko) 김 절단장치
JP7071111B2 (ja) 飲料抽出装置
CN211577973U (zh) 一种微波加热装置及带有该装置的自动贩卖机
CN209079327U (zh) 组装机构及包装箱组装设备
CN209466749U (zh) 提手筛选机构及包装箱组装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30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2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3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0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5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5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1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0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2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0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