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2694B1 - 김 자동포장기용 김절단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김 자동포장기용 김절단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2694B1
KR101262694B1 KR1020120147200A KR20120147200A KR101262694B1 KR 101262694 B1 KR101262694 B1 KR 101262694B1 KR 1020120147200 A KR1020120147200 A KR 1020120147200A KR 20120147200 A KR20120147200 A KR 20120147200A KR 101262694 B1 KR101262694 B1 KR 101262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ver
cutting
seaweed
uni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7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치문
김종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양포장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양포장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양포장기계
Priority to KR1020120147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26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2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26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6Packaging slices or specially-shaped pieces of meat, cheese, or other plastic or tacky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65B35/4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by reciprocating or oscillatory pus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02Agricultural and processed food products

Abstract

본 발명은 김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김을 신속하게 이송하여 생산성이 향상됨은 물론, 김을 적층하여 이송시 김이 넘어가지 않아서 절단과 이송에 따른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된 김 자동포장기용 김절단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김 자동포장기용 김 절단장치(1000)는, 공장 바닥에 수직으로 설치된 프레임(1100)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이송 공급되는 김을 안착시키도록 된 공급김안착부(1200)와, 상기 공급김안착부에 안착된 김을 김수용용기가 있는 쪽으로 일정길이 밀어서 이동하도록 프레임에 설치된 김이동부(1300)와, 상기 김이동부에 의해 김이 이동하여 안착되도록 프레임에 설치된 김절단이송부(1400)와, 상기 김절단이송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김절단이송부에 유입된 김을 절단시와 이송시에 맞추어 김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각각 셋팅된 압력으로 가압하도록 된 김가압부(1500)와, 상기 김가압부에 의해 가압된 김을 절단하도록 프레임에 설치된 김절단수단(1600)과, 상기 김절단수단(1600)이 내려와서 상기 김가압부(1500)로 가압된 김을 절단하기 전에 김을 파지함과 더불어, 김이 절단된 후 회전하여 이송되는 김수용용기에 김을 투입하도록 된 절단김공급부(18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김 자동포장기용 김절단 장치 및 방법{LAVER CUTTING MACHINE}
본 발명은 김 자동포장기용 김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김을 신속하게 이송하여 생산성이 향상됨은 물론, 김을 적층하여 이송시 김이 넘어가지 않아서 절단과 이송에 따른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된 김 자동포장기용 김절단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내 및 일본 등 동양의 다수국에서 식생활 문화 중 주요 반찬류 중의 하나로 김이 포함되고 있다.
이러한 김은 가정에서 원료김을 구입하여 별도로 조리하기 보다는 미리 기름과 소금 등의 조미료에 의해 조리되며 구워진 상태로 생산되도록 하는 김 생산 공장에서 취식하기 용이한 크기로 절단되어 포장된 형태의 김을 구입하여 간편하게 취식하고 있는 추세에 있음은 주지된 바와 같다.
이와 같이 조리된 후 포장된 상태로 공급되는 김의 제조과정은 통상적으로, 원료김에 기름과 조미료 등을 도포한 다음 구워내는 김 조미공정과, 구워진 김을 다수장씩 적층 시킨 다음 절단한 후 그 절단된 구이김을 포장용기내에 수납하고, 장기보관 및 유통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이김 가공공정으로 분류되어진다.
이러한 구이김 가공공정의 경우, 김 조미공정 후 구워진 김을 포장용기내에수납하는 일련의 과정 중에서, 절단공정의 경우에만 부분적인 자동화가 이루어지고 있고, 일정 규격으로 절단 처리된 김을 포장용기내 수납하는 과정은 많은 인원이 수작업에 의해 진행되고 있어 생산성 향상에 많은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한민국 특허청에 기출원되어 등록되거나 또는 공개된 선행 기술은, 실용신안등록 제 344111 호인 "구이김 가공 자동화 시스템"과, 특허등록 제 0515442 호인 "구이김 자동 절단 및 수납장치"와, 특허등록 제 515443 호인 "연속 단위포장팩의 자동절단 장치" 등이 개시되고 있다.
이들 선행 기술의 경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있으나 실용신안 등록 제 344111 호인 "구이김 가공 자동화시스템"의 경우, 구이김을 절단 처리한 다음 푸셔에 의해 용기 내부로 절단된 구이김을 수납하는 과정에서, 다수개의 가압봉이 경사지며 용기내부측에 절단된 구이김을 수납하게 되는데, 가압봉의 경사각도에 따라 구이김이용기측에 정확하게 수납되기가 어렵다.
즉 절단된 구이김간 간격보다는 용기 테두리간 이격 거리에 의해 절단된 구이김이 그대로 수직상 하강하여 용기에 수납될 수 없게 되는데, 이를 해소하기 위해 선행 기술의 경우 가압봉을 경사지도록 형성하게 되는 것이어서 절단된 구이김이 경사진 상태로 용기내 수납될 수 밖에 없고, 또한 경사각도의 차이에 따라 용기내부로 진입되는 구이김이 정확하게 수납될 수 없는 경우가 발생되므로, 작업 과정에서 장치의 운전을 중지하여 재조정 또는 제대로 수납되지 않은 구이김을 수작업에 의해 용기내 재투입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뒤따르게 된다.
또한 종래의 김 절단장치의 경우 대략 1년 정도 사용 후에는 장비를 새로 보수하여야 하는 등 유지 보수 사이클이 비교적 짧고, 구운 김의 투입과정에서 김의 외관 처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커팅시 규격화된 절단 김을 얻기가 비교적 용이하지 않으며, 절단 하는 과정에서 이물질이 삽입되어 장치에 대한 유지 보수 작업의 빈도수가 잦아 유지보수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이 있어 생산성의 신뢰도가 저하되고, 생산 효율성이 가변되는 문제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김 절단장치부재를 이용하여 가구의 김 절단장치이나 테이블 상판등을 제조하게 되면 제품의 측면이 투박하여 상품성이 나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대한민국특허청에 등록실용신안공보로 실용등록 제20-0449076호로 고안의 명칭이 "김 절단장치"가 공지되어 있는바, 전 공정에 의해 구워진 상태로 공급되는 구이김을 절단 처리한 다음, 그 절단 처리된 구이김을 용기내에 정확히 수납 안착 될 수 있도록 하여, 구이김의 절단 및 수납과정에서 절단된 구이김이 용기를 벗어나 잘못 수납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장치의 운전 중지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므로서,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실용등록 제20-0449076호는, 김의 절단시 절단 규격이 정확히 이루어지도록 제어하고 유지 보수시 장치를 분해하는 작업 없이 현장에서 용이하게 유지 보수 작업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유지 보수 작업 사이클이 연장되도록 하여 전체적인 유지 보수 비용의 절감을 꾀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들은 모두 김을 9쪽으로 한꺼번에 절단하게 되므로 김 절단을 위한 절단부의 구조가 매우 복잡하게 되어, 제조비용이 고가이고, 문제발생시 해결하기 위한 시간도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참조문헌: 대한민국 실용등록 제20-0449076호 고안의 명칭 "김 절단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김을 신속하게 이송하여 생산성이 향상됨은 물론, 김을 적층하여 이송시 김이 넘어가지 않아서 절단과 이송에 따른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된 김 자동포장기용 김절단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김 자동포장기용 김절단 장치는, 김조미공정과 근접하여 설치되어 김구이기에서 보내온 김이 공급되면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되면서 일정한 모양으로 절단하여 김수용용기에 공급하되, 공장 바닥에 수직으로 설치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이송 공급되는 김을 안착시키도록 된 공급김안착부와, 상기 공급김안착부에 안착된 김을 김수용용기가 있는 쪽으로 일정길이 밀어서 이동하도록 프레임에 설치된 김이동부와, 상기 김이동부에 의해 김이 이동하여 안착되도록 프레임에 설치된 김절단이송부와, 상기 김절단이송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김절단이송부에 유입된 김을 절단시와 이송시에 맞추어 김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각각 셋팅된 압력으로 가압하도록 된 김가압부와, 상기 김가압부에 의해 가압된 김을 절단하도록 프레임에 설치된 김절단수단과, 상기 김절단수단이 내려와서 상기 김가압부로 가압된 김을 절단하기 전에 김을 파지함과 더불어, 김이 절단된 후 회전하여 이송되는 김수용용기에 김을 투입하도록 된 절단김공급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김절단이송부의 선단 하부에서 상승하여 상기 김이동부에서 이동하는 적층된 김이 넘어지지 않도록 김절단이송부의 선단부에서 지지함과 더불어 김절단수단의 김절단칼날에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김절단이송부의 하부로 내려가도록 된 김셋팅고정부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서 상승하여 김절단이송부로 공급된 김을 절단할 폭과 같은 일정한 길이로 순차적으로 밀어서 이동함과 더불어 김을 마지막 스텝까지 밀고는 김이 김절단이송부로 유입될 때와 같이 프레임의 하부에 대기하도록 된 1스텝이송기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김이동부는,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어 고정된 실린더와, 이 실린더의 로드에 고정되어 상기 공급김안착부에 안착된 김을 김절단이송부로 이송하도록 안내되는 김밀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공급김안착부의 상부와 김밀판의 하부에는 김절단이송부쪽을 향하여 상기 공급김안착부에 안착된 김을 일정길이 밀때 이동시 김이 낱장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요철형태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김이탈방지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김밀판을 구성하는 판부의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하부에서 수직하게 일정길이의 푸셔배출홈이 하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김절단이송부는, 상기 공급김안착부와 평행하게 연장된 판부와, ㅛ자형상으로 형성된 김절단홈과, 상기 요홈과 김절단홈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1스텝이송기가 김을 일정길이씩 이동시킬 수 있도록 갖춰진 푸셔이동안내홈과, 상기 김절단수단이 김절단홈으로 들어가면서 절단되는 김을 파지할 수 있도록 된 절단김공급부가 위치하도록 형성된 김파지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김가압부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김의 이동시와 절단시의 높이를 제어하도록 작동되는 수직실린더와, 이 수직실린더의 로드에 고정됨과 더불어 상기 김절단수단의 김절단칼날을 안내하는 칼날안내홈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1스텝이송기의 도피홈이 형성된 누름판부재와, 이 누름판부재의 하부이면서 도피홈이 형성된 쪽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고정된 김후방누름부재와, 상기 누름판부재의 하부이면서 칼날안내홈이 형성된 쪽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고정된 김절단부누름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1스텝이송기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작동되어 김공급부쪽에서 김수용용기이송부쪽으로 순차적으로 1스텝식 작동되는 스텝이동실린더와, 이 스텝이동실린더의 로드에 연결됨과 더불어 상기 프레임의 측벽에 형성된 안내홈에 양단이 안내되어 이동하도록 된 이동블럭과, 이 이동블럭의 하부로 설치된 수직실린더와, 이 수직실린더의 로드에 고정되어 상하로 이동함과 더불어 상기 스텝이동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김을 1스텝씩 김수용용기쪽으로 이동하되 1스텝의 이동은 상승된 상태로 있으면서 상기 푸셔이동안내홈과 도피홈으로 끼워지고 마지막 스텝에서는 김을 밀고 나서 하부로 빠져 최초의 대기 상태로 이동하도록 된 U자 형상의 김푸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김 자동포장기용 김절단 방법은, 김조미공정에서 보내온 김이 공급되면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되면서 일정한 모양으로 절단하여 김수용용기에 공급하되, 김조미공정에서 적층된 김이 공급되어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된 공급김안착부에 안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공급김안착부에 안착된 김을 김이동부가 김절단이송부쪽으로 일정길이 밀어서 이동시키고 김밀판은 공급김안착부쪽으로 복귀하는 단계와, 상기 김절단이송부의 상부에 설치된 김가압부가 김절단이송부에 유입된 김을 이송시에 맞추어 김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각각 셋팅된 압력으로 가압하는 단계와, 상기 김가압부가 최대한 하강하여 김을 가압하고 가압된 김을 절단김공급부가 파지함과 더불어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된 김절단수단의 김절단칼날이 하강하여 상기 김가압부에 의해 가압된 김을 절단하는 단계와, 상기 김가압부가 김절단이송부에 유입된 김을 이송시에 맞추어 김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셋팅된 압력으로 가압함과 더불어 김절단수단의 김절단칼날이 상승하여 대기하는 한편 상기 절단김공급부는 회전하여 절단된 김을 김수용용기에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김가압부에 의해 넘어지지 않도록 가압한 김을 절단할 폭과 같은 일정한 길이로 1스텝이송기가 1스텝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김가압부에 의해 최대한 가압하고 가압된 김을 절단김공급부가 파지함과 더불어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된 김절단수단의 김절단칼날이 하강하여 상기 김가압부에 의해 가압된 김을 절단하는 단계와, 상기 김가압부가 김절단이송부에 유입된 김을 이송시에 맞추어 김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각각 셋팅된 압력으로 가압함과 더불어 김절단수단의 김절단칼날이 상승하여 대기하는 한편 상기 절단김공급부는 회전하여 절단된 김을 재차 김수용용기에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1스텝이송기가 김가압부에 의해 넘어지지 않도록 가압한 김을 절단할 폭과 같은 일정한 길이로 또 한번의 1스텝 이동시킨 후, 1스텝이송기의 U자 형상의 김푸셔는 상기 공급김안착부에 안착된 김을 김이동부가 김절단이송부쪽으로 일정길이 밀기 전의 단계로 대기시키는 단계와, 상기 김가압부에 의해 최대한 가압하고 가압된 김을 절단김공급부가 파지함과 더불어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된 김절단수단의 김절단칼날이 하강하여 상기 김가압부에 의해 가압된 김을 절단한 후 상기 김가압부와 김절단수단이 최대한 상승하여 대기하는 단계와, 상기 절단김공급부는 회전하여 절단된 김을 김수용용기에 공급하고 대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서 1스텝이송기가 상승하여 김절단이송부로 공급된 김에 밀착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공급김안착부에 안착된 김을 김이동부가 김절단이송부쪽으로 일정길이 밀어서 이동시키고 김밀판은 공급김안착부쪽으로 복귀하는 단계와,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서 1스텝이송기가 상승하여 김절단이송부로 공급된 김에 밀착되는 단계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김 자동포장기용 김절단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김을 신속하게 이송하여 생산성이 향상됨은 물론, 김을 적층하여 이송시 김이 넘어가지 않아서 절단과 이송에 따른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김절단장치를 갖춘 김 자동포장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우측면도,
도 4는 도 1의 김공급부를 나타내는 상세 평면도,
도 5는 도 4의 A방향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공급김안착부와 김절단이송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밀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가압부를 구성하는 누름판부재와 김후방누름부재 및 김절단부누름부재가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정면도,
도 10은 도 8의 좌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 자동포장기용 김 절단 장치 및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인용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부', '하부', '앞', '뒤', '선단', '전방', '후단'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김 절단장치(1000)를 포함하는 김 자동포장기는 도 1 내지 도 5을 참조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김 자동포장기는, 도시되지 않은 김조미공정과 근접하여 설치되어 김구이기에서 보내온 김(130)이 경사콘베어(110)에 올려지면 캐리어(120)에 의해 순차적으로 이송하도록 된 김공급부(100)와, 상기 김공급부에서 김이 공급되면 일정한 모양으로 절단하도록 된 김절단장치(1000)와, 상기 김절단장치에서 절단된 절단김을 이송하는 김수용용기(210)에 공급받아 이송하도록 된 김수용용기이송부(200)와, 상기 김수용용기이송부로 김수용용기를 한번에 3개씩 공급하도록 실린더가 작동되면 일렬로 배열된 김수용용기의 플랜지부를 밀어서 상부와 하부의 김수용용기를 분리하여 배출하도록 된 김수용용기공급부(300)와, 상기 김공급부와 김절단장치 및 김수용용기이송부와 김수용용기공급부를 제어하도록 된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따라서 김조미공정의 김구이기에서 조미된 김(130)이 상기 제어부(400)에 의해 제어되는 김공급부(100)의 상기 경사콘베어(110)에 적층된 상태로 올려져 캐리어(120)에 의해 김절단장치(1000)로 이송공급하게 되고, 이후 상기 김절단장치(1000)에서는 김이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1스텝 이동시 마다 3등분으로 절단되어 상기 김수용용기이송부(200)를 따라 이송되는 김수용용기(210)로 공급되어 포장부로 이송되게 되므로 자동포장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김절단장치(1000)는, 공장 바닥에 수직으로 설치된 프레임(1100)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이송 공급되는 김을 안착시키도록 된 공급김안착부(1200)와, 상기 공급김안착부에 안착된 김을 김수용용기가 있는 쪽으로 일정길이 밀어서 이동하도록 프레임에 설치된 김이동부(1300)와, 상기 김이동부에 의해 김이 이동하여 안착되도록 프레임에 설치된 김절단이송부(1400)와, 상기 김절단이송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김절단이송부에 유입된 김을 절단시와 이송시에 맞추어 김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각각 셋팅된 압력으로 가압하도록 된 김가압부(1500)와, 상기 김가압부에 의해 가압된 김을 절단하도록 프레임에 설치된 김절단수단(1600)과, 상기 김절단수단(1600)이 내려와서 상기 김가압부(1500)로 가압된 김을 절단하기 전에 김을 파지함과 더불어, 김이 절단된 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김수용용기이송부(200)로 이송되는 김수용용기(210)에 김을 투입하도록 된 절단김공급부(18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공급김안착부(1200)에서 김절단이송부(1400)로 공급된 김을 절단 폭과 같은 일정한 길이로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1스텝이송기(1700)가 더 포함된다.
따라서 상기 김공급부(100)로부터 공급김안착부(1200)로 적층된 김(130)이 공급되면 상기 김이동부(1300)의 실린더가 작동하여 김을 김절단이송부(1400)로 이송하게 되고, 상기 김이동부(1300)가 뒤로 빠지면서 이때 상기 김가압부(1500)가 일정 높이로 내려오면서 김이 넘어지지 않도록 파지하게 되며, 이후 상기 김가압부(1500)와 김절단수단(1600)이 하강하면서 삼등분된 앞쪽 길이에 해당하는 길이 만큼 절단하되, 길이 방향으로 3등분되어 김을 절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절단김공급부(1800)는 김이 절단되기 전에 김을 각각 파지하여 절단된 김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김수용용기(210)로 공급하게 된다.
이후 상기 1스텝이송기(17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1스텝씩 이동하면서 김을 밀어주게 된다. 그 후 한번더 1스텝이송기(1700)가 이동하면서 김을 밀어주고 하부로 이동하여 김이 김절단이송부(1400)로 공급될 당시의 상태로 대기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공급김안착부(1200)는 도 1 내지 도 3과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평면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김절단이송부(1400)쪽을 향하여 상기 공급김안착부(1200)에 안착된 김(130)을 일정길이 밀어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하나 이상의 요홈(1210)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요홈(1210)의 일측 상부에는 상기 공급김안착부(1200)로 유입되는 김이 걸리지 않도록 경사면(1220)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요홈(1210)으로 상기 김이동부(1300)의 김밀판(1320)의 하부가 끼워져 이동하면서 상기 공급김안착부(1200)에 안착된 김이 이동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또 상기 경사면(1220)에 의해 김(130)이 공급김안착부(1200)로 유입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김이동부(1300)는 도 2와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프레임(1100)에 지지되어 고정된 실린더(1310)와, 이 실린더의 로드에 고정되어 상기 공급김안착부(1200)에 안착된 김(130)을 김절단이송부(1400)로 이송하도록 안내되는 김밀판(1320)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김밀판(1320)은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실린더(1310)의 로드에 고정하기 위한 실린더고정홈(1321a)을 갖춘 판부(1321)와, 이 판부의 하부에 이동시 김이 낱장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돌출된 이탈방지돌기(132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판부(1321)의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하부에서 수직하게 일정길이의 푸셔배출홈(1323)이 하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탈방지돌기(1322)와 요홈(1210)으로 이루어진 김이탈방지부는 서로 방향이 바뀌어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이탈방지돌기(1322)가 하부 중앙과 양단에 형성되어 있으나 양단에만 형성될 수도 있고, 중앙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실린더(1310)가 작동하여 김밀판(1320)를 전진시키면 공급김안착부(1200)에 안착된 김(130)을 김절단이송부(1400)로 이송하게 되고, 이때 공급김안착부(1200)에 놓인 낱장의 김(130)도 이탈방지돌기(1322)와 요홈(1210)에 의해 이송되지 않는 것이 없도록 확실하게 이송하게 된다.
한편, 상기 김절단이송부(1400)는 도 1과 도 2와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공급김안착부(1200)와 평행하게 연장된 판부(1410)와, ㅛ자형상으로 형성된 김절단홈(1420)과, 상기 요홈(1210)과 김절단홈(1420)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1스텝이송기(1700)가 김(130)을 일정길이씩 이동시킬 수 있도록 갖춰진 푸셔이동안내홈(1430)과, 상기 김절단수단(1600)이 김절단홈(1420)으로 들어가면서 절단되는 김(130)을 파지할 수 있도록 된 절단김공급부(1800)가 위치하도록 형성된 김파지홈(1440)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판부(1410)로 유입된 적층된 김(130)은 푸셔이동안내홈(1430)으로 끼워진 푸셔에 의해 1스텝씩 이동하면서 김을 폭방항으로 3등분하여 절단하도록 안내하게 된다.
또 상기 김가압부(1500)는 도 1 내지 도 3과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프레임(1100)에 설치되어 제어부(400)의 제어신호에 따라 김의 이동시와 절단시의 높이를 제어하도록 작동되는 수직실린더(1510)와, 이 수직실린더의 로드에 고정됨과 더불어 상기 김절단수단(1600)의 김절단칼날(1620)을 안내하는 칼날안내홈(1521)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1스텝이송기(1700)의 도피홈(1522)이 형성된 누름판부재(1520)와, 이 누름판부재의 하부이면서 도피홈(1522)이 형성된 쪽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고정된 김후방누름부재(1530)와, 상기 누름판부재의 하부이면서 칼날안내홈이 형성된 쪽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고정된 김절단부누름부재(1540)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400)의 신호에 의해 김을 절단하는 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최대한 하강하여 김(130)을 상기 김후방누름부재(1530)와 김절단부누름부재(1540)가 누름 상태에서 상기 김절단수단(1600)의 김절단칼날(1620)이 칼날안내홈(1521)으로 하강하면서 상기 김절단홈(1420)으로 끼워지면서 김을 3등분하여 절단하게 된다.
이후 상기 누름판부재(1520)와 김후방누름부재(1530) 및 김절단부누름부재(1540)는 수직실린더(1510)에 의해 일정 높이까지 올라가면서 김을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하여 김이 쓰러지지 않도록 하고, 상기 김절단수단(1600)의 김절단칼날(1620)은 최대한 상승하게 된다.
다음 상기 1스텝이송기(1700)에 의해 1스텝 김을 밀게 되면 상기 김후방누름부재(1530) 및 김절단부누름부재(1540)가 김을 일정한 압력으로 누른 상태에서 1스텝을 김절단홈(1420)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후 재차 상기 김가압부(1500)와 김절단수단(1600)의 김절단칼날(1620)이 최저치로 하강하면서 김을 절단하게 된다.
이후 김이 폭방향으로 1스텝만 남은 경우에는, 상기 김후방누름부재(1530) 및 김절단부누름부재(1540)가 김을 일정한 압력으로 누른 상태에서 상기 1스텝이송기(1700)는 김절단홈(1420)쪽으로 1스텝 김을 밀고 나서 김이 김절단이송부(1400)로 공급되었던 초기의 상태로 이동하여 대기하게 되고, 상기 김가압부(1500)와 김절단수단(1600)의 김절단칼날(1620)이 최저치로 하강하면서 나머지 김을 절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 김후방누름부재(1530)와 김절단부누름부재(1540)의 하부 일측에는 김이 유입되는 쪽에 경사면(1531,1541)이 형성되어 김이 유입될 때 걸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김절단수단(160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프레임(1100)에 고정된 실린더(1610)와, 이 실린더의 로드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면서 하부로 내려갈 때 김을 절단하도록 된 ㅛ자 형상의 김절단칼날(1620)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실린더(1610)가 작동하여 로드가 최대로 하강하게 되면 상기 김절단칼날(1620)이 칼날안내홈(1521)으로 하강하면서 상기 김절단홈(1420)으로 끼워지면서 김을 3등분하여 절단하게 된다.
이후 상기 실린더(1610)가 작동하여 상기 김절단칼날(1620)이 최대한 상승하게 되면 대기상태로 놓이게 된다.
또한 상기 1스텝이송기(1700)는, 상기 제어부(400)에 의해 작동되어 김공급부(100)쪽에서 김수용용기이송부(200)쪽으로 순차적으로 1스텝식 작동되는 스텝이동실린더(1710)와, 이 스텝이동실린더의 로드에 연결됨과 더불어 상기 프레임(1100)의 측벽에 형성된 안내홈(1110)에 양단이 안내되어 이동하도록 된 이동블럭(1720)과, 이 이동블럭의 하부로 설치된 수직실린더(1730)와, 이 수직실린더의 로드에 고정되어 상하로 이동함과 더불어 상기 스텝이동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김을 1스텝씩 김수용용기이송부(200)쪽으로 이동하되 1스텝과 2스텝의 이동은 상승된 상태로 있으면서 상기 푸셔이동안내홈(1430)과 도피홈(1522)으로 끼워지고 마지막 스텝에서는 김을 밀고 나서 하부로 빠져 최초의 대기 상태로 이동하도록 된 U자 형상의 김푸셔(1740)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김절단이송부(1400)로 공급된 적층된 김(130)이 상기 제어부(400)에 의해 1스텝식 작동되는 스텝이동실린더(1710)와 수직실린더(1730)에 의해 U자 형상의 김푸셔(1740)가 이동하면서 김을 순차적으로 이동시켜 김절단수단(1600)에 의해 절단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한다.
한편 상기 절단김공급부(1800)는 상기 김절단수단(1600)에 의해 김이 절단될 때 파지하고 있다가 상기 김가압부(1500)와 김절단수단(1600)이 상승하고 나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호간의 폭을 벌려서 상기 김수용용기이송부(200)를 따라 이송되는 김수용용기(210)에 투입하고, 이후 다시 복귀하여 김을 파지하게 되는 것을 반복하게 된다.
또 상기 김수용용기이송부(200)에는 절단김공급부(1800)로 파지된 김이 김수용용기(210)로 투입할 때는 함께 하강하고, 김을 투입하고 상기 절단김공급부(1800)가 상승할 때는 시간차를 두고 뒤에 상승하면서 절단김공급부(1800)가 상승할 때 김이 함께 따라 올라가지 않도록 김상승방지스톱퍼(1900)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김절단장치(1000)에는, 상기 김절단이송부(1400)의 선단 하부에서 상승하여 상기 김이동부(1300)에서 이동하는 적층된 김이 넘어지지 않도록 김절단이송부의 선단부에서 지지함과 더불어 김절단수단의 김절단칼날에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김절단이송부의 하부로 내려가도록 된 김셋팅고정부(1950)가 더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김셋팅고정부(1950)는,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하로 로드가 작동하도록 프레임(1100)에 설치된 김셋팅실린더(1951)와, 이 김셋팅실린더의 로드(1951a)에 설치되어 상하로 이동되면서 상부로 이동되었을 때 김절단이송부(1400)의 선단부로 돌출되어 김절단이송부로 공급되는 적층된 김을 지지하도록 된 김셋팅지지판(1952)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김이동부(1300)의 김밀판(1320)에 의해 공급김안착부(1200)에 안착된 적층된 김(130)이 김절단이송부(1400)로 공급하게 된다. 이때 상기 김셋팅고정부(1950)의 김셋팅실린더(1951)가 작동하여 김셋팅지지판(1952)를 상승시켜 김절단이송부(1400)의 선단에서 적층된 김이 김셋팅지지판(1952)에 지지되어 넘어지지 않고 정렬하게 되고, 상술한 김가압부(1500)와 김절단수단(1600)이 하강하면서 적층된 김을 절단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김 자동포장기용 김 절단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김 자동포장기용 김 절단방법은, 김조미공정에서 보내온 김이 공급되면 제어부(400)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되면서 일정한 모양으로 절단하여 김수용용기에 공급하게 되는바, 먼저 김조미공정에서 적층된 김이 공급되어 프레임(1100)의 상부에 설치된 공급김안착부(1200)에 안착시키는 단계(S1)와, 상기 공급김안착부에 안착된 김을 김이동부(1300)가 김절단이송부(1400)쪽으로 일정길이 밀어서 이동시키고 김밀판(1320)은 공급김안착부(1200)쪽으로 복귀하는 단계(S2)와, 상기 김절단이송부의 상부에 설치된 김가압부(1500)가 김절단이송부에 유입된 김을 이송시에 맞추어 김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각각 셋팅된 압력으로 가압하는 단계(S4)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김가압부(1500)가 최대한 하강하여 김을 가압하고 가압된 김을 절단김공급부(1800)가 파지함과 더불어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된 김절단수단(1600)의 김절단칼날(1620)이 하강하여 상기 김가압부에 의해 가압된 김을 절단하는 단계(S5)와, 상기 김가압부(1500)가 김절단이송부에 유입된 김을 이송시에 맞추어 김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셋팅된 압력으로 가압함과 더불어 김절단수단(1600)의 김절단칼날(1620)이 상승하여 대기하는 한편 상기 절단김공급부는 회전하여 절단된 김을 김수용용기에 공급하는 단계(S6)를 거쳐 절단된 김을 포장할 수 있도록 김수용용기(210)에 공급하게 된다.
또한 상기 김가압부(1500)에 의해 넘어지지 않도록 가압한 김을 절단할 폭과 같은 일정한 길이로 1스텝이송기(1700)가 1스텝 이동시키는 단계(S7)와, 상기 김가압부(1500)에 의해 최대한 가압하고 가압된 김을 절단김공급부(1800)가 파지함과 더불어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된 김절단수단(1600)의 김절단칼날(1620)이 하강하여 상기 김가압부에 의해 가압된 김을 절단하는 단계(S8)와, 상기 김가압부(1500)가 김절단이송부에 유입된 김을 이송시에 맞추어 김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각각 셋팅된 압력으로 가압함과 더불어 김절단수단(1600)의 김절단칼날(1620)이 상승하여 대기하는 한편 상기 절단김공급부는 회전하여 절단된 김을 재차 김수용용기에 공급하는 단계(S9)를 반복하여 절단된 김을 포장할 수 있도록 김수용용기(210)에 공급하게 된다.
한편, 상기 1스텝이송기(1700)가 김가압부(1500)에 의해 넘어지지 않도록 가압한 김을 절단할 폭과 같은 일정한 길이로 또 한번의 1스텝 이동시킨 후, 1스텝이송기(1700)의 U자 형상의 김푸셔(1740)는 상기 공급김안착부(1200)에 안착된 김을 김이동부(1300)가 김절단이송부(1400)쪽으로 일정길이 밀기 전의 단계로 대기시키는 단계(S10)와, 상기 김가압부(1500)에 의해 최대한 가압하고 가압된 김을 절단김공급부(1800)가 파지함과 더불어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된 김절단수단(1600)의 김절단칼날(1620)이 하강하여 상기 김가압부에 의해 가압된 김을 절단한 후 상기 김가압부(1500)와 김절단수단(1600)이 최대한 상승하여 대기하는 단계(S11)와, 상기 절단김공급부(1800)는 회전하여 절단된 김을 김수용용기에 공급하고 대기하는 단계(S12)를 포함하여, 절단된 김을 포장할 수 있도록 김수용용기(210)에 공급함과 더불어 새로운 적층된 김을 절단할 수 있도록 대기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서 1스텝이송기(1700)가 상승하여 김절단이송부(1400)로 공급된 김에 밀착되는 단계(S3)를 더 포함하여, 적층된 김을 순차적으로 일정길이와 폭으로 공급하여 절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공급김안착부에 안착된 김을 김이동부(1300)가 김절단이송부(1400)쪽으로 일정길이 밀어서 이동시키고 김밀판(1320)은 공급김안착부(1200)쪽으로 복귀하는 단계(S2)와,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서 1스텝이송기(1700)가 상승하여 김절단이송부(1400)로 공급된 김에 밀착되는 단계(S3)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어서 김의 절단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할 수 있어서 생산성이 향상되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 : 김공급부 110 : 경사콘베어
120 : 캐리어 130 : 김
200 : 김수용용기이송부 210 : 김수용용기
300 : 김수용용기공급부 400 : 제어부
1000 : 김 절단장치 1100 : 프레임
1200 : 공급김안착부 1300 : 김이동부
1310 : 실린더 1320 : 김밀판
1321 : 판부 1323 : 푸셔배출홈
1400 : 김절단이송부 1410 : 판부
1420 : 김절단홈 1430 : 푸셔이동안내홈
1440 : 김파지홈 1500 : 김가압부
1510 : 수직실린더 1520 : 누름판부재
1530 : 김후방누름부재 1540 : 김절단부누름부재
1600 : 김절단수단 1620 : 김절단칼날
1700 : 1스텝이송기 1740 : 김푸셔
1800 : 절단김공급부 1900 : 김상승방지스톱퍼
1950 : 김셋팅고정부 1951 : 김셋팅실린더
1951a: 로드 1952 : 김셋팅지지판

Claims (11)

  1. 김조미공정과 근접하여 설치되어 김구이기에서 보내온 김이 공급되면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되면서 일정한 모양으로 절단하여 김수용용기에 공급하도록 된 김 자동포장기용 김 절단장치에 있어서,
    공장 바닥에 수직으로 설치된 프레임(1100)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이송 공급되는 김을 안착시키도록 된 공급김안착부(1200)와, 상기 공급김안착부에 안착된 김을 김수용용기가 있는 쪽으로 일정길이 밀어서 이동하도록 프레임에 설치된 김이동부(1300)와, 상기 김이동부에 의해 김이 이동하여 안착되도록 프레임에 설치된 김절단이송부(1400)와, 상기 김절단이송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김절단이송부에 유입된 김을 절단시와 이송시에 맞추어 김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각각 셋팅된 압력으로 가압하도록 된 김가압부(1500)와, 상기 김가압부에 의해 가압된 김을 절단하도록 프레임에 설치된 김절단수단(1600)과, 상기 김절단수단(1600)이 내려와서 상기 김가압부(1500)로 가압된 김을 절단하기 전에 김을 파지함과 더불어, 김이 절단된 후 회전하여 이송되는 김수용용기에 김을 투입하도록 된 절단김공급부(18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자동포장기용 김 절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김절단이송부(1400)의 선단 하부에서 상승하여 상기 김이동부(1300)에서 이동하는 적층된 김이 넘어지지 않도록 김절단이송부의 선단부에서 지지함과 더불어 김절단수단의 김절단칼날에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김절단이송부의 하부로 내려가도록 된 김셋팅고정부(1950)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자동포장기용 김 절단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서 상승하여 김절단이송부(1400)로 공급된 김을 절단할 폭과 같은 일정한 길이로 순차적으로 밀어서 이동함과 더불어 김을 마지막 스텝까지 밀고는 김이 김절단이송부(1400)로 유입될 때와 같이 프레임의 하부에 대기하도록 된 1스텝이송기(1700)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자동포장기용 김 절단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김이동부(1300)는, 상기 프레임(1100)에 지지되어 고정된 실린더(1310)와, 이 실린더의 로드에 고정되어 상기 공급김안착부(1200)에 안착된 김을 김절단이송부(1400)로 이송하도록 안내되는 김밀판(132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공급김안착부(1200)의 상부와 김밀판(1320)의 하부에는 김절단이송부(1400)쪽을 향하여 상기 공급김안착부(1200)에 안착된 김을 일정길이 밀때 이동시 김이 낱장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요철형태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김이탈방지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자동포장기용 김 절단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김밀판(1320)을 구성하는 판부(1321)의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하부에서 수직하게 일정길이의 푸셔배출홈(1323)이 하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자동포장기용 김 절단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김절단이송부(1400)는, 상기 공급김안착부(1200)와 평행하게 연장된 판부(1410)와, ㅛ자형상으로 형성된 김절단홈(1420)과, 상기 공급김안착부(1200)에 안착된 김(130)을 일정길이 밀어서 이동하도록 형성된 요홈(1210)과 김절단홈(1420)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1스텝이송기(1700)가 김을 일정길이씩 이동시킬 수 있도록 갖춰진 푸셔이동안내홈(1430)과, 상기 김절단수단(1600)이 김절단홈(1420)으로 들어가면서 절단되는 김(130)을 파지할 수 있도록 된 절단김공급부(1800)가 위치하도록 형성된 김파지홈(144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자동포장기용 김 절단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김가압부(1500)는, 상기 프레임(1100)에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김의 이동시와 절단시의 높이를 제어하도록 작동되는 수직실린더(1510)와, 이 수직실린더의 로드에 고정됨과 더불어 상기 김절단수단(1600)의 김절단칼날(1620)을 안내하는 칼날안내홈(1521)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1스텝이송기(1700)의 도피홈(1522)이 형성된 누름판부재(1520)와, 이 누름판부재의 하부이면서 도피홈(1522)이 형성된 쪽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고정된 김후방누름부재(1530)와, 상기 누름판부재의 하부이면서 칼날안내홈이 형성된 쪽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고정된 김절단부누름부재(15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자동포장기용 김 절단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1스텝이송기(1700)는, 제어부에 의해 작동되어 김공급부(100)쪽에서 김수용용기이송부(200)쪽으로 순차적으로 1스텝식 작동되는 스텝이동실린더(1710)와, 이 스텝이동실린더의 로드에 연결됨과 더불어 상기 프레임(1100)의 측벽에 형성된 안내홈(1110)에 양단이 안내되어 이동하도록 된 이동블럭(1720)과, 이 이동블럭의 하부로 설치된 수직실린더(1730)와, 이 수직실린더의 로드에 고정되어 상하로 이동함과 더불어 상기 스텝이동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김을 1스텝씩 김수용용기쪽으로 이동하되 1스텝의 이동은 상승된 상태로 있으면서 상기 푸셔이동안내홈(1430)과 도피홈(1522)으로 끼워지고 마지막 스텝에서는 김을 밀고 나서 하부로 빠져 최초의 대기 상태로 이동하도록 된 U자 형상의 김푸셔(17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자동포장기용 김 절단장치.
  9. 김조미공정에서 보내온 김이 공급되면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되면서 일정한 모양으로 절단하여 김수용용기에 공급하도록 된 김 자동포장기용 김 절단방법에 있어서,
    김조미공정에서 적층된 김이 공급되어 프레임(1100)의 상부에 설치된 공급김안착부(1200)에 안착시키는 단계(S1)와,
    상기 공급김안착부에 안착된 김을 김이동부(1300)가 김절단이송부(1400)쪽으로 일정길이 밀어서 이동시키고 김밀판(1320)은 공급김안착부(1200)쪽으로 복귀하는 단계(S2)와,
    상기 김절단이송부의 상부에 설치된 김가압부(1500)가 김절단이송부에 유입된 김을 이송시에 맞추어 김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각각 셋팅된 압력으로 가압하는 단계(S4)와,
    상기 김가압부(1500)가 최대한 하강하여 김을 가압하고 가압된 김을 절단김공급부(1800)가 파지함과 더불어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된 김절단수단(1600)의 김절단칼날(1620)이 하강하여 상기 김가압부에 의해 가압된 김을 절단하는 단계(S5)와,
    상기 김가압부(1500)가 김절단이송부에 유입된 김을 이송시에 맞추어 김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셋팅된 압력으로 가압함과 더불어 김절단수단(1600)의 김절단칼날(1620)이 상승하여 대기하는 한편 상기 절단김공급부는 회전하여 절단된 김을 김수용용기에 공급하는 단계(S6)와,
    상기 김가압부(1500)에 의해 넘어지지 않도록 가압한 김을 절단할 폭과 같은 일정한 길이로 1스텝이송기(1700)가 1스텝 이동시키는 단계(S7)와,
    상기 김가압부(1500)에 의해 최대한 가압하고 가압된 김을 절단김공급부(1800)가 파지함과 더불어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된 김절단수단(1600)의 김절단칼날(1620)이 하강하여 상기 김가압부에 의해 가압된 김을 절단하는 단계(S8)와,
    상기 김가압부(1500)가 김절단이송부에 유입된 김을 이송시에 맞추어 김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각각 셋팅된 압력으로 가압함과 더불어 김절단수단(1600)의 김절단칼날(1620)이 상승하여 대기하는 한편 상기 절단김공급부는 회전하여 절단된 김을 재차 김수용용기에 공급하는 단계(S9)와,
    상기 1스텝이송기(1700)가 김가압부(1500)에 의해 넘어지지 않도록 가압한 김을 절단할 폭과 같은 일정한 길이로 또 한번의 1스텝 이동시킨 후, 1스텝이송기(1700)의 U자 형상의 김푸셔(1740)는 상기 공급김안착부(1200)에 안착된 김을 김이동부(1300)가 김절단이송부(1400)쪽으로 일정길이 밀기 전의 단계로 대기시키는 단계(S10)와,
    상기 김가압부(1500)에 의해 최대한 가압하고 가압된 김을 절단김공급부(1800)가 파지함과 더불어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된 김절단수단(1600)의 김절단칼날(1620)이 하강하여 상기 김가압부에 의해 가압된 김을 절단한 후 상기 김가압부(1500)와 김절단수단(1600)이 최대한 상승하여 대기하는 단계(S11)와,
    상기 절단김공급부(1800)는 회전하여 절단된 김을 김수용용기에 공급하고 대기하는 단계(S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자동포장기용 김 절단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서 1스텝이송기(1700)가 상승하여 김절단이송부(1400)로 공급된 김에 밀착되는 단계(S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자동포장기용 김 절단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김안착부에 안착된 김을 김이동부(1300)가 김절단이송부(1400)쪽으로 일정길이 밀어서 이동시키고 김밀판(1320)은 공급김안착부(1200)쪽으로 복귀하는 단계(S2)와,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서 1스텝이송기(1700)가 상승하여 김절단이송부(1400)로 공급된 김에 밀착되는 단계(S3)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자동포장기용 김 절단방법.
KR1020120147200A 2012-12-17 2012-12-17 김 자동포장기용 김절단 장치 및 방법 KR101262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7200A KR101262694B1 (ko) 2012-12-17 2012-12-17 김 자동포장기용 김절단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7200A KR101262694B1 (ko) 2012-12-17 2012-12-17 김 자동포장기용 김절단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2694B1 true KR101262694B1 (ko) 2013-05-15

Family

ID=48665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7200A KR101262694B1 (ko) 2012-12-17 2012-12-17 김 자동포장기용 김절단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269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3240B1 (ko) * 2013-06-19 2013-09-04 주식회사 정철 김 절단장치
KR20190115650A (ko) * 2018-04-03 2019-10-14 주식회사 한양포장기계 김포장장치
KR20200127500A (ko) 2019-05-02 2020-11-11 강신탁 해조류 수산물의 절단 기계장치
KR102509810B1 (ko) 2022-05-09 2023-03-14 김병철 김 다매 정밀 자동절단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870B1 (ko) 2007-04-27 2008-07-03 최병화 구이 김 절단 및 수납장치
KR101124306B1 (ko) 2009-07-13 2012-03-28 강신탁 김절단 포장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870B1 (ko) 2007-04-27 2008-07-03 최병화 구이 김 절단 및 수납장치
KR101124306B1 (ko) 2009-07-13 2012-03-28 강신탁 김절단 포장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3240B1 (ko) * 2013-06-19 2013-09-04 주식회사 정철 김 절단장치
KR20190115650A (ko) * 2018-04-03 2019-10-14 주식회사 한양포장기계 김포장장치
KR102046860B1 (ko) 2018-04-03 2019-12-02 주식회사 한양포장기계 김포장장치
KR20200127500A (ko) 2019-05-02 2020-11-11 강신탁 해조류 수산물의 절단 기계장치
KR102509810B1 (ko) 2022-05-09 2023-03-14 김병철 김 다매 정밀 자동절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20978B1 (en) Automatic meal serving system
KR101262694B1 (ko) 김 자동포장기용 김절단 장치 및 방법
KR101964205B1 (ko) 꼬치용 자동 제조장치
KR101240421B1 (ko) 김 자동포장기용 김절단장치의 김공급부
CN109715535A (zh) 用于在目标货盘上码垛混合产品的装载系统
CN104607993A (zh) 料盘式自动上料收盘设备
US20130074453A1 (en) Packing Process and Apparatus for Multiple Rows of Horizontally Stacked Products
KR100842870B1 (ko) 구이 김 절단 및 수납장치
EP0534558B1 (en) Device for loading and unloading egg containers
KR200449076Y1 (ko) 김 절단장치
JP6219643B2 (ja) 物品箱詰め装置
KR100515442B1 (ko) 구이김 자동 절단 및 수납장치
US20190217492A1 (en) Installation for cutting food products equipped with means for filling the chute
KR200344111Y1 (ko) 구이김 가공 자동화 시스템
EP3265410B1 (en) Tray stack dispenser
KR100918307B1 (ko) 김절단 장치
WO2001002275A1 (en) Apparatus for stacking or destacking containers
US2017007139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atch cooking in continuous automated plant
CN214905833U (zh) 炒食机的熟食自动装盒装置
EP2676885B1 (en)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rod-shaped articles
CN210594230U (zh) 一种金属容器底盖的连续送给装置
GB2353776A (en) Stacking and destacking of nestable containers
KR101003285B1 (ko) 두부 담기 장치
US20170233119A1 (en) Quad Wicket Exchange System
JP6765135B2 (ja) 段積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