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7500A - 해조류 수산물의 절단 기계장치 - Google Patents

해조류 수산물의 절단 기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7500A
KR20200127500A KR1020190051743A KR20190051743A KR20200127500A KR 20200127500 A KR20200127500 A KR 20200127500A KR 1020190051743 A KR1020190051743 A KR 1020190051743A KR 20190051743 A KR20190051743 A KR 20190051743A KR 20200127500 A KR20200127500 A KR 202001275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eed
cutting
laver
aquatic product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1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7228B1 (ko
Inventor
강신탁
강석준
Original Assignee
강신탁
강석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신탁, 강석준 filed Critical 강신탁
Priority to KR1020190051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7228B1/ko
Publication of KR20200127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75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7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7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2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with interrelated action between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1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26D7/0608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by pus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2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machines
    • B26D7/2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machines arranged to disable the operating means for the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2007/0012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r special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D2007/0018Trays, reservoirs for waste, chips or cut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02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food products, e.g. food slic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dible Seawee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10) 상에 유입되는 김, 미역, 다시마, 부각, 김스낵 등의 해조류 수산물(1)을 절단하는 절단 기계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유입되어 안착대(24) 상에 안착되는 낱개 또는 다수개의 해조류 수산물(1)을 배출부(11)로 순차 이송되게 회전기어(23)를 통해 회전하는 공급체인(21)에 고정되는 밀대(22)로 이송하는 이송부(20); 상기 이송부(20) 상에 이송되는 해조류 수산물(1)을 수용한 상태로 가압하는 가압수단(31)을 구비하고, 가압수단(31)으로부터 가압된 해조류 수산물(1)을 절단하게 절단칼날(35)을 구비하는 절단부(30); 및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해조류 수산물(1)로부터 발생되어 낙하되는 이물질을 수집하게 구비하는 제거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김, 미역, 다시마, 부각, 김스낵 등의 해조류 수산물을 이송하는 상태에서 낱개 또는 다수개를 면밀하게 고정하여 정확한 절단이 가능하도록 하고, 해조류 수산물을 이송하면서 절단이 가능함에 따라 작업 시간의 단축과 함께 작업성의 향상을 가져오며, 작업자의 안전성을 높여 원활한 작업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해조류 수산물의 절단 기계장치{Cutting machinery for marine aquatic products}
본 발명은 해조류 수산물의 절단 기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김, 미역, 다시마, 부각, 김스낵 등의 해조류 수산물을 이송하는 상태에서 낱개 또는 다수개를 면밀하게 고정하여 정확한 절단이 가능하도록 하고, 해조류 수산물을 이송하면서 절단이 가능함에 따라 작업 시간의 단축과 함께 작업성의 향상을 가져오며, 작업자의 안전성을 높여 원활한 작업이 가능한 해조류 수산물의 절단 기계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해조류 수산물은 바다에서 섭취가 가능하게 제조한 김, 미역, 다시마, 부각, 김스낵 등을 말하는 것으로 식사를 하기 위한 반찬에서부터 간식, 술안주 등으로 다양한 용도로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한다. 해조류 수산물은 한식의 대중화와 함께 한류 음식 문화 전파를 통해 외국인들에게까지도 기호식품으로 그 수요가 점차 늘어나 인기 상품에 하나로 부각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종래에는 해조류 수산물을 절단할 경우 수작업을 통한 절단을 시행하였기 때문에 작업성이 현저하게 떨어졌고, 장치를 통한 절단을 시행하여도 해조류 수산물의 손쉬운 파손이 심각하거나 반드시 정지시킨 상태에서 절단을 시행하여야 함으로 높은 불량률과 함께 작업시간이 늘어나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일예로, 한국 등록특허 제1262694호에 따르면, '김조미공정과 근접하여 설치되어 김구이기에서 보내온 김이 공급되면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되면서 일정한 모양으로 절단하여 김수용용기에 공급하도록 된 김 자동포장기용 김 절단장치에 있어서, 공장 바닥에 수직으로 설치된 프레임(1100)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이송 공급되는 김을 안착시키도록 된 공급김안착부(1200)와, 상기 공급김안착부에 안착된 김을 김수용용기가 있는 쪽으로 일정길이 밀어서 이동하도록 프레임에 설치된 김이동부(1300)와, 상기 김이동부에 의해 김이 이동하여 안착되도록 프레임에 설치된 김절단이송부(1400)와, 상기 김절단이송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김절단이송부에 유입된 김을 절단시와 이송시에 맞추어 김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각각 셋팅된 압력으로 가압하도록 된 김가압부(1500)와, 상기 김가압부에 의해 가압된 김을 절단하도록 프레임에 설치된 김절단수단(1600)과, 상기 김절단수단(1600)이 내려와서 상기 김가압부(1500)로 가압된 김을 절단하기 전에 김을 파지함과 더불어, 김이 절단된 후 회전하여 이송되는 김수용 용기에 김을 투입하도록 된 절단김공급부(18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자동포장기용 김 절단장치.'를 제시한다.
하지만, 이러한 김 자동포장기용 김 절단장치는 김을 절단하기 위해서는 김을 정지 시킨 상태로 김을 절단하여야 함으로 작업성이 현저하게 떨어지고, 수직 낙하를 통한 절단을 시행함으로 김 같이 부드러운 재질을 가지는 수산물을 절단할 수는 있으나 미역, 다시마, 부각, 김스낵 등의 딱딱한 재질을 가지는 수산물을 절단 시 절단 보다는 파손됨이 큰 문제가 발생한다.
또, 다른 예로, 한국 등록특허 제1240421호에 따르면, '김조미공정과 근접하여 설치되어 김구이기에서 보내온 김이 공급되면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되면서 김을 절단할 김절단이송부의 위치로 공급하도록 된 김 자동포장기용 김 절단장치의 김공급부에 있어서, 공장의 바닥에 설치되는 프레임(1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이송 공급되는 김을 안착시키도록 된 공급김안착부(1200)에 안착된 김(130)을 김수용용기(210)가 있는 쪽으로 일정길이 밀어서 이동하도록 프레임에 설치된 김 이동부(1300)와, 상기 프레임(1100)의 하부에서 상승하여 김절단이송부(1400)로 공급된 김을 절단할 폭과 같은 일정한 길이로 순차적으로 밀어서 이동함과 더불어 김을 마지막 스텝까지 밀고는 김이 김절단이송부로 유입될 때와 같이 프레임의 하부에 대기하도록 된 1스텝이송기(1700)를 포함하고, 상기 김이동부(1300)는,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어 고정된 실린더(1310)와, 이 실린더의 로드에 고정되어 상기 공급김안착부에 안착된 김을 김절단이송부로 이송하도록 안내되는 김밀판(132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김밀판을 구성하는 판부의 수직방향으로 하부에서 수직하게 일정길이의 푸셔배출홈(1323)이 하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포장기용 김 절단장치의 김공급부.'를 제시한다.
하지만, 이러한 자동포장기용 김 절단장치의 김공급부도 역시 김을 절단하기 위해서는 김을 정지 시킨 상태로 김을 절단하여야 함으로 작업성이 현저하게 떨어지고, 수직 낙하를 통한 절단을 시행함으로 김 같이 부드러운 재질을 가지는 수산물을 절단할 수는 있으나 미역, 다시마, 부각, 김스낵 등의 딱딱한 재질을 가지는 수산물을 절단 시 절단 보다는 파손됨이 큰 문제가 발생한다.
한국 등록특허 제1262694호 "김 자동포장기용 김 절단장치"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240421호 "자동포장기용 김 절단장치의 김공급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김, 미역, 다시마, 부각, 김스낵 등의 해조류 수산물을 이송하는 상태에서 낱개 또는 다수개를 면밀하게 고정하여 정확한 절단이 가능하도록 하고, 해조류 수산물을 이송하면서 절단이 가능함에 따라 작업 시간의 단축과 함께 작업성의 향상을 가져오며, 작업자의 안전성을 높여 원활한 작업이 가능한 해조류 수산물의 절단 기계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 상에 유입되는 김, 미역, 다시마, 부각, 김스낵 등의 해조류 수산물을 절단하는 절단 기계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부에 유입되어 안착대 상에 안착되는 낱개 또는 다수개의 해조류 수산물을 배출부로 순차 이송되게 회전기어를 통해 회전하는 공급체인에 고정되는 밀대로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 상에 이송되는 해조류 수산물을 수용한 상태로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구비하고, 가압수단으로부터 가압된 해조류 수산물을 절단하게 절단칼날을 구비하는 절단부; 및 상기 본체의 하부에 해조류 수산물로부터 발생되어 낙하되는 이물질을 수집하게 구비하는 제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상기 절단부는 해조류 수산물의 절단 상태를 확인하게 내부가 투영되게 형성되는 보호박스와, 보호박스의 상부에 작업자가 개폐 가능하게 손잡이를 구비하는 개폐도어와, 작업자의 안전을 보호하게 개폐도어의 개폐 시 이송부와 절단부의 모든 작동 상태를 정지시키는 가압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절단부의 가압수단은 이송부로부터 이송되어 유입되는 해조류 수산물을 수용하는 절곡부와, 절곡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탄성력을 통해 해조류 수산물을 가압하는 가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이송부와 절단부는 이송되는 해조류 수산물의 면밀한 절단이 가능하게 50∼200rpm으로 회전하여 이송하는 회전기어와, 2000∼3000rpm으로 회전하여 절단하는 절단칼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거부는 본체의 하부에 해조류 수산물로부터 발생되어 낙하되는 이물질을 수집하게 안착대 상에 안착되는 한 개 이상의 수용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김, 미역, 다시마, 부각, 김스낵 등의 해조류 수산물을 이송하는 상태에서 낱개 또는 다수개를 면밀하게 고정하여 정확한 절단이 가능하도록 하고, 해조류 수산물을 이송하면서 절단이 가능함에 따라 작업 시간의 단축과 함께 작업성의 향상을 가져오며, 작업자의 안전성을 높여 원활한 작업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조류 수산물의 절단 기계장치의 측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조류 수산물의 절단 기계장치의 후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해조류 수산물의 절단 기계장치의 상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해조류 수산물의 절단 기계장치의 절단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해조류 수산물의 절단 기계장치의 절단부의 사용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본체(10) 상에 유입되는 김, 미역, 다시마, 부각, 김스낵 등의 해조류 수산물(1)을 절단하는 절단 기계장치에 관련되며, 이송부(20), 절단부(30), 제거부(40)를 주요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송부(20)는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유입되어 안착대(24) 상에 안착되는 낱개 또는 다수개의 해조류 수산물(1)을 배출부(11)로 순차 이송되게 회전기어(23)를 통해 회전하는 공급체인(21)에 고정되는 밀대(22)로 이송한다. 이송부(20)는 본체(10) 상에 형성되어 일측 방향에서 별도의 투입기(미도시)를 통해 유입되는 김, 미역, 다시마, 부각, 김스낵 등으로 이루어지는 해조류 수산물(1)을 타측 방향에 형성된 배출부(11)로 순차적 이송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송부(20)는 다수개의 안착대(24)를 통해 해조류 수산물(1)이 안착하게 되고, 본체(10) 상에 설치되어 제1모터(M1)를 통해 회전되는 회전기어(23)를 통해 공급체인(21)도 회전하게 되고, 공급체인(21) 상에 장착된 밀대(22)가 다수개의 안착대(24) 사이에 돌출 형성되어 공급체인(21)을 통해 이송하게 됨으로 안착대(24)에 안착되어 있는 해조류 수산물(1)은 밀대(22)에 의해 안전한 이송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절단부(30)는 상기 이송부(20) 상에 이송되는 해조류 수산물(1)을 수용한 상태로 가압하는 가압수단(31)을 구비하고, 가압수단(31)으로부터 가압된 해조류 수산물(1)을 절단하게 절단칼날(35)을 구비한다. 절단부(30)는 본체(10)의 상부에 배출부(11)에 근접하게 형성되어 이송부(20)의 밀대(22)에 의해 순차적으로 이송되는 해조류 수산물(1)을 절단하게 된다. 이송되는 해조류 수산물(1)을 절단하기 위해서 가압수단(31)으로 해조류 수산물(1)을 수용한 상태로 가압한 상태로 절단부(30)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절단칼날(35)에 의하여 절단하게 되는데 해조류 수산물(1)을 정지시킨 상태로 절단하는 것이 아닌 이송과 함께 절단이 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서 절단칼날(35)은 해조류 수산물(1)의 김, 미역, 다시마, 부각, 김스낵 등의 종류에 따라 일반 칼날 형태를 사용하거나 톱날 형태 등으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제2모터(M2)를 통해 절단칼날(35)을 회전시켜 절단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절단부(30)는 해조류 수산물(1)의 절단 상태를 확인하게 내부가 투영(透映)되게 형성되는 보호박스(34)와, 보호박스(34)의 상부에 작업자가 개폐 가능하게 손잡이(36a)를 구비하는 개폐도어(36)와, 작업자의 안전을 보호하게 개폐도어(36)의 개폐 시 이송부(20)와 절단부(30)의 모든 작동 상태를 정지시키는 가압센서(3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절단부(30)는 절단칼날(35)로부터 안전한 작업이 가능하도록 보호박스(34)에 의해 보호되는데 보호박스(34)는 해조류 수산물(1)의 절단 상태를 확인이 가능하도록 전체 또는 일부분이 투영되게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보호박스(34)의 상부에는 작업자가 손잡이(36a)에 의해 개폐 가능하도록 개폐도어(36)가 형성되는 바, 작업자가 개폐도어(36)를 개방하였을 때 절단칼날(35)에 의한 부상이 발생할 수 있음으로 상술한 제1모터(M1)와 제2모터(M2)의 회전을 차단할 수 있도록 가압센서(37)를 구비한다. 이러한 가압센서(37)는 개폐도어(36)가 가압된 상태로 제1모터(M1)와 제2모터(M2)를 작동시키게 되고, 가압센서(37)를 가압하는 개폐도어(36)를 개방하게 되면 제1모터(M1)와 제2모터(M2)를 작동을 차단하여 이송부(20)와 절단부(30)의 모든 작동 상태를 정지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절단부(30)의 가압수단(31)은 이송부(20)로부터 이송되어 유입되는 해조류 수산물(1)을 수용하는 절곡부(32)와, 절곡부(32)와 일체로 형성되어 탄성력을 통해 해조류 수산물(1)을 가압하는 가압부(3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절단부(30)의 가압수단(31)은 상술하여 설명하였듯이 낱개 또는 다수개의 해조류 수산물(1)을 이송과 함께 절단을 시행할 수 있도록 면밀한 가압이 가능하도록 하는 바, 낱개 또는 다수개의 해조류 수산물(1)의 유입이 원활하여 수용이 가능하게 절곡부(32)를 구비하고, 절곡부(32)와 일체로 형성되어 유입된 해조류 수산물(1)을 탄성력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가압부(33)를 구비한다. 이러한, 절곡부(32)와 가압부(33)는 해조류 수산물(1)의 유입과 함께 가압이 가능함으로 이송부(20)를 통한 해조류 수산물(1)이 이송하면서 면밀한 고정력과 함께 절단부(30)를 통한 절단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이송부(20)와 절단부(30)는 이송되는 해조류 수산물(1)의 면밀한 절단이 가능하게 50∼200rpm으로 회전하여 이송하는 회전기어(23)와, 2000∼3000rpm으로 회전하여 절단하는 절단칼날(3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절단부(30)를 통해 해조류 수산물(1)을 원활하게 절단이 가능하도록 회전기어(23)와 절단칼날(35)의 회전수를 달리하여 이송되는 해조류 수산물(1)을 절단하게 되는 바, 이송부(20)의 회전기어(23)의 회전수를 50∼200rpm으로 회전하게 되고, 절단칼날(35)의 회전수를 2000∼3000rpm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는, 상대적으로 해조류 수산물(1)를 이송시키는 회전기어(23)의 회전수는 해조류 수산물(1)을 절단하는 절단칼날(35)의 회전수보다 적어짐으로 이송부(20)를 통해 이송하는 해조류 수산물(1)이 절단칼날(35)에 의해 원활한 절단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제거부(40)는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해조류 수산물(1)로부터 발생되어 낙하되는 이물질을 수집하게 구비한다. 제거부(40)는 본체(10)의 하부에 형성되어 해조류 수산물(1)로부터 발생되어 낙하되는 이물질을 수집할 수 있도록 해조류 수산물(1)이 유입되는 부분부터 배출부(11) 까지 전체 또는 절단부(30)의 직하방으로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해조류 수산물(1)이 유입되는 부분부터 배출부(11) 까지 전체로 형성되어 이물질을 수집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때, 상기 제거부(40)는 본체(10)의 하부에 해조류 수산물(1)로부터 발생되어 낙하되는 이물질을 수집하게 안착대(41) 상에 안착되는 한 개 이상의 수용판(4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체(10)의 하부에는 돌출 형성되는 안착대(41)를 구비하고, 안착대(41)의 상부에 수용판(42)을 삽설하여 해조류 수산물(1)로부터 발생되어 낙하되는 이물질이 수용판(42)의 내부로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수용판(42)은 한 개 이상으로 형성할 수 있는 바, 상부는 그물망 형태로 형성하고, 하부에는 막힌 형태로 형성함에 따라 각각의 다른 이물질 등을 따로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도 1 내지 5b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해조류 수산물의 절단 기계장치에 있어서, 본체(10) 상에 유입되는 김, 미역, 다시마, 부각, 김스낵 등의 해조류 수산물(1)을 이송부(20)를 통해 원활하게 이송하면서 절단부(30)의 가압수단(31)으로 가압된 해조류 수산물(1)을 절단칼날(35)로 면밀하게 절단을 시행하고, 절단 또는 이송을 통한 해조류 수산물(1)로부터 발생되어 낙하되는 이물질을 제거부(40)를 통해 수집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김, 미역, 다시마, 부각, 김스낵 등의 해조류 수산물을 이송하는 상태에서 낱개 또는 다수개를 면밀하게 고정하여 정확한 절단이 가능하도록 하고, 해조류 수산물을 이송하면서 절단이 가능함에 따라 작업 시간의 단축과 함께 작업성의 향상을 가져오며, 작업자의 안전성을 높여 원활한 작업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해조류 수산물 10: 본체
11: 배출부 20: 이송부
21: 공급체인 22: 밀대
23: 회전기어 24: 안착대
30: 절단부 31: 가압수단
32: 절곡부 33: 가압부
34: 보호박스 35: 절단칼날
36: 개폐도어 36a: 손잡이
37: 가압센서 40: 제거부
41: 안착대 42: 수용판
M1: 제1모터 M2: 제2모터

Claims (5)

  1. 본체(10) 상에 유입되는 김, 미역, 다시마, 부각, 김스낵 등의 해조류 수산물(1)을 절단하는 절단 기계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유입되어 안착대(24) 상에 안착되는 낱개 또는 다수개의 해조류 수산물(1)을 배출부(11)로 순차 이송되게 회전기어(23)를 통해 회전하는 공급체인(21)에 고정되는 밀대(22)로 이송하는 이송부(20);
    상기 이송부(20) 상에 이송되는 해조류 수산물(1)을 수용한 상태로 가압하는 가압수단(31)을 구비하고, 가압수단(31)으로부터 가압된 해조류 수산물(1)을 절단하게 절단칼날(35)을 구비하는 절단부(30); 및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해조류 수산물(1)로부터 발생되어 낙하되는 이물질을 수집하게 구비하는 제거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 수산물의 절단 기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30)는 해조류 수산물(1)의 절단 상태를 확인하게 내부가 투영(透映)되게 형성되는 보호박스(34)와, 보호박스(34)의 상부에 작업자가 개폐 가능하게 손잡이(36a)를 구비하는 개폐도어(36)와, 작업자의 안전을 보호하게 개폐도어(36)의 개폐 시 이송부(20)와 절단부(30)의 모든 작동 상태를 정지시키는 가압센서(3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 수산물의 절단 기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30)의 가압수단(31)은 이송부(20)로부터 이송되어 유입되는 해조류 수산물(1)을 수용하는 절곡부(32)와, 절곡부(32)와 일체로 형성되어 탄성력을 통해 해조류 수산물(1)을 가압하는 가압부(3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 수산물의 절단 기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20)와 절단부(30)는 이송되는 해조류 수산물(1)의 면밀한 절단이 가능하게 50∼200rpm으로 회전하여 이송하는 회전기어(23)와, 2000∼3000rpm으로 회전하여 절단하는 절단칼날(3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 수산물의 절단 기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부(40)는 본체(10)의 하부에 해조류 수산물(1)로부터 발생되어 낙하되는 이물질을 수집하게 안착대(41) 상에 안착되는 한 개 이상의 수용판(4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 수산물의 절단 기계장치
KR1020190051743A 2019-05-02 2019-05-02 해조류 수산물의 절단 기계장치 KR102187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743A KR102187228B1 (ko) 2019-05-02 2019-05-02 해조류 수산물의 절단 기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743A KR102187228B1 (ko) 2019-05-02 2019-05-02 해조류 수산물의 절단 기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7500A true KR20200127500A (ko) 2020-11-11
KR102187228B1 KR102187228B1 (ko) 2020-12-04

Family

ID=73451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1743A KR102187228B1 (ko) 2019-05-02 2019-05-02 해조류 수산물의 절단 기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72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47538A (zh) * 2020-12-21 2021-05-28 贵州省利增农业旅游发展有限公司 一种石斛鲜条切段设备
CN114800649A (zh) * 2022-05-12 2022-07-29 甘肃贝斯特岩棉科技有限公司 一种岩棉带加工用等规格切条装置及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4859Y1 (ko) * 2006-09-26 2006-12-28 정명훈 자동 육절기
KR20090094670A (ko) * 2008-03-03 2009-09-08 이석태 목재 절단기
KR101240421B1 (ko) 2012-12-17 2013-03-11 주식회사 한양포장기계 김 자동포장기용 김절단장치의 김공급부
KR101262694B1 (ko) 2012-12-17 2013-05-15 주식회사 한양포장기계 김 자동포장기용 김절단 장치 및 방법
KR20160001910A (ko) * 2014-06-27 2016-01-07 (주)지비테크 식재료 절단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4859Y1 (ko) * 2006-09-26 2006-12-28 정명훈 자동 육절기
KR20090094670A (ko) * 2008-03-03 2009-09-08 이석태 목재 절단기
KR101240421B1 (ko) 2012-12-17 2013-03-11 주식회사 한양포장기계 김 자동포장기용 김절단장치의 김공급부
KR101262694B1 (ko) 2012-12-17 2013-05-15 주식회사 한양포장기계 김 자동포장기용 김절단 장치 및 방법
KR20160001910A (ko) * 2014-06-27 2016-01-07 (주)지비테크 식재료 절단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47538A (zh) * 2020-12-21 2021-05-28 贵州省利增农业旅游发展有限公司 一种石斛鲜条切段设备
CN114800649A (zh) * 2022-05-12 2022-07-29 甘肃贝斯特岩棉科技有限公司 一种岩棉带加工用等规格切条装置及方法
CN114800649B (zh) * 2022-05-12 2023-10-27 甘肃贝斯特岩棉科技有限公司 一种岩棉带加工用等规格切条装置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7228B1 (ko) 2020-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7228B1 (ko) 해조류 수산물의 절단 기계장치
KR100444887B1 (ko) 멀티팩포장장치
FI86521C (fi) Cirkelskaermaskin.
CN101531255B (zh) 一种桶装奶茶包装流水线
DE102015015166B4 (de) Aufschnittschneidmaschine und Aufschnittschneidverfahren
EP2251159A3 (en) Conveyor drive for food slicing machine
CN205870711U (zh) 一种自动化食品切割系统
CN101384203A (zh) 将鸡蛋进给到鸡蛋打破设备的方法和鸡蛋打破设备
US8439183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imming wood blocks
EP1270462A1 (de) Übergabevorrichtung und -verfahren für Folienbeutel
AU642272B2 (en) Device and process for unstacking small objects
CN110744599B (zh) 一种土豆清洗和切片装置
CN108576169A (zh) 一种自动锯骨机
EP2085337B1 (fr) Dispositif de sélection optimisée d'articles de courrier
DE102016111357A1 (de) Vorrichtung zum Transport von Objekten
WO2004033306A8 (en) A device for cutting packages containing a plurality of product units
JP4906592B2 (ja) 食パン切断装置
CN102114645B (zh) 将食品条切成片的方法和设备
DE2103460A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Verpacken von Gegenstanden in Beutel
EP1787775B1 (en) Roller for laterally guiding a log onto a longitudinal conveyer
US3244209A (en) Fruit treating machine
US3724306A (en) Slicing machine
DE102020102139A1 (de) Aufschneidestation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Aufschneidestation
CN208639574U (zh) 大蒜根部凹切机
JP2006116615A (ja) 食肉スライサにおけるスライス片の案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