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0421B1 - 김 자동포장기용 김절단장치의 김공급부 - Google Patents
김 자동포장기용 김절단장치의 김공급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40421B1 KR101240421B1 KR1020120147201A KR20120147201A KR101240421B1 KR 101240421 B1 KR101240421 B1 KR 101240421B1 KR 1020120147201 A KR1020120147201 A KR 1020120147201A KR 20120147201 A KR20120147201 A KR 20120147201A KR 101240421 B1 KR101240421 B1 KR 10124042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ver
- cutting
- frame
- cylinder
- seam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6—Packaging slices or specially-shaped pieces of meat, cheese, or other plastic or tacky produc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65B35/4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by reciprocating or oscillatory push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02—Agricultural and processed food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dible Seawee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김 자동포장기용 김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김을 신속하게 이송함과 더불어 밀판의 후퇴와 김의 1스텝이동에 걸리는 시간을 최소화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된 김 자동포장기용 김절단장치의 김공급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김조미공정과 근접하여 설치되어 김구이기에서 보내온 김이 공급되면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되면서 김을 절단할 김절단이송부의 위치로 공급하도록 된 김 자동포장기용 김절단장치의 김공급부는, 프레임(1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이송 공급되는 김을 안착시키도록 된 공급김안착부(1200)에 안착된 김(130)을 김수용용기(210)가 있는 쪽으로 일정길이 밀어서 이동하도록 프레임에 설치된 김이동부(1300)와, 상기 프레임(1100)의 하부에서 상승하여 김절단이송부(1400)로 공급된 김을 절단할 폭과 같은 일정한 길이로 순차적으로 밀어서 이동함과 더불어 김을 마지막 스텝까지 밀고는 김이 김절단이송부로 유입될 때와 같이 프레임의 하부에 대기하도록 된 1스텝이송기(1700)를 포함하고, 상기 김이동부(1300)는,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어 고정된 실린더(1310)와, 이 실린더의 로드에 고정되어 상기 공급김안착부에 안착된 김을 김절단이송부로 이송하도록 안내되는 김밀판(132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김밀판을 구성하는 판부의 수직방향으로 하부에서 수직하게 일정길이의 푸셔배출홈(1323)이 하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김조미공정과 근접하여 설치되어 김구이기에서 보내온 김이 공급되면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되면서 김을 절단할 김절단이송부의 위치로 공급하도록 된 김 자동포장기용 김절단장치의 김공급부는, 프레임(1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이송 공급되는 김을 안착시키도록 된 공급김안착부(1200)에 안착된 김(130)을 김수용용기(210)가 있는 쪽으로 일정길이 밀어서 이동하도록 프레임에 설치된 김이동부(1300)와, 상기 프레임(1100)의 하부에서 상승하여 김절단이송부(1400)로 공급된 김을 절단할 폭과 같은 일정한 길이로 순차적으로 밀어서 이동함과 더불어 김을 마지막 스텝까지 밀고는 김이 김절단이송부로 유입될 때와 같이 프레임의 하부에 대기하도록 된 1스텝이송기(1700)를 포함하고, 상기 김이동부(1300)는,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어 고정된 실린더(1310)와, 이 실린더의 로드에 고정되어 상기 공급김안착부에 안착된 김을 김절단이송부로 이송하도록 안내되는 김밀판(132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김밀판을 구성하는 판부의 수직방향으로 하부에서 수직하게 일정길이의 푸셔배출홈(1323)이 하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김 자동포장기용 김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김을 신속하게 이송함과 더불어 이송하는 밀판의 후퇴와 김의 1스텝이동에 걸리는 시간을 최소화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된 김 자동포장기용 김절단장치의 김공급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내 및 일본 등 동양의 다수국에서 식생활 문화 중 주요 반찬류 중의 하나로 김이 포함되고 있다.
이러한 김은 가정에서 원료김을 구입하여 별도로 조리하기 보다는 미리 기름과 소금 등의 조미료에 의해 조리되며 구워진 상태로 생산되도록 하는 김 생산 공장에서 취식하기 용이한 크기로 절단되어 포장된 형태의 김을 구입하여 간편하게 취식하고 있는 추세에 있음은 주지된 바와 같다.
이와 같이 조리된 후 포장된 상태로 공급되는 김의 제조과정은 통상적으로, 원료김에 기름과 조미료 등을 도포한 다음 구워내는 김 조미공정과, 구워진 김을 다수장씩 적층 시킨 다음 절단한 후 그 절단된 구이김을 포장용기내에 수납하고, 장기보관 및 유통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이김 가공공정으로 분류되어진다.
이러한 구이김 가공공정의 경우, 김 조미공정 후 구워진 김을 포장용기내에수납하는 일련의 과정 중에서, 절단공정의 경우에만 부분적인 자동화가 이루어지고 있고, 일정 규격으로 절단 처리된 김을 포장용기내 수납하는 과정은 많은 인원이 수작업에 의해 진행되고 있어 생산성 향상에 많은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한민국 특허청에 기출원되어 등록되거나 또는 공개된 선행 기술은, 실용신안등록 제 344111 호인 "구이김 가공 자동화 시스템"과, 특허등록 제 0515442 호인 "구이김 자동 절단 및 수납장치"와, 특허등록 제 515443 호인 "연속 단위포장팩의 자동절단 장치" 등이 개시되고 있다.
이들 선행 기술의 경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있으나 실용신안 등록 제 344111 호인 "구이김 가공 자동화시스템"의 경우, 구이김을 절단 처리한 다음 푸셔에 의해 용기 내부로 절단된 구이김을 수납하는 과정에서, 다수개의 가압봉이 경사지며 용기내부측에 절단된 구이김을 수납하게 되는데, 가압봉의 경사각도에 따라 구이김이용기측에 정확하게 수납되기가 어렵다.
즉 절단된 구이김간 간격보다는 용기 테두리간 이격 거리에 의해 절단된 구이김이 그대로 수직상 하강하여 용기에 수납될 수 없게 되는데, 이를 해소하기 위해 선행 기술의 경우 가압봉을 경사지도록 형성하게 되는 것이어서 절단된 구이김이 경사진 상태로 용기내 수납될 수 밖에 없고, 또한 경사각도의 차이에 따라 용기내부로 진입되는 구이김이 정확하게 수납될 수 없는 경우가 발생되므로, 작업 과정에서 장치의 운전을 중지하여 재조정 또는 제대로 수납되지 않은 구이김을 수작업에 의해 용기내 재투입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뒤따르게 된다.
또한 종래의 김 절단장치의 경우 대략 1년 정도 사용 후에는 장비를 새로 보수하여야 하는 등 유지 보수 사이클이 비교적 짧고, 구운 김의 투입과정에서 김의 외관 처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커팅시 규격화된 절단 김을 얻기가 비교적 용이하지 않으며, 절단 하는 과정에서 이물질이 삽입되어 장치에 대한 유지 보수 작업의 빈도수가 잦아 유지보수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이 있어 생산성의 신뢰도가 저하되고, 생산 효율성이 가변되는 문제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김 절단장치부재를 이용하여 가구의 김 절단장치이나 테이블 상판등을 제조하게 되면 제품의 측면이 투박하여 상품성이 나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대한민국특허청에 등록실용신안공보로 실용등록 제20-0449076호로 고안의 명칭이 "김 절단장치"가 공지되어 있는바, 전 공정에 의해 구워진 상태로 공급되는 구이김을 절단 처리한 다음, 그 절단 처리된 구이김을 용기내에 정확히 수납 안착 될 수 있도록 하여, 구이김의 절단 및 수납과정에서 절단된 구이김이 용기를 벗어나 잘못 수납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장치의 운전 중지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므로서,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실용등록 제20-0449076호는, 김의 절단시 절단 규격이 정확히 이루어지도록 제어하고 유지 보수시 장치를 분해하는 작업 없이 현장에서 용이하게 유지 보수 작업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유지 보수 작업 사이클이 연장되도록 하여 전체적인 유지 보수 비용의 절감을 꾀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들은 모두 김을 9쪽으로 한꺼번에 절단하게 되므로 김 절단을 위한 절단부의 구조가 매우 복잡하게 되어, 제조비용이 고가이고, 문제발생시 해결하기 위한 시간도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참조문헌: 대한민국 실용등록 제20-0449076호 고안의 명칭 "김 절단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김을 신속하게 이송함과 더불어 이송하는 밀판의 후퇴와 김의 1스텝이동에 걸리는 시간을 최소화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된 김 자동포장기용 김절단장치의 김공급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김 자동포장기용 김절단 장치의 김공급부는,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이송 공급되는 김을 안착시키도록 된 공급김안착부에 안착된 김을 김수용용기가 있는 쪽으로 일정길이 밀어서 이동하도록 프레임에 설치된 김이동부와,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서 상승하여 김절단이송부로 공급된 김을 절단할 폭과 같은 일정한 길이로 순차적으로 밀어서 이동함과 더불어 김을 마지막 스텝까지 밀고는 김이 김절단이송부로 유입될 때와 같이 프레임의 하부에 대기하도록 된 1스텝이송기가 구비되되, 상기 김이동부는,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어 고정된 실린더와, 이 실린더의 로드에 고정되어 상기 공급김안착부에 안착된 김을 김절단이송부로 이송하도록 안내되는 김밀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김밀판을 구성하는 판부의 수직방향으로 하부에서 수직하게 일정길이의 푸셔배출홈이 하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1스텝이송기는, 수직실린더의 로드에 고정된 상태로 상승하여 푸셔이동안내홈과 도피홈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끼워질 때 푸셔배출홈에 의해 김밀판의 후퇴시에도 간섭을 받지 않고 적층된 김쪽으로 이동할 수 있어서 시간을 최적화 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적층된 김을 마지막까지 밀고 나서 하부로 빠져 최초의 대기 상태로 이동하도록 된 U자 형상의 김푸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김 자동포장기용 김절단장치의 김공급부에 의하면, 김을 신속하게 이송함과 더불어 이송하는 밀판의 후퇴와 김의 1스텝이동에 걸리는 시간을 최소화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김공급부를 갖춘 김 자동포장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우측면도,
도 4는 도 1의 김공급부를 나타내는 상세 평면도,
도 5는 도 4의 A방향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공급김안착부와 김절단이송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밀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가압부를 구성하는 누름판부재와 김후방누름부재 및 김절단부누름부재가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정면도,
도 10은 도 8의 좌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우측면도,
도 4는 도 1의 김공급부를 나타내는 상세 평면도,
도 5는 도 4의 A방향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공급김안착부와 김절단이송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밀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가압부를 구성하는 누름판부재와 김후방누름부재 및 김절단부누름부재가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정면도,
도 10은 도 8의 좌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공급부를 갖춘 김 자동포장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인용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부', '하부', '앞', '뒤', '선단', '전방', '후단'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김 절단장치(1000)를 포함하는 김 자동포장기는 도 1 내지 도 5을 참조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김 자동포장기는, 도시되지 않은 김조미공정과 근접하여 설치되어 김구이기에서 보내온 김(130)이 경사콘베어(110)에 올려지면 캐리어(120)에 의해 순차적으로 이송하도록 된 김공급부(100)와, 상기 김공급부에서 김이 공급되면 일정한 모양으로 절단하도록 된 김절단장치(1000)와, 상기 김절단장치에서 절단된 절단김을 이송하는 김수용용기(210)에 공급받아 이송하도록 된 김수용용기이송부(200)와, 상기 김수용용기이송부로 김수용용기를 한번에 3개씩 공급하도록 실린더가 작동되면 일렬로 배열된 김수용용기의 플랜지부를 밀어서 상부와 하부의 김수용용기를 분리하여 배출하도록 된 김수용용기공급부(300)와, 상기 김공급부와 김절단장치 및 김수용용기이송부와 김수용용기공급부를 제어하도록 된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따라서 김조미공정의 김구이기에서 조미된 김(130)이 상기 제어부(400)에 의해 제어되는 김공급부(100)의 상기 경사콘베어(110)에 적층된 상태로 올려져 캐리어(120)에 의해 김절단장치(1000)로 이송공급하게 되고, 이후 상기 김절단장치(1000)에서는 김이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1스텝 이동시 마다 3등분으로 절단되어 상기 김수용용기이송부(200)를 따라 이송되는 김수용용기(210)로 공급되어 포장부로 이송되게 되므로 자동포장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김절단장치(1000)는, 공장 바닥에 수직으로 설치된 프레임(1100)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이송 공급되는 김을 안착시키도록 된 공급김안착부(1200)와, 상기 공급김안착부에 안착된 김을 김수용용기가 있는 쪽으로 일정길이 밀어서 이동하도록 프레임에 설치된 김이동부(1300)와, 상기 김이동부에 의해 김이 이동하여 안착되도록 프레임에 설치된 김절단이송부(1400)와, 상기 김절단이송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김절단이송부에 유입된 김을 절단시와 이송시에 맞추어 김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각각 셋팅된 압력으로 가압하도록 된 김가압부(1500)와, 상기 김가압부에 의해 가압된 김을 절단하도록 프레임에 설치된 김절단수단(1600)과, 상기 김절단수단(1600)이 내려와서 상기 김가압부(1500)로 가압된 김을 절단하기 전에 김을 파지함과 더불어, 김이 절단된 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김수용용기이송부(200)로 이송되는 김수용용기(210)에 김을 투입하도록 된 절단김공급부(18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공급김안착부(1200)에서 김절단이송부(1400)로 공급된 김을 절단 폭과 같은 일정한 길이로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1스텝이송기(1700)가 더 포함된다.
따라서 상기 김공급부(100)로부터 공급김안착부(1200)로 적층된 김(130)이 공급되면 상기 김이동부(1300)의 실린더가 작동하여 김을 김절단이송부(1400)로 이송하게 되고, 상기 김이동부(1300)가 뒤로 빠지면서 이때 상기 김가압부(1500)가 일정 높이로 내려오면서 김이 넘어지지 않도록 파지하게 되며, 이후 상기 김가압부(1500)와 김절단수단(1600)이 하강하면서 삼등분된 앞쪽 길이에 해당하는 길이 만큼 절단하되, 길이 방향으로 3등분되어 김을 절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절단김공급부(1800)는 김이 절단되기 전에 김을 각각 파지하여 절단된 김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김수용용기(210)로 공급하게 된다.
이후 상기 1스텝이송기(17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1스텝씩 이동하면서 김을 밀어주게 된다. 그 후 한번더 1스텝이송기(1700)가 이동하면서 김을 밀어주고 하부로 이동하여 김이 김절단이송부(1400)로 공급될 당시의 상태로 대기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공급김안착부(1200)는 도 1 내지 도 3과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평면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김절단이송부(1400)쪽을 향하여 상기 공급김안착부(1200)에 안착된 김(130)을 일정길이 밀어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하나 이상의 요홈(1210)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요홈(1210)의 일측 상부에는 상기 공급김안착부(1200)로 유입되는 김이 걸리지 않도록 경사면(1220)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요홈(1210)으로 상기 김이동부(1300)의 김밀판(1320)의 하부가 끼워져 이동하면서 상기 공급김안착부(1200)에 안착된 김이 이동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또 상기 경사면(1220)에 의해 김(130)이 공급김안착부(1200)로 유입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김이동부(1300)는 도 2와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프레임(1100)에 지지되어 고정된 실린더(1310)와, 이 실린더의 로드에 고정되어 상기 공급김안착부(1200)에 안착된 김(130)을 김절단이송부(1400)로 이송하도록 안내되는 김밀판(1320)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김밀판(1320)은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실린더(1310)의 로드에 고정하기 위한 실린더고정홈(1321a)을 갖춘 판부(1321)와, 이 판부의 하부에 이동시 김이 낱장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돌출된 이탈방지돌기(132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판부(1321)의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하부에서 수직하게 일정길이의 푸셔배출홈(1323)이 하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탈방지돌기(1322)와 요홈(1210)으로 이루어진 김이탈방지부는 서로 방향이 바뀌어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이탈방지돌기(1322)가 하부 중앙과 양단에 형성되어 있으나 양단에만 형성될 수도 있고, 중앙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실린더(1310)가 작동하여 김밀판(1320)를 전진시키면 공급김안착부(1200)에 안착된 김(130)을 김절단이송부(1400)로 이송하게 되고, 이때 공급김안착부(1200)에 놓인 낱장의 김(130)도 이탈방지돌기(1322)와 요홈(1210)에 의해 이송되지 않는 것이 없도록 확실하게 이송하게 된다.
한편, 상기 김절단이송부(1400)는 도 1과 도 2와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공급김안착부(1200)와 평행하게 연장된 판부(1410)와, ㅛ자형상으로 형성된 김절단홈(1420)과, 상기 요홈(1210)과 김절단홈(1420)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1스텝이송기(1700)가 김(130)을 일정길이씩 이동시킬 수 있도록 갖춰진 푸셔이동안내홈(1430)과, 상기 김절단수단(1600)이 김절단홈(1420)으로 들어가면서 절단되는 김(130)을 파지할 수 있도록 된 절단김공급부(1800)가 위치하도록 형성된 김파지홈(1440)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판부(1410)로 유입된 적층된 김(130)은 푸셔이동안내홈(1430)으로 끼워진 푸셔에 의해 1스텝씩 이동하면서 김을 폭방항으로 3등분하여 절단하도록 안내하게 된다.
또 상기 김가압부(1500)는 도 1 내지 도 3과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프레임(1100)에 설치되어 제어부(400)의 제어신호에 따라 김의 이동시와 절단시의 높이를 제어하도록 작동되는 수직실린더(1510)와, 이 수직실린더의 로드에 고정됨과 더불어 상기 김절단수단(1600)의 김절단칼날(1620)을 안내하는 칼날안내홈(1521)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1스텝이송기(1700)의 도피홈(1522)이 형성된 누름판부재(1520)와, 이 누름판부재의 하부이면서 도피홈(1522)이 형성된 쪽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고정된 김후방누름부재(1530)와, 상기 누름판부재의 하부이면서 칼날안내홈이 형성된 쪽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고정된 김절단부누름부재(1540)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400)의 신호에 의해 김을 절단하는 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최대한 하강하여 김(130)을 상기 김후방누름부재(1530)와 김절단부누름부재(1540)가 누름 상태에서 상기 김절단수단(1600)의 김절단칼날(1620)이 칼날안내홈(1521)으로 하강하면서 상기 김절단홈(1420)으로 끼워지면서 김을 3등분하여 절단하게 된다.
이후 상기 누름판부재(1520)와 김후방누름부재(1530) 및 김절단부누름부재(1540)는 수직실린더(1510)에 의해 일정 높이까지 올라가면서 김을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하여 김이 쓰러지지 않도록 하고, 상기 김절단수단(1600)의 김절단칼날(1620)은 최대한 상승하게 된다.
다음 상기 1스텝이송기(1700)에 의해 1스텝 김을 밀게 되면 상기 김후방누름부재(1530) 및 김절단부누름부재(1540)가 김을 일정한 압력으로 누른 상태에서 1스텝을 김절단홈(1420)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후 재차 상기 김가압부(1500)와 김절단수단(1600)의 김절단칼날(1620)이 최저치로 하강하면서 김을 절단하게 된다.
이후 김이 폭방향으로 1스텝만 남은 경우에는, 상기 김후방누름부재(1530) 및 김절단부누름부재(1540)가 김을 일정한 압력으로 누른 상태에서 상기 1스텝이송기(1700)는 김절단홈(1420)쪽으로 1스텝 김을 밀고 나서 김이 김절단이송부(1400)로 공급되었던 초기의 상태로 이동하여 대기하게 되고, 상기 김가압부(1500)와 김절단수단(1600)의 김절단칼날(1620)이 최저치로 하강하면서 나머지 김을 절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 김후방누름부재(1530)와 김절단부누름부재(1540)의 하부 일측에는 김이 유입되는 쪽에 경사면(1531,1541)이 형성되어 김이 유입될 때 걸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김절단수단(160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프레임(1100)에 고정된 실린더(1610)와, 이 실린더의 로드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면서 하부로 내려갈 때 김을 절단하도록 된 ㅛ자 형상의 김절단칼날(1620)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실린더(1610)가 작동하여 로드가 최대로 하강하게 되면 상기 김절단칼날(1620)이 칼날안내홈(1521)으로 하강하면서 상기 김절단홈(1420)으로 끼워지면서 김을 3등분하여 절단하게 된다.
이후 상기 실린더(1610)가 작동하여 상기 김절단칼날(1620)이 최대한 상승하게 되면 대기상태로 놓이게 된다.
또한 상기 1스텝이송기(1700)는, 상기 제어부(400)에 의해 작동되어 김공급부(100)쪽에서 김수용용기이송부(200)쪽으로 순차적으로 1스텝식 작동되는 스텝이동실린더(1710)와, 이 스텝이동실린더의 로드에 연결됨과 더불어 상기 프레임(1100)의 측벽에 형성된 안내홈(1110)에 양단이 안내되어 이동하도록 된 이동블럭(1720)과, 이 이동블럭의 하부로 설치된 수직실린더(1730)와, 이 수직실린더의 로드에 고정되어 상하로 이동함과 더불어 상기 스텝이동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김을 1스텝씩 김수용용기이송부(200)쪽으로 이동하되 1스텝과 2스텝의 이동은 상승된 상태로 있으면서 상기 푸셔이동안내홈(1430)과 도피홈(1522)으로 끼워지고 마지막 스텝에서는 김을 밀고 나서 하부로 빠져 최초의 대기 상태로 이동하도록 된 U자 형상의 김푸셔(1740)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김절단이송부(1400)로 공급된 적층된 김(130)이 상기 제어부(400)에 의해 1스텝식 작동되는 스텝이동실린더(1710)와 수직실린더(1730)에 의해 U자 형상의 김푸셔(1740)가 이동하면서 김을 순차적으로 이동시켜 김절단수단(1600)에 의해 절단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한다.
한편 상기 절단김공급부(1800)는 상기 김절단수단(1600)에 의해 김이 절단될 때 파지하고 있다가 상기 김가압부(1500)와 김절단수단(1600)이 상승하고 나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호간의 폭을 벌려서 상기 김수용용기이송부(200)를 따라 이송되는 김수용용기(210)에 투입하고, 이후 다시 복귀하여 김을 파지하게 되는 것을 반복하게 된다.
또 상기 김수용용기이송부(200)에는 절단김공급부(1800)로 파지된 김이 김수용용기(210)로 투입할 때는 함께 하강하고, 김을 투입하고 상기 절단김공급부(1800)가 상승할 때는 시간차를 두고 뒤에 상승하면서 절단김공급부(1800)가 상승할 때 김이 함께 따라 올라가지 않도록 김상승방지스톱퍼(1900)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김절단장치(1000)에는, 상기 김절단이송부(1400)의 선단 하부에서 상승하여 상기 김이동부(1300)에서 이동하는 적층된 김이 넘어지지 않도록 김절단이송부의 선단부에서 지지함과 더불어 김절단수단의 김절단칼날에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김절단이송부의 하부로 내려가도록 된 김셋팅고정부(1950)가 더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김셋팅고정부(1950)는,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하로 로드가 작동하도록 프레임(1100)에 설치된 김셋팅실린더(1951)와, 이 김셋팅실린더의 로드(1951a)에 설치되어 상하로 이동되면서 상부로 이동되었을 때 김절단이송부(1400)의 선단부로 돌출되어 김절단이송부로 공급되는 적층된 김을 지지하도록 된 김셋팅지지판(1952)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김이동부(1300)의 김밀판(1320)에 의해 공급김안착부(1200)에 안착된 적층된 김(130)이 김절단이송부(1400)로 공급하게 된다. 이때 상기 김셋팅고정부(1950)의 김셋팅실린더(1951)가 작동하여 김셋팅지지판(1952)를 상승시켜 김절단이송부(1400)의 선단에서 적층된 김이 김셋팅지지판(1952)에 지지되어 넘어지지 않고 정렬하게 되고, 상술한 김가압부(1500)와 김절단수단(1600)이 하강하면서 적층된 김을 절단하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 : 김공급부 110 : 경사콘베어
120 : 캐리어 130 : 김
200 : 김수용용기이송부 210 : 김수용용기
300 : 김수용용기공급부 400 : 제어부
1000 : 김 절단장치 1100 : 프레임
1200 : 공급김안착부 1300 : 김이동부
1310 : 실린더 1320 : 김밀판
1321 : 판부 1323 : 푸셔배출홈
1400 : 김절단이송부 1410 : 판부
1420 : 김절단홈 1430 : 푸셔이동안내홈
1440 : 김파지홈 1500 : 김가압부
1510 : 수직실린더 1520 : 누름판부재
1530 : 김후방누름부재 1540 : 김절단부누름부재
1600 : 김절단수단 1620 : 김절단칼날
1700 : 1스텝이송기 1740 : 김푸셔
1800 : 절단김공급부 1900 : 김상승방지스톱퍼
1950 : 김셋팅고정부 1951 : 김셋팅실린더
1951a: 로드 1952 : 김셋팅지지판
120 : 캐리어 130 : 김
200 : 김수용용기이송부 210 : 김수용용기
300 : 김수용용기공급부 400 : 제어부
1000 : 김 절단장치 1100 : 프레임
1200 : 공급김안착부 1300 : 김이동부
1310 : 실린더 1320 : 김밀판
1321 : 판부 1323 : 푸셔배출홈
1400 : 김절단이송부 1410 : 판부
1420 : 김절단홈 1430 : 푸셔이동안내홈
1440 : 김파지홈 1500 : 김가압부
1510 : 수직실린더 1520 : 누름판부재
1530 : 김후방누름부재 1540 : 김절단부누름부재
1600 : 김절단수단 1620 : 김절단칼날
1700 : 1스텝이송기 1740 : 김푸셔
1800 : 절단김공급부 1900 : 김상승방지스톱퍼
1950 : 김셋팅고정부 1951 : 김셋팅실린더
1951a: 로드 1952 : 김셋팅지지판
Claims (2)
- 김조미공정과 근접하여 설치되어 김구이기에서 보내온 김이 공급되면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되면서 김을 절단할 김절단이송부의 위치로 공급하도록 된 김 자동포장기용 김 절단장치의 김공급부에 있어서,
공장의 바닥에 설치되는 프레임(1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이송 공급되는 김을 안착시키도록 된 공급김안착부(1200)에 안착된 김(130)을 김수용용기(210)가 있는 쪽으로 일정길이 밀어서 이동하도록 프레임에 설치된 김이동부(1300)와,
상기 프레임(1100)의 하부에서 상승하여 김절단이송부(1400)로 공급된 김을 절단할 폭과 같은 일정한 길이로 순차적으로 밀어서 이동함과 더불어 김을 마지막 스텝까지 밀고는 김이 김절단이송부로 유입될 때와 같이 프레임의 하부에 대기하도록 된 1스텝이송기(1700)를 포함하고,
상기 김이동부(1300)는,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어 고정된 실린더(1310)와, 이 실린더의 로드에 고정되어 상기 공급김안착부에 안착된 김을 김절단이송부로 이송하도록 안내되는 김밀판(132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김밀판을 구성하는 판부의 수직방향으로 하부에서 수직하게 일정길이의 푸셔배출홈(1323)이 하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포장기용 김 절단장치의 김공급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스텝이송기(1700)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수직실린더(1730)의 로드에 고정된 상태로 상승하여 푸셔이동안내홈(1430)과 도피홈(1522)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끼워질 때 푸셔배출홈(1323)에 의해 김밀판(1320)의 후퇴시에도 간섭을 받지 않고 적층된 김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될 뿐만 아니라, 적층된 김을 마지막까지 밀고 나서 하부로 빠져 최초의 대기 상태로 이동하도록 된 U자 형상의 김푸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포장기용 김 절단장치의 김공급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47201A KR101240421B1 (ko) | 2012-12-17 | 2012-12-17 | 김 자동포장기용 김절단장치의 김공급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47201A KR101240421B1 (ko) | 2012-12-17 | 2012-12-17 | 김 자동포장기용 김절단장치의 김공급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40421B1 true KR101240421B1 (ko) | 2013-03-11 |
Family
ID=48181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47201A KR101240421B1 (ko) | 2012-12-17 | 2012-12-17 | 김 자동포장기용 김절단장치의 김공급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40421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730758A (zh) * | 2016-04-18 | 2016-07-06 | 佛山市松川机械设备有限公司 | 海苔装托机 |
KR20190115650A (ko) * | 2018-04-03 | 2019-10-14 | 주식회사 한양포장기계 | 김포장장치 |
KR20200127500A (ko) | 2019-05-02 | 2020-11-11 | 강신탁 | 해조류 수산물의 절단 기계장치 |
CN114056657A (zh) * | 2021-11-29 | 2022-02-18 | 江西欧丽仕智能科技有限公司 | 全自动香肠包装线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100025A (ja) * | 1995-10-02 | 1997-04-15 | Taito Kogyo Kk | 海苔の集合供給装置 |
KR200380627Y1 (ko) | 2005-01-17 | 2005-03-31 | 박병은 | 김 가공장치 |
KR200401267Y1 (ko) | 2005-08-18 | 2005-11-15 | 박병은 | 김 가공기용 구운 김 공급장치 |
KR200413473Y1 (ko) | 2006-01-02 | 2006-04-07 | 박병은 | 김 가공기용 절단김 이송장치 |
-
2012
- 2012-12-17 KR KR1020120147201A patent/KR10124042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100025A (ja) * | 1995-10-02 | 1997-04-15 | Taito Kogyo Kk | 海苔の集合供給装置 |
KR200380627Y1 (ko) | 2005-01-17 | 2005-03-31 | 박병은 | 김 가공장치 |
KR200401267Y1 (ko) | 2005-08-18 | 2005-11-15 | 박병은 | 김 가공기용 구운 김 공급장치 |
KR200413473Y1 (ko) | 2006-01-02 | 2006-04-07 | 박병은 | 김 가공기용 절단김 이송장치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730758A (zh) * | 2016-04-18 | 2016-07-06 | 佛山市松川机械设备有限公司 | 海苔装托机 |
KR20190115650A (ko) * | 2018-04-03 | 2019-10-14 | 주식회사 한양포장기계 | 김포장장치 |
KR102046860B1 (ko) * | 2018-04-03 | 2019-12-02 | 주식회사 한양포장기계 | 김포장장치 |
KR20200127500A (ko) | 2019-05-02 | 2020-11-11 | 강신탁 | 해조류 수산물의 절단 기계장치 |
CN114056657A (zh) * | 2021-11-29 | 2022-02-18 | 江西欧丽仕智能科技有限公司 | 全自动香肠包装线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40421B1 (ko) | 김 자동포장기용 김절단장치의 김공급부 | |
KR101964205B1 (ko) | 꼬치용 자동 제조장치 | |
AU2016201837B2 (en) | A bag stacker | |
KR101262694B1 (ko) | 김 자동포장기용 김절단 장치 및 방법 | |
CN104607993A (zh) | 料盘式自动上料收盘设备 | |
EP2179656A1 (en) | System for stacking and unstacking mold units | |
US9950861B2 (en) | Unit and procedure for automated transfer of box elements | |
CN109715535A (zh) | 用于在目标货盘上码垛混合产品的装载系统 | |
KR200449076Y1 (ko) | 김 절단장치 | |
KR101646487B1 (ko) | 두부 절단기와 그 절단기용 절단장치 및 절단칼대 | |
JP6219643B2 (ja) | 物品箱詰め装置 | |
EP3178742B1 (en) | A pick and place gripper device for picking up and re-positioning a deformable food item and a method of doing the same | |
KR100842870B1 (ko) | 구이 김 절단 및 수납장치 | |
KR101158172B1 (ko) | 김 공급장치 | |
KR100515442B1 (ko) | 구이김 자동 절단 및 수납장치 | |
US20190217492A1 (en) | Installation for cutting food products equipped with means for filling the chute | |
US7464804B2 (en) | Automatic pallet loader system and method | |
WO2001002275A1 (en) | Apparatus for stacking or destacking containers | |
US20170071391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batch cooking in continuous automated plant | |
CN104044892A (zh) | 馒头胚自动摆放机 | |
GB2353776A (en) | Stacking and destacking of nestable containers | |
EP2676885B1 (en) |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rod-shaped articles | |
KR101757778B1 (ko) | 구이김 절단장치 | |
TW201936469A (zh) | 多道式送料系統 | |
KR102550211B1 (ko) | 드라이아이스 너겟 자동화 제조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