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8172B1 - 김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김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8172B1
KR101158172B1 KR1020090066696A KR20090066696A KR101158172B1 KR 101158172 B1 KR101158172 B1 KR 101158172B1 KR 1020090066696 A KR1020090066696 A KR 1020090066696A KR 20090066696 A KR20090066696 A KR 20090066696A KR 101158172 B1 KR101158172 B1 KR 101158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ver
unit
conveyor
loading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6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9343A (ko
Inventor
강신탁
Original Assignee
강신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신탁 filed Critical 강신탁
Priority to KR1020090066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8172B1/ko
Publication of KR20110009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8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8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28Conveyors with a load-conveying surface formed by a single flat belt,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dible Seawee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재된 김(L)을 이송하여 공급하는 장치에 관련되며, 그 구성의 특징으로서, 공급부(10), 적재부(20), 인출부(30), 이송부(40), 구동부를 주요 구성으로 한다. 공급부(10)는 김(L)을 이송하기 위한 밀대(12)를 개재하는 컨베이어(11)를 구비하고, 상기 컨베이어(11)의 하류단에 이송된 김(L)을 적재하면서 실린더(17)에 의해 회동하여 낙하하는 배출블록(15)을 구비한다. 적재부(20)는 공급부(10)의 하부에 김(L)을 적층상태로 수용하는 카트리지(21)를 구비하고, 김(L)의 폭에 대응하는 받침대(25)를 구비한다. 인출부(30)는 적재부(20)의 하부에 김(L)을 하나씩 인출하는 흡입박스(31)를 구비하고, 하부에 링크(32)와 로드(33)를 개재하여 승하강을 전달하는 크랭크축(34)을 구비한다. 이송부(40)는 인출부(30)의 흡입박스(31)에 의해 연속 인출되는 김(L)을 전달받는 흡착판(41)을 구비하고, 김(L)을 이송하여 배출하는 컨베이어(42)를 구비한다. 구동부는 공급부(10), 적재부(20), 인출부(30), 이송부(40)의 구동력을 유발하도록 모터(51)(55)에 의해 개별 작동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기구적 구성을 보완하여 김을 파손 없이 순차적으로 정확하게 공급하는 작동의 효율성과 신속성을 향상하고, 작동 소음이 적고 위생적 처리가 가능하면서 신뢰성 있는 작동으로 높은 생산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김, 공급, 공급, 소음, 효율성, 신속성, 생산성

Description

김 공급장치{Apparatus for supply laver}
본 발명은 김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구적 구성을 보완하여 김을 파손 없이 순차적으로 정확하게 공급하는 작동의 효율성과 신속성을 향상하고, 작동 소음이 적고 위생적 처리가 가능하면서 신뢰성 있는 작동으로 높은 생산성을 유지할 수 있는 김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김 가공방법이 다양해져 소비자가 가공된 김을 손쉽게 구입하여 먹기에 간편하도록 일회용으로 포장되어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포장 김을 가공하기 위해서는 김의 표면에 향유를 바르고 조미료를 뿌린 다음 이를 불에 구워 적정크기로 절단하고 포장하는 일련의 가공 공정이 자동으로 연속적으로 수행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일련의 가공 공정을 자동 연속으로 진행하기 위해 김을 이송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은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김을 공급하여 이송시켜야 함으로서, 김 가공공정에서의 전(全)공정이 자동화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김을 가공하기 위한 김 공급장치가 개발되어 있지 않아,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을 통해 한 장씩 김을 순차적으로 공급하기 때문에 작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이 저해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본 출원인에 의한 한국 실용신안공보 제1992-0002401호에 의하면, 공기의 흡입력과 이송벨트의 공기흡입력과 이송벨트의 작용으로 해태를 공급할 수 있도록 채택하여 능률적이고 위생적이며, 해태의 파손을 방지하여 상품적 가치를 높여줄 수 있는 해태 공급기를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는 자동화를 기반으로 위생적이며 해태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기대되기는 하지만, 여전히 그 장비가 복잡하므로 작동 소음이 발생되면서 생산성이 저하되고 김을 이송하는 과정에서 정확한 흡착력을 발생하지 못하여 정렬이 흐트러지거나 이탈이 수반되는 등 개선할 여지가 있다.
종래기술의 문헌정보
[문헌1] 한국 실용신안공보 제1992-0002401호 "해태 공급기"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구적 구성을 보완하여 김을 파손 없이 순차적으로 정확하게 공급하는 작동의 효율성과 신속성을 향상하고, 작동 소음이 적고 위생적 처리가 가능하면서 신뢰성 있는 작동으로 높은 생산성을 유지할 수 있는 김 공급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적재된 김을 이송하여 공급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김을 이송하기 위한 밀대를 개재하는 컨베이어를 구비하고, 상기 컨베이어의 하류단에 이송된 김을 적재하면서 실린더에 의해 회동하여 낙하하는 배출블록을 구비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의 하부에 김을 적층상태로 수용하는 카트리지를 구비하고, 김의 폭에 대응하는 받침대를 구비하는 적재부; 상기 적재부의 하부에 김을 하나씩 인출하는 흡입박스를 구비하고, 하부에 링크와 로드를 개재하여 승하강을 전달하는 크랭크축을 구비하는 인출부; 상기 인출부의 흡입박스에 의해 연속 인출되는 김을 전달받는 흡착판을 구비하고, 김을 이송하여 배출하는 컨베이어를 구비하는 이송부; 및 상기 공급부, 적재부, 인출부, 이송부의 구동력을 유발하도록 모터에 의해 개별 작동하도록 설치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배출블록은 컨베이어의 이송에 의한 김을 적재하는 배출판과, 상기 배출판의 회동력을 전달하여 김을 낙하하는 실린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카트리지는 김의 적재량을 감지하여 컨베이어의 이송과 함께 실린더의 작동을 수행하는 감지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흡입박스는 김에 대한 흡입력을 발생하도록 블로워와, 상기 블로워의 배관이 연결되는 연결판과, 상기 연결판 상에 상하로 슬라이딩되게 유도하는 리니어가이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흡입박스와 흡착판은 김에 대한 흡입력을 발생하도록 블로워를 구비하여 개별 작동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김 공급장치는 기구적 구성을 보완하여 김을 파손 없이 순차적으로 정확하게 공급하는 작동의 효율성과 신속성을 향상하고, 작동 소음이 적고 위생적 처리가 가능하면서 신뢰성 있는 작동으로 높은 생산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장치를 전체적으로 정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를 전체적으로 평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장치를 전체적으로 측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요부를 측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인출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적재된 김(L)을 이송하여 공급하는 장치에 관련되며, 공급부(10), 적재부(20), 인출부(30), 이송부(40), 구동부를 주요 구성으로 한다. 여기서 공급부(10), 적재부(20), 인출부(30), 이송부(40)는 김(L)을 2열로 이송하는데, 이외에도 다양한 변형, 즉 3열 내지 4열 등으로 이송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2열로 이송하는 것에 대하여 예시하지만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급부(10)는 상기 김(L)을 이송하기 위한 밀대(12)를 개재하는 컨베이어(11)를 구비하고, 상기 컨베이어(11)의 하류단에 이송된 김(L)을 적재하면서 실린더(17)에 의해 회동하여 낙하하는 배출블록(15)을 구비한다. 공급부(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11)와 배출블록(15)으로 이루어지는 데, 컨베이어(11)는 각각의 모터(도면번호 미부여)에 의해 개별적으로 구동하고, 2열의 컨베이어에 의해 김(L)을 이송한다. 컨베이어(11)는 밀대(12)를 개재하여 김(L)을 이송하여 배출블록(15)으로 이송한다. 배출블록(15)은 컨베이어(11)에 의해 이송된 김(L)을 적재하면서 낙하시켜 후속하는 적재부(20)로 이송시킨다.
이때, 상기 배출블록(15)은 컨베이어(11)의 이송에 의한 김(L)을 적재하는 배출판(16)과, 상기 배출판(16)의 회동력을 전달하여 김(L)을 낙하하는 실린더(17)를 구비한다. 배출블록(15)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판(16)과 실린더(17)로 구성되는데, 배출판(16)은 컨베이어(11)에 의해 이송된 김(L)을 적재하고, 이러한 배출판(16)은 실린더(17)에 의해 회동하여 김(L)을 낙하시킨다. 배출판(16)은 L자형의 브라켓이 상호 대응되게 설치되고, 각 브라켓은 링크로 연결됨과 함께 일측의 브라켓에 실린더(17)가 설치된다. 따라서 공급부(10)의 컨베이어(11)를 통해 이송된 김(L)이 낙하하여 배출판(16)에 적재되고, 적재된 김(L)은 실린더(17)의 작동에 의해 회동하여 적재부(20)로 낙하된다. 이러한 작동은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됨은 물론 공급부(10)의 컨베이어(11)도 제어부를 통해 제어되어 상호 연계 작동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적재부(20)는 상기 공급부(10)의 하부에 김(L)을 적층상태로 수용하는 카트리지(21)를 구비하고, 김(L)의 폭에 대응하는 받침대(25)를 구비한다. 적재부(2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21)와 받침대(25)로 이루어지는데, 카트리지(21)는 배출블록(15)의 하부에 각각 위치하고, 배출판(16)의 회동에 의해 낙하된 김(L)을 적층 상태로 수용한다. 카트리지(21)는 동일 크기의 김(L)을 다수 적재한 구조로서, 내부에 수용된 김(L)이 하단의 개구를 통하여 하나씩 인출되면서 자중에 의해 하방 이동한다. 받침대(25)는 카트리지(21) 의 하부에 각각 위치하고 후속하는 인출부(30)와 상호 연계 작동한다. 받침대(25)는 상기의 배출판(16)과는 달리 도 2처럼 연결축 상에 평판형의 브라켓이 상호 대응되게 설치되고, 각 브라켓은 연결축 상에 링크로 연결된다. 즉 받침대(25)는 후술하는 구동부, 즉 도 3(a)에 도시된 것처럼 크랭크축(34) 상에 로드와 링크로 연결되어 회동하여 김(L)을 하나씩 인출시킨다.
이때, 상기 카트리지(21)는 김(L)의 적재량을 감지하여 컨베이어(11)의 이송과 함께 실린더(17)의 작동을 수행하는 감지센서(22)를 구비한다. 도 3(b)처럼 카트리지(21)의 양측에 감지센서(22)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감지센서(22)는 카트리지(21)상에 김(L)의 적재량을 감지하여 공급부(10)를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감지센서(22)는 김(L)의 적재량을 감지, 즉 카트리지(21)상에 김(L)의 적재량이 부족하면 제어부에 신호를 주어 배출판(16)의 실린더(17)를 개방하여 카트리지(21)에 김(L)을 적재시킴은 물론 공급부(10)의 컨베이어(11)도 제어하여 김(L)을 이송시킨다. 따라서 감지센서(22)는 제어부와 상호 연계하여 공급부(10) 및 적재부(20)를 상호 연계 작동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출부(30)는 상기 적재부(20)의 하부에 김(L)을 하나씩 인출하는 흡입박스(31)를 구비하고, 하부에 링크(32)와 로드(33)를 개재하여 승하강을 전달하는 크랭크축(34)을 구비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부(30)의 주요 구성품인 흡입박스(31)는 김(L)에 대한 흡입력을 발생하도록 블로워(35)와 배관 연결되는 동시에 링크(32)에 기구적으로 연결되어 상하 승하강운동을 수행한다. 즉 흡입박스(31)는 카트리지(21)의 하부에 위치하고 받침대(25)의 개방에 의해 상승하여 김(L)을 하나씩 인출한다. 이러한 흡입박스(31)는 모터(55)에 연결된 크랭크축(34)의 회전운동을 링크(32)와 로드(33)의 직선운동으로 상하로 승하강운동을 수행한다. 모터(55)의 회전력은 크랭크축(35)으로, 다시 크랭크축(34)은 로드(33)와 링크(32)를 통하여 흡입박스(31)에 전달된다.
이때, 상기 흡입박스(31)는 김(L)에 대한 흡입력을 발생하도록 블로워(35)와, 상기 블로워(35)의 배관이 연결되는 연결판(36)과, 상기 연결판(36)상에 상하로 슬라이딩되게 유도하는 리니어가이드(37)를 구비한다.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흡입박스(31)는 일측에 연결판(36), 즉 블로워(35)의 배관이 연결되는 연결판(36)에 리니어가이드(37)를 설치하여 흡입박스(31)가 크랭크축(34)에 의한 승하강운동을 원활하게 수행한다. 즉 리니어가이드(37)는 흡입박스(31)의 직선운동을 연결판(36)으로부터 상하로 슬라이딩되게 유도하여 보다 원활한 승하강운동을 수행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송부(40)는 상기 인출부(30)의 흡입박스(31)에 의해 연속 인출되는 김(L)을 전달받는 흡착판(41)을 구비하고, 김(L)을 이송하여 배출하는 컨베이어(42)를 구비한다. 이송부(4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부(30)에 의해 하나씩 인출한 김(L)을 후속하는 장치로 이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이송부(40)는 흡착판(41)과 컨베이어(42)로 구성되는데, 흡착판(41)은 김(L)에 대한 흡입력을 발생하도록 블로워(45)와 배관 연결되고 흡입박스(31)에 근접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물론 흡착판(41)은 컨베이어(42)상에 설치된다. 컨베이어(42)는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2열로 김(L)을 이송하여 후속하는 장치로 배출한다. 따라서 흡착판(41)은 흡입박스(31)에 의해 하나씩 인출되는 김(L)을 전달받아 후속하는 컨베이어(41)로 릴레이한다. 이때 컨베이어(41)는 구동부의 모터(55)에 벨트로 연결되어 이송력을 전달받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는 상기 공급부(10), 적재부(20), 인출부(30), 이송부(40)의 구동력을 유발하도록 모터(51)(55)에 의해 개별 작동하도록 설치된다. 구동부는 각각의 모터(51)(55)에 의해 작동하는데, 모터(51)는 공급부(10)에 구동력을 전달하고, 모터(55)는 적재부(20), 인출부(30), 이송부(40)에 구동력을 전달한다. 즉 모터(51)는 벨트로 연결하여 공급부(10)의 컨베이어(11)에 전달되고, 모터(55)는 크랭크축(34)에 체인으로 연결되어 크랭크축(34)에 벨트로 연결하여 이송부(40)의 컨베이어(41)에 전달됨과 함께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크랭크축(34)에 링크와 로드를 연결하여 적재부(20)의 받침대(25) 및 인출부(30)의 흡입박스(31)에 전달된다. 물론 장치의 구성에 따라 동력전달의 순서가 달라질 수도 있으나, 하나의 구동모터로 적재부(20), 인출부(30), 이송부(40)의 구동력을 전달한다.
작동에 있어서, 적재된 김(L)을 공급부(10)의 컨베이어(11)를 따라 밀대(12)에 의해 이송되어 대기중인 배출블록(15)에 김(L)이 적재되고, 적재된 김(L)이 배출판(16)에 안착된 상태에서 실린더(17)의 작동으로 배출판(16)이 개방되어 후속하는 적재부(20)의 카트리지(21)에 적층 상태로 수용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적재된 김(L)이 배출판(16)에 의해 정확하게 안착될 뿐 아니라, 실린더(17)의 작동에 따라 정렬된 상태로 카트리지(21)에 수용된다.
이어서, 흡입박스(31)의 승강운동으로 블로워(35)의 흡입력에 의해 카트리지(21)로부터 김(L)을 하나씩 인출하고, 이와 동시에 받침대(25)가 동시 작동하여 개방하도록 하고, 흡입박스(31)의 하강운동으로 하나의 김(L)이 흡착상태로 일부가 이송부(40)의 컨베이어(42)에 올려진다. 이러한 과정에서 하나의 김(L)이 받침판(25)에 의해 카트리지(21)와 흡입박스(31)로부터 하나씩 인출될 뿐 아니라, 흡입박스(31)의 하강하는 동시에 받침판(25)이 닫혀 카트리지(21)로부터 낱장이 아니 다수의 김(L)이 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마지막으로, 흡입박스(31)의 하강운동으로 하나의 김(L)이 컨베이어(42)에 올려지면 흡착판(41)이 블로워(45)의 흡입력에 의해 김(L)을 흡입박스(31)로부터 전달받아 컨베이어(42)을 따라 후속장치로 이송되어 동일한 반복 작동이 수행된다. 한편 도면번호를 생략되나 이러한 작동이 연계되는 다수의 센서수단을 이용한 제어부의 시컨스 제어로 작동된다. 이와 같은 일련의 작동은 적재부(20), 인출부(30), 이송부(40)가 하나의 구동모터로 기구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반복적ㆍ연속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장치를 전체적으로 정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를 전체적으로 평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장치를 전체적으로 측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요부를 측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인출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공급부 11,42: 컨베이어
12: 밀대 15: 배출블록
20: 적재부 21: 카트리지
22: 감지센서 25: 받침대
30: 인출부 31: 흡입박스
35, 45: 블로워 37: 리니어가이드
40: 이송부 41: 흡착판
42: 컨베이어 51,55: 모터
L: 김

Claims (5)

  1. 적재된 김(L)을 이송하여 공급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김(L)을 이송하기 위한 밀대(12)를 개재하는 컨베이어(11)를 구비하고, 상기 컨베이어(11)의 하류단에 이송된 김(L)을 적재하면서 실린더(17)에 의해 회동하여 낙하하는 배출블록(15)을 구비하는 공급부(10);
    상기 공급부(10)의 하부에 김(L)을 적층상태로 수용하는 카트리지(21)를 구비하고, 김(L)의 폭에 대응하는 받침대(25)를 구비하는 적재부(20);
    상기 적재부(20)의 하부에 김(L)을 하나씩 인출하는 흡입박스(31)를 구비하고, 하부에 링크(32)와 로드(33)를 개재하여 승하강을 전달하는 크랭크축(34)을 구비하는 인출부(30);
    상기 인출부(30)의 흡입박스(31)에 의해 연속 인출되는 김(L)을 전달받는 흡착판(41)을 구비하고, 김(L)을 이송하여 배출하는 컨베이어(42)를 구비하는 이송부(40); 및
    상기 공급부(10), 적재부(20), 인출부(30), 이송부(40)의 구동력을 유발하도록 모터(51)(55)에 의해 개별 작동하도록 설치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블록(15)은 컨베이어(11)의 이송에 의한 김(L)을 적재하는 배출판(16)과, 상기 배출판(16)의 회동력을 전달하여 김(L)을 낙하하는 실린더(1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공급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21)는 김(L)의 적재량을 감지하여 컨베이어(11)의 이송과 함께 실린더(17)의 작동을 수행하는 감지센서(2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공급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박스(31)는 김(L)에 대한 흡입력을 발생하도록 블로워(35)와, 상기 블로워(35)의 배관이 연결되는 연결판(36)과, 상기 연결판(36)상에 상하로 슬라이딩되게 유도하는 리니어가이드(3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공급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박스(31)와 흡착판(41)은 김(L)에 대한 흡입력을 발생하도록 블로워(35)(45)를 구비하여 개별 작동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공급장치.
KR1020090066696A 2009-07-22 2009-07-22 김 공급장치 KR101158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6696A KR101158172B1 (ko) 2009-07-22 2009-07-22 김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6696A KR101158172B1 (ko) 2009-07-22 2009-07-22 김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343A KR20110009343A (ko) 2011-01-28
KR101158172B1 true KR101158172B1 (ko) 2012-06-19

Family

ID=43615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6696A KR101158172B1 (ko) 2009-07-22 2009-07-22 김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817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826B1 (ko) 2013-05-24 2014-04-17 강신탁 해태포장용 트레이 공급장치
KR101567962B1 (ko) 2014-07-24 2015-11-10 강신탁 김스넥 자동 제조장치
KR101571646B1 (ko) 2015-01-16 2015-11-24 김영석 비접촉방식에 의한 김 공급장치
KR102144475B1 (ko) 2019-02-20 2020-08-13 강신탁 낱장의 김 이송이 가능한 김 공급장치
KR102349904B1 (ko) 2021-06-29 2022-01-10 김병철 위치 제어의 정확성을 기반으로 한 고속 김 공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2120B1 (ko) * 2017-11-16 2019-06-24 강신탁 김 또는 라이스 페이퍼 상에 액상 도포 가능의 공급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20000646B1 (ko) * 1977-11-28 1982-04-20 요시미 마사데루 건 해태 공급 장치
KR920002401Y1 (ko) * 1990-03-22 1992-04-13 강신탁 해태 공급기
KR200251562Y1 (ko) 2001-05-31 2001-11-16 강신탁 김공급기의 적재부
KR100897421B1 (ko) 2009-01-12 2009-05-14 김기문 김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20000646B1 (ko) * 1977-11-28 1982-04-20 요시미 마사데루 건 해태 공급 장치
KR920002401Y1 (ko) * 1990-03-22 1992-04-13 강신탁 해태 공급기
KR200251562Y1 (ko) 2001-05-31 2001-11-16 강신탁 김공급기의 적재부
KR100897421B1 (ko) 2009-01-12 2009-05-14 김기문 김 공급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826B1 (ko) 2013-05-24 2014-04-17 강신탁 해태포장용 트레이 공급장치
KR101567962B1 (ko) 2014-07-24 2015-11-10 강신탁 김스넥 자동 제조장치
KR101571646B1 (ko) 2015-01-16 2015-11-24 김영석 비접촉방식에 의한 김 공급장치
KR102144475B1 (ko) 2019-02-20 2020-08-13 강신탁 낱장의 김 이송이 가능한 김 공급장치
KR102349904B1 (ko) 2021-06-29 2022-01-10 김병철 위치 제어의 정확성을 기반으로 한 고속 김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343A (ko) 2011-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8172B1 (ko) 김 공급장치
CN112716256B (zh) 一种蒸熟式食品机
CN106184878B (zh) 瓷砖自动包装设备
JP2008200744A (ja) ディスタックフィーダ
US10144539B2 (en) Packaging machine and method with loose object carrier
KR20180107829A (ko) 다목적 팬 핸들링시스템
KR101100746B1 (ko) 포장용 포대 자동 공급장치
KR101450445B1 (ko) 김 공급장치
JP2002104658A (ja) 容器供給装置
KR101762814B1 (ko) 조미김 가공장치
CN106540888B (zh) 一种废旧电能表自动检测回收装置及其使用方法
KR101862470B1 (ko) 김 공급장치
KR101834643B1 (ko) 김 공급장치의 적재 인출기구
CN110155679A (zh) 一种于食品上放置单粒果干的自动放料设备
CN108238296B (zh) 一种用于回转体水果的装箱机
KR20130111111A (ko) 김 공급장치
CN206334877U (zh) 一种废旧电能表自动检测回收装置
KR200296666Y1 (ko) 수직형 파우치 포장기
CN205973015U (zh) 一种自动空罐码垛机
CN206113984U (zh) 机油瓶自动检测设备
JP2008285289A (ja) 物品移載装置
CN214358856U (zh) 一种转运机械手
US3924759A (en) Article pick-up and transfer apparatus
US3968887A (en) Article pick-up and transfer apparatus
CN213168661U (zh) 一种板形产品打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