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7962B1 - 김스넥 자동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김스넥 자동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7962B1
KR101567962B1 KR1020140094045A KR20140094045A KR101567962B1 KR 101567962 B1 KR101567962 B1 KR 101567962B1 KR 1020140094045 A KR1020140094045 A KR 1020140094045A KR 20140094045 A KR20140094045 A KR 20140094045A KR 101567962 B1 KR101567962 B1 KR 101567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laver
feeder
conveying conveyor
sn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4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신탁
Original Assignee
강신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460548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56796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강신탁 filed Critical 강신탁
Priority to KR1020140094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79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7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7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0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weetmeats or confectionery; Accessories therefor
    • A23G3/20Apparatus for coating or filling sweetmeats or confectione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김스넥 자동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김을 굽고 일면에 견과류나 기타 첨가제를 추가하여 굽거나, 김을 한 장 더 포개어 구워서 김스넥으로 형성하되, 김스넥 생산과정을 완벽하게 자동으로 할 수 있도록 한 김스넥 자동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김스넥 자동 제조장치에 의하면 제1라인의 김과 제2라인의 김이 컨베이어를 따라 자동으로 준비되고, 이를 겹침장치에 의해서 자동으로 겹친 후 연속구이기에 의해서 굽는 과정까지 김스넥을 만드는 전 공정이 모두 자동 및 연속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생산량이 많고, 생산단가를 현저하게 낮출 수 있고, 제1,2조미액도포기가 김의 한쪽 면에만 조미액을 도포할 수 있어서 스넥김의 생산 전과정을 자동화할 수 있으며, 적은 인원으로 자동으로 김스넥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어서 생산성이 향상되는 등의 효과가 발생한다.

Description

김스넥 자동 제조장치{AUTOMATIC LAVER SNACK MANUFACTURING MACHINE}
본 발명은 김스넥 자동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김을 굽고 일면에 견과류나 기타 첨가제를 추가하여 굽거나, 김을 한 장 더 포개어 구워서 김스넥으로 형성하되, 김스넥 생산과정을 완벽하게 자동으로 할 수 있도록 한 김스넥 자동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김은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를 감소시키고 혈관벽을 튼튼하게 하여 고혈압 동맥경화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가 있는 알긴산(alginic acid)를 함유하고 있는 해조류이다.
일반적으로 유통되는 김은 먼저 바다에서 생김을 채취하여 이송하고, 이렇게 이송된 김의 변질 방지를 위해 소금물과 혼합하여 보관한 뒤, 생김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생김에 포함된 이물질이 제거되면 이를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여 발효공정인 숙성과 탈수 공정을 거친 후 상기 탈수된 김을 짜지 않게 하기 위해 민물에 넣었다가 건조하여 형성한다. 이를 김원초라고 부르기도 한다.
상기 김원초에 감미료를 가하거나, 구워서 먹기 좋도록 하는 등 여러 가지 방법으로 가공을 한 뒤 소비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상기 김원초를 강공하기 위해서 다양한 장치 즉, 김포장장치, 김이송장치 및 김가공장치 등의 다양한 기술이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80627호, 제0413473호 및 0401267호 등에 개시된 바 있다.
또한, 김을 과자형태로 만든 김스넥이 제공되는데, 김스넥을 만들기 위해서는 김을 1차로 구운 뒤 일면에 조미액을 도포하고 그 위에 다양한 식재료(호두가루, 콩가루, 참깨가루 등)를 뿌린 뒤 그 위에 또 다른 김에 조미액을 바르고 서로 겹친 후 이를 다시 구워서 만든다.
종래의 김스넥에 관한 기술은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0380576호에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김스넥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1) 김스넥을 만들기 위해서는 다양한 공정을 거쳐야 하는데, 이를 모두 수작업해야하므로 생산량이 떨어지고 생산단가가 높다.
(2) 김스넥을 만들기 위해서, 김을 굽는 과정과 여기에 조미액을 도포하는 과정은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김의 한쪽면에만 조미액을 자동으로 바르는 것이 불가능하여 자동화가 어렵다.
(3) 생산시 많은 인력이 소모되어 공장을 운영에 있어서 여러가지 문제점이 발생하여 생산단가가 현저히 높아진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제1라인과 제2라인이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라인의 끝단에는 겹침장치가 형성되며, 상기 제1라인의 끝단과 제2라인의 끝단에 형성된 겹침장치를 거치도록 김을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가 형성되고,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끝단에는 연속구이기가 형성되며, 상기 연속구이기의 끝단에는 제2이송컨베이어가 형성되고,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의 끝단에는 절단기가 형성되며, 상기 절단기의 끝단에는 연속건조기가 형성되고, 상기 연속건조기의 끝단에는 제3이송컨베이어가 형성되어 제품을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라인은 김을 연속으로 투입시키는 제1투입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투입기에서 투입된 김을 이송시키면서 굽는 제1김구이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1김구이기를 통과한 김의 일면에 조미액을 도포하는 제1조미액도포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조미액도포기를 통과하면서 조미액이 도포된 면에 부가재료를 투입하는 재료투입기가 형성되며, 상기 재료투입기에 의해서 부가재료가 상면에 도포된 김이 제2라인과 연동시간을 맞추기 위해서 이송컨베이어로 투입되는 시간을 조절하는 제1타이밍투입기로 구성된다.
상기 제2라인은 제1라인과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는데, 김을 연속으로 투입시키는 제2투입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투입기에서 투입된 김을 이송시키면서 굽는 제2김구이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2김구이기를 통과한 김의 일면에 조미액을 도포하는 제2조미액도포기가 형성되고, 타이밍을 맞추기 위해서 제2타이밍투입기가 형성되며, 제1라인에서 배출되어 이송되는 제1라인의 김이 이송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면 제2라인의 김을 상면에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 겹침장치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김스넥 자동 제조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생한다.
(1) 제1라인의 김과 제2라인의 김이 컨베이어를 따라 자동으로 준비되고, 이를 겹침장치에 의해서 자동으로 겹친 후 연속구이기에 의해서 굽는 과정까지 김스넥을 만드는 전 공정이 모두 자동 및 연속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생산량이 많고, 생산단가를 현저하게 낮출 수 있다.
(2) 제1,2조미액도포기가 김의 한쪽 면에만 조미액을 도포할 수 있어서 스넥김의 생산 전과정을 자동화할 수 있다.
(3) 적은 인원으로 자동으로 김스넥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어서 생산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김스넥 자동제조장치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김스넥 자동제조장치의 개념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김스넥 자동제조장치의 조미액도포기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김스넥 자동제조장치의 재료투입기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김스넥 자동제조장치의 겹침장치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김스넥 자동제조장치의 연속구이기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김스넥 자동제조장치의 연속구이기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김스넥 자동제조장치의 연속건조기의 측면도.
본 발명은 제1라인(100)과 제2라인(200)이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라인(200)의 끝단에는 겹침장치(300)가 형성되며, 상기 제1라인(100)의 끝단과 제2라인(200)의 끝단에 형성된 겹침장치(300)를 거치도록 김을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400)가 형성되고, 상기 이송컨베이어(400)의 끝단에는 연속구이기(500)가 형성되며, 상기 연속구이기(500)의 끝단에는 제2이송컨베이어(410)가 형성되고,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410)의 끝단에는 절단기(430)가 형성되며, 상기 절단기(430)의 끝단에는 연속건조기(600)가 형성되고, 상기 연속건조기(600)의 끝단에는 제3이송컨베이어(440)가 형성되어 제품을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라인(100)은 김을 연속으로 투입시키는 제1투입기(110)가 형성되고, 상기 제1투입기(110)에서 투입된 김을 이송시키면서 굽는 제1김구이기(120)가 형성되며, 상기 제1김구이기(120)를 통과한 김의 일면에 조미액을 도포하는 제1조미액도포기(130)가 형성되고, 상기 제1조미액도포기(130)를 통과하면서 조미액이 도포된 면에 부가재료를 투입하는 재료투입기(140)가 형성되며, 상기 재료투입기(140)에 의해서 부가재료가 상면에 도포 된 김이 제2라인과 연동시간을 맞추기 위해서 이송컨베이어(400)로 투입되는 시간을 조절하는 제1타이밍투입기(150)로 구성된다.
상기 제1라인(100)의 제1투입기(110)는 김을 적층 한 후 아래에서 한 장씩 배출하면서 연결된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김구이기(120)는 챔버(chamfer) 형태로 구성되고, 금속제 컨베이어가 김을 내부에서 이송시키는데 전방에서 투입된 김이 내부에 형성된 발열체에 의해서 구워져서 배출되도록 형성된 종래의 김구이기의 일종이다.
상기 제1조미액도포기(130)는 구워져 나온 김에 맛을 가미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조미액을 도포하는 것으로, 조미액이 포함된 롤러의 사이를 통과시켜서 김의 표면에 조미액을 도포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조미액도포기(130)는 프레임의 상단에 전방이송컨베이어(131)와 배출컨베이어(132)가 형성되고, 상기 전방이송컨베이어(131)와 배출컨베이어(132)의 사이에는 조미액공급기(700)가 형성된다.
상기 조미액공급기(700)는 상단에 조미액이 포함되는 원통형의 파이프(710)가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710)의 축방향으로 측면에 다수개의 조미액노즐(712)이 일정간격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조미액노즐(712)의 끝단에 비스듬하게 조미액이 흐르도록 하는 공급패널(720)이 형성되고, 상기 공급패널(720)의 끝단의 하단에 제1스펀지롤러(731)가 형성되고, 상기 제1스펀지롤러(731)와 맞닿아서 제2스펀지롤러(732)가 형성되며, 상기 제2스펀지롤러(732)의 하단에 다수개의 골(741)이 형성된 도포롤러(740)가 형성되고, 상기 도포롤러(740)와 맞물려 회전하면서 김을 통과시키는 이송롤러(750)가 형성된다.
상기 조미액공급기(700)의 파이프(710)에 조미액을 공급하기 위해서 투입펌프가 포함된 조미액투입기(133)가 제1조미액도포기(130)의 일측에 형성된다.
상기 이송롤러(750)와 도포롤러(740)는 서로 맞물려 회전하는데, 이때 김이 지나가고 난 후에 도포롤러(740)에서 떨어지는 조미액이 이송롤러(750)에 묻어서 다음 김의 후면에 조미액이 묻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이송롤러(750)에는 전체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구간이 축방향으로 형성되는 공간롤링부(752)가 형성된다.
상기 공간롤링부(752)는 도포롤러(740)와 맞닿아서 회전하지 않으므로 이송롤러(750)의 조미액이 묻지 않아서 다음에 투입되는 김의 후면에는 기름이 묻지 않고, 상면에만 조미액이 도포된다.
상기 도포롤러(740)에는 원주방향으로 다수개의 골(741)이 축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골(741)은 모세관현상에 의해서 제1,2스펀지롤러(731,732)에서 떨어지는 조미액을 포함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재료투입기(140)는 프레임(141)의 가운데에 김을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는 내부컨베이어(142)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141)의 상단 양측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재료투입장치(800)가 형성된다.
상기 재료투입장치(800)는 고정프레임(810)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프레임(810)의 상단 가운데에는 호퍼(820)가 형성되며, 상기 호퍼(820)의 하단에는 정렬컨베이어(830)가 이송모터(832)에 의해서 작동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정렬컨베이어(830)의 끝단에는 정렬기모터(842)에 의해서 회전하는 정렬기(840)가 형성되며, 상기 정렬기(840)의 하단에는 진동받침(851)에 의해서 지지되고 상단으로 개방된 'ㄷ'자 형상의 진동이송기(850)가 형성되며, 상기 진동이송기(850)의 끝단에는 사각 관형상의 하락가이드(852)가 형성된다.
상기 재료투입기(140)는 조미액이 상면에 도포된 김이 내부컨베이어(142)에 의해서 이송되고, 재료투입장치(800)가 김의 이송을 감지하게 되면 호퍼(820)로 부터 부재료(가루 형태의 견과류, 가루형태의 양념류 등)가 정렬컨베이어(830)를 따라서 이송되는데, 상기 정렬컨베이어(830)의 끝단에 형성된 정렬기(840)에 의해서 고르게 펴지게 된다.
이후, 상기 부재료는 진동이송기(850)로 떨어지게 되고, 상기 진동이송기(850)가 진동하면서 부재료를 전방으로 밀어내면서 하락가이드(852)를 통해서 순차적으로 배출되어 김의 상면에 묻게 된다.
상기 제1타이밍투입기(150)는 하단에 컨베이어 사이에서 실린더에 의해서 상하로 움직이는 스탑퍼(stoper)가 상승하여 이송되는 김을 멈추었다가 제2라인과 타이밍을 맞추어 스탑퍼가 하강하여 다시 김이 이송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라인(200)은 제1라인(100)과 거의 동일(상기 재료투입기(140)의 재료투입장치(800)가 설치되지 않음)하게 형성되는데, 김을 연속으로 투입시키는 제2투입기(210)가 형성되고, 상기 제2투입기(210)에서 투입된 김을 이송시키면서 굽는 제2김구이기(220)가 형성되며, 상기 제2김구이기(220)를 통과한 김의 일면에 조미액을 도포하는 제2조미액도포기(230)가 형성되고, 타이밍을 맞추기 위해서 제2타이밍투입기(250)가 형성되며, 제1라인(100)에서 배출되어 이송되는 제1라인(100)의 김이 이송컨베이어(400)를 따라 이송되면 제2라인(200)의 김을 상면에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 겹침장치(300)로 구성된다.
상기 제2투입기(210), 제2김구이기(220), 제2조미액도포기(230) 및 제2타이밍투입기(250)는 모두 제1라인(100)의 제1투입기(110), 제1김구이기(120), 제1조미액도포기(130) 및 제1타이밍투입기(150)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 겹침장치(300)는 외부몸체프레임(310)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몸체프레임(310)의 상단에 후방(김이 이송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이드프레임(320)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프레임(320)의 하단에는 김을 이송시킬 수 있는 이송패널(324)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몸체프레임(310)의 내부에는 양측에 실린더가이드(332)에 의해서 가이드되면서 상하실린더(330)에 의해서 상하이송 가능한 직사각박스형상의 내부몸체프레임(340)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몸체프레임(340)의 하단양측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는 회전축(351)을 중심으로 회전실린더에 의해서 180도로 회전가능한 직사각박스형상의 회전프레임(350)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프레임(350)의 상면과 하면에는 각각 다수개의 홀이 형성되는 상,하흡착판(352,353)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상,하흡착판(352,353)은 진공흡착판으로 김의 하면을 강한 진공압으로 흡착하여 회전실린더에 의해서 회전함과 동시에 상하실린더(330)에 의해서 하강할 때에도 하흡착판(353)에 부착된 김이 떨어지지 않도록 형성된다.
상기 상,하흡착판(352,353)은 회전실린더(353)에 의해서 180도로 회전하는데, 상흡착판(352)이 상단에 있을 때에는 제2라인(200)에서 투입되는 김(이하, '이송김'이라 함)을 흡착하고 있다가, 제1라인(100)으로부터 이송컨베이어(400)에 의해서 이송되어 이송컨베이어(400)의 상단에 멈춰있는 김(이하, '부자재도포김'이라 함)의 상면에 180도로 회전하여 상하실린더(330)에 의해서 하강하면서 부자재도포김의 상면에 포개지게 된다.
이후, 흡착력을 제거함으로써 이송김과 부자재도포김은 서로 포개진 상태에서 이송컨베이어(400)에 의해서 이송된다.
상기 이송컨베이어(400)는 상면이 제1라인(100)의 끝단의 높이와 맞도록 형성되고, 제2라인(200)으로 가면서 경사져서 겹침장치(300)의 외부몸체프레임(310)의 내부 하단을 지나도록 형성되는데, 외부몸체프레임(310)의 하단에 형성된 회전프레임(350)의 하단에 위치하고, 이후 연속하여 연속구이기(500)의 입구까지 김을 이송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연속구이기(500)는 챔버형태로 형성되고, 전방에 입구부(511)가 형성되며, 후방에 배출부(512)가 형성되는 외부케이스(510)와;
상기 외부케이스(510)의 내부의 전방하단에 한 쌍의 전방하부스프라켓(521)이 형성되며, 상기 전방하부스프라켓(521)에 대응되게 회전하도록 후방 하단에 한 쌍의 후방하부스프라켓(522)이 형성되고, 상기 전,후방하부스프라켓(521,522)을 서로 연결하는 하부체인이(523) 형성되며, 상기 하부체인(523)의 각 연결부분 사이에 가로방향으로 다수개의 하부가열판재(524)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각 하부가열판재(524)에는 하부히터가 각각 삽입되는 하부가열유닛(520)과;
상기 외부케이스(510)의 내부의 전방상단에 한 쌍의 전방상부스프라켓(531)이 형성되고, 상기 전방상부스프라켓(531)에 대응되게 회전하도록 후방 상단에 한 쌍의 후방상부스프라켓(532)이 형성되고, 상기 전,후방상부스프라켓(531.532)을 서로 연결하는 상부체인(533)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체인(533)의 각 연결부분 사이에 가로방향으로 하부가열유닛(520)의 각 하부가열판재(524)와 대응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상부가열판재(534)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 상부가열판재(534)에는 상부히터가 각각 삽입되는 상부가열유닛(530)과;
상기 상부가열유닛(530)과 하부가열유닛(520)의 각 일측면에 다수개의 상,하부전원공급레인이 나란하게 묶여져서 상,하부체인(523,533)과 이격되게 형성되는 상,하부통전레일(541,551)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하부통전레일(541,551)의 각 상,하부전원공급레인을 따라 이송되면서 전원공급을 할 수 있도록 상,하부연속전원공급뭉치(542,552)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하부연속전원공급뭉치(542,552)는 전선으로 어느 하나의 상,하부가열판재(524,534)와 연결되도록 형성된 상,하부전원공급유닛(540,550)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속구이기(500)을 통과한 김은 상,하부가열판재(534,524)의 사이에서 완전하게 구워져진 상태(이하, '김스넥판'이라 함)로 제2이송컨베이어(410)으로 이송된다.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410)의 끝단에는 절단기(430)가 형성되는데, 상기 절단기(430)는 김스넥판이 이송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다수개의 회전식칼날이 폭방향으로 나열되고, 김스넥판을 밀어넣는 밀착판이 김스넥판을 회전식칼날에 밀어넣어서 길이방향으로 절단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절단된 김스넥판(이하, '김스넥조각'이라 함)은 절단기(430)의 끝단에 형성된 진동이송피더(431)에 의해서 진동하면서 전진하여 건조투입컨베이어(433)로 떨어지게 되고 이후 김스넥조각은 연속건조기(600)로 투입된다.
상기 연속건조기(600)는 챔버형상의 건조기케이스(610)와; 상기 건조기케이스(610)의 상부와 관통하도록 형성된 유입덕트(622)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덕트(622)의 상단에 공기주입팬(621)이 형성되며, 상기 유입덕트(622)의 측면으로 내부와 관통하여 열기를 회수하는 회수덕트(623)가 형성되고, 상기 회수덕트(623)의 상단에는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덕트(624)가 형성되는 공기유동부(620)와;
상기 건조기케이스(610)의 내부를 관통하여 김스넥조각을 건조하면서 이동시키는 조각이송컨베이어(630)와;
상기 조각이송컨베이어(630)의 상단에 이격되어 형성되고, 적외선을 방사할 수 있도록 건조히터(641)가 형성되는 건조부(640)가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스넥김 제조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김을 제1라인(100)의 제1투입기(110)와 제2라인(200)의 제2투입기(210)에 각각 적재하고, 장치를 작동시킨다.
상기 제1라인(100)의 김(이하, '제1라인김'이라 함)은 제1김구이기(120)를 통과하여 굽히고, 제1조미액도포기(130)에 의해서 상면에만 조미액이 도포된 상태에서 재료투입기(140)로 이송된다.
상기 재료투입기(140)에서는 재료투입장치(800)에 의해서 조미액이 도포된 제1라인김의 상면에 부재료가 뿌려지게 된다.
이후, 제1타이밍투입기(150)에서 제2라인(200)과 타이밍을 맞추기 위해서 제1라인김이 대기하게 된다.
상기 제2라인(200)의 김(이하, '제2라인김'이라 함)은 제2김구이기(220)를 통과하여 굽히고, 제2조미액도포기(130)에 의해서 상면에만 조미액이 도포된 상태에서 제1라인김과 타이밍을 맞추기 위해서 제2타이밍투입기(250)에 제2라인김이 대기하게 된다.
이때, 제1타이밍투입기(150)에서 제1라인김을 이송컨베이어(400)로 이송시킬 때, 제2타이밍투입기(250)에서 제2라인김을 이송시킨다.
상기 제2라인김은 겹침장치(300)의 상흡착판(352)에 올려지게 되고, 회전프레임(350)의 하단을 통과하는 이송컨베이어(400)의 상면에 제1라인김이 위치하면 상흡착판(352)에서 제2라인김을 흡착한 상태에서 회전프레임(350)이 180도로 회전하여 제2라인김의 상면이 제1라인김의 상면에 위치하도록 뒤집은 상태에서 상하실린더(330)가 하강하여 제2라인김의 상면(조미액이 도포된 면)이 제1라인김의 상면에 위치하게 된다.
이후, 흡착을 해제하여 제1라인김과 제2라인김이 하나로 만들어진 형성된 상태에서 이송컨베이어(400)에 의해서 이송되어 연속구이기(500)로 투입된다.
상기 연속구이기(500)에서는 상,하부가열판재(524,534)에 의해서 압착되면서 연속적으로 구워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김스넥이 구워진 상태에서 제2이송컨베이어(410)에 의해서 이동게 되고, 절단기(430)에 의해서 절단된 상태에서 연속건조기(600)로 투입된다.
상기 연속건조기(600)는 열풍으로 김스넥을 건조한 후에 제3이송컨베이어(440)으로 이를 배출한다.
본 발명의 김스넥 자동 제조장치에 의하면 제1라인의 김과 제2라인의 김이 컨베이어를 따라 자동으로 준비되고, 이를 겹침장치에 의해서 자동으로 겹친 후 연속구이기에 의해서 굽는 과정까지 김스넥을 만드는 전 공정이 모두 자동 및 연속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생산량이 많고, 생산단가를 현저하게 낮출 수 있고, 제1,2조미액도포기가 김의 한쪽 면에만 조미액을 도포할 수 있어서 스넥김의 생산 전과정을 자동화할 수 있으며, 적은 인원으로 자동으로 김스넥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어서 생산성이 향상되는 등의 효과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100 : 제1라인 110 : 제1투입기
120 : 제1김구이기 130 : 제1조미액도포기
131 : 전방이송컨베이어 132 : 배출컨베이어
133 : 조미액투입기 140 : 재료투입기
150 : 제1타이밍투입기
200 : 제2라인 210 : 제2투입기
220 : 제2김구이기 230 : 제2조미액도포기
250 : 제2타이밍투입기
300 : 겹침장치 310 : 외부몸체프레임
320 : 가이드프레임 324 : 이송패널
330 : 상하실린더 332 : 실린더가이드
340 : 내부몸체프레임 350 : 회전프레임
351 : 회전축 352 : 상흡착판
353 : 하흡착판
400 : 이송컨베이어 410 : 제2이송컨베이어
430 : 절단기 431 : 진동피더
440 : 제3이송컨베이어 500 : 연속구이기
510 : 외부케이스 520 : 하부가열유닛
521 : 전방하부스프라켓 522 : 후방하부스프라켓
523 : 하부체인 524 : 전방가열판재
530 : 상부가열유닛 531 : 전방상부스프라켓
532 : 후방상부스프라켓 533 : 상부체인
534 : 상부가열판재 540 : 상부전원공급유닛
541 : 상부통전레일 541a: 상부전원공급레인
542 : 상부연속전원공급뭉치 550 : 하부전원공급유닛
551 : 하부통전레일 551a: 하부전원공급레인
600 : 연속건조기
610 : 건조기케이스 621 : 공기주입팬
622 : 유입덕트 623 : 회수덕트
624 : 배출덕트 630 : 조각이송컨베이어
640 : 건조부 641 : 건조히터
700 : 조미액공급기 710 : 파이프
712 : 조미액노즐 720 : 공급패널
731 : 제1스펀지롤러 732 : 제2스펀지롤러
740 : 도포롤러 741 : 골
750 : 이송롤러 752 : 공간롤링부
800 : 재료투입기
810 : 고정프레임 820 : 호퍼
830 : 정렬컨베이어 832 : 이송모터
840 : 정렬기 842 : 정렬기모터
850 : 진동이송기 851 : 진동받침
852 : 하락가이드

Claims (5)

  1. 삭제
  2. 제1라인과 제2라인이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라인에는 재료투입장치에 의해서 부재료를 김의 상면에 묻힐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라인의 끝단에는 겹침장치가 형성되며, 상기 제1라인의 끝단과 제2라인의 끝단에 형성된 겹침장치를 거치도록 김을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가 형성되고,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끝단에는 연속구이기가 형성되며, 상기 연속구이기의 끝단에는 제2이송컨베이어가 형성되며,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의 끝단에는 절단기가 형성되고, 상기 절단기의 끝단에는 진동피더에 의해서 이송되는 절단된 스넥김을 건조하는 연속건조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스넥 자동 제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제1라인과 제2라인에는 동일하게 조미액도포기가 형성되는데, 조미액이 김의 상면에만 도포될 수 있도록 이송롤러에 전체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구성되는 구간이 축방향으로 형성된 공간롤링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스넥 자동 제조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라인은 김을 연속으로 투입시키는 제1투입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투입기에서 투입된 김을 이송시키면서 굽는 제1김구이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1김구이기를 통과한 김의 일면에 조미액을 도포하는 제1조미액도포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조미액도포기를 통과하면서 조미액이 도포된 면에 부가재료를 투입하는 재료투입기가 형성되며, 상기 재료투입기에 의해서 부가재료가 상면에 도포된 김이 제2라인과 연동시간을 맞추기 위해서 이송컨베이어로 투입되는 시간을 조절하는 제1타이밍투입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스넥 자동 제조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라인은 김을 연속으로 투입시키는 제2투입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투입기에서 투입된 김을 이송시키면서 굽는 제2김구이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2김구이기를 통과한 김의 일면에 조미액을 도포하는 제2조미액도포기가 형성되고, 타이밍을 맞추기 위해서 제2타이밍투입기가 형성되며, 제1라인에서 배출되어 이송되는 제1라인의 김이 이송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면 제2라인의 김을 상면에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 겹침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스넥 자동 제조장치.
KR1020140094045A 2014-07-24 2014-07-24 김스넥 자동 제조장치 KR101567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4045A KR101567962B1 (ko) 2014-07-24 2014-07-24 김스넥 자동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4045A KR101567962B1 (ko) 2014-07-24 2014-07-24 김스넥 자동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7962B1 true KR101567962B1 (ko) 2015-11-10

Family

ID=54605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4045A KR101567962B1 (ko) 2014-07-24 2014-07-24 김스넥 자동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796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172B1 (ko) 2009-07-22 2012-06-19 강신탁 김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172B1 (ko) 2009-07-22 2012-06-19 강신탁 김 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26889B (zh) 食品處理設備及利用此設備之食品製造方法
KR101987765B1 (ko) 김 튀김 제조장치
KR102143204B1 (ko) 멸치자숙용 발 세척장치
US9635880B2 (en) Reduced-size apparatus for applying food coating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3703382A (en) Method of coating edible food articles
KR101710073B1 (ko) 김의 한쪽 면 조미액 자동도포기
US3779205A (en) Food applicator
KR101567962B1 (ko) 김스넥 자동 제조장치
KR101798893B1 (ko) 장어구이용 조리 시스템
CN104054803A (zh) 一种可对猪肉进行保鲜涂膜的涂膜机中的涂膜装置
KR101418936B1 (ko) 계란 지단 제조장치
KR101380244B1 (ko) 파우더 균일 도포 기능을 가지는 김 구이 장치
KR20160027300A (ko) 스낵김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203913167U (zh) 一种饼状食品的上芝麻机
KR20160012892A (ko) 김스넥 자동 제조장치
JPH1132738A (ja) 味付焼海苔の製造装置
KR101672877B1 (ko) 김스넥 제조장치용 회전식 겹침장치
KR20230158751A (ko) 구이김 제조장치
KR100422223B1 (ko) 김구이 장치
KR101641601B1 (ko) 볶음밥 제조용 연속식 혼합장치
CN112674315A (zh) 一种烧椒风味调料制作方法
KR20160012516A (ko) 김스넥 자동제조장치의 재료투입기
KR101823520B1 (ko) 훈연맛김 제조장치
CN209788385U (zh) 虾蒸煮设备
KR20170083743A (ko) 석판을 구비하는 가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0000166;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70118

Effective date: 2017072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