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2223B1 - 김구이 장치 - Google Patents

김구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2223B1
KR100422223B1 KR10-2001-0083829A KR20010083829A KR100422223B1 KR 100422223 B1 KR100422223 B1 KR 100422223B1 KR 20010083829 A KR20010083829 A KR 20010083829A KR 100422223 B1 KR100422223 B1 KR 100422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reservoir
rotary feeder
conveyor
seaw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3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3847A (ko
Inventor
박남철
Original Assignee
박남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남철 filed Critical 박남철
Priority to KR10-2001-0083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2223B1/ko
Publication of KR20020023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3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2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22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45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motor-driven food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dible Seawee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김의 양쪽 표면 전체에 걸쳐 균일한 양의 기름이 뿌려지면서 도포 되게 하여 맛과 향이 향상되게 하는 동시에 보다 위생적으로 생산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김구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김구이 장치{A LAVER ROASTER}
본 발명은 일정한 크기와 두께를 갖는 날 김을 양념 구이김으로 만드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김의 양쪽 표면 전체에 걸쳐 균일한 양의 기름이 뿌려지면서 도포 되게 하여 맛과 향이 향상되게 하는 동시에 보다 위생적으로 생산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김구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념 구이김은 일정한 크기와 두께를 갖는 날 김을 컨베이어를 따라 2열 종대로 이송되게 하는 동시에 기름(참기를, 들기름, 식용유 등)도포기, 분말양념공급기(소금 등), 구이기를 순차적으로 통과되게 하여서 만들어지게 된다.
종래 김구이 장치에 있어, 기름도포기는 스펀지로 된 로울러를 날 김이 통과되게 하고 있는데, 이러한 경우 오랜 사용에 의해 스펀지 로울러가 기름에 의해 경화되어 그 사이를 통과하는 날 김의 표면이 눌려지게 되고, 더욱이 기름이 균일하게 도포 되지 않게 되며, 비위생적인 문제점으로 인해 맛과 향이 제대로 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김의 양쪽 표면 전체에 걸쳐 균일한 양의 기름이 뿌려지면서 도포 되게 하여 맛과 향이 향상되게 하는 것과, 보다 위생적으로 생산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김구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일정한 크기와 두께를 갖는 날 김을 제 1이송컨베이어와 정렬컨베이어를 따라 2열 종대로 이송되게 하여 각기 구동하는 한편, 나란히 위치하게 되는 한 쌍의 회전이송기에 투입되게 하는 동시에 제 1 분사노즐에 의해 보조저유통내의 기름이 김의 표면 전체면에 도포 되게 하고, 상기 회전이송기에 의해 김의 표면이 뒤집히면서 이송되게 하는 동시에 제 2분사노즐에 의해 보조저유통내의 기름이 김의 바뀐 표면 전체면에 도포 되게 한 후 보조이송컨베이어와 제 2이송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게 하면서 양념통내의 분말양념이 뿌려지게 한 후, 구이기를 통과되게 하여 구이김으로 성형되게 하는 김구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 장치의 측면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 장치의 평면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 장치에 따른 기름 분사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장치에 따른 케이스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장치에 따른 회전이송기의 사시도 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0 ... 주저유통 101 ... 솔레노이드밸브
110 ... 보조저유통 111 ... 급유파이프
112 ... 히터 113 ... 걸름망
114 ... 레벨게이지 120 ... 제 1분사노즐
121 ... 제 2분사노즐 122 ... 히터
123 ... 센서 130 ... 케이스
131 ... 집유부 140 ... 양념통
141 ... 배출로울러 142 ... 브러시로울러
150 ... 구이기 160 ... 제 1이송컨베이어
170 ... 정렬컨베이어 180 ... 회전이송기
181 ... 모터 182,186 ... 스프로킷휠
183 ... 축 184 ... 기둥
185 ... 날개 190 ... 보조이송컨베이어
200 ... 제 2이송컨베이어
다음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1 및 도 2 에는 본 발명에 따른 김구이 장치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김구이 장치는 일정한 크기와 두께를 갖는 날 김이 제 1이송컨베이어(160), 정렬컨베이어(170), 회전이송기(180), 보조이송컨베이어(190), 제 2이송컨베이어(200)를 따라 2열 종래로 이송되게 하고, 회전이송기(180)에서는 양쪽면에 기름이 도포 되게 하며, 보조이송컨베이어(190)를 통해 제 2이송컨베이어(200)에 위치하게 하여 분말양념이 뿌려지게 한 후 구이기(150)를 통해 구워지게 하는 것이다.
상기 제 1이송컨베이어(160)의 상부에는 주저유통(100)이 정렬컨베이어(170)의 상부에는 보조저유통(110)이 상기 회전이송기(180)의 상부에는 두 개 한 쌍을 이루게 되는 제 1분사노즐(120)과 제 2분사노즐(121)이 각각 설치되고, 제 2이송컨베이어(200)의 상부에는 양념통(140)이 설치되며, 이 제 2컨베이어(200)는 구이기(150)의 내부에까지 연장되어 설치된다.
상기 주저유통(100)은 그 내부에 1일 작업량에 따른 기름(참기를, 들기름, 식용유 등)이 저유되고, 전방 측의 하부에는 상기 보조저유통(110)과 연락되는 솔레노이드밸브(101)가 설치된다.
상기 보조저유통(110)은 외부면이 단열 되는 통체로, 어느 일 측면에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01)를 동작시키는 레벨게이지(114)가 설치되고, 내부의 바닥면에는 히터(112)가 설치되며, 상부면에는 기름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걸름망(113)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저유통(110)에는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01)에 접속되는 급유파이프(111)가 설치되는데, 이 급유파이프(111)는 일단부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01)에 접속되어 보조저유통(110)의 내부를 경유하여 상단부가 수직 하향되게 걸름망(113)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회전이송기(180)는 도 4 및 도 5 도시와 같이 축(183)상에 다수개의 날개(185)가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이 축(183)은 기둥(184)에 의해 지지되며, 축(183)의 어느 일단부에는 스프로킷휠(186)이 축설되는 한편, 다른 일단부는 기둥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다. 그리고 상기 기둥(184)의 하부에는 스프로킷휠(182)이축상에 축설된 모터(181)가 위치하게 되는 동시에 상기 스프로킷휠(182)(186)들은 체인(187)에 의해 연결된다. 이러한 회전이송기(180)는 두장의 김을 각각 뒤집을 수 있게 좌,우에 나란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각각의 모터(181)에 의해 각기 동작하게 된다. 상기 회전이송기(180)의 외부면에는 케이스(130)가 설치되는데, 이 케이스(130)는 도 4 도시와 같이 양쪽면에 유리창(132)이 설치되고, 양쪽벽면의 하부에는 집유부(131)가 설치된다.
상기 제 1 및 제 2분사노즐(120)(121)은 도 3 도시와 같이 보조저유통(110)내의 기름이 김의 양쪽면에 도포 되게 하는 것으로, 두 개 한 쌍을 이루게 되는 제 1분사노즐(120)이 일정한 거리를 두고 좌,우에 위치하게 되고, 역시 이 제 1분사노즐(120)과 같이 두 개 한 쌍을 이루게 되는 제 2분사노즐(121)이 일정한 거리를 두고 좌,우에 위치하게 되며, 제 1 및 제 2분사노즐(120)(121)은 앞뒤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제 1분사노즐(120)과 보조저유통(110)의 사이에는 두 개 한 쌍을 이루면서 좌,우에 위치하게 되는 센서(123)가 설치되는데, 이 센서(123)는 정렬컨베이어(170)를 따라 회전이송기(180)에 투입되는 김의 위치를 감지하여 제 1분사노즐(120)이 동작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분사노즐(120)(121)을 기름이 공급되게 하는 관체에는 히터(122)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제 1 및 제 2분사노즐(120)(121)은 에어, 오일 펌프에 의해 동작하게되는데 제 1분사노즐(120)은 투입되는 김의 위치를 센서(123)가 감지하게 되면 동작하게 되고, 제 2분사노즐(120)은 제 1분사노즐(120)에 의해 표면에 기름이 도포된김이 있는 상태로 회전이송기(180)가 180°회전되면 동작하게 설정된다.
상기 양념통(140)은 일정한 양의 분말(소금 등)양념이 담기게 되는 통체로, 그 내부에는 교반로울러가 설치되고, 배출구의 하부에는 배출로울러(141)가 설치되며, 이 배출로울러(141)의 일 측에는 브러시로울러(142)가 설치되어 내부에 있는 양념이 제 2이송컨베이어(200)에 의해 이송되는 김의 표면에 양념이 뿌려지게 한다.
이렇게 구성되는 본 발명은 제 1이송컨베이어(160)상에 김 두장이 나란하게 2열 종대로 배열되어 이송되는데, 두 장의 김은 정렬컨베이어(170)에 의해 각기 또는 동일하게 동작하게 되는 회전이송기(180)로 투입된다. 이때 회전이송기(180)에 김이 투입됨을 센서(123)가 감지하여 제 1분사노즐(120)이 동작되게 함으로써, 김의 상부면 전체에 걸쳐 기름이 분사되면서 도포 되게 한다.
이어서 뒤이어 이송되는 김이 투입되는데, 먼저 앞서 기름이 도포 된 김에 대해서만 설명하면, 기름이 도포 된 김은 회전이송기(180)의 날개(185)들에 의해 올려진 상태로 뒤집혀서 이송되는데, 회전이송기(180)가 180°회전됨과 동시에 제 2분사노즐(121)이 동작하여 뒤집혀진 반대편(기름이 도포 되지 않은 면)면 전체에 걸쳐 기름이 분사되면서 도포 되게 한다.
이렇게 기름이 양쪽면에 도포된 김은 보조이송컨베이어(190)에 의해 제 2이송컨베이어(200)로 이송되며, 제 2이송컨베이어(200)를 따라 이송되는 김의 표면에는 양념통(140)으로부터 뿌려지는 분말양념이 도포 된다. 이어서 제 2이송컨베이어(200)를 따라 구이기(150)를 통과하여 소성 됨으로써, 구이김으로 생산되는 것이다.
상기에 있어 제 1 및 제 2분사노즐(120)(121)에서 김을 향해 분사되는 기름중 케이스(130)의 양쪽면에 분사되는 기름은 양쪽면을 따라 하부로 흘러내리게 되고, 이어서 집유부(131)에 모이게 되는데, 집유부(131)의 끝에는 집유통을 위치되게 함으로써, 설비의 바닥면으로 버려지게 되는 기름을 어느 정도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요철면을 갖는 김의 표면이 손상됨이 없이 기름이 양쪽면에 균일하게 도포 되고, 또한 분말양념이 뿌려지게 되어 소성 됨으로써, 김의 맛과 향을 그대로 살릴 수 있게 되고, 보다 청결한 상태의 완성된 제품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및 제 2분사노즐에 의해 김의 양쪽 표면 전체에 걸쳐 균일한 양의 기름이 뿌려지면서 도포 됨으로써, 맛과 향이 향상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분사노즐에 의한 도포로 보다 위생적으로 제품을 생산할 수 있게 되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효과도 있다.

Claims (2)

  1. 일정한 크기와 두께를 갖는 날 김을 제 1이송컨베이어(160)와 정렬컨베이어(170)를 따라 2열 종대로 이송되게 하여 각기 구동하는 한편, 나란히 위치하게 되는 한 쌍의 회전이송기(180)에 투입되게 하는 동시에 제 1 분사노즐(120)에 의해 보조저유통(110)내의 기름이 김의 표면 전체면에 도포 되게 하고, 상기 회전이송기(180)에 의해 김의 표면이 뒤집히면서 이송되게 하는 동시에 제 2분사노즐(121)에 의해 보조저유통(110)내의 기름이 김의 바뀐 표면 전체면에 도포 되게 한 후 보조이송컨베이어(190)와 제 2이송컨베이어(200)를 따라 이송되게 하면서 양념통(140)내의 분말양념이 뿌려지게 한 후, 구이기(150)를 통과되게 하여 구이김으로 성형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김구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보조저유통(110)은 일정한 작업량에 따른 기름이 저유된 주저유통(100)으로부터 일정량씩 기름을 공급받는 단열구조를 갖는 통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분사노즐(120)(121)은 에어 또는 오일펌프에 의해 동작되는 한편, 제 1분사노즐(120)은 회전이송기(180)에 투입되는 김의 위치를 감지하게 되는 센서(123)에 의해, 제 2분사노즐(121)은 기름이 도포된 김이 있는 상태로 회전이송기(180)가 108°회전되면 동작되며, 상기 회전이송기(180)의 외부면에는 그 내부가 보이게 하는 유리창(132)과 벽면을 따라 흐르게 되는 기름이 모이게 하는 집유부(131)가 형성되는 케이스(130)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김구이 장치.
KR10-2001-0083829A 2001-12-24 2001-12-24 김구이 장치 KR100422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3829A KR100422223B1 (ko) 2001-12-24 2001-12-24 김구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3829A KR100422223B1 (ko) 2001-12-24 2001-12-24 김구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3847A KR20020023847A (ko) 2002-03-29
KR100422223B1 true KR100422223B1 (ko) 2004-03-11

Family

ID=19717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3829A KR100422223B1 (ko) 2001-12-24 2001-12-24 김구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22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704B1 (ko) 2010-04-01 2013-06-10 김주식 김 구이기
CN104939157A (zh) * 2014-03-28 2015-09-30 Cj第一制糖株式会社 调味海苔的制造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8857B1 (ko) * 2019-03-05 2019-10-04 정운상 김 구이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704B1 (ko) 2010-04-01 2013-06-10 김주식 김 구이기
CN104939157A (zh) * 2014-03-28 2015-09-30 Cj第一制糖株式会社 调味海苔的制造方法
US20150272169A1 (en) * 2014-03-28 2015-10-01 Cj Cheiljedang Corpora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Seasoned La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3847A (ko) 2002-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62523B2 (ja) 調理装置及び調理方法
CA2363921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ed hydration grain cooking
KR100553386B1 (ko) 곡물을 이용한 건과자 가공장치 및 제조방법
KR100422223B1 (ko) 김구이 장치
KR100800572B1 (ko) 조미김 가공용 조미분말의 살포장치
KR101710073B1 (ko) 김의 한쪽 면 조미액 자동도포기
KR101798893B1 (ko) 장어구이용 조리 시스템
EP2478781A1 (en) Method and unit for saucing dried nuts with diffusion by means of salinisation, saccharisation or aromatisation
JPH1132738A (ja) 味付焼海苔の製造装置
US2640444A (en) Automatic baking machine
KR102279882B1 (ko) 과자류 표면에 기능성 물질을 코팅하는 장치
KR20190063557A (ko) 김 구이 장치
CN210329215U (zh) 一种用于冰淇淋加工的智能化液氮喷淋机构
KR100521799B1 (ko) 김 구이 장치
KR101567962B1 (ko) 김스넥 자동 제조장치
KR102352090B1 (ko) 누룽지 자동 제조장치
KR20040102765A (ko) 뱅어포 자동화 제조방법 및 그 자동화 제조장치
US1556472A (en) Apparatus for coating food products
US3177845A (en) Device for cooling and finishing foods
CN216807048U (zh) 一种方便并网连接的馅品钢带清洁干燥装置
KR20130083275A (ko) 가염유닛을 포함하는 견과류 가공장치
CN220044847U (zh) 一种定量添加调料的瓜子炒货机
KR101923001B1 (ko) 조미김 제조기의 기름 도포장치
CN209073346U (zh) 一种双面撒糖输送系统
CN109077216B (zh) 循环加热的虾蒸煮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