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2090B1 - 누룽지 자동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누룽지 자동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2090B1
KR102352090B1 KR1020210072678A KR20210072678A KR102352090B1 KR 102352090 B1 KR102352090 B1 KR 102352090B1 KR 1020210072678 A KR1020210072678 A KR 1020210072678A KR 20210072678 A KR20210072678 A KR 20210072678A KR 102352090 B1 KR102352090 B1 KR 102352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orming
unit
heating
nurungj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2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형기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주)청통본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주)청통본가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주)청통본가
Priority to KR1020210072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20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2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2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5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ve energy, irradiation, electrical means or magnetic fields, e.g. oven cooking or roasting using radiant dry he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17Flakes or other shapes of ready-to-eat type; Semi-finished or partly-finished products therefor
    • A23L7/126Snacks or the like obtained by binding, shaping or compacting together cereal grains or cereal pieces, e.g. cereal ba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11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the food being cooked between two heating plates, e.g. waffle-ir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0Shapes for preparing foodstuffs, e.g. meat-patty moulding devices, pudding mou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료의 공급 및 이송, 성형, 분리, 세척 등의 누룽지 제조작업을 연속적으로 자동화하여 누룽지를 효율적으로 대량 생산함을 제공하도록, 좌우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이송라인을 배치토록 지지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일측에 대응하여 설치하고 상기 이송라인을 향해 원료를 정량으로 투입하는 원료투입부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이송라인 상에 이동 가능하게 안착하여 연속 배치하되, 상기 원료투입부에서 누룽지 원료가 공급되는 하부판과, 상기 하부판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하부판에 공급된 원료를 누름 접촉하게 덮는 상부판을 구비토록 구성하는 성형판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이송라인에 대응하여 설치하고, 상기 성형판의 이동을 위한 동력을 인가토록 신장 운동하는 성형판이송부와; 상기 성형판의 하부에 대응하여 설치하되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이송라인을 따라 연장 형성하고, 상기 성형판을 가열하는 버너가열부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이송라인에 대응하여 상기 성형판에 공급된 원료를 원판형상을 이루게 펼쳐 성형하는 원료성형부와; 상기 원료성형부의 후방에 위치하여 집중 가열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성형판 전체에 열을 가하는 집중가열부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양측 선단에서 상기 성형판이송부에 대응하여 설치하고 상기 성형판의 상하 방향을 전환하는 성형판반전부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이송라인에 대응하여 설치하고, 상기 성형판에서 분리된 누룽지를 배출시키는 제품배출부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이송라인에 대응하여 설치하고, 누룽지가 분리된 상기 성형판의 오픈 상태에서 상기 성형판을 세척하는 성형판세척부;를 포함하는 누룽지 자동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누룽지 자동 제조장치 {Automatic Scorched Rice Manufact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누룽지 자동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료의 공급 및 이송, 성형, 분리, 세척 등의 누룽지 제조작업을 연속적으로 자동화하여 누룽지를 효율적으로 대량 생산하는 것이 가능한 누룽지 자동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누룽지는 솥바닥에 눌어붙은 밥을 이르는 순 우리말로서, 오늘날처럼 과자나 빵, 그 밖의 간식거리가 그다지 많지 않던 시절, 가장 많이 찾던 간식거리 중 하나로 가마치 또는 눌은밥이라고도 한다. 누룽지는 보통 재래식 밥솥에 밥을 지을 때, 밥솥 밑바닥에 놓인 밥이 그대로 바닥면에 눌어붙어서 된 것으로, 그 종류에 따라 쌀누룽지, 보리누룽지, 콩누룽지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이러한 누룽지는 그 맛이 고소하고, 독특할 뿐 아니라 영양가도 풍부하여 밥과는 별도로 긁어 내어 이를 간식대용으로도 많이 먹고 있는 것이고, 나아가 누룽지를 적당량의 물과 배합하여 이를 재차 끓여서 식사대용으로 먹기도 한다.
그러나 누룽지는 그 양이 밥솥으로 한번 밥을 할 때 밥솥의 바닥면에 눌어붙는 정도에 불과하기 때문에 밥을 할 때마다 소량의 누룽지가 생기므로 간식 대용이나 식사대용으로 먹기에는 너무나 양이 적은 문제가 있었다.
특히, 누룽지를 재료로 하여 죽을 끓여서 먹는 환자나 입맛이 없는 사람들에게 적합한 식사대용 식품이기는 하지만 많은 양을 제조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널리 애용되지 못하는 애로가 있었다.
근래에 이르러 누룽지를 양산하여 간식대용이나 식사대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사례가 점차 늘고 있으나, 이러한 누룽지는 밥솥에 밥을 눌어붙게 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것으로 많은 양의 누룽지 생산을 기대하기가 힘들었다.
종래의 누룽지 제조공정은 큰 가마솥 또는 밥솥으로 많은 양의 밥을 한 다음, 이 밥을 적정량 씩 가열되는 철판에 올려놓고 일정시간 동안 눌어붙게 하는 방식이 알려지고 있으나, 이러한 생산 방식으로는 대량 생산량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었다.
나아가, 누룽지를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제조장치가 제안되고 있으나, 이들 장치는 구성이 복잡하고 조작이 불편하여 생산성이 떨어져 누룽지를 대량으로 생산 공급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에 따라, 대량의 누룽지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안정적이면서도 자동으로 밥을 이송하며 누룽지를 신속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누룽지 제조장치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누룽지 제조장치와 관련하여 개시되어 있었던 종래기술로써,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446308호(2009.10.08.)에는 밥박편을 가열하여 누룽지로 구워내는 누룽지 제조장치에 있어서, 타원형의 폐구간을 이루는 내외측레일과; 구동체인의 구동에 의해 내외측륜을 이용하여 상기 내외측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누룽지대차와; 각각 상기 내외측레일의 사이 폭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면서 상기 내외측레일의 사이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열되도록 설치되는 가열버너;로 구성하되, 상기 내외측레일을 고온가열구간과 중온가열구간, 저온가열 및 누룽지배출구간 그리고 대차세척 및 예열구간으로 구분하여 상기 각 구간별로 상기 가열버너의 가열온도를 제어함으로써 딱딱한 상태로 갈변되는 하부층을 가지면서 수분이 함유된 부드러운 상부층을 갖는 누룽지를 제조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누룽지의 본래 맛과 향 그리고 영양을 그대로 재현할 수 있는 누룽지 제조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은 밥이 롤러에 의해 압착되는 경우 밥알이 으깨져 본래 누룽지의 맛을 향유할 수 없을 뿐 아니라, 밥이 롤러에 의해 압착되므로 인해 호퍼, 롤러, 밥박편 출구 등의 장치에 끈기가 있는 밥이 달라붙게 되어 밥박편의 인출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KR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6308호 (2009.10.0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누룽지의 제조를 완전 자동화하면서 누룽지의 제조 이송공정 중 집중 가열구간 및 세척구간을 구비토록 구성하므로 장치의 설비영역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누룽지 제조의 신속성 및 효율성을 높이고, 누룽지 생산의 위생효율을 개선하면서 장치의 관리효율을 높일 수 있는 누룽지 자동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누룽지 자동 제조장치 좌우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이송라인을 배치토록 지지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일측에 대응하여 설치하고 상기 이송라인을 향해 원료를 정량으로 투입하는 원료투입부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이송라인 상에 이동 가능하게 안착하여 연속 배치하되, 상기 원료투입부에서 누룽지 원료가 공급되는 하부판과, 상기 하부판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하부판에 공급된 원료를 누름 접촉하게 덮는 상부판을 구비토록 구성하는 성형판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이송라인에 대응하여 설치하고, 상기 성형판의 이동을 위한 동력을 인가토록 신장 운동하는 성형판이송부와; 상기 성형판의 하부에 대응하여 설치하되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이송라인을 따라 연장 형성하고, 상기 성형판을 가열하는 버너가열부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이송라인에 대응하여 상기 성형판에 공급된 원료를 원판형상을 이루게 펼쳐 성형하는 원료성형부와; 상기 원료성형부의 후방에 위치하여 집중 가열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성형판 전체에 열을 가하는 집중가열부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양측 선단에서 상기 성형판이송부에 대응하여 설치하고 상기 성형판의 상하 방향을 전환하는 성형판반전부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이송라인에 대응하여 설치하고, 상기 성형판에서 분리된 누룽지를 배출시키는 제품배출부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이송라인에 대응하여 설치하고, 누룽지가 분리된 상기 성형판의 오픈 상태에서 상기 성형판을 세척하는 성형판세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원료성형부는, 성형영역을 조성하는 성형챔버와, 상기 성형챔버 내 상하 승강 유동 가능하게 구비하는 승강플레이트와, 상기 승강플레이트 상에 간격을 두고 설치하고 상기 성형판을 향해 연장 형성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는 복수 개의 성형툴과, 상기 성형툴에 회전동력을 인가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성형챔버의 상부에 고정 설치하고 상기 승강플레이트의 승강 유동을 위한 동력을 전달토록 신장 운동하는 승강실린더를 구성한다.
상기 집중가열부는, 내부 가열영역을 형성하는 가열챔버와, 상기 가열챔버에 연결 설치하고 가열영역을 향해 설정온도로 가열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수단을 구성한다.
상기 열풍공급수단은, 내부에 물을 수용하며 상부 한쪽 측면에 상기 가열챔버와 연통하는 증기배출공을 형성하는 본체케이스와, 상기 본체케이스 내 채워진 물을 가열하여 증기를 생성시키는 제1가열히터와, 상기 제1가열히터에서 물이 증발하여 생성된 증기를 가열하는 제2가열히터와, 상기 본체케이스에 고정 설치하고 상기 증기배출공으로 증기를 배출시킬 수 있게 바람을 공급하는 송풍수단을 구성한다.
상기 제품배출부에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이송라인에 대응하여 설치하고 상기 성형판의 상부판을 상기 하부판으로부터 개방시키는 상판오픈유닛을 구성한다.
상기 상판오픈유닛은, 상기 성형판의 상부판을 향해 연장 형성하고 회전 가능하게 형성하는 오픈부재와, 상기 오픈부재에 회전을 위한 동력을 인가하는 오픈구동수단을 구성한다.
상기 제품배출부에는, 상기 상판오픈유닛의 후방에 설치하고 상기 성형판의 상부판으로부터 누룽지를 분리시키는 제품분리유닛을 구성한다.
상기 제품분리유닛은, 상기 상판오픈유닛에 의해 개방된 상기 성형판의 상부판이 열린 상태로 이동될 수 있게 안내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 상에 설치하고 상기 상부판의 내면에 붙은 누룽지를 접촉 분리하는 접촉분리부재와, 상기 가이드레일에 대응하여 구비하고 상기 상부판에 붙은 누룽지를 분리토록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수단을 구성한다.
상기 성형판세척부는, 상기 성형판 중 상기 하부판을 세척 가능하게 접촉하는 하부브러쉬와, 상기 성형판 중 상기 상부판을 세척 가능하게 접촉하는 측부브러쉬와, 상기 하부브러쉬 및 상기 측부브러쉬를 회전 구동토록 동력을 인가하는 세척구동수단을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 자동 제조장치에 의하면 누룽지의 전반적인 제조공정을 완전 자동화하면서 누룽지의 가열 및 세척의 공정을 집중처리하게 구성하므로, 장치의 설비면적을 줄여 장소에 제한 없이 설치효율 및 공간활용성을 높이고, 누룽지 제조의 신속성을 도모하여 생산성을 극대화하며, 누룽지 제조시 제품과의 접촉면을 청결하게 관리하여 위생적인 생산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성형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성형판이송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원료성형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집중가열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성형판반전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제품배출부 중 상판오픈유닛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제품배출부 중 제품분리유닛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성형판세척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본 발명은 좌우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이송라인을 배치토록 지지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일측에 대응하여 설치하고 상기 이송라인을 향해 원료를 정량으로 투입하는 원료투입부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이송라인 상에 이동 가능하게 안착하여 연속 배치하되, 상기 원료투입부에서 누룽지 원료가 공급되는 하부판과, 상기 하부판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하부판에 공급된 원료를 누름 접촉하게 덮는 상부판을 구비토록 구성하는 성형판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이송라인에 대응하여 설치하고, 상기 성형판의 이동을 위한 동력을 인가토록 신장 운동하는 성형판이송부와; 상기 성형판의 하부에 대응하여 설치하되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이송라인을 따라 연장 형성하고, 상기 성형판을 가열하는 버너가열부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이송라인에 대응하여 상기 성형판에 공급된 원료를 원판형상을 이루게 펼쳐 성형하는 원료성형부와; 상기 원료성형부의 후방에 위치하여 집중 가열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성형판 전체에 열을 가하는 집중가열부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양측 선단에서 상기 성형판이송부에 대응하여 설치하고 상기 성형판의 상하 방향을 전환하는 성형판반전부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이송라인에 대응하여 설치하고, 상기 성형판에서 분리된 누룽지를 배출시키는 제품배출부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이송라인에 대응하여 설치하고, 누룽지가 분리된 상기 성형판의 오픈 상태에서 상기 성형판을 세척하는 성형판세척부;를 포함하는 누룽지 자동 제조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 자동 제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 자동 제조장치의 일실시예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50)과, 원료투입부(100)와, 성형판(200)과, 성형판이송부(300)와, 버너가열부(400)와, 원료성형부(500)와, 집중가열부(600)와, 성형판반전부(700)와, 제품배출부(800)와, 성형판세척부(9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프레임(50)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정 높이에서의 작업을 도모할 수 있게 복수의 수직프레임 및 수평프레임이 연결된 구조로서, 이송라인(60)을 지지 고정토록 구성한다.
상기 이송라인(60)은 상기 성형판(200)이 이동 가능한 직선 경로를 이루며 상기 베이스프레임(5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하되, 좌우로 간격을 두고 2개가 한 쌍을 이루도록 배치 구성한다. 즉, 상기 이송라인(60)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상기 성형판(200)을 이송시키는 구조로서, 제1이송라인(60a) 및 제2이송라인(60)을 구비한다.
상기 이송라인(60)에는 전후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회전롤러(65)를 구비토록 구성한다.
상기 회전롤러(65)는 상기 이송라인(60)에서의 이송 대상인 상기 성형판(200)을 접촉 지지한 채 구름 이동시킬 수 있게 형성한다.
상기 원료투입부(10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프레임(50)의 일측에 대응하여 설치하고, 상기 이송라인(60)에 위치한 상기 성형판(200)을 향해 원료를 반복해서 정량으로 투입하게 구성한다.
상기 원료투입부(100)는 내부에 쌀이나 콩 등의 원료를 수용하여 교반 세척하는 세척본체(110)를 구비하고, 상기 세척본체(110)의 일단에 상기 베이스프레임(50)의 이송라인(60)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원료를 정량씩 공급하는 원료공급수단(120)을 구성한다.
상기 원료공급수단(120)에는 원료를 일정량으로 공급함은 물론 원료 공급량을 탄력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내부에 스크류컨베이어(도면에 미도시)를 구비한다.
상기 성형판(200)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프레임(50)의 이송라인(60) 상에 이동 가능하게 안착하고, 상기 이송라인(60)의 길이방향 즉 이송 직선 경로로 복수 개를 연속 배치하게 구성한다.
상기 성형판(200)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전도가 우수한 금속재질을 사용하여 구성하며, 사각의 판자 형상을 이루는 하부판(210) 및 상부판(220)을 구비토록 구성한다.
상기에서 성형판(200)은 상기 하부판(210)과 상기 상부판(220)의 일단이 힌지 결합하여 상기 상부판이 회전 개폐 가능한 구조를 이루게 구성한다. 즉, 상기 상부판(220)이 상향 회전된 개방 상태에서 누룽지 원료가 상기 하부판(210)에 공급되고, 상기 상부판(220)이 하향 회전된 폐쇄 상태에서 누룽지 원료를 누름 압착하게 구성한다.
상기 하부판(210)은 상기 원료투입부(100)에서 누룽지 원료가 상면에 공급되며, 상기 베이스프레임(50)의 이송라인(60)을 따라 이동하되 상기 회전롤러(65) 상에 면 접촉하여 구름 이동 가능하게 구성한다.
상기 상부판(220)은 상기 하부판(210)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하여 상기 하부판(210)에 공급된 원료를 누름 접촉하게 덮는다. 즉, 상기 하부판(210)을 향한 원료의 공급 여부에 따라 탄력적으로 개폐 가능한 구조를 이룬다.
상기 상부판(220)에는 상면에 "ㄱ"자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브라켓부재(225)를 구성한다.
상기에서 브라켓부재(225)는 일측 개구부가 상기 제품배출부(800) 중 후술할 상판오픈유닛(810)측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한다.
상기 성형판이송부(30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프레임(50)의 이송라인(60)에 대응하여 설치하되, 상기 이송라인(60)의 양쪽 끝단에 대응하여 상기 제1이송라인(60a) 및 상기 제2이송라인(60)이 상호 연결된 경로를 조성하게 구성한다.
상기 성형판이송부(30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성형판(200)의 이동을 위한 동력을 인가토록 신장 운동하는 구성으로서, 전방이송실린더(310) 및 측방이송실린더(320)를 구성한다.
상기 전방이송실린더(310)는 상기 이송라인(6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성형판(200)이 이송될 수 있게 신장 구동한다.
상기 측방이송실린더(320)는 상기 이송라인(60)의 끝단에서 상기 제1이송라인(60a) 및 상기 제2이송라인(60) 간에 상기 성형판(200)의 이송을 위한 동력을 인가토록 신장운동하게 구성한다.
상기 버너가열부(400)는 누룽지 원료를 익힐 수 있게 가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버너가열부(40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50)의 이송라인(60) 내측에 설치하되 상기 성형판(200)의 하부에 대응하여 설치한다.
상기 버너가열부(40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50)의 이송라인(60)을 따라 연장 형성하여 상기 이송라인(60)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성형판(200)의 이송 경로 중 지속적으로 가열하게 된다.
상기 버너가열부(400)는 전기히터 또는 가스버너를 적용하여 구성한다.
상기 원료성형부(500)는 도 1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프레임(50)의 이송라인(60)에 대응하게 설치하고, 상기 성형판(200) 중 상기 하부판(210)에 공급된 원료를 고르게 펼쳐 균일하고 일정한 모양인 원판형상으로 성형하게 구성한다.
상기 원료성형부(50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프레임(50)의 이송라인(60)을 따라 이송하는 상기 성형판(200)의 전반적인 이송영역 중 원료를 성형 가능한 성형영역을 조성하는 성형챔버(510)와, 상기 성형챔버(510) 내 상하 승강 유동 가능하게 구비하는 승강플레이트(520)와, 상기 승강플레이트(520) 상에 간격을 두고 설치하는 복수 개의 성형툴(530)과, 상기 성형툴(530)에 회전동력을 인가하는 구동모터(540)와, 상기 성형챔버(510)의 상부에 고정 설치하고 상기 승강플레이트(520)의 승강 유동을 위한 동력을 전달토록 신장 운동하는 승강실린더(550)를 구성한다.
상기 승강플레이트(520)는 복수 개의 상기 성형툴(530)을 일괄적으로 장착 지지한다.
상기 성형툴(530)은 상기 성형판(200)을 향해 연장 형성하며 상기 승강플레이트(520) 상에 회전 가능한 설치 구조로서, 회전축(531) 및 성형커버(533), 성형블레이드(535)를 구비한다.
상기 성형커버(533)는 상기 회전축(531) 상에 설치하고, 내측에 누룽지 원료가 펼쳐질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여 원판형의 누룽지 형상으로 생성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성형블레이드(535)는 상기 회전축(531) 상에 복수 개를 구비토록 구성하고, 상기 성형커버(533) 내 누룽지 원료와 접촉하여 누룽지 제품의 두께로 펼쳐주도록 형성한다.
상기 원료성형부(500)에는 상기 회전축(531)마다 풀리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531)의 풀리 간에 서로 연결하게 설치하는 벨트부재(532)를 구성하므로, 하나의 상기 구동모터(540)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하여 복수의 회전축(531)이 일괄적으로 회전 구동하게 된다.
상기에서 성형툴(530)은 복수 개가 서로 다른 높낮이를 형성토록 구성한다. 즉, 복수 개의 상기 성형툴(530)은 상기 성형판(200)의 이동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성형툴(530)의 높이가 점차 낮아지게 구성하므로, 상기 성형판(200)이 이동할수록 상기 성형툴(530)의 성형블레이드(535)가 누룽지 원료를 더 낮은 높이에서 반복해서 펼쳐줌에 따라 누룽지 원료의 성형두께가 점차 얇아지면서 성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집중가열부(600)는 상기 버너가열부(400)와 더불어 누룽지 원료를 익힐 수 있게 집중 가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집중가열부(600)는 누룽지 원료를 성형한 직후 원료에 집중적으로 가열할 수 있도록 상기 원료성형부(500)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성형판(200)의 이송경로 중 구분된 집중 가열영역을 형성한다.
상기 집중가열부(600)는 도 1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집중 가열영역 내 진입한 상기 성형판(200) 전체에 열을 가할 수 있는 구조로서, 가열챔버(610) 및 열풍공급수단(650)을 구성한다.
상기 가열챔버(610)는 내부에 집중 가열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이송라인(60)을 통하여 상기 성형판(200)을 진입 수용하게 구성한다.
상기 열풍공급수단(650)은 상기 가열챔버(610)에 연결 설치하고, 상기 가열챔버(610)의 가열영역을 향해 설정온도로 가열된 열풍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열풍공급수단(650)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케이스(660)와, 제1가열히터(670) 및 제2가열히터(680)와, 송풍수단(690)을 구성한다.
상기 본체케이스(660)는 내부에 물을 수용하여 가열 가능한 공간을 구비한다.
상기 본체케이스(660)에는 상부 한쪽 측면에 상기 가열챔버(610)와 연통하여 증기를 공급할 수 있는 증기배출공(661)을 형성한다.
상기 본체케이스(660)에는 내부에 물을 유입 가능한 물유입구(663) 및 외부로 물을 배출 시키기 위한 물배출구(665)를 형성한다.
상기 본체케이스(660)에는 내부에 증기의 유동방향을 안내하는 유체가이드판(667)을 설치한다. 즉, 상기 유체가이드판(667)은 상기 본체케이스(660) 내 상기 송풍수단(690)에서 공급되는 바람에 의한 증기의 유동방향을 상기 증기배출공(661)으로 안내한다.
상기 유체가이드판(667)은 상기 본체케이스(660) 내 공간을 상하로 구분 구획하되, 양측이 연통하여 증기가 상향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본체케이스(660)의 상부영역으로 이동된 증기를 상기 송풍수단(690)의 바람과 함께 상기 증기배출공(661)으로 안내한다.
상기 제1가열히터(670)는 상기 본체케이스(660) 내 채워진 일정량의 물로부터 증기를 생성시키도록 물을 가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1가열히터(670)는 상기 본체케이스(660) 내 배치하여 내부에 채워진 물에 접하도록 설치하고 설정온도로 발열하여 물을 가열시킨다.
상기 본체케이스(660)에는 수위조절센서(668)를 설치하여 물에 대한 수위를 조절하도록 구성한다. 즉, 상기 수위조절센서(668)는 수직으로 일정 높이만큼 연장 형성된 수직바(668a)를 구비하고, 상기 수직바(668a)를 따라 수직으로 승강하되 물의 부력에 의해 떠 승강하도록 형성되는 부표부재(668b)를 구비하므로 수위를 감지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에서 수위조절센서(668)는 만수위를 신호함은 물론 저수위를 신호하도록 구성하여 물 보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상기 제2가열히터(680)는 상기 제1가열히터(670)로부터 가열된 물이 증발하여 생성된 증기를 재차 가열한다.
상기 제2가열히터(680)는 상기 제1가열히터(670)의 상측에 위치하되 상기 본체케이스(660) 내에 장착하고, 상향 이동되는 증기가 상기 제2가열히터(680)에 접하면서 가열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가열히터(670) 및 상기 제2가열히터(680)에는 온도를 설정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온도컨트롤러(도면에 미도시)를 구성한다.
상기 온도컨트롤러는 상기 제1가열히터(670) 및 상기 제2가열히터(680)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1가열히터(670) 및 상기 제2가열히터(680)에 대한 각각의 해당 온도를 검출하여 설정된 지정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물의 수위를 조절하면서 가열 온도조절을 자동화하도록 구성하게 되면, 관리가 매우 간편하며, 누룽지 원료를 향한 습도 및 온도 환경을 균일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송풍수단(690)은 상기 본체케이스(660)에 고정 설치하고 상기 증기배출공(661)으로 증기를 배출시킬 수 있게 바람을 공급한다.
상기에서 송풍수단(690)은 모터와 팬 등으로 구성되어 공기조화시스템이나 각종 흡배기시스템 등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소형송풍기의 구조를 적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집중가열부(600)를 구성하게 되면, 버너가열부(400)와 함께 집중 가열하여 가열을 위한 이송라인(60)의 설치범위를 최소화하여 설비비용을 낮추며 생산시간을 최소화하여 생산성을 높이고, 증기를 생성시킨 후 열풍과 함께 공급하여 누룽지 제품의 맛과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성형판반전부(700)는 상기 성형판(200)의 상하 방향을 전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성형판반전부(700)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프레임(50) 중 상기 이송라인(60)의 양측 선단에서 상기 성형판이송부(300)에 대응하여 설치한다.
상기 성형판반전부(700)는 도 3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성형판이송부(300) 중 상기 측방이송실린더(320)에 의하여 이동하는 이송경로에 상기 성형판(200)을 지지하는 반전플레이트(710)와, 상기 반전플레이트(710)에 일단이 연결 결합하여 상기 반전플레이트(710)의 상하부가 전환되게 반전 회전시키는 반전구동수단(720)을 구성한다.
상기 반전플레이트(710)에는 측단에 상기 성형판(200)을 부분적으로 수용 지지하는 가이드브라켓(711)을 구비한다.
상기 반전플레이트(710)의 가이드브라켓(711)에는 복수의 흡착노즐(713)을 구성하므로, 상기 가이드브라켓(711)을 향해 유입된 상기 성형판(200)을 부동 상태로 흡착하여 상기 반전플레이트(710)의 반전 회전에 따른 성형판(200)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품배출부(800)는 상기 성형판(200)에서 누룽지를 분리하여 배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품배출부(80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프레임(50)의 이송라인(60)에 대응하여 설치하고 누룽지 원료의 익힘 제조공정을 거친 누룽지 제품을 분리하여 배출시킬 수 있게 구성한다.
상기 제품배출부(800)에는 상판오픈유닛(810) 및 제품분리유닛(820), 배출컨베이어(840)를 구성한다.
상기 상판오픈유닛(810)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누룽지의 누름 압착 상태인 상기 성형판(200)의 상부판(220)을 하부판(210)으로부터 개방시키는 구성으로서, 고정프레임(811)과, 상기 고정프레임(811)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성형판(200)의 상부판(220)을 향해 연장 형성하여 상기 상부판(220)의 브라켓부재(225)에 걸림 접촉하는 오픈부재(813)와, 상기 오픈부재(813)에 회전을 위한 동력을 인가하는 오픈구동수단(815)을 구성한다.
상기 오픈구동수단(815)은 상기 고정프레임(811)에 상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부는 상기 오픈부재(813)와 연결 결합하는 링크바(816)를 구비하며, 상기 오픈부재(813)를 회전토록 로드를 신장 구동한다. 즉, 상기 오픈부재(813)가 상기 성형판(200)의 상부판(220) 중 상기 브라켓부재(225)에 걸림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오픈구동수단(815)이 하향 신장 운동토록 구동하여 상기 오픈부재(813)를 회전시키므로, 상기 성형판(200)의 상부판(220)을 개방시킨다.
상기 상판오픈유닛(810)에는 상기 고정프레임(811) 상에 고정 설치하고, 상기 성형판(200)이 이동하는 상기 이송라인(6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하는 상판가이드앵글(817)을 구비한다.
상기 상판가이드앵글(817)은 상기 상판오픈유닛(810)에 의해 상기 하부판(210)에서 열린 상부판(220)의 내측면 상단이 접하여 걸림에 따라 상기 성형판(200)의 상부판(220)이 개방된 상태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품분리유닛(820)은 상기 성형판(200)의 상부판(220)에 달라붙은 누룽지를 분리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품분리유닛(820)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상판오픈유닛(810)의 후방에 설치하고, 가이드레일(821) 및 접촉분리부재(823), 에어분사수단(825)을 구성한다.
상기 가이드레일(821)은 상기 상판오픈유닛(810)에 의해 개방된 상기 성형판(200)의 상부판(220)이 열린 상태로 이동될 수 있게 안내한다. 즉, 상기 가이드레일(821)은 상기 상판가이드앵글(817)의 연장선상에서 상기 성형판(200)의 상부판(220)을 접촉 지지하여 상부판(220)이 열린 개방상태를 유지시킨다.
상기 접촉분리부재(823)는 상기 가이드레일(821) 상에 설치하고 상기 상부판(220)에 끝단이 접촉하게 구성한다.
상기 접촉분리부재(823)는 상기 상부판(220)의 내면에 붙은 누룽지를 접촉 분리한다. 즉, 상기 접촉분리부재(823)는 상기 상부판(220)과 누룽지와의 접촉선상에 간섭하게 접촉하여 상기 상부판(220)으로부터 누룽지가 부분적으로 떨어져 틈새가 생길 수 있게 분리한다.
상기 에어분사수단(825)은 상기 가이드레일(821)에 대응하여 구비하고, 상기 상부판(220)에 붙은 누룽지가 완전히 분리되게 에어를 분사한다.
상기 에어분사수단(825)은 전방에 에어를 분출시키는 노즐부재(826)를 구비하며, 상기 노즐부재(826)는 상기 상부판(220)에 접근하여 위치하게 설치하며, 상기 접촉분리부재(823)로부터 1차 접촉 분리된 상기 상부판(220)과 누룽지의 틈새를 향해 강한 에어를 분사시킨다.
상기와 같이 제품분리유닛(820)을 구성하게 되면, 비접촉 구조로 누룽지 제품을 완전 분리하여 양품생산을 도모함과 동시에 누룽지 제품의 품질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품배출부(800)에는 상기 제품분리유닛(820)과 상기 성형판세척부(900)의 사이에는 상기 베이스프레임(50) 상에 고정 설치하고 상기 성형판(200)의 하부판(210) 위에 놓여진 누룽지의 배출을 안내하는 배출가이드부재(830)와, 상기 배출가이드부재(830)에 의해 상기 성형판(200)에서 분리된 누룽지를 배출 이송하는 배출컨베이어(840)를 구성한다.
상기 배출컨베이어(840)는 상기 배출가이드부재(830)를 거쳐 분리된 누룽지를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841)와, 상기 이송컨베이어(841)에서 이송된 누룽지를 재차 이송시키면서 건조하게 메쉬망으로 이루어진 건조컨베이어(843)를 구비한다.
상기 성형판세척부(900)는 누룽지가 분리된 상기 성형판(200)의 오픈 상태에서 누룽지와 접했던 상기 성형판(200)의 접촉면을 세척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성형판세척부(90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50)의 이송라인(60)에 대응하여 설치하되, 상기 제품배출부(800)와 상기 원료성형부(500)의 사이에 배치하게 구성한다.
상기 성형판세척부(900)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척을 위해 구분된 공간을 확보하는 세척챔버(940)와, 상기 세척챔버(940) 내 상기 성형판(200)을 세척토록 접촉하는 하부브러쉬(910) 및 측부브러쉬(920)와, 상기 하부브러쉬(910) 및 상기 측부브러쉬(920)를 회전 구동토록 동력을 인가하는 세척구동수단(930)을 구성한다.
상기 하부브러쉬(910) 및 상기 측부브러쉬(920)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세척구동수단(930)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회전구동축(935) 상에 연결 설치한다.
상기 하부브러쉬(910)는 상기 성형판(200)의 개방 상태에서 상기 성형판(200) 중 상기 하부판(210)을 세척 가능하게 접촉한다.
상기 측부브러쉬(920)는 상기 성형판(200) 중 상기 하부판(210)으로부터 개방되어 세워진 상태의 상기 상부판(220)을 세척 가능하게 접촉한다.
상기 측부브러쉬(920)는 상기 하부브러쉬(910)의 상부에 수직 연장된 구조를 이루게 설치하되 상기 하부브러쉬(910) 상에 간격을 두고 복수 개를 구비토록 배치 구성한다.
상기 측부브러쉬(920)는 상기 하부브러쉬(910) 상에 연결 결합하되, 전후 탄력적으로 유동 가능하게 결합 구성한다. 즉, 상기 측부브러쉬(920)에는 상기 상부판(220)과의 접촉시 가해지는 접촉력에 의하여 후방으로 탄력적 이동될 수 있게 탄력지지수단(925)을 구성한다.
상기 탄력지지수단(925)은 상기 하부브러쉬(910) 상에 상기 측부브러쉬(920)의 전후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축(925a)과, 상기 측부브러쉬(920)를 전방으로 위치 복귀하게 탄력을 가하는 탄력부재(925b)를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탄력지지수단(925)을 구비한 하부 및 측부 일체형 브러쉬를 구성하게 되면, 성형판(200)의 세척 작업성과 효율성을 높이면서 청결한 작업환경을 도모하고, 브러쉬와 성형판 간에 접촉 충격을 완화함과 동시에 장치의 구동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 자동 제조장치에 의하면, 누룽지의 전반적인 제조공정을 완전 자동화하면서 누룽지의 가열 및 세척의 공정을 집중처리하게 구성하므로, 장치의 설비면적을 줄여 장소에 제한 없이 설치효율 및 공간활용성을 높이고, 누룽지 제조의 신속성을 도모하여 생산성을 극대화하며, 누룽지 제조시 제품과의 접촉면을 청결하게 관리하여 위생적인 생산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 자동 제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명세서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50 : 베이스프레임 60 : 이송라인 65 : 회전롤러
100 : 원료투입부 110 : 세척본체 120 : 원료공급수단
200 : 성형판 210 : 하부판 220 : 상부판
225 : 브라켓부재 300 : 성형판이송부 310 : 전방이송실린더
320 : 측방이송실린더 400 : 버너가열부 500 : 원료성형부
510 : 성형챔버 520 : 승강플레이트 530 : 성형툴
531 : 회전축 532 : 벨트부재 533 : 성형커버
535 : 성형블레이드 540 : 구동모터 550 : 승강실린더
600 : 집중가열부 610 : 가열챔버 650 : 열풍공급수단
660 : 본체케이스 661 : 증기배출공 663 : 물유입구
665 : 물배출구 667 : 유체가이드판 668 : 수위조절센서
670 : 제1가열히터 680 : 제2가열히터 690 : 송풍수단
700 : 성형판반전부 710 : 반전플레이트 711 : 가이드브라켓
713 : 흡착노즐 720 : 반전구동수단 800 : 제품배출부
810 : 상판오픈유닛 811 : 고정프레임 813 : 오픈부재
815 : 오픈구동수단 816 : 링크바 817 : 상판가이드앵글
820 : 제품분리유닛 821 : 가이드레일 823 : 접촉분리부재
825 : 에어분사수단 826 : 노즐부재 830 : 배출가이드부재
840 : 배출컨베이어 900 : 성형판세척부 910 : 하부브러쉬
920 : 측부브러쉬 925 : 탄력지지수단 925a : 가이드축
925b : 탄력부재 930 : 세척구동수단 935 : 회전구동축

Claims (9)

  1. 좌우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이송라인을 배치토록 지지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일측에 대응하여 설치하고 상기 이송라인을 향해 원료를 정량으로 투입하는 원료투입부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이송라인 상에 이동 가능하게 안착하여 연속 배치하되, 상기 원료투입부에서 누룽지 원료가 공급되는 하부판과, 상기 하부판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하부판에 공급된 원료를 누름 접촉하게 덮는 상부판을 구비토록 구성하는 성형판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이송라인에 대응하여 설치하고, 상기 성형판의 이동을 위한 동력을 인가토록 신장 운동하는 성형판이송부와; 상기 성형판의 하부에 대응하여 설치하되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이송라인을 따라 연장 형성하고, 상기 성형판을 가열하는 버너가열부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이송라인에 대응하여 상기 성형판에 공급된 원료를 원판형상을 이루게 펼쳐 성형하는 원료성형부와; 상기 원료성형부의 후방에 위치하여 집중 가열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성형판 전체에 열을 가하는 집중가열부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양측 선단에서 상기 성형판이송부에 대응하여 설치하고 상기 성형판의 상하 방향을 전환하는 성형판반전부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이송라인에 대응하여 설치하고, 상기 성형판에서 분리된 누룽지를 배출시키는 제품배출부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이송라인에 대응하여 설치하고, 누룽지가 분리된 상기 성형판의 오픈 상태에서 상기 성형판을 세척하는 성형판세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집중가열부는, 내부 가열영역을 형성하는 가열챔버와, 상기 가열챔버에 연결 설치하고 가열영역을 향해 설정온도로 가열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열풍공급수단은, 내부에 물을 수용하며 상부 한쪽 측면에 상기 가열챔버와 연통하는 증기배출공을 형성하는 본체케이스와, 상기 본체케이스 내 채워진 물을 가열하여 증기를 생성시키는 제1가열히터와, 상기 제1가열히터에서 물이 증발하여 생성된 증기를 가열하는 제2가열히터와, 상기 본체케이스에 고정 설치하고 상기 증기배출공으로 증기를 배출시킬 수 있게 바람을 공급하는 송풍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품배출부에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이송라인에 대응하여 설치하고 상기 성형판의 상부판을 상기 하부판으로부터 개방시키는 상판오픈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상판오픈유닛은, 상기 성형판의 상부판을 향해 연장 형성하고 회전 가능하게 형성하는 오픈부재와, 상기 오픈부재에 회전을 위한 동력을 인가하는 오픈구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품배출부에는, 상기 상판오픈유닛의 후방에 설치하고 상기 성형판의 상부판으로부터 누룽지를 분리시키는 제품분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품분리유닛은, 상기 상판오픈유닛에 의해 개방된 상기 성형판의 상부판이 열린 상태로 이동될 수 있게 안내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 상에 설치하고 상기 상부판의 내면에 붙은 누룽지를 접촉 분리하는 접촉분리부재와, 상기 가이드레일에 대응하여 구비하고 상기 상부판에 붙은 누룽지를 분리토록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성형판세척부는, 상기 성형판 중 상기 하부판을 세척 가능하게 접촉하는 하부브러쉬와, 상기 성형판 중 상기 상부판을 세척 가능하게 접촉하는 측부브러쉬와, 상기 하부브러쉬 및 상기 측부브러쉬를 회전 구동토록 동력을 인가하는 세척구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측부브러쉬에는, 상기 성형판 중 상부판과의 접촉시 가해지는 접촉력에 의하여 후방으로 탄력적 이동될 수 있게 구성하는 탄력지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탄력지지수단은, 상기 하부브러쉬 상에 상기 측부브러쉬의 전후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축과, 상기 측부브러쉬를 전방으로 위치 복귀하게 탄력을 가하는 탄력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누룽지 자동 제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료성형부는, 성형영역을 조성하는 성형챔버와, 상기 성형챔버 내 상하 승강 유동 가능하게 구비하는 승강플레이트와, 상기 승강플레이트 상에 간격을 두고 설치하고 상기 성형판을 향해 연장 형성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는 복수 개의 성형툴과, 상기 성형툴에 회전동력을 인가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성형챔버의 상부에 고정 설치하고 상기 승강플레이트의 승강 유동을 위한 동력을 전달토록 신장 운동하는 승강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누룽지 자동 제조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210072678A 2021-06-04 2021-06-04 누룽지 자동 제조장치 KR102352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2678A KR102352090B1 (ko) 2021-06-04 2021-06-04 누룽지 자동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2678A KR102352090B1 (ko) 2021-06-04 2021-06-04 누룽지 자동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2090B1 true KR102352090B1 (ko) 2022-01-18

Family

ID=80052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2678A KR102352090B1 (ko) 2021-06-04 2021-06-04 누룽지 자동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209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308Y1 (ko) 2009-01-19 2009-10-16 박병찬 누룽지 제조장치
KR20150087582A (ko) * 2014-01-22 2015-07-30 김항진 자동 도넛 제조장치
KR101857015B1 (ko) * 2016-10-14 2018-05-14 (주)향천 누룽지 제조장치
KR200486247Y1 (ko) * 2017-05-02 2018-05-31 김형재 누룽지 제조장치
KR102190517B1 (ko) * 2020-06-15 2020-12-11 (주)한빛에프엠 누룽지 제조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308Y1 (ko) 2009-01-19 2009-10-16 박병찬 누룽지 제조장치
KR20150087582A (ko) * 2014-01-22 2015-07-30 김항진 자동 도넛 제조장치
KR101857015B1 (ko) * 2016-10-14 2018-05-14 (주)향천 누룽지 제조장치
KR200486247Y1 (ko) * 2017-05-02 2018-05-31 김형재 누룽지 제조장치
KR102190517B1 (ko) * 2020-06-15 2020-12-11 (주)한빛에프엠 누룽지 제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8832B1 (ko) 누룽지 연속 제조 장치
KR102108195B1 (ko) 인덕션방식의 전기 누룽지 제조장치
KR101857015B1 (ko) 누룽지 제조장치
CN101095483B (zh) 铺浆切割式即食粉丝加工机
US8910565B2 (en) Batch cooker
US5156873A (en) Multiple zone shrimp precooking method and apparatus for machine peeling shrimp
KR102352090B1 (ko) 누룽지 자동 제조장치
JPS6170949A (ja) 蒸煮炊飯装置
CN107668109A (zh) 一种条链传送式自动化油炸装置
KR0144319B1 (ko) 누룽지 제조방법 및 장치
KR200337322Y1 (ko) 부침개요리 기계
US2186767A (en) Doughnut-making machine
CN108567105B (zh) 一种肠粉制作机
CN207936719U (zh) 一种烘干系统
CN220274840U (zh) 一种农产品的均匀蒸煮装置
KR20210131571A (ko) 누룽지 제조시스템의 누룽지 배출장치
CN110789048A (zh) 一种eva板材多温区烘烤装置
CN219939509U (zh) 一种锅巴制作烘烤设备
JP3888206B2 (ja) 炒め物の製造装置
CN221724840U (zh) 一种用于工业肉松的烘干机
CN221204075U (zh) 一种酱油生产用原料蒸煮装置
CN213908296U (zh) 一种茶叶炒青机
CN209609679U (zh) 一种小型薯片自动电油炸机
CN215302975U (zh) 一种红薯干辊印成型与烘烤一体机
CN212232999U (zh) 一种碱水粑生产用米浆熟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