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0517B1 - 누룽지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누룽지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0517B1
KR102190517B1 KR1020200072354A KR20200072354A KR102190517B1 KR 102190517 B1 KR102190517 B1 KR 102190517B1 KR 1020200072354 A KR1020200072354 A KR 1020200072354A KR 20200072354 A KR20200072354 A KR 20200072354A KR 102190517 B1 KR102190517 B1 KR 102190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plate
nurungji
raw material
transfer lin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2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구헌
Original Assignee
(주)한빛에프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빛에프엠 filed Critical (주)한빛에프엠
Priority to KR1020200072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05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0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0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17Flakes or other shapes of ready-to-eat type; Semi-finished or partly-finished products therefor
    • A23L7/126Snacks or the like obtained by binding, shaping or compacting together cereal grains or cereal pieces, e.g. cereal ba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5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ve energy, irradiation, electrical means or magnetic fields, e.g. oven cooking or roasting using radiant dry he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누룽지 제조 장치는 누룽지 원료를 배출하는 원료 공급기와, 원료 공급기로부터 배출된 누룽지 원료가 안착되는 하판과, 하판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하판의 상면을 개폐하는 상판을 구비하는 복수의 누룽지 성형 부재와, 하판 상에 배출된 누룽지 원료를 편평하게 하는 펼침 부재와, 복수의 누룽지 성형 부재가 거치되어 순환 이동하도록 폐루프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며, 일 위치 상에 원료 공급기가 배치되고, 원료 공급기의 후방 위치 상에 펼침 부재가 배치되는 이송 라인과, 이송 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누룽지 성형 부재의 하측에 배치되며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생성되는 자기장을 통해 하판을 가열하는 가열기와, 가열기가 배치된 이송 라인의 상측에 배치되고, 복수의 누룽지 성형 부재가 내부를 통과하도록 폐쇄 공간을 형성하며, 상측 개구를 개폐하는 차단 부재를 구비하는 가열 챔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누룽지 제조 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SCORCHING RICE}
이하의 실시예들은 누룽지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누룽지는 밥솥에서 밥을 지을 때 바닥 부분의 밥이 과열되어 눌러 붙어 생기며, 간식 등의 용도로 즐기게 되어 별도로 제조하여 판매되고 있다. 개인뿐 아니라 업계에서도 다양한 요리에 활용됨에 따라 점차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충분한 생산량의 확보를 위해 누룽지 제조 전용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기존의 누룽지 제조 장치는 다수의 열판에 물에 불린 상태의 쌀을 포함하는 누룽지 원료를 일정량 공급하고 각각의 열판을 개별적으로 가열하여 누룽지를 제조하고 있으나, 개별적인 가열로 인해 다수의 열판을 균일하게 제어하는 것이 곤란하여 제품 간 품질이 불균일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누룽지 원료의 밑부분을 가열하는 구조적 한계로 인해 윗부분과 밑부분 간에 조리 정도가 상이한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바삭한 식감을 위해 누룽지의 윗부분까지 탄화시키려면 누룽지의 밑부분이 과도하게 과열되어 검게 탈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존의 가열 방식으로는 다양한 식감을 가지는 여러 종류의 누룽지를 제조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균일한 가열 상태를 위해 작업 공간 자체를 고온 상태로 유지하고 있으나 제조 장치의 가동 및 제어를 관리하는 작업자가 오랜 시간 고온의 공간에서 작업함에 따라 건강 상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작업 효율이 현저히 저하될 수 있다.
열판 위에 공급된 누룽지 원료를 편평하게 펼치는 과정에서 일부 재료가 장치 주변에 낙하하거나 펼침용 블레이드 상에 적층되는 문제가 있다. 이로 인해, 작업장이 오염되고 블레이드 상에 적층된 누룽지 재료가 상할 위험도 존재하여 식품 생산 상 위생 문제가 상당하다.
따라서, 균일한 품질의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다양한 종류의 누룽지를 제조할 수 있으며 위생적인 누룽지 제조가 가능한 누룽지 제조 장치가 요구된다.
한국 등록 특허 공보 제10-1857015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누룽지 제조 장치는 누룽지 원료를 배출하는 원료 공급기와, 원료 공급기로부터 배출된 누룽지 원료가 안착되는 하판과, 하판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하판의 상면을 개폐하는 상판을 구비하는 복수의 누룽지 성형 부재와, 하판 상에 배출된 누룽지 원료를 편평하게 하는 펼침 부재와, 복수의 누룽지 성형 부재가 거치되어 순환 이동하도록 폐루프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며, 일 위치 상에 원료 공급기가 배치되고, 원료 공급기의 후방 위치 상에 펼침 부재가 배치되는 이송 라인과, 이송 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누룽지 성형 부재의 하측에 배치되며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생성되는 자기장을 통해 하판을 가열하는 가열기와, 가열기가 배치된 이송 라인의 상측에 배치되고, 복수의 누룽지 성형 부재가 내부를 통과하도록 폐쇄 공간을 형성하며, 상측 개구를 개폐하는 차단 부재를 구비하는 가열 챔버를 포함하는 누룽지 제조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룽지 제조 장치는 누룽지 원료를 배출하는 원료 공급기와, 원료 공급기로부터 배출된 누룽지 원료가 안착되는 하판과, 하판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하판의 상면을 개폐하는 상판을 구비하는 복수의 누룽지 성형 부재와, 하판 상에 배출된 누룽지 원료를 편평하게 하는 펼침 부재와, 복수의 누룽지 성형 부재가 거치되어 순환 이동하도록 폐루프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며, 일 위치 상에 원료 공급기가 배치되고, 원료 공급기의 후방 위치 상에 펼침 부재가 배치되는 이송 라인과, 이송 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누룽지 성형 부재의 하측에 배치되며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생성되는 자기장을 통해 하판을 가열하는 가열기와, 가열기가 배치된 이송 라인의 상측에 배치되고, 복수의 누룽지 성형 부재가 내부를 통과하도록 폐쇄 공간을 형성하며, 상측 개구를 개폐하는 차단 부재를 구비하는 가열 챔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열기는 각각의 중심 부분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자기장을 생성하는 복수의 굴곡부를 구비하고 복수의 상기 굴곡부가 상기 이송 라인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형성되는 자기장 생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자기장 생성 부재에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생성되는 자기장을 통해 상기 하판을 가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펼침 부재는 상기 누룽지 성형 부재 상측에서 회전하며 상하로 왕복 이동하는 회전축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고,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회전축의 회전 방향으로 편향되도록 굴곡지게 형성되고 상기 하판의 상면에 대해 비스듬하게 배치되며, 외측 단부가 반경 방향에 대해 비스듬하게 절곡 형성되는 블레이드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블레이드의 회전축과 인접한 내측 부분은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됨으로써 중심 부분에 몰려 있는 누룽지 원료를 외측 방향으로 효과적으로 밀어낼 수 있어, 몰려 있는 상태의 누룽지 원료에 의해 중심 부분에서 수직 방향으로 부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소정 범위 내에서 누룽지 원료가 원활하게 외측으로 펼쳐질 수 있다. 블레이드의 외측 부분은 회전축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회전축의 회전 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됨으로써 누룽지 원료가 일정 범위 이상 과도하게 펴지는 것을 방지하고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 충분한 두께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블레이드의 외측 단부가 반경 방향에 대해 비스듬하게 절곡 형성됨으로써 하판의 가장자리 측에 비산되거나 과도하게 펼쳐진 누룽지 원료를 절곡 부분까지 모아줄 수 있다. 이로써, 누룽지 원료의 이탈에 따른 작업장 오염을 방지하고 청결도를 향상시키며 제품 위생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자기장 생성 부재가 일체의 전선으로 형성되어 다수의 누룽지 성형 부재를 동시에 가열함으로써 각각의 누룽지 성형 부재를 균일하게 가열하여 제품 품질의 균일도를 높일 수 있으며, 기존의 가스 열원을 통한 가열 방식 또는 개별적인 코일을 활용한 자기 유도 가열 방식에 비해 에너지 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둘 이상의 자기장 생성 부재가 이송 라인의 분할된 구간에 배치됨으로써 구간마다 적절한 세기로 누룽지 성형 부재를 가열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나의 전선 다발이 굴곡지게 형성된 복수의 굴곡부로 형성됨으로써 개별 단위 구간 간의 가열 정도의 차이가 최소화될 수 있으며 서로 반대 방향으로 굴곡진 굴곡부가 연속적으로 배치됨으로써 단위 구간을 이동하는 동안에도 지속적인 가열이 가능하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룽지 제조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누룽지 제조 장치의 펼침 부재의 개략적인 부분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의 누룽지 제조 장치의 가열기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 제조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룽지 제조 장치(10)는 원료 공급기(100)와, 누룽지 성형 부재(200)와, 펼침 부재(300)와, 이송 라인(400)과, 가열기(500)와, 가열 챔버(600)를 포함한다.
원료 공급기(100)는 호퍼에 수용된 누룽지 원료를 각각의 누룽지 성형 부재(200)에 일정량씩 배출하여 공급할 수 있다. 물에 불린 쌀이 호퍼에 수용되어 별도의 교반 수단에 의해 교반되어 있다가 원료 공급기(100)의 공급구 하방에 누룽지 성형 부재(200)가 배치될 경우 공급구를 개방하여 미리 설정된 양의 누룽지 원료를 배출할 수 있다. 원료 공급기(100)의 구조 및 작동 방식은 통상의 공급 수단에 적용되는 구조 및 방식을 차용할 수 있다. 원료 공급기(100)는 이송 라인(400) 상의 일 위치에 배치되어 이송 라인(400)을 따라 순환하는 복수의 누룽지 성형 부재(200) 중 원료 공급기(100)의 하측을 통과하는 누룽지 성형 부재(200) 상에 누룽지 원료를 공급할 수 있다.
복수의 누룽지 성형 부재(200)는 원료 공급기(100)로부터 배출된 누룽지 원료가 안착되는 하판(210)과, 하판(2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하판(210)의 상면을 개폐하는 상판(220)을 구비한다. 하판(210)의 일단부에 형성된 회동축에 상판(220)의 일단부가 연결되어 하판(210)의 상면과 상판(220)의 하면이 접하거나 이격될 수 있다. 누룽지 성형 부재(200)는 주위의 자기장에 의해 유도 전류가 생성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어 가열될 수 있다.
펼침 부재(300)는 이송 라인(400)의 이송 방향에 대해 원료 공급기(100)의 후방 위치에 배치된다. 상판(220)이 개방된 상태에서 하판(210) 상에 누룽지 원료가 안착된 누룽지 성형 부재(200)가 이송 라인(400)을 따라 이동하여 펼침 부재(300) 하측에 배치 시 펼침 부재(300)에 의해 하판(210) 상에 배출된 누룽지 원료가 편평하게 처리될 수 있다.
펼침 부재(300)는 별도의 동력 수단에 의해 회전하며 상하로 왕복 이동하는 회동축(310)과, 회동축(310)의 하단에 연결되어 회동축(310)이 하단 위치로 이동 시 누룽지 원료와 접촉하여 누룽지 원료를 편평하게 펴는 블레이드(320)를 구비할 수 있다.
블레이드(320)는 회전축(310)과 함께 회전하며 상하로 이동하고 하측에 누룽지 원료가 안착된 누룽지 성형 부재(200)의 하판(210)이 위치할 경우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회전하여 하판(210) 중심 부분에 모여 있는 누룽지 원료를 외측으로 밀어내어 편평하게 펼 수 있다. 블레이드(320)는 하판(210)의 상면에 대해 비스듬하게 배치되고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하판(210)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회전함에 따라 경사진 하면이 누룽지 원료의 상부를 순차적으로 밀어내어 편평한 상태로 처리할 수 있다.
블레이드(320)는 중심이 회전축(310)에 연결되며 회전축(310)에 대해 대칭을 이루도록 S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블레이드(320)의 회전축(310)과 인접한 내측 부분은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됨으로써 중심 부분에 몰려 있는 누룽지 원료를 외측 방향으로 효과적으로 밀어낼 수 있다. 몰려 있는 상태의 누룽지 원료에 의해 중심 부분에서 수직 방향으로 부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중심 부분으로부터 소정 구간 동안 후퇴하는 방향으로 굴곡지게 연장 형성된 블레이드(320)의 내측 부분에 의해 소정 범위 내에서 누룽지 원료가 원활하게 외측으로 펼쳐질 수 있다.
블레이드(320)의 외측 부분은 회전축(310)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회전축(310)의 회전 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됨으로써 누룽지 원료가 일정 범위 이상 과도하게 펴지는 것을 방지하고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 충분한 두께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회전축으로부터 일자로 형성된 블레이드의 경우 누룽지 원료를 이루는 쌀알의 배열 상태, 공급량 오차, 블레이드 상에 적층된 잔여 원료 등에 의해 설정 범위 이상으로 누룽지 원료가 과도하게 펼쳐질 수 있다. 이로 인해, 품질이 불균일해지며 하판(210) 외곽으로 누룽지 원료가 이탈하거나 외측 부분에 가열 상태가 불량한 부분이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블레이드(320)의 외측 부분이 회전 방향을 향해 돌출되도록 굴곡지게 형성되어 이미 충분히 펼쳐진 누룽지 원료가 더 이상 외측으로 펼쳐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균일한 크기를 가지며 전체 부분이 균일하게 가열된 누룽지를 제조할 수 있다.
블레이드(320)의 외측 단부는 반경 방향에 대해 비스듬하게 절곡 형성될 수 있다. 블레이드(320)의 외측 단부는 하단이 누룽지 성형 부재(200)의 하판(210) 상면에 거의 접하거나 블레이드(320)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판(210) 상면으로부터 최소한의 간격을 두고 배치됨으로써 블레이드(320)의 외측 단부와 하판(210) 사이의 틈을 통해 누룽지 원료가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블레이드(320)의 내측 부분 및 외측 부분은 완성된 누룽지 제품의 두께를 고려하여 미리 설정된 간격을 두고 하판(210) 상면과 이격되며, 블레이드(320)의 외측 단부는 내측 부분 및 외측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작은 간격을 두고 하판(210) 상면과 이격될 수 있다. 블레이드(320)의 외측 단부가 반경 방향에 대해 비스듬하게 절곡 형성됨으로써 하판(210)의 가장자리 측에 비산되거나 과도하게 펼쳐진 누룽지 원료를 절곡 부분까지 모아줄 수 있다. 이로써, 누룽지 원료의 이탈에 따른 작업장 오염을 방지하고 청결도를 향상시키며 제품 위생도를 확보할 수 있다.
복수의 누룽지 성형 부재(200)는 폐루프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이송 라인(400)에 거치되어 순환 이동할 수 있다. 복수의 누룽지 성형 부재(200)는 일 위치 상에 배치된 원료 공급기(100)와, 원료 공급기(100)의 후방 위치 상에 배치된 펼침 부재(300)와, 가열기(50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며 이송 라인(40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송 라인(400)은 일단측에 원료 공급기(100) 및 펼침 부재(300)가 배치되고 이후 구간에 가열기(500)가 배치되어 일방향으로 복수의 누룽지 성형 부재(200)를 이송하는 제1 이송 라인(410)과, 제1 이송 라인(420)의 맞은편에 배치되며 말단에 완성된 누룽지 배출 수단이 구비되고 이전 구간에 가열기(500)가 배치되며 제1 이송 라인(410)의 반대 방향으로 복수의 누룽지 성형 부재(200)를 이송하는 제2 이송 라인(420)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이송 라인(410, 420) 상에 거치되는 누룽지 성형 부재(200)의 수량은 제품 수율, 전력 효율 등을 고려하여 도시된 바와 상이한 다양한 수량으로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제1 이송 라인(410) 및 제2 이송 라인(420) 각각의 이송 방향에 대한 선단측에는 푸싱 수단이 구비되어 복수의 누룽지 성형 부재(200)를 단위 구간만큼 밀어내어 말단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서로 인접한 제1 이송 라인(410)의 말단부와 제2 이송 라인(420)의 선단 간에 누룽지 성형 부재(200)가 횡단할 수 있도록 수직 방향으로 누룽지 성형 부재(200)를 밀어주는 푸싱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이송 라인(400)은 이송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며 상측에 누룽지 성형 부재(200)가 안착되는 복수의 롤러를 구비할 수 있다. 선단측에 배치된 누룽지 성형 부재(200)에 푸싱 수단으로부터 외력이 인가됨에 따라 해당 이송 라인 상에 배치된 누룽지 성형 부재(200)가 동시에 단위 구간만큼 롤러 상에서 이동될 수 있다. 누룽지 성형 부재(200)의 양측단이 이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한 쌍의 프레임 상에 롤러를 통해 거치되어 일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가열기(500)는 이송 라인(400)을 따라 이동하는 누룽지 성형 부재(200)의 하측에 배치되며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생성되는 자기장을 통해 하판(210)을 가열한다. 가열기(500)는 각각의 중심 부분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자기장을 생성하는 복수의 굴곡부(511)를 구비하며 복수의 굴곡부(511)가 이송 라인(400)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형성되는 자기장 생성 부재(510)를 포함할 수 있다. 자기장 생성 부재(510)는 전원 수단에 연결되어 전류가 통하는 금속 재질의 전선 다발로 형성될 수 있다. 자기장 생성 부재(510)는 인접한 굴곡부(511)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굴곡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굴곡부(511)가 연속하도록 연결되며 이송 라인(400)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어 타단부 또는 중간 부분에서 반대 방향으로 전향되어 상기 일단부로 이어질 수 있다. 자기장 생성 부재(510)는 이송 라인(400)의 양단측에 각각 구비되며 U자 형상을 가지도록 배선될 수 있다.
각각의 굴곡부(511)는 누룽지 성형 부재(200)가 일시적으로 정지되는 각각의 단위 구간의 직하측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굴곡부(511)에서 중심 부분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자기장에 의해 해당 구간 상에 위치한 누룽지 성형 부재(200)의 하판(210)에 유도 전류가 발생하여 가열될 수 있다.
자기장 생성 부재(510)가 일체의 전선으로 형성되어 다수의 누룽지 성형 부재(200)를 동시에 가열함으로써 각각의 누룽지 성형 부재(200)를 균일하게 가열하여 제품 품질의 균일도를 높일 수 있으며, 기존의 가스 열원을 통한 가열 방식 또는 개별적인 코일을 활용한 자기 유도 가열 방식에 비해 에너지 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둘 이상의 자기장 생성 부재(510)가 이송 라인(400)의 분할된 구간에 배치됨으로써 구간마다 적절한 세기로 누룽지 성형 부재(200)를 가열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나의 전선 다발이 굴곡지게 형성된 복수의 굴곡부(511)로 형성됨으로써 개별 단위 구간 간의 가열 정도의 차이가 최소화될 수 있으며 서로 반대 방향으로 굴곡진 굴곡부(511)가 연속적으로 배치됨으로써 단위 구간을 이동하는 동안에도 지속적인 가열이 가능하다.
가열 챔버(600)는 가열기(500)가 배치된 이송 라인(4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가열 챔버(600)는 복수의 누룽지 성형 부재(200)가 내부를 통과하도록 폐쇄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가열 챔버(600)는 상측 개구를 개폐하도록 일측벽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차단 부재(610)를 구비할 수 있다. 가열 챔버(600)에 의해 폐쇄 공간 내부에 균일하게 고온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누룽지 성형 부재(200)에 전달된 열이 하판(210)뿐만 아니라 상판(220)에도 충분히 전달됨으로써 누룽지 원료의 상부와 하부가 고르게 가열될 수 있다. 한편, 제조할 누룽지의 종류에 따라 차단 부재(610)를 개방시킴으로써 서로 다른 종류의 누룽지를 단일 제조 장치로 제조할 수 있어 제품의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원료 공급기
200: 누룽지 성형 부재
300: 펼침 부재
400: 이송 라인
500: 가열기
600: 가열 챔버
10: 누룽지 제조 장치

Claims (3)

  1. 누룽지 원료를 배출하는 원료 공급기;
    상기 원료 공급기로부터 배출된 누룽지 원료가 안착되는 하판과, 상기 하판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하판의 상면을 개폐하는 상판을 구비하는 복수의 누룽지 성형 부재;
    상기 하판 상에 배출된 누룽지 원료를 편평하게 하는 펼침 부재;
    복수의 상기 누룽지 성형 부재가 거치되어 순환 이동하도록 폐루프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며, 일 위치 상에 상기 원료 공급기가 배치되고, 상기 원료 공급기의 후방 위치 상에 상기 펼침 부재가 배치되는 이송 라인;
    상기 이송 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누룽지 성형 부재의 하측에 배치되며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생성되는 자기장을 통해 상기 하판을 가열하는 가열기; 및
    상기 가열기가 배치된 상기 이송 라인의 상측에 배치되고, 복수의 상기 누룽지 성형 부재가 내부를 통과하도록 폐쇄 공간을 형성하며, 상측 개구를 개폐하는 차단 부재를 구비하는 가열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기는 각각의 중심 부분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자기장을 생성하는 복수의 굴곡부를 구비하고 복수의 상기 굴곡부가 상기 이송 라인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형성되는 자기장 생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자기장 생성 부재에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생성되는 자기장을 통해 상기 하판을 가열하며,
    상기 펼침 부재는 상기 누룽지 성형 부재 상측에서 회전하며 상하로 왕복 이동하는 회전축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고,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회전축의 회전 방향으로 편향되도록 굴곡지게 형성되고 상기 하판의 상면에 대해 비스듬하게 배치되며, 외측 단부가 반경 방향에 대해 비스듬하게 절곡 형성되는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룽지 제조 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200072354A 2020-06-15 2020-06-15 누룽지 제조 장치 KR102190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354A KR102190517B1 (ko) 2020-06-15 2020-06-15 누룽지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354A KR102190517B1 (ko) 2020-06-15 2020-06-15 누룽지 제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0517B1 true KR102190517B1 (ko) 2020-12-11

Family

ID=73786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2354A KR102190517B1 (ko) 2020-06-15 2020-06-15 누룽지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051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2090B1 (ko) * 2021-06-04 2022-01-18 농업회사법인(주)청통본가 누룽지 자동 제조장치
KR102364814B1 (ko) * 2021-03-29 2022-02-18 주식회사 미래이엔지 누룽지 제조장치
KR20230126049A (ko) 2022-02-22 2023-08-29 주식회사 기호 누룽지 자동 제조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31333A (ko) * 2008-06-18 2009-12-29 하람에프에이(주) 누룽지의 제조 방법 및 장치
KR20100004824A (ko) * 2008-07-04 2010-01-13 서정일 재료 전개장치를 구비하는 누룽지 제조 장치
KR101363363B1 (ko) * 2012-04-06 2014-02-14 이동균 밥알뭉치 펼침장치
KR101857015B1 (ko) 2016-10-14 2018-05-14 (주)향천 누룽지 제조장치
KR102108195B1 (ko) * 2019-11-19 2020-05-07 염상훈 인덕션방식의 전기 누룽지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31333A (ko) * 2008-06-18 2009-12-29 하람에프에이(주) 누룽지의 제조 방법 및 장치
KR20100004824A (ko) * 2008-07-04 2010-01-13 서정일 재료 전개장치를 구비하는 누룽지 제조 장치
KR101363363B1 (ko) * 2012-04-06 2014-02-14 이동균 밥알뭉치 펼침장치
KR101857015B1 (ko) 2016-10-14 2018-05-14 (주)향천 누룽지 제조장치
KR102108195B1 (ko) * 2019-11-19 2020-05-07 염상훈 인덕션방식의 전기 누룽지 제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4814B1 (ko) * 2021-03-29 2022-02-18 주식회사 미래이엔지 누룽지 제조장치
KR102352090B1 (ko) * 2021-06-04 2022-01-18 농업회사법인(주)청통본가 누룽지 자동 제조장치
KR20230126049A (ko) 2022-02-22 2023-08-29 주식회사 기호 누룽지 자동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0517B1 (ko) 누룽지 제조 장치
JP5723954B2 (ja) 調理装置
US8389907B2 (en) Heating element arrangement for baker's oven
US20150164271A1 (en) Oven having an h-shaped rotating door
US9974312B2 (en) Oven having a rotating door
EP2814324A1 (en) Conveyor oven
KR20100004822A (ko) 누룽지 제조 장치
JPS6348502B2 (ko)
KR101455384B1 (ko) 자동 덖음기
KR20160111172A (ko) 식품가공용 증숙시스템
EP2221782A1 (de) Verkaufsautomat mit integriertem Umluft-Infrarotofen
CN208850639U (zh) 一种炒货机
KR101366121B1 (ko) 어묵 양면 구이기
KR20190063557A (ko) 김 구이 장치
JP7018874B2 (ja) パニガッチ製造方法および装置
KR102180749B1 (ko) 식재료 가열장치
JP2006158260A (ja) 海苔焼釜装置
CA2926029C (en) Oven having a rotating door
KR102362521B1 (ko) 구근 농산물 연속 가공장치
CN212806410U (zh) 隧道式微波野绿豆焙烤机
KR101930947B1 (ko) 구이기
KR20040083618A (ko) 김 구이기의 가열장치
JPH0718342Y2 (ja) 赤外線焙煎乾燥機
KR20220075950A (ko) 김부각 제조기
TWM507243U (zh) 旋轉式烘烤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