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2521B1 - 구근 농산물 연속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구근 농산물 연속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2521B1
KR102362521B1 KR1020190174498A KR20190174498A KR102362521B1 KR 102362521 B1 KR102362521 B1 KR 102362521B1 KR 1020190174498 A KR1020190174498 A KR 1020190174498A KR 20190174498 A KR20190174498 A KR 20190174498A KR 102362521 B1 KR102362521 B1 KR 102362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ricultural products
roller
processing chamber
bulb
bulb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4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2002A (ko
Inventor
김태욱
김재덕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농업회사법인 햇빛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농업회사법인 햇빛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74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2521B1/ko
Publication of KR20210082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2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2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2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23N12/12Auxiliary devices for roasting machines
    • A23N12/125Accessories or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65G13/06Roller driving means
    • B65G13/07Roller driving means having endless driv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02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 B65G39/04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the rollers comprising a number of roller forming elements mounted on a single ax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02Agricultural and processed food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근 농산물 연속 가공장치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은 바닥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구비된 하우징의 투입구를 통해 배출구로 이동되는 중에 구근 농산물이 가공되는 가공실이 구비된 프레임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구근 농산물이 상기 가공실에서 자전되는 상태로 이송되게 하는 롤러체가 구비된 롤러부; 상기 가공실에 설치되는 히터체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해 상기 가공실을 통괴하는 구근 농산물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가열되게 하는 가열부; 상기 가공실의 투입구에서부터 배출구에 구비되는 롤러체의 구동치차에 설치되어 상기 롤러체의 각각의 롤러가 일시에 구동되게 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고구마와 같은 구근 농산물을 크기에 관계없이 단 시간 내에 굽거나 또는 건조할 수 있다고, 건조 또는 구워지는 과정에서 롤러의 마찰력으로 이송되고 동시에 자전되는 것에 의해 히터 열이 균일 하게 가해져 구근 농산물 표면 전체가 타는 부분 없이 고르게 구워지는 이점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구근 농산물 연속 가공장치{Apparatus for cooking roasted food}
본 발명은 뿌리 작물을 건조 및 구울 수있으며, 이송되는 과정에서 구근 농산물이 자전하도록 하여 열이 표면이 고르게 접촉되게 하는 구근 농산물 연속 가공장치 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간이 식용으로 재배하는 작물 중 고구마, 감자, 옥수수, 땅콩, 밤, 은행, 단호박 등은 불순한 기상조건에서도 상당한 수확을 얻을 수 있는 작물이다.
이들 작물은 생육기간이 짧아 가뭄이나 장마에 영향을 받지 않고 걸지 않은 땅에서도 가꿀 수 있고, 주식으로 대용할 수 있었으며 다이어트 식품으로도 각광받고 있는 작물이다.
보통 이들의 조리법은 찌기,삶기,끓이기,굽기,볶기,조리기,튀기기 등 그 방법은 다양하나, 예전에는 통상 재래식 아궁이나 화롯불 등에 직접 굽는 방법 이 일반적이었다.
이 중에서 고구마는 구근식물로 알카리성 식품이며 각종 비타민과 무기질 및 양질의 식이섬유가 함유되어 있고, 농약을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재배할 수 있어 저공해 건강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근래에는 고구마의 항암, 항산화작용 및 혈중콜레스테롤의 강하작용 등 약 리적 효과가 인정되어 성인병 예방 건강식품으로 각광을 받아 간식용 고구 마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농업진흥청 식량과학원 NICS Online 작물 정보센터)
이러한 고구마를 구워서 보관 또는 취식하는데, 고구마를 굽기 위한 고구마 구이기는 가열통에 별도의 환기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고구마를 구우면서 발생하는 연소가스가 외부로 그대로 배출 되어 연소가스의 냄새와 연기로 인하여 주변 환경에 악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가스버너를 통하여 구이통 내부에 충진한 광석을 열전도체로 마련하여 고구마를 굽게 됨에 따라 광석과 맞닿는 고구마의 부위에 열이 지 나치게 전달됨으로 써, 부위 별 익는 속도가 달라 수시로 고구마가 익는 상태를 파악하여야 하 기 때문에 구이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가열통의 상부에 탑재시킨 보온통은 상기 가열통에서 미온의 열을 전달받아 보온하기 때문에 열전달율이 떨어져 보온성이 저감되는 문제 점이 있었 다.
이처럼 고구마를 구울 때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 국 특허청에 공개특허 10-2019-0032094호(이하 선공개라 한다)로 터널형 식품 구이 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선공개 내용에 따르면 식품을 굽는 터널형 식품 구이 제조장치에 있어서, 양방향이 개구되어 식품이 유입되는 입구와 구운 식품을 배출하는 출구가 형성되는 챔버; 상기 챔버의 하측에 결합되는 하부 프레임; 일측이 상기 챔 버를 관통하여 배치되고, 상기 챔버에 마주보도록 위치하는 타측이 상기 챔 버와 상기 하부 프레임 사이를 따라 배치되도록 루프 형상을 형성하여 회전 구동 하며, 상기 입구에서 상기 출구를 따라 식품이 이동할 때에 균일하게 구워지도록 식품을 회전시키면서 배출시키는 루프형 이송부; 및 상기 챔버의 내측에 식품의 이송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는 히팅 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선공개의 터널형 식품 구이 제조장치는 안내 레일(134)은 챔 버(110)의 하측에 고정되어 한 쌍의 체인(131)이 회전 구동할 때에 안정적으 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회전롤러(132) 위에서 고구마가 적재된 상태에서 회전롤러(132)의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일정하게 고구마가 이송되도록 하여 균일한 식품가공을일방향을 따라 연속해서 식품이 공급 되도록하고, 공급되는 식품을 회전시키면서 일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므로 식품 을 균일 하게 구울 수 있다.
그러나, 선공개 구성에서는 회전롤러가 한 쌍의 체인에 설치된 상태로 챔버를 통과할 때 안내레일에 걸림으로 인해 회전롤러가 구동되는 구조이므로 구워지는 식품의 형상이 원형이 아니고 표면이 매끄럽지 않고 형상이 불균일한 타원형의 형태이므로 로울러의 회전력으로 식품을 회전시키기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국부적으로 타거나, 제대로 익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체인에 회전롤러가 설치된 상태로 챔버와 하부프레임을 구동하는 구조인 관계로 하중이 커서 구동 관련부분에 마모가 심한 구조적 문제점이 있으며, 회전롤러들의 간격이 넓어 크기가 작은 식품들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롤러의 크기와 간격을 다르게 한 별도의 체인이 요구되는 문제점 이 있었다.
KR특허공개10-2019-0032094 (2019.03.27. 공개) KR특허등록 10-1564980 (2015.10.27.등록) KR등록 10-2016-0129320 (2016.11.09.공개) KR특허등록 10-1844846 (2018.04.09.등록)
본 발명은 크기에 관계없이 고구마와 같은 농산물을 단 사간 내에 굽거나 또는 건조할 수 있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근 농산물이 건조 또는 구워지는 과정에서 롤러의 마찰력으로 이송되되, 자전되는 상태에서 히터열에 의해 가공되어 구근 농산물 표면 전체를 고르게 가공함으로 가열원과 근접된 부분이 쉽게 타는 현상을 방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바닥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구비된 하우징의 투입구를 통해 배출구로 이동되는 중에 구근 농산물이 가공되는 가공실이 구비된 프레임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구근 농산물이 상기 가공실에서 자전되는 상태로 이송되게 하는 롤러체가 구비된 롤러부; 상기 가공실에 설치되는 히터체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해 상기 가공실을 통괴하는 구근 농산물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가열되게 하는 가열부; 상기 가공실의 투입구에서부터 배출구에 구비되는 롤러체의 스프로켓에 설치되어 상기 롤러체의 각각의 롤러가 일시에 구동되게 하는 구동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성을 제공함에 의하여 충분히 달성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가공실의 측면을 천공하여서 되는 투시공과, 상기 투시공을 개폐하는 덮개를 상기 투시공 전면에 구비하여 상기 가공실의 이송로 내부 상황이 확인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롤러부는, 상기 가공실의 투입구에서 배출구까지의 바닥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서로 다른 마찰력으로 이송되는 구근 농산물에 자전력이 형성되게 하는 롤러체; 상기 롤러체는, 이송되는 구근 농산물에 마찰력이 전달되는 원주면을 갖는 제1롤러가 구비된 제1롤러대, 상기 제1롤러대의 간격사이 마다 설치되어 이송되는 구근 농산물에 다른 마찰력이 전달되는 원주면을 갖는 제2롤러가 구비된 제2롤러대로 이루어지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제1, 제2롤러대는, 상기 가공실에 설치되는 구동축에 각각 설치되어 구근 농산물에 마찰력이 전달되게 하는 원주면을 갖는 제1, 제2롤러와, 상기 구동축의 일단에 상기 구동부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으로 회전되게 하는 제1, 제2구동기어가 각각 설치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제1, 제2 롤러대는, 상기 구동축에 각각 설치되는 제1, 제2 롤러의 원주면이 타원형으로 형성되게 하여 상기 제1롤러는 수평방향, 상기 제2롤러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1, 제2롤러의 마찰력이 구근 농산물에 교호적으로 전달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가공실의 내부 상면에 설치되어 전기저항열을 상기 가공실 내부로 발산시키는 히터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히터체의 하단에는 유동 이송되는 구근 농산물의 접촉을 막는 보호망이 더 구비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제1, 제2 롤러대는, 상기 구동축에 각각 설치되는 제1롤러의 원주면이 타원형, 제2원주면은 원형으로 형성되게 하여 상기 제1, 제2롤러의 마찰력이 구근 농산물에 교호적으로 전달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제1, 제2 롤러대는, 상기 구동축에 각각 설치되는 제1, 제2 롤러의 원주면이 타원형으로 형성되게 하며, 원주면의 표면에 오목한 요홈 또는 볼록한 돌조가 더 형성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전원공급으로 구동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상기 롤러체의 스프로켓과 상기 구동모터의 스프로켓에 설치되는 체인과, 상기 체인의 긴장력 조절을 위해 설치위치가 상기 하우징에서 조절되는 조절스프로켓이 구비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롤러부는, 상기 롤러체의 저면으로 설치되어 전원공급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이 상기 롤러체에 제공되는 바이브레이터를 더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구마와 같은 구근 농산물을 크기에 관계없이 단 시간 내에 굽거나 또는 건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구근 농산물이 건조 또는 구워지는 과정에서 롤러의 마찰력으로 이송되고 동시에 자전되는 것에 의해 히터 열이 균일하게 가해져 구근 농산물 표면 전체가 타는 부분 없이 고르게 구워지는 이점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구근 농산물 연속 가공장치의 단면구조도,
도 2는 본 발명 중 롤러부에 대한 배열상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중 롤러부에 대한 롤러체의 발췌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중 롤러체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중 롤러의 다른 예 실시 상태도로써, (a)는 롤러의 표면에 돌조가 형성된 상태도, (b)는 롤러의 표면에 요홈이 형성된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 중 롤러체의 롤러 배열과 히터체에 대한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 중 롤러체의 구동과 고구마의 자전이송상태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는 예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될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구근 농산물 연속 가공장치의 단면구조를 표시하는 것으로, 도면에 따르면 구근 농산물 가공장치는, 바닥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를 갖는 지지대(110)와, 상기 지지대(110) 상부에 설치되어 내부에 구근 농산물을 가공하기 위한 가공실(123)을 갖춘 하우징(120)으로 프레임부(100)가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부(100)는, 상기 가공실(123)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있어서 내부 상황을 확인 하거나, 가공되는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하우징(120)의 측면을 천공하여 투시공(122)과, 상기 투시공(122)에 덮개(127)를 설치하여 상기 투시공(122)이 필요에 따라 개폐되게 한다.
상기 하우징(120)은 그 내부의 가공실(123)에 구근 농산물 가공에 요구되는 환경을 보유하는 구조를 갖추는 상태에서 일측에 구근 농산물이 진입되는 투입구(121), 타측에는 가공된 구근 농산물이 취출되는 배출구(125)가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120)에는 구근 농산물 가공시에 요구되는 환경을 갖추기 위해 상기 하우징(120)의 가공실(123)을 통과되게 하는 롤러부(200)가 가공실(123) 바닥위치에 설치되고, 표면 전체가 고르게 구워지도록 열이 발산되는 가열부(300)가 가공실(123) 천정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120)의 외면에는 상기 롤러부(200)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구근 농산물의 투입과 취출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구동부(400)가 구비된다.
상기 롤러부(200)는, 구근 농산물이 상기 하우징(120)내부로 투입되어 얹혀지며 외력에 의해 유동될 수 있도록 상기 가공실(123)의 투입구(121)에서부터 배출구(125) 까지 수개의 롤로체(210)가 상기 가공실(123) 하단에 설치된다.
상기 가열부(300)는 구근 농산물이 통과되는 상기 가공실(123) 내부를 소정의 열로 가열되게 하기 위해 전기저항으로 열이 발생되고, 그 열로 구근 농산물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가열되게 하는 히터체(310)가 상기 가공실(123)의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구동부(400)는, 상기 프레임부(100)에 설치되어 전원공급으로 구동되는 구동모터(410)와, 상기 하우징(120) 외면에서 상기 투입구(121)와, 배출구(125) 위치에 설치되는 구동스프로켓(420)과, 상기 구동스프로켓(420)에 걸어지게 설치되어 상기 투입구(121)의 구동스프로켓(420)과, 배출구(125)의 구동스프로켓(420)에 구동력이 동시에 전달되게 하는 체인(450)과, 상기 체인(450)의 긴장력 조절을 위한 조절스프로켓(460)이 구비된다.
도 2는 본 발명 중 롤러부에 대한 배열상태 평면이고, 도 3은 본 발명 중 롤러부에 대한 롤러체의 발췌도 이며, 도 4는 본 발명 중 롤러체의 구조를 보인 단면이다.
상기 가공실(123)의 투입구(121)에서부터 배출구(125)까지 설치되는 수개의 롤러체(210)는, 상기 가공실(123)의 바닥면에 설치되되, 투입구(121)에서 배출구(125)까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구근 농산물에 이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회전시작위치를 서로 다르게 하여 각각의 마찰력을 제공함으로 이송되는 구근 농산물에 자전력이 형성되도록 하는 원주면을 갖는 제1롤러(232)가 복수개 구비된 제1롤러대(230)와, 제2롤러대(2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제2롤러대(230,240)는, 상기 가공실(123) 바닥위치에 설치되는 사각형상 또는 육각형상의 단면을 갖는 구동축(231,241)과, 상기 구동축(231,241)에 각각 설치되어 구근 농산물에 마찰력을 전달하는 원주면을 갖는 제1,제2롤러(232,242)와, 상기 롤러가 구동축에 설치될 때, 상기 제1,제2롤러(232,242)의 원주면 폭으로 되어 상기 롤러 사이로 삽입되어 구동축 상에 일정한 간격의 공간이 형성되게 한 스페이서(234,244)와, 상기 구동축(231,241)의 끝단으로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400)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상기 구동축(231,241)이 회전되게 하는 제1,제2구동스프로켓(235,245)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제1, 제2롤러대(230,240)에 설치되는 제1,제2롤러(232,242)는, 상기 구동축(231,241)에 각각 설치되어 구근 농산물에 마찰력이 전달되게 하기 위한 원주면을 형성함에 있어 타원형으로 형성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제2롤러(232,242)를 구동축(231,241)에 설치할 때, 상기 제1롤러(232)는 타원형의 꼭지 부분이 수평방향을 향하게 하고, 상기 제2롤러(242)는 타원형의 꼭지 부분이 수직방향을 향하도록 하여 상기 하우징(120)의 가공실(123)에 제1,제2롤러(232,242)들이 수평과 수직상태로 교호적인 배열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이처럼 제1,제2롤러(232,242)가 수직과 수평방향으로 교호적 배열을 이루게 하는 것은 마찰력이 구근 농산물의 표피에 교호적으로 전달되게 하기 위함이며, 각기 다른 마찰력이 교호적을 전달될 때, 이로써 구근 농산물은 가공실(123)을 지나면서 자전되는 상태를 이룰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 중 롤러의 다른 예 실시 상태도로써, (a)는 롤러의 표면에 돌조가 형성된 상태도, (b)는 롤러의 표면에 요홈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구동축(213, 241)에 각각 설치되는 제1,제2롤러(232,242)의 원주면이 타원형으로 형성되게 함에 있어 마찰력을 구근 농산물의 표피에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원주면의 표면에 오목한 요홈(250b) 또는 볼록한 돌조(250a)가 더 형성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 중 롤러체의 롤러 배열과 히터체에 대한 구조를 나타내며, 상기 하우징(120)의 가공실(123)에서 상기 제1롤러(232)가 수평으로, 상기 제2롤러(242)가 수직되게 설치되는 상태에서 상부 공간에 설치되는 히터체(310)에는 가열되는 상태로 이송 중인 구근 농산물이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보호망(330)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롤러체(210)의 저면 위치에는 자전되는 구근 농산물의 위치변경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바이브레이터(500)가 더 설치된다.
상기 바이브레이터(500)가 설치되면 상기 롤러체(210)의 제1,제2롤러(232,242)의 꼭지부가 회전하면서 상기 바이브레이터(500)의 진동판(510)에 접촉되므로 그 진동이 롤러체(210)에 얹어진 상태로 이동되면서 구근 농산물에 전달되어 진동의 세기로 요동되는 상태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구근 농산물을 굽거나, 건조시키고자 할 때, 먼자 도시하지 않은 일반적인 콘트롤러의 조작으로 가열온도를 미리 셋팅한 다음, 전원장치를 “온”시켜 농산물 가공장치에 전원이 입력되게 한다.
전원공급으로 구동부(400)의 구동모터(410)에서 발생되는 구동력이 체인(450)을 통해 프레임부(100)의 하우징(120)에 이송력이 형성된다.
즉, 상기 구동부(400)의 구동모터(410)가 구동할 때 체인(450)이 구동되므로 체인(450)에 물린 롤러체(210)의 제1,제2구동스프로켓(235,245)이 회전하므로 구동축(231,241)과 제1,제2롤러(232,242)가 회전되는 상태가 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120)의 투입구(121)에서 배출구(125) 까지 이송력이 형성된다.
이후, 작업자는 구근 농산물을 상기 하우징(120)의 투입구(121)에 공급하면 체인(450)의 구동에 의해 각각의 롤러체(210)에서 제1, 제2롤러(232,242)들이 180각도 범위내에서 교호적으로 교차 회전되므로 구근 농산물이 제1,제2롤러(232,242)의 교차 회전시 접촉되는 마찰력으로 제1, 제2롤러(232,242) 표면에서 자전되며 이동된다.
이와같은 구근 농산물이 자전되는 상태로 이동되는 상기 하우징(120)의 가공실(123)에는 상기 가열부(300)의 히터체(310)에서 열이 발산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구근 농산물은 자전이송되는 상태에서 열에 의해 가열된다.
상기 하우징(120)의 가공실(123)에서 발열되는 가열부(300)에서는 다단 온도제어 가능한 히터체(310)에서 발산되는 복사열을 이용하여 고구마를 가공하며, 온도 제어 방식은 총 5단계로 가공 시스템의 온도조절 구간을 3개의 구간으로 분할하여 제어되게 한다.
구체적으로 가공 최고 온도인 270℃에서 구이기 내부 현재온도 차가 50℃ 이상이면 세라믹 히터를 ON(상)으로 가동하고, 30~50℃ 차이 시 히터를 ON(중)으로 설정하며, 10~30℃이면 ON(하)로 설정한다. 5~10℃ 차이면 그 구간의 인접한 히터를 ON(하)와 OFF로 가동하며 0℃일 경우 OFF로 가동하여 온도편차가 ±10℃ 이하의 온도로 제어되게 한다.
따라서, 상기 가공실(123)을 통과하면서 자전이동되는 구근 농산물이 히터체(310)의 효율적인 온도제어에 의해 구근 농산물의 내부까지 안정되게 구워지게 된다.
특히, 제1, 제2롤러(232,242)의 타원형상에 의한 교호적인 회전으로 구근 농산물의 위치가 계속 변하고, 회동되므로 작용에 의해 열이 구근 농산물의 표면에 국부적으로 집중되지 않으며, 또 상기 롤러체(210) 저면 위치에서 바이브레이터(500)의 진동판(510)으로부터 전가되는 진동으로 구근 농산물이 제1, 제2롤러(232,242)상에서 흔들리며 이송과 자전되는 상태로 된다.
따라서, 히터체(310)의 직사열 및 복사열이 구근 농산물의 한 면에만 조사되지 않고 자전과 진동에 의해 위치가 계속 바뀌게 되어 히터체(310)의 열이 구근농산물 전체에 고르게 가해져 고르게 구워지게 된다.
이러한, 구근 농산물의 가열면의 위치변경은 상기 롤러체(210)의 제1,제2롤러(232,242)가 회전할 때, 원주면에 형성된 돌조(250a) 또는 요홈(250b)이 접촉된 구근 농산물의 외면에 마찰력을 더하게 되므로 구근 농산물의 회전, 자전 및 위치변동 등이 수시로 이루어지 히터체(310)의 발산열이 구근 농산물이 국부적으로 가열되는 부분이 없이 전체면에 고르게 가해져 구원지는 시간이 빠르고 효율적으로 구워지게 된다.
그리고, 본원발명의 구근 농산물 연속 가공장치는 구근 농산물을 히터체(310)의 열로 가열하면서 투입구(121)와 배출구(125)로 자전이동되게 하는 과정에서 구근 농산물의 이동이 가열실(123)에서 정체되거나, 한 쪽방향으로 몰리는 경우가 발생되면 자전 상태의 이송 및 진동이 국부적으로 이루어져 히터체(310)의 열이 집중되게 되므로 균일한 구워짐을 기대할 수 없으므로, 이 경우 상기 하우징(120) 측면에 형성된 덮개(127)를 개방하여 투시공(122)구근 농산물의 이동이 정체된 가공실(123)의 내부를 확인하여 도시하지 않은 처리봉으로 정체된 부분을 처리하고 정상적인 이송상태를 확인 후 덮개(127)로 투시공(122)을 닫는 것으로 구근 농산물의 가공상태를 정상 이동되게 할 수 있어 구근 농산물의 연속 가공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프레임부 110 : 지지대 120 : 하우징
121 : 투입구 122 : 투시공 123 : 가공실
125 : 배출구 127 : 덮개 200 : 롤러부
210 : 롤러체 230 : 제1롤러대 231 : 구동축
232 : 제1롤러 234 : 스페이서 235 : 제1구동스프로켓
240 : 제2롤러대 241 : 구동축 242 : 제2롤러
244 : 스페이서 245 :제2구동스프로켓 250a: 돌조
250b: 요홈 300 : 가열부 310 : 히터체
330 : 보호망 400 : 구동부 410 : 구동모터
420 :구동스프로켓 450 : 체인 460 : 조절스프로켓
500 : 바이브레이터 510 : 진동판

Claims (10)

  1. 바닥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구비된 하우징의 투입구를 통해 배출구로 이동되는 중에 구근 농산물이 가공되는 가공실이 구비된 프레임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구근 농산물이 상기 가공실에서 자전되는 상태로 이송되게 하는 롤러체가 구비된 롤러부;
    상기 가공실에 설치되는 히터체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해 상기 가공실을 통괴하는 구근 농산물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가열되게 하는 가열부;
    상기 가공실의 투입구에서부터 배출구에 구비되는 롤러체의 구동스프로켓에 설치되어 상기 롤러체의 각각의 롤러가 일시에 구동되게 하는 구동부; 를 포함하여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가공실의 측면을 천공하여서 되는 투시공과, 상기 투시공을 개폐하는 덮개를 상기 투시공 전면에 구비하여 상기 가공실의 이송로 내부 상황이 확인되게 하고,
    상기 롤러부는,
    상기 가공실의 투입구에서 배출구까지의 바닥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이송되는 구근 농산물에 회전 시작 위치가 서로 다른 마찰력에 의해 자전력이 형성되게 하는 롤러체를 형성하되,;
    상기 롤러체는, 이송되는 구근 농산물에 회전 마찰력이 전달되는 원주면을 갖는 제1 롤러대와, 상기 제1롤러대의 간격사이 마다 설치되어 이송되는 구근 농 산물에 회전 마찰력 이 전달되는 원주면을 갖는 제2롤러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제2롤러대는,
    상기 가공실에 설치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 중간 위치에 설치되어 구근 농산물에 회전마찰력이 전달되게 하는 원주면을 갖는 제1, 제2롤러와, 상기 구동축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을 받아 상기 구동축이 회전되게 하는 제1, 제2구동 스프로켓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제2롤러는,
    원주면이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구동축에 수평, 수직되게 설치되어 이송 되는 구근 농산물에 회전 시작 위치가 서로 다른 회전마찰력이 교호적으로 전달되게 하고,
    상기 롤러부는,
    상기 롤러체의 저면으로 전원공급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이 상기 롤러체에 제공되는 바이브레이터가 더 설치되게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근 농산물 연속 가공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가공실의 내부 상면에 설치되어 전기저항열을 상기 가공실 내부로 발산시키는 히터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히터체의 하단에는 유동 이송되는 구근 농산물의 접촉을 막는 보호망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근 농산물 연속 가공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롤러대는,
    상기 구동축에 각각 설치되는 제1롤러의 원주면이 타원형, 제2원주면은 원형으로 형성되게 하여 상기 제1, 제2롤러의 시작위치가 서로 다른 회전마찰력이 구근 농산물에 교호적으로 전달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근 농산물 연속 가공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롤러대는,
    상기 구동축에 각각 설치되는 제1, 제2 롤러의 원주면이 타원형으로 형성되게 하며, 원주면의 표면에 오목한 요홈 또는 볼록한 돌조가 더 형성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근 농산물 연속 가공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전원공급으로 구동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상기 롤러체의 스프로켓과 상기 구동모터의 스프로켓에 설치되는 체인과, 상기 체인의 긴장력 조절을 위해 설치위치가 상기 하우징에서 조절되는 조절스프로켓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근 농산물 연속 가공장치.
  10. 삭제
KR1020190174498A 2019-12-24 2019-12-24 구근 농산물 연속 가공장치 KR102362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4498A KR102362521B1 (ko) 2019-12-24 2019-12-24 구근 농산물 연속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4498A KR102362521B1 (ko) 2019-12-24 2019-12-24 구근 농산물 연속 가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2002A KR20210082002A (ko) 2021-07-02
KR102362521B1 true KR102362521B1 (ko) 2022-02-17

Family

ID=76897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4498A KR102362521B1 (ko) 2019-12-24 2019-12-24 구근 농산물 연속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252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9655B1 (ko) * 2017-05-31 2018-05-18 주식회사 참한식품 식품 건조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4608B1 (ko) * 2008-07-10 2015-06-02 (주)제이브이엠 약포 정렬장치
KR101844846B1 (ko) 2015-02-25 2018-04-13 주식회사 에이스글로벌 연속식 회전 구이기
KR101564980B1 (ko) 2015-03-03 2015-11-03 최광헌 군고구마 제조설비
KR20160129320A (ko) 2015-04-30 2016-11-09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고구마 구이장치
KR101966681B1 (ko) 2017-09-19 2019-04-08 농업회사법인 햇빛촌(주) 터널형 식품 구이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9655B1 (ko) * 2017-05-31 2018-05-18 주식회사 참한식품 식품 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2002A (ko) 2021-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97758B1 (en) Continuous cooking oven system
US441055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oking particulate foodstuffs
CA1319302C (en) Cooking a food product in a process vapor at progressively varying rates
JP2009100774A (ja) 高速調理装置及び方法
EP3289879B1 (en) Method of heating a food product in a spiral oven and spiral oven
EP3573477B1 (en) Spiral conveyor thermal processing system
MX2013014981A (es) Horno para rostizar.
KR101966681B1 (ko) 터널형 식품 구이 제조장치
KR102362521B1 (ko) 구근 농산물 연속 가공장치
EP2022333A1 (en) Tunnel oven for foodstuffs, particularly baked products, such as pizzas, focaccia bread and the like
EP2221782A1 (de) Verkaufsautomat mit integriertem Umluft-Infrarotofen
KR102258190B1 (ko) 북경오리 회전식 구이장치
JPS6115734Y2 (ko)
KR20140134013A (ko) 통닭 구이기
KR100582475B1 (ko) 김 구이장치
GB2082447A (en)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857443B1 (ko) 구이장치
JP2650016B2 (ja) 焼物製造装置
KR101439197B1 (ko) 수평 회전식 구이장치
KR101978099B1 (ko) 상향 가열식 김구이기
US20060157469A1 (en) Radiant cooking oven
KR970007112Y1 (ko) 구이기
KR102294401B1 (ko) 건어물 자동 구이장치
KR102180749B1 (ko) 식재료 가열장치
CN219269977U (zh) 一种肉类食品加工用具有温控结构的烤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