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2475B1 - 김 구이장치 - Google Patents

김 구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2475B1
KR100582475B1 KR1020040103203A KR20040103203A KR100582475B1 KR 100582475 B1 KR100582475 B1 KR 100582475B1 KR 1020040103203 A KR1020040103203 A KR 1020040103203A KR 20040103203 A KR20040103203 A KR 20040103203A KR 100582475 B1 KR100582475 B1 KR 1005824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ocher
heating unit
pulley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3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성
Priority to KR1020040103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24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2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2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001Details of apparatus, e.g. for transport, for loading or unloading manipulation, pressure feed val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Edible Seawee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김 구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프레임 상부에 유입구와 유출구를 갖는 히팅룸을 설치하고,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의 외측으로 노출된 프레임 양측에 제1풀리와 제2풀리를 설치하여 벨트가 걸려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프레임 하부에 설치된 모터의 구동력이 감속기어에 체인으로 결합된 제2풀리를 회전시켜 벨트가 순환되어지도록 구성된 김 구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히팅룸은 단열부재가 내장된 다수개의 패널이 터널형태로 결합된 히팅몸체 내부에 설치된 직접가열부와 간접가열부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히팅몸체는 양측의 패널 상부가 다른 패널에 각각 힌지로 결합 되어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직접가열부는 히팅몸체의 내측 상부에 설치된 황토패널 하부로 반사판이 구비되어지도록 구성하되, 상기 반사판의 하부에 다수개의 열선관이 통전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간접가열부는 히팅몸체의 내측 하부에 설치된 다수개의 황토블록으로 구성되어져 바삭 바삭하고 천연 그대로의 맛을 살리면서 변형이 적은 많은 량의 구이김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직접가열부에서 발생된 미세 이물질이 구워지는 김에 떨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프레임, 벨트, 히팅몸체, 황토패널, 황토블록, 가열부

Description

김 구이장치{LAVER ROAST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김 구이장치의 내외부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김 구이장치의 내부 구성을 측면에서 도시한 일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김 구이장치의 내외부 구성중 요부를 확대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김 구이장치에 설치된 반사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김 구이장치에 설치된 반사판의 저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김 구이장치에 설치된 황토블록의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히팅룸 2:프레임
3:모터 11:유입구
11':유출구 12,12',12":패널
13:히팅몸체 14:직접가열부
15:간접가열부 16,16':힌지
21:제1풀리 22:제2풀리
23:벨트 31:감속기어
32:체인 121,121',121":단열부재
141:황토패널 142:반사판
144,144':열선관 151,151':황토블록
본 발명은 김 구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직접가열부와 간접가열부에서 발생되어진 열과 원적외선이 균일하도록 가득찬 분위기가 제공되어지는 히팅몸체의 내부를 향해 외부에서 내부를 향해 일정한 속도로 순환되어지는 벨트위에 김을 올려놓아 구워지도록 함으로써, 바삭 바삭하고 천연 그대로의 맛을 살리면서 변형이 적은 많은 량의 김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직접가열부에서 미세 이물질이 구워지는 김에 낙하되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간접가열부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여 작업지연 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건조된 김을 대량으로 생산(굽기)하여 판매하기 위해서는 통상 김 구이징치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김 구이장치는 체인 및 다수의 봉을 이용한 이송컨베이어와, 이송컨베이어의 상부에 설치되는 히터 및 반사판 등의 주요 구성으로 설치되어 있고, 경우에 따라 각종 양념을 공급하는 양념공급장치가 이송컨베이어 전방에 설치되기도 한다.
상기 이송컨베이어는 모터의 회전력이 체인을 통해 컨베이어 벨트가 감겨져 있는 2개의 휠 중 어느 하나로 전달되어짐에 따라 컨베이어 벨트가 연속적으로 순 환되어지며, 상기 컨베이어 벨트는 두줄의 체인 사이에 가는 봉을 일정한 간격으로 결합시켜 김을 받치면서 이송되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히터가 이송컨베이어의 상부에 설치되어 김을 구울 수 있도록 하였으나, 체인과 봉이 결합된 부위에 주기적으로 기름을 칠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아울러 히터의 열에 의하여 기름이 탄화되면서 발생되는 냄새와 탄화된 것이 구워지는 김에 베이거나 묻게 됨으로써, 상품의 질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봉과 봉 사이의 간격에 의하여 구워진 김의 표면에 자국이 남게되거나, 이로 인해 뒤틀리게 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실용신안등록 제 354726(2004.6.18)호의 김 구이장치가 제안되었고, 제안된 김 구이장치는 김을 안착 이송시키도록 된 콘베이어장치와, 상기 콘베이어장치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부히터를 장착한 반사판과 건강물질 그리고 내부보온재를 일체화시켜 이들이 볼트 및 너트 등의 체결부재로 된 높이조절구에 의해 조절될 수 있게 한 구성과, 상기 콘베어어장치의 상부에 통상의 상부히터를 장착하고, 내측 소정위치에 균일한 간격이 유지되어지도록 하부히터를 다수 장착하여 김의 표리면을 동시에 구울 수 있게 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김을 굽는 과정에서 자국이 발생되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김의 표리면을 양측에서 동시에 가열하여 굽도록 함으로써, 변형이 발생되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부히터에서 발생되어진 열이 반사판을 통해 하부로 반사되어지는 과정에서 평평한 반사판의 각도가 일정함에 따라 열이 어느 한 곳으로 집중되어 김의 표면이 균일하게 구워지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반사판의 형성된 다수개의 구멍을 통해 미세한 건강물질이 하부로 낙하되어짐으로써, 김의 표면에 묻어 나오게 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히터가 콘베이어장치의 하부로 건강물질이 블록화된 것에 매립된 형태를 취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콘베이어장치를 감싸고 있는 동체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히터의 부분적인 교체나 블록을 교체에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서 바삭 바삭하고 천연 그대로의 맛을 살리면서 변형이 적은 많은 량의 김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직접가열부에서 발생된 미세 이물질이 구워지는 김에 낙하되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간접가열부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여 작업지연 시간을 줄일 수 있는 김 구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프레임 상부에 유입구와 유출구를 갖는 히팅룸을 설치하고,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의 외측으로 노출된 프레임 양측에 제1풀리와 제2풀리를 설치하여 벨트가 걸려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프레임 하부에 설치된 모터의 구동력이 감속기어에 체인으로 결합된 제2풀리를 회전시켜 벨트가 순환되어지도록 구성된 김 구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히팅룸(1)은 단열부재(121)(121')(121")가 내장된 다수개의 패널(12)(12')(12")이 터널형태로 결합된 히팅몸체(13) 내부에 설치된 직접가열부(14)와 간접가열부(15)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히팅몸체(13)는 양측의 패널(12')(12") 상부가 다른 패널(12)에 각각 힌지 (16)(16')로 결합 되어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직접가열부(14)는 히팅몸체(13)의 내측 상부에 설치된 황토패널(141) 하부로 반사판(142)이 구비되어지도록 구성하되, 상기 반사판(142)의 하부에 다수개의 열선관(144)(144')이 통전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간접가열부(15)는 히팅몸체(13)의 내측 하부에 설치된 다수개의 황토블록(151)(151')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반사판(142)는 경사진 요부(143)와 철부(144)가 연속되게 절곡된 크롬이 코팅된 반사몸체(145)로 구성하고, 상기 반사몸체(145)의 하부에 원추형돌기 형태를 갖는 제1난반사부재(146) (146')를 형성하고, 상기 제1난반사부재(146) (146') 사이에 관통홀(147)을 형성하되, 상기 관통홀(147) 상부의 가장자리에 확관되어지는 링형태를 갖는 돌기(148)가 일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황토블록(151)은 프레임(2) 상부에 놓여지는 하부블록(152)과, 상기 하부블록(152)에 안착되어지는 상부블록(153)으로 구성하되, 상기 하부블록(152)과 상부블록(153)이 서로 맞닿는 부위에 코일관 삽입홈(154)(154')이 일체로 형성되어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상부블록(153)은 상부에 원뿔형태를 갖는 제2난반사부재(155)가 일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김 구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김 구이장치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팅룸(1)과 프레임(2) 및 모터(3)로 구성되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히팅룸(1)은 내외부가 단열되어지도록 차단된 가운데 그 내 부로 제공되어지는 공간에 소정의 열과 원적외선이 균일하게 가득찬 분위기가 제공되어지도록 함으로써, 벨트(23)위에 얹혀진 상태로 이송되어지는 김이 비틀림 변형없이 일정한 형태로 구워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히팅룸(1)은 프레임(2)의 상부 양측에 유입구(11)와 유출구(11')를 갖도록 단열부재(121)(121')(121")가 내장된 다수개의 패널(12)(12')(12")이 터널형태로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패널(12)(12')(12")들의 결합으로 제공되어지는 내부 공간에는 상하부에 각각 직접가열부(14) 및 간접가열부(15)가 설치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히팅룸(1)은 직접가열부(14)와 간접가열부(15)를 구성하는 각각의 부품들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히팅몸체(13)의 양측 패널(121')(121")의 상부가 다른 패널(12)에 각각 힌지(16)(16')로 결합되어지도록 그 양측으로 개폐되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직접가열부(14)는 전원이 인가되어지면서 고온의 열이 발생되어지도록 하여 벨트(23)가 이송되어지는 상부로 직접 전도되어지도록 하고, 동시에 상부로 전도된 열의 일부를 다시 하부로 전도되어질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팅몸체(13)의 내측 상부에 설치된 소정의 두께를 갖는 황토패널(141) 하부로 반사판(142)이 설치되어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반사판(142)의 하부에 다수개의 열선관(144)(144')이 미도시한 전원공급부에 통전 가능하게 접속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반사판(142)는 열선관(144)(144')의 상부로 전도되는 빛과 열을 하부로 되돌리도록 함과 동시에 그 상부에 구비된 황토패널(141)을 가열함으로써, 소정의 원적외선이 하부 공간으로 확산되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반사판(142)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경사진 요부(143)와 철부(144)가 길이 방향으로 연속되게 절곡된 크롬이 코팅된 반사몸체(145)로 구성하고, 상기 반사몸체(145)의 하부에 수많은 제1난반사부재(146)(146')를 형성하여 빛과 열이 어느 하부의 한방향으로 치우쳐 전도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 같은 제1난반사부재(146)(146')는 원추형 돌기형태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반사판(142)의 상부에 설치된 황토패널(141)로 부터 박리된 미세한 황토가 하부의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황토패널(141)에서 발생된 다량의 원적외선이 용이하게 유입 및 확산 되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1난반사부재(146)(146') 사이에 관통홀(147)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홀(147)은 그 상부의 가장자리에 확관되어지는 형태를 갖는 돌기(148)가 일체로 형성되어 황토패널(141)로 부터 박리된 미세 황토가 경사면을 따라 관통홀(147)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간접가열부(15)는 패널(12)(12')(12")로 제공되어지는 히팅몸체(13)의 하부에 안착되어지는 다수개의 황토블록(151)(151')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하중은 프레임(2)에 의하여 안전하게 지지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황토블록(151)은 프레임(2)의 상부에 놓여지는 하부블록(152)과, 상기 하부블록(152)에 안착되어지는 상부블록(153)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블록 (152)과 상부블록(153)이 서로 맞닿는 부위에 각각의 코일관 삽입홈(154)(154')이 일체로 형성되어 코일관(156)이 설치된 상태에서 이를 용이하게 점검 및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블록(153)은 상부 공간으로 많은 량의 원적외선이 발산되어 지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그 상부에 다수개의 제2난반사부재(15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제2난반사부재(155)는 원뿔형태를 갖도록 구성하여 단면적이 넓어 지도록 함과 동시에 여러방향으로 분산되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2)은 그 상부로 설치되는 히팅룸(1)을 안전하게 받치도록 하고, 동시에 김이 일정한 속도로 이송되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히팅룸(1)의 길이 보다 더 바깥측으로 돌출된 형태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고, 히팅룸(1)의 바깥쪽, 즉 유입구(11)와 유출구(11')가 제공되어지는 양측단에 제1풀리(21)와 제2풀리(22)를 설치하여 벨트(23)가 감겨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2)의 하부에는 미도시한 전원에 접속된 모터(3)의 구동력이 감속기어(31)에 체인(32)으로 결합된 제2풀리(22)를 회전시켜 벨트(23)가 연속적으로 순환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벨트(23)는 그 상부로 놓여진 김의 상하 양면을 동시에 가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가는 철사가 망사형태로 역어진 것을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김 구이장치는 먼저 미도시한 전원 스위치를 ON하여 전원 이 히팅룸(1)내의 열선관(144)(144') 및 코일관(156)에 전원이 인가되어지면서 고온의 열이 발생하게 되고, 발생된 고온의 열에 의하여 히팅룸(1)의 내부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부에 설치된 황토패널(141)과 하부에 설치된 황토블록(151)을 통해 다량의 원적외선이 방사되어짐으로써, 히팅룸(1)은 열과 원적외선이 균일하도록 가득찬 김을 굽기에 가장 적당한 분위기가 제공되어진다.
다음, 모터(3)의 회전력이 감속기어(31)를 통해 체인(32)으로 결합된 제2풀리(22)를 구동시켜 제1풀리(21)를 따라 벨트(23)가 일정한 속도로 순환되어지며, 순환되어지는 벨트(23)의 상부에 굽고자 하는 김을 미도시한 자동공급장치를 통해 자동적으로 공급되어지도록 함으로써, 히팅룸(1) 내부를 이송하는 가운데 김이 알맞게 구워진다.
구워진 김이 유출구(11')를 통해 히팅몸체(13)의 바깥쪽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다시 미도시한 자동절단기 및 포장기를 이용하여 김을 포장함으로써, 판매가 가능한 김을 얻을 수 있게 된다.
김이 벨트(23)에 올려진 상태로 히팅몸체(13)의 내부로 이송되어지는 과정에서 진동이나 열화로 인해 황토패널(141)의 표면이 일정량씩 박리되어지고, 박리되어진 미세한 황토분말이 반사판(142)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는 가운데 관통홀(147)을 통해 히팅몸체(13)의 내부 공간으로 비산되어지려고 하나, 관통홀(147)의 가장자리에 돌기(148)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황토분말이 내부의 공간으로 비산되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장기간 사용으로 인하여 황토패널(141)이나 황토블록(151) 또는 열선관(144)(144') 및 코일관(156)이 파손되었을 경우, 히팅몸체(13)의 측면에 힌지(16)(16')로 결합된 패널(12')(12")을 오픈 시킨 후 파손된 부위만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게 되며, 특히 황토블록(151)의 경우에는 변질이 쉬운 상부블록(153)을 교체함과 동시에 상부블록(153)을 들어낸 후 파손된 코일관(156)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히팅몸체의 내부에 설치된 직접가열부와 간접가열부에서 발생되어진 열과 원적외선을 이용하여 그 내부를 일정한 속도로 순환되어지는 벨트위에 김을 올려놓아 연속적으로 구워지도록 함으로써, 바삭 바삭하고 천연 그대로의 맛을 살리면서 변형이 적은 많은 량의 김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직접가열부에서 박리된 미세 이물질이 구워지는 김의 표면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청결한 김을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히팅몸체의 내부에 설치된 직,간접가열부의 점검 및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Claims (3)

  1. 프레임 상부에 유입구와 유출구를 갖는 히팅룸을 설치하고,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의 외측으로 노출된 프레임 양측에 제1풀리와 제2풀리를 설치하여 벨트가 걸려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프레임 하부에 설치된 모터의 구동력이 감속기어에 체인으로 결합된 제2풀리를 회전시켜 벨트가 순환되어지도록 구성된 김 구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히팅룸(1)은 단열부재(121)(121')(121")가 내장된 다수개의 패널(12)(12')(12")이 터널형태로 결합된 히팅몸체(13) 내부에 설치된 직접가열부(14)와 간접가열부(15)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히팅몸체(13)는 양측의 패널(12')(12") 상부가 다른 패널(12)에 각각 힌지(16)(16')로 결합 되어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직접가열부(14)는 히팅몸체(13)의 내측 상부에 설치된 황토패널(141) 하부로 반사판(142)이 구비되어지도록 구성하되, 상기 반사판(142)의 하부에 다수개의 열선관(144)(144')이 통전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간접가열부(15)는 히팅몸체(13)의 내측 하부에 설치된 다수개의 황토블록(151)(151')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김 구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142)는 경사진 요부(143)와 철부(144)가 연속되게 절곡된 크롬이 코팅된 반사몸체(145)로 구성하고, 상기 반사몸체(145)의 하부에 원추형돌기 형 태를 갖는 제1난반사부재(146) (146')를 형성하고, 상기 제1난반사부재(146)(146') 사이에 관통홀(147)을 형성하되, 상기 관통홀(147) 상부의 가장자리에 확관되어지는 링형태를 갖는 돌기(148)가 일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김 구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황토블록(151)은 프레임(2) 상부에 놓여지는 하부블록(152)과, 상기 하부블록(152)에 안착되어지는 상부블록(153)으로 구성하되, 상기 하부블록(152)과 상부블록(153)이 서로 맞닿는 부위에 코일관 삽입홈(154)(154')이 일체로 형성되어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상부블록(153)은 상부에 원뿔형태를 갖는 제2난반사부재(155)가 일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김 구이장치.
KR1020040103203A 2004-12-08 2004-12-08 김 구이장치 KR100582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3203A KR100582475B1 (ko) 2004-12-08 2004-12-08 김 구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3203A KR100582475B1 (ko) 2004-12-08 2004-12-08 김 구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2475B1 true KR100582475B1 (ko) 2006-05-22

Family

ID=37181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3203A KR100582475B1 (ko) 2004-12-08 2004-12-08 김 구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247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211B1 (ko) 2007-11-08 2010-03-08 강신탁 김구이 장치
KR101209324B1 (ko) * 2010-01-25 2012-12-06 강신탁 연속식 김구이기
KR101924750B1 (ko) 2018-01-31 2018-12-03 조현묵 양방향 원적외선 복사열을 이용한 농수산물 구이 및 건조장치
KR101978099B1 (ko) * 2018-12-18 2019-05-13 정운상 상향 가열식 김구이기
KR102028857B1 (ko) * 2019-03-05 2019-10-04 정운상 김 구이기
KR200490441Y1 (ko) 2018-10-15 2019-11-12 (주)금성티케이 즉석 김구이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211B1 (ko) 2007-11-08 2010-03-08 강신탁 김구이 장치
KR101209324B1 (ko) * 2010-01-25 2012-12-06 강신탁 연속식 김구이기
KR101924750B1 (ko) 2018-01-31 2018-12-03 조현묵 양방향 원적외선 복사열을 이용한 농수산물 구이 및 건조장치
KR200490441Y1 (ko) 2018-10-15 2019-11-12 (주)금성티케이 즉석 김구이기
KR101978099B1 (ko) * 2018-12-18 2019-05-13 정운상 상향 가열식 김구이기
KR102028857B1 (ko) * 2019-03-05 2019-10-04 정운상 김 구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1055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oking particulate foodstuffs
FR2746599A1 (fr) Appareil et procede de traitement de produits utilisant un milieu de traitement gazeux et convoyeur pour un dispositif de traitement d&#39;aliments
KR200415670Y1 (ko) 김 구이장치
KR100582475B1 (ko) 김 구이장치
KR20160033913A (ko) 김의 보관성과 위생성이 우수한 맥반석 김구이기
CN105167633A (zh) 微波烤肉设备及方法
JPH1175785A (ja) 火入乾燥機及び焼海苔製造装置
KR101007237B1 (ko) 꼬치구이장치
KR101366121B1 (ko) 어묵 양면 구이기
KR100820718B1 (ko) 구운 어묵 제조기
US20120114822A1 (en) Oven for heat-treating food pieces
JP6504689B2 (ja) 食品炙り装置
KR100423569B1 (ko) 장어구이 제조방법 및 그 장치
CN204862749U (zh) 微波烤肉设备
JP2004065200A (ja) 食品加熱装置及び食品加熱方法
KR101743739B1 (ko) 김 구이장치
GB2082447A (en)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JP3676159B2 (ja) 連続焙煎装置及び焙煎釜
NL2010577C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aking and/or drying a product.
KR102362521B1 (ko) 구근 농산물 연속 가공장치
JP4959254B2 (ja) 連続式加熱調理装置
KR102180749B1 (ko) 식재료 가열장치
KR200242499Y1 (ko) 장어구이 제조장치
JP3105702U (ja) 串物焼き装置
JP2004254983A (ja) 焼鳥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