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3913A - 김의 보관성과 위생성이 우수한 맥반석 김구이기 - Google Patents

김의 보관성과 위생성이 우수한 맥반석 김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3913A
KR20160033913A KR1020140124730A KR20140124730A KR20160033913A KR 20160033913 A KR20160033913 A KR 20160033913A KR 1020140124730 A KR1020140124730 A KR 1020140124730A KR 20140124730 A KR20140124730 A KR 20140124730A KR 20160033913 A KR20160033913 A KR 20160033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device
roasted roasted
heating
elbow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4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8733B1 (ko
Inventor
박병현
Original Assignee
박병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현 filed Critical 박병현
Priority to KR1020140124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8733B1/ko
Publication of KR20160033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3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8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8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맥반석 김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가열된 맥반석으로부터 방사되는 간접열에 의해 김을 건조시키는 제1가열장치(100)와; 상기 제1가열장치(100)에 의해 건조된 상태의 김에 참기름 및 소금을 조미하는 자동조미기(200)와; 상기 자동조미기(200)에 의해 조미된 김을 가열된 맥반석으로부터 방사되는 간접열에 의해 굽는 제2가열장치(300) 및; 상기 제1가열장치(100)와 자동조미기(200) 및 제2가열장치(3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가열장치(100)와 자동조미기(200) 및 제2가열장치(300)를 연결하는 이송컨베이어(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구운 김의 바삭한 상태가 오랜 시간동안 유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김의 보관성과 위생성이 우수한 맥반석 김구이기{Laver Roaster with Stone Grill}
본 발명은 맥반석 김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맥반석을 가열할 때 발생하는 원적외선과 간접열을 이용하여 2차에 걸쳐 김을 구움으로써 김의 영양소를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담백한 맛과 색을 유지할 수 있고, 김의 바삭한 상태가 오래가며, 또한 김에 맛과 풍미를 더하기 위해 첨가되는 참기름이나 소금 등의 물질이 김구이기에 부착되어 생성되는 잔류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김의 보관성과 위생성이 우수한 맥반석 김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김(laver)은 다량의 식물성 섬유소를 함유하고 있어 건강에는 물론이고 미용에도 탁월한 효능이 있는 대표적인 식품으로서 국내에서는 다량으로 양식에 의해 생산되고 있으며, 이러한 김은 주로 맛소금과 참기름 등으로 조미한 다음, 김구이기를 이용하여 적절한 온도의 열로 구운 후, 일정한 크기로 잘라 포장된 상태로 출하되고 있다.
이에 따라 건조된 상태의 김을 굽기 위한 여러 가지 형태의 김구이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그 하나의 예로서 공개특허공보 제1999-0078987호에 개시된 김구이기를 들 수 있다.
상기 특허문헌에 개시된 김구이기는 상하부에 각각 플레이트 형상의 맥반석을 설치하고, 이들 맥반석에는 각각 면상히터를 설치하여 이 면상히터의 열에 의해 맥반석을 가열한 상태에서 건조 상태의 김을 체인에 의해 연속적으로 맥반석에 공급함으로써 김이 구워지도록 한 것으로, 김이 가열된 맥반석을 통과하면서 구워지기 때문에 김의 영양소와 색깔이 그대로 유지되고, 또한 담백한 맛을 가진다.
한편, 상기와 같은 김구이기를 이용하여 김을 구울 때에는 일반적으로 참기름이나 들기름 또는 맛소금 등을 첨가함으로써 김에 맛과 풍미를 더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 김에 뿌린 첨가물이 김에서 분리되어 낙하되기도 하고, 또한 김 자체도 이송 및 구워지는 과정에서 일부가 떨어져 나가 김 부스러기가 생기며, 이들은 벨트나 하부판 등에 눌러 붙게 되며, 이 경우 위생에 해롭기 때문에 위생을 위해 주기적으로 김구이기의 작동을 정지한 상태에서 벨트와 하부판 등을 청소하여 이러한 폐기름과 폐소금 및 김 부스러기 등을 제거하는데, 이와 같이 일정 시간을 두고 김구이기의 작동을 정지한 상태에서는 폐유가 굳어 벨트 등에 견고하게 고착된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제거하기가 쉽지 않고, 이에 따라 2시간 이상 동안 김구이기를 청소하여야 하는 등의 불편이 있으며, 또한 청소를 할 때까지는 비위생적 환경하에서 김구이 작업을 진행하여야 한다.
또 다른 김구이장치에 대한 예로서 공개특허공보 제2007-0096229호에 개시된 김구이기를 들 수 있는데, 이 특허문헌에 개시된 김구이기는 김을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의 상부에 맥반석이 철망에 담긴 상태로 위치시키고, 맥반석 사이에는 히터를 배치하여 히터의 열이 맥반석을 통과하여 김에 방사되도록 함으로써 김이 구워지도록 하고, 이와 더불어 폐유나 폐소금 등을 회수할 수 있도록 김구이기에 다수의 기름받이통과 소금받이통을 설치한 것으로, 이들 기름받이통과 소금받이통에 의해 낙하되는 폐유와 폐소금 등은 쉽게 회수할 수 있지만, 컨베이어에 부착된 폐유나 폐소금 등은 여전히 종래와 같이 수작업으로 제거하여야 하므로 종래의 김구이기가 가지는 문제점을 그대로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맥반석 김구이기를 개발 및 특허출원하여 등록(특허 제999274호)을 받은 바 있는데, 이 특허문헌에 개시된 맥반석 김구이기는 컨베이어의 상부에 설치되며 히터가 내장되는 맥반석 재질의 가열판; 컨베이어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며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김으로부터 분리 낙하되는 폐조미료 및 김 부스러기를 수집하기 위한 낙하물받이판; 컨베이어 및 낙하물받이판 중 어느 하나를 승강시켜 낙하물받이판과 컨베이어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실린더형 액추에이터로 이루어진 것으로, 종래의 김구이기에 비해 청소작업을 쉽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여전히 폐유나 폐소금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한편, 김은 철망 등으로 제작된 컨베이어 상에 놓여 이송되는데, 이와 같이 철망으로 이루어진 컨베이어에 의해 김을 이송하는 경우 김 부스러기나 김을 조미하기 위해 첨가된 참기름 등이 전열기로부터 방사되는 고온의 열에 의해 연소됨으로써 화재의 위험이 있으며, 이에 따라 최근에는 한 쌍의 체인을 봉 형상의 연결부재로 연결한 방식의 컨베이어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컨베이어는 폐유나 김 부스러기 등이 쉽게 아래쪽으로 낙하함으로써 화재의 위험은 종래의 김구이기에 비해 적지만 폐유나 김부스러기 등이 컨베이어의 연결부재에 부착되어 누적되기 때문에 화재의 위험은 상존하며, 또한 고온의 열에 의해 연결부재와 체인의 처짐이 발생되어 체인의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김의 이송작업이 원활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와 같은 종래의 김구이기는 일반적으로 습기가 포함된 상태의 김을 이송컨베이어를 통해 공급하면서 곧바로 굽기 때문에 김에 포함된 습기가 제대로 제거되지 않아 구운김의 바삭함이 덜하고, 또한 이 상태에서 참기름이나 소금 등을 첨가하기 때문에 습기 등으로 인해 참기름 등이 김의 표면뿐만 아니라 내부에 골고루 분포 및 침투하지 못하여 맛이 균일하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으며, 더욱이 김의 바삭한 상태가 오래가지 못하여 구운김의 보관성도 나쁘다는 단점도 있다.
KR 10-0999274 B1 KR 10-1343006 B1 KR 10-0834797 B1 KR 10-1999-0078987 A KR 10-2007-0096229 A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김구기이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구운 김의 맛과 풍미가 우수하며, 바삭함이 오래가는 동시에 이송컨베이어로부터 폐유나 김 부스러기 등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김구이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맥반석 김구이기를, 가열된 맥반석으로부터 방사되는 간접열에 의해 김을 건조시키는 제1가열장치와; 제1가열장치에 의해 건조된 상태의 김에 참기름 및 소금을 조미하는 자동조미기와; 자동조미기에 의해 조미된 김을 가열된 맥반석으로부터 방사되는 간접열에 의해 굽는 제2가열장치 및; 제1가열장치와 자동조미기 및 제2가열장치의 하부에 설치되어 제1가열장치와 자동조미기 및 제2가열장치를 연결하는 이송컨베이어로 구성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제1,2가열장치는 각각 격자 형상의 메인프레임과; 이송컨베이어의 상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맥반석 가열유닛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송컨베이어는 복수 개의 회전축과, 복수 개의 회전축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스프로킷과, 스프로킷을 연결하여 설치되는 한 쌍의 체인 및 한 쌍의 체인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연결봉과, 복수 개의 회전축 중 어느 하나의 회전축에 연결 설치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고, 맥반석 가열유닛은 지지프레임과,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면서 상면에 길이를 따라 복수 개의 안착홈이 형성된 맥반석 플레이트와, 복수 개의 안착홈에 각각 삽입 설치되는 히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이송컨베이어의 하부에는 연결봉과 접촉하여 회전하는 브러시유닛이 구비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제1,2가열장치의 맥반석 가열유닛은 각각 설정온도가 독립적으로 제어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한 쌍의 체인이 이루는 루프 중 아래쪽 루프의 하부에는 각각 복수 개의 보조스프로킷이 설치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인프레임의 양 측면에는 각각 측면프레임이 설치되고, 측면프레임의 양단 부분에는 각각 체인의 설치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장공이 형성된 고정판이 구비되며, 고정판의 장공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장력조절판이 구비됨으로써 회전축의 설치 위치가 조절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연결봉은 각각 스테인리스스틸 튜브로 이루어지고, 그 양단은 각각 체인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태그 용접에 의해 와셔와 결합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복수 개의 회전축의 양단에는 각각 베어링이 설치되고, 베어링은 각각 측면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히터의 상부에는 금속 재질의 반사판이 설치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구조프레임, 측면프레임 및 지지프레임은 각각 단면의 형상이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알루미늄재의 프로파일인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김의 내부나 표면 등에 수분이 포함된 김을 먼저 제1가열장치를 통해 가열함으로써 충분히 건조시킨 다음, 이 충분히 건조 상태의 김에 비로소 참기름 등을 도포하기 때문에 참기름 등이 김의 표면뿐만 아니라 내부에까지 참기름 등이 균일하게 스며들고, 이 상태에서 다시 제2가열장치를 통해 김을 다시 가열하여 굽기 때문에 김이 충분히 구워지며, 그 결과 김 내부에 충분히 스며든 참기름 등에 의해 김의 맛과 풍미가 오래가고, 또한 수분이 완전히 제거된 상태에서 김이 구워지기 때문에 굽는 과정에서의 김의 비틀림 등의 변형이 생기는 것이 방지되는 동시에 구운 김이 더욱 바삭한 상태가 오랜 시간동안 유지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체인의 하부가 보조스프로킷에 의해 추가적으로 지지되기 때문에 고온의 열에 의한 이송컨베이어의 처짐이 확실하게 방지되기 때문에 체인의 동작이 원활하다.
더욱이 본 발명은 이송컨베이어의 하부에 브러시유닛이 설치되어 이송컨베이어를 구성하는 연결봉과 접촉된 상태로 회전하면서 연결봉에 부착된 폐유나 김 부스러기 등이 확실하게 제거하기 때문에 위생성이 대폭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체인의 하부에 보조 스프로킷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고온의 열에 의해 이송컨베이어 체인의 처짐이 방지되어 체인이 스프로킷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맥반석 가열유닛의 상부에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반사판이 설치되기 때문에 맥반석 가열유닛으로부터 발생된 열에너지가 상부쪽으로 방사되는 것이 차단되고, 그 결과 맥반석 가열유닛의 상부에 단열재 등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맥반석 김구이기의 예를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2가열장치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는 도 2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인프레임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컨베이어의 예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인프레임에 이송컨베이어가 설치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봉의 결합 구조의 예를 보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1,2가열장치의 예를 보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맥반석 가열유닛의 예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맥반석 가열유닛이 설치된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구운 김의 맛과 풍미가 우수하며, 바삭함이 오래가는 동시에 이송컨베이어로부터 폐유나 김 부스러기 등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김구이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김구이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된 맥반석으로부터 방사되는 간접열에 의해 건조 상태의 김을 저온에서 건조하는 제1가열장치(100), 제1가열장치(100)에 의해 건조된 김에 참기름 및 소금 등을 뿌려 조미하는 자동조미기(200) 및 자동조미기(200)에 의해 조미된 김에 맥반석으로부터 방사되는 간접열을 가하여 굽는 제2가열장치(30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2가열장치(100, 300)는 각각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10), 이송컨베이어(20) 및 맥반석 가열유닛(30)으로 구성되며, 이하에서는 이들에 대해 설명한다.
메인프레임(10)은 후술하는 이송컨베이어(20)와 맥반석 가열유닛(30)이 차례로 안착 설치되기 위한 프레임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메인프레임(1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 길이를 가지는 직사각형 형상의 구조프레임(11)과, 구조프레임(11)의 하부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이동바퀴(12)와, 구조프레임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제어부(13) 및 구조프레임(11)의 상부에 안착 설치되는 하부 맥반석 플레이트(14)를 포함한다.
이때 하부 맥반석 플레이트(14)는 후술하는 이송컨베이어(20)로부터 떨어지는 김 부스러기 및 오일 등이 바닥에 떨어지지 않도록 차단하기 때문에 청소할 때, 이 하부 맥반석 플레이트(14)를 청소하는 것으로 쉽게 오염물을 제거할 수 있다.
더욱이 후술하는 맥반박석 플레이트(32)와 함께 하부 맥반석 플레이트(14)로부터 원적외선이 동시에 방사되므로 김의 영양소를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담백한 맛과 색을 유지할 수 있다.
메인프레임(10)의 상부에는 일정 크기를 가지면서 건조 상태의 김을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20)가 설치되는데, 이 이송컨베이어(2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21)과, 이들 한 쌍의 측면프레임(21)에 각각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 개의 회전축(22)과, 각각의 회전축(22)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스프로킷(23)과, 이들 스프로킷(23)을 연결하는 한 쌍의 체인(24) 및 이들 한 쌍의 체인(24)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복수 개의 연결봉(25) 및, 복수 개의 회전축(22) 중 어느 하나의 회전축(22)의 일단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부여하는 구동모터(M)로 이루어지고, 이때 체인(24)에는 체인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부재가 구비된다.
한 쌍의 체인(24)을 가로질러 이들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연결봉(25)은 각각 중공의 원형 단면을 가지는 스테인리스 스틸 튜브로 제작되고, 이때 연결봉(25)은 체인(24)을 연결하는 힌지 형태의 결합부분에 한 개씩 설치되며, 이에 의해 구동모터(M)와 연결된 회전축(22)의 스프로킷(23)에 의해 체인(24)이 회전 구동될 때 각각의 연결봉(25)이 힌지 결합부분과 함께 회전됨으로써 더욱 확실한 이송이 담보되고, 또한 연결봉(25)이 일정 간격을 두고 촘촘하게 배치됨으로써 김의 이송시에 김이 연결봉(25) 사이에 끼이거나 연결봉(25) 사이를 통해 낙하되지 않는다.
그리고 연결봉(25)의 양단에는 각각 중실의 관통봉(52A)의 일단이 끼움 결합되고, 이 관통봉(25A)의 타단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인(24)의 힌지 결합부분의 내부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이 돌출된 관통봉(25A)의 외주면에는 와셔(25B)가 설치된 다음, 태그 용접(25C)에 의해 관통봉과 결합되는데, 이는 연결봉(25)의 단부를 고정핀 등을 사용하여 고정하게 되면 히터로부터 생성된 열에 의해 연결봉(25)과 고정핀이 열팽창됨으로써 고정핀이 연결봉(25)에서 탈착되어 연결봉(25)이 체인(24)으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데 따른 것이다.
그리고 체인(24)에는 체인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장력조절부재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장력조절부재는 도 5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측면프레임(21)의 양단 부분에 각각 설치되며 체인(24)의 설치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장공(H)이 형성된 고정판(21A)과, 이 고정판(21A)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고정판(21A)의 장공(H)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장력조절판(21B)으로 이루어지며,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장력조절판(21B)을 고정판(21A)의 장공(H)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시켜 체인(24)의 장력을 적절하게 조절한 다음, 고정나사(도시되지 않음) 등을 이용하여 그 위치를 고정하게 되면 한 쌍의 체인(24)이 항상 팽팽한 상태로 조절되며, 이에 의해 고온에 의해 체인(24)이 처짐으로써 스프로킷(23)으로부터 체인(24)이 이탈되는 문제가 해소된다.
장력조절부재의 다른 예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루프 형식으로 설치되는 체인(24)의 아래쪽 루프의 하부에 복수 개의 보조스프로킷(23')을 설치할 수도 있는데, 이에 의해 위쪽 루프의 처짐은 스프로킷(23)에 의해 방지되고, 아래쪽 루프의 처짐은 보조스프로킷(23')에 의해 방지되며, 따라서 체인(24)의 처짐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그리고 복수 개의 회전축(22)의 양단에는 각각 베어링(27)이 설치되고, 이들 베어링(27)은 고온의 열에 장시간 노출되기 때문에 베어링(27)의 윤활유 등의 탄화로 인해 회전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할 우려가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21)의 외측에 각각 복수 개의 회전축(22)의 설치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대(26)를 설치한 다음, 이 설치대(26)에 각각 베어링(27)을 설치하여 이에 의해 각각의 회전축(22)이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베어링(27)이 고온의 열에 장시간 노출되더라도 회전축(22)의 회전이 항상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한 쌍의 측면프레임(21)의 각각의 외측에는 열차단 프레임(28)과 커버플레이트(29)가 설치될 수 있는데, 열차단 프레임(28)에 의해 작업자의 화상의 위험이 더욱 방지되고, 커버플레이트(29)에 의해 회전축(22)의 양단과 베어링(27)이 커버된다.
한편,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송컨베이어(20)가 복수 개의 스테인리스 스틸로 제작된 원형의 연결봉(25)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연결봉(25)이 동작 과정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김의 조미를 위해 첨가된 참기름이나 소금 등이 이들 연결봉(25)에 묻더라도 연결봉(25)의 자유로운 회전과 고온의 열에 의해 폐유 등이 녹으면서 김 부스러기 등과 함께 연결봉(25)의 하부 쪽으로 쉽게 낙하되며, 따라서 종래에 비해 이송컨베이어(20)에 폐유나 폐소금 등이 누적되어 남아 있을 가능성이 현저히 낮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연결봉에 잔존할 수 있는 김 부스러기나 폐유 등을 더욱 확실하게 제거하기 위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컨베이어(20)의 하부 일측에 연결봉(25)과 접촉되어 연결봉(25)의 회전에 의해 이와 함께 회전하면서 연결봉(25)의 표면을 청소할 수 있도록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브러시유닛(B)이 연결봉(25)의 설치방향과 평행하게 설치되고, 그 하부에는 제거된 폐유나 김 부스러기를 수거할 수 있도록 회수통(도시하지 않음)이 위치되며, 이때 브러시유닛(B)은 이송컨베이어(20)의 연결봉(25)의 재질과 동일한 스테인리스 스틸로 이루어진 브러시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의해 이종 재질에 따른 전이부식이 방지되는 동시에 폐유나 폐소금 등의 작용에 의한 부식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이때 이송컨베이어(20)는 제1가열장치(100)를 통과함으로써 1차 건조된 상태의 김이 자동조미기(200)를 통과한 다음, 제2가열장치(300) 쪽으로 연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제1가열장치(100), 자동조미기(200) 및 제2가열장치(300)가 하나의 이송컨베이어(20)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가열장치(100)와 제2가열장치(300) 사이에는 건조 상태의 김에 참기름이나 소금 등을 도포하기 위해 자동조미기(200)가 설치되며, 본 발명에서는 공지의 자동조미기(200)가 사용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송컨베이어(20)의 상부에는 이와 일정 간격을 두고 맥반석 가열유닛(30)이 설치되며, 이러한 맥반석 가열유닛(30)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각 격자 형상의 지지프레임(31)과, 이 지지프레임(31)에 설치되면서 상면에 그 길이를 따라 복수 개의 안착홈(32A)이 형성된 맥반석 플레이트(32)와, 이들 복수 개의 안착홈(32A)에 각각 삽입 설치되는 봉 형상의 히터(33)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맥반석 가열유닛(30)의 상부에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반사판이 반사판(34)이 설치되며, 이 반사판(34)에 의해 맥반석 가열유닛(30)의 히터(33)로부터 생성된 열에너지가 맥반석 가열유닛(30)의 상부쪽으로 방사되는 것이 차단되며, 따라서 맥반석 가열유닛(30)의 상부에 열 차단을 위한 단열재 등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해진다.
본 발명의 김구이기의 프레임으로서 기능하는 구조프레임(11), 측면프레임(21) 및 지지프레임(31)은 각각 도 4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의 형상이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알루미늄재의 프로파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의해 맥반석 가열유닛(30)으로부터 방사된 열이 구조프레임(11)이나 측면프레임(21) 또는 지지프레임(31)의 외측으로 전달되는 것이 상당한 정도로 차단되며, 따라서 작업자가 김구이 작업 과정에서 이들 프레임과 접촉되더라도 화상을 입는 것이 방지되는 동시에 맥반석 가열유닛과 이송컨베이어 등의 하중을 강건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반사판(34)의 상부는 상부 맥반석 플레이트(35)에 의해 커버되며, 이에 의해 김구이기의 전체 형상이 미려하게 되는 동시에 상부 맥반석 플레이트(35)로부터 더 많은 원적외선이 방출됨으로써 더욱 담백하고 풍미를 가지는 구이김이 제조된다.
이상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제1,2가열장치(100, 300)를 이용하여 건조 상태의 김을 구울 때에는 먼저, 건조 상태의 김을 이송컨베이어(20)를 통해 제1가열장치(100)에 공급함으로써 이들 김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히터에 의해 가열된 맥반석 가열유닛(30)으로부터 방출되는 간접열에 의해 건조시킨 다음, 자동조미기(200)를 통과하면서 참기름과 소금 등이 첨가된 후, 다시 이송컨베이어(20)를 따라 제2가열장치(300)로 이송 및 공급되면서 가열된 맥반석 가열유닛(30)으로부터 방사되는 간접열에 의해 가열되면서 적절히 구워진 이송컨베이어(20) 밖으로 방출된다.
이때 제1가열장치(100)는 건조 기능을 하는 반면, 제2가열장치(300)는 참기름이 도포된 김을 굽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제1가열장치(100)를 구성하는 맥반석 가열유닛(30)의 설정온도는 제2가열장치(300)를 구성하는 맥반석 가열유닛(30)의 설정온도에 비해 낮게 설정되며, 이를 위해 한 쌍의 맥반석 가열유닛(30)을 구성하는 히터(33) 각각은 독립적으로 제어되도록 구성되며, 이를 위해 메인프레임(10)의 측면에는 제어기(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김의 내부나 표면 등에 수분이 포함된 김을 먼저 제1가열장치(100)를 통해 가열함으로써 충분히 건조시킨 다음, 이 충분히 건조 상태의 김에 비로소 참기름 등을 도포하기 때문에 참기름 등이 김의 표면뿐만 아니라 내부에까지 참기름 등이 균일하게 스며들고, 또한 이 상태에서 다시 제2가열장치(300)를 통해 김을 다시 가열하여 구움으로써 김이 충분히 구워지며, 따라서 김 내부에 충분히 스며든 참기름 등에 의해 김의 맛과 풍미가 오래가며, 또한 수분이 완전히 제거된 상태에서 김을 구움으로써 구운 김이 더욱 바삭한 상태가 되면서 이 바삭한 상태가 오래 유지될 수 있다.
10: 메인프레임 11: 구조프레임
12: 이송바퀴 13: 제어부
14: 하부 맥반석 플레이트 20: 이송컨베이어
21: 측면프레임 21A: 고정판
21B: 장력조절판 22: 회전축
23: 스프로킷 23': 보조스프로킷
24: 체인 25: 연결봉
25A: 관통봉 25B: 와셔
25C: 태그 용접 26: 설치대
27: 베어링 28: 열차단 프레임
29: 커버플레이트 30: 맥반석 가열유닛
31: 지지프레임 32: 맥반석 플레이트
32A: 안착홈 33: 히터
34: 반사판 35: 상부 맥반석 플레이트
100: 제1가열장치 200: 자동조미기
300: 제2가열장치 B: 브러시유닛
H: 장공 M: 구동모터

Claims (11)

  1. 맥반석을 이용하여 김을 굽는 맥반석 김구이기에 있어서,
    가열된 맥반석으로부터 방사되는 간접열에 의해 김을 건조시키는 제1가열장치(100)와;
    상기 제1가열장치(100)에 의해 건조된 상태의 김에 참기름 및 소금을 조미하는 자동조미기(200)와;
    상기 자동조미기(200)에 의해 조미된 김을 가열된 맥반석으로부터 방사되는 간접열에 의해 굽는 제2가열장치(300) 및;
    상기 제1가열장치(100)와 자동조미기(200) 및 제2가열장치(3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가열장치(100)와 자동조미기(200) 및 제2가열장치(300)를 연결하는 이송컨베이어(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반석 김구이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2가열장치(100, 300)는 각각 격자 형상으로 구조프레임(11)이 조립되어 이루는 메인프레임(10)과;
    상기 이송컨베이어(20)의 상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맥반석 가열유닛(3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반석 김구이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송컨베이어(20)는 복수 개의 회전축(22)과, 상기 복수 개의 회전축(22)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스프로킷(23)과, 상기 스프로킷(23)을 연결하여 설치되는 한 쌍의 체인(24) 및 상기 한 쌍의 체인(24)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연결봉(25)과, 상기 복수 개의 회전축(22) 중 어느 하나의 회전축(22)에 연결 설치되는 구동모터(M)를 포함하고,
    상기 맥반석 가열유닛(30)은 지지프레임(31)과, 상기 지지프레임(31)에 설치되면서 상면에 길이를 따라 복수 개의 안착홈(32A)이 형성된 맥반석 플레이트(32)와, 상기 복수 개의 안착홈(32A)에 각각 삽입 설치되는 히터(3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반석 김구이기.
  4. 청구항 1,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이송컨베이어(20)의 하부에는 상기 연결봉(25)과 접촉하여 회전하는 브러시유닛(B)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반석 김구이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2가열장치(100, 300)의 맥반석 가열유닛(30)은 각각 설정온도가 독립적으로 제어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반석 김구이기.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체인(24)이 이루는 루프 중 아래쪽 루프의 하부에는 각각 복수 개의 보조스프로킷(23')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반석 김구이기.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양 측면에는 각각 측면프레임(21)이 설치되고, 상기 측면프레임(21)의 양단 부분에는 각각 상기 체인(24)의 설치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장공(H)이 형성된 고정판(21A)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판(21A)의 장공(H)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장력조절판(21B)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회전축(22)의 설치 위치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반석 김구이기.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연결봉(25)은 각각 스테인리스스틸 튜브로 이루어지고, 그 양단은 각각 상기 체인(24)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태그 용접에 의해 와셔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반석 김구이기.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회전축(22)의 양단에는 각각 베어링(27)이 설치되고, 상기 베어링(27)은 각각 상기 측면프레임(21)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반석 김구이기.
  10.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히터(33)의 상부에는 금속 재질의 반사판(34)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반석 김구이기.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구조프레임(11), 측면프레임(21) 및 지지프레임(31)은 각각 단면의 형상이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알루미늄재의 프로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반석 김구이기.
KR1020140124730A 2014-09-19 2014-09-19 김의 보관성과 위생성이 우수한 맥반석 김구이기 KR101678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4730A KR101678733B1 (ko) 2014-09-19 2014-09-19 김의 보관성과 위생성이 우수한 맥반석 김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4730A KR101678733B1 (ko) 2014-09-19 2014-09-19 김의 보관성과 위생성이 우수한 맥반석 김구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3913A true KR20160033913A (ko) 2016-03-29
KR101678733B1 KR101678733B1 (ko) 2016-11-22

Family

ID=55661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4730A KR101678733B1 (ko) 2014-09-19 2014-09-19 김의 보관성과 위생성이 우수한 맥반석 김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873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9813B1 (ko) * 2016-07-26 2016-12-27 신상호 직화구이기 및 이를 포함하는 직화구이물 습기 제거장치
KR101945724B1 (ko) * 2018-02-12 2019-04-17 장길환 김 구이장치
KR101971840B1 (ko) 2018-12-14 2019-04-23 정운상 김구이 기계
KR101978099B1 (ko) 2018-12-18 2019-05-13 정운상 상향 가열식 김구이기
KR102028857B1 (ko) 2019-03-05 2019-10-04 정운상 김 구이기
KR102356425B1 (ko) 2021-07-26 2022-02-08 정운상 김 구이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4750B1 (ko) 2018-01-31 2018-12-03 조현묵 양방향 원적외선 복사열을 이용한 농수산물 구이 및 건조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8987A (ko) 1999-08-27 1999-11-05 위원길 맥반석 열 처리 면상 히타 및 맥반석 김 구이기 및 오징어 즉석 구이기 제조 방법
JP2003002426A (ja) * 2001-06-19 2003-01-08 Tokyu Car Corp コンベア装置
KR20070096229A (ko) 2006-03-21 2007-10-02 유근영 김구이기
KR20080017940A (ko) * 2006-08-23 2008-02-27 유근영 김구이기
KR20080020815A (ko) * 2006-09-01 2008-03-06 웰빙메이드 주식회사 조미김 가공용 조미분말의 부착장치
KR100999274B1 (ko) 2010-08-18 2010-12-07 박병현 맥반석 김 구이기
KR20110087011A (ko) * 2010-01-25 2011-08-02 강신탁 연속식 김구이기
KR101343006B1 (ko) 2011-11-22 2013-12-18 농업회사법인 한백식품(주) 맥반석 손김구이 부스의 연기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8987A (ko) 1999-08-27 1999-11-05 위원길 맥반석 열 처리 면상 히타 및 맥반석 김 구이기 및 오징어 즉석 구이기 제조 방법
JP2003002426A (ja) * 2001-06-19 2003-01-08 Tokyu Car Corp コンベア装置
KR20070096229A (ko) 2006-03-21 2007-10-02 유근영 김구이기
KR20080017940A (ko) * 2006-08-23 2008-02-27 유근영 김구이기
KR100834797B1 (ko) 2006-08-23 2008-06-09 유근영 김구이기
KR20080020815A (ko) * 2006-09-01 2008-03-06 웰빙메이드 주식회사 조미김 가공용 조미분말의 부착장치
KR20110087011A (ko) * 2010-01-25 2011-08-02 강신탁 연속식 김구이기
KR100999274B1 (ko) 2010-08-18 2010-12-07 박병현 맥반석 김 구이기
KR101343006B1 (ko) 2011-11-22 2013-12-18 농업회사법인 한백식품(주) 맥반석 손김구이 부스의 연기 제거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9813B1 (ko) * 2016-07-26 2016-12-27 신상호 직화구이기 및 이를 포함하는 직화구이물 습기 제거장치
KR101945724B1 (ko) * 2018-02-12 2019-04-17 장길환 김 구이장치
KR101971840B1 (ko) 2018-12-14 2019-04-23 정운상 김구이 기계
KR101978099B1 (ko) 2018-12-18 2019-05-13 정운상 상향 가열식 김구이기
KR102028857B1 (ko) 2019-03-05 2019-10-04 정운상 김 구이기
KR102356425B1 (ko) 2021-07-26 2022-02-08 정운상 김 구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8733B1 (ko) 2016-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8733B1 (ko) 김의 보관성과 위생성이 우수한 맥반석 김구이기
KR200415670Y1 (ko) 김 구이장치
KR100660364B1 (ko) 고기구이용 오븐
KR101842175B1 (ko) 꼬치구이 제조장치
KR100999274B1 (ko) 맥반석 김 구이기
KR20070096229A (ko) 김구이기
CA2793781C (en) Barbecue and barbecue accessory for flare up prevention, and improved temperature distribution and heat retention
JP2008271883A (ja) 過熱水蒸気による食品の加熱調理方法及び加熱調理装置
US3450027A (en) Apparatus for the frying and roasting of comestibles
KR101418936B1 (ko) 계란 지단 제조장치
KR101366121B1 (ko) 어묵 양면 구이기
KR100582475B1 (ko) 김 구이장치
JP6933875B2 (ja) 食品炙り装置
JP6487972B2 (ja) 直火焼き器
JP6504689B2 (ja) 食品炙り装置
US2001703A (en) Heating means for treating vegetables or fruit
KR100423569B1 (ko) 장어구이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102356425B1 (ko) 김 구이기
KR101439197B1 (ko) 수평 회전식 구이장치
KR20160011349A (ko) 카트리지형 폐유 회수장치를 갖는 김의 조미장치
JPH06189856A (ja) 連続蒲焼器のコンベア装置
KR101857443B1 (ko) 구이장치
KR20170083743A (ko) 석판을 구비하는 가열장치
KR101147161B1 (ko) 고기구이기
KR101876932B1 (ko) 찐 계란생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