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3743A - 석판을 구비하는 가열장치 - Google Patents

석판을 구비하는 가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3743A
KR20170083743A KR1020160003007A KR20160003007A KR20170083743A KR 20170083743 A KR20170083743 A KR 20170083743A KR 1020160003007 A KR1020160003007 A KR 1020160003007A KR 20160003007 A KR20160003007 A KR 20160003007A KR 20170083743 A KR20170083743 A KR 201700837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transfer line
heater
line
he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3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연실
Original Assignee
(주)비손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손테크 filed Critical (주)비손테크
Priority to KR1020160003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83743A/ko
Publication of KR20170083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37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5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ve energy, irradiation, electrical means or magnetic fields, e.g. oven cooking or roasting using radiant dry he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30Physical treatment, e.g. electrical or magnetic means, wave energy or irradiation
    • A23L5/34Physical treatment, e.g. electrical or magnetic means, wave energy or irradiation using microwa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30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18Cleaning devices comprising 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02Agricultural and processed food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78Belt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가열장치는 마이크로파를 조사하는 가열기와, 가열기로부터 조사되는 마이크로파에 의해 가열되어 열을 발생하는 석판과, 대상물을 이송하며, 석판으로부터 발생한 열이 전달되는 이송라인을 포함한다. 석판은 가열기로부터 조사되는 마이크로파가 대상물에 직접 조사되는 것을 차단한다. 대상물은 석판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에 의해 가열된다.

Description

석판을 구비하는 가열장치{DRYING APPARATUS COMPRISING STONE PLATE}
본 발명은 가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석판을 가열하고, 가열된 석판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대상물을 가열하는 가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김은 홍자색, 흑자색 등을 띠는 해조류이다. 김은 바닷물 속 바위 등에 이끼 모양으로 붙어서 서식한다. 자연산 김으로는 그 수요를 충당하지 못하므로, 일찍부터 김 양식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김을 주로 생산하고 섭취하는 나라는 세계에서 한국과 일본 등 동양의 소수 국가뿐이다. 유럽이나 서구문화권 국가 등은 거의 김을 먹지 않는다.
채취한 김은 바닷물에 씻고 잘라서 얇게 편 상태로 건조한다. 건조된 김에 참기름 또는 들기름을 바르고 소금을 뿌려 구워서 김을 취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가정이나 소규모 매장에서는 건조된 김에 직접 기름을 바르고 소금을 뿌린 후 가스 불이나 가열된 맥반석을 이용하여 김을 굽는다. 특히, 가열된 맥반석으로부터 발생하는 원적외선을 이용하여 김을 구우면, 굽는 과정에서 김이 손상되거나 변질되지 않으며, 김의 풍미를 증진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가정이나 소규모 매장에서 사용되는 방식은, 구이김을 대량 생산하는데 이용되기 어렵다. 특히, 원적외선을 발생시키는 방법으로서 일반적으로 가스를 이용하여 맥반석을 가열함으로써 원적외선을 발생시키는데, 이러한 방식은 구이김의 대량 생산을 위하여 컨베이어 라인에 채용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종래 기술에 따른 김 구이 장치는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히터를 가열함으로써 열을 발생시키고, 이를 이용하여 김을 굽는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의하면, 김에 전기 히터의 열이 직접적으로 가해짐에 따라 김 전체에 고르게 열이 가해지기 어려우며, 전기 히터와 가까운 면이 과다하게 구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원적외선을 이용하여 김을 구우면서 구이김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가열장치가 요구된다.
한편, 컨베이어의 벨트로 기존에는 스테인리스 망 벨트가 주로 사용되었으나, 가격이 높고 유지 관리가 어려우며, 특히, 벨트에 축적된 기름을 수시로 직접 제거해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15670호 (2006년 4월 28일)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김 구이 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석판을 가열하며, 가열된 석판으로부터 발생한 열을 이용하여 대상물을 가열할 수 있는 가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장치는, 마이크로파를 조사하는 가열기; 상기 가열기로부터 조사되는 마이크로파에 의해 가열되어 열을 발생하는 석판; 및 대상물을 이송하며, 상기 석판으로부터 발생한 열이 전달되는 이송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석판은 상기 가열기로부터 조사되는 마이크로파가 상기 대상물에 직접 조사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대상물은 상기 석판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에 의해 가열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송라인과 상기 석판 사이의 거리는 가변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석판은 화강암류의 광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석판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 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송라인은 컨베이어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컨베이어는 테프론 재질의 벨트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송라인에 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이송라인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이송라인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청소 가이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청소 가이드는 브러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대상물은 건조된 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송라인의 하측에 배치되어 외부 공기를 내부로 공급하는 송풍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송라인의 상측에 배기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가열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가열기에 개별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복수의 전원 공급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과 출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입출력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입출력 모듈은 내부 온도 및 습도와, 상기 석판의 온도와, 상기 대상물의 투입량과, 상기 가열기에 의한 마이크로파 조사량과, 상기 이송라인의 이송 속도를 출력하고, 상기 가열기에 의한 마이크로파 조사량과, 상기 이송라인의 이송 속도에 대한 제어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상기 가열기와, 복수의 상기 석판과, 복수의 상기 이송라인은 복수의 몸체마다 각각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몸체 각각이 결합됨으로써, 상기 대상물이 일단의 몸체로 투입되고, 상기 복수의 몸체 내부를 통과하도록 이송되면서 가열되어, 타단의 몸체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마이크로파가 대상물에 직접 조사되지 않고, 마이크로파에 의해 가열된 석판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이용함으로써 대상물을 과도하게 가열하여 손상시키지 않고 가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가열장치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가열장치의 A-A선에 따른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가열장치의 배출구측 이송라인의 부분확대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가열장치의 변형된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열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가열장치는 다양한 대상물을 가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장치는 건조된 김을 가열하여 굽는 용도로 실시되는 것으로 설명된다. 다만, 이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예시적으로 설명되는 것이며, 그밖에 다양한 대상물이 가열장치에 의해 가열됨으로써 건조되거나, 익거나, 구워지거나, 조리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장치(100)는 이송라인(110)과, 가열기(130)과, 석판(150)과, 청소 가이드(170)를 포함한다.
이송라인(110)은 투입구(102)로부터 몸체(101)의 내부를 거쳐 배출구(103)까지 김을 이송한다. 이송라인(110)의 일부가 투입구(102) 밖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됨으로써 외부에서 사용자 또는 별도의 장치에 의해 이송라인(110) 상에 김을 용이하게 투입할 수 있다. 또한, 이송라인(110)의 일부가 배출구(103) 밖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됨으로써 사용자 또는 별도의 장치에 의해 김을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다.
투입구(102) 에는 몸체(101) 내부로 투입되기 전의 건조된 김에 기름을 도포하고 소금을 뿌리는 장치(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개별 공정이 하나의 라인 상에서 수행됨에 따라 구이김 생산의 편의를 증가시킬 수 있다.
투입구(102)에는 대상물의 투입 여부 및 투입량을 파악하기 위하여 투입되는 대상물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미도시)를 배치할 수 있다. 대상물의 투입 여부를 파악함으로써, 대상물이 투입됨에 따라 가열장치(100)가 자동으로 운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대상물이 투입되지 않거나, 중첩되어 투입되는 등의 공정상의 문제점을 조기에 발견함으로써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이송라인(110)은 컨베이어로 구성되어 대상물을 연속적으로 이송할 수 있다. 컨베이어의 벨트는, 내열성, 내부식성, 청소의 용이성 등이 고려되어 선정될 수 있으며, 가격이 상대적으로 합리적이고 유지 관리가 용이한 테프론 필름 벨트인 것이 좋다. 한편, 도 1에서는 도면 이해의 용이성을 위하여 컨베이어의 벨트를 생략하였음을 유의해야 한다.
이송라인(110)은 롤러(112)의 회전에 의해 롤러(112)에 감겨진 벨트(111)가 회전함으로써 대상물을 이송할 수 있다. 이송라인(110)은 하나의 벨트(111)가 전체 이송 경로를 통과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복수의 벨트들이 이송 경로의 일부분만을 통과하도록 분리되어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몸체(101)의 상측에는 가열기(130)가 배치되어 하방으로 전자파가 조사된다. 가열기(130)는 몸체(101)의 외측에 배치되고, 몸체(101) 내부 공간으로 전자파를 조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열기(130)는 내부 공간의 용적, 후술할 석판(150)의 열용량 등이 고려되어 그 출력량, 개수 등이 적절하게 선정될 수 있다. 전자파가 고르게 조사될 수 있도록 복수의 가열기(130)를 넓게 분포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열기(130)는, 하나의 가열기(130)로부터 복수의 방향으로 전자파가 분산되어 조사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석판(15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라인(110)과 가열기(130) 사이에 배치된다. 석판(150)은 석판 지지체(151)에 의해 몸체(101)에 고정될 수 있다.
석판(150)은 가열기(130)로부터 조사된 마이크로파가 이송라인(110) 상의 대상물에 직접 조사되는 것을 차단한다. 몸체(101)의 내벽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이도록 몸체(101)에 석판(150)이 고정됨으로써, 가열기(130)로부터 조사되는 마이크로파는 이송라인(110)과 대상물(10)에 도달하지 못한다. 이와 같이, 이송라인(110)과 가열기(130) 사이에 석판(150)이 배치됨으로써, 마이크로파가 대상물(10)에 전달되어 대상물(10)이 과도하게 가열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석판(150)은 화강암류의 광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석판(150)이 가열됨에 따라 원적외선 범위의 파장을 포함하는 열이 방출될 수 있다. 석판(150)은 설계 시 각각의 광물들이 가열되어 방출하는 에너지의 파장에 따라 적절하게 선정될 수 있다.
석판(150)은 가열기(130)로부터 조사되는 마이크로파에 의해 가열된다. 석판(150)이 가열됨에 따라 석판(150)의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가온된 석판(150)은 대체로 25마이크로미터 이상의 원적외선 범위의 파장을 포함하는 열을 방출한다. 본 실시예에서, 화강암류의 광물로 이루어진 석판(150)은 약 300도까지 가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석판(150)의 온도는 필요에 따라 가열기(130)로부터 조사되는 마이크로파의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제어할 수 있다. 석판(150)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온도 측정 센서(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석판(150)의 각 부분의 온도를 개별적으로 파악하고, 각 부분에 대응하는 각각의 가열기(130)를 제어함으로써, 석판(150) 전체의 온도를 균일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로써, 대상물(10)의 일부분이 과도하게 가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균일한 품질로 대상물(10)을 가열할 수 있다.
한편, 이송라인(110)으로부터 석판(150)까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몸체(101) 내벽에 상하로 복수의 석판 지지체(151)가 구비됨으로써, 원하는 높이의 석판 지지체(151)에 석판(150)을 결합시켜 석판(150)과 이송라인(110) 간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석판(150)을 고정하며 석판(150)을 들어올리거나 내릴 수 있는 별도의 승강 장치(미도시)를 구비함으로써 석판(150)과 이송라인(110) 간의 높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송라인(110)과 석판(15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석판(150)으로부터 대상물(10)에 열이 전달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대상물(10)의 크기가 클 경우 이송라인(110)과 석판(150) 사이에 상대적으로 큰 공간이 필요하게 되므로, 석판(150)을 좀 더 높게 위치시켜 공간을 확보할 수도 있다.
한편, 가열기(130) 하측에 몸체(101)와 석판(150)으로 둘러싸인 공간으로부터 누출되는 마이크로파가 외부로 재차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투입구(102)와 배출구(103)에는 각각 전자파 차단 장치(104, 105)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가열기(130)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장치(16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하나의 전원 공급 장치(160)로부터 전원이 공급될 수도 있으나, 복수의 가열기(130)에 개별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복수의 전원 공급 장치(16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출구(103)측 이송라인(110)에는 청소 가이드(170)가 구비될 수 있다. 대상물(10)이 이송라인(110)을 따라 이송되고 가열됨에 따라, 벨트(111)에는 대상물(10)로부터 발생한 파편, 분말 등이 축적될 수 있다. 특히, 김에 도포된 기름과 소금이 벨트(111)로 옮겨 묻을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111)가 회전함에 따라 벨트(111)에 인접하여 배치된 청소 가이드(170)를 지나가면서 벨트(111)에 묻은 잔여물들이 제거될 수 있다.
청소 가이드(170)에는 벨트(111)에 형성된 구멍, 홈 등에 고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브러쉬(brush)가 구비될 수 있다. 이송라인(110), 특히 청소 가이드(170)의 하측에는 벨트(111)로부터 낙하하는 이물질을 회수할 수 있는 회수통(미도시)이 설치되는 것이 추가적인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점에서 좋다. 브러쉬에 의해 벨트(111)로부터 제거된 이물질이 즉시 회수되어 재차 이송라인(110)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청소 가이드(170)에는 벨트(111)에 옮겨 묻은 기름 등을 닦아낼 수 있는 부직포 등의 면직물이 구비될 수 있다. 벨트(111)의 청소는 계속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일정 시간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특히, 벨트(111)를 청소하고 나서, 주기적으로 청소 가이드(170)를 교체 또는 청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청소 가이드(170)를 구비함으로써 벨트(111)의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물질을 수시로 제거함으로써, 벨트(111)로부터 이물질이 장치 내부에 낙하하여 고장을 일으키거나 수명을 단축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벨트(111)를 직접 청소하지 않고 이송라인(110)이 회전함에 따라 벨트(111)가 자동적으로 청소될 수 있어 장치의 유지 관리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가열장치(100)는 외부 공기를 내부로 공급하는 송풍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송풍기는 이송라인(110)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방으로 공기를 불어 넣어 대상물(10)로부터 나온 수증기 또는 유증기를 상측으로 밀어낼 수 있다.
송풍기에 의해 밀려난 수증기 또는 유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이송라인(110)의 상측의 몸체(101)에는 배기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가열장치(100)의 내부 공간의 수증기 및 유증기를 외부로 제거함으로써, 가열 효율을 유지 또는 증가시키고, 몸체(101) 내부 공간의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다.
가열장치(100)는 제어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모듈은 가열장치(100) 내부 공간의 온도 및 습도, 석판(150)의 온도 등을 기초로 대상물의 투입량, 가열기(130)의 전자파 조사량 또는 이송라인(110)의 이송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가열장치(100)는 입출력모듈(1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모듈(180)은 입력과 출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패널을 구비할 수 있다.
입출력모듈(180)은 가열장치(100) 내부 공간의 온도 및 습도와, 석판(150)의 온도와, 대상물의 투입량과, 가열기(130)에 의한 전자파 조사량과, 이송라인(110)의 이송 속도를 터치 스크린 패널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입출력모듈(180)을 통하여 가열기(130)에 의한 전자파 조사량과, 이송라인(110)의 이송 속도에 대한 제어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가열장치(100)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가열장치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가열장치(200)는, 몸체(201a, 201b, 201c, 201d)와, 이송라인(미도시)과, 석판(미도시)이 분리되어 있는 것만이 도 1에 도시된 가열장치(100)와 상이하며, 각각의 구성요소는 도 1의 가열장치(100)와 동일하다. 개별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차이점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가열장치(200)는 분리된 몸체(201a, 201b, 201c, 201d)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몸체(201a, 201b, 201c, 201d)는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몸체(101)와 같이, 본 실시예의 몸체(201a, 201b, 201c, 201d)는 가열기(230a, 230b, 230c, 230d)와, 이송라인과, 석판을 구비한다.
투입구(202) 및 배출구(203) 측 이송라인 또한 각각 모듈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복수의 몸체(201a, 201b, 201c, 201d)가 결합되고, 양 단부에 투입구(202) 및 배출구(203) 측 모듈이 결합됨으로써 가열장치(200)가 이루어질 수 있다.
몸체(201a, 201b, 201c, 201d)가 결합됨에 따라, 각 몸체에 구비된 이송라인은 도 1에 도시된 이송라인(110)과 같이 하나의 라인을 이룬다. 한편, 가열기(230a, 230b, 230c, 230d)와 석판은 각 몸체(201a, 201b, 201c, 201d)마다 배치된다. 즉, 복수의 가열기(230a, 230b, 230c, 230d)와, 복수의 석판과, 복수의 이송라인이 복수의 몸체(201a, 201b, 201c, 201d)마다 각각 배치되며, 복수의 몸체(201a, 201b, 201c, 201d) 각각이 결합됨으로써, 대상물이 투입구(202)를 통해 일단의 몸체(201a)로 투입되고, 복수의 몸체(201a, 201b, 201c, 201d) 내부를 통과하도록 이송되면서 가열되어, 타단의 몸체(201d)로부터 배출구(203)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분리된 모듈의 형태로 구성되는 몸체(201a, 201b, 201c, 201d)가 필요한 개수만큼 결합됨으로써, 이송라인은 대상물의 양, 가열에 필요한 시간 등을 고려하여 이송라인의 길이만큼 연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이로써, 가열장치(200)는 다양한 처리요구량에 대해 가변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줄이고, 생산 수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도 1과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전원 공급장치 및 청소 가이드는 각각의 몸체(201a, 201b, 201c, 201d)마다 구비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1, 201a, 201b, 201c, 201d : 몸체
102, 202 : 투입구
103, 203 : 배출구
104, 105 : 전자파 차단 장치
110 : 이송라인
111 : 벨트
112, 230 : 롤러
130, 230a, 230b, 230c, 230d : 가열기
150 : 석판
151 : 석판 지지체
160 : 전원 공급 장치
170 : 청소 가이드
180 : 입출력모듈
100, 200 : 가열장치
10 : 대상물

Claims (15)

  1. 마이크로파를 조사하는 가열기;
    상기 가열기로부터 조사되는 마이크로파에 의해 가열되어 열을 발생하는 석판; 및
    대상물을 이송하며, 상기 석판으로부터 발생한 열이 전달되는 이송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석판은 상기 가열기로부터 조사되는 마이크로파가 상기 대상물에 직접 조사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대상물은 상기 석판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에 의해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라인과 상기 석판 사이의 거리는 가변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석판은 화강암류의 광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석판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 센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라인은 컨베이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는 테프론 재질의 벨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라인에 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이송라인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이송라인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청소 가이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 가이드는 브러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은 건조된 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라인의 하측에 배치되어 외부 공기를 내부로 공급하는 송풍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라인의 상측에 배기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복수의 가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열기에 개별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복수의 전원 공급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장치.
  14. 제1 항에 있어서,
    입력과 출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입출력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입출력 모듈은 내부 온도 및 습도와, 상기 석판의 온도와, 상기 대상물의 투입량과, 상기 가열기에 의한 마이크로파 조사량과, 상기 이송라인의 이송 속도를 출력하고, 상기 가열기에 의한 마이크로파 조사량과, 상기 이송라인의 이송 속도에 대한 제어 정보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장치.
  15. 제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가열기와, 복수의 상기 석판과, 복수의 상기 이송라인은 복수의 몸체마다 각각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몸체 각각이 결합됨으로써, 상기 대상물이 일단의 몸체로 투입되고, 상기 복수의 몸체 내부를 통과하도록 이송되면서 가열되어, 타단의 몸체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장치.
KR1020160003007A 2016-01-11 2016-01-11 석판을 구비하는 가열장치 KR201700837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3007A KR20170083743A (ko) 2016-01-11 2016-01-11 석판을 구비하는 가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3007A KR20170083743A (ko) 2016-01-11 2016-01-11 석판을 구비하는 가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3743A true KR20170083743A (ko) 2017-07-19

Family

ID=59427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3007A KR20170083743A (ko) 2016-01-11 2016-01-11 석판을 구비하는 가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8374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5724B1 (ko) * 2018-02-12 2019-04-17 장길환 김 구이장치
KR20220062148A (ko) * 2020-11-05 2022-05-16 강원일 육수의 정량 계수 및 육수 누출 처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5724B1 (ko) * 2018-02-12 2019-04-17 장길환 김 구이장치
KR20220062148A (ko) * 2020-11-05 2022-05-16 강원일 육수의 정량 계수 및 육수 누출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037376A2 (ko) 원적외선 세라믹히터를 이용한 농수산물 건조기
CN202286171U (zh) 椰枣生产线
KR20170083743A (ko) 석판을 구비하는 가열장치
CN102429181A (zh) 椰枣生产线
EP1906802B1 (en) Device for heating food products
KR102190517B1 (ko) 누룽지 제조 장치
EP0073095B1 (en) Food processing with steam
KR102409511B1 (ko) 마이크로파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건조장치
JP4117521B2 (ja) 排熱風導入型の横型回転円筒式連続炒め装置
KR101486013B1 (ko) 직열 훈증조리식 연속형 구이장치
CN101151997A (zh) α化米生产线
JP2018015047A (ja) 炊飯方法
KR101418936B1 (ko) 계란 지단 제조장치
KR101366121B1 (ko) 어묵 양면 구이기
KR100943350B1 (ko) 구운소금 제조시스템
KR101910427B1 (ko) 스파이럴 오븐기용 세척장치
US1231594A (en) Drier, cooker, and baker for foods.
KR102555575B1 (ko) 김부각 제조기
JP2002306347A (ja) たまごシートの製造装置
KR101957825B1 (ko) 스파이럴 오븐기용 열기 순환장치
CN209031185U (zh) 一种自加热式自动分离螺旋式滚筒炒货机
CN215603004U (zh) 一种连续蒸熟米粉的装置
KR101567962B1 (ko) 김스넥 자동 제조장치
KR102180749B1 (ko) 식재료 가열장치
TWI668170B (zh) Tower heating furnace, automatic processing device including tower heating furnace and automatic process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