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3350B1 - 구운소금 제조시스템 - Google Patents

구운소금 제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3350B1
KR100943350B1 KR1020070119995A KR20070119995A KR100943350B1 KR 100943350 B1 KR100943350 B1 KR 100943350B1 KR 1020070119995 A KR1020070119995 A KR 1020070119995A KR 20070119995 A KR20070119995 A KR 20070119995A KR 100943350 B1 KR100943350 B1 KR 100943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t
baked
heating furnace
heat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9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3253A (ko
Inventor
최형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안메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안메이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안메이드
Priority to KR1020070119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3350B1/ko
Publication of KR20090053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3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3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33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40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운소금을 편리하게 자동으로 제조하여 구운소금을 제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 및 비용을 최대한 절감하는 동시에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구운소금 제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컨베이어(C)를 통해 유입되는 소금을 위생적으로 세척하여 소금에 들어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기(100); 상기 세척기(100)를 거쳐 위생적으로 세척된 소금을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고르게 분쇄하는 분쇄기(200); 상기 분쇄기(200)를 거쳐 고르게 분쇄된 소금을 탈수하여 소금에 들어있는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기(300); 상기 탈수기(300)를 거쳐 수분이 제거된 소금을 고온으로 가열하여 굽는 가열기(400); 상기 가열기(400)를 거쳐 구워진 소금의 무게를 계량하여 적량씩 포대(P)에 담는 계량기(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운소금, 제조시스템, 세척기, 분쇄기, 탈수기, 가열기, 계량기

Description

구운소금 제조시스템{manufacture system of roast salt}
본 발명은 천일염을 고온으로 구워 만든 구운소금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구운소금을 한층 더 편리하게 자동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한 구운소금 제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운소금은 천일염을 고온으로 구워 만든 것으로, 이와 같이 천일염에 고온의 열을 가하면 햇빛으로 증발시키지 못한 간수나 유해 성분이 마저 제거되고 무기질은 그대로 남아있어 건강에 좋으며, 또한 쓴맛이 나는 간수 성분이 제거되어 부드러운 맛이 나며 다른 소금에 비해 구운소금은 짠맛이 덜해 무침이나 조림,생체 등 모든 조리에 잘 어울린다.
그러나, 종래에는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구운소금을 제조하였기 때문에 구운소금의 제조시간이 과다하게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이로 인해 결과적으로 구운소금을 제조함에 있어서 인건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구운소금을 제조하였기 때문에 구운소금의 대량생산이 어려워 생산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구운소금을 한층 더 편리하게 자동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이를 통해 구운소금을 제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 및 비용을 최대한 절감하는 동시에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구운소금 제조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컨베이어를 통해 유입되는 소금을 세척기로 위생적으로 세척하여 소금에 들어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상기 세척기를 거쳐 위생적으로 세척된 소금을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분쇄기로 고르게 분쇄하고, 상기 분쇄기를 거쳐 고르게 분쇄된 소금을 탈수기로 탈수하여 소금에 들어있는 수분을 제거하고, 상기 탈수기를 거쳐 수분이 제거된 소금을 가열기로 고온으로 가열하여 굽고, 상기 가열기를 거쳐 구워진 소금의 무게를 계량기로 계량하여 적량씩 포대에 담은 것이다.
본 발명의 구운소금 제조시스템은 구운소금을 한층 더 편리하게 자동으로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구운소금을 제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 및 비용을 최대한 절감할 수 있으며, 또한 이를 통해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구운소금 제조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19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컨베이어(C)를 통해 유입되는 소금(천일염)을 위생적으로 세척하여 소금에 들어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기(100); 상기 세척기(100)를 거쳐 위생적으로 세척된 소금을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고르게 분쇄하는 분쇄기(200); 상기 분쇄기(200)를 거쳐 고르게 분쇄된 소금을 탈수하여 소금에 들어있는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기(300); 상기 탈수기(300)를 거쳐 수분이 제거된 소금을 고온으로 가열하여 굽는 가열기(400); 상기 가열기(400)를 거쳐 구워진 소금의 무게를 계량하여 적량씩 포대(P)에 담는 계량기(5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구운소금 제조시스템을 공정별로 설명하면 도 1에서와 같이, 세척기(100)를 통해 소금(천일염)을 위생적으로 세척하여 소금에 들어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공정과, 분쇄기(200)를 통해 위생적으로 세척된 소금을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고르게 분쇄하는 분쇄공정과, 탈수기(300)를 통해 고르게 분쇄된 소금을 탈수하여 소금에 들어있는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공정과, 가열기(400)를 통해 수분이 제거된 소금을 고온으로 가열하여 굽는 가열공정과, 계량기(500)를 통해 구워진 소금의 무게를 계량하여 적량씩 포대(P)에 담는 계량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세척기(100)는 컨베이어(C)를 통해 유입되는 소금을 위생적으로 세척하여 소금에 들어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으로, 이러한 세척기(100)는 도 2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오버플로관(111)과 다수의 분사공(112)을 구비하는 세척조(110), 상기 분사공(112)으로 공기방울을 분사시키는 노즐(120), 상기 노즐(120)에 공기를 공급하는 펌프(130), 상기 세척조(110)의 하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제1이송관(140), 상기 제1이송관(140)의 출구에 연결되어 분쇄기(200)의 유입구를 향하여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2이송관(150), 상기 제1,2이송관(140)(150)에 각각 내장되어 세척된 소금을 분쇄기(200)로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160)(170), 상기 이송스크류(160)(170)를 각각 구동시키는 모터(180)(19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세척조(110)에는 세척수가 공급되고, 상기 세척조(110)의 하부는 개방되어 제1이송관(140)과 서로 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이송스크류(160)(170)와 모터(180)(190)의 구동축은 벨트(181)(191)로 각각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세척기(100)의 전체적인 작동관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세척조(110)에 세척수를 충만시키고 이 상태에서 컨베이어(C)와 펌프(130) 및 모터(180)(190)를 구동시키면, 컨베이어(C)를 통해 세척조(110)로 소금(천일염)이 자동적으로 공급되고, 또한 펌프(130)를 통해 노즐(120)에는 공기가 공급되며, 그리고 모터(180)(190)의 구동축과 벨트(181)(191)로 각각 연결된 이송스크류(160)(170)가 구동하게 된다.
따라서 노즐(120)은 분사공(112)을 통해 세척조(110)내로 공기방울을 분사시 키면서 세척조(110)에 공급된 소금을 위생적으로 세척하게 되고, 세척 시 발생된 부유물은 오버플로관(11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위생적으로 세척된 소금은 세척조(110)의 밑으로 가라앉으면서 제1이송관(140)으로 유입되고, 제1이송관(140)으로 유입된 소금은 이송스크류(160)에 의해 제2이송관(150)으로 이송되며, 제2이송관(150)으로 이송된 소금은 이송스크류(170)에 의해 분쇄기(200)의 유입구로 공급된다.
상기 분쇄기(200)는 세척기(100)를 거쳐 위생적으로 세척된 소금을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고르게 분쇄하는 것으로, 이러한 분쇄기(200)는 도 6 내지 도 12에서와 같이 세척기(100)에서 세척된 소금을 공급받도록 호퍼(211)를 구비하는 분쇄통(210), 상기 분쇄통(210)에 회동가능하게 내장되는 한쌍의 상,하부분쇄롤러(220)(230), 상기 한쌍의 상,하부분쇄롤러(220)(230)에 각각 축설되어 서로 치합되는 한쌍의 상,하부기어(240)(250), 상기 일측 상부분쇄롤러(220)에 축설되는 제1종동기어(260), 상기 타측 하부분쇄롤러(230)에 축설되어 제1종동기어(260)와 치합되는 소기어(271)를 구비하는 제2종동기어(270), 상기 제2종동기어(270)에 치합되는 소기어(281)를 구비하는 구동풀리(280), 상기 구동풀리(280)를 구동시키는 모터(29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분쇄통(210)의 하부에는 분쇄된 소금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212)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풀리(280)와 모터(290)의 구동축은 벨트(291)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분쇄기(200)의 전체적인 작동관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술한 바와 같이 세척기(100)를 거쳐 위생적으로 세척된 소금은 도 6에서와 같이 세척기(100)의 제2이송관(150)을 통해 분쇄기(200)의 호퍼(211)로 공급되고, 이와 같이 호퍼(211)로 세척된 소금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모터(290)를 구동시키면 모터(290)의 구동축과 벨트(291)로 연결된 구동풀리(280)가 구동하고, 구동풀리(280)가 구동하면 구동기어(280)의 소기어(281)에 치합된 제2종동기어(270)가 구동하게 된다.
그리고 제2종동기어(270)가 구동하면 제2종동기어(270)의 소기어(271)에 치합된 제1종동기어(260) 및 제2종동기어(270)에 연결된 타측 하부분쇄롤러(230)가 동시에 구동하고, 타측 하부분쇄롤러(230)가 구동하면 서로 치합된 한쌍의 하부기어(250)에 의해 일측 하부분쇄롤러(230)가 동시에 구동하게 된다.
또한 제1종동기어(260)가 구동하면 제1종동기어(260)에 연결된 일측 상부분쇄롤러(220)가 구동하고, 일측 상부분쇄롤러(220)가 구동하면 서로 치합된 한쌍의 상부기어(240)에 의해 타측 상부분쇄롤러(220)가 동시에 구동하게 된다.
따라서 분쇄기(200)의 호퍼(211)로 공급된 소금은 한쌍의 상부분쇄롤러(220)에 의해 1차적으로 고르게 분쇄되고, 이와 같이 1차로 분쇄된 소금은 다시 한쌍의 하부분쇄롤러(230)에 의해 2차적으로 고르게 분쇄되며, 그리고 한쌍의 하부분쇄롤러(230)를 거쳐 2차로 고르게 분쇄된 소금은 분쇄통(210)의 배출구(2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배출구(2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 소금은 차후 탈수기(300)로 공급된다.
상기 탈수기(300)는 분쇄기(200)를 거쳐 고르게 분쇄된 소금을 탈수하여 소 금에 들어있는 수분을 제거하는 것으로, 이러한 탈수기(300)는 도 13에서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배수구(311)를 구비하는 본체(310), 상기 본체(310)에 회전가능하게 내장되어 탈수망(321)을 구비하는 탈수통(320), 상기 탈수통(320)을 회전시키는 모터(33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탈수통(320)과 모터(330)의 구동축은 벨트(331)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탈수기(300)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소금에 들어있는 수분을 제거하는 것으로, 즉 탈수기(300)의 탈수통(320)에 분쇄된 소금을 넣은 상태에서 모터(330)를 구동시키면 모터(330)의 구동축과 벨트(331)로 연결된 탈수통(320)이 고속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때 탈수통(320)에서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소금은 탈수망(321)에 걸려 그대로 남지만, 소금에 들어있는 수분은 탈수망(321)을 거쳐 본체(310)의 배수구(3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탈수기(300)를 통해 수분이 제거된 소금은 차후 가열기(400)로 공급된다.
상기 가열기(400)는 탈수기(300)를 거쳐 수분이 제거된 소금을 고온으로 가열하여 굽는 것으로, 이러한 가열기(400)는 도 14 내지 도 16에서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입구에서 출구측으로 하향경사지게 설치되는 가열로(410), 상기 가열로(41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대(420), 상기 가열로(410)에 탈수된 소금을 공급하는 제1,2이송관(430)(431)과 이송스크류(432)(433) 및 모터(434)(435), 상기 가열로(410)를 회전시키는 모터(440), 상기 가열로(410)를 가열 및 냉각시키는 가열부(450)와 냉각부(460), 상기 가열로(410)의 입구에 설치되어 연통(471)을 구비하는 공급통(470), 상기 가열로(410)의 출구에 설치되어 연 통(481)과 소금배출구(482)를 구비하는 배출통(480), 상기 배출통(480)에 설치되는 열풍팬(49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가열로(410)와 모터(440)의 구동축은 벨트(441)로 연결되고, 상기 제1이송관(430)의 입구에는 호퍼(430a)가 구비되며, 상기 이송스크류(432)와 모터(434)의 구동축은 벨트(434a)로 연결되고, 상기 이송스크류(433)와 모터(435)의 구동축은 직접 연결되며, 상기 가열부(450)에는 가열로(410)를 고온으로 가열하는 열선(451)이 구비되고, 상기 냉각부(460)에는 냉각수를 공급 및 순환시키는 배관(461)이 구비되고, 상기 열풍팬(490)은 가열로(410)의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여 습기를 제거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가열기(400)의 전체적인 작동관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모터(434)(435)를 구동시키면 이송스크류(432)(433)가 구동하고, 모터(440)를 구동시키면 가열로(410)가 서서히 회전하고, 가열부(450)를 작동시키면 가열로(410)가 고온으로 가열되고, 냉각부(460)를 작동시키면 냉각부(460)의 내부로 냉각수가 순환 및 공급되고, 열풍팬(490)을 작동시키면 가열로(410)의 내부로 열풍이 공급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1이송관(430)의 호퍼(430a)로 수분이 제거된 소금을 공급하면 이송스크류(432)에 의해 소금은 제2이송관(431)으로 이송되고, 제2이송관(431)으로 이송된 소금은 이송스크류(433)에 의해 회전하는 가열로(410)의 입구로 공급된다.
따라서 경사지게 설치된 상태에서 서서히 회전하는 가열로(410)의 입구로 공급된 소금은 자중에 의해 가열로(410)의 경사도를 따라 서서히 출구로 이동하게 되 고, 이와 같이 출구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소금은 가열부(450)를 지나면서 고온으로 가열되어 구워지게 되고, 구워진 소금은 냉각부(460)를 지나면서 냉각된다. 이때, 열풍팬(490)을 통해 가열로(410)의 내부로 공급되는 열풍에 의해 습기가 제거되고, 소금을 가열할 때 발생되는 가스와 수증기 등은 연통(471)(48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냉각부(460)를 거치면서 냉각된 소금은 계속 가열로(410)의 출구로 이동하고, 가열로(410)의 출구로 이동된 소금은 배출통(480)의 소금배출구(48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소금배출구(48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 구워진 소금은 차후 계량기(500)로 공급된다.
상기 계량기(500)는 가열기(400)를 거쳐 구워진 소금의 무게를 계량하여 적량씩 포대(P)에 담는 것으로, 이러한 계량기(500)는 도 17 내지 도 19b에서와 같이 실린더(511)에 의해 개폐되는 배출판(512)을 구비하는 호퍼(510), 상기 호퍼(5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실린더(521)에 의해 개폐되는 배출판(522)을 구비하는 계량통(520), 상기 계량통(520)의 하부에 설치되어 포대(P)로 소금을 배출시키는 슈트(530), 상기 슈트(530)의 하부에 설치되어 포대(P)를 잡아주는 한쌍의 클램프(540), 상기 실린더(511)(521)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박스(55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슈트(530)의 하부에는 소금운반용 대차(560)가 놓여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계량기(500)의 전체적인 작동관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8에서와 같이 대차(560)에 포대(P)를 올려놓은 상태에서 한쌍의 클램프(540)에 포대(P)를 끼워 고정시키고, 계량기(500)의 호퍼(510)에 구워진 소금을 공급한 후 컨트롤박스(500)를 작동시키면, 도 19a에서와 같이 실린더(511)에 의해 배출판(512)이 개방되어 호퍼(510)로 공급된 소금은 하부로 떨어지면서 계량통(520)으로 투입되고, 계량통(520)내로 적량의 소금이 투입되면 실린더(11)에 의해 배출판(512)은 원상태로 다시 닫히게 된다.
그리고 배출판(512)이 닫히면 그 다음으로 도 19b에서와 같이 실린더(521)에 의해 배출판(522)이 개방되어 계량통(520)으로 투입된 소금은 하부로 떨어지면서 포대(P)에 자동적으로 담겨지게 되고, 이와 같이 포대(P)에 적량의 구워진 소금이 담겨지면 실린더(521)에 의해 배출판(522)은 원상태로 다시 닫히게 된다. 상기 계량기(500)에 의해 적량의 소금이 담긴 포대(P)를 포장하면 구운소금의 제조가 완료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의 구운소금 제조시스템에 따르면 컨베이어(C)를 통해 유입되는 소금(천일염)을 세척기(100)로 세척하여 소금에 들어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세척기(100)를 거쳐 위생적으로 세척된 소금을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분쇄기(200)로 고르게 분쇄하고, 분쇄기(200)를 거쳐 고르게 분쇄된 소금을 탈수기(300)로 탈수하여 소금에 들어있는 수분을 제거하고, 탈수기(300)를 거쳐 수분이 제거된 소금을 가열기(400)로 가열하여 굽고, 가열기(400)를 거쳐 구워진 소금을 계량기(500)로 계량하여 적량씩 포대(P)에 담아 포장하면 구운소금을 한층 더 편리하게 자동으로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세척기(100),분쇄기(200), 탈수기(300),가열기(400) 및 계량기(500)를 이용하여 구운소금을 자동으로 편리하게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구운소금을 제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 및 비용을 최대한 절감할 수 있는 동시에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운소금 제조시스템의 전체계통도.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기를 나타낸 것으로,
도 2는 세척기의 사시도.
도 3은 세척기의 평면도.
도 4는 세척기의 정단면도.
도 5는 세척기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세척기와 분쇄기를 보인 예시도.
도 7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분쇄기를 나타낸 것으로,
도 7은 분쇄기의 사시도.
도 8은 분쇄기의 평면도.
도 9는 분쇄기의 정단면도.
도 10은 분쇄기의 측단면도.
도 11은 분쇄기의 좌측면도.
도 12는 분쇄기의 우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탈수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열기를 나타낸 것으로,
도 14는 가열기의 사시도.
도 15는 가열기의 정면도.
도 16은 가열기의 정단면도.
도 17 내지 도 19b는 본 발명에 따른 계량기를 나타낸 것으로,
도 17은 계량기의 사시도.
도 18은 계량기의 단면도.
도 19a,19b는 계량기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세척기 110 : 세척조
120 : 노즐 130 : 펌프
140 : 제1이송관 150 : 제2이송관
160,170 : 이송스크류 180,190 : 모터
200 : 분쇄기 210 : 분쇄통
220 : 상부분쇄롤러 230 : 하부분쇄롤러
240 : 상부기어 250 : 하부기어
260 : 제1종동기어 270 : 제2종동기어
280 : 구동풀리 290 : 모터
300 : 탈수기 310 : 본체
320 : 탈수통 330 : 모터
400 : 가열기 410 : 가열로
420 : 지지대 430 : 제1이송관
431 : 제2이송관 432,433 : 이송스크류
440 : 모터 450 : 가열부
460 : 냉각부 470 : 공급통
480 : 배출통 490 : 열풍팬
500 : 계량기 510 : 호퍼
520 : 계량통 530 : 슈트
540 : 클램프 550 : 컨트롤박스
C : 컨베이어 P : 포대

Claims (6)

  1. 컨베이어(C)를 통해 유입되는 소금을 위생적으로 세척하여 소금에 들어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기(100); 상기 세척기(100)를 거쳐 위생적으로 세척된 소금을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고르게 분쇄하는 분쇄기(200); 상기 분쇄기(200)를 거쳐 고르게 분쇄된 소금을 탈수하여 소금에 들어있는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기(300); 상기 탈수기(300)를 거쳐 수분이 제거된 소금을 고온으로 가열하여 굽는 가열기(400); 상기 가열기(400)를 거쳐 구워진 소금의 무게를 계량하여 적량씩 포대(P)에 담는 계량기(500)를 포함하는 구운소금 제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분쇄기(200)는 호퍼(211)를 구비하는 분쇄통(210), 상기 분쇄통(210)에 회동가능하게 내장되는 한쌍의 상,하부분쇄롤러(220)(230), 상기 한쌍의 상,하부분쇄롤러(220)(230)에 각각 축설되어 서로 치합되는 한쌍의 상,하부기어(240)(250), 상기 일측 상부분쇄롤러(220)에 축설되는 제1종동기어(260), 상기 타측 하부분쇄롤러(230)에 축설되어 제1종동기어(260)와 치합되는 소기어(271)를 구비하는 제2종동기어(270), 상기 제2종동기어(270)에 치합되는 소기어(281)를 구비하는 구동풀리(280), 상기 구동풀리(280)를 구동시키는 모터(29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운소금 제조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기(40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입구에서 출구측으로 하향경사지게 설치되는 가열로(410), 상기 가열로(41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대(420), 상기 가열로(410)에 탈수된 소금을 공급하는 제1,2이송관(430)(431)과 이송스크류(432)(433) 및 모터(434)(435), 상기 가열로(410)를 회전시키는 모터(440), 상기 가열로(410)를 가열 및 냉각시키는 가열부(450)와 냉각부(460), 상기 가열로(410)의 입구에 설치되어 연통(471)을 구비하는 공급통(470), 상기 가열로(410)의 출구에 설치되어 연통(481)과 소금배출구(482)를 구 비하는 배출통(480), 상기 배출통(480)에 설치되는 열풍팬(49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운소금 제조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기(500)는 실린더(511)에 의해 개폐되는 배출판(512)을 구비하는 호퍼(510), 상기 호퍼(5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실린더(521)에 의해 개폐되는 배출판(522)을 구비하는 계량통(520), 상기 계량통(520)의 하부에 설치되어 포대(P)로 소금을 배출시키는 슈트(530), 상기 슈트(530)의 하부에 설치되어 포대(P)를 잡아주는 한쌍의 클램프(540), 상기 실린더(511)(521)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박스(5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운소금 제조시스템.
KR1020070119995A 2007-11-23 2007-11-23 구운소금 제조시스템 KR100943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9995A KR100943350B1 (ko) 2007-11-23 2007-11-23 구운소금 제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9995A KR100943350B1 (ko) 2007-11-23 2007-11-23 구운소금 제조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3253A KR20090053253A (ko) 2009-05-27
KR100943350B1 true KR100943350B1 (ko) 2010-02-22

Family

ID=40860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9995A KR100943350B1 (ko) 2007-11-23 2007-11-23 구운소금 제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33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1345A (ko) * 2019-09-10 2021-03-19 배중수 구운소금 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0485B1 (ko) * 2009-11-17 2012-03-27 김나연 천일염 정제장치
KR101534004B1 (ko) * 2014-08-01 2015-07-06 유대형 근적외선을 이용한 고순도 소금 제조장치
CN106690247A (zh) * 2016-12-22 2017-05-24 潍坊千源机械制造有限公司 烤盐工艺及其生产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7558A (ko) * 2004-02-27 2005-08-31 주식회사 쏠트랜드 천일염의 세척방법 및 세척설비
KR100708762B1 (ko) * 2005-11-02 2007-04-17 주식회사 좋은세상 양념소금 제조방법
KR100768694B1 (ko) 2006-07-27 2007-10-29 주식회사도염원 저염소금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7558A (ko) * 2004-02-27 2005-08-31 주식회사 쏠트랜드 천일염의 세척방법 및 세척설비
KR100547933B1 (ko) 2004-02-27 2006-02-02 주식회사 신안메이드 천일염의 세척방법 및 세척설비
KR100708762B1 (ko) * 2005-11-02 2007-04-17 주식회사 좋은세상 양념소금 제조방법
KR100768694B1 (ko) 2006-07-27 2007-10-29 주식회사도염원 저염소금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1345A (ko) * 2019-09-10 2021-03-19 배중수 구운소금 제조장치
KR102379790B1 (ko) * 2019-09-10 2022-03-30 배중수 구운소금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3253A (ko) 2009-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3347B1 (ko) 이물선별 및 살균 기능이 개선된 고추 살균건조기
JP6531333B2 (ja) 低塩キムチの製造システム
US608225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oking food products for consumption
EP072266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continuous processing of rice
KR100943350B1 (ko) 구운소금 제조시스템
CN107509936A (zh) 一种酸浆米线的自动化生产方法及系统
ITPD20080306A1 (it) Apparecchiatura per la tostatura di chicchi di caffe&#39; e semi commestibili in genere
CN115025972A (zh) 一种吴茱萸的炮制装置及吴茱萸的炮制工艺
KR100947743B1 (ko) 압출성형 떡 제조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압출성형 떡 제조방법
CN108497370A (zh) 一种海带干粉制备装置及其制备方法
JP2011000056A (ja) パーボイル米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方法によって製造されたパーボイル米
JP2008220221A (ja) パーボイル米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方法によって製造されたパーボイル米
CN208490756U (zh) 一种酸浆米线的自动化生产系统
US5744184A (en) Method for efficient utilization of water in processing food products
KR101328450B1 (ko) 현미의 제조장치
JP2011083196A (ja) インスタントライス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方法によって製造されたインスタントライス
CN206196903U (zh) 一种全自动脱水果蔬成套生产线
CN108433087A (zh) 一种用于制备海带酱的装置及其方法
KR101328452B1 (ko) 곡물의 세척 겸 습윤장치
JP3664640B2 (ja) 既洗米の製造方法
CN219982036U (zh) 一种花生烘烤装置
CN201409442Y (zh) 一种连续自动浸烫机
CN213663597U (zh) 一种刺梨烘干机
CN208144343U (zh) 一种新型龙井茶生产线
RU52398U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переработки семян масличных культур, жаровня электрическая,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и охлаждения неочищенных семян после жар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