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4401B1 - 건어물 자동 구이장치 - Google Patents

건어물 자동 구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4401B1
KR102294401B1 KR1020200103761A KR20200103761A KR102294401B1 KR 102294401 B1 KR102294401 B1 KR 102294401B1 KR 1020200103761 A KR1020200103761 A KR 1020200103761A KR 20200103761 A KR20200103761 A KR 20200103761A KR 102294401 B1 KR102294401 B1 KR 102294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sting
dried fish
disposed
conveyo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3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진
Original Assignee
김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진 filed Critical 김태진
Priority to KR1020200103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44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4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4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11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the food being cooked between two heating plates, e.g. waffle-ir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5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endless convey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29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 A47J37/0641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air fr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어물 자동 구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생물 또는 반건조된 건어물을 굽고 구워진 건어물을 압착하되 건어물을 굽는 과정에서 열원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이용함으로써 건어물의 전체를 골고루 구울 수 있고 건어물의 맛과 풍미를 유지할 수 있어 상품성을 높인 건어무을 제공하는 건어물 자동 구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배치되어 건어물이 이송되는 인입컨베이어; 상기 인입컨베이어의 길이 방향 일측에 배치되어 이송된 건어물을 굽는 로스팅모듈; 상기 로스팅모듈의 내부에 배치되어 이송된 건어물의 위치를 변경시키기 위한 캐리어모듈; 상기 로스팅모듈에서 구워진 건어물을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길이 방향 일측에 배치되어 이송된 건어물을 압착하는 압착모듈; 및 상기 압착모듈의 일측에 배치되어 압착된 건어물이 배출되는 배출컨베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로스팅모듈은, 상기 인입컨베이어로부터 건어물이 인입되는 입구와, 상기 입구와 대향되는 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컨베이어로 건어물을 배출하는 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입구와 상기 출구에 연통되는 이동구역과, 상기 이동구역의 상방에 형성된 로스팅구역을 포함한 로스팅하우징과, 상기 로스팅구역에 로스팅용 열원을 제공하는 열원제공수단과, 상기 로스팅하우징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구역과 상기 로스팅구역을 구획하는 구획판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어물 자동 구이장치{Automatic Dried Fish Roasting Device}
본 발명은 건어물 자동 구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생물 또는 반건조된 건어물을 굽고 구워진 건어물을 압착하되 건어물을 굽는 과정에서 열원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이용함으로써 건어물의 전체를 골고루 구울 수 있고 건어물의 맛과 풍미를 유지할 수 있어 상품성을 높인 건어무을 제공하는 건어물 자동 구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징어, 쥐취, 명태 등과 같은 생선 또는 조개류는 조리 방법에 따라 동일 생선 또는 조개라 하더라도 서로 다른 맛과 풍미를 나타내기 때문에 다양한 조리법이 제안되고 있다.
특히 생선과 조개류 따위를 말린 건어물의 경우 보존기간이 길고 조리가 간편하여 간식이나 술안주 등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건어물을 대량으로 구워서 안주류를 생산하는 제조라인에서는 대량으로 공급되는 건어물을 동일한 품질을 가지도록 구워야 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건어물을 일정 속도로 이동하는 이동라인에 공급하고 상기 이동라인에 히팅롤러가 배치되어 이동 중인 건어물과 밀착함으로써 굽게 된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일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91424호(2019.01.28. 등록)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전기히터에 의해서 가열되는 상,하부가열판재 사이에서 재료가 구워지는 것으로, 상부가열판재와 하부가열판재 상하로 배치되고 각각에 배치된 전기히터가 이동하는 재료를 적당히 가압하면서 굽게 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상,하부가열판재에 의해서 가열되는 재료가 구워지는 과정에서 상부와 하부에서 열이 균일하게 전달되지 않아 맛이 균일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는데 즉 열이 많이 전달되는 부분은 타고 열이 적게 전달되는 부분은 익지 않아 맛이 불균형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열판에 직접 닿아 구워지는 형태의 경우 수분 손실이 많아 로스팅 후 시간이 지나면 딱딱해지는 문제점이 있고, 장비가 대형이기 때문에 설치 장소의 제약이 있고 설치비용 및 유지 보수 비용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다수 개의 열판이 배열된 구이기의 경우 열판의 열로 구워지며 포장을 위한 프레싱 되는데, 프레싱 과정에서 수분 손실이 많기 때문에 제품이 딱딱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91424호(2019.01.28.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92872호(2019.06.19. 등록)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37054호(2001.06.26. 등록)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12262호(2003.04.22. 등록)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건어물을 로스팅 하는 과정에서 열원에 의해 가열된 고온의 공기를 이용하여 건어물을 로스팅함으로써 건어물 전체를 가열하여 구울 수 있어 건어물의 맛과 풍미가 일정한 건어물을 제공할 수 있는 건어물 자동 구이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건어물을 굽는 로스팅모듈의 구조를 개선하여 열손실이 적어 로스팅 과정에 필요한 열원을 제공하기 위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건어물 자동 구이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배치되어 건어물이 이송되는 인입컨베이어;
상기 인입컨베이어의 길이 방향 일측에 배치되어 이송된 건어물을 굽는 로스팅모듈;
상기 로스팅모듈의 내부에 배치되어 이송된 건어물의 위치를 변경시키기 위한 캐리어모듈;
상기 로스팅모듈에서 구워진 건어물을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길이 방향 일측에 배치되어 이송된 건어물을 압착하는 압착모듈; 및
상기 압착모듈의 일측에 배치되어 압착된 건어물이 배출되는 배출컨베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로스팅모듈은,
상기 인입컨베이어로부터 건어물이 인입되는 입구와, 상기 입구와 대향되는 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컨베이어로 건어물을 배출하는 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입구와 상기 출구에 연통되는 이동구역과, 상기 이동구역의 상방에 형성된 로스팅구역을 포함한 로스팅하우징과,
상기 로스팅구역에 로스팅용 열원을 제공하는 열원제공수단과,
상기 로스팅하우징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구역과 상기 로스팅구역을 구획하는 구획판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원제공수단은, 상기 로스팅하우징에 배치되며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히터와,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상기 로스팅구역에서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팬과, 상기 로스팅구역에 배치되어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의 이동 방향을 유도하는 유도판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캐리어모듈은, 편평한 회전플레이트와, 상기 회전플레이트를 일정 속도로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구동수단과, 상기 회전플레이트에 방사상으로 다수 개가 배치된 이송지그와, 상기 이송지그를 상기 이동구역과 상기 로스팅구역으로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이송지그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측면에 수직하게 배치된 한 쌍의 측판과, 상기 한 쌍의 측판의 일측단을 연결하며 상기 바닥판에 안치된 건어물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판과, 상기 바닥판과 상기 측판 및 상기 이탈방지판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열원제공수단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이동하는 공기 이동공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압착모듈은, 상기 이송컨베이어와 상기 배출컨베이어 사이에 배치되는 압착하우징과, 상기 이송컨베이어에서 이송된 건어물을 압착하는 다수 개의 압착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압착롤러는, 한 쌍이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이송된 건어물을 1차 압착하는 제1압착롤러와, 한 쌍이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압착롤러와 이웃하게 배치되어 1차 압착된 건어물을 2차 압착하는 제2압착롤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건어물을 굽는 로스팅모듈의 구조를 개선하여 수분 손실이 적고 균일하게 구워진 건어물을 제공할 수 있어 상품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특히 건어물을 굽는 과정에서 열원에 직접 맞닿지 않고 열원에 의해 가열된 고온의 공기를 통해 건어물을 굽도록 함으로써 균일하게 구워진 건어물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로스팅모듈을 구성하는 로스팅하우징를 로스팅구역과 이동구역으로 구획하여 외부 공기에 의해 로스팅구역의 온도가 낮아지는 것을 최소화하여 굽는 온도를 유지할 수 있어 열원을 형성하기 위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균일하게 구워진 건어물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어물 자동 구이장치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로스팅모듈을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구획판을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로스팅하우징의 열순환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캐리어모듈을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캐리어모듈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이송지그를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압착모듈을 도시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배출수단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어물 자동 구이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구현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어물 자동 구이장치는(1)는, 베이스프레임(1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0)에 배치되어 건어물이 이송되는 인입컨베이어(20)와, 상기 인입컨베이어(20)의 길이 방향 일측에 배치되어 이송된 건어물을 굽는 로스팅모듈(30)과, 상기 로스팅모듈(30)의 내부에 배치되어 이송된 건어물의 위치를 변경시키기 위한 캐리어모듈(40)과, 상기 로스팅모듈(30)에서 구워진 건어물을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50)와, 상기 이송컨베이어(50)의 길이 방향 일측에 배치되어 이송된 건어물을 압착하는 압착모듈(60) 및 상기 압착모듈(60)의 일측에 배치되어 압착된 건어물이 배출되는 배출컨베이어(70)를 포함한 것으로, 상기 로스팅모듈(30)로 인입된 건어물의 전체를 균일하게 구울 수 있고 굽는 과정 중 수분 손실을 최소화하여 상품성을 높인 것이다.
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먼저 베이스프레임(10)은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다수 개의 포스트(11)와 상기 포스트(11)의 상단을 연결하는 수평대(12)를 포함하며 이러한 베이스프레임(10)은 다수 개가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의 각 구성이 배치되어 이를 지지한다.
상기 인입컨베이어(2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에 배치되어 건어물을 일정 속도로 이송하는 것으로, 엔드리스 형태로 이루어지고 이를 일정 속도로 이송하기 위한 인입구동수단(21)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인입컨베이어(20)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장력유지롤러와 상기 인입구동수단(21)과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 받아 회전하면서 인입컨베이어(20)를 이동시키는 구동롤러가 더 포함된 것으로, 이러한 인입컨베이어(20)의 구조는 공지의 이송 컨베이어벨트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로스팅모듈(30)은 상기 인입컨베이어(20)의 일측에 배치되어 이송된 건어물을 굽는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입컨베이어(20)로부터 건어물이 인입되는 입구(311)와, 상기 입구(311)와 대향되는 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컨베이어(50)로 건어물을 배출하는 출구(312)가 구비되고, 상기 입구(311)와 상기 출구(312)에 연통되는 이동구역(33)과, 상기 이동구역(33)의 상방에 형성된 로스팅구역(32)을 포함한 로스팅하우징(31)과, 상기 로스팅구역(32)에 로스팅용 열원을 제공하는 열원제공수단(34)과 상기 로스팅하우징(31)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구역(33)과 상기 로스팅구역(32)을 구획하는 구획판(35)을 포함한다.
상기 로스팅하우징(31)은 내부가 빈 함체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베이스프레임(10)에 배치되며, 상기 인입컨베이어(20)로부터 이송된 건어물이 인입되는 입구(311)가 형성되고, 상기 입구(311)와 대향되는 방향에 배치된 출구(31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로스팅하우징(31)은 상기 입구(311)와 상기 출구(312)에 각각 연통되는 이동구역(33)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구역(33)의 상방에 형성되어 상기 열원제공수단(34)이 배치되어 건어물이 구워지는 로스팅구역(32)이 구비되며 상기 이동구역(33)과 상기 로스팅구역(32)은 후술하는 구획판(35)에 의해 구획된다.
상기 열원제공수단(34)은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히터(341)와, 상기 히터(341)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상기 로스팅구역(32)에서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팬(342)과, 상기 로스팅구역(32)에 배치되어 상기 히터(341)에 의해 가열된 공기의 이동을 유도하는 유도판(343)을 포함한다.
상기 히터(341)는 상기 로스팅하우징(31)의 상방 즉 천정에 배치되어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면서 주변 공기를 가열하는 것으로 다수 개가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거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로스팅하우징(31)의 천정에 배치될 수 있도록 절곡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도면 중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상기 순환팬(342)은 상기 히터(341)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순환팬(342)은 상기 로스팅구역(32)에 배치되어 로스팅구역(32)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킴으로써 로스팅구역으로 이동한 건어물을 굽게 된다.
이러한 순환팬(342)은 상기 로스팅구역(32)에 복수 개가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각각이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며, 여기서 상기 순환팬(342)의 배치 위치와 개수는 로스팅구역(32)의 면적,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기 때문에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상기 유도판(343)은 상기 로스팅구역(32)에 배치되어 상기 히터(341)에 의해 가열된 공기의 이동 방향을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유도판(343)은 상기 로스팅구역(32)을 구성하는 로스팅하우징(31)의 내벽에 나선(螺線)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순환팬(342)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로스팅구역(32)에서 회오리 형태로 이동하면서 전체 로스팅구역(32)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열원제공수단(34)은 건어물과 직접 맞닿아 이를 굽는 직화 형태가 아니라 상기 히터(341)에 의해 가열된 고온의 공기에 의한 간접 가열 방식이기 때문에 로스팅구역(32)의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한데, 상기 순환팬(342)을 통해 가열된 공기를 순환시키면 순환팬(342)의 회전방향으로만 공기가 이동하기 때문에 로스팅구역(32)의 온도가 달라지는 문제점이 있고 이로 인해 건어물이 구워지는 정도가 달라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유도판(343)을 통해 순환팬(342)에 의해 이동하는 공기의 이동 방향을 유도하여 로스팅구역(32) 전체로 공기가 이동하도록 유도함으로써 로스팅구역(32)이 균일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건어물이 균일하게 구워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구획판(35)은 상기 로스팅하우징(31)의 이동구역(33)과 로스팅구역(32)을 구획하기 위한 것으로, 편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로스팅하우징(31)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획판(35)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스팅하우징(31)의 입구(311)와 출구(312)측에 형성되어 후술하는 캐리어모듈(40)의 이송지그(43)가 출입하는 한 쌍의 출입공(351)과, 상기 열원제공수단(34)의 순환팬(342)이 배치되는 배치공간(352)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출입공(351)을 연결하여 후술하는 캐리어모듈(40)에서 상기 이송지그(43)를 하방에서 지지하는 승강수단(44)이 이동하는 연결장공(353)이 형성된다.
상기 구획판(35)은 상기 이동구역(33)과 로스팅구역(32)을 구획하되 상기 출입공(351)과 상기 연결장공(353)에 의해 양 구역의 공기가 일부 이동할 수 있는데 특히 상기 이동구역(33)의 저온의 공기가 로스팅구역(32)으로 이동함으로써 로스팅구역(32)의 온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구획판의 출입공(351)과 상기 연결장공(353)에는 개폐 가능하게 배치되는 커버(36)가 더 구비된다.
상기 커버(36)는 상기 출입공(351)을 덮되 상기 출입공(351)으로 이송지그(43)가 이동하는 경우 이송지그가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개방되고 이송지그가 이동이 완료된 이후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출입공(351) 중 로스팅하우징(31)의 입구(311)측에 배치되는 출입공(351)을 덮는 커버(36)는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개방되고, 상기 로스팅하우징(31)의 출구(312)측에 배치되는 출입공(351)을 덮는 커버(36)는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개방된 후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장공(353)을 덮는 커버(36)는 연결장공(353)을 따라 이동하는 승강수단(44)에 의해 개방되되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개방된 뒤 탄성복원력을 통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커버(36)는 상기 출입공(351)과 연결장공(353)을 덮는 형태 및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고무, 우레탄, 실리콘 등과 같이 탄성복원력을 가진 연질의 소재로 이루어지고 일측이 출입공(351)과 연결장공(353)의 테두리에 접착제 또는 고정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36)를 통해 미사용 상태의 출입공(351)과 연결장공(353)을 폐쇄하여 이동구역(33)의 저온 공기가 로스팅구역(32)으로 이동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로스팅구역(32)의 온도가 낮아지는 것을 최소화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로스팅하우징(31)의 열순환 상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원제공수단(34)에 의해 가열된 고온의 공기가 로스팅구역(32)에서 순환되도록 함으로써 이동 중인 건어물이 고온의 공기에 노출되면서 균일하게 구워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열원에 직접 맞닿지 않기 때문에 수분 손실을 최소화함으로써 상품성이 높고, 장시간 보관에도 딱딱해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캐리어모듈(40)은 상기 로스팅하우징(31) 내부에 배치되어 인입컨베이어(20)를 통해 이송된 건어물을 이동구역(33)에서 로스팅구역(32)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로스팅구역(32)을 따라 건어물을 이동시키고 이후 상기 출구(312)측으로 건어물을 배출하는 것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평한 회전플레이트(41)와, 상기 회전플레이트(41)를 일정 속도로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구동수단(42)과, 상기 회전플레이트(41)에 방사상으로 다수 개가 배치된 이송지그(43)와, 상기 이송지그(43)를 상기 이동구역(33)과 상기 로스팅구역(32)으로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수단(44)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플레이트(41)는 편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로스팅하우징(31)의 바닥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것으로, 상기 이송지그, 승강수단의 하중을 지지한 상태에서 회전이 원활하도록 하부면에 다수 개의 구름롤러(도면 중 미도시됨)가 배치되고 로스팅하우징(31)의 바닥면에 상기 구름롤러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안내레일(도면 중 미도시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구동수단(42)은 상기 회전플레이트(41)를 일정 속도로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모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모터의 모터축이 회전플레이트(41)에 결합되어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구동시 회전플레이트(41)를 일정한 속도로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회전구동수단(42)과 회전플레이트(41) 사이에는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체인, 벨트 또는 감속기와 같은 동력전달체가 더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동력전달체의 구조는 공지의 것이므로 상세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이송지그(43)는 상기 회전플레이트(41)의 상면에 다수 개가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인입컨베이어(20)로부터 상기 로스팅하우징(31)의 이동구역(33)으로 이송된 건어물이 안치되고 안치된 건어물을 로스팅하우징(31)의 로스팅구역(32)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431)과, 상기 바닥판(431)의 측면에 수직하게 배치된 한 쌍의 측판(432)과, 상기 한 쌍의 측판(432)의 일측단을 연결하며 상기 바닥판(431)에 안치된 건어물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판(433)과, 상기 바닥판(431)과 상기 측판(432) 및 상기 이탈방지판(433)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열원제공수단(34)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이동하는 공기 이동공(434)을 포함한다.
상기 바닥판(431)은 편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져 건어물이 안치되는 것으로, 이때 건어물의 출입시 편의성을 높이기 위하여 선단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출입용 경사면(431a)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바닥판(431)은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스팅구역(32)에서 순환하는 고온의 공기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메쉬망 형태로 이루어지고 후술하는 승강수단(44)과 결합하는 중앙부와 상기 출입용 경사면(431a)은 편평한 플레이트 형태의 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바닥판(431)의 측면 테두리는 상기 측판(432)과 이탈방지판(433)의 하단과 각각 결합되어 바닥판(431)의 변형을 방지한다.
상기 한 쌍의 측판(432)은 상기 바닥판(431)의 측면에 수직하게 배치된 것으로, 바닥판(431)에 배치된 건어물이 회전플레이트(41)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서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측판(432)은 도면 중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판(431)의 측면에서 상방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방으로 배치되되 상단이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는 것으로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상기 이탈방지판(433)은 상기 바닥판(431)의 측면 중 건어물이 인입되는 방향의 측면과 상기 한 쌍의 측판(432)이 배치되지 않은 측판에 배치되어 바닥판(431)에 배치된 건어물의 위치 이동을 제한한다.
여기서 상기 이탈방지판(433)은 도면 중 도시된 바와 같이 편평한 판재로 이루어지고 다수 개의 공기 이동공(434)이 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다른 실시예로서 메쉬망 형태로 이루어져 로스팅구역(32)의 공기 흐름을 제한하지 않는 것으로 도면 중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상기 공기 이동공(434)은 상기 바닥판, 상기 측판, 상기 이탈방지판에 각각 형성되어 로스팅구역에서 순환되는 고온의 공기가 바닥판에 안치된 건어물과 접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승강수단(44)은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것으로 이러한 승강수단(44)은 몸체와 상기 몸체에 출입하는 로드로 구성된 실린더로 이루어져 상기 로드의 선단부가 상기 바닥판(431)에 결합되어 상기 이송지그(43)를 상승 또는 하강시킨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캐리어모듈(40)은 인입컨베이어(20)에서 이송된 건어물이 이송지그(43)에 인입되고, 상기 승강수단(44)에 의해 이동구역(33)에서 로스팅구역(32)으로 이동하고, 이후 회전플레이트(41)가 회전하면서 로스팅구역에서 이동하면서 건어물이 구워지고, 구워진 건어물을 로스팅하우징(31)의 출구(312)로 배출한다.
한편 상기 캐리어모듈에는 구워진 건어물을 출구(312)측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수단(45)이 구비되는데, 상기 배출수단(45)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판(431)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배출판(451)과,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면서 상기 배출판(451)을 바닥판(431)에서 이동시키는 배출실린더(452)를 포함한다.
상기 배출판(451)은 상기 바닥판(431)의 상면에 배치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출실린더(452)의 동작에 의해 이동하면서 건어물을 이송지그(43)에서 외부로 배출시킨다.
여기서 상기 배출판(451)에는 로스팅구역(32)에서 건어물이 구워지는 과정 중 고온의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통공(451a)이 형성되며, 상기 통공(451a)은 도면 중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장공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상기 배출판(451)이 이동 하는 과정 중 통공(451a)에 건어물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원형의 구멍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되거나 장공 형태의 형성된 후 일면에 끼임방지용 메쉬망(도면 중 미도시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실린더(452)의 구성과 배출실린더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케이블 및 상기 배출실린더를 이송지그(43)에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 등의 구조는 공지의 것이므로 상세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이송컨베이어(50)는 상기 로스팅하우징(31)의 출구측에 배치되어 구워진 건어물을 압착모듈(60)로 이송하는 것으로 이러한 이송컨베이어(50)는 엔드리스 형태로 이루어지고 일정 속도로 이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이송컨베이어(50)의 구조 및 형태는 자동화 공정에서 사용되는 공지의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압착모듈(60)은 상기 이송컨베이어(50)를 통해 이송된 건어물을 압착하기 위한 것으로, 구워진 건어물을 포장하기 전 압착하여 부피를 줄이거나 구워진 건어물에 표면에 버터, 향신료와 같은 부가재료를 추가하기 전 구워진 건어물의 표면을 넓히기 위하여 압착하는 것으로 이러한 압착모듈(6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컨베이어(50)와 상기 배출컨베이어(70) 사이에 배치되는 압착하우징(61)과, 상기 이송컨베이어(50)에서 이송된 건어물을 압착하는 다수 개의 압착롤러(62)를 포함하되, 상기 압착롤러(62)는, 한 쌍이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이송된 건어물을 1차 압착하는 제1압착롤러(621)와, 한 쌍이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압착롤러(621)와 이웃하게 배치되어 1차 압착된 건어물을 2차 압착하는 제2압착롤러(622)를 포함한다.
상기 압착하우징(61)은 내부가 빈 함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송컨베이어(50)의 일측이 내측으로 배치되고 상기 이송컨베이어(50)가 배치된 방향과 대향하는 방향에 후술하는 배출컨베이어(70)의 일측이 배치되어 압착된 건어물을 다음 공정으로 이송한다.
상기 압착롤러(62)는 이송된 건어물을 압착하기 위한 것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구동수단(도면 중 미도시됨)으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아 회전하면서 건어물을 압착한다.
이때 상기 압착롤러(62)는 건어물을 압착하는 시간을 최소화하여 압착시 발생하는 수분 손실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 상기 압착롤러(62)는 제1압착롤러(621)와 제2압착롤러(622)를 서로 이웃하게 배치하여 건어물이 제1압착롤러(621)와 제2압착롤러(622)를 순서대로 통과하면서 압착되도록 한다.
상기 제1압착롤러(621)는 한 쌍이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건어물이 그 사이로 통과하면서 압착되며, 상기 제2압착롤러(622)는 상기 제1압착롤러(621)와 이웃하게 배치되되 한 쌍이 상호 마주보록 배치되어 1차 압착된 건어물을 2차로 압착한다.
여기서 상기 제2압착롤러(622)는 제1압착롤러(621)와 배출컨베이어(70) 사이에 배치되어 1차 압착된 건어물을 2차로 압착함과 동시에 2차 압착된 건어물을 배출컨베이어(70)로 전달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압착모듈(60)은 구워진 건어물을 압착하여 포장하거나 건어물의 표면에 추가재료를 부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압착모듈(6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압착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하여 압착시 수분 손실을 줄여 상품성을 높이고 또한 장시간 보관에도 딱딱해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배출컨베이어(70)는 상기 압착모듈(60)에 의해 압착된 건어물을 다음 공정으로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배출컨베이어(70)는 엔드리스 타입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의 인입컨베이어, 이송컨베이어와 동일한 구조이므로 상세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건어물 자동 구이장치
10 : 베이스프레임
20 : 인입컨베이어
30 : 로스팅모듈
31 : 로스팅하우징 32 : 로스팅구역
33 : 이동구역 34 : 열원제공수단
35 : 구획판 36 : 커버
40 : 캐리어모듈
41 : 회전플레이트 42 : 회전구동수단
43 : 이송지그 44 : 승강수단
45 : 배출수단
50 : 이송컨베이어
60 : 압착모듈
61 : 압착하우징 62 : 압착롤러
70 : 배출컨베이어

Claims (5)

  1. 베이스프레임(10);
    상기 베이스프레임(10)에 배치되어 건어물이 이송되는 인입컨베이어(20);
    상기 인입컨베이어(20)의 길이 방향 일측에 배치되어 이송된 건어물을 굽는 로스팅모듈(30);
    상기 로스팅모듈(30)의 내부에 배치되어 이송된 건어물의 위치를 변경시키기 위한 캐리어모듈(40);
    상기 로스팅모듈(30)에서 구워진 건어물을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50);
    상기 이송컨베이어(50)의 길이 방향 일측에 배치되어 이송된 건어물을 압착하는 압착모듈(60); 및
    상기 압착모듈(60)의 일측에 배치되어 압착된 건어물이 배출되는 배출컨베이어(70);를 포함하되,
    상기 로스팅모듈(30)은,
    상기 인입컨베이어(20)로부터 건어물이 인입되는 입구(311)와, 상기 입구(311)와 대향되는 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컨베이어(50)로 건어물을 배출하는 출구(312)가 구비되고, 상기 입구(311)와 상기 출구(312)에 연통되는 이동구역(33)과, 상기 이동구역(33)의 상방에 형성된 로스팅구역(32)을 포함한 로스팅하우징(31)과,
    상기 로스팅구역(32)에 로스팅용 열원을 제공하는 열원제공수단(34)과,
    상기 로스팅하우징(31)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구역(33)과 상기 로스팅구역(32)을 구획하는 구획판(35)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어물 자동 구이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원제공수단(34)은,
    상기 로스팅하우징(31)에 배치되며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히터(341)와,
    상기 히터(341)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상기 로스팅구역(32)에서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팬(342)과,
    상기 로스팅구역(32)에 배치되어 상기 히터(341)에 의해 가열된 공기의 이동 방향을 유도하는 유도판(343)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어물 자동 구이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모듈(40)은,
    편평한 회전플레이트(41)와,
    상기 회전플레이트(41)를 일정 속도로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구동수단(42)과,
    상기 회전플레이트(41)에 방사상으로 다수 개가 배치된 이송지그(43)와,
    상기 이송지그(43)를 상기 이동구역(33)과 상기 로스팅구역(32)으로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수단(44)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어물 자동 구이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이송지그(43)는,
    바닥판(431)과,
    상기 바닥판(431)의 측면에 수직하게 배치된 한 쌍의 측판(432)과,
    상기 한 쌍의 측판(432)의 일측단을 연결하며 상기 바닥판(431)에 안치된 건어물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판(433)과,
    상기 바닥판(431)과 상기 측판(432) 및 상기 이탈방지판(433)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열원제공수단(34)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이동하는 공기 이동공(434)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어물 자동 구이장치.
  5.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모듈(60)은
    상기 이송컨베이어(50)와 상기 배출컨베이어(70) 사이에 배치되는 압착하우징(61)과,
    상기 이송컨베이어(50)에서 이송된 건어물을 압착하는 다수 개의 압착롤러(62)를 포함하되,
    상기 압착롤러(62)는,
    한 쌍이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이송된 건어물을 1차 압착하는 제1압착롤러(621)와,
    한 쌍이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압착롤러(621)와 이웃하게 배치되어 1차 압착된 건어물을 2차 압착하는 제2압착롤러(622)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어물 자동 구이장치.
KR1020200103761A 2020-08-19 2020-08-19 건어물 자동 구이장치 KR102294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761A KR102294401B1 (ko) 2020-08-19 2020-08-19 건어물 자동 구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761A KR102294401B1 (ko) 2020-08-19 2020-08-19 건어물 자동 구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4401B1 true KR102294401B1 (ko) 2021-08-25

Family

ID=77494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3761A KR102294401B1 (ko) 2020-08-19 2020-08-19 건어물 자동 구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4401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95188A (en) * 1920-08-07 1926-08-10 Jr William S Hadaway Steam electric range
JPH09154515A (ja) * 1995-12-13 1997-06-17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製麺機のバケット殺菌洗浄方法
KR200237054Y1 (ko) 1999-06-16 2001-09-25 정민수 수산건어물 구이장치
KR200312262Y1 (ko) 2003-01-23 2003-05-09 조남중 건어물 자동구이장치
JP2010041995A (ja) * 2008-07-14 2010-02-25 Nichiwa Denki Kk 蒸気投入型コンベアオーブン
KR20120035655A (ko) * 2010-10-06 2012-04-16 오영숙 어포 구이 장치
KR101591424B1 (ko) 2014-07-24 2016-02-03 강신탁 다용도 연속구이기
KR20170017490A (ko) * 2015-08-07 2017-02-15 손한곤 농축수산물 건조장치
KR101992872B1 (ko) 2016-05-18 2019-06-25 강석준 다용도 회전식 연속구이기
KR200492106Y1 (ko) * 2020-01-23 2020-08-06 주식회사 참코청하 과열증기 구이장치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95188A (en) * 1920-08-07 1926-08-10 Jr William S Hadaway Steam electric range
JPH09154515A (ja) * 1995-12-13 1997-06-17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製麺機のバケット殺菌洗浄方法
KR200237054Y1 (ko) 1999-06-16 2001-09-25 정민수 수산건어물 구이장치
KR200312262Y1 (ko) 2003-01-23 2003-05-09 조남중 건어물 자동구이장치
JP2010041995A (ja) * 2008-07-14 2010-02-25 Nichiwa Denki Kk 蒸気投入型コンベアオーブン
KR20120035655A (ko) * 2010-10-06 2012-04-16 오영숙 어포 구이 장치
KR101591424B1 (ko) 2014-07-24 2016-02-03 강신탁 다용도 연속구이기
KR20170017490A (ko) * 2015-08-07 2017-02-15 손한곤 농축수산물 건조장치
KR101992872B1 (ko) 2016-05-18 2019-06-25 강석준 다용도 회전식 연속구이기
KR200492106Y1 (ko) * 2020-01-23 2020-08-06 주식회사 참코청하 과열증기 구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4286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ying or heat-treating products
US441055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oking particulate foodstuffs
CN101972032B (zh) 自循环多层翻板烘干机以及自循环分段烘干方法
EP0558151B2 (en) Oven
US4378873A (en) Continuous linear chain conveyor system operating throughout multiple tiers with dual spaced chains moving directly attached multiple adjacent trays which level to support the conveyed product
JPH11264550A (ja) オ―ブン、ト―スタ―及びオ―ブント―スタ―
GB2311268A (en) Conveyor for processing equipment having gas flow compensation
CA1079080A (en) Air slide freezer system
US8561528B2 (en) Device and method for heating food products
KR101718663B1 (ko) 볶음장치를 구비한 열풍식 고추 건조장치
KR102294401B1 (ko) 건어물 자동 구이장치
CN112033105A (zh) 一种基于重力感应的干货全自动调控烘干系统
US4715272A (en) System for preparing tortillas
US4369585A (en) Wet and dry roasting apparatus and process for nut, bean and seed-like product
CN106174644A (zh) 智能的烘干设备
US3310007A (en) Tortilla oven
JP5774763B1 (ja) 層状食品製造装置及び方法
JPH069038A (ja) パスタ用乾燥機
KR102362521B1 (ko) 구근 농산물 연속 가공장치
KR20120016507A (ko) 부침개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JP2004065200A (ja) 食品加熱装置及び食品加熱方法
JP2002243363A (ja) 食品素材の乾燥機
US4535552A (en) Spaghetti dryer
CN113951331A (zh) 一种低温旋转烘焙奶酪片自动化成套生产装置及生产方法
US3615585A (en) Method for heat processing sausage-type food i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