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2262Y1 - 건어물 자동구이장치 - Google Patents

건어물 자동구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2262Y1
KR200312262Y1 KR20-2003-0002179U KR20030002179U KR200312262Y1 KR 200312262 Y1 KR200312262 Y1 KR 200312262Y1 KR 20030002179 U KR20030002179 U KR 20030002179U KR 200312262 Y1 KR200312262 Y1 KR 2003122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ed fish
conveyor
transfer
heating
transfe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21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남중
Original Assignee
조남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남중 filed Critical 조남중
Priority to KR20-2003-00021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22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22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22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5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endless convey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오징어나 쥐포 등과 같은 건어물을 자동으로 굽는 자동구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무한궤도로 구동되는 구동콘베이어(11)와 그 상부의 연동콘베이어(12)가 밀착 설치되어 그 사이로 건어물(2)을 이송안내하는 제1이송안내부(10)와; 상기 제1이송안내부에서 이송안내되는 건어물(2)의 상하부에서 가열히터(21)(22)에 의해 가열하여 굽는 히팅부(20)와; 상기 제1이송안내부의 일측에서 구워진 건어물(2)을 계속적으로 이송하는 이송콘베이어(31)를 구비하되, 상기 이송콘베이어(31)는 일측을 지점으로 타측을 승하강실린더(33)에 의해 승강하면서 상기 이송콘베이어(31)에 의한 건어물의 이송안내위치를 상,하로 선택 조절하는 제2이송안내부(30)와; 상기 제2이송안내부의 일측에서 하부로 이송안내되는 건어물을 눌러 칼집을 내는 형태로 가공하는 제1가공부(40) 및 상기 제2이송안내부의 일측에서 상부로 이송안내되는 건어물을 길이방향으로 절결하는 형태로 가공하는 제2가공부(5)로 된 자동 구이장치를 제공하므로서, 건어물을 이송하면서 상하면을 가열히터에 의해 동시에 가열하여 굽기 때문에 굽는 시간을 단축함은 물론 간단한 구조로서 장치의 사이즈를 줄여 공간활용성이 우수하게 제공되고, 더우기 상기 구워진 건어물은 제1,2가공부에 선택적으로 안내하면서 눌러 칼집을 내는 형태로 가공하거나 길이방향으로 절결하는 형태로 가공하게 되므로 취식자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제품을 제공하여 사용상의 신뢰도를 극대화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건어물 자동구이장치{AUTO ROASTER FOR STOCK-FISH}
본 고안은 오징어나 쥐포 등과 같은 건어물을 자동으로 굽는 자동구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건어물을 이송하며 그 상하부에서 동시에 가열하여 굽도록 함은 물론 상기 굽어진 건어물을 부드럽게 누르면서 칼집을 내는 과정과, 상기 건어물을 이송방향으로 절결하는 과정 등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취식자의 취양에 따라 다양한 제품을 제공하게 되는 건어물 자동구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징어나 쥐포 등과 같은 건어물은 이를 구워 간식이나 술안주 등으로 많이 이용하고 있다.
상기 건어물을 자동으로 굽는 종래의 구이장치는 히팅로울러를 회전시켜 건어물을 상기 히팅로울러에 밀착되게 안내하면서 굽도록 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는 상기 건어물의 일측면만을 굽도록 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고르게 구을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은 실용신안등록 제274693호에 건어물의 앞뒤면을 고르게 구을 수 있는 구이장치를 제공한 바 있다.
이는 건어물을 밀착 안내하는 복수의 히팅로울러에 의한 제1,2 히팅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1,2히팅부의 히팅로울러를 건어물이 "S"자 형태로 안내되면서 제1히팅부의 히팅로울러에서는 건어물의 일측이 밀착 안내되며 구운후, 계속적으로 제2히팅부의 히팅로울러에서는 건어물의 타측이 밀착 안내되며 구워져, 결국 건어물의 앞뒤면을 고르게 굽도록 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구이장치는 건어물을 복수의 히팅부를 통과하는 것에 의해 앞뒤면을 굽기 때문에 굽는 시간이 오래 걸려 생산성저하나 제조원가 상승을 초래하고, 더우기 복수의 히팅부를 일렬로 설치함에 따른 장치의 길이가 비대해져 설치사용상의 제한을 많이 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구이장치는 취식자의 입맛에 맞추기 위해 상기 제1,2히팅부에 의해 구워진 건어물을 연육로울러를 통과시켜 부드럽게 눌러짐과 동시에 칼집을 형성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 또한 취식자가 상기와 같이 구은 건어물의 눌려진 것을 좋와하는 경우와 그렇치 않은 경우를 감안 할때 취식자의 선택이 제한되는 단점이 있었다.
즉, 상기와 같이 굽어진 건어물을 취식자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공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됨은 당연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건어물의 앞뒤면을 간단한 구조에 의해 신속하게 굽도록 함은 물론 상기 구워진 건어물을 취식자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선택하여 처리하도록 하므로 사용상의 신뢰도를 극대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무한궤도로 구동되는 구동콘베이어와 그 상부의 연동콘베이어가 밀착 설치되어 그 사이로 건어물을 이송안내하는 제1이송안내부와; 상기 제1이송안내부에서 이송안내되는 건어물의 상하부에서 가열히터에 의해 가열하여 굽는 히팅부와; 상기 제1이송안내부의 일측에서 구워진 건어물을 계속적으로 이송하는 이송콘베이어를 구비하되, 상기 이송콘베이어는 일측을 지점으로 타측을 승하강실린더에 의해 승강하면서 상기 이송콘베이어에 의한 건어물의 이송안내위치를 상,하로 선택 조절하는 제2이송안내부와; 상기 제2이송안내부의 일측에서 하부로 이송안내되는 건어물을 눌러 칼집을 내는 형태로 가공하는 제1가공부 및 상기 제2이송안내부의 일측에서 상부로 이송안내되는 건어물을 길이방향으로 절결하는 형태로 가공하는 제2가공부로 된 자동 구이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작동상태도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2가공부를 보여주는 요부 발췌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본체 10: 제1이송안내부
11: 구동콘베이어 12: 연동콘베이어
20: 히팅부 21,22: 가열히터
30: 제2이송안내부 31: 이송콘베이어
33: 승하강실린더 40: 제1가공부
41,42: 연육로울러 50: 제2가공부
55: 절단칼 57: 칼날
이하,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즉, 본 고안의 건어물 자동구이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5)내로 투입된 오징어나 쥐포와 같은 건어물(2)을 자동 이송하면서 구워 배출하는 것에 있어서,
구동모터(M1)에 의해 연동되어 무한궤도로 구동되는 구동콘베이어(11)와, 그 상부에 무한궤도로 연동하는 연동콘베이어(12)가 상기 구동콘베이어(11)와 내측이 밀착 설치되어 그 사이로 건어물(2)을 이송안내하는 제1이송안내부(10)와,
상기 제1이송안내부(10)에서 이송안내되는 건어물(2)의 상하부 위치로 설치된 가열히터(21),(22)에 의해 이송되는 건어물(2)의 상,하면을 가열하여 굽는 히팅부(20)와,
상기 제1이송안내부(10)의 일측에서 구워진 건어물(2)을 계속적으로 이송하는 무한궤도의 이송콘베이어(31)를 구비하되, 상기 이송콘베이어(31)는 일측을 지점(바람직하기로는 제1이송안내부(10)에 인접한 구동축)으로 타측에 연결된 승하강실린더(33) 로드(34)의 출몰에 따라 승강되면서 이송콘베이어(31)에 의한 건어물(2)의 이송안내위치를 상,하로 선택 조절하는 제2이송안내부(30)와,
상기 제2이송안내부(30)의 일측에서 하부로 이송안내되는 건어물(2)을 연육로울러(41)(42)에 의해 눌러 칼집을 내는 형태로 가공하는 제1가공부(40) 및 상기 제2이송안내부(30)의 일측에서 상부로 이송안내되는 건어물(2)을 길이방향으로 절결하는 형태로 가공하는 제2가공부(5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2이송안내부(30)의 일측에는 상기 제1,2 가공부(40),(50)외에 제3,4의 가공부를 더 형성할수도 있음은 물론 제1,2가공의 방법도 취식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히터부(20)의 가열히터(21),(22)는 원적외선 등을 방사하여 인체에 유익하도록 하는 세라믹 등을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이송안내부(30)의 이송콘베이어(31)는 이송안내위치 조절을 승하강실린더(33)외에 수작업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일측의 구동축(35)은 상기 제1이송안내부(10)의 구동모터(M1)에 연계되어 상기 구동콘베이어(11)와 이송콘베이어(31)가 동시에 구동제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가공부(40)의 연육로울러(41)(42)는 누름날(43)이 상호 맞물리는 형태로 하부 연육로울러(41)는 구동모터(M2)에 의해 구동되고, 상부 연육로울러(42)는 높이조절하며 연동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가공부(50)는 상부 연동축(51)과 하부 구동모터(M3)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축(52)에 복수의 체인스프로켓(53,53)(54,54)을 설치하여 체인(C)(C)을 무한궤도로 감합하되, 상기 체인(C)(C)에는 베이스판(56)상부로 적어도 하나이상의 칼날(57)이 돌출된 절단칼(55)을 고정 설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절단칼(55)은 가공하는 건어물(2)의 크기에 따라 폭 길이를 달리하는 것을 결합할 수 있으며, 또한 건어물(2)의 길이방향으로 절결하고자 하는 폭에 따라 절단칼(55)의 칼날(57) 상호간의 폭 길이를 달리 형성하며 결합할 수 있다.
미설명부호로서, 9는 컨베이어(11)(12)(31)의 텐션을 조절하는 텐션조절부, 6은 본체(5)의 투입구, 7은 본체(5)의 배출구, 8은 본체(5)하부에 필요에 따라 구비하는 냉장고를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동 및 효과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체(5)상의 콘트롤부(미도시)를 조작하여 구동모터(M1),(M2),(M3)를 구동시키고, 히팅부(20)의 가열히터(21)(22)를 온작동시킨다.
이와 같은 준비된 상태에서, 건어물(2)의 가공형태를 선택하여야 한다. 즉, 제1,2가공부(40)(50)중 어느 가공부에 의해 가공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우선 제1가공부(40)를 선택한 경우에, 제2이송안내부(30)의 이송콘베이어(31)가 건어물(2)을 상기 제1가공부(40)로 안내하도록 되어 있는지 확인한 상태에서 본체(2)의 투입구(6)로 오징어나 쥐포와 같은 건어물(2)을 투입하게 된다.
이와 같이 투입된 건어물(2)은 구동콘베이어(11)와 그 상부에 밀착된 연동콘베이어(12) 사이로 삽입되어 이송안내되게 된다.
이와 같이 콘베이어(11),(12)에 의해 이송안내되는 과정중에, 그 상하부에위치하는 가열히터(21)(22)에 의해 건어물(2)의 상하부가 동시에 가열되어 구워지게 되는 것이다.
즉, 건어물(2)의 상하부면을 동시에 가열하여 굽게 되므로 가공시간의 단축은 물론 장치의 크기를 축소화할 수 있는 등의 잇점을 갖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동콘베이어(11)와 연동콘베이어(12)에 의해 이송하면서 가열히터(21)(22)로 상하부면을 가열하여 구은 건어물(2)은 계속적으로 이송콘베이어(31)에 의해 이송안내되어 제1가공부(40)로 안내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가공부(40)로 안내된 구워진 건어물(2)은 연육로울러(41)(42)사이로 인입되어 맞물린 누름날(43)에 의해 부드럽게 눌러짐과 동시에 칼집을 내는 형태로 가공되어 배출구(7)를 통해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1가공부(40)에 가공하다가 이를 제2가공부에 의해 가공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승하강실린더(33)의 로드(34)를 신장시켜 상기 이송콘베이어(31)가 일측을 지점으로 상승하여 제2가공부(50)로 이송안내하도록 안내 위치를 조절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건어물(2)을 투입하면, 구동콘베이어(11)와 연동콘베이어(12)에 의해 이송하면서 가열히터(21)(22)로 상하부면을 가열하여 굽고, 계속적으로 이송콘베이어(31)에 의해 제2가공부(50)로 안내되게 된다.
이와 같이 제2가공부(50)로 안내되는 굽어진 건어물(2)은 연동축(51)과 구동축(52)상의 체인스프로켓(53,53)(54,54)에 감합된 체인(C)(C)에 일정간격으로 다수설치된 절단칼(55)이 연속적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건어물(2)을 절결하게 된다.
즉, 상기 건어물(2)은 절단칼(55)의 각 칼날(57)에 의해 이송방향으로 절결되어 배출구(7)로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건어물(2)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절단칼(55)의 폭길이가 다른 것을 적용실시할 수 있으며, 특히 건어물(2)의 절결 폭을 상기 절단칼(55)의 칼날(57) 폭을 달리된 것을 교체 적용하므로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제1,2가공부(40)(50)를 선택함에 따라 구워진 건어물(2)의 가공형태를 달리하며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건어물을 콘베이어에 의해 이송하면서 상하면을 가열히터에 의해 동시에 가열하여 굽기 때문에 굽는 시간을 단축함은 물론 간단한 구조로서 장치의 사이즈를 줄여 공간활용성이 우수하게 제공된다.
더우기, 상기 구워진 건어물은 제1,2가공부에 선택적으로 안내하면서 눌러 칼집을 내는 형태로 가공하거나 길이방향으로 절결하는 형태로 가공하게 되므로 취식자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제품을 제공하므로 사용상의 신뢰도를 극대화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3)

  1. 본체(5)내로 투입된 오징어나 쥐포와 같은 건어물(2)을 자동 이송하면서 구워 배출하는 것에 있어서,
    구동모터(M1)에 의해 연동되어 무한궤도로 구동되는 구동콘베이어(11)와, 그 상부에 무한궤도로 연동하는 연동콘베이어(12)가 상기 구동콘베이어(11)와 내측이 밀착 설치되어 그 사이로 건어물(2)을 이송안내하는 제1이송안내부(10)와,
    상기 제1이송안내부(10)에서 이송안내되는 건어물(2)의 상하부 위치로 설치된 가열히터(21),(22)에 의해 이송되는 건어물(2)의 상,하면을 가열하여 굽는 히팅부(20)와,
    상기 제1이송안내부(10)의 일측에서 구워진 건어물(2)을 계속적으로 이송하는 무한궤도의 이송콘베이어(31)를 구비하되, 상기 이송콘베이어(31)는 일측을 지점으로 타측에 연결된 승하강실린더(33) 로드(34)의 출몰에 따라 승강되면서 이송콘베이어(31)에 의한 건어물(2)의 이송안내위치를 상,하로 선택 조절하는 제2이송안내부(30)와,
    상기 제2이송안내부(30)의 일측에서 하부로 이송안내되는 건어물(2)을 연육로울러(41)(42)에 의해 눌러 칼집을 내는 형태로 가공하는 제1가공부(40) 및 상기 제2이송안내부(30)의 일측에서 상부로 이송안내되는 건어물(2)을 길이방향으로 절결하는 형태로 가공하는 제2가공부(5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어물 자동구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공부(50)는 상부 연동축(51)과 하부 구동모터(M3)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축(52)에 복수의 체인스프로켓(53,53)(54,54)을 설치하여 체인(C)(C)을 무한궤도로 감합하되, 상기 체인(C)(C)에는 베이스판(56)상부로 적어도 하나이상의 칼날(57)이 돌출된 절단칼(55)을 고정 설치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어물 자동구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칼(55)의 칼날(57) 상호간의 폭 길이를 달리 하는 것으로 교체 설치하여 건어물(2)의 길이방향으로 절결하고자 하는 폭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어물 자동구이장치.
KR20-2003-0002179U 2003-01-23 2003-01-23 건어물 자동구이장치 KR2003122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2179U KR200312262Y1 (ko) 2003-01-23 2003-01-23 건어물 자동구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2179U KR200312262Y1 (ko) 2003-01-23 2003-01-23 건어물 자동구이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1836A Division KR20040064932A (ko) 2003-01-11 2003-01-11 건어물 자동구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2262Y1 true KR200312262Y1 (ko) 2003-05-09

Family

ID=49333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2179U KR200312262Y1 (ko) 2003-01-23 2003-01-23 건어물 자동구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226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4401B1 (ko) 2020-08-19 2021-08-25 김태진 건어물 자동 구이장치
CN114391763A (zh) * 2022-02-10 2022-04-26 苏州冉光自动化科技有限公司 全自动智能烤串设备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4401B1 (ko) 2020-08-19 2021-08-25 김태진 건어물 자동 구이장치
CN114391763A (zh) * 2022-02-10 2022-04-26 苏州冉光自动化科技有限公司 全自动智能烤串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7014B1 (en) Oven apparatus for efficiently cooking food
FI78599C (fi) Ytstekfoerfarande och -anordning.
US441055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oking particulate foodstuffs
DE2714762C3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Zubereiten einer Warmspeise
US7193184B1 (en) Impingement oven with radiant heating
US2529253A (en) Apparatus for cooking and canning meat patties
US10278540B1 (en) Conveyor toaster assembly and method
KR200312262Y1 (ko) 건어물 자동구이장치
JP2002516685A (ja) 段階的回転焼き肉器
US3371595A (en) English muffin toaster
KR0144319B1 (ko) 누룽지 제조방법 및 장치
KR20040064932A (ko) 건어물 자동구이장치
KR200174537Y1 (ko) 전병제조장치
US880878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 food chip product
KR101366121B1 (ko) 어묵 양면 구이기
US4185546A (en) Cooking apparatus
US3033099A (en) Toaster for buttered buns
WO1996016583A1 (en) Combination press and oven
KR101257682B1 (ko) 어포구이제조장치
JP4959254B2 (ja) 連続式加熱調理装置
KR101823520B1 (ko) 훈연맛김 제조장치
JP2926488B1 (ja) きりたんぽ製造装置
KR20190090134A (ko) 현미를 이용한 낱알형 누룽지 제조 장치
KR20210073733A (ko) 건어물 구이기
KR200288915Y1 (ko) 식품외피구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