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2814B1 - 조미김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조미김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2814B1
KR101762814B1 KR1020160029383A KR20160029383A KR101762814B1 KR 101762814 B1 KR101762814 B1 KR 101762814B1 KR 1020160029383 A KR1020160029383 A KR 1020160029383A KR 20160029383 A KR20160029383 A KR 20160029383A KR 101762814 B1 KR101762814 B1 KR 101762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soning
unit
bundle
conveyor
fee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9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두상수
Original Assignee
두솔메카트로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솔메카트로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솔메카트로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29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28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2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2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10Sequence control of conveyors operating in combi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02Agricultural and processed food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33Position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41Quantity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mmon features for more than one conveyor kind or type
    • B65G2811/06Devices controlling the relative position of articles
    • B65G2811/0673Control of conveying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1Conveyors composed of several types of conveyors
    • B65G2812/012Conveyors composed of several types of conveyors for conveying material successively by a series of conveyors
    • B65G2812/013Conveyors composed of several types of conveyors for conveying material successively by a series of conveyors without relative movement between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계수기에서 계수 및 적층된 상태의 조미김 다발을 연속적으로 옮겨 나르고, 그 조미김 다발의 이동 위치를 감지하는 제1 및 제2센서가 장착된 송급부; 상기 송급부의 이송 방향 끝에 설치되어 그 송급부에 의해 이동하는 조미김 다발을 선택적으로 선별하여 상기 송급부의 상측에 개별 단위로 쌓아 올리는 적치부; 상기 송급부의 이송 방향 가운데에 인접 설치되어 그 송급부에서 조미김 다발을 전달받아 옮겨 나르고, 조미김 다발의 이동 위치를 감지하는 제3센서가 장착된 대기부; 및 상기 송급부와 상기 대기부 상에 위치되는 조미김 다발을 각각 감지하는 상기 제1 내지 제3센서의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송급부의 조미김 다발을 상기 적치부에 쌓아 올리도록 상기 적치부를 한 스텝 상승 작동시키거나 혹은 상기 적치부에 쌓인 조미김 다발을 상기 송급부에 내려놓도록 상기 적치부를 한 스텝 하강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조미김 가공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조미김 가공장치{OVERHEAD EQUIPMENT OF SEASONED LAVER}
본 발명은 조미김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계수기에서 계수하여 여러 장을 층층이 쌓은 조미김 다발을 포장이나 절단 등의 후속 공정을 위한 작업라인으로 일정한 속도 및 간격으로 이송함으로써 작업능률 및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조미김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김은 단백질과 비타민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서 영양이 풍부한 식품으로 오늘날 생김, 마른 김, 구운 김 등 다양한 형태로 먹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 사람들은 밥을 주식으로 하는 식생활문화의 특성과 별도의 조리과정이 필요 없는 편리함으로 인해 대개 온장(전장) 그대로인 마른 김의 양면에 기름, 조미료, 향신료, 소금 등을 발라서 굽거나 혹은 이를 먹기에 적당한 크기로 자른 이른바 조미김을 선호하고 있다.
근래에는 이러한 조미김의 가공을 자동화하는 장치에 관한 다양한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65217호에 조미김 가공을 위한 자동화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투입부(10), 정렬부(20), 전환부(30), 공급부(40), 적재부(50) 및 이송부(60)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투입부(10)는 모터(13)에 의해 회전하여 조미김(L)을 이송하는 도입롤러(15) 및 상기 도입롤러(15)에 의해 이송되는 조미김(L)의 수를 검출하는 카운터센서(17)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정렬부(20)는 도입롤러(15)에 인접 설치되어 조미김(L)을 바르게 이송하는 안내판(21)과, 상기 안내판(21)의 절개홈(21a)을 통하여 조미김(L)을 받아서 회전하는 김받이봉(23)과, 조미김(L)의 양면에 접촉되는 정렬판(25)과, 상기 정렬판(25)을 요동시키는 정렬실린더(27)와, 조미김(L)이 얹히는 정리판(28)과, 상기 정리판(28) 위에 조미김(L)이 가지런히 놓이도록 정리판(28)을 요동시키는 링크(29a)와, 상기 링크(29a)를 상하로 요동시키는 모터(29b)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전환부(30)는 이송롤러(31)에 의해 이송되는 조미김(L)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전환구(32) 및 유도롤(33)와, 조미김(L)의 양면에 접촉되는 정렬판(38)과, 상기 정렬판(38)을 요동시키는 정렬실린더(39)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공급부(40)는 조미김(L)을 순차적으로 이송하는 공급벨트(43)와, 상기 공급벨트(43)에 연접하여 조미김(L)을 밀대(45)로 이송하는 공급컨베이어(47)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적재부(50)는 공급부(40) 상에 위치하는 조미김(L)을 승강판(51)으로 로딩하여 적재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이송부(60)는 상기 공급부(40)와 이송 방향을 바꾸어 조미김(L)을 포장기나 절단기 등의 후속공정을 위한 장치로 이송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 중에서 적재부(5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미김(L)을 적재하여 승강 가능하게 공급벨트(43) 상에 설치되는 승강판(51)과, 상기 승강판(51)을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52)와, 상기 승강판(51) 위에 얹힌 조미김(L)의 양면을 클램핑하는 홀딩판(53)과, 상기 홀딩판(53)을 구동하는 홀딩실린더(54)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적재부(50)는 조미김(L)의 공급량을 검출하는 검출센서(55a)(55b)와, 상기 검출센서(55a)(55b)의 신호에 따라 조미김(L)의 공급량을 제한하는 스토퍼(56)(57)와, 상기 스토퍼(56)(57)를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58)(59)가 구비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적재부(50)는 검출센서(55a)(55b)의 센싱 신호에 따라 투입부(10)와 공급부(40)를 통해 이송되는 조미김(L)이 정해진 양보다 많으면, 이를 위쪽으로 들어올려서 홀딩판(53)에 적재함으로써 단순히 이송부(60)로 공급되는 조미김(L)의 공급량을 줄이는 것에 불과하여 이송 속도 및 간격이 일정하지 못한 데다 홀딩판(53)에 일정량 이상으로 조미김(L)이 쌓이면 이를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빼내어 투입부(10) 등으로 옮겨야 하는 번거로움과 수고로움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그뿐만 아니라 조미김(L)이 공급부(40)의 복수 개 라인을 통해 동시에 이송부(60)로 이송되는 구조적 특성상 하나의 라인에서 이송부(60)로 이송된 조미김(L)과 인접하는 다른 라인에서 이송부(60)로 이송되는 조미김(L) 간의 잦은 충돌이 발생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공급부(40)의 적어도 한 라인의 작동을 일시적으로 멈추어야 하는데, 이러한 이송 대기시간으로 인해 조미김(L)의 이송 속도 및 간격이 규칙적이지 못함은 물론 공급부(40)에 조미김(L)이 적체되면 홀딩판(53)에 쌓이는 조미김(L)의 양도 많아져 작업능률 및 생산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한계가 있다.
KR 1020150135926 A(2015.12.04) KR 101459930 B1(2014.11.03) KR 101565217 B1(2015.10.27) KR 101103380 B1(2011.12.30)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기존의 조미김 가공장치가 지닌 한계 및 문제점의 해결에 역점을 두어 조미김 다발을 일정한 속도 및 간격으로 이송함으로써 작업능률 및 생산성을 높이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조미김 가공장치를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서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조미김 다발을 일정한 속도 및 간격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조미김 가공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의 해결 및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양태에 따른 구체적 수단은, 여러 장의 조미김을 계수 및 적층하는 계수기에서 계수 및 적층된 상태의 조미김 다발을 연속적으로 옮겨 나르고, 그 조미김 다발의 이동 위치를 감지하는 제1 및 제2센서가 장착된 송급부; 상기 송급부의 이송 방향 가운데에 설치되어 그 송급부에 의해 이동하는 조미김 다발을 선택적으로 선별하여 상기 송급부의 상측에 개별 단위로 쌓아 올리는 적치부; 상기 송급부의 이송 방향 끝에 인접 설치되어 그 송급부에서 조미김 다발을 전달받아 옮겨 나르고, 조미김 다발의 이동 위치를 감지하는 제3센서가 장착된 대기부; 상기 대기부의 이송 방향 끝에 인접 설치되어 그 대기부에서 조미김 다발을 전달받아 이송 방향을 전환하여 옮겨 나르는 이송부; 및 상기 송급부와 상기 대기부 상에 위치되는 조미김 다발을 각각 감지하는 상기 제1 내지 제3센서의 감지 신호가 있으면 상기 송급부의 이송 방향 끝에 위치되는 조미김 다발을 상기 적치부에 쌓아 올리도록 상기 적치부를 한 스텝 상승 작동시키고, 상기 제1 내지 제3센서의 감지 신호가 없으면 상기 적치부에 쌓인 조미김 다발을 상기 송급부의 이송 방향 가운데에 내려놓도록 상기 적치부를 한 스텝 하강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미김 가공장치를 제시한다.
이로써 조미김 다발을 일정한 속도 및 간격으로 이송할 수 있어 작업능률 및 생산성을 높이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급부와 상기 대기부 상에 위치되는 조미김 다발을 각각 감지하는 상기 제1 내지 제3센서의 감지 신호가 있으면 상기 송급부의 구동을 정지시킨 후 상기 적치부를 한 스텝 상승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 상기 이송부는 조미김 다발의 이동 위치를 감지하는 제4센서가 장착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송부 상에 위치되는 조미김 다발을 감지하는 상기 제4센서의 감지 신호가 있으면 상기 대기부의 작동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키고, 상기 제4센서의 감지 신호가 없으면 상기 대기부의 작동 정지를 해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 상기 송급부는 제1모터에 의해 구동하여 조미김 다발을 일정한 거리 사이를 자동으로 연속 운반하는 제1벨트 컨베이어와, 상기 제1벨트 컨베이어의 이송 방향 끝에 인접 설치되고 상기 제1모터에 의해 연동하여 상기 조미김 다발을 일정한 거리 사이를 자동으로 연속 운반하는 롤러 컨베이어 및 상기 롤러 컨베이어의 이송 방향 끝에 인접 설치되고 상기 제1모터에 의해 상기 제1벨트 컨베이어 및 상기 롤러 컨베이어와 연동하여 조미김 다발을 일정한 거리 사이를 자동으로 연속 운반하는 제2벨트 컨베이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 상기 적치부는 제2모터에 의해 구동하여 상기 롤러 컨베이어 위에 위치되는 조미김 다발을 상기 롤러 컨베이어의 롤러들 사이를 통해 상승하는 다수 개의 드래그로 들어올려서 개별 단위로 층층이 쌓아 올리거나 그 드래그에 의해 층층이 쌓인 조미김 다발을 개별 단위로 하나씩 상기 롤러 컨베이어의 위에 내려놓는 엘리베이팅 컨베이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 상기 적치부는 상기 엘리베이팅 컨베이어에 일정 높이 이상으로 쌓이는 조미김 다발을 감지하여 카운터하는 제6센서가 장착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6센서에서 조미김 다발의 적층 한도 임박 및 초과를 알리는 신호가 있으면 상기 엘리베이팅 컨베이어가 상승 작동하지 못하도록 상기 제2모터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 상기 대기부는 상기 제2벨트 컨베이어의 이송 방향 끝에 설치되고 제3모터에 의해 구동하여 일정한 거리를 순환하는 패들이 상기 제2벨트 컨베이어에서 전달받은 조미김 다발을 상기 이송부로 밀어내어 운반하는 푸셔 컨베이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의 해결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 및 구성을 갖춘 본 발명의 실시 양태는, 계수기에서 계수하여 여러 장을 층층이 쌓은 조미김 다발을 포장이나 절단 등을 위한 후속 공정을 위한 작업라인으로 일정한 속도 및 간격으로 원활하게 이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와 달리 적치부에서 조미김을 빼내는 작업에 소요되는 인력과 일시로 운전을 정지할 필요가 없는 등 완전 자동화를 구현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조미김 가공의 작업능률과 작업효율성은 물론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5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조미김 가공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미김 가공장치 및 이와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계수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미김 가공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미김 가공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미김 가공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미김 가공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미김 가공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아울러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어떠한 "부" 및 "유닛"의 용어에 대한 의미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 또는 모듈 형태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혹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미김 가공장치는 낱장의 조미김을 계수하여 여러 장 쌓아 일정 수량의 다발 형태로 송급하는 계수기(C)와 이를 전달받아 후속 공정으로 운반하는 이송부(400)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것으로, 크게 송급부(100), 적치부(200), 대기부(300) 및 제어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도 6 내지 도 12에서는 송급부(100)와 적치부(200) 및 대기부(300)가 평행하게 한 쌍으로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설치공간 등을 고려하여 이송부(400)의 이송 방향을 따라 각각 그 하나씩만 일렬로 설치할 수도 있고, 아울러 여러 개의 송급부(100)와 적치부(200) 및 대기부(300)를 나란하게 배열하여 설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 송급부 >
송급부(100)는 일정 거리를 직선 궤도 운동하여 계수기(C)에서 계수 및 적층된 상태의 조미김 다발(L)을 대기부(300) 쪽으로 하나씩 연속적으로 옮겨 나른다.
그리고 송급부(100)에는 조미김 다발(L)의 이동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제1 및 제2센서(S1)(S2)가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송급부(100)는 형강, 봉재 등의 프레임을 일정 형태로 결합하여 골격을 이루는 베드(bed)에 의해 떠받쳐진 채로 제1모터(M1)의 구동에 의해 작동하여 조미김 다발(L)을 일정한 거리 사이를 자동으로 연속 운반하는 제1벨트 컨베이어(110)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제1벨트 컨베이어(110)의 이송 방향 끝에 연결 설치되고 형강, 봉재 등의 프레임을 일정 형태로 결합하여 골격을 이루는 베드에 떠받쳐진 채로 제1모터(M1)의 구동에 의해 제1벨트 컨베이어(110)와 연동하여 조미김 다발(L)을 제1벨트 컨베이어(110)에서 전달받아 일정한 거리 사이를 자동으로 연속 운반하는 롤러 컨베이어(120)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롤러 컨베이어(120)의 이송 방향 끝에 연결 설치되고 형강, 봉재 등의 프레임을 일정 형태로 결합하여 골격을 이루는 베드에 떠받쳐진 채로 제1모터(M1)의 구동에 의해 작동하여 조미김 다발(L)을 일정한 거리 사이를 자동으로 연속 운반하는 제2벨트 컨베이어(130)가 구비되어 있다.
즉, 제1벨트 컨베이어(110)는 계수기(C)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제어부(5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제1모터(M1)의 구동에 의해 조미김 다발(L)을 궤도 운동으로 하나씩 롤러 컨베이어(120)로 운반하고, 롤러 컨베이어(120)는 제1벨트 컨베이어(110)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제어부(5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제1모터(M1)의 구동에 의해 조미김 다발(L)을 궤도 운동으로 하나씩 제2벨트 컨베이어(130)로 운반하며, 제2벨트 컨베이어(130)는 롤러 컨베이어(120)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제어부(5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제1모터(M1)의 구동에 의해 조미김 다발(L)을 궤도 운동으로 하나씩 푸셔 컨베이어(320)로 운반한다.
또한, 제1벨트 컨베이어(110)와 롤러 컨베이어(120) 및 제2벨트 컨베이어(130)는 제1 및 제2센서(S1)(S2)의 조미김 다발(L) 위치 감지 신호에 의해 발생하는 제어부(5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제1모터(M1)가 정지되면 일정시간 동안 조미김 다발(L)의 운반을 정지한다.
여기서 제1 및 제2벨트 컨베이어(110)(130)는 전동기(제1모터)의 회전축에 직접 연결되거나 체인과 스프로킷 또는 벨트와 벨트 풀리 등의 동력전달장치나 전동장치에 의해 연결된 구동롤러와, 이 구동롤러와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종동롤러 및 구동롤러와 종동롤러의 외주면을 감아 걸어 상호 연결하면서 순환 운동하는 엔들리스 벨트 등으로 이루어져 전동기로부터 조미김 다발(L)의 운반에 필요한 구동력을 전달받아 벨트를 순환시키는 무한궤도 운동하는 전동식 벨트 컨베이어 구조를 채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아울러 롤러 컨베이어(120)는 여러 개의 롤러를 좁은 간격으로 나열하고, 그 롤러 자체가 제1모터(M1)의 회전축에 직접 연결되거나 체인과 스프로킷 또는 벨트와 벨트 풀리 등의 동력전달장치나 전동장치에 의해 연결되어 제1모터(M1)의 구동력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하는 동력식 롤러 컨베이어를 채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센서(S1)는 제1벨트 컨베이어(110)에 근접 장착되어 조미김 다발(L)이 일정 거리 범위 내에 근접하면 이를 감지하여 송급부(100)의 작동 제어와 적치부(200)의 작동 제어 등을 위한 전기적인 신호를 제어부(500)로 출력한다.
또한, 제2센서(S2)는 롤러 컨베이어(120)에 근접 장착되어 조미김 다발(L)이 일정 거리 범위 내에 근접하면 이를 감지하여 송급부(100)의 작동 제어와 적치부(200)의 작동 제어 등을 위한 전기적인 신호를 제어부(500)로 출력한다.
한편, 송급부(100)의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양쪽 가장자리에는 조미김 다발(L)의 원활한 이동을 안내하여 이동 중에 송급부(100)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탈선방지가드(G)가 구비될 수 있다.
< 적치부 >
적치부(200)는 송급부(100)에 의해 이동하는 조미김 다발(L)을 제어부(500)의 제어에 따라 선택적으로 선별하여 임시로 송급부(100)의 상측에 개별 단위(조미김 다발별)로 쌓아 올리도록 송급부(100)의 이송 방향 가운데에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적치부(200)는 형강, 봉재 등의 프레임을 일정 형태로 결합하여 골격을 이루는 베드에 떠받쳐진 채로 제2모터(M2)의 구동에 의해 한 스텝씩 작동하여 롤러 컨베이어(120) 위에 위치되는 조미김 다발(L)을 그 롤러 컨베이어(120)의 롤러들 사이사이 틈을 통해 상승하는 다수 개의 드래그(211)로 들어올려서 개별 단위로 층층이 쌓아 올리거나 그 드래그(211)에 의해 층층이 쌓인 조미김 다발(L)을 개별 단위로 하나씩 롤러 컨베이어(120)의 위에 내려놓는 엘리베이팅 컨베이어(210)로 이루어져 있다.
즉, 엘리베이팅 컨베이어(210)는 롤러 컨베이어(120)의 옆쪽에 인접 설치되어 제어부(5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제2모터(M2)의 구동에 의해 상하로 궤도 운동하면서 그 여러 개의 드래그(211) 위에 조미김 다발(L)을 하나씩 순차적으로 로딩(loading)하여 층층이 쌓아두거나 롤러 컨베이어(120) 위에 하나씩 순차적으로 내려놓아 대기부(300)로 언로딩(unliading)하여 보낸다.
여기서 엘리베이팅 컨베이어(210)는 전동기(제2모터)의 회전축에 직접 연결되거나 체인과 스프로킷 또는 벨트와 벨트 풀리 등의 동력전달장치나 전동장치에 의해 연결된 구동롤러와, 이 구동롤러와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종동롤러 및 구동롤러와 종동롤러의 외주면을 감아 걸어 상호 연결하면서 순환 운동하는 슬래트 및 이 슬래트에 일정 간격을 두고 마치 포크처럼 고정된 드래그(211) 등으로 이루어져 전동기로부터 조미김 다발(L)의 운반에 필요한 구동력을 전달받아 슬래트와 드래그(211)를 동시에 순환시키는 무한궤도 운동하는 전동식 슬래트 컨베이어 구조를 채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적치부(200)에는 엘리베이팅 컨베이어(210)의 드래그(211) 이동 위치를 감지하는 제5센서(S5)가 장착되어 있다.
즉, 엘리베이팅 컨베이어(210)의 한 스텝 작동에 필요한 이동거리는 드래그(211)의 이동 위치를 감지하는 제5센서(S5)의 감지신호에 의해 제어부(500)가 제2모터(M2)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한 스텝씩, 즉 조미김 다발(L)을 한층씩 들어올리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적치부(200)에는 일정 높이 이상으로 쌓이는 조미김 다발(L)을 감지하여 카운터하기 위한 제6센서(S6)가 장착되어 있다.
즉, 제6센서(S6)는 엘리베이팅 컨베이어(210)에 근접 장착되어 조미김 다발(L)이 일정 높이 내에 근접하면 이를 감지하여 카운터하고, 엘리베이팅 컨베이어(210)의 작동 제어 등을 위한 전기적인 신호를 제어부(500)로 출력한다.
한편, 적치부(200)의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양쪽 가장자리에는 조미김 다발(L)이 승강 이동 중에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탈선방지가드(G)가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적치부(200)는 조미김 다발(L)이 승강 이동 중에 전방으로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약간 비스듬하게 기울어지거나 상방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져 그 드래그(211)들의 자유단부가 상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 대기부 >
대기부(300)는 송급부(100)에서 조미김 다발(L)을 전달받아 옮겨 나르도록 송급부(100)의 이송 방향 끝에 인접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대기부(300)에는 조미김 다발(L)의 이동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제3센서(S3)가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대기부(300)는 제2벨트 컨베이어(130)의 이송 방향 끝에 인접 설치되고 형강, 봉재 등의 프레임을 일정 형태로 결합하여 골격을 이루는 베드에 떠받쳐진 채로 제3모터(M3)의 구동에 의해 작동하고, 체인전동기구 등과 같이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수단에 장착되어 일정한 거리를 순환하는 패들(321)이 제2벨트 컨베이어(130)에서 전달받은 조미김 다발(L)을 이송부(400)로 밀어내어 운반하는 푸셔 컨베이어(320)가 구비되어 있다.
즉, 푸셔 컨베이어(320)는 송급부의 제2벨트 컨베이어(130)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제어부(5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제3모터(M3)의 구동에 의해 조미김 다발(L)을 궤도 운동하면서 그 패들(321)이 조미김 다발(L)을 하나씩 이송부(400)로 밀어낸다.
또한, 푸셔 컨베이어(320)는 제3센서(S3)의 조미김 다발(L) 위치 감지 신호에 의해 발생하는 제어부(5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제3모터(M3)가 정지되면 일정시간 동안 조미김 다발(L)의 운반을 정지한다.
여기서 푸셔 컨베이어(320)는 다수의 캐리어나 혹은 패들(321) 등이 체인전동기구 등과 같이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수단에 일정 간격으로 장착되어 궤도 순환 운동에 따라 조미김 다발(L)을 하나씩 밀어서 일정한 속도 및 간격으로 이송하는 구조를 채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제1 내지 제3모터(M1)(M2)(M3)로는 제어신호에 따른 전압 입력을 회전각으로 바꾸어 정지 및 반전 동작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서보 모터나 일정 각도만큼 회전하는 스텝 모터를 채용할 수 있고, 그밖에 모터의 회전수를 감속하여 구동에 필요한 힘으로 출력하도록 조절하는 감속기를 포함하는 기어드 모터를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대기부(300)의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양쪽 가장자리에는 조미김 다발(L)의 원활한 이동을 안내하여 이동 중에 송급부(100)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탈선방지가드(G)가 구비될 수 있다.
< 이송부 >
이송부(400)는 대기부(300)의 이송 방향 끝에 인접 설치되어 그 대기부(300)에서 조미김 다발(L)을 전달받아 대기부(300)의 이송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송 방향을 전환하여 포장, 절단 등의 후속 공정을 위한 작업라인으로 옮겨 나른다.
그리고 이송부(400)는 조미김 다발(L)의 이동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제4센서(S4)가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이송부(400)는 다수의 캐리어나 혹은 패들 등이 체인전동기구 등과 같이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수단에 일정 간격으로 장착되어 조미김 다발(L)을 밀어서 일정한 속도 및 간격으로 이송하는 공지의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제어부>
제어부(500)는 전원 및 동작 제어 등을 위한 스위치 개폐 신호 및 제1 내지 제6센서(S1)(S2)(S3)(S4)(S5)(S6)로부터 조미김 다발(L)의 위치 감지 신호를 각각 수신받고, 이를 기초로 하여 미리 입력된 설정 프로그램에 의해 제1 내지 제3모터(M1)(M2)(M3)의 순차적인 작동과 함께 전반적인 가동을 설정 및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00)는 제1 내지 제4센서(S1)(S2)(S3)(S4)로부터 조미김 다발(L)의 감지 신호가 있고, 계수기(C)에 장착되어 조미김의 낱장 수를 카운트하는 계수센서에 의한 조미김 다발(L)의 계수 및 적층 완료 신호가 있으면 제2모터(M2)를 한 스텝 상승 작동으로 구동시켜 송급부(100)의 이송 방향 가운데에 위치되는 조미김 다발(L)을 적치부(200)에 쌓아 올리도록 제어하고, 제1 내지 제4센서(S1)(S2)(S3)(S4)로부터 조미김 다발(L) 감지 신호가 없으면 제2모터(M2)를 한 스텝 하강 작동으로 구동시켜 적치부(200)에 쌓인 조미김 다발(L)을 송급부(100)의 이송 방향 끝에 내려놓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500)는 제1 내지 제3센서(S1)(S2)(S3)로부터 조미김 다발(L)의 감지 신호가 있으면 제1모터(M1)의 구동을 정지시켜 송급부(100)의 작동을 멈춘 후, 제2모터(M2)을 구동시켜 적치부(200)를 한 스텝 상승 작동하도록 제어하고, 이후 제1모터(M1)를 구동시켜 제1센서(S1)에 위치하는 조미김 다발(L)을 제2센서(S2)가 감지하도록 이송한다.
또한, 제어부(500)는 제4센서(S4)로부터 이송부(400) 상에 위치하는 조미김 다발(L)의 감지 신호가 있으면 대기부(300)의 작동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키고, 제4센서(S4)로부터 이송부(400) 상에 위치하는 조미김 다발(L)의 감지 신호가 없으면 대기부(300)의 작동 정지를 해제하며, 이와 동시에 제3센서(S3)로부터 조미김 다발(L)의 감지 신호가 있으면 제3모터(M3)를 한 스텝 전진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500)는 제6센서(S6)로부터 엘리베이팅 컨베이어(210)에 일정 개수 및 높이 이상으로 쌓이는 조미김 다발(L)을 감지하는 신호가 있으면 엘리베이팅 컨베이어(210)가 더는 상승 작동하지 못하도록 제2모터(M2)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때, 제6센서(S6)가 제어부(500)에 보내는 신호는 1차 신호와 2차 신호로 구분하여 보냄으로써 1차 신호 발생 시에는 제어부(500)가 엘리베이팅 컨베이어(210)에 쌓인 조미김 다발(L)이 적층 한도 및 한계에 다다랐음을 작업자나 관리자에게 시각적으로나 혹은 청각적으로 경고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2차 신호 발생 시에는 제어부(500)가 제2모터(M2)의 구동을 강제로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500)는 송급부(100), 적치부(200), 대기부(30)의 이송 속도 및 이송을 위한 회전비와, 순환 이동거리, 이송에 소요되는 시간 등을 종합하여 각 구성요소 간의 작동 간섭이나 충돌없이 유기적으로 번갈아서 원활하게 작동하도록 설정 및 제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작동 및 연동관계는 전기적인 시퀀스에 의해 간단하게 응용 및 제어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제1 내지 제6센서(S1)(S2)(S3)(S4)(S5)(S6)로는 검출코일에 금속물체가 접근하면 전자유도작용에 의하여 검출코일에 접속된 발진회로의 발진 주파수나 발진 진폭이 변화하면서 스위칭 동작이 이루어지는 고주파 발진형 혹은 도체 전극을 가진 검출부에 피검지 물체가 접근하면 센서 부분의 정전용량이 크게 변화하는 현상을 이용한 정전용량형 혹은 물체가 근접한 것을 비접촉으로 감지하여 그 위치를 검출하는 광섬유 근접센서 또는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대향시켜 투과광을 검지하는 포토 센서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작용 및 작동원리>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미김 가공장치의 주요 작용 및 작동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계수기(C)에서 여러 장이 쌓여 이루는 하나의 조미김 다발(L)은 송급부의 제1벨트 컨베이어(110)의 작동에 의해 계수기(C)에서 자연스럽게 배출되어 롤러 컨베이어(120) 위로 운반되고, 이를 제1센서(S1)가 감지하면 제어부(500)로 조미김 다발(L)의 위치 감지 신호를 전송하고, 아울러 제2 내지 제4센서(S2)(S3)(S4)도 각각 제어부(500)로 조미김 다발(L)의 위치 감지 신호를 전송한다.
이때, 제3센서(S3)로부터 조미김 다발(L)의 위치 감지 신호가 없으면 제어부(500)는 제1모터(M1)를 구동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롤러 컨베이어(120) 위의 조미김 다발(L)을 제2벨트 컨베이어(130)를 통해 푸셔 컨베이어(320) 위로 바로 운반한다.
계속해서, 제4센서(S4)로부터 조미김 다발(L)의 위치 감지 신호가 없으면 제어부(500)는 제3모터(M3)를 구동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푸셔 컨베이어(320) 위의 조미김 다발(L)을 패들(321)로 밀어서 후속 공정 작업라인을 향하는 이송부(400)로 바로 운반한다.
이 과정에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벨트 컨베이어(110)와, 롤러 컨베이어(120) 및 푸셔 컨베이어(320)의 위에 각각 조미김 다발(L)이 위치됨으로써 제1 내지 제4센서(S1)(S2)(S3)(S4)로부터 동시에 조미김 다발(L)의 위치 감지 신호가 있으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500)는 제2모터(M2)를 상승 구동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이에 따라 적치부의 엘리베이팅 컨베이어(210)가 한 스텝 상승 작동한다.
이때, 엘리베이팅 컨베이어(210)에 장착된 마치 포크 모양의 드래그(211)가 송급부(100)의 이송 방향 가운데, 즉 롤러 컨베이어(120)의 롤러들 사이사이를 통과하면서 그 위에 위치되어 있는 조미김 다발(L)을 들어올려서 임시로 보관한다.
또한, 제4센서(S4)로부터 조미김 다발(L)의 위치 감지 신호가 있으면 제어부(500)는 제3모터(M3)의 구동을 정지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푸셔 컨베이어(320)의 작동을 일시 정지시킴으로써 조미김 다발(L)의 이동 완급을 조절 및 이송을 대기시키다가 제4센서(S4)로부터 조미김 다발(L)의 위치 감지 신호가 없으면 다시 제3모터(M3)를 구동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푸셔 컨베이어(320) 위의 조미김 다발(L)을 패들(321)로 밀어서 이송부(400)로 운반한다.
이러한 작동이 한번 이루어진 상태에서 제1 내지 제3센서(S1)(S2)(S3)로부터 동시에 조미김 다발(L)의 위치 감지 신호가 또 있으면 상술한 동작을 자동으로 반복 수행하여 적치부의 엘리베이팅 컨베이어(210)에 조미김 다발(L)을 개별 단위로 층층이 쌓아 올린다.
이때, 제6센서(S6)로부터 조미김 다발(L)의 적층 한도가 임박함을 알리는 1차 신호가 있으면 제어부(500)는 1차로 알람음 등을 제어하여 작업자나 관리자에게 경고하고, 이후, 제6센서(S6)로부터 조미김 다발(L)의 적층 한도를 초과하는 감지 신호가 있으면 제어부(500)는 제1 내지 제3센서(S1)(S2)(S3)로부터 동시에 조미김 다발(L)의 위치 감지 신호가 있더라도 제2모터(M)의 상승 작동을 구속함으로써 그 엘리베이팅 컨베이어(210)에 층층이 쌓인 조미김 다발(L)이 궤도의 한도를 넘어서 뒤집히거나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아울러 이상 작동이 발생하기 전에 작업자 및 관리자가 적절히 대응하여 조치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제1 내지 제3센서(S1)(S2)(S3)로부터 동시에 조미김 다발(L)의 위치 감지 신호가 없으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500)는 제2모터(M2)를 하강 구동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이에 따라 적치부의 엘리베이팅 컨베이어(210)가 한 스텝 하강 작동한다.
이렇게 되면 엘리베이팅 컨베이어(210)의 최하부에 쌓여 있던 조미김 다발(L)이 롤러 컨베이어(120)의 위에 자연스럽게 내려와 놓이고, 이와 동시에 제어부(500)는 제1모터(M1)를 구동시켜 롤러 컨베이어(120) 위의 조미김 다발(L)을 제2벨트 컨베이어(130)를 통해 푸셔 컨베이어(320) 위로 운반한다.
이러한 작동이 한번 이루어진 상태에서 제1 내지 제3센서(S1)(S2)(S3)로부터 동시에 조미김 다발(L)의 위치 감지 신호가 또 없으면 상술한 동작을 자동으로 반복 수행하여 적치부의 엘리베이팅 컨베이어(210)에 쌓인 개별 단위의 조미김 다발(L)을 롤러 컨베이어(120)의 위에 내려 놓는다.
이처럼 순차적인 작동을 반복적으로 자동 수행함으로써 계수기(C)에서 이송부(400)로 조미김 다발(L)을 일정한 속도 및 간격으로 원활하게 송급할 수 있다.
따라서 계수기(C)에서 계수하여 여러 장을 층층이 쌓은 조미김 다발(L)을 포장이나 절단 등의 후속 공정을 위한 작업라인으로 이송하는 대량 작업에 따른 작업능률을 크게 높이고 노동력과 시간을 줄여 원가 절감은 물론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0: 송급부 110: 제1벨트 컨베이어
120: 롤러 컨베이어 130: 제2벨트 컨베이어
200: 적치부 210: 엘리베이팅 컨베이어
211: 드래그 300: 대기부
320: 푸셔 컨베이어 321: 패들
400: 이송부 500: 제어부

Claims (7)

  1. 여러 장의 조미김을 계수 및 적층하는 계수기에 연결 설치되는 조미김 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계수기에서 계수 및 적층된 상태의 조미김 다발을 롤러 컨베이어 위로 연속 운반하며, 그 조미김 다발의 이동 위치를 감지하는 제1 및 제2센서가 장착된 송급부;
    상기 송급부의 이송 방향 가운데에 설치되어 상기 송급부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롤러 컨베이어 위에 위치되는 조미김 다발을 선택적으로 상기 롤러 컨베이어의 롤러들 사이를 통해 승강하는 다수 개의 드래그로 들어올려서 상기 송급부의 상측에 개별 단위로 층층이 쌓아 올리거나 상기 드래그에 의해 층층이 쌓인 조미김 다발을 개별 단위로 하나씩 상기 롤러 컨베이어의 위에 내려놓는 적치부;
    상기 송급부의 이송 방향 끝에 인접 설치되어 그 송급부에서 조미김 다발을 전달받아 옮겨 나르고, 조미김 다발의 이동 위치를 감지하는 제3센서가 장착된 대기부; 및
    상기 송급부와 상기 대기부 상에 위치되는 조미김 다발을 각각 감지하는 상기 제1 내지 제3센서의 감지 신호가 있으면 상기 송급부의 이송 방향 가운데에 위치되는 조미김 다발을 상기 적치부에 쌓아 올리도록 상기 적치부의 드래그를 한 스텝 상승 작동시키고, 상기 제1 내지 제3센서의 감지 신호가 없으면 상기 적치부에 쌓인 조미김 다발을 상기 송급부 위에 내려놓도록 상기 적치부의 드래그를 한 스텝 하강 작동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조미김 가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급부와 상기 대기부 상에 위치되는 조미김 다발을 각각 감지하는 상기 제1 내지 제3센서의 감지 신호가 있으면 상기 송급부의 구동을 정지시킨 후 상기 적치부를 한 스텝 상승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미김 가공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부의 이송 방향 끝에 인접 설치되어 그 대기부에서 조미김 다발을 전달받아 이송 방향을 전환하여 옮겨 나르는 이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는 조미김 다발의 이동 위치를 감지하는 제4센서가 장착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송부 상에 위치되는 조미김 다발을 감지하는 상기 제4센서의 감지 신호가 있으면 상기 대기부의 작동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키고, 상기 제4센서의 감지 신호가 없으면 상기 대기부의 작동 정지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미김 가공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급부는 제1모터에 의해 구동하여 조미김 다발을 일정한 거리 사이를 자동으로 연속 운반하는 제1벨트 컨베이어;
    상기 제1벨트 컨베이어의 이송 방향 끝에 인접 설치되고, 상기 제1모터에 의해 그 제1벨트 컨베이어와 연동하여 상기 조미김 다발을 일정한 거리 사이를 자동으로 연속 운반하는 롤러 컨베이어; 및
    상기 롤러 컨베이어의 이송 방향 끝에 인접 설치되고, 상기 제1모터에 의해 상기 제1벨트 컨베이어 및 상기 롤러 컨베이어와 연동하여 조미김 다발을 일정한 거리 사이를 자동으로 연속 운반하는 제2벨트 컨베이어;
    를 포함하는 조미김 가공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치부는 제2모터에 의해 구동하여 상기 롤러 컨베이어 위에 위치되는 조미김 다발을 상기 롤러 컨베이어의 롤러들 사이를 통해 상승하는 상기 드래그로 들어올려서 개별 단위로 층층이 쌓아 올리거나 상기 드래그에 의해 층층이 쌓인 조미김 다발을 개별 단위로 하나씩 상기 롤러 컨베이어의 위에 내려놓는 엘리베이팅 컨베이어;
    를 포함하는 조미김 가공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치부는 상기 엘리베이팅 컨베이어에 일정 높이 이상으로 쌓이는 조미김 다발을 감지하여 카운트하는 제6센서가 장착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6센서의 신호가 있으면 상기 엘리베이팅 컨베이어가 상승 작동하지 못하도록 상기 제2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미김 가공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부의 이송 방향 끝에 인접 설치되어 그 대기부에서 조미김 다발을 전달받아 이송 방향을 전환하여 옮겨 나르는 이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대기부는 상기 제2벨트 컨베이어의 이송 방향 끝에 설치되고 제3모터에 의해 구동하여 일정한 거리를 순환하는 패들이 상기 제2벨트 컨베이어에서 전달받은 조미김 다발을 상기 이송부로 밀어내어 운반하는 푸셔 컨베이어;
    를 포함하는 조미김 가공장치.
KR1020160029383A 2016-03-11 2016-03-11 조미김 가공장치 KR101762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9383A KR101762814B1 (ko) 2016-03-11 2016-03-11 조미김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9383A KR101762814B1 (ko) 2016-03-11 2016-03-11 조미김 가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2814B1 true KR101762814B1 (ko) 2017-07-28

Family

ID=59422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9383A KR101762814B1 (ko) 2016-03-11 2016-03-11 조미김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281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2513B1 (ko) 2017-11-09 2018-11-28 두솔메카트로닉스 주식회사 도시락김 가공용 조미김 자동공급장치
KR20190052873A (ko) 2017-11-09 2019-05-17 두상수 카드형 방습제 자동투입장치
KR20190097542A (ko) 2018-02-12 2019-08-21 주아스(주) 조미김 가공용 절단 장치
KR20200082274A (ko) * 2018-12-28 2020-07-08 강신탁 김 건조율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키는 김 공급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930B1 (ko) 2013-07-20 2014-11-07 강신탁 김 가공을 위한 자동화장치
KR101565217B1 (ko) * 2013-07-20 2015-11-02 강신탁 조미김 가공을 위한 자동화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930B1 (ko) 2013-07-20 2014-11-07 강신탁 김 가공을 위한 자동화장치
KR101565217B1 (ko) * 2013-07-20 2015-11-02 강신탁 조미김 가공을 위한 자동화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2513B1 (ko) 2017-11-09 2018-11-28 두솔메카트로닉스 주식회사 도시락김 가공용 조미김 자동공급장치
KR20190052873A (ko) 2017-11-09 2019-05-17 두상수 카드형 방습제 자동투입장치
KR20190097542A (ko) 2018-02-12 2019-08-21 주아스(주) 조미김 가공용 절단 장치
KR20200082274A (ko) * 2018-12-28 2020-07-08 강신탁 김 건조율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키는 김 공급장치
KR102175050B1 (ko) * 2018-12-28 2020-11-05 강신탁 김 건조율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키는 김 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2814B1 (ko) 조미김 가공장치
US7201554B2 (en) High-speed stacker
CN110558833B (zh) 食材烹饪设备和食材烹饪方法
KR101565217B1 (ko) 조미김 가공을 위한 자동화장치
KR101922513B1 (ko) 도시락김 가공용 조미김 자동공급장치
CN110834934A (zh) 一种曲轴式垂直提升机构及工作方法
US622042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items from a conveyor
CN209258533U (zh) 一种蛋托自动堆叠机
CN218809100U (zh) 一种码垛机
CN109693944B (zh) 一种龙骨自动包装码垛设备及方法
KR101459930B1 (ko) 김 가공을 위한 자동화장치
KR102491686B1 (ko) 절단김 자동이송장치
KR200344111Y1 (ko) 구이김 가공 자동화 시스템
CN203833292U (zh) 铁皮送料及集料装置
KR20140091232A (ko) 물품 자동 적재 장치
US7014414B2 (en) Bale stacker
CN210655095U (zh) 一种自动托盘翻转装置
CN208964104U (zh) 一种高位拆垛机
CN203332996U (zh) 用于码放物品的装置
US2017007139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atch cooking in continuous automated plant
CN220222710U (zh) 一种料盒拆码垛设备
CN116767781B (zh) 一种固定托盘循环线
CN213386353U (zh) 一种木材搬运装置
CN219193787U (zh) 一种拆垛装置
CN109095192A (zh) 一种高位拆垛机及其工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