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2274A - 김 건조율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키는 김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김 건조율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키는 김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2274A
KR20200082274A KR1020180172703A KR20180172703A KR20200082274A KR 20200082274 A KR20200082274 A KR 20200082274A KR 1020180172703 A KR1020180172703 A KR 1020180172703A KR 20180172703 A KR20180172703 A KR 20180172703A KR 20200082274 A KR20200082274 A KR 202000822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eed
laver
conveyor
dry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2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5050B1 (ko
Inventor
강신탁
강석준
Original Assignee
강신탁
강석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신탁, 강석준 filed Critical 강신탁
Priority to KR1020180172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5050B1/ko
Publication of KR20200082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22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5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5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02Agricultural and processed food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33Position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66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load carrier(s)
    • B65G2203/0283Position of the load c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4Combination of convey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dible Seawee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기를 통해 1차 가공된 다수개의 김(L)을 2차 가공을 위해 건조기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김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김(L)의 이송이 가능하게 컨베이어(11)를 구비하고, 끝단에 김(L)을 감지하여 이송되는 김(L)의 순간 정지와 공급 시기를 결정하는 공급수단(12)을 구비하는 컨베이어부(10); 상기 컨베이어(10)의 하류에 수평방향으로 공급된 김(L)을 수직방향으로 수용하여 이송하는 수납판(21)을 구비하고, 수용된 김(L)을 정렬하는 정렬수단(22)을 구비하는 1차이송부(20); 및 상기 1차이송부(20)의 하류에 공급된 김(L)을 작업자(W)가 이송되는 적재판(31)으로 이동시키면서 적재판(31)에 수용된 김(L) 사이에 공간 확보와 제습이 가능하게 간지(32)를 구비하여 건조기로 이송하는 2차이송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잘게 절단된 김을 사각틀에 수용한 상태로 건조하는 1차 가공으로 완성된 김이 2차 가공을 위해 건조기로 자동 이송이 가능함에 따라 편의성이 증진되고, 최소한의 작업자로 작업을 이루어질 수 있어 작업성의 향상과 함께 적은 수분으로도 상할 수 있는 김을 빠른 시간 내에 건조기로 이송을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김 건조율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키는 김 공급장치{A laver supply system that efficiently improves the drying rate}
본 발명은 김 건조율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키는 김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잘게 절단된 김을 사각틀에 수용한 상태로 건조하는 1차 가공으로 완성된 김이 2차 가공을 위해 건조기로 자동 이송이 가능함에 따라 편의성이 증진되고, 최소한의 작업자로 작업을 이루어질 수 있어 작업성의 향상과 함께 적은 수분으로도 상할 수 있는 김을 빠른 시간 내에 건조기로 이송을 할 수 있는 김 건조율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키는 김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김(laver)은 보라털과에 속하는 해조(海藻)로 써, 단백질과 비타민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데 특히 마른 김 5장에 들어 있는 단백질은 달걀 1개분에 해당할 정도로 많으며, 김에 들어있는 비타민 C는 채소에 비해 안정성이 뛰어나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김은 김밥, 반찬, 김 스넥이나 김부각 등으로 다양한 음식으로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김은 바닷물에 자라기 때문에 많은 양의 염도와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어 세척을 통한 이물질 제거와 염분을 낮추는 작업을 시행하게 되고, 마구 엉킨 김을 풀어주면서 잘게 분쇄를 하게 된다. 이렇게 잘게 분쇄된 김은 사각틀에 맞춰서 자연 건조 또는 열풍 등의 건조를 시행하는 1차 가공을 시행하게 되는데 많은 양의 김의 보관 시 약간의 수분이라도 포함된다면 유통되기 전 짧은 시간 내에 부패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럼으로 이러한 1차 가공된 김을 더욱 더 건조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건조기로 이송하거나 단순한 컨베이어로 이송하기 때문에 많은 양의 김을 빠르게 이송하기 어려워 체계적인 건조가 필요하다.
일예로, 한국 등록특허 제1115596호에 따르면, '내부에 건조공간을 구비한 하우징과; 상기 건조공간으로 온풍을 공급하는 온풍공급부와; 상기 건조공간의 상부에 위치되고, 해태 성형부에 의해 해태가 성형된 발장을 이송하는 주이송체인으로부터 상기 발장을 전달받아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제1서브이송체인에 의해 순환시켜 상기 해태가 건조되게 하며, 상기 주이송체인으로 복귀시키는 제1건조부와; 상기 제1건조부로부터 상기 발장을 전달받아 상기 주이송체인을 통해 이송시키는 발장 중계부와; 상기 제1건조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건조공간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발장 중계부를 거쳐 이송되는 상기 발장을 상기 주이송체인으로부터 전달받아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제2서브이송체인에 의해 순환시켜 상기 해태가 재건조되게 하며, 상기 주이송체인으로 복귀시키는 제2건조부와; 상기 제1, 2서브이송체인을 간헐적으로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장은 상기 주이송체인 및 상기 제1,2서브이송체인에 간섭되고, 상호 이격되어 일체로 형성된 좌/우측 지지바와; 상기 좌/우측 지지바의 사이에 상기 좌/우측 지지바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다수 마련되고, 상기 해태가 성형되는 다수의 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건조부는 상기 건조공간의 상부에 위치되어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상기 제1서브이송체인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서브스프로킷과; 상기 제1서브이송체인이 상기 주이송체인에 근접되게 상기 제1서브이송체인의 타측을 지지하여 상기 주이송체인으로부터 상기 발장이 상기 제1서브이송체인에 전달되게 하는 제2서브스프로킷과; 상기 제1서브이송체인의 타측을 지지하되, 상기 제2서브스프로킷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1서브이송체인이 상기 주이송체인에 근접되게 하여 상기 제1서브이송체인으로부터 상기 발장이 상기 주이송체인에 전달되게 하는 제3서브스프로킷과; 상기 제1서브이송체인에 수직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서브이송체인과 상기 주이송체인이 근접된 위치에서 상기 주이송체인에 의해 이송된 상기 발장의 좌/우측 지지바를 간섭하여 상기 발장을 상기 제1서브이송체인으로 전달시키고, 수직하게 세워 이송시키는 다수의 수직바와; 상기 제1서브스프로킷을 감싸고 상기 제1서브스프로킷으로부터 상기 제3서브스프로킷으로 이동되는 경로를 따라 설치되며, 상기 발장의 좌측 지지바가 걸리어 상기 발장이 상기 제1서브이송체인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이송되게 하는 제1발장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발장중계부는 상기 제1건조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발장을 뒤집어 상기 제1서브이송체인에 전달전 상태로 복원시키도록 되어 있고, 상기 발장 중계부는 상기 제1건조부와 상기 제2건조부 사이를 지나는 상기 주이송체인이 상기 제1,2건조부의 사이에서 상기 제1 및 제2건조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만곡형을 형성하면서 이송될 수 있도록 상기 주이송체인을 지지하게 설치되어 만곡이송경로를 형성하는 다수의 만곡용 스프로킷과; 상기 만곡이송경로를 따라 만곡형으로 설치되며 상기 발장의 좌측 지지바가 걸리어 상기 주이송체인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발장의 좌측 지지바를 상기 만곡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되게 하는 주레일과; 상기 주레일의 상기 만곡이송경로에 대응되는 오목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발장의 좌측 지지바가 상기 주레일을 따라 이송되는 동안 상기 발장의 우측 지지바가 지속적으로 걸리어 상기 발장이 뒤집어지게 하는 역전레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태 건조장치.'를 제시한다.
하지만, 이러한 해태 건조장치는 발장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제1,2건조부를 순차적으로 지나 해태의 건조효율을 향상시킨다고 하지만 많은 양의 김이 적층된 상태로 이송되는 것만으로는 완벽한 건조가 이루어질 수 없어 부패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또 다른예로, 한국 등록특허 제1571646호에 따르면, '프레임(100)의 일측에 구비되고, 가로 세로 일정 크기로 가공된 후 적층된 김(10)을 흩어지지 않도록 하여 공급하는 공급부재(200), 상기 공급부재(200)로부터 공급된 김(10)을 일정 작업높이로 상승시켜 주도록 하는 승강부재(300), 상기 승강부재(300)에 의해 상승된 적층 김(10)으로부터 최상층의 김을 한 장씩 분리하여 상승시키는 흡착부재(400), 상기 흡착부재(400)에 의해 낱장으로 분리된 김을 이어받아 일 방향으로 이송하도록 하는 이송부재(600) 및 상기 각각의 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700)로 구성된 김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재(400)는, 공기를 압축하여 고압의 압축공기를 생성하는 콤프레셔(410); 상기 콤프레셔(410)로부터 연결되어 공급되는 공압에 의해 구동되도록 상기 프레임(100)의 상부에 연직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며, 연직방향으로 일정 스트로크 구동되는 리니어모터(430); 상기 리니어모터(430)의 하단 구동부에 고정설치되어 상하방향으로 구동되며, 상기 콤프레셔(410)로부터 공급되는 공압에 의해 형성되는 부분상승기류에 의해 김을 흡착하는 비접촉패드(500); 및 상기 제어부(700)의 제어에 따라 공압을 단속하여 상기 리니어모터(430)와 비접촉패드(500)가 주기적으로 구동되도록 하는 솔레노이드밸브(440); 로 구성되며, 상기 비접촉패드(500)는, 콤프레셔(410)로부터 공급되는 공압관을 연결하도록 상부 중앙에 공압주입부가 구비된 상부몸체(510); 상기 상부몸체(510)와 밀착 결합되며, 중앙홀(521)이 관통되게 천공되고, 상기 중앙홀(521)의 내부에 단턱부(522)를 구비한 하부몸체(520); 상기 하부몸체(520)의 중앙홀(521)에 삽입설치되는 것으로 상단 모서리부에는 O-링삽입단턱(531)이 형성되며, 상기 중앙홀(521)의 단턱부(522)에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플랜지(532)와 중앙지지봉(533)이 구비되고, 상기 중앙 지지봉(533)의 둘레를 통하여 미세한 틈으로 형성된 도넛츠형 분사구(540)를 이루는 중앙노즐부(530); 및 상기 중앙노즐부(530)의 O-링삽입단턱(531)에 삽입 설치되어 공압의 누출을 차단하는 O-링(550);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방식에 의한 김 공급장치.'를 제시한다.
하지만 이러한 비접촉방식에 의한 김 공급장치는 비접촉방식을 통해 김의 형태를 훼손하지 않도록 하는 장점은 있지만, 김 채취 후 발장을 통해 가로 세로 일정 크기로 성형 건조된 후 다발로 적층된 김을 2차 가공 없이 반건조 된 김의 사용으로 부패될 수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115596호 "해태 건조장치" 한국 등록특허 제1571646호 "비접촉방식에 의한 김 공급장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잘게 절단된 김을 사각틀에 수용한 상태로 건조하는 1차 가공으로 완성된 김이 2차 가공을 위해 건조기로 자동 이송이 가능함에 따라 편의성이 증진되고, 최소한의 작업자로 작업을 이루어질 수 있어 작업성의 향상과 함께 적은 수분으로도 상할 수 있는 김을 빠른 시간 내에 건조기로 이송을 할 수 있는 김 건조율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키는 김 공급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조기를 통해 1차 가공된 다수개의 김을 2차 가공을 위해 건조기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김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김의 이송이 가능하게 컨베이어를 구비하고, 끝단에 김을 감지하여 이송되는 김의 순간 정지와 공급 시기를 결정하는 공급수단을 구비하는 컨베이어부; 상기 컨베이어의 하류에 수평방향으로 공급된 김을 수직방향으로 수용하여 이송하는 수납판을 구비하고, 수용된 김을 정렬하는 정렬수단을 구비하는 1차이송부; 및 상기 1차이송부의 하류에 공급된 김을 작업자가 이송되는 적재판으로 옮겨 적재판에 수용된 김 사이에 공간 확보와 제습이 가능하게 간지를 구비하여 건조기로 이송하는 2차이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상기 컨베이어부의 공급수단은 컨베이어로부터 유입되는 김을 감지하여 컨베이어를 정지시켜 김의 순간 정지가 가능한 제1센서와, 이송되는 수납판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2센서와, 수납판의 감지된 위치에 따라 순간 정지된 김을 수납판으로 공급하게 회전롤러 상에 회전되는 이송벨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1차이송부의 수납판은 수평방향으로 공급된 김을 수직방향으로 수용 가능하게 'L'자 형태로 형성되고, 다수개의 수납판의 사이에 김의 추락을 방지하게 요홈과 돌부가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부에 작업자가 김의 파지가 용이하게 서로 다른 길이의 제1지지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렬수단은 수납판에 수용된 김의 일측에 고정된 고정판과, 타측에 고정판과 대응되어 정렬실린더에 의해 이송되어 김을 가압하여 정렬하는 정렬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2차이송부의 적재판은 'ㄷ'자형으로 형성되면서 상부에 작업자가 김의 파지가 용이하게 서로 다른 길이의 제2지지대를 구비하고, 적재판에 수용된 김 사이에 공간 확보와 제습이 가능하게 다수개의 통공을 가지면서 김을 감싸는 제1간지와 김 사이에 삽설하는 제2간지로 이루어진 간지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잘게 절단된 김을 사각틀에 수용한 상태로 건조하는 1차 가공으로 완성된 김이 2차 가공을 위해 건조기로 자동 이송이 가능함에 따라 편의성이 증진되고, 최소한의 작업자로 작업을 이루어질 수 있어 작업성의 향상과 함께 적은 수분으로도 상할 수 있는 김을 빠른 시간 내에 건조기로 이송을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김 건조율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키는 김 공급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도 2a 및 2b는 본 발명에 따른 김 건조율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키는 김 공급장치의 컨베이어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와 평면도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에 따른 김 건조율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키는 김 공급장치의 1차이송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와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김 건조율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키는 김 공급장치의 수납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a 및 5b는 본 발명에 따른 김 건조율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키는 김 공급장치의 2차이송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와 측면도
도 6a 및 6b는 본 발명에 따른 김 건조율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키는 김 공급장치의 적재판을 나타내는 분쇄 사시도 및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건조기를 통해 1차 가공된 다수개의 김(L)을 2차 가공을 위해 건조기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김 공급장치에 관련되며, 컨베이어부(10), 1차이송부(20), 2차이송부(30)를 주요 구성으로 한다.
먼저, 1차 가공이란 김을 세척하여 이물질 제거와 염도를 줄인 상태로 잘게 분쇄를 하게 된다. 이렇게 잘게 분쇄된 김은 사각틀에 맞춰서 자연 건조 또는 열풍 등의 건조를 시행된 상태를 말한다. 이러한 1차 가공된 김은 장기 보관을 위해서라면 완벽한 건조를 시행하여야 하는 바, 약간의 습기를 통해 부패의 가능성도 발생한다. 1차 가공된 김은 대략 50장이 1묶음으로 형성되어 한번에 14묶음의 김이 공급하게 되는데 이를 다수의 작업자가 박스 등에 담아 수동 작업으로 건조실로 이동시키게 됨으로 작업률은 현저하게 떨어졌다.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부(10)는 상기 다수개의 김(L)의 이송이 가능하게 컨베이어(11)를 구비하고, 끝단에 김(L)을 감지하여 이송되는 김(L)의 순간 정지와 공급 시기를 결정하는 공급수단(12)을 구비한다. 컨베이어부(10)는 상술한 1차 가공된 김(L) 50∼60장의 14묶음이 일정 간격을 두고 컨베이어(11)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로 후술하는 1차이송부(20) 방향으로 이송하게 된다. 이러한 컨베이어부(10)의 끝단에는 1차이송부(20)와 근접 형성되는 공급수단(12)을 구비하는 바, 공급수단(12)을 통하여 이송되는 김(L)의 순간 정지와 공급 시기를 결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컨베이어부(10)의 공급수단(12)은 컨베이어(11)로부터 유입되는 김(L)을 감지하여 컨베이어(11)를 정지시켜 김(L)의 순간 정지가 가능한 제1센서(13)와, 이송되는 수납판(21)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2센서(14)와, 수납판(21)의 감지된 위치에 따라 순간 정지된 김(L)을 수납판(21)으로 공급하게 회전롤러(15a)(15b) 상에 회전되는 이송벨트(1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공급수단(12)은 컨베이어(11)의 끝단 일측 상부에 제1센서(13)를 형성함에 따라 유입되는 김(L)의 위치를 감지하여 컨베이어(11)를 멈추게 된다. 그리고, 후술하여 설명하는 1차이송부(20)의 이송하는 수납판(21)을 감지하는 제2센서(14)는 하부 방향에서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 이를 감지하게 되고, 멈추어 있던 김(L)은 회전롤러(15a)(15b) 상에 회전되는 이송벨트(16)를 타고 빠른 속도로 수납판(21) 상에 안착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1차이송부(20)는 상기 컨베이어(10)의 하류에 수평방향으로 공급된 김(L)을 수직방향으로 수용하여 이송하는 수납판(21)을 구비하고, 수용된 김(L)을 정렬하는 정렬수단(22)을 구비한다. 1차이송부(20)는 상술한 컨베이어부(10)의 공급수단(12)을 통해 유입되는 수평방향의 김(L)을 수납판(21)에 안착시킨 다음, 수납판(21)은 상부로 회전하여 수평방향으로 공급된 김(L)이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수납판(21)을 타고 이송하게 된다. 이렇게 수납판(21)을 타고 이송되는 김(L)은 이송 중 흩어질 수 있음으로 정렬수단(22)을 통해 다수 장의 김(L)을 정렬하고 재차 이송하게 된다.
이때, 상기 1차이송부(20)의 수납판(21)은 수평방향으로 공급된 김(L)을 수직방향으로 수용 가능하게 'L'자 형태로 형성되고, 다수개의 수납판(21)의 사이에 김(L)의 추락을 방지하게 요홈(21c)과 돌부(21d)가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부에 작업자(W)가 김(L)의 파지가 용이하게 서로 다른 길이의 제1지지대(21a)(21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수납판(21)은 반드시'L'자 형태로 형성되어야만 수평방향의 김(L)이 안착된 다음 회전을 통해 수직방향으로 김(L)이 이송이 가능해 진다. 그리고, 다수개의 수납판(21)이 순차적으로 이송하긴 하지만 수납판(21)의 사이에 틈은 발생할 수밖에 없음으로 이 틈으로 김(L)이 추락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수납판(21)의 끝단에 하나 이상의 돌부(21d)가 돌출 형성되고, 이 돌부(21d)에 대응되어 수용할 수 있도록 요홈(21c)이 각각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형성된 요홈(21c)과 돌부(21d)에 의해 다수개의 수납판(21) 사이의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면서 수납판(21)의 이송에도 방해가 되지 않도록 구성됨에 따라 김(L)의 안전한 이송이 가능하다. 또한, 수납판(21)의 상부에는 서로 다른 길이의 제1지지대(21a)(21b)를 구비하는 바, 제1지지대(21a)(21b)는 작업자(W)에 근접되는 부분이 짧게 형성되어 작업자(W)가 김(L)을 파지가 더욱 원활하도록 함으로 작업률이 향상하게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정렬수단(22)은 수납판(21)에 수용된 김(L)의 일측에 고정된 고정판(23)과, 타측에 고정판(23)과 대응되어 정렬실린더(25)에 의해 이송되어 김(L)을 가압하여 정렬하는 정렬판(2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정렬수단(22)은 수납판(21)에 수용되어 이송되는 다수장의 김(L)이 이송 시 흩어짐이 발생할 수 있어 이를 재차 정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김(L)의 이송 방향이 아닌 측면 방향으로 고정판(23)과 정렬판(24)이 각각 형성하게 되고, 정렬판(24)의 후방에는 정렬실린더(25)에 의해 전, 후진하여 흐트러져 있는 김(L)을 고정판(23) 방향으로 밀어내어 정렬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2차이송부(30)는 상기 1차이송부(20)의 하류에 공급된 김(L)을 작업자(W)가 이송되는 적재판(31)으로 옮겨 적재판(31)에 수용된 김(L) 사이에 공간 확보와 제습이 가능하게 간지(32)를 구비하여 건조기로 이송한다. 2차이송부(30)는 상술한 1차이송부(20)의 하류에 1차이송부(20)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건조기(미도시)의 방향으로 김(L)을 이송 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작업자(W)가 상술한 1차이송부(20)로부터 이송된 김(L)을 적재판(31)으로 옮겨주게 되는데 이때 작업자(W)는 다수 장의 김(L) 사이에 공간 확보와 제습이 가능하게 간지(32)를 끼워주면서 건조기로 이송이 편의하게 한다.
이때, 상기 2차이송부(30)의 적재판(31)은 'ㄷ'자형으로 형성되면서 상부에 작업자(W)가 김(L)의 파지가 용이하게 서로 다른 길이의 제2지지대(31a)(31b)를 구비하고, 적재판(31)에 수용된 김(L) 사이에 공간 확보와 제습이 가능하게 다수개의 통공(33a)을 가지면서 김(L)을 감싸는 제1간지(33)와 김(L) 사이에 삽설하는 제2간지(34)로 이루어진 간지(32)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2차이송부(30)로부터 이송된 김(L)을 작업자가 적재판(31)으로 옮겨주면서 김(L)을 감싸면서 열기의 유동이 가능하게 통공(33a)이 형성되는 제1간지(33)와 제2간지(34)를 김(L) 사이에 삽설되어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건조율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간지(32)는 다수의 김(L)의 외부를 감싸면서 사이에 삽설됨에 따라 김(L)에 포함되어 있는 습기를 흡수하면서 공간을 확보함에 따라 건조기에 유입 시 높은 건조율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김(L)은 미세한 수분에 의해서도 부패가 가능하기 때문에 완벽한 건조가 가능해야만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잘게 절단된 김을 사각틀에 수용한 상태로 건조하는 1차 가공으로 완성된 김이 2차 가공을 위해 건조기로 자동 이송이 가능함에 따라 편의성이 증진되고, 최소한의 작업자로 작업을 이루어질 수 있어 작업성의 향상과 함께 적은 수분으로도 상할 수 있는 김을 빠른 시간 내에 건조기로 이송을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컨베이어부 11: 컨베이어
12: 공급수단 13: 제1센서
14: 제2센서 15a, 15b: 회전롤러
16: 이송벨트 20: 1차이송부
21: 수납판 21a, 21b: 제1지지대
21c: 요홈 21d: 돌부
22: 정렬수단 23: 고정판
24: 정렬판 25: 정렬실린더
30: 2차이송부 31: 적재판
32: 간지 33: 제1간지
34: 제2간지

Claims (5)

  1. 건조기를 통해 1차 가공된 다수개의 김(L)을 2차 가공을 위해 건조기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김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김(L)의 이송이 가능하게 컨베이어(11)를 구비하고, 끝단에 김(L)을 감지하여 이송되는 김(L)의 순간 정지와 공급 시기를 결정하는 공급수단(12)을 구비하는 컨베이어부(10);
    상기 컨베이어(10)의 하류에 수평방향으로 공급된 김(L)을 수직방향으로 수용하여 이송하는 수납판(21)을 구비하고, 수용된 김(L)을 정렬하는 정렬수단(22)을 구비하는 1차이송부(20); 및
    상기 1차이송부(20)의 하류에 공급된 김(L)을 작업자(W)가 이송되는 적재판(31)으로 옮겨 적재판(31)에 수용된 김(L) 사이에 공간 확보와 제습이 가능하게 간지(32)를 구비하여 건조기로 이송하는 2차이송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건조율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키는 김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부(10)의 공급수단(12)은 컨베이어(11)로부터 유입되는 김(L)을 감지하여 컨베이어(11)를 정지시켜 김(L)의 순간 정지가 가능한 제1센서(13)와, 이송되는 수납판(21)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2센서(14)와, 수납판(21)의 감지된 위치에 따라 순간 정지된 김(L)을 수납판(21)으로 공급하게 회전롤러(15a)(15b) 상에 회전되는 이송벨트(1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건조율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키는 김 공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이송부(20)의 수납판(21)은 수평방향으로 공급된 김(L)을 수직방향으로 수용 가능하게 'L'자 형태로 형성되고, 다수개의 수납판(21)의 사이에 김(L)의 추락을 방지하게 요홈(21c)과 돌부(21d)가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부에 작업자(W)가 김(L)의 파지가 용이하게 서로 다른 길이의 제1지지대(21a)(21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건조율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키는 김 공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수단(22)은 수납판(21)에 수용된 김(L)의 일측에 고정된 고정판(23)과, 타측에 고정판(23)과 대응되어 정렬실린더(25)에 의해 이송되어 김(L)을 가압하여 정렬하는 정렬판(2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건조율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키는 김 공급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이송부(30)의 적재판(31)은 'ㄷ'자형으로 형성되면서 상부에 작업자(W)가 김(L)의 파지가 용이하게 서로 다른 길이의 제2지지대(31a)(31b)를 구비하고, 적재판(31)에 수용된 김(L) 사이에 공간 확보와 제습이 가능하게 다수개의 통공(33a)을 가지면서 김(L)을 감싸는 제1간지(33)와 김(L) 사이에 삽설하는 제2간지(34)로 이루어진 간지(32)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건조율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키는 김 건조율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키는 김 공급장치.
KR1020180172703A 2018-12-28 2018-12-28 김 건조율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키는 김 공급장치 KR102175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2703A KR102175050B1 (ko) 2018-12-28 2018-12-28 김 건조율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키는 김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2703A KR102175050B1 (ko) 2018-12-28 2018-12-28 김 건조율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키는 김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2274A true KR20200082274A (ko) 2020-07-08
KR102175050B1 KR102175050B1 (ko) 2020-11-05

Family

ID=71600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2703A KR102175050B1 (ko) 2018-12-28 2018-12-28 김 건조율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키는 김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505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5596B1 (ko) 2008-05-30 2012-03-05 우석수 해태 건조장치 및 이를 적용한 김 제조기
KR101459930B1 (ko) * 2013-07-20 2014-11-07 강신탁 김 가공을 위한 자동화장치
KR101571646B1 (ko) 2015-01-16 2015-11-24 김영석 비접촉방식에 의한 김 공급장치
KR101762814B1 (ko) * 2016-03-11 2017-07-28 두솔메카트로닉스 주식회사 조미김 가공장치
JP7114664B2 (ja) * 2020-01-24 2022-08-08 日東電工株式会社 位相差層付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5596B1 (ko) 2008-05-30 2012-03-05 우석수 해태 건조장치 및 이를 적용한 김 제조기
KR101459930B1 (ko) * 2013-07-20 2014-11-07 강신탁 김 가공을 위한 자동화장치
KR101571646B1 (ko) 2015-01-16 2015-11-24 김영석 비접촉방식에 의한 김 공급장치
KR101762814B1 (ko) * 2016-03-11 2017-07-28 두솔메카트로닉스 주식회사 조미김 가공장치
JP7114664B2 (ja) * 2020-01-24 2022-08-08 日東電工株式会社 位相差層付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5050B1 (ko) 2020-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85847B2 (en) Method and a feeder for feeding pieces of cloth
KR101131701B1 (ko) 농축산물의 분배 정렬 장치
JP2006124032A (ja) 複数列に重ねられて配置されたコンテナを搬送するユニット並びに方法
US6581300B1 (en) Method for drying veneer and corresponding drying device
US20110232239A1 (en) Device for transporting objects
KR101161639B1 (ko) 해태제조기의 건조장치
KR101773142B1 (ko) 멸치 자동 분리장치
RU2092756C1 (ru) Способ сушки древесных изделий - досок или планок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20200082274A (ko) 김 건조율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키는 김 공급장치
CN205771894U (zh) 一种滚轮输送装置
US20020139006A1 (en) Apparatus for continuously drying unpackaged food products, in particular vegetables
US604286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utting bread bowl bakery products
KR102294935B1 (ko) 다열 제함기
KR20180138045A (ko) 돼지 다리털 제거시스템
KR101895023B1 (ko) 원목의 표면 가공 시스템
JPH07265577A (ja) 洗濯物処理装置へ洗濯物を供給する方法及び装置
JP3628719B2 (ja) 長尺物箱詰め装置
US8438761B2 (en) Method in the operation of spreader clamps
KR100843360B1 (ko) 해태 건조장치
CN206126253U (zh) 一种探伤装置送料机构
JP3706402B2 (ja) 長物野菜の箱詰装置
JP6602137B2 (ja) 箱詰め装置
KR102162014B1 (ko) 김 계수 및 정렬 건조장치
CN213161939U (zh) 一种物流管理纸箱分类装置
KR20040000218A (ko) 사각파이프 도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