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5023B1 - 원목의 표면 가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원목의 표면 가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5023B1
KR101895023B1 KR1020180078700A KR20180078700A KR101895023B1 KR 101895023 B1 KR101895023 B1 KR 101895023B1 KR 1020180078700 A KR1020180078700 A KR 1020180078700A KR 20180078700 A KR20180078700 A KR 20180078700A KR 101895023 B1 KR101895023 B1 KR 1018950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g
conveying
roller
wood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8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수
Original Assignee
이동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수 filed Critical 이동수
Priority to KR1020180078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50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5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50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CPLANING, DRILLING, MILLING, TURNING OR UNIVERSAL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 B27C5/00Machines designed for producing special profiles or shaped work, e.g. by rotary cutters; Equipment therefor
    • B27C5/02Machines with table
    • B27C5/06Arrangements for clamping or feed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5/00Sawing machines work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 blades; Components or equipment therefor
    • B27B5/16Saw benches
    • B27B5/22Saw benches with non-feedable circular saw blade
    • B27B5/24Saw benches with non-feedable circular saw blade the saw blade being adjustable according to depth or angle of cut
    • B27B5/243Saw benches with non-feedable circular saw blade the saw blade being adjustable according to depth or angle of cut the saw blade being arranged underneath the work-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1/00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e.g. by stretching
    • B27M1/003Mechanical surface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원목의 표면 가공 시스템은 원목을 공급받아 이송하는 제1 이송장치와, 방향을 전환하여 이송하는 제2 이송장치와, 원형 단면을 형성하도록 원목의 표면을 절삭하는 표면 가공장치와, 원목 단면의 상,하,좌,우에 일정 깊이의 홈을 가공하는 홈 가공장치와, 홈이 가공된 원목을 방향을 전환하여 이송하는 방향전환 이송장치와, 원목을 파지하여 이송하는 파지 이송 가이드 장치와, 원목의 표면을 매끄럽게 연마하는 표면 연마장치로 이루어지며, 부가적으로 연마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열풍 건조기가 추가로 구성도히도록 하여, 커터를 이용한 통나무의 표면 절삭과, 히터를 이용한 통나무의 표면 건조, 및 사포를 이용한 통나무의 표면 연마를 한층 더 편리하게 한 번의 공정으로 가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목의 뒤틀림 방지를 위한 홈 가공을 일련의 과정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하여, 이를 통해 통나무의 표면을 원형으로 매끄럽게 가공하고 뒤틀림 방지를 위한 홈을 형성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 및 비용을 최대한 절감할 수 있으며, 그리고 전체적으로 가공비를 절감하는 동시에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원목의 표면 가공 시스템{Wood surface processing system}
본 발명은 원목의 표면 가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건축물의 기둥등으로 사용되는 원목을 연속된 일련의 시스템을 통하여 표면을 가공하고 일정 깊이의 홈을 가공되도록 하여 원목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원목의 표면 가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옥,정자,원두막,파라고 등의 목재건축물에 사용되는 통나무는 그 표피층을 벗긴 상태에서, 통나무의 표면을 원형으로 절삭하고 건조한 후 매끄럽게 가공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때, 절삭된 통나무의 표면을 건조시키는 이유는, 통나무의 표면이 젖어 있으면 연마 시 물기로 인하여 다듬질이 잘 안되기 때문에, 표면의 물기를 제거하여 용이하게 연마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통나무의 표면을 원형으로 절삭한 후, 다시 표면이 원형으로 절삭된 통나무의 표면을 별도의 건조공정을 통해 건조시킨 후, 또 다시 표면이 건조된 통나무의 표면을 별도의 연마공정을 통해 매끄럽게 연마하였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에는 절삭공정과 건조공정 및 연마공정이 각각 이루어졌기 때문에, 3번의 공정을 통해 통나무의 표면을 원형으로 매끄럽게 가공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에는 원목의 표면을 가공하는 다양한 방법이 있었으나, 표면을 가공하더라도 이와 같은 통나무 원목은 원목의 심에 의하여 뒤틀림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2-0054237호 "통나무 가공장치"(특허문헌 1)이 있다. 상기 배경기술에서는 '전,후방레일(11)(12)을 구비하는 베이스(10); 상기 전방레일(11)의 일측 상부에 배치되는 고정지지대(20); 상기 전방레일(11)의 타측 상부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지지대(30); 상기 고정,이동지지대(20)(30)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축설되어 통나무(W)의 측면으로 박히는 다수의 고정핀(41)(51)을 구비하는 고정원판(40)(50); 상기 일측 고정원판(40)을 구동시키는 모터(60); 상기 타측 고정원판(50)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실린더(70); 상기 후방레일(12)의 상부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커터,히터,사포커버(81)(82)(83)를 구비하는 절삭대(80); 상기 커터커버(81)에 설치되어 통나무(W)의 표면을 원형으로 절삭하는 다수의 커터(90); 상기 커터(90)를 구동시키는 모터(100); 상기 히터커버(82)에 설치되어 통나무(W)의 표면을 건조시키는 히터(200); 상기 사포커버(83)에 설치되어 통나무(W)의 표면을 연마하는 사포(300); 상기 이동지지대(30)와 절삭대(80)를 좌우로 각각 이동시키는 모터(400)(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통나무 가공장치'를 제안한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일련의 작업으로 원목에 홈을 가공할 수가 없어 원목의 뒤틀림 현상이 일어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2-0054237호 "통나무 가공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커터를 이용한 통나무의 표면 절삭과, 히터를 이용한 통나무의 표면 건조, 및 사포를 이용한 통나무의 표면 연마를 한층 더 편리하게 한 번의 공정으로 가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목의 뒤틀림 방지를 위한 홈 가공을 일련의 과정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하여, 이를 통해 통나무의 표면을 원형으로 매끄럽게 가공하고 뒤틀림 방지를 위한 홈을 형성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 및 비용을 최대한 절감할 수 있으며, 그리고 전체적으로 가공비를 절감하는 동시에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원목의 표면 가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일정 길이의 이송 컨베이어(11)와, 이송 컨베이어(11)의 타측 단부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회전하는 방향전환 가이드 롤러(12)로 구성되어, 원목(T)을 이송 컨베이어(11)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공급하여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하는 제1 이송장치(10)와; 제1 이송장치(10)의 타측 단부에서 이송 컨베이어(11)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일정 길이의 이송 컨베이어(21)가 구성되고 이송 컨베이어(21)의 타단부에 가이드 롤러(22)가 구성되어, 제1 이송장치(10)에서 공급되는 원목(T)을 원목(T)의 길이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 이송장치(20)와; 제2 이송장치(20)의 타단부에 구성되며, 상부와 하부에 각각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상부 이송롤러(31a) 및 하부 이송롤러(31b)가 길이방향의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부 이송롤러(31a) 및 하부 이송롤러(31b)의 타측단부에 형성되는 링형상의 표면가공 톱날(32)로 이루어져, 제2 이송장치(20)에서 공급되는 원목(T)을 상부 이송롤러(31a) 및 하부 이송롤러(31b)가 파지하면 이송하고 표면가공 톱날(32)을 관통하여 표면을 깍아 원형으로 가공하는 표면 가공장치(30)와; 표면 가공장치(30)의 타단부에 구성되며, 상부와 하부에 각각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상부 이송롤러(41a) 및 하부 이송롤러(41b)가 길이방향의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부 이송롤러(41a) 및 하부 이송롤러(41b)의 길이방향의 소정위치에서 상, 하에서 각각 마주보고 회전하는 상하 홈 가공 톱날(42a) 및 좌, 우의 각 위치에 마주보고 위치하여 회전하는 좌우 홈 가공 톱날(42b)이 구성되어 원목(T) 단면의 상, 하, 좌, 우에 일정 깊이의 홈(h)을 형성하는 홈 가공장치(40)와; 홈 가공장치(40)의 타단부에 구성되며, 일측에서 타측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이송롤러(61)와, 타측의 일정 위치에서 축(621)을 중심으로 진행하는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 단면을 갖는 센서 부재(62)와, 이송롤러(61)의 진행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일단부를 축(641)으로 회전하는 V형상의 회전 이송부재(64)로 이루어져, 이송롤러(61)에 의해 이송되는 원목(T)이 센서 부재(62)를 지나서 회전 이송부재(64)의 상부로 안착되면 회전 이송부재(64)를 회전시켜 원목(T)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굴려 이송하도록 하는 방향전환 이송장치(60)와; 방향전환 이송장치(60)의 타측에서 이송롤러(61)의 진행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컨베이어(71)와 컨베이어(71)의 상부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성되며 상부는 양단부를 각각 축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는 링크(72)에 의하여 고정되는 일정 길이 일정 크기의 파지 부재(73)와 컨베이어(71)의 타측 단부에서 하향 경사는 갖도록 형성되는 가이드판(74)으로 이루어져, 컨베이어(71)와 파지 부재(73)의 사이를 원목(T)이 통과하여 이송되도록 하는 파지 이송 가이드 장치(70)와; 원목(T)을 회전시키며 이송롤러(61)의 진행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다수의 회전롤러(81)와, 다수의 회전롤러(81)의 중앙부에 위치하며 상부에 사포가 구성되는 연마 케이스(82)와, 다수의 이송롤러(81)의 타측단부에서 일단부를 축(841)으로 회전하는 V형상의 회전 이송부재(84)로 이루어져, 회전롤러(81)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이동되는 원목(T)의 표면을 연마 케이스(82)의 내부에서 연마하고 회전 이송부재(84)에 원목(T)이 안착하면 회전 이송부재(84)를 회전시켜 원목(T)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굴려 이송하도록 하는 표면 연마장치(8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목의 표면 가공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홈 가공 톱날(42a)(42b)은 돌출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원목(T)에 형성되는 홈(h)의 깊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목의 표면 가공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홈 가공장치(40)의 타단부와 방향전환 이송장치(60)의 일단부 사이에 구성되며, 일정 크기의 케이스(51)와 내부에 다수의 이송롤러(52)와,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 공급관(53)이 형성되는 열풍 건조기(50)가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목의 표면 가공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홈 가공장치(40)의 타단부에는 좌측 또는 우측에 형성되는 좌우 홈 가공 톱날(42b)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에서 원목(T)의 좌측 또는 우측의 홈(h)에 끼워져 이송되어 원목(T)의 회전을 방지하는 판 형상의 가이드 부재(47)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목의 표면 가공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하 홈 가공 톱날(42a) 및 좌우 홈 가공 톱날(42b)은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목의 표면 가공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원목의 표면 가공 시스템은 커터를 이용한 통나무의 표면 절삭과, 히터를 이용한 통나무의 표면 건조, 및 사포를 이용한 통나무의 표면 연마를 한층 더 편리하게 한 번의 공정으로 가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목의 뒤틀림 방지를 위한 홈 가공을 일련의 과정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하여, 이를 통해 통나무의 표면을 원형으로 매끄럽게 가공하고 뒤틀림 방지를 위한 홈을 형성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 및 비용을 최대한 절감할 수 있으며, 그리고 전체적으로 가공비를 절감하는 동시에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목의 표면 가공 시스템의 제1 이송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원목의 표면 가공 시스템의 제2 이송장치, 표면 가공장치 및 홈 가공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원목의 표면 가공 시스템의 열풍 건조기, 방향전환 이송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원목의 표면 가공 시스템의 방향전환 이송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원목의 표면 가공 시스템의 파지 이송 가이드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원목의 표면 가공 시스템의 표면 연마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원목의 표면 가공 시스템의 표면 연마장치에서 원목이 이송되는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원목의 표면 가공 시스템으로 가공된 원목을 도시한 도이다.
도 10은 원목의 홈 가공순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목의 표면 가공 시스템의 제1 이송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원목의 표면 가공 시스템의 제2 이송장치, 표면 가공장치 및 홈 가공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원목의 표면 가공 시스템의 열풍 건조기, 방향전환 이송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원목의 표면 가공 시스템의 방향전환 이송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원목의 표면 가공 시스템의 파지 이송 가이드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원목의 표면 가공 시스템의 표면 연마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원목의 표면 가공 시스템의 표면 연마장치에서 원목이 이송되는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이며, 도 9은 본 발명의 원목의 표면 가공 시스템으로 가공된 원목을 도시한 도이고, 도 10은 원목의 홈 가공순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이다.
본 발명의 원목의 표면 가공 시스템은 원목(T)을 공급받아 이송하는 제1 이송장치(10)와, 방향을 전환하여 이송하는 제2 이송장치(20)와, 원형 단면을 형성하도록 원목(T)의 표면을 절삭하는 표면 가공장치(30)와, 원목(T) 단면의 상,하,좌,우에 일정 깊이의 홈(h)을 가공하는 홈 가공장치(40)와, 홈(h)이 가공된 원목(T)을 방향을 전환하여 이송하는 방향전환 이송장치(60)와, 원목(T)을 파지하여 이송하는 파지 이송 가이드 장치(70)와, 원목(T)의 표면을 매끄럽게 연마하는 표면 연마장치(80)로 이루어지며, 부가적으로 연마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열풍 건조기(50)가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이송장치(10)는 도 1에서와 같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회전하면 이동하는 일정 길이의 이송 컨베이어(11)와, 이송 컨베이어(11)의 타측 단부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회전하는 방향전환 가이드 롤러(12)로 구성된다.
이송 컨베이어(11)의 상부에는 원목(T)을 이송 컨베이어(11)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공급하여 이송 컨베이어(11)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차례로 이송하여, 가이드 롤러(12)로 1개씩 이송되도록 한다.
이때, 원목(T)은 직교방향으로 4면을 평탄면을 갖도록 가공되도록 대략 사각형의 단면을 갖도록 가공하여 불필요한 면을 1차로 제저하여 이송이 용이하도록 하며, 가이드 롤러(12)는 중앙부가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사면이 가공된 원목(T)의 모서리가 안착되어 이송이 용이하도록 한다.
제2 이송장치(20)는 도 2에서와 같이, 제1 이송장치(10)의 타측 단부에서 가이드 롤러(12)에서 공급되는 원목(T)을 길이방향으로 이송하도록 이송 컨베이어(11)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일정 길이의 이송 컨베이어(21)가 구성되고 이송 컨베이어(21)의 타단부에 가이드 롤러(22)가 구성되어, 제1 이송장치(10)에서 공급되는 원목(T)을 원목(T)의 길이방향으로 이송하도록 한다.
표면 가공장치(30)는 제2 이송장치(20)의 타단부에 구성되며, 상부와 하부에 각각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상부 이송롤러(31a) 및 하부 이송롤러(31b)가 길이방향의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공급되는 원목(T)을 원목(T)의 길이방향으로 이송하도록 한다.
이때, 상부 이송롤러(31a) 및 하부 이송롤러(31b)의 타측단부에는 링형상의 표면가공 톱날(32)이 형성되도록 하여, 제2 이송장치(20)에서 공급되는 원목(T)을 원목(T)의 길이방향으로 상부 이송롤러(31a) 및 하부 이송롤러(31b)가 파지하면 이송하고 표면가공 톱날(32)을 일측단부에서 타측 단부방향으로 관통하여 표면을 깍아 원형으로 가공하도록 한다.
홈 가공장치(40)는 표면 가공장치(30)의 타단부에 구성되며, 상부와 하부에 각각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상부 이송롤러(41a) 및 하부 이송롤러(41b)가 길이방향의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공급되는 원목(T)을 길이방향으로 이송하도록 한다.
이때, 상부 이송롤러(41a) 및 하부 이송롤러(41b)의 길이방향의 소정위치에서 상, 하에서 각각 마주보고 회전하는 상하 홈 가공 톱날(42a) 및 좌, 우의 각 위치에 마주보고 위치하여 회전하는 좌우 홈 가공 톱날(42a)이 구성되어, 원목(T)이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원목(T) 단면의 상, 하, 좌, 우에 일정 깊이의 홈(h)을 형성하도록 한다.
이때, 상하 홈 가공 톱날(42a) 및 좌우 홈 가공 톱날(42b)은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도록 하여, 원목(T)의 좌우 또는 상하에 형성되는 홈(h)을 순차적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즉, 도 10에서와 같이, 원목의 나이테의 중심인 심에 가까운 부분의 홈(h)을 먼저 가공하여야 뒤틀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이 순차적으로 홈(h)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홈 가공 톱날(42a)(42b)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다양한 공지의 방법으로 돌출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도 9에서와 같이, 원목(T)에 형성되는 홈(h)의 깊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원목은 심에서 표면과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부분을 더욱 깊게 홈(h) 가공하여야 뒤틀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기 대문에, 홈(h)의 깊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홈 가공장치(40)의 타단부에는 좌측 또는 우측에 형성되는 좌우 홈 가공 톱날(42b)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에서 원목(T)의 좌측 또는 우측의 홈(h)에 끼워져 이송되어 원목(T)의 회전을 방지하는 판 형상의 가이드 부재(47)가 구성되도록 하여, 원목(T)의 홈(h)에 가이드 부재(47)가 끼워지면 원목(T)이 이송되도록 하여 원목(T)이 회전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에서와 같이, 방향전환 이송장치(60)로 원목(T)을 이송하기 전에, 홈 가공장치(40)의 타단부와 방향전환 이송장치(60)의 일단부 사이에 열풍 건조기(50)를 구성하여 원목(T)을 건조시키도록 할 수 있다.
열풍 건조기(50)는 일정 크기의 케이스(51)와 내부에 다수의 이송롤러(52)와,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 공급관(53)이 형성되어, 원목(T)이 이송되면 열풍 공급관(53)에서 열풍을 분사하여 원목(T)의 표면만이 건조되도록 하여 후작업인 연마작업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방향전환 이송장치(60)는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는 원목(T)의 방향을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바꾸어 이송하도록 한다.
이는 전체 시스템이 일련의 작업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길이방향으로만 계속 이송이 되면, 전체 시스템의 면적을 줄일 수 있도록 하며, 효과적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것이다.
방향전환 이송장치(60)는 홈 가공장치(40)의 타단부에 구성되며, 일측에서 타측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이송롤러(61)와, 타측의 일정 위치에서 축(621)을 중심으로 진행하는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 단면을 갖는 센서 부재(62)와, 이송롤러(61)의 진행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일단부를 축(641)으로 회전하는 V형상의 회전 이송부재(64)로 이루어진다.
즉, 도 4에서와 같이, 이송롤러(61)에 의해 이송되는 원목(T)이 센서 부재(62)를 지나면, 센서 부재(62)가 축(62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센서가 작동하며, 도 5에서와 같이 회전 이송부재(64)를 회전시켜 회전 이송부재(64)의 상부로 안착된 원목(T)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굴려 이송하도록 하는 것이다.
파지 이송 가이드 장치(70)는 도 6에서와 같이, 이송롤러(61)의 진행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컨베이어(71)와 컨베이어(71)의 상부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성되며 상부는 양단부를 각각 축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는 링크(72)에 의하여 고정되는 일정 길이 일정 크기의 파지 부재(73)와 컨베이어(71)의 타측 단부에서 하향 경사는 갖도록 형성되는 가이드판(74)으로 이루어진다.
회전 이송부재(64)에 의하여 굴러온 원목(T)을 컨베이어(71)를 통하여 이송하며, 이때 컨베이어(71)와 파지 부재(73)의 사이를 원목(T)이 통과하여 이송되도록 하여 원목(T)이 굴러가지 않고 파지되도록 한다.
이때, 파지 부재(73)는 링크(72)에 의하여 곶어되어 있기 때문에, 원목(T)의 두께가 두꺼우면 링크(72)의 양단부의 축을 기준으로 기울어지면서 원목(T)을 파지하도록 하여, 별도의 프레스 수단이 없더라도 파지 부재(73)의 무게에 의하여 원목(T)이 구르지 않도록 파지할 수 있는 것이다.
파지 이송 가이드 장치(70)의 컨베이서(71)의 타측 단부에는 표면 연마장치(80)가 구성되어 원목(T)을 넘겨받아 이송하도록 한다.
표면 연마장치(80)는 도 7에서와 같이, 원목(T)을 회전시키며 이송롤러(61)의 진행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다수의 회전롤러(81)와, 다수의 회전롤러(81)의 중앙부에 위치하며 상부에 사포(미도시)가 구성되는 연마 케이스(82)와, 다수의 이송롤러(81)의 타측단부에서 일단부를 축(841)으로 회전하는 V형상의 회전 이송부재(84)로 이루어진다.
즉, 회전롤러(81)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길이방향으로 진행하는 원목(T)은 연마 케이스(82)의 내부의 상부에 위치한 사포에 의하여 표면이 연마되게 된다.
이와 같이 표면 연마작업이 끝난 원목(T)은 회전 이송부재(84)에 원목(T)이 안착하면 회전 이송부재(84)를 회전시켜 원목(T)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굴려 이송하도록 적재함(90)에 적재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원목의 표면 가공 시스템은 커터를 이용한 통나무의 표면 절삭과, 히터를 이용한 통나무의 표면 건조, 및 사포를 이용한 통나무의 표면 연마를 한층 더 편리하게 한 번의 공정으로 가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목의 뒤틀림 방지를 위한 홈 가공을 일련의 과정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하여, 이를 통해 통나무의 표면을 원형으로 매끄럽게 가공하고 뒤틀림 방지를 위한 홈을 형성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 및 비용을 최대한 절감할 수 있으며, 그리고 전체적으로 가공비를 절감하는 동시에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0 : 제1 이송장치
20 : 제2 이송장치
30 : 표면 가공장치
40 : 홈 가공장치
50 : 열풍 건조기
60 : 방향전환 이송장치
70 : 파지 이송 가이드 장치
80 : 표면 연마장치
90 : 적재함

Claims (5)

  1. 일정 길이의 이송 컨베이어(11)와, 이송 컨베이어(11)의 타측 단부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회전하는 방향전환 가이드 롤러(12)로 구성되어, 원목(T)을 이송 컨베이어(11)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공급하여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하는 제1 이송장치(10)와;
    제1 이송장치(10)의 타측 단부에서 이송 컨베이어(11)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일정 길이의 이송 컨베이어(21)가 구성되고 이송 컨베이어(21)의 타단부에 가이드 롤러(22)가 구성되어, 제1 이송장치(10)에서 공급되는 원목(T)을 원목(T)의 길이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 이송장치(20)와;
    제2 이송장치(20)의 타단부에 구성되며, 상부와 하부에 각각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상부 이송롤러(31a) 및 하부 이송롤러(31b)가 길이방향의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부 이송롤러(31a) 및 하부 이송롤러(31b)의 타측단부에 형성되는 링형상의 표면가공 톱날(32)로 이루어져, 제2 이송장치(20)에서 공급되는 원목(T)을 상부 이송롤러(31a) 및 하부 이송롤러(31b)가 파지하면 이송하고 표면가공 톱날(32)을 관통하여 표면을 깍아 원형으로 가공하는 표면 가공장치(30)와;
    표면 가공장치(30)의 타단부에 구성되며, 상부와 하부에 각각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상부 이송롤러(41a) 및 하부 이송롤러(41b)가 길이방향의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부 이송롤러(41a) 및 하부 이송롤러(41b)의 길이방향의 소정위치에서 상, 하에서 각각 마주보고 회전하는 상하 홈 가공 톱날(42a) 및 좌, 우의 각 위치에 마주보고 위치하여 회전하는 좌우 홈 가공 톱날(42b)이 구성되어 원목(T) 단면의 상, 하, 좌, 우에 일정 깊이의 홈(h)을 형성하는 홈 가공장치(40)와;
    홈 가공장치(40)의 타단부에 구성되며, 일측에서 타측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이송롤러(61)와, 타측의 일정 위치에서 축(621)을 중심으로 진행하는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 단면을 갖는 센서 부재(62)와, 이송롤러(61)의 진행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일단부를 축(641)으로 회전하는 V형상의 회전 이송부재(64)로 이루어져, 이송롤러(61)에 의해 이송되는 원목(T)이 센서 부재(62)를 지나서 회전 이송부재(64)의 상부로 안착되면 회전 이송부재(64)를 회전시켜 원목(T)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굴려 이송하도록 하는 방향전환 이송장치(60)와;
    방향전환 이송장치(60)의 타측에서 이송롤러(61)의 진행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컨베이어(71)와 컨베이어(71)의 상부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성되며 상부는 양단부를 각각 축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는 링크(72)에 의하여 고정되는 일정 길이 일정 크기의 파지 부재(73)와 컨베이어(71)의 타측 단부에서 하향 경사는 갖도록 형성되는 가이드판(74)으로 이루어져, 컨베이어(71)와 파지 부재(73)의 사이를 원목(T)이 통과하여 이송되도록 하는 파지 이송 가이드 장치(70)와;
    원목(T)을 회전시키며 이송롤러(61)의 진행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다수의 회전롤러(81)와, 다수의 회전롤러(81)의 중앙부에 위치하며 상부에 사포가 구성되는 연마 케이스(82)와, 다수의 이송롤러(81)의 타측단부에서 일단부를 축(841)으로 회전하는 V형상의 회전 이송부재(84)로 이루어져, 회전롤러(81)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이동되는 원목(T)의 표면을 연마 케이스(82)의 내부에서 연마하고 회전 이송부재(84)에 원목(T)이 안착하면 회전 이송부재(84)를 회전시켜 원목(T)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굴려 이송하도록 하는 표면 연마장치(8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목의 표면 가공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홈 가공 톱날(42a)(42b)은 돌출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원목(T)에 형성되는 홈(h)의 깊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목의 표면 가공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홈 가공장치(40)의 타단부와 방향전환 이송장치(60)의 일단부 사이에 구성되며, 일정 크기의 케이스(51)와 내부에 다수의 이송롤러(52)와,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 공급관(53)이 형성되는 열풍 건조기(50)가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목의 표면 가공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홈 가공장치(40)의 타단부에는 좌측 또는 우측에 형성되는 좌우 홈 가공 톱날(42b)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에서 원목(T)의 좌측 또는 우측의 홈(h)에 끼워져 이송되어 원목(T)의 회전을 방지하는 판 형상의 가이드 부재(47)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목의 표면 가공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하 홈 가공 톱날(42a) 및 좌우 홈 가공 톱날(42b)은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목의 표면 가공 시스템.
KR1020180078700A 2018-07-06 2018-07-06 원목의 표면 가공 시스템 KR1018950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700A KR101895023B1 (ko) 2018-07-06 2018-07-06 원목의 표면 가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700A KR101895023B1 (ko) 2018-07-06 2018-07-06 원목의 표면 가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5023B1 true KR101895023B1 (ko) 2018-09-04

Family

ID=63598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8700A KR101895023B1 (ko) 2018-07-06 2018-07-06 원목의 표면 가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50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02879A (zh) * 2020-07-04 2020-09-25 李赵和 一种便于木材切割的装置
CN116352818A (zh) * 2023-03-06 2023-06-30 江苏零界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木材原料分切干燥一体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4237A (ko) 2010-11-19 2012-05-30 주식회사 창일 통나무 가공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4237A (ko) 2010-11-19 2012-05-30 주식회사 창일 통나무 가공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02879A (zh) * 2020-07-04 2020-09-25 李赵和 一种便于木材切割的装置
CN116352818A (zh) * 2023-03-06 2023-06-30 江苏零界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木材原料分切干燥一体机
CN116352818B (zh) * 2023-03-06 2023-10-24 江苏零界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木材原料分切干燥一体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5023B1 (ko) 원목의 표면 가공 시스템
CA2844227C (en) Tapered roll feed
US739591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anels from wood pieces
JP6143816B2 (ja) アルミニウムバー用のフライス加工設備
JPS5822307B2 (ja) ザイモクオシアゲサイスンスルキカイ
EP1963065B1 (en) Machine for optimized cutting of slabs in stone or lithoid material
JPH055602B2 (ko)
US4353276A (en) Arrangement in machines for processing logs, blocks and like workpieces
EP0740599B1 (en) Apparatus and procedure for cutting square timber
KR20220164250A (ko) 원목의 표면 가공 시스템
WO2006060855A1 (en) Material handling for radial timber sawing
EP3810366B1 (en) A machine for grinding slabs
EP0158580B1 (en) Timber production
GB2390072A (en) Vacuum belt, encircles vacuum belt guide
JP2003001602A (ja) 角材の仕上方法並びに装置
KR101301423B1 (ko) 에지밴딩기용 패널 절삭장치
JP7419549B2 (ja) 製材設備及び製材用材料を製材する方法
KR20050096618A (ko) 손톱깍기 날의 자동 연마 방법 및 그 장치
GB2045679A (en) An apparatus arranged for centering logs, blocks or like workpieces relative to a given desired centering line.
JP2002172601A (ja) 角材の仕上方法並びに装置
JP2000117601A (ja) 連続研削装置
JPH11267957A (ja) 連続研削装置
JP3309249B2 (ja) 角材の加工方法及び角材の加工装置
KR940000799Y1 (ko) 금속가공용 와이드벨트 샌더
SE469972B (sv) Förfarande och anläggning för bearbetning av trädstock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