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9904B1 - 위치 제어의 정확성을 기반으로 한 고속 김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위치 제어의 정확성을 기반으로 한 고속 김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9904B1
KR102349904B1 KR1020210084987A KR20210084987A KR102349904B1 KR 102349904 B1 KR102349904 B1 KR 102349904B1 KR 1020210084987 A KR1020210084987 A KR 1020210084987A KR 20210084987 A KR20210084987 A KR 20210084987A KR 102349904 B1 KR102349904 B1 KR 102349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ver
unit
intake
contour surface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4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철
카즈미 가와시마
Original Assignee
김병철
카즈미 가와시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철, 카즈미 가와시마 filed Critical 김병철
Priority to KR1020210084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99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9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9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9/00De-stacking of articles
    • B65G59/06De-stacking from the bottom of the st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0/00Simultaneously or alternatively stacking and de-stacking of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Abstract

본 발명은 캠의 요동운동에 기반하여 적재부의 하단이 개폐되고, 적재부의 개방시 흡입력을 보유한 흡기부가 적재된 김을 낱장으로 분할하여 이송부에 전달하는 것을 반복함에 따라 김이 지정된 위치로 낱장 공급되는 메커니즘으로 이루어지며, 나아가 캠의 제반 윤곽을 적극 개선하여 요동운동의 속도 향상과 동작의 안정성이 부여되어 작업의 신속성 및 효율적인 사용 가치를 확보할 뿐만 아니라 적재부 하단의 개폐 구조 개선으로 공급 중인 김의 훼손이 적극 방지되어 김의 품질을 보존할 수 있고, 극히 간소화된 구성으로 취급 및 관리가 용이한 이점 등으로 인해 사용의 편의성과 효율성 또한 극대화 유도되는 고속 김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대량의 김을 공급받아 수용하는 적재부(10);와, 적재부 하단에서 승하강하며 적재부의 최하단에 배치된 김을 흡입하여 낱장으로 분리하는 흡기부(20);와, 흡기부가 분리한 김을 인계받아 일방향 이송하는 이송부(30);와, 메인모터와 캠의 조합으로 적재부와 결합되고 콤프레샤가 구비되어 흡기부와 결합되는 구동부(40);와, 구동부 상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기인한 흡기부와 이송부 및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되게 하는 제어부(5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위치 제어의 정확성을 기반으로 한 고속 김 공급장치{Laver supply apparatus}
본 발명은 다층으로 적재된 김을 낱장으로 인출하여 지정된 위치로 공급하는 김 공급장치와 관련된 기술사상을 개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캠의 요동운동에 기반하여 적재부의 하단이 개폐되고, 적재부의 개방시 흡입력을 보유한 흡기부가 적재된 김을 낱장으로 분할하여 이송부에 전달하는 것을 반복함에 따라 김이 지정된 위치로 낱장 공급되는 메커니즘으로 이루어지며, 나아가 캠의 제반 윤곽을 적극 개선하여 요동운동의 속도 향상과 동작의 안정성이 부여되어 작업의 신속성 및 효율적인 사용 가치를 확보할 뿐만 아니라 적재부 하단의 개폐 구조 개선으로 공급 중인 김의 훼손이 적극 방지되어 김의 품질을 보존할 수 있고, 극히 간소화된 구성으로 취급 및 관리가 용이한 이점 등으로 인해 사용의 편의성과 효율성 또한 극대화 유도되는 위치 제어의 정확성을 기반으로 한 고속 김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김은 보라털과에 속하는 해조(海藻)로, 얇게 펼쳐 건조한 후 유통이나 섭취가 편리한 크기로 절단하고, 설정된 매수로 분할 포장하여 판매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포장 김은 주로 조미 여부에 따라 김밥용 김과 조미 김으로 구분 판매되고, 특히 조미 김의 경우 김의 표면에 향유를 도포하는 단계, 향유가 도포된 김을 구우는 단계, 구워진 김의 표면에 조미료를 뿌리는 단계,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는 단계, 정해진 매수로 개별 포장하는 단계를 연속적으로 수행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조미 김은 대량으로 적재된 김을 작업자가 하나하나 낱장으로 분리하여 이송시키는 수작업에 의존하였기에 작업의 효율성과 생산성이 저해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고, 이러한 문제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다양한 노력이 기울여졌다.
그 노력의 결과 중 하나로 등록특허공보 제10-1834643호 "김 공급장치의 적재 인출기구"가 게재되었으며, 해당 기술은 공급유니트에서 적재된 김을 수용하는 리프트와, 리프트의 수직방향으로 승강하는 적재유니트와, 적재유니트에서 리프트를 수직방향으로 승강 안내하는 안내수단과, 적재유니트에서 적재된 김을 한 장씩 인출하도록 단속하는 단속판과, 리프트로부터 잔여한 김을 적재하는 단속유니트와, 단속유니트에서 단속판과 상호 연계하여 한 장의 김만이 인출되도록 유입을 방지하는 반출수단과, 적재유니트에서 적재된 김을 한 장씩 인출하는 흡착판과, 흡착판을 승하강 시키면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블로워를 포함하는 인출유니트와, 인출유니트에 잔류한 흡입력을 배출하는 배출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기술은 김의 적재 및 인출 과정을 보다 정밀하게 반복적으로 수행시킴으로써 후속공정으로의 원활한 흐름을 유도함에 따라 후속공정의 불량을 최소화하면서 작동의 신속성과 정숙성은 물론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기술은 적재유니트가 이송유니트보다 하측에 구비되어야 하므로 장치의 구성 배치에 제한이 있으며, 적재유니트를 지속적으로 승강시키는 구조이기 때문에 장치의 단순화 및 제어적인 측면 등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한편, 다른 일례로 등록특허공보 제10-1158172호 "김 공급장치"가 게재되어 있으며, 해당 기술은 공급부, 적재부, 인출부, 이송부, 구동부를 주요 구성으로 하며, 공급부는 김을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와, 컨베이어의 하류단에 이송된 김을 적재하면서 실린더에 의해 회동하여 낙하하는 배출블록을 구비하며, 적재부는 공급부의 하부에 김을 적층 상태로 수용하는 카트리지와, 김의 폭에 대응하는 받침대를 구비하고, 인출부는 적재부의 하부에 김을 하나씩 인출하는 흡입박스와, 하부에 링크와 로드를 개재하여 승하강을 전달하는 크랭크축을 구비하며, 이송부는 인출부의 흡입박스에 의해 연속 인출되는 김을 전달받는 흡착판과, 김을 이송하여 배출하는 컨베이어를 구비하고, 구동부는 공급부, 적재부, 인출부, 이송부의 구동력을 유발하도록 모터에 의해 개별 작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이다.
상기 기술은 김의 파손 없이 순차적으로 정확하게 공급하는 작동의 효율성과 신속성을 향상하고, 작동 소음이 적고 위생적 처리가 가능하면서 신뢰성 있는 작동으로 높은 생산성을 유지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기술은 적재부에 수용된 김이 인출부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기계의 구조적 형상과 김의 쳐짐으로 인하여 김이 훼손되는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하였고, 더불어 김을 낱장으로 분배하는 시간이 오래걸려 작업의 신속성을 향상시키기에는 상당한 제약이 동반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 대하여 세부 구성의 종류 및 배치 등을 단순화할 수 있는 기술개발을 기본적으로 선행하고, 특히 적재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김의 훼손이 방지된 상태로 낱장 분리가 신속하게 이루어져 작업의 효율성과 생산성이 극대화 유도되는 김 공급장치를 개발하게 되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834643호 "김 공급장치의 적재 인출기구" 등록특허공보 제10-1158172호 "김 공급장치"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적재부에 수용된 대량의 김을 훼손하지 않고, 낱장으로 신속하게 분리하여 공급할 수 있는 기술 제공을 주된 해결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이 행해지는 모든 구성요소들의 구동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개선 및 유도하여 장치의 구동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하고, 안정적인 구동에 기인하여 제품 생산의 불량율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공급장치 제공을 다른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위치 제어의 정확성을 기반으로 한 고속 김 공급장치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고속 김 공급장치는 대량의 김을 공급받아 수용하는 적재부(10);와, 적재부 하단에서 승하강하며 적재부의 최하단에 배치된 김을 흡입하여 낱장으로 분리하는 흡기부(20);와, 흡기부가 분리한 김을 인계받아 일방향 이송하는 이송부(30);와, 메인모터와 캠의 조합으로 적재부와 결합되고 콤프레샤가 구비되어 흡기부와 결합되는 구동부(40);와, 구동부 상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기인한 흡기부와 이송부 및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되게 하는 제어부(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재부(10)는 구동부(40) 상부에 입설 설치되어 수용된 김을 정렬하는 복수의 가이드(11)와, 구동부 상부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정렬된 김의 좌측 저면과 우측 저면을 각각 지지하도록 2개 1조 구성되는 받침부(1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받침부(12)는 구동부(40)와 결합하여 동력을 인가받아 회동되고, 상기 구동부(40)는 모터에 의해 일방향 회전하는 제1축부(41)와, 제1축부 상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캠부재(42)와, 캠부재와 적재부에 수직 배치되고 회전하는 캠부재의 윤곽을 따라 요동하는 제2축부(43)와, 제2축부와 편심 결합하여 요동동작을 회전동작으로 변환하고 받침부(12)와 연결되어 받침부(12)를 회동시키는 연결대(4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캠부재(42)는 제1방사크기(a)로 이루어져 제2축부(43)의 상승을 준비하는 제1윤곽면(42a)과, 제1윤곽면의 우측에 형성되며 제1방사크기보다 확장된 제2방사크기(b)로 이루어져 제2축부의 1차 상승을 유도하는 제2윤곽면(42b)과, 제2윤곽면의 우측 상단에 함몰 형성되어 제2축부의 1차 하강을 유도하는 제3윤곽면(42c)과, 제2윤곽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제1윤곽면의 상단 중심부에 형성되면서 제2윤곽면과 동일한 제2방사크기로 이루어져 제2축부의 2차 상승을 유도하는 제4윤곽면(42d)과, 제4윤곽면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제3윤곽면과 대칭으로 함몰 형성되어 제2축부의 2차 하강을 유도하는 제5윤곽면(42e)과, 제5윤곽면에서 제1윤곽면의 좌측으로 연장되며 제2방사크기로 이루어져 제2축부의 3차 상승을 유도하는 제6윤곽면(42f)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받침부(12)는 설정 면적의 날개로 이루어져 적재부(10)에 수용된 김을 지지하고 구동부(40)의 연결대(44)와 결합하여 회동함에 따라 흡기부(20)로의 개폐가 결정되면서 수용된 김 중 최하단에 위치한 김을 흡기부로 인계하는 지지면(12a)과, 지지면의 양측 중 일측을 곡면처리하여 회동시 이송부(30)와의 간섭을 방지되게 하는 라운드면(12b)과, 지지면에서 라운드면과 대향된 위치에서 외향 연장 형성되어 김의 지지 면적이 확장되는 보강면(12c)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흡기부(20)는 구동부(40)와 결합하여 동력을 인가받아 승하강 동작하고, 상기 구동부(40)는 모터에 의해 일방향 회전하는 제1축부(41)와, 축부 상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캠부재(42)와, 캠부재와 흡기부에 수직 배치되고, 회전하는 캠부재의 윤곽을 따라 요동하여 흡기부의 승하강 동작을 부여하는 제2축부(4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송부(30)는 하강한 흡기부(20)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모터에 의해 일방향 회전하는 이송롤러(31)와, 이송롤러에 권취되며 흡기부로부터 낱장으로 분리된 김을 인계받아 일방향 이송하는 이송벨트(32)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롤러(31)는 양단부가 하중에 의한 김의 쳐짐에 대응하는 원뿔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송부(30)는 이송벨트(32)의 상단에 설치되어 이송 중인 김의 상면을 가압하는 보조롤러(33)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롤러(33)는 상하로 자유롭게 요동하여 김의 이송 경로 안내 및 이송 속도 향상되게 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캠부재의 개선된 윤곽면을 따라 제2축부의 요동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면서 받침부와 흡기부의 동작 속도가 적극 향상됨에 따라 김의 낱장 분리가 기존 대비 더욱 신속하게 이루어져 작업의 효율성과 생산성이 적극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송롤러의 양단부가 낱장 분리된 김의 쳐짐과 대응하도록 원뿔형으로 이루어질 뿐 아니라 받침부는 이송롤러의 양단부와 대응하는 형상의 라운드면과 김의 지지면적 확장을 위한 보강면이 더 마련되어 김의 안정적인 안착을 유도함으로써 김의 훼손 방지에 기인한 김의 품질이 보장되는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고속 공급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고속 공급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적재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구동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캠부재의 정면도.
도 6은 캠부재의 윤곽면에 기인한 받침대의 작동 관계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받침부와 흡기부 및 이송부의 배치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제어부의 사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다층으로 적재된 김을 낱장으로 인출하여 지정된 위치로 공급하는 김 공급장치의 기술사상에 관하여 개시된다.
무엇보다 본 발명은 캠의 요동운동에 기반하여 적재부의 하단이 개폐되고, 적재부의 개방시 흡입력을 보유한 흡기부가 적재된 김을 낱장으로 분할하여 이송부에 전달하는 것을 반복함에 따라 김이 지정된 위치로 낱장 공급되는 메커니즘으로 이루어지며, 나아가 캠의 제반 윤곽을 적극 개선하여 요동운동의 속도 향상과 동작의 안정성이 부여되어 작업의 신속성 및 효율적인 사용 가치를 확보할 뿐만 아니라 적재부 하단의 개폐 구조 개선으로 공급 중인 김의 훼손이 적극 방지되어 김의 품질을 보존할 수 있고, 극히 간소화된 구성으로 취급 및 관리가 용이한 이점 등으로 인해 사용의 편의성과 효율성 또한 극대화 유도되는 위치 제어의 정확성을 기반으로 한 고속 김 공급장치에 관련됨을 주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고속 공급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고속 공급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적재부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구동부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캠부재의 정면도이고, 도 6은 캠부재의 윤곽면에 기인한 받침대의 작동 관계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받침부와 흡기부 및 이송부의 배치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이 받침부와 흡기부 및 이송부의 배치 관계를 평면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제어부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4와 같이 본 발명의 고속 김 공급장치(1)는 대량의 김을 공급받아 수용하는 적재부(10);와, 적재부 하단에서 승하강하며 적재부의 최하단에 배치된 김을 흡입하여 낱장으로 분리하는 흡기부(20);와, 흡기부가 분리한 김을 인계받아 일방향 이송하는 이송부(30);와, 메인모터와 캠의 조합으로 적재부와 결합되고 콤프레샤가 구비되어 흡기부와 결합되는 구동부(40);와, 구동부 상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기인한 흡기부와 이송부 및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되게 하는 제어부(50);로 구성된다.
상기 고속 공급장치(1)의 결합관계를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상기 구동부(40)는 직육면체의 케이스(100)에 내장되어 외부 요인들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받고, 상기 흡기부(20)는 구동부와 결합하여 케이스의 상단에서 설정 높이 승하강 작동하며, 상기 이송부(30)는 케이스의 상단에서 정면을 방향으로 배치되어 흡기부가 흡입한 김 낱장을 인계받고, 상기 적재부(10)는 케이스의 상단에서 흡기부의 각 모서리 영역과 동일한 수직선상에 수직 입설되어 대량의 김을 적재받는다. 상기 제어부(50)는 케이스(100)의 측면 중 어느 일면에 구비되고 적재부(10), 흡기부(20), 이송부(30), 구동부(40)와 케이블로 연결되어 개별 제어하거나 자동 제어된다.
상기 적재부(10)는 구동부(40) 상부에 입설 설치되어 수용된 김을 정렬하는 복수의 가이드(11)와, 구동부 상부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정렬된 김의 좌측 저면과 우측 저면을 각각 지지하도록 2개 1조 구성되는 받침부(12)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11)는 직각으로 절곡된 'L'자 형강과 유사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평면상의 김을 기준으로 김의 우측 하단 모서리를 정렬하는 제1가이드(11a)와, 김의 우측 상단 모서리를 정렬하는 제2가이드(11b)와, 김의 좌측 하단 모서리를 정렬하는 제3가이드(11c)와 김의 좌측 상단 모서리를 정렬하는 제4가이드(11d)로 4개 1조의 조합을 가진다. 상기 가이드(11)는 케이스(100) 상단에서 김의 각 모서리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경우에 따라 김의 크기가 상이할 것에 대비하여 케이스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좌우 위치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받침부(12)는 적재부(10)와 흡기부(20) 사이에 설치되고, 상세하게는 제1가이드(11a)와 제2가이드(11b) 사이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제1받침부(12-1)와, 제3가이드(11c)와 제4가이드(11d) 사이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제2받침부(12-2)인 2개 1조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상기 받침부(12)는 구동부(40)로부터 회전력을 인가받아 소정 범위 회동함에 따라 적재부(10)와 흡기부(20) 사이의 공간을 개폐한다. 예컨대 회동동작에 의해 적재부(10)와 흡기부(20) 사이의 공간이 폐쇄될 경우 적재부에 적층된 김의 저면을 지지하고, 회동동작에 의해 적재부와 흡기부 사이의 공간이 개방될 경우 흡기부가 적재부로 소정 높이 승강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한다.
상기 받침부(12)는 매우 빠르게 회동하여 1초 동안 수차례의 개폐 동작이 이루어지며, 당연하겠지만 개폐 횟수와 동일하게 김의 개별 낱장이 분리된다. 이러한 받침부(12)는 설정 면적의 날개로 이루어져 적재부(10)에 수용된 김을 지지하고 구동부(40)의 연결대(44)와 결합하여 회동함에 따라 흡기부(20)로의 개폐가 결정되면서 수용된 김 중 최하단에 위치한 김을 흡기부로 인계하는 지지면(12a)과. 지지면의 양측 중 일측을 곡면처리하여 회동시 이송부(30)와의 간섭을 방지되게 하는 라운드면(12b)과, 지지면에서 라운드면과 대향된 위치에서 외향 연장 형성되어 김의 지지 면적이 확장되는 보강면(12c)으로 구성된다.
상기 흡기부(20)는 적재부(10)에 적층 수용된 김의 흡착을 위한 통공이 구비되며, 상단 외곽이 김의 쳐짐과 대응하는 라운드 형상으로 이루어져 김의 안정적인 안착을 유도한다. 상기 흡기부(20)의 세부 구조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진동에 의한 흡입력이 김에 균일하게 가해지도록 통공은 복수개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라운드 형상의 외곽에는 통공을 장홀로 구성하여 김의 가장자리가 효과적으로 흡입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에 따라 받침부(12)로부터 흡기부(20)로 강제 전달되는 김의 가장자리가 받침부(12)의 지지면(12a)에 간섭되어 찢어지는 것이 적극 방지된다.
상기 흡기부(20)는 구동부(40)와 결합하여 케이스(100)의 상단에서 승하강이 이루어지며, 승강시 진공기능이 작동하여 김을 흡입하고, 하강후 진공기능이 차단되면서 김을 이송부(30)로 전달한다. 이러한 기능의 흡기부(20)는 받침부(12)가 개방될 때 승강하여 최하단에 배치된 김 한 장을 흡착하고, 받침부가 폐쇄될 때 즉시 하강하여 흡착된 김 한 장을 이송부(30)로 전달하는 작동관계를 가진다.
상기 이송부(30)는 케이스의 상단에서 정면 방향으로 설치되고, 케이스 상단에서의 설치 높이는 하강된 상태의 흡기부(20)와 대응하는 높이로 설치되어 흡기부가 낱장 분리한 김을 인계받는다. 상기 이송부(30)는 하강한 흡기부(20)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모터에 의해 일방향 회전하는 이송롤러(31)와, 이송롤러에 권취되며 흡기부로부터 낱장으로 분리된 김을 인계받아 일방향 이송하는 이송벨트(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으나, 상기 이송롤러(31)는 동력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구동풀리 및 구동풀리에 의해 구동되는 종동풀리와 타이밍벨트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회전동력을 인가받는다. 상기 이송벨트(32)는 2개 1조의 이송롤러(31)에 무한궤도식으로 권취되고, 이송롤러의 회전력을 인가받아 회전하면서 흡기부(20)가 분리한 낱장 김을 설정 방향으로 운반한다. 상기 이송벨트(32)는 가장자리를 따라 슬롯 형상의 통공이 형성되어 공기 순환을 유도함에 따라 김이 이송되는 짧은 시간에도 공기를 제공하여 김이 눅눅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이송롤러(31)는 양단부가 원뿔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김은 98%의 수분을 제거한 매우 얇은 두께의 건조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중력에 의한 가장자리의 쳐짐이 발생하거나 작은 외력에도 쉽게 훼손되는 등의 성질을 갖고 있다. 이러한 김은 각 공정별로 이동하면서 각 공정의 구조에 간섭되어 찢어지거나 훼손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품질저하의 문제가 동반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앞서 언급한 받침부(12)의 라운드면(12b)과, 흡기부(20)의 외곽 라운드 형상과 같이 김의 쳐짐과 대응하는 곡면을 형성시켜 김의 안정적인 안착을 유도하였고, 상기 이송롤러(31) 역시 김의 양측 모서리가 간섭될 수 있는 양단부를 김의 쳐짐과 대응하는 원뿔형으로 형성시킴에 따라 김의 안정적인 안착 및 인수를 유도한다.
특히 상기 받침부(12)의 라운드면(12b)과 이송롤러(31)의 양단부는 서로 밀접하게 배치함으로써 상호간 간극을 최소화하였으며, 이를 통해 김의 안착이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이송부(30)는 이송벨트(32)의 상단에 설치되어 이송 중인 김의 상면을 가압하는 보조롤러(33)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롤러(33)는 상하로 자유롭게 요동하여 김의 이송 경로 안내 및 이송 속도 향상되게 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 보조롤러(33)는 이송부(30)의 상단에서 이송벨트(32)와 밀접하게 배치되며, 케이스(100)에 형성된 수직방향의 슬롯에 결합된다. 상기 보조롤러(33)는 자체 하중으로 이송벨트(32)에 얹혀진 형태이고, 슬롯이 제공하는 범위 내에서 수직으로 자유롭게 요동한다. 상기 보조롤러(33)는 자체 하중으로 이송벨트(32)를 통해 이송중인 김의 상단을 안정적으로 가압하고, 더불어 보조롤러는 마찰력을 발휘하는 고무소재로 이루어져 김을 이송방향으로 밀어내어 생산의 신속성을 부여하기도 한다.
상기 구동부(40)는 적재부(10), 흡기부(20), 이송부(30)가 구동할 수 있도록 모든 구성요소를 말한다. 예를 들어 적재부(10)의 받침부(12)를 회동시키기 위한 모터, 캠부재, 각종 축과, 흡기부(20)의 승하강을 위한 모터 또는 실린더와, 흡기부에 흡입 기능을 부여하는 진공유닛과, 이송부(30)의 구동을 위한 동력모터, 구동풀리, 종동풀리 등이 그것이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케이스(100)에 의해 내장 설치되어 외부 요인들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된다.
상기 구동부(40)는 적재부(10)의 받침부(12)와 결합하여 회동력을 제공한다. 상세하게는 모터에 의해 일방향 회전하는 제1축부(41)와, 제1축부 상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캠부재(42)와, 캠부재와 적재부(10)에 수직 배치되고 회전하는 캠부재의 윤곽을 따라 요동하는 제2축부(43)와, 제2축부와 편심 결합하여 요동동작을 회전동작으로 변환하고 받침부(12)와 연결되어 받침부(12)를 회동시키는 연결대(44)로 구성된다.
상기 캠부재(42)는 전체적으로 마름모 꼴로 이루어져 제2축부(43)의 요동동작을 가속화시킨다. 상기 캠부재(42)의 윤곽면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방사크기(a)로 이루어져 제2축부(43)의 상승을 준비하는 제1윤곽면(42a)과, 제1윤곽면의 우측에 형성되며 제1방사크기보다 확장된 제2방사크기(b)로 이루어져 제2축부의 1차 상승을 유도하는 제2윤곽면(42b)과, 제2윤곽면의 우측 상단에 함몰 형성되어 제2축부의 1차 하강을 유도하는 제3윤곽면(42c)과, 제2윤곽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제1윤곽면의 상단 중심부에 형성되면서 제2윤곽면과 동일한 제2방사크기로 이루어져 제2축부의 2차 상승을 유도하는 제4윤곽면(42d)과, 제4윤곽면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제3윤곽면과 대칭으로 함몰 형성되어 제2축부의 2차 하강을 유도하는 제5윤곽면(42e)과, 제5윤곽면에서 제1윤곽면의 좌측으로 연장되며 제2방사크기로 이루어져 제2축부의 3차 상승을 유도하는 제6윤곽면(42f)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진 캠부재(42)는 모터에 의해 1회 회전시 제2윤곽면(42b)과 제4윤곽면(42d) 및 제6윤곽면(42f)의 직경에 인해 3차례 승강 동작이 발휘되고, 제3윤곽면(42c)과 제5윤곽면(42e)의 함몰된 곡면에 의해 2차례 하강 동작이 발휘된다. 특히 본 발명이 제안하는 제1방사크기(a)와 제2방사크기(b)의 조합하고, 각 윤곽면의 형성 폭은 제2축부(43)의 안정적인 요동을 유도하면서 제2축부와 케이스 사이에 연결되어 제2축부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의 신축성을 안정화하여 구동에 의한 소음 방지 및 내구성을 보호하는 등의 역할을 동반 수행한다.
상기 제2축부(43)는 캠부재(42)의 윤곽면을 따라 주행하는 캠플로워(43a)와, 캠플로워를 캠부재의 윤곽면에 배치시키는 제1브라켓(43b)과, 제1브라켓의 일측 선단으로부터 적재부(10)에 이르기까지 수직으로 설치되되 설정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43c)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대(44)는 상기 샤프트(43c)의 상측 단부와 편심되게 설치되는 제2브라켓(44a)과, 제2브라켓을 통해 수평방향 길게 연장되어 받침부(12)와 결합하는 어뎁터(44b)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50)는 케이스(100)의 어느 일측면에 구비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버를 포함하여 적재부(10), 흡기부(20), 이송부(30), 구동부(40)를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50)는 받침부(12)의 회동 속도를 제어하는 회동제어레버와, 흡기부(20)의 승강 속도 및 흡기 속도를 제어하는 흡기제어레버와, 이송부(30)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레일제어레버로 구성된다.
상기 레버들은 각각 전원 on/off 기능을 포함하고, 속도 제어 기능을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개별 제어와 일괄 제어로 변경 가능하여 상황에 맞춰 설정하여 사용이 가능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와 결합관계 및 작동 메카니즘을 가진 고속 공급장치(1)는 적재부(10)에 구비된 가이드(11) 상으로 소정량의 김을 적층 적재한 후 제어부(50)의 전원버튼을 통해 고속 공급장치(1)를 작동시킨다. 고속 공급장치(1)가 작동을 시작하면 구동부(40)의 모터가 회전하면서 제1축부(41)와 캠부재(42)를 회전시키고, 캠부재와 밀접하게 배치된 제2축부(43)가 캠부재의 윤곽면을 따라 상하로 요동하게 된다. 제2축부(43)의 상하 요동동작은 제2축부와 편심 결합된 연결대(44)와 만나면서 회전동작으로 변환되고, 결과적으로 받침부(12)가 제2축부의 상하 요동 횟수와 대응하여 회동함으로써 적재부(10)와 흡기부(20) 사이의 공간을 신속하고 반복적으로 개폐한다.
상기 받침부(12)가 회전함과 동시에 흡기부(20)가 구동부(40)에 의해 승하강 작동하면서 승강시 흡기이 시도되고, 하강시 배기가 시도되어 받침부(12)의 개방시 하강하는 최하단의 김을 흡입한다. 흡입력에 의해 흡기부(20) 상단에 밀착된 김은 흡기부의 하강 동작으로 이송부(30)에 도달하고, 흡기부의 배기 동작으로 흡착된 김이 흡기부로부터 이탈하면서 이송부로 전달된다. 이송부(30)에 전달된 김은 이송롤러(31)의 안내를 받아 일방향 이송되며 특히 보조롤러(33)에 의해 상단이 가압된 상태로 안정적이면서 신속하게 이송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고속 공급장치(1)는 캠부재(42)의 개선된 윤곽면을 따라 제2축부(43)의 요동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면서 받침부(12)와 흡기부(20)의 동작 속도가 적극 향상됨에 따라 김의 낱장 분리가 기존 대비 더욱 신속하게 이루어져 작업의 효율성과 생산성이 적극 향상된다. 또한, 이송롤러(31)의 양단부가 낱장 분리된 김의 쳐짐과 대응하도록 원뿔형으로 이루어지고, 뿐만 아니라 받침부(12)는 이송롤러의 양단부와 대응하는 형상의 라운드면(12b)과 김의 지지면적 확장을 위한 보강면(12c)이 더 마련되어 김의 안정적인 안착을 유도함으로써 김의 훼손 방지에 기인한 김의 품질이 보장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적재부 11. 가이드
12. 받침부 20. 흡기부
30. 이송부 31. 이송롤러
32. 이송벨트 33. 보조롤러
40. 구동부 41. 제1축부
42. 캠부재 43. 제2축부
44. 연결대 50. 제어부
1. 고속 공급장치

Claims (8)

  1. 대량의 김을 공급받아 수용하는 적재부(10)와, 적재부 하단에서 승하강하며 적재부의 최하단에 배치된 김을 흡입하여 낱장으로 분리하는 흡기부(20)와, 흡기부가 분리한 김을 인계받아 일방향 이송하는 이송부(30)와, 메인모터와 캠의 조합으로 적재부와 결합되고, 콤프레샤가 구비되어 흡기부와 결합되는 구동부(40)와, 구동부 상에 설치되며 사용자 조작에 기인한 흡기부와 이송부 및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되게 하는 제어부(50);로 구성되는 김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10)는 구동부(40) 상부에 입설 설치되어 수용된 김을 정렬하는 복수의 가이드(11);와, 구동부 상부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정렬된 김의 좌측 저면과 우측 저면을 각각 지지하도록 2개 1조 구성되는 받침부(12);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12)는 설정 면적의 날개로 이루어져 적재부(10)에 수용된 김을 지지하고, 구동부(40)의 연결대(44)와 결합하여 회동함에 따라 흡기부(20)로의 개폐가 결정되면서 수용된 김 중 최하단에 위치한 김을 흡기부로 인계하는 지지면(12a);과, 지지면의 양측 중 일측을 곡면처리하여 회동시 이송부(30)와의 간섭을 방지되게 하는 라운드면(12b);과, 지지면에서 라운드면과 대향된 위치에서 외향 연장 형성되어 김의 지지 면적이 확장되는 보강면(12c);을 포함하는 위치 제어의 정확성을 기반으로 한 고속 김 공급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12)는 구동부(40)와 결합하여 동력을 인가받아 회동되고,
    상기 구동부(40)는,
    모터에 의해 일방향 회전하는 제1축부(41);
    제1축부 상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캠부재(42);
    캠부재와 적재부에 수직 배치되고, 회전하는 캠부재의 윤곽을 따라 요동하는 제2축부(43);
    제2축부와 편심 결합하여 요동동작을 회전동작으로 변환하고, 받침부(12)와 연결되어 받침부(12)를 회동시키는 연결대(44);
    를 포함하는 위치 제어의 정확성을 기반으로 한 고속 김 공급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재(42)는,
    제1방사크기(a)로 이루어져 제2축부(43)의 상승을 준비하는 제1윤곽면(42a);
    제1윤곽면의 우측에 형성되며 제1방사크기보다 확장된 제2방사크기(b)로 이루어져 제2축부의 1차 상승을 유도하는 제2윤곽면(42b);
    제2윤곽면의 우측 상단에 함몰 형성되어 제2축부의 1차 하강을 유도하는 제3윤곽면(42c);
    제2윤곽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제1윤곽면의 상단 중심부에 형성되면서 제2윤곽면과 동일한 제2방사크기로 이루어져 제2축부의 2차 상승을 유도하는 제4윤곽면(42d);
    제4윤곽면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제3윤곽면과 대칭으로 함몰 형성되어 제2축부의 2차 하강을 유도하는 제5윤곽면(42e);
    제5윤곽면에서 제1윤곽면의 좌측으로 연장되며 제2방사크기로 이루어져 제2축부의 3차 상승을 유도하는 제6윤곽면(42f);
    를 포함하는 위치 제어의 정확성을 기반으로 한 고속 김 공급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부(20)는 구동부(40)와 결합하여 동력을 인가받아 승하강 동작하고,
    상기 구동부(40)는,
    모터에 의해 일방향 회전하는 제1축부(41);
    축부 상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캠부재(42);
    캠부재와 흡기부에 수직 배치되고, 회전하는 캠부재의 윤곽을 따라 요동하여 흡기부의 승하강 동작을 부여하는 제2축부(43);
    를 포함하는 위치 제어의 정확성을 기반으로 한 고속 김 공급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30)는,
    하강한 흡기부(20)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모터에 의해 일방향 회전하는 이송롤러(31);
    이송롤러에 권취되며 흡기부로부터 낱장으로 분리된 김을 인계받아 일방향 이송하는 이송벨트(32);
    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롤러(31)는 양단부가 하중에 의한 김의 쳐짐에 대응하는 원뿔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더 포함하는 위치 제어의 정확성을 기반으로 한 고속 김 공급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30)는,
    이송벨트(32)의 상단에 설치되어 이송 중인 김의 상면을 가압하는 보조롤러(33)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롤러(33)는 상하로 자유롭게 요동하여 김의 이송 경로 안내 및 이송 속도 향상되게 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위치 제어의 정확성을 기반으로 한 고속 김 공급장치.
KR1020210084987A 2021-06-29 2021-06-29 위치 제어의 정확성을 기반으로 한 고속 김 공급장치 KR102349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987A KR102349904B1 (ko) 2021-06-29 2021-06-29 위치 제어의 정확성을 기반으로 한 고속 김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987A KR102349904B1 (ko) 2021-06-29 2021-06-29 위치 제어의 정확성을 기반으로 한 고속 김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9904B1 true KR102349904B1 (ko) 2022-01-10

Family

ID=79347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4987A KR102349904B1 (ko) 2021-06-29 2021-06-29 위치 제어의 정확성을 기반으로 한 고속 김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990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00843A (ja) * 2006-09-20 2008-05-01 Makoto Suzuki シート状食品の供給装置
KR101158172B1 (ko) 2009-07-22 2012-06-19 강신탁 김 공급장치
KR101834643B1 (ko) 2016-06-15 2018-03-06 강신탁 김 공급장치의 적재 인출기구
KR102199171B1 (ko) * 2019-12-12 2021-01-06 강신탁 자동 김 공급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00843A (ja) * 2006-09-20 2008-05-01 Makoto Suzuki シート状食品の供給装置
KR101158172B1 (ko) 2009-07-22 2012-06-19 강신탁 김 공급장치
KR101834643B1 (ko) 2016-06-15 2018-03-06 강신탁 김 공급장치의 적재 인출기구
KR102199171B1 (ko) * 2019-12-12 2021-01-06 강신탁 자동 김 공급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9047B1 (ko) 급지 장치 및 급지 방법
US4382593A (en) Vacuum document feeder
WO2020124908A1 (zh) 图文送纸切割机的控制方法
US6481952B2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accumulating successive stacks of superimposed sheets
CN211363674U (zh) 一种自动上纸机构
JP2005306611A (ja) コンベヤテーブル
KR102349904B1 (ko) 위치 제어의 정확성을 기반으로 한 고속 김 공급장치
JPS6036246A (ja) 板状体の送り出し装置
JP2009012815A (ja) シート状トレー自動供給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弁当箱への盛り付けラインシステム
EP0132150B1 (en) Vacuum transfer conveyor
KR101862470B1 (ko) 김 공급장치
US6010300A (en) Stacker
JPS5826757A (ja) 集積移送装置
JP4584475B2 (ja) エアブロワ手段によって積みパイルから最上位の枚葉紙を分離させるための装置
JPH03111236A (ja) 包装枚葉紙の開封処理方法
KR102144475B1 (ko) 낱장의 김 이송이 가능한 김 공급장치
JP2588482B2 (ja) 積重ねシート順次放出装置
KR102199171B1 (ko) 자동 김 공급 장치
US3463483A (en) Vacuum process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sheets
JP2009091023A (ja) 葉状農産物の供給装置
CN116685210A (zh) 供应食品配料的设备和使用该设备供应食品配料的方法
CN214606872U (zh) 一种自动裱纸机
CN209648833U (zh) 一种自动进料的印刷品裁剪机
JPH08169610A (ja) シート材搬送積載装置
JP2555111Y2 (ja) 板材等の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