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9171B1 - 자동 김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김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9171B1
KR102199171B1 KR1020190165945A KR20190165945A KR102199171B1 KR 102199171 B1 KR102199171 B1 KR 102199171B1 KR 1020190165945 A KR1020190165945 A KR 1020190165945A KR 20190165945 A KR20190165945 A KR 20190165945A KR 102199171 B1 KR102199171 B1 KR 102199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ver
unit
vacuum
withdrawal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5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신탁
강석준
Original Assignee
강신탁
강석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신탁, 강석준 filed Critical 강신탁
Priority to KR1020190165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91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9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9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9/00De-stacking of articles
    • B65G59/06De-stacking from the bottom of the stack
    • B65G59/061De-stacking from the bottom of the stack articles being separated substantially along the axis of the st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02Agricultural and processed food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8Destac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dible Seawee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층으로 적재된 김을 하나씩 인출하여 공급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출부에 진공용 블로워를 연동시키되 개폐부재를 통해 흡입력을 차단하여 김을 파손 없이 순차적으로 정확하게 인출하여 공급함으로써 우수한 효율성과 신속성 및 위생성을 갖는 자동 김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자동 김 공급 장치는, 소정의 김이 적치되는 적재 카트리지(11)가 구비된 본체부(10); 및 상기 적재 카트리지(11)에 구비되어 상기 소정의 김을 지지하되 임시로 지지해제 가능하게 구동되는 클램프(21, 22)가 구비된 클램프부(20); 상기 적재 카트리지(11)의 하방에 승강 구동되도록 설치되어 진공압을 이용하여 상기 적재 카트리지(11)의 하부로부터 적치된 김을 낱장씩 인출하는 인출부(30); 상기 인출부(30)에 제공되는 인출용 진공압을 제어하도록 구동되는 석션제어부(40); 상기 인출부(30)에 의하여 전달된 낱장의 김을 로딩하여 반출시키는 이송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클램프부(20)의 클램프(21, 22)와, 인출부(30), 석션제어부(40) 중 적어도 어느 둘은 캠부(60)에 의하여 상호 유기적으로 연동되어 구동되는 구조를 가진다.

Description

자동 김 공급 장치{Apparatus for automatically supplying laver}
본 발명은 다층으로 적재된 김을 하나씩 인출하여 공급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출부에 진공용 블로워를 연동시키되 개폐부재를 통해 흡입력을 차단하여 김을 파손 없이 순차적으로 정확하게 인출하여 공급함으로써 우수한 효율성과 신속성 및 위생성을 향상하고, 하나의 구동기로 유기적으로 구동하여 소음이 적고 신뢰성 있는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높은 생산성을 유지할 수 있음과 함께 공간활용을 극대화시킨 자동 김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김 가공방법이 다양해져 소비자가 가공된 김을 손쉽게 구입하여 먹기에 간편하도록 일회용으로 포장되어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포장 김을 가공하기 위해서는 김의 표면에 향유를 바르고 조미료를 뿌린 다음 이를 구워 적정크기로 절단하고 포장하는 일련의 가공 공정이 자동으로 연속적으로 수행된다.
하지만 이와 같이 일련의 가공 공정을 자동 연속으로 진행하기 위해 김을 이송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은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김을 공급하여 이송시켜야 하므로, 작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이 저해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기에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이 제시되었다.
본 출원인에 의한 한국 등록특허 공보 제10-1834643호(2018.03.06.)에는, 상기 공급유니트에서 적재된 김(L)을 수용하는 리프트를 구비하고, 리프트의 수직방향으로 승강하는 적재유니트; 상기 적재유니트에서 적재된 김(L)을 한 장씩 인출하는 단속유니트; 상기 단속유니트에서 단속판과 상호 연계하여 한 장의 김(L)만이 인출되도록 유입을 방지하는 반출수단; 및, 상기 적재유니트에서 적재된 김(L)을 한 장씩 인출하는 흡착판을 구비하고, 흡착판의 크랭크 운동하도록 로드, 캠링크, 구동모터와 흡입력을 발생하는 블로워를 구비하는 인출유니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김을 신속하게 적재 및 인출하는 과정을 보다 정밀하게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후속공정으로 원활한 흐름을 유도하여 후속공정의 불량을 최소화하면서 작동의 신속성과 정숙성은 물론 생산성 향상을 기여하는 효과가 있는 김 공급장치의 적재 인출기구가 제시되었다. 그러나 이는 적재유니트가 이송유니트보다 하측에 구비되어야 하므로 장치의 구성 배치에 제한이 있으며, 적재유니트를 지속적으로 승강시키는 구조여서 장치의 단순화 및 제어 측면 등에서 개선할 여지가 있다.
또한, 한국 등록특허 공보 제1992-0003057호에는, 프레임에 동력전달부와 제어부를 형성한 자동김구이기에 있어서, 적재된 김을 한 장씩 공급하는 김공급부와; 한 장씩 공급된 김을 구우면서 이송하는 제1콘베이어와; 김을 바르게 펴고 정리하면서 반전시키는 반전콘베이어와; 반전된 김의 다른 표면을 구우면서 계량이송부로 공급하는 제2콘베이어와; 다 구워진 김을 적재하고 계량하여 포장대에 이송하는 계량이송부로 구성된 자동 김구이기가 제시되었는데, 김적재부에 적재된 김을 하나씩 흡인하여 상하운동하는 흡입부과 김적재부 등의 유기적인 구동에 제한이 있어서 장치의 신뢰성 등의 측면에서 개선할 여지가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대하여 세부 구성의 종류 및 배치 등을 단순화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필요하며, 잔류흡입력을 원활하게 해소하고 각 구성의 운동을 상호 연동시켜 김을 훼손되지 않게 인출하고 전달할 수 있는 개선된 세부구조가 필요하며, 연동된 각 구성의 운동을 상호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추가적인 기술개발이 요구된다.
한국 등록특허 공보 제10-1834643호(2018.03.06.) 한국 등록특허 공보 제1992-0003057호(1992.04.13.)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김을 파손없이 정확하고 신속하게 인출하여 전달하는 자동 김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인출 공정 중 잔류흡입력으로 인한 김 이송불량 발생률이 현저히 낮아진 자동 김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구동부의 구성요소 중 하나의 동력디스크에 복수의 적재 카트리지가 연동되도록 구성하여 장치의 소음 및 공간 활용성이 현저히 높아진 자동 김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김 공급 장치는, 소정의 김이 적치되는 적재 카트리지(11)가 구비된 본체부(10); 및 상기 적재 카트리지(11)에 구비되어 상기 소정의 김을 지지하되 임시로 지지해제 가능하게 구동되는 클램프(21, 22)가 구비된 클램프부(20); 상기 적재 카트리지(11)의 하방에 승강 구동되도록 설치되어 진공압을 이용하여 상기 적재 카트리지(11)의 하부로부터 적치된 김을 낱장씩 인출하는 인출부(30); 상기 인출부(30)에 제공되는 인출용 진공압을 제어하도록 구동되는 석션제어부(40); 상기 인출부(30)에 의하여 전달된 낱장의 김을 로딩하여 반출시키는 이송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클램프부(20)의 클램프(21, 22)와, 인출부(30), 석션제어부(40) 중 적어도 어느 둘은 캠부(60)에 의하여 상호 유기적으로 연동되어 구동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또한,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김 공급 장치에서 상기 석션제어부(40)는, 진공용 블로워(18)와 연결되어 흡입박스(32)의 공기를 상기 진공용 블로워(18)를 통하여 배출하는 석션배출부(41); 및 상기 석션배출부(41)를 통한 공기 배출을 제어하는 인출진공 개폐부재(44); 상기 인출진공 개폐부재(44)를 회동시키는 롤러암(42); 본체부(10)의 프레임(12)에 고정되고, 상기 인출용 진공압의 작동 및 해제를 설정하도록 상기 롤러암(42)의 주행경로를 제공하는 인출진공 설정부재(43); 상기 인출진공 개폐부재(44)의 복귀 회동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4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김 공급 장치에서 상기 석션제어부(40)는, 상기 인출진공 개폐부재(44)가 진공용 블로워(18) 측으로의 공기 배출을 감소시키거나 차단하는 과정에서 외기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유입구(47);를 추가로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김 공급 장치에서 상기 석션제어부(40)는, 상기 유입구(47)로 김 부스러기 또는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보호커버(48);를 더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김 공급 장치는, 김을 낱장씩 인출하는 과정에서 상기 인출부(30)에 의해 제공되는 인출용 진공압의 크기를 조절하여 설정하는 인출진공압 설정부(36);를 더 구비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김 공급 장치는, 상기 적재 카트리지(10)의 상부에 적치된 김을 임시로 지지하여 보유하도록 보유부(13);를 더 구비하며, 상기 보유부(13)는 수동으로 또는 구동기에 의한 자동 제어 방식으로 작동하는 보유클램프(14)에 의하여 임시로 보유한 소정의 적치된 김을 하부에 위치한 클램프부(20)에 제공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의한 자동 김 공급 장치는 적치된 김을 파손없이 자동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인출하여 전달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장치의 효용성 및 안전성을 현저하게 개선한 효과를 가진다.
또한, 인출 공정 중 잔류흡입력으로 인하여 찢어지는 등 불량 이송 발생률을 현저히 낮춰 장치의 효용성 및 안전성을 유효하게 확보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또한, 구동부의 구성요소 중 하나의 동력디스크에 복수의 적재 카트리지가 연동되도록 구성하여 장치의 소음 및 공간 활용성이 현저히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김 공급 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김 공급 장치의 세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김 공급 장치의 사용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김 공급 장치의 이송부 로딩 구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김 공급 장치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김 공급 장치의 동력전달부의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김 공급 장치의 잔류 흡입력 방지 구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김 공급 장치에서 인출부의 진공 집중 구조.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김 공급 장치의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김 공급 장치의 캠부 구조 및 변형 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김 공급 장치의 보유부 구조.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을 살펴보면,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김 공급 장치의 전체 구성도로서, 적재 카트리지에 적치된 소정의 김이 인출부에 의해 낱장씩 인출되며, 상기 인출된 김은 인출부에 의해서 이송부로 전달되어 이송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김 공급 장치의 세부 구성도로서, 소정의 김이 적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적재 카트리지, 상기 적재 카트리지에서 상기 소정의 김을 지지하되 일시적으로 지지상태를 해제 가능하도록 형성된 클램프부, 소정의 김을 흡입력으로 낱장씩 인출하는 인출부, 인출부의 진공을 신속하게 설정하거나 복귀시키는 석션제어부, 인출부로부터 전달된 낱장의 김을 반출하는 이송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김 공급 장치의 사용 상태도로서, 상승된 흡입호퍼가 클램프부에 의해 임시 지지된 소정의 김 하부로 접근하여 흡입력으로 낱장의 김을 인출한 후 하강하여 이송부에 전달하여 반출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김 공급 장치의 이송부 로딩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인출부(30)의 흡입호퍼(31)가 김을 인출하여 하강하는 과정에서 신속하게 진공이 해제됨으로써 이송부로 김을 전달하는 과정을 측면도 및 평면도로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김 공급 장치의 정면도로서, 동력모터에 의해 운행되는 클램프부 및 인출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김 공급 장치에서 클램프부에 대한 동력전달부의 구성도로서, 클램프부의 일부 회동 행정에 있어서, 동력을 직접 전달받는 구동암 및 동력을 간접 전달받는 종동암의 사용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김 공급 장치의 잔류 흡입력 방지 구조로서, 인출부에서 이송부로 낱장의 김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김 훼손이 예방되도록 인출진공 개폐부재의 작동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김 공급 장치에서 인출부의 진공 집중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인출부가 하강하는 과정에서는 이송부의 로딩진공부에 진공 기능이 이용되고 인출부가 상승하는 과정에서는 로딩진공부의 진공 기능을 완화여 해당 진공 성능을 인출부의 진공 성능에 집중시킴으로써 김의 인출이 효과적으로 수행되는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김 공급 장치의 평면도로서, 인출부에 안착된 낱장의 김의 일부가 이송부에 올려지도록 구성된 인출부 및 컨베이어의 유격 구조를 도면의 일측 절반에 나타내고 나머지 절반에는 장치의 하부에 위치하는 동력모터 등의 배치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김 공급 장치의 캠부 구조 및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소정의 타이밍에 캠로드를 승강시키는 캠부재의 세부 구성 및 변형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김 공급 장치의 보유부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적재 카트리지에 연통되는 위치에 보유부를 구비하여 소정의 적치된 김을 임시로 보유하고 필요시 적재 카트리지에 제공하는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김 공급 장치는, 도 1 내지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된 김을 자동으로 파손없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낱장 인출하여 이송부로 전달하여 반출는 장치로서, 적재 카트리지에 적치된 소정의 김을 낱장씩 인출하여 이송부를 통해 배출함으로써 김 공급 공정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한다. 장치의 세부 구성으로서, 소정의 김이 적치되는 적재 카트리지가 구비된 본체부(10), 상기 소정의 김을 지지하되 임시로 지지해제 가능한 구조를 갖는 클램프부(20), 적치된 김을 낱장씩 인출해가는 인출부(30), 인출부(30)의 진공을 신속하게 해제하거나 복귀시키는 석션제어부(40), 인출부(30)로부터 전달된 낱장의 김을 로딩하여 반출시키는 이송부(50) 등을 포함한다. 동력모터(17)의 구동력에 의해 클램프부(20), 인출부(30) 및 이송부(50)가 구동될 수 있으며, 상기 클램프부(20)는 인출 공정 시 김을 훼손시키지 않도록 지지 상태가 임시로 해제되며, 상기 인출부(30)는 본체부(10)의 적재카트리지와 이송부(50) 사이를 왕복 운동하며, 상기 이송부(50)는 구동풀리(51)의 구동에 의해 컨베이어(53) 상에 안착된 낱장의 김을 외부로 반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김 공급 장치에서 낱장식 인출되어 전달될 소정량의 김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에 구비된 적재 카트리지(11)에 적치되며, 구체적으로는, 본체부(10)의 프레임(12) 상에 구비된 적재 카트리지(11)에 작업자가 소정의 김을 적치시켜 공급 전 준비 공정을 수행한다. 본체부(10)는 어느 하나의 구성으로 국한되지 않으며, 하나 이상의 적재 카트리지(11)를 구비하여 하나 이상의 김 공급 라인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적재 카트리지(11)에 소정의 단위의 표시선 등을 형성하여, 본체부(10)에 적치된 김의 적재총량 또는 잔량을 파악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김 공급 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부(20)에 의하여 지지된 적치상태의 김을 낱장씩 인출하여 이송부(50)로 전달하여 공급한다. 김의 낱장씩 인출 및 전달 과정에서 인출부(30)는 진공 흡입력에 의해 낱장씩 김을 인출하여 상기 인출된 김의 일부분을 이송부(50)에 로딩시키며, 이송부(50)는 로딩된 김을 이송하여 반출시킨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도 3(a) 및 3(b)와 같이 인출부(30)의 흡입호퍼(31)가 적재 카트리지(11)의 하방에서 상승하여 적치된 김의 하부로 접근하며 지지한 후, 도 3(c)와 같이 클램프부(20)의 제1 클램프(21) 및 제2 클램프(22)가 지지 상태를 해제하고 흡입호퍼(31)는 진공흡입력에 의하여 아래쪽 낱장 김의 외곽 부분을 굴곡시켜 표면에 흡착된 상태를 형성하며, 도 3(d)와 같이 클램프부(20)의 제1 클램프(21) 및 제2 클램프(22)가 지지 상태로 복귀하고 흡입호퍼(31)는 낱장 김의 흡착상태에서 하강하여 인출 과정을 완성하며, 도 3(e)와 같이 흡입호퍼(31)의 하강 중에 진공상태가 신속하게 해제되어 김의 흡착상태가 해제되며, 도 3(f)와 같이 흡입호퍼(31)는 하강 과정에서 낱장 김을 이송부(50)에 전달하여 하사점에 도달하였을 때 김이 제거된 상태가 된다. 이때 흡입호퍼(31)에서 이송부(50)로 김의 전달 과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김의 일부분이 이송부(50)의 일측 선단부에 로딩된 상태에서 이송부(50)의 주행에 의하여 이송부(50) 측으로 이동되는 구조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김 공급 장치에서 제1클램프(21) 및 제2클램프(2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 카트리지(11)의 하부에서 서로 대응된 위치에 구비되어 적치된 김에 대하여 지지상태 및 지지해제 상태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며, 승강하는 흡입호퍼(31)와 간섭되지 않도록 양 구성 사이에 소정의 유격이 구비된다. 제1클램프(21) 및 제2클램프(22)는 어느 하나의 구성 또는 구조로 국한되지 않으나, 직선상에 서로 대응되도록 구성되어 흡입호퍼(31) 위에 낱장의 김이 안착될 때 어느 한 쪽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김 공급 장치에서 제1클램프(21) 및 제2클램프(22)가 김의 하방으로부터 임시적으로 이탈하여 인출공정시 발생될 수 있는 김과의 간섭을 회피함으로써 김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다. 클램프부(20)의 세부 구성 및 결합관계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도 6에서는 제1클램프(21), 구동암(23) 및 제1종동암(24)이 서로 결합되어 일체로 구성되고, 제2클램프(22), 및 제2종동암(25)이 서로 결합되어 일체로 구성되어, 단일의 동력원에 의해 서로 운동이 연동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예시적인 실시예로서 병렬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적재 카트리지(11)에 대하여, 각 적재 카트리지(11)의 제1 클램프(21) 및 제2 클램프(22)의 세부 작동 구조를 살펴보면, 도 6(a)는 일부 회동된 구동암(23’)에 의해 함께 회동된 제1클램프(21’)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고, 도 6(b)는 종동로드(27)에 의해 제1종동암(24)과 다른 적재 카트리지(11)의 제2종동암(25)이 연동된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6(c)는 일부 회동된 제1종동암(24’)에 의해 함께 회동된 다른 적재 카트리지(11)의 제2종동암(25’)과, 그로 인해 함께 회동된 해당 제2클램프(22’)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동력로드(16)는 캠로드(62)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주면에 구동로드(26)가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 동력디스크(15)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동력디스크(15)를 소정의 각도 범위에서 회동시키며, 상기 구동로드(26)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구동암(23)이 상기 구동로드(26)에 의해 구동되면 구동암(23)의 제1클램프(21)는 회전하여 구동암(23’)의 제1클램프(21’) 상태를 구현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 구동암(23)과 결합된 제1종동암(24)도 함께 회전하여 제1종동암(24’) 상태를 구현하며, 종동로드(27)에 의해 연동된 다른 적재 카트리지(11)의 제2종동암(25)도 회전하여 제2종동암(25’) 상태를 구현하게 되고 해당 제2 클램프(22)도 회전하여 제2 클램프(22’) 상태를 구현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김 공급 장치는 적치된 소정의 김을 낱장씩 인출하는 인출부(30)를 포함한다. 상기 인출부(30)는 낱장의 김이 안착되는 흡입호퍼(31), 내부에 진공 상태가 형성되는 흡입박스(32), 상기 흡입박스(32)를 승강시키는 승강로드(33), 상기 흡입박스(32)의 이동 궤적을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로드(34)와 제2가이드로드(35)가 구비된다. 이때 인출부(30)의 승강 방식은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국한되지 않으나, 승강로드(33)가 구동계통과 크랭크 방식으로 결합되어 일정한 궤적을 따라 소정의 상사점 및 하사점 사이를 왕복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진공 설정 및 해제는 흡입박스(32)의 일면에 구비된 석션제어부(40)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낱장 김의 인출 등을 수행하는 상기 흡입박스(32) 내의 진공도는 장치의 운전속도, 진공용 블로워의 용량, 김의 상태 등에 따라 적정한 수준으로 설정할 필요가 있으며, 인출진공압 설정부(36)를 추가로 구비하여 진공도의 정밀 조절 등에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인출진공압 설정부(36)는 사용자가 수동 설정할 수 있는 단순 수동레버 형태로 구비되거나 혹은 장치의 운전속도, 진공용 블로워의 용량, 김의 상태 등에 따라 자동으로 제어구동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흡입호퍼(31)는 김의 흡착을 위한 통공이 구비되며 외곽이 라운딩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입호퍼(31)의 세부구조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진공에 의한 흡입력이 김에 균일하게 가해지도록 상기 통공은 복수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라운딩 형상의 외곽에 장공 형태로 구비되어 흡착된 김의 외곽이 상기 흡입호퍼(31)의 라우딩 형상을 따라 굴절된 형상으로 흡착되어 인출됨으로써 인출과정에서 클램프부(20)의 제1 클램프(21) 및 제2 클램프(22)와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김 공급 장치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부(30) 및 진공용 블로워(18)를 연결하며 인출부(30)의 진공 설정 및 해제 여부를 제어하는 석션제어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석션제어부(40)는, 진공용 블로워(18)와 연결되어 흡입박스(32)의 공기를 배출하는 석션배출부(41), 상기 석션배출부(41)를 통한 공기 배출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인출진공 개폐부재(44), 상기 인출진공 개폐부재(44)를 회동시키는 롤러암(42), 본체부(10)의 프레임(12)에 고정되고 인출진공의 작동 및 해제를 설정하도록 상기 롤러암(42)의 주행경로를 제공하는 인출진공 설정부재(43), 상기 롤러암(42)과 연동되어 회전하는 롤러종동암(45), 일측이 상기 롤러종동암(45)에 연결되어 상기 인출진공 개폐부재(44)의 복귀 회동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4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7(a)는 진공 상태의 흡입박스(32)를 도시한 것이며, 도 7(b)는 진공이 해제된 상태의 흡입박스(32)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인출부(30)가 승강로드(33)에 의하여 승강하는 과정에서 상기 인출부(30)와 연결된 석션제어부(40)가 함께 승강 운동하고, 상기 석션제어부(40)에 배치된 상기 롤러암(42)은 상기 인출진공 설정부재(43) 상에서 구름접촉 상태로 이동하며 인출진공 설정부재(43)와의 유격 형상에 의하여 회동각도가 조절되고, 상기 롤러암(42)의 회동에 연동되어 상기 인출진공 개폐부재(44)가 회동됨으로써 석션제어부(40) 내부에서 흡입박스(32) 내부의 공기를 진공용 블로워(18) 측으로 강제 배출하는 상태와, 강제 배출을 차단하는 상태를 구현하게 된다.
한편, 강제 배출을 단순히 차단하는 것은 흡입박스(32) 내부에 잔류 진공을 형성하여 김의 흡착상태 해제를 지연시킬 수 있으므로 외기의 유입을 허용하여 잔류 진공을 신속하게 해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시적으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인출진공 개폐부재(44)가 진공용 블로워(18) 측으로의 공기 배출을 차단하는 상태에서 외기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유입구(47)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장치의 운전 중에 상기 유입구(47)로 김 부스러기 또는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보호커버(48)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보호커버는(48)는 상기 유입구(47)의 외측 주변에 설치된 가림판 구조이거나 혹은 소정의 통공이 다수 형성되거나 망 구조의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47)의 개방 면적을 덮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김 공급 장치는 인출부(30)로부터 전달된 김을 반출하는 이송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부(50)는 동력모터(17)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구동풀리(51), 상기 구동풀리(51)에 의해 구동되는 종동풀리(52), 김을 선단에서 종단으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53), 진공용 블로워(18)와 연동되어 김을 컨베이어(53) 위에 안착시키는 흡착력을 제공하는 로딩진공부(5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로딩진공부(54)는 상기 컨베이어(53)의 김 이송면의 배면에 위치하고 내부의 진공에 의하여 외기를 흡인할 수 있는 통공이 구비되며, 상기 컨베이어(53)는 무한궤도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측에 궤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로딩진공부(54)의 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공(53-1)이 구비된다. 흡입호퍼(31)에 의하여 전달된 김의 일부분이 구동 중인 컨베이어(53) 위에 올려지면 마찰현상에 의하여 컨베이어(53)의 주행방향으로 이끌리며 컨베이어(53) 측으로 전달되고, 이 과정에서 진공용 블로워(18)에 의한 진공이 컨베이어(53) 하측의 로딩진공부(54)를 통하여 컨베이어(53)의 관통공(53-1)에 진공 흡입력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김은 컨베이어(53)에 더욱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전달되고 컨베이어(53)의 계속적인 주행에 따라 반출 지점까지 이송된다.
한편, 로딩진공부(54)의 진공은, 인출부(30)의 흡입호퍼(31)로부터 컨베이어(53)로 원활하게 김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주로 필요한 것이므로, 진공용 블로워(18)의 진동 용량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로딩진공부(54)의 진공 설정 및 해제 구조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시적으로 세부 구성으로서, 인출부(30)의 제1가이드로드(34)와 연동되는 로딩진공 구동레버(55), 상기 로딩진공 구동레버(55)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레버로드(56)에 의해 상기 로딩진공 구동레버(55)와 연동된 레버종동암(57), 및 진공용 블로워(18)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레버종동암(57)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로딩진공부(54)로 제공되는 진공을 임시적으로 차단 또는 감소시키는 로딩진공 차폐부재(58) 등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부(30)의 제1가이드로드(34) 및 이송부(50)의 로딩진공 차폐부재(58)가 연동되도록 구성하여 인출부(30)의 승강운동에 따른 로딩진공부(54)의 진공 상태 여부를 조정하여 인출부(30)에 의한 낱장 김 인출 공정과, 이송부(50)에 의한 김의 수취 및 반출 공정이 각각 원활하게 수행되게 된다. 도 8(a)는 인출부(30)가 상승하여 본체부(10)의 적재 카트리지(11) 하부에서 인출공정을 수행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로딩진공 구동레버(55)는 제1가이드로드(34)와 동일한 축을 기준으로 회동되며, 그에 따라 레버종동암(57)의 축 상에 구비된 로딩진공 차폐부재(58) 또한 회동되므로, 흡입호퍼(31)가 상사점에 도달하여 수행되는 인출공정시 로딩진공 차폐부재(58)에 의해 로딩진공부(54)의 진공 소모가 차단되거나 감소되므로 진공용 블로워(18)의 진공 용량은 인출부(30)에 집중적으로 제공될 수 있게 된다. 도 8(b)는 인출부(30)가 하강하여 이송부(50) 부근에 도달한 모습을 도시한 것으로서, 마찬가지로, 제1가이드로드(34), 및 로딩진공 구동레버(55), 레버종동암(57), 로딩진공 차폐부재(58)가 연동되게 되므로, 흡입호퍼(31)가 하강하여 이송부(50) 부근에 도달하여 수행되는 반출공정시 로딩진공 차폐부재(58)의 회동으로 인하여 진공용 블로워(18)의 진공이 로딩진공부(54) 측으로 제공 허용되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석션제어부(40)의 인출진공 개폐부재(44)가 인출부(30) 측의 진공 수요를 감소시키거나 차단하는 구동에 의하여, 결과적으로 진공용 블로워(18)의 진공 용량은 로딩진공부(54)에 집중적으로 제공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부(30)의 흡입호퍼(31)는 일정한 궤적 상에서 승강되며, 이송부(50)의 선단부 측과의 이격 및 접근 운동이 반복 수행되므로 구동풀리(51) 및 컨베이어(53) 등과 간섭되지 않는 구조를 필수적으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인출부(30)에 의해 인출된 김이 이송부(50)에 안정적으로 전달되도록 이송부(50)의 선단부와 간섭되지 않는 선에서 컨베이어(53)에 로딩되는 김의 면적을 가능한 많이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김 공급 장치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타이밍에 캠로드(62)를 승강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캠부(60)를 포함한다. 상기 캠부(60)는,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주면 상에 캠로드(62)의 타측이 슬라이딩 접촉하는 캠부재(61), 일측에 동력로드(16)가 결합된 캠로드(62), 동력모터(17) 또는 별도의 구동기에 의해 구동되는 동력축(67)을 설치하기 위한 동력축 설치공(67-1)이 형성된 캠허브부재(6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캠허브부재(63)에는 결합나사공(68)이 형성되어 결합나사(미도시)를 이용하여 상기 캠허브부재(63)는 동력축(67)에 결합될 수 있다.
초기 세팅, 테스트, 다른 사이즈의 김 재세팅 등의 과정에서 캠로드(62)의 승강 타이밍을 조절이 필요한 경우에, 결합나사(미도시)를 풀어서 동력축(67) 및 캠허브부재(63)의 결합관계를 임시로 해제한 후 양 구성 사이의 결합 각도 위치를 조절하여 캠로드(62)의 승강 타이밍제어하게 된다. 예를 들어, 초기 세팅에 비해 캠로드(62)의 상승 타이밍을 더 이르게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 동력축(67)에 대한 캠허브부재(63)의 결합 각도 위치를 소정의 진각상태로 선정하여 재결합함으로써 캠로드(62)의 승강 타이밍을 이르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그 반대의 경우에는 동력축에 대한 캠허브부재(63)의 결합 각도 위치를 소정의 지각상태로 선정하여 재결합함으로써 캠로드(62)의 승강 타이밍을 용이하게 지연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김 공급 장치는, 캠부의 잦은 체결 변경 작업으로 인한 동력축의 마모 또는 파손 등을 줄이기 위해 캠부(60)의 캠부재(61) 및 캠허브부재(63)를 별도로 형성하여 임시로 결합하거나 해제하는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예시적으로,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별도로 형성된 캠부재(61)에 각도조절공(64)이 구비되고 캠허브부재(63)에 체결공(69)이 형성되어, 체결부재(미도시)를 상기 각도조절공(64)을 통하여 상기 체결공(69)에 체결함으로써 캠부재(61) 및 캠허브부재(63)를 상호 결합할 수 있으며, 결합 각도 위치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체결부재(미도시)를 풀어서 캠허브부재(63)에 대하여 캠부재(61)를 회전시켜 결합함으로써 캠로드(62)의 승강 타이밍을 조절하여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시적인 변형실시예로서, 도 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중 캠허브 구조를 이용할 수 있다. 즉, 별도로 형성된 캠허브부재(63)는 결합나사공(68) 및 결합나사(미도시)에 의하여 동력축(67)에 결합되고, 별도로 형성된 캠부재(61)는 상기 캠허브부재(63)와 결합하기 위한 허브구조를 추가로 구비하여, 동력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캠부재(61)에 관통되게 형성된 체결공(69)을 통하여 체결부재(미도시)를 캠부재(61)에 체결하여 캠허브부재(63)를 가압하여 고정함으로써 양 구성을 임시로 결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결합 각도 위치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체결부재(미도시)를 풀어서 캠허브부재(63)에 대하여 캠부재(61)를 회전시켜 결합함으로써 캠로드(62)의 승강 타이밍을 조절하여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캠부재(61)에 소정의 단위로 각도가 새겨진 눈금(65)이 구비되고, 각도의 조절 정도를 알려주는 기준표시선(66)이 캠허브부재(63) 또는 동력축(67) 상에 구비됨으로써 캠부(60)의 진각 또는 지각 위치를 정밀하게 설정할 수 있고 손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김 공급 장치는, 적재 카트리지(10)에 적치된 소정량의 김이 적재 카트리지(11)에서 그대로 클램프부(20)에 지지되는 구조로 제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 카트리지(10)의 상부에 적치된 김을 선택적으로 지지하여 보유하도록 보유부(13)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보유부(13)는 수동 방식으로 또는 실린더 또는 모터, 솔레노이드 등의 구동기 방식으로 작동하는 보유클램프(14)를 구비하여 임시로 보유하고 있는 소정의 적치된 김을 하부에 위치한 클램프부(20)에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유클램프(14)는 수동레버로 형성되어 레버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면 적치된 김의 자중에 의하여 보유클램프(14)가 회동되어 상기 적치된 김이 낙하하여 적재 카트리지(11)의 클램프부(20)로 공급되는 구조로 형성되거나, 혹은 앞선 설명에서 클램프부(20)의 제1 클램프(21) 및 제2클램프(22)처럼 구동기가 제공하는 외력에 의해 지지상태와 지지해제상태가 전환되는 보유클램프(14)가 회동되어 상기 적치된 김이 낙하하여 적재 카트리지(11)의 클램프부(20)로 공급되는 자동 제어 구조일 수 있다. 또한, 보유클램프(14)를 복수의 단으로 구비하여 김을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며 대기상태로 보유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로써 자동 김 공급 장치는 상기 보유부(13)를 버퍼 구역으로 활용할 수 있어서 클램프부(20)에 김을 과다하게 적치하지 않으면서도 다량의 김을 손쉽게 연속적으로 자동 공급할 수 있으며, 공급용 김을 장치 내부에 보유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장치의 공간 활용성을 더욱 개선하는 장점을 가진다.
이 외에도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 또는 분할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 또는 분할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범위 안에서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방법의 단계는 단독으로 복수회 실시되거나 혹은 적어도 다른 어느 한 단계와 조합으로 복수회 수행되는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본체부
11 : 적재 카트리지 12 : 프레임
13 : 보유부 14 : 보유클램프
15 : 동력디스크 16 : 동력로드
17 : 동력모터 18 : 진공용 블로워
20 : 클램프부
21 : 제1클램프 22 : 제2클램프
23 : 구동암
24 : 제1종동암 25 : 제2종동암
26 : 구동로드 27 : 종동로드
30 : 인출부
31 : 흡입호퍼 32 : 흡입박스
33 : 승강로드
34 : 제1가이드로드 35 : 제2가이드로드
36 : 인출진공압 설정부
40 : 석션제어부
41 : 석션부재 42 : 롤러암
43 : 인출진공 설정부재 44 : 인출진공 개폐부재
45 : 롤러종동암 46 : 스프링부
47 : 유입구 48 : 보호커버
49 : 탄성완충부
50 : 이송부
51 : 구동풀리 52 : 종동풀리
53 : 컨베이어 54 : 로딩진공부
55 : 로딩진공 구동레버 56 : 레버로드
57 : 레버종동암 58 : 로딩진공 차폐부재
60 : 캠부
61 : 캠부재 62 : 캠로드
63 : 캠허브부재 64 : 각도조절공
65 : 눈금 66 : 기준표시선
67 : 동력축
68 : 결합나사공 69 : 체결공

Claims (6)

  1. 적재 카트리지에 적치된 소정의 김을 낱장씩 인출하여 공급하는 자동 김 공급 장치로서,
    소정의 김이 적치되는 적재 카트리지(11)가 구비된 본체부(10); 및
    상기 적재 카트리지(11)에 구비되어 상기 소정의 김을 지지하되 임시로 지지해제 가능하게 구동되는 클램프(21, 22)가 구비된 클램프부(20);
    상기 적재 카트리지(11)의 하방에 승강 구동되도록 설치되어 진공압을 이용하여 상기 적재 카트리지(11)의 하부로부터 적치된 김을 낱장씩 인출하는 인출부(30);
    상기 인출부(30)에 제공되는 인출용 진공압을 제어하도록 구동되는 석션제어부(40);
    상기 인출부(30)에 의하여 전달된 낱장의 김을 로딩하여 반출시키는 이송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클램프부(20)의 클램프(21, 22)와, 인출부(30), 석션제어부(40) 중 적어도 어느 둘은 캠부(60)에 의하여 상호 유기적으로 연동되어 구동되며,
    상기 캠부(60)는,
    외주면 상에 캠로드(62)의 타측이 슬라이딩 접촉하는 캠부재(61); 및
    상기 클램프(21, 22) 또는 인출부(30), 석션제어부(40)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로드(16)가 일측에 결합된 캠로드(62);
    동력모터(17) 또는 별도의 구동기에 의해 구동되는 동력축(67)을 설치하기 위한 동력축 설치공(67-1)이 형성된 캠허브부재(6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캠부(60)의 캠부재(61) 및 캠허브부재(63)는 서로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어 상호 결합 및 해제가 가능한 구조를 구비하며,
    상기 캠부재(61)와 캠허브부재(63)는 서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구조로 형성되어 조립되고 체결부재에 의하여 임시로 상호 결합됨으로써,
    상기 캠부재(61)와 캠허브부재(63)의 결합 각도 위치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체결부재를 풀어서 캠허브부재(63) 또는 캠부재(61)를 회전시켜 결합함으로써 캠로드(62)의 승강 타이밍을 조절하여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김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석션제어부(40)는,
    진공용 블로워(18)와 연결되어 흡입박스(32)의 공기를 상기 진공용 블로워(18)를 통하여 배출하는 석션배출부(41); 및
    상기 석션배출부(41)를 통한 공기 배출을 제어하는 인출진공 개폐부재(44);
    상기 인출진공 개폐부재(44)를 회동시키는 롤러암(42);본체부(10)의 프레임(12)에 고정되고, 상기 인출용 진공압의 작동 및 해제를 설정하도록 상기 롤러암(42)의 주행경로를 제공하는 인출진공 설정부재(43);
    상기 인출진공 개폐부재(44)의 복귀 회동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46);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김 공급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석션제어부(40)는, 상기 인출진공 개폐부재(44)가 진공용 블로워(18) 측으로의 공기 배출을 감소시키거나 차단하는 과정에서 외기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유입구(47);를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김 공급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석션제어부(40)는,상기 유입구(47)로 김 부스러기 또는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보호커버(48);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김 공급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김을 낱장씩 인출하는 과정에서 상기 인출부(30)에 의해 제공되는 인출용 진공압의 크기를 조절하여 설정하는 인출진공압 설정부(36);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김 공급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 카트리지(11)의 상부에 적치된 김을 임시로 지지하여 보유하도록 보유부(13);를 더 구비하며,
    상기 보유부(13)는 수동으로 또는 구동기에 의한 자동 제어 방식으로 작동하는 보유클램프(14)에 의하여 임시로 보유한 소정의 적치된 김을 하부에 위치한 클램프부(20)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김 공급 장치.
KR1020190165945A 2019-12-12 2019-12-12 자동 김 공급 장치 KR102199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945A KR102199171B1 (ko) 2019-12-12 2019-12-12 자동 김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945A KR102199171B1 (ko) 2019-12-12 2019-12-12 자동 김 공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9171B1 true KR102199171B1 (ko) 2021-01-06

Family

ID=74128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5945A KR102199171B1 (ko) 2019-12-12 2019-12-12 자동 김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91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9904B1 (ko) * 2021-06-29 2022-01-10 김병철 위치 제어의 정확성을 기반으로 한 고속 김 공급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3057A (ko) 1990-07-05 1992-02-29 알랭 세. 스와르 안지오텐신 ⅱ의 특이적 분석용 키트
JP2003095323A (ja) * 2001-05-28 2003-04-03 Makoto Suzuki 海苔束包装装置
KR100808507B1 (ko) * 2007-11-20 2008-02-29 정재강 낱장 김을 연속으로 이어 만든 롤형 이음 김의 제조장치
JP4378401B2 (ja) * 2006-09-20 2009-12-09 允 鈴木 シート状食品の供給装置
KR20130111111A (ko) * 2012-03-31 2013-10-10 강신탁 김 공급장치
KR101834643B1 (ko) 2016-06-15 2018-03-06 강신탁 김 공급장치의 적재 인출기구
KR101862470B1 (ko) * 2016-10-01 2018-05-29 강신탁 김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3057A (ko) 1990-07-05 1992-02-29 알랭 세. 스와르 안지오텐신 ⅱ의 특이적 분석용 키트
JP2003095323A (ja) * 2001-05-28 2003-04-03 Makoto Suzuki 海苔束包装装置
JP4378401B2 (ja) * 2006-09-20 2009-12-09 允 鈴木 シート状食品の供給装置
KR100808507B1 (ko) * 2007-11-20 2008-02-29 정재강 낱장 김을 연속으로 이어 만든 롤형 이음 김의 제조장치
KR20130111111A (ko) * 2012-03-31 2013-10-10 강신탁 김 공급장치
KR101834643B1 (ko) 2016-06-15 2018-03-06 강신탁 김 공급장치의 적재 인출기구
KR101862470B1 (ko) * 2016-10-01 2018-05-29 강신탁 김 공급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9904B1 (ko) * 2021-06-29 2022-01-10 김병철 위치 제어의 정확성을 기반으로 한 고속 김 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230472B (zh) 连杆活塞销挡圈自动装配机
KR102199171B1 (ko) 자동 김 공급 장치
CN110789964B (zh) 物料计数系统
KR100897421B1 (ko) 김 공급장치
CN205526710U (zh) 叠盘机
US9573774B2 (en) Device for handling plate-shaped objects
JP4378401B2 (ja) シート状食品の供給装置
JPH01256421A (ja) 試験片を検査装置へ搬送するための試験片搬送装置
KR101450445B1 (ko) 김 공급장치
CN106247147B (zh) 一种改良型轴承注脂上料装置
US5494398A (en) Unstacking machine and method
CN117696772A (zh) 一种试模压力机试模落料生产线
CN206720288U (zh) 一种自动供料装置
JP5543794B2 (ja) コンベア装置及びワーク搬送装置
CN109879084A (zh) 吸风伺服送纸机
CN212398715U (zh) 连续冲压模具用自动送销机
CN206552720U (zh) 一种物料输送装置
KR102144475B1 (ko) 낱장의 김 이송이 가능한 김 공급장치
CN109748099A (zh) 轴承外圈夹持装置
CN109470031A (zh) 一种自循环式茶叶炒干机
CN211682608U (zh) 全自动铺板机
JP4390823B2 (ja) シート状食品の供給装置
KR102349904B1 (ko) 위치 제어의 정확성을 기반으로 한 고속 김 공급장치
CN205738273U (zh) 自动穿管机的搬运装置
KR20130002414A (ko) 이동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