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2414A - 이동슈트 - Google Patents

이동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2414A
KR20130002414A KR1020110063368A KR20110063368A KR20130002414A KR 20130002414 A KR20130002414 A KR 20130002414A KR 1020110063368 A KR1020110063368 A KR 1020110063368A KR 20110063368 A KR20110063368 A KR 20110063368A KR 20130002414 A KR20130002414 A KR 201300024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duct
rotation
unit
vertical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3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7578B1 (ko
Inventor
이태연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3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7578B1/ko
Publication of KR20130002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4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7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75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68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adapted to receive articles arriving in one layer from one conveyor lane and to transfer them in individual layers to more than one conveyor lane or to one broader conveyor lane, or vice versa, e.g. combining the flows of articles conveyed by more than one conveyor
    • B65G47/70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adapted to receive articles arriving in one layer from one conveyor lane and to transfer them in individual layers to more than one conveyor lane or to one broader conveyor lane, or vice versa, e.g. combining the flows of articles conveyed by more than one conveyor with precedence controls among incoming article fl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20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 B65G11/206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for 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4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68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adapted to receive articles arriving in one layer from one conveyor lane and to transfer them in individual layers to more than one conveyor lane or to one broader conveyor lane, or vice versa, e.g. combining the flows of articles conveyed by more than one conveyor
    • B65G47/681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adapted to receive articles arriving in one layer from one conveyor lane and to transfer them in individual layers to more than one conveyor lane or to one broader conveyor lane, or vice versa, e.g. combining the flows of articles conveyed by more than one conveyor from distinct, separate conveyor l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25Orientation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33Position of the art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슈트에 관한 것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분배덕트부와, 분배덕트부의 하방에 위치되는 복수의 안내덕트부와, 안내덕트부에 인접되고 분배덕트부에 부착된 부착광이 낙하되어 저장되는 낙광저장부; 및 분배덕트부에 장착되고, 낙광저장부에 저장된 낙광을 안내덕트부로 이동시키는 낙광제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슈트는 낙광을 저장한 후 분배덕트부 이동시 이를 안내덕트부로 투입함으로써, 낙광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슈트{MOVABLE CHUTE}
본 발명은 이동슈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벨트 컨베이어로 이송물을 선택 유도하는 과정에서 부착광의 손실을 억제하는 이동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 쓰이는 연료나 원료와 같은 이송물은 복수개의 벨트 컨베이어에 의해 원하는 장소로 이송된다.
벨트 컨베이어의 길이가 무한대로 될 수 없기 때문에, 벨트 컨베이어와 벨트 컨베이어 사이에는 슈트(chute)가 구비된다.
슈트는 어느 하나의 벨트 컨베이어에서 이송된 이송물이 다른 하나의 벨트 컨베이어로 낙하되도록 유도하는 덕트 형상을 하여 벨트 컨베이어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부착광이 낙하되지 않도록 보관하고, 이러한 부착광을 벨트 컨베이어로 유도하는 이동슈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분배덕트부; 상기 분배덕트부의 하방에 위치되는 복수의 안내덕트부; 상기 안내덕트부에 인접되고, 상기 분배덕트부에 부착된 부착광이 낙하되어 저장되는 낙광저장부; 및 상기 분배덕트부에 장착되고, 상기 낙광저장부에 저장된 낙광을 상기 안내덕트부로 이동시키는 낙광제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슈트를 제공한다.
상기 분배덕트부는 상단부가 연결되는 복수의 분배덕트; 및 상기 분배덕트와 연결되어 상기 분배덕트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낙광제거부는 상기 분배덕트에 장착되어 상하 이동되는 상하제거부; 및 상기 분배덕트에 장착되어 회전되는 회전제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하제거부는 상기 분배덕트의 양측에 각각 위치되는 상하제거판; 상기 상하제거판에서 연장되고, 상기 분배덕트를 관통하여 절곡 형성되는 상하걸림판; 및 상기 상하걸림판을 상하 이동시키는 상하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하구동부는 상기 분배덕트에 고정 설치되는 상하고정부; 상기 상하고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상하회전축; 상기 상하회전축에 결합되고, 상기 상하걸림판을 지지하는 타원형 상하지지체; 상기 상하회전축에 연결되고 일방향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상하전달체; 상기 상하전달체에 결합되고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상하전달봉; 상기 상하회전축에 관통되고 타원 형상을 갖는 상하걸림체; 상기 상하걸림체에 결합되고, 상기 상하전달봉에 걸리도록 돌출 형성되는 상하걸림봉; 및 상기 상하걸림체의 이동경로상에 배치되어 상기 상하걸림체를 가압하는 상하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제거부는 상기 분배덕트에 내장되고 상기 상하제거판 사이에 위치되는 회전제거판; 상기 회전제거판에 결합되고, 상기 분배덕트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메인축; 및 상기 회전메인축을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회전메인축에 연결되고 일방향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회전전달체; 상기 회전전달체에 결합되고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회전전달봉; 상기 회전메인축에 관통되고 타원 형상을 갖는 회전걸림체; 상기 회전걸림체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전달봉에 걸리도록 돌출 형성되는 회전걸림봉; 및 상기 회전걸림체의 이동경로상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걸림체를 가압하는 회전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슈트는 이동된 분배덕트에 부착된 부착광이 낙하되더라도 낙광저장부가 이를 저장함으로써, 낙광 손실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슈트는 낙광제거부가 낙광저장부에 저장된 낙광을 안내덕트부로 투입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슈트는 분배덕트가 낙광제거부로 이동시 상하제거판이 상승하여 낙광과의 간섭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슈트는 분배덕트가 낙광제거부로 이동시 회전제거판이 회전하여 낙광과의 간섭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슈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분배덕트부가 낙광저장부로 이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서 분배덕트부가 안내덕트부로 이동되어 낙광이 제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슈트에서 상하제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슈트에서 분배덕트부가 낙광저장부로 이동되는 동안 상하구동부의 작동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슈트에서 분배덕트부가 안내덕트부로 이동되는 동안 상하구동부의 작동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슈트에서 회전제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슈트에서 분배덕트부가 낙광저장부로 이동되는 동안 회전구동부의 작동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슈트에서 분배덕트부가 안내덕트부로 이동되는 동안 회전구동부의 작동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슈트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슈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분배덕트부가 낙광저장부로 이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2에서 분배덕트부가 안내덕트부로 이동되어 낙광이 제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슈트에서 상하제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슈트에서 분배덕트부가 낙광저장부로 이동되는 동안 상하구동부의 작동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슈트에서 분배덕트부가 안내덕트부로 이동되는 동안 상하구동부의 작동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슈트에서 회전제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슈트에서 분배덕트부가 낙광저장부로 이동되는 동안 회전구동부의 작동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슈트에서 분배덕트부가 안내덕트부로 이동되는 동안 회전구동부의 작동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슈트(1)에는 분배덕트부(10), 안내덕트부(20), 낙광저장부(30) 및 낙광제거부(40)가 구비된다.
분배덕트부(10)는 이송물이 투입되는 투입부(100)의 하방에 위치되어 이송물을 안내덕트부(20)로 유도한다. 이러한 분배덕트부(10)는 수평으로 이동된다.
안내덕트부(20)는 분배덕트부(10)의 하방에 위치된다. 이러한 안내덕트부(20)는 복수개가 나란히 배치된다.
낙광저장부(30)는 안내덕트부(20)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이러한 낙광저장부(30)에는 낙광이 저장된다.
즉, 분배덕트부(10)의 내벽에는 부착광이 부착되고, 이러한 부착광은 분배덕트부(10)의 이동이나 진동에 의해 낙하되어 낙광이 된다.
분배덕트부(10)가 낙광저장부(30)의 상방에 위치되면, 분배덕트부(10)에 부착된 부착광이 낙하되면서 낙광저장부(30)에 누적된다.
낙광제거부(40)는 분배덕트부(10)에 장착된다. 이러한 낙광제거부(40)는 낙광저장부(30)에 저장된 낙광을 안내덕트부(20)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덕트부(10)에는 복수의 분배덕트(11) 및 분배덕트(10)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체(12)가 구비된다. 이때, 복수의 분배덕트(11)는 상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이동된다.
따라서, 분배덕트(11)가 우측으로 이동되면, 투입부(100)에서 투입된 이송물이 좌측의 분배덕트(11)를 통해 좌측의 안내덕트부(20)로 유도된다(도 1 및 도 3 참조).
그리고, 분배덕트(11)가 좌측으로 이동되어 좌측의 분배덕트(11)가 낙광저장부(30)의 상방에 위치되면, 투입부(100)에서 투입된 이송물이 우측의 분배덕트(11)를 통해 우측의 안내덕트부(20)로 유도된다(도 2 참조).
한편, 분배덕트(11)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낙광저장부(30)와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분배덕트(11)의 저면과 낙광저장부(30)는 이격된다.
이러한 분배덕트(11)와 낙광저장부(30)와의 이격된 공간에 위치되는 낙광제거부(40)는 좌측의 분배덕트(11)가 좌측의 안내덕트부(20)로 이동될 때 낙광저장부(30)에 저장된 낙광을 좌측의 안내덕트부(20)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광제거부(40)에는 상하제거부(50) 및 회전제거부(60)가 구비된다. 상하제거부(50)는 분배덕트(11)에 장착되어 상하 이동되고, 회전제거부(60)는 분배덕트(11)에 장착되어 회전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제거부(50)에는 상하제거판(51), 상하걸림판(52) 및 상하구동부(53)가 구비된다.
상하제거판(51)은 분배덕트(11)의 양측에 각각 위치된다. 이러한 상하제거판(51)은 분배덕트(11)의 내측면에 근접 배치되고, 서로 마주본다.
상하걸림판(52)은 상하제거판(51)에서 연장 형성되고, 분배덕트(11)에 형성되는 분배홀(15)을 관통하여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상하걸림판(52)은 상단부가 절곡된 형상을 갖는다.
상하구동부(53)는 상하걸림판(52)을 상하로 이동시켜, 궁극적으로 상하제거판(51)을 상하 이동시킨다.
상하구동부(53)는 분배덕트(11)가 안내덕트부(20)에서 낙광저장부(30)로 이동될 때 상하제거판(51)이 낙광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하걸림판(52)을 상승시킨다.
그리고, 상하구동부(53)는 분배덕트(11)가 낙광저장부(30)에서 안내덕트부(20)로 이동될 때 상하걸림판(52)을 하강시킨다. 이로 인해, 상하제거판(51)은 낙광저장부(30)에 근접된 상태에서 이동되면서 낙광을 안내덕트부(20)로 유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구동부(53)에는 상하고정부(531), 상하회전축(532), 상하지지체(533), 상하전달체(534), 상하전달봉(535), 상하걸림체(536), 상하걸림봉(357) 및 상하레일(358)이 구비된다.
상하고정부(531)은 분배덕트(11)에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상하고정부(531)는 분배홀(15)에 근접 위치되고, 베어링이 구비되어 상하회전축(532)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다.
상하회전축(532)은 상하고정부(531)를 관통하며, 상하고정부(531)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하지지체(533)는 상하회전축(532)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상하걸림판(52)의 저면을 지지한다. 이러한 상하지지체(533)는 타원 형상을 한다. 따라서, 상하지지체(533)의 회전각에 따라 상하걸림판(52)의 높낮이가 조절된다.
상하전달체(534)는 상하회전축(532)의 타단부에 연결된다. 이러한 상하전달체(534)는 원웨이클러치(one way clutch) 방식으로 상하회전축(532)과 결합되어 일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하회전축(532)에 동력을 전달하고, 타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하회전축(532)에 동력을 전달하지 않는다.
상하전달봉(535)은 상하전달체(534)에 결합되고,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하걸림체(536)는 상하회전축(532)이 관통되도록 홀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하걸림체(536)는 타원 형상을 하며, 상하레일(538)과의 접촉시 상하회전축(532)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된다. 이때, 상하걸림체(536)는 상하회전축(532)과 연동되지 않고 단독으로 회전된다.
상하걸림봉(537)은 상하걸림체(536)에 결합된다. 이러한 상하걸림봉(537)은 상하걸림체(536)의 회전시 상하전달봉(535)에 걸리도록 돌출 형성된다.
상하레일(538)은 상하걸림체(536)의 이동경로상에 배치되고, 분배덕트(11)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하걸림체(536)가 상하레일(538)에 걸린다.
따라서, 분배덕트(11)가 이동됨에 따라 상하걸림체(536)가 상하레일(538)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된다. 이때, 상하전달봉(535)에 상하걸림봉(537)이 걸리는 경우, 상하걸림체(536)의 회전력이 상하전달체(534)에 전달되어 상하회전축(532)이 회전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제거부(60)에는 회전제거판(61), 회전메인축(62) 및 회전구동부(63)가 구비된다.
회전제거판(61)은 분배덕트(11)에 내장되고, 상하제거판(51) 사이에 위치된다.
회전메인축(62)은 회전제거판(61)에 결합되고, 분배덕트(11)에 양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회전메인축(62)은 일단부가 회전구동부(63)와 연동되도록 분배덕트(11)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회전구동부(63)는 회전메인축(62)을 회전시키고, 회전메인축(62)과 연결된 회전제거판(61)은 회전메인축(62)과 연동되어 회전된다.
회전구동부(63)는 분배덕트(11)가 안내덕트부(20)에서 낙광저장부(30)로 이동될 때 낙광과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회전제거판(61)의 하단부가 상승하도록 회전제거판(61)을 회전시킨다.
그리고, 회전구동부(63)는 분배덕트(11)가 낙광저장부(30)에서 안내덕트부(20)로 이동될 때 회전제거판(61)의 하단부가 하강하도록 회전제거판(61)을 회전시킨다.
이로 인해, 회전제거판(61)은 낙광저장부(30)에 근접된 상태에서 이동되면서 낙광을 안내덕트부(20)로 유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구동부(63)에는 회전전달체(631), 회전전달봉(632), 회전걸림체(633), 회전걸림봉(634) 및 회전레일(635)이 구비된다.
회전전달체(631)는 회전메인축(62)의 일단부에 연결된다. 이러한 회전전달체(631)는 원웨이클러치(one way clutch) 방식으로 회전메인축(62)과 결합되어 일방향으로 회전될 때 회전메인축(62)에 동력을 전달하고, 타방향으로 회전될 때 회전메인축(62)에 동력을 전달하지 않는다.
회전전달봉(632)은 회전전달체(631)에 결합되고,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회전걸림체(633)는 회전메인축(62)이 관통되도록 홀이 형성된다. 이러한 회전걸림체(633)는 타원 형상을 하며, 회전레일(635)과의 접촉시 회전메인축(62)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된다. 이때, 회전걸림체(633)는 회전메인축(62)과 연동되지 않고 단독으로 회전된다.
회전걸림봉(634)은 회전걸림체(633)에 결합된다. 이러한 회전걸림봉(634)은 회전걸림체(633)의 회전시 회전전달봉(632)에 걸리도록 돌출 형성된다.
회전레일(635)은 회전걸림체(633)의 이동경로상에 배치되고, 분배덕트(11)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회전걸림체(633)가 회전레일(635)에 걸려 회전된다.
따라서, 분배덕트(11)가 이동됨에 따라 회전걸림체(633)가 회전레일(635)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된다. 이때, 회전전달봉(632)에 회전걸림봉(634)이 걸리는 경우, 회전걸림체(633)의 회전력이 회전전달체(631)에 전달되어 회전메인축(62)을 회전시켜준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슈트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좌측에 위치되는 분배덕트(11)가 투입부(100)의 하방에 위치되면, 투입부(100)를 통해 투입된 이송물이 좌측에 위치되는 분배덕트(11)에 의해 좌측의 안내덕트부(20)로 낙하된다(도 1 참조).
그리고, 좌측에 위치되는 분배덕트(11)가 이동체(12)의 길이변화로 인해 좌측으로 이동되어 낙광저장부(30) 상방에 위치되면, 투입부(100)에서 투입된 이송물이 우측에 위치되는 분배덕트(11)를 통해 우측의 안내덕트부(20)로 낙하된다(도 2 참조).
상기한 상태에서, 좌측에 위치되는 분배덕트(11)가 이동체(12)의 길이변화로 인해 우측으로 이동되어 좌측의 안내덕트부(20) 상방에 위치되면, 투입부(100)에서 투입된 이송물이 좌측에 위치되는 분배덕트(11)를 통해 좌측의 안내덕트부(20)로 낙하된다(도 3 참조).
한편, 분배덕트(11)가 낙광저장부(30) 상방에 위치되면, 분배덕트(11)에 부착된 부착광이 낙하되어 낙광저장부(30)에는 낙광이 저장된다.
이때, 분배덕트(11)에 장착된 낙광제거부(40)는 낙광저장부(30)에 밀착되도록 하방 이동되어 분배덕트(11)가 우측으로 이동될 때 낙광을 안내덕트부(20)로 이동시킨다.
이하, 낙광제거부(40) 중에서 상하제거부(50)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분배덕트(11)가 낙광저장부(30)로 이동되기 전, 상하걸림체(536)의 장축은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하지지체(533)의 장축은 경사를 갖도록 배치되어 상하걸림판(52)을 지지한다(도 5a).
상기한 상태에서 분배덕트(11)가 낙광저장부(30)로 이동되면, 상하걸림체(536)의 하단부는 상하레일(538)에 걸려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상하걸림봉(537)도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도 5b).
이때, 상하걸림봉(537)은 상하전달봉(535)에 걸려 상하전달봉(535)을 회전시킨다. 이러한 상하전달봉(535)이 회전됨에 따라 상하전달체(53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상하회전축(532)을 회전시킨다.
상하회전축(532)이 회전되면, 상하지지체(533)가 회전되어 장축이 수직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상하걸림판(52)은 상승되고, 이와 연결된 상하제거판(51)이 상승되어 낙광과의 간섭을 방지한다.
분배덕트(11)가 낙광저장부(30)의 상방에 위치되면, 상하걸림체(536)는 상하레일(538)과의 간섭이 해제된다(도 5c).
이때, 상하걸림체(536)는 하중에 의해 장축이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하걸림판(52)의 무게에 의해 상하지지체(533)는 장축이 경사를 갖도록 회전됨으로써, 상하걸림판(52)이 하강된다.
따라서, 분배덕트(11)가 낙광저장부(30)로 이동되는 동안 상하제거판(51)이 상승함으로써, 낙광저장부(30)에 저장된 낙광과 상하제거판(51)과의 간섭을 방지한다.
한편, 분배덕트(11)가 안내덕트부(20)로 이동되기 전, 상하걸림체(536)의 장축은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하지지체(533)의 장축은 경사를 갖도록 배치되어 상하걸림판(52)을 지지한다(도 6a).
상기한 상태에서 분배덕트(11)가 안내덕트부(20)로 이동되면, 상하걸림체(536)의 하단부는 상하레일(538)에 걸려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고, 상하걸림봉(537)도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도 6b).
이때, 상하걸림봉(537)은 상하전달봉(535)에 걸리지 않으므로 상하전달봉(535)은 회전되지 않는다. 이러한 상하전달봉(535)이 회전되지 않음에 따라 상하전달체(534)가 회전되지 않아 상하지지체(533)는 경사를 갖도록 배치된 상태를 유지한다.
분배덕트(11)가 안내덕트부(20)의 상방에 위치되면, 상하걸림체(536)는 상하레일(538)과의 간섭이 해제된다(도 6c). 이때, 상하걸림체(536)는 하중에 의해 장축이 수직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분배덕트(11)가 안내덕트부(20)로 이동되는 동안 상하제거판(51)이 하강된 상태를 유지하여 낙광저장부(30)에 근접됨으로써, 낙광저장부(30)에 저장된 낙광의 이탈을 방지한다.
이하, 낙광제거부(40) 중에서 회전제거부(60)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분배덕트(11)가 낙광저장부(30)로 이동되기 전, 회전걸림체(633)의 장축은 수직으로 배치된다(도 8a).
상기한 상태에서 분배덕트(11)가 낙광저장부(30)로 이동되면, 회전걸림체(633)의 하단부는 회전레일(635)에 걸려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회전걸림봉(634)도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도 8b).
이때, 회전걸림봉(634)은 회전전달봉(632)에 걸려 회전전달봉(632)을 회전시킨다. 이러한 회전전달봉(632)이 회전됨에 따라 회전전달체(63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회전메인축(62)을 회전시킨다.
회전메인축(62)이 회전되면, 이와 연결된 회전제거판(61)이 회전되어 회전제거판(61)의 하단부가 상승한다. 이로 인해 회전제거판(61)과 낙광과의 간섭이 방지된다.
분배덕트(11)가 낙광저장부(30)의 상방에 위치되면, 회전걸림체(633)는 회전레일(635)과의 간섭이 해제된다(도 8c).
이때, 회전걸림체(633)는 하중에 의해 장축이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회전되고, 회전제거판(61)의 하중에 의해 회전제거판(61)이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회전메인축(62)이 회전된다.
따라서, 분배덕트(11)가 낙광저장부(30)로 이동되는 동안 회전제거판(61)의 하단부가 상승함으로써, 낙광저장부(30)에 저장된 낙광과 회전제거판(61)과의 간섭이 방지된다.
한편, 분배덕트(11)가 안내덕트부(20)로 이동되기 전, 회전걸림체(633)의 장축은 수직으로 배치되고, 회전제거판(61)은 수직으로 배치되어 분배덕트(11)의 내벽에 밀착된다(도 9a).
상기한 상태에서 분배덕트(11)가 안내덕트부(20)로 이동되면, 회전걸림체(633)의 하단부는 회전레일(635)에 걸려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고, 회전걸림봉(634)도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도 9b).
이때, 회전걸림봉(634)은 회전전달봉(632)에 걸리지 않으므로 회전전달봉(632)은 회전되지 않는다. 이러한 회전전달봉(632)이 회전되지 않음에 따라 회전전달체(631)가 회전되지 않아 회전제거판(61)은 수직으로 배치된 상태를 유지한다.
분배덕트(11)가 안내덕트부(20)의 상방에 위치되면, 회전걸림체(633)는 회전레일(635)과의 간섭이 해제된다(도 9c). 이때, 회전걸림체(633)는 하중에 의해 장축이 수직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분배덕트(11)가 안내덕트부(20)로 이동되는 동안 회전제거판(61)이 회전되지 않고 수직으로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회전제거판(61)의 하단부가 낙광저장부(30)의 상측에 근접위치되어 낙광저장부(30)에 저장된 낙광을 안내덕트부(20)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분배덕트부 20 : 안내덕트부
30 : 낙광저장부 40 : 낙광제거부
50 : 상하제거부 51 : 상하제거판
52 : 상하걸림판 53 : 상하구동부
60 : 회전제거부 61 : 회전제거판
62 : 회전메인축 63 : 회전구동부
531 : 상하고정부 532 : 상하회전축
533 : 상하지지체 534 : 상하전달체
535 : 상하전달봉 536 : 상하걸림체
537 : 상하걸림봉 538 : 상하레일
631 : 회전전달체 632 : 회전전달봉
633 : 회전걸림체 634 : 회전걸림봉
635 : 회전레일

Claims (7)

  1.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분배덕트부;
    상기 분배덕트부의 하방에 위치되는 복수의 안내덕트부;
    상기 안내덕트부에 인접되고, 상기 분배덕트부에 부착된 부착광이 낙하되어 저장되는 낙광저장부; 및
    상기 분배덕트부에 장착되고, 상기 낙광저장부에 저장된 낙광을 상기 안내덕트부로 이동시키는 낙광제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슈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덕트부는
    상단부가 연결되는 복수의 분배덕트; 및
    상기 분배덕트와 연결되어 상기 분배덕트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슈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낙광제거부는
    상기 분배덕트에 장착되어 상하 이동되는 상하제거부; 및
    상기 분배덕트에 장착되어 회전되는 회전제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슈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제거부는
    상기 분배덕트의 양측에 각각 위치되는 상하제거판;
    상기 상하제거판에서 연장되고, 상기 분배덕트를 관통하여 절곡 형성되는 상하걸림판; 및
    상기 상하걸림판을 상하 이동시키는 상하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슈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구동부는
    상기 분배덕트에 고정 설치되는 상하고정부;
    상기 상하고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상하회전축;
    상기 상하회전축에 결합되고, 상기 상하걸림판을 지지하는 타원형 상하지지체;
    상기 상하회전축에 연결되고 일방향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상하전달체;
    상기 상하전달체에 결합되고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상하전달봉;
    상기 상하회전축에 관통되고 타원 형상을 갖는 상하걸림체;
    상기 상하걸림체에 결합되고, 상기 상하전달봉에 걸리도록 돌출 형성되는 상하걸림봉; 및
    상기 상하걸림체의 이동경로상에 배치되어 상기 상하걸림체를 가압하는 상하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슈트.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제거부는
    상기 분배덕트에 내장되고 상기 상하제거판 사이에 위치되는 회전제거판;
    상기 회전제거판에 결합되고, 상기 분배덕트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메인축; 및
    상기 회전메인축을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슈트.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회전메인축에 연결되고 일방향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회전전달체;
    상기 회전전달체에 결합되고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회전전달봉;
    상기 회전메인축에 관통되고 타원 형상을 갖는 회전걸림체;
    상기 회전걸림체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전달봉에 걸리도록 돌출 형성되는 회전걸림봉; 및
    상기 회전걸림체의 이동경로상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걸림체를 가압하는 회전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슈트.

KR1020110063368A 2011-06-29 2011-06-29 이동슈트 KR1012775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3368A KR101277578B1 (ko) 2011-06-29 2011-06-29 이동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3368A KR101277578B1 (ko) 2011-06-29 2011-06-29 이동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414A true KR20130002414A (ko) 2013-01-08
KR101277578B1 KR101277578B1 (ko) 2013-06-21

Family

ID=47835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3368A KR101277578B1 (ko) 2011-06-29 2011-06-29 이동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75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7432B1 (ko) * 2020-05-27 2020-06-26 삼양진흥 주식회사 건설자재 선별장치
KR102190507B1 (ko) * 2019-11-28 2020-12-11 현대제철 주식회사 셔틀컨베이어의 슈트 부착광 제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40667A (zh) * 2014-10-06 2015-02-11 林允杜 一种新型分料机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4090U (ko) * 1998-07-31 2000-02-25 이구택 원료 슈트 수송물 낙하 유도 장치
KR100825574B1 (ko) * 2001-10-29 2008-04-25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컨베이어 이동형슈트의 내부 부착탄 제거장치
KR20080002880U (ko) * 2007-01-23 2008-07-28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주름혹 벨트 컨베이어를 이용한 트리퍼 컨베이어의 양방향운탄 장치
KR101676029B1 (ko) * 2009-08-21 2016-11-15 주식회사 포스코 콘베이어 슈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0507B1 (ko) * 2019-11-28 2020-12-11 현대제철 주식회사 셔틀컨베이어의 슈트 부착광 제거장치
KR102127432B1 (ko) * 2020-05-27 2020-06-26 삼양진흥 주식회사 건설자재 선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7578B1 (ko) 2013-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1770B1 (ko) 벨트 컨베이어의 텐션 장치
KR100870904B1 (ko) 댐퍼 장치가 구비된 벨트 컨베이어의 슈트
KR101277578B1 (ko) 이동슈트
CN108442217A (zh) 铺砖机的砖料输送装置
KR101299048B1 (ko) 트리퍼
KR101357557B1 (ko) 벨트 컨베이어용 부착광 처리장치
KR101991293B1 (ko) 과일 선별용 과일 자동 적재 장치
KR100756616B1 (ko) 벨트 컨베이어
KR101295594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JP5543794B2 (ja) コンベア装置及びワーク搬送装置
KR20090107196A (ko) 재료 공급 장치
KR101174436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CN210504246U (zh) 一种具有限制货物位置功能的滚筒输送机
JP2015189577A (ja) 供給装置
KR101320660B1 (ko) 회전슈트
CA2591374A1 (en) Gripping intake system for dual belt conveyor
JP2012020810A (ja) ベルトコンベヤ
JP5574473B2 (ja) 部品整列供給装置
CN204999131U (zh) 自动送料装置
KR20130046594A (ko)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CN207142082U (zh) 用于物流运输的皮带机
CN104743333B (zh) 一种轴承套圈输送装置
KR101377518B1 (ko) 누적광 제거용 슈트
KR101277534B1 (ko) 빈 트리퍼
KR101424467B1 (ko) 트리퍼용 벨트의 충격흡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