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4436B1 -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 Google Patents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4436B1
KR101174436B1 KR1020120008022A KR20120008022A KR101174436B1 KR 101174436 B1 KR101174436 B1 KR 101174436B1 KR 1020120008022 A KR1020120008022 A KR 1020120008022A KR 20120008022 A KR20120008022 A KR 20120008022A KR 101174436 B1 KR101174436 B1 KR 101174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conveyor
coupled
unit
blocking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8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재
Original Assignee
이성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재 filed Critical 이성재
Priority to KR1020120008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44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4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4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20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 B65G11/206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for 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2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detecting dangerous physical condition of load carriers, e.g. for interrupting the drive in the event of over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4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5/00Stopping elements used in conveyors to stop articles or arrays of articles
    • B65G2205/02Stopping elements used in conveyors to stop articles or arrays of articles where the stop device is adaptable to the size of the article or arr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charge Of Articles From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에 관한 것으로, 제1벨트컨베이어의 단부에 배치되어 제1벨트컨베이어를 통해 낙하되는 이송물을 제2벨트컨베이어로 안내하는 덕트부와, 덕트부의 하부에 결합되어 이송물을 안내하는 가이드부 및 가이드부에 설치되어 이송물의 역행을 차단하는 역행방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는 역행방지부가 이송물의 역행을 방지하여 이송물의 과누적 및 낙광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CHUTE FOR BELT CONVEYOR}
본 발명은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벨트 컨베이어의 재가동시 이송물의 과누적에 의한 벨트의 밀림현상을 방지하고, 벨트 정지시 이송물이 역행되어 벨트 컨베이어에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 쓰이는 연료나 원료와 같은 이송물은 복수개의 벨트 컨베이어에 의해 원하는 장소로 이송된다.
벨트 컨베이어에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롤러, 구동롤러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종동롤러, 구동롤러와 종동롤러에 감겨 무한궤도 이동되면서 이송물을 운반하는 벨트가 구비된다.
그러나, 벨트 컨베이어의 이송물을 목적지로 운반하기 위해 길이가 무한대로 될 수 없기 때문에, 복수의 벨트 컨베이어와 벨트 컨베이어 사이에는 슈트(chute)가 구비된다.
슈트는 어느 하나의 벨트 컨베이어에서 이송된 이송물이 다른 하나의 벨트 컨베이어로 낙하되도록 유도하기 위해 덕트 형상을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870904호(2008.11.21 등록, 발명의 명칭: 댐퍼 장치가 구비된 벨트 컨베이어의 슈트)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에는 벨트 컨베이어가 일시 정지되면, 이송물이 벨트 컨베이어의 단부로 역행되어 낙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벨트 컨베이어가 일시 정지되면, 덕트를 통해 배출된 이송물이 벨트 컨베이어의 의해 이동되다가 덕트 방향으로 역해되어 덕트 낙하지점에서 이송물이 과누적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벨트 컨베이어의 정지시 이송물의 역행으로 이송물이 벨트 컨베이어에서 낙하되거나 과누적되는 것을 방지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벨트컨베이어의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벨트컨베이어를 통해 낙하되는 이송물을 제2벨트컨베이어로 안내하는 덕트부; 상기 덕트부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이송물을 안내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물의 역행을 차단하는 역행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는 상기 제2벨트컨베이어의 구동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의 정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역행방지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덕트부의 하단부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벨트컨베이어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하가이드판; 및 상기 덕트부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가이드판에 저면이 결합되어 상기 하가이드판 사이의 개구된 부분을 커버하는 상가이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역행방지부는 상기 상가이드판의 상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로 길이가 가변되는 가변부; 상기 가변부에 결합되고, 상기 가변부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달부; 상기 하가이드판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전달부가 이동됨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벨트컨베이어에서 역행되는 상기 이송물을 막아내는 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달부는 상기 가변부에 결합되고, 상기 가변부와 연동되는 사각띠 형상의 전달프레임; 및 상기 전달프레임의 내측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전달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부는 한 쌍의 상기 하가이드판을 관통하여 회전되고, 상기 차단부가 결합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에 양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상가이드판의 상방에 배치되는 회전바; 및 상기 회전바에 결합되어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전달롤러 사이로 삽입되는 걸림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부는 상기 회전판에 결합되어 상기 차단부를 들어올리는 무게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단부는 상기 회전축을 감싸는 커버체; 상기 커버체에 결합되고, 이송물의 역행을 차단하는 차단판; 및 상기 커버체를 통해 상기 회전축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커버체를 상기 회전축에 결합시키는 고정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는 역행방지부가 이송물의 역행을 방지함으로써, 제2벨트컨베이어의 일시 정지시 이송물이 역해되어 제2벨트컨베이어의 단부에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는 역행방지부가 이송물의 역행을 방지함으로써, 제2벨트컨베이어의 일시 정지시 가이드부 내부에 이송물이 과누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에서 역행방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에서 역행방지부가 이송물을 통과시키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에서 역행방지부가 이송물의 역행을 차단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에서 역행방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에서 역행방지부가 이송물을 통과시키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에서 역행방지부가 이송물의 역행을 차단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1)에는 덕트부(10), 가이드부(20) 및 역행차단부(30)가 구비된다.
덕트부(10)는 제1벨트컨베이어(100)의 단부에 배치되어, 제1벨트컨베이어(100)에서 낙하되는 이송물(80)을 제2벨트컨베이어(200)로 안내한다.
가이드부(20)는 덕트부(10)의 하부에 결합된다. 이러한 가이드부(20)는 제2벨트컨베이어(200)에 낙하된 이송물이 제2벨트컨베이어(200)에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한다.
역행방지부(30)는 가이드부(20)에 설치된다. 이러한 역행방지부(30)는 제2벨트컨베이어(200)에서 이송물(80)의 역행을 차단한다.
따라서, 제2벨트컨베이어(200)의 일시 정지로 인해 이송물(80)이 역행하더라도 역행방지부(30)에 의해 이송물(80)의 역행이 차단된다.
이로 인해, 이송물(80)이 제2벨트컨베이어(200)에서 낙하되거나 가이드부(20) 내부에 과누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1)에는 감지부(40) 및 제어부(50)가 더 구비된다.
감지부(40)는 제2벨트컨베이어(200)의 구동여부를 감지하고, 제어부(50)는 감지부(40)의 정지신호를 수신하여 역행방지부(30)를 제어한다.
즉, 감지부(40)는 제2벨트컨베이어(200)의 구동롤러가 구동되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구동롤러가 정지되면 제어부(50)에 정지신호를 송신한다. 그리고, 제어부(50)는 감지부(40)의 정지신호를 수신한 후, 역행방지부(30)를 제어하여 이송물(80)의 역행을 차단한다.
만일, 감지부(40)가 구동롤러의 정지를 감지한 후, 구동롤러의 재구동을 감지하여 구동신호를 제어부(50)에 전달하면, 제어부(50)는 역행방지부(30)를 제어하여 이송물(80)을 통과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20)에는 하가이드판(21) 및 상가이드판(22)이 구비된다.
하가이드판(21)은 덕트부(10)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예를 들어, 덕트부(10)는 하단부 단면이 사각띠 형상을 하며, 서로 마주보는 측면 하단부에 하가이드판(21)이 각각 결합된다. 이때, 하가이드판(21)은 제2벨트컨베이어(20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가이드판(22)은 덕트부(1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상가이드판(22)의 저면은 하가이드판(21)의 상측면에 결합되어 하가이드판(21) 사이의 개구된 부분을 커버한다.
예를 들어, 상가이드판(22)은 하가이드판(21) 사이에 위치되는 덕트부(10)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제2벨트컨베이어(2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가이드부(20)에 의해 제2벨트컨베이어(200)로 낙하된 이송물(80)은 가이드부(20)를 통과하여 목적지로 이송된다. 이때, 가이드부(20)는 이송물(80)이 제2벨트컨베이어(200)의 폭을 벗어나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1벨트컨베이어(100)에서 낙하되어 발생되는 분진이 비산되는 것을 억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행방지부(30)에는 가변부(31), 전달부(32), 회전부(33) 및 차단부(34)가 구비된다.
가변부(31)는 상가이드판(22)의 상측면에 설치된다. 이러한 가변부(31)는 제어부(50)의 제어로 길이가 가변된다. 예를 들어, 가변부(31)로는 유압실린더는 모터축의 길이를 가변시키는 모터가 될 수 있다.
전달부(32)는 가변부(31)에 결합된다. 이러한 전달부(32)는 가변부(31)의 길이가 변화됨에 따라 위치가 변동되어 구동력을 전달한다.
회전부(33)는 하가이드판(21)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전달부(32)가 이동되면 전달부(32)와 연동되어 회전된다. 즉, 회전부(33)는 전달부(32)의 이동력을 회전력으로 변화시킨다.
차단부(34)는 회전부(33)에 결합된다. 이러한 차단부(34)는 가이드부(20)에 내장되고, 제2벨트컨베이어(200)에서 역행되는 이송물(80)을 막아낸다.
즉, 차단부(34)는 회전부(33)가 회전됨에 따라 가이드부(20) 내부에서 회전되어 이송물(80)의 이동경로를 개방하거나 차단하여, 제2벨트컨베이어(200)의 일시 정지시 이송물(80)의 역행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달부(32)에는 전달프레임(321) 및 전달롤러(322)가 구비된다.
전달프레임(321)은 가변부(31)에 결합되어 가변부(31)의 길이변화에 따라 상가이드판(22)의 상방에서 수평 이동된다. 이러한 전달프레임(321)은 단면이 사각띠 형상을 한다.
전달롤러(322)는 전달프레임(321)의 내측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전달롤러(322)는 한 쌍이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33)에는 회전축(331), 회전판(332), 회전바(333) 및 걸림바(334)가 구비된다.
회전축(331)은 한 쌍의 하가이드판(21)을 관통한다. 이러한 회전축(331)은 하가이드판(21)에 걸쳐져, 양단부가 하가이드판(21) 외측에 위치된다. 이때, 하가이드판(21)에는 회전축(331)이 안정적으로 회전되도록 베어링(23)이 설치된다.
회전판(332)은 회전축(331)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된다. 이러한 회전판(332)의 일단부에 회전축(331)이 결합된다.
회전바(333)는 회전판(332)에 양단부가 결합되고, 상가이드판(22)의 상방에 배치된다. 이러한 회전바(333)는 회전판(332)의 타단부에 결합된다.
걸림바(334)는 회전바(333)에 결합되어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바(334)는 전달롤러(322) 사이로 삽입된다.
따라서, 회전바(333)와 회전축(331)이 동일 선상에 위치되지 않기 때문에, 전달부(22)가 이동되면 회전축(331)이 회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33)에는 무게추(335)가 더 구비된다.무게추(335)는 회전판(332)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상당한 무게를 가져 회전부(33) 전체의 무게중심이 무게추(335)에 편중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무게추(335)는 각 회전판(332)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이송물(80)의 역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따라서, 회전축(331)이 이송물(80)을 통과시키도록 회전된 상태에서, 진동과 같은 외부영향력이 발생하더라도, 무게추(335)에 의해 회전부(33)의 무게중심이 후방으로 치우쳐 회전축(331)의 회전을 제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34)에는 커버체(341), 차단판(342) 및 고정체(343)가 구비된다.
커버체(341)는 회전축(331)을 감싸는 형상을 한다. 예를 들어, 커버체(341)는 회전축(331)과 탈부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회전축(331)의 일부를 감싸는 형상을 한다.
차단판(342)은 커버체(341)에 결합되고, 이송물(80)의 역행을 차단한다. 이러한 차단판(342)의 길이는 회전축(331)과 제2벨트컨베이어(200)의 이송벨트(201)까지 거리에 대응된다.
따라서, 이송물(80) 역행 차단을 위해 회전축(331)이 회전되면, 차단판(342)의 저면은 이송벨트(201)에 밀착되어 이송물(80)의 이동경로를 차단한다.
이때, 차단판(342)의 하단부에는 이송벨트(201)의 손상 방지를 위해 고무재질의 패드가 장착될 수 있다. 그 외, 차단판(342) 자체가 고무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체(343)는 커버체(341)를 관통하여 회전축(331)에 나사 결합된다. 이러한 고정체(343)에 의해 커버체(341)가 회전축(331)에 조립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벨트컨베이어(100)와 제2벨트컨베이어(200) 사이에 덕트부(10)가 배치된다.
한편, 덕트부(10)의 하부에는 가이드부(20)가 결합되고, 가이드부(20)에는 역행방지부(30)가 장착된다. 이러한 가이드부(20)는 제2벨트컨베이어(200)의 진행방향으로 배치된다.
감지부(40)는 제2벨트컨베이어(200)의 구동롤러에 대한 구동여부를 감지하고, 제어부(50)는 감지부(40)의 감지신호에 따라 역행방지부(30)를 제어한다.
한편, 제2벨트컨베이어(200)가 정상적으로 이송물(80)을 이송시킬 때, 역행방지부(30)는 이송물(80)의 이동경로를 개방한다(도 3 참조).
즉, 가변부(31)의 길이가 줄어들어, 전달부(32)가 덕트부(10) 방향으로 이동되면, 전달부(32)의 이동력에 의해 회전부(33)가 회전되어 차단부(34)가 이송되는 이송물(80)의 상방에 배치된다.
이때, 회전부(33)의 무게추(335)는 회전부(33)의 무게중심을 후방으로 이동시켜, 회전축(33)이 외부충격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제한한다.
상기한 상태에서, 제2벨트컨베이어(200)의 구동이 정지되면, 감지부(40)는 구동롤러의 정지를 감지하여 제어부(50)에 정지신호를 전송한다.
제어부(50)는 감지부(40)의 정지신호를 수신한 후, 가변부(31)를 제어하여 가변부(31)의 길이가 늘어난다(도 4 참조).
가변부(31)의 길이가 늘어나면 전달부(32)가 이송물(80)의 진행방향으로 이동되고, 전달부(32)의 이동에 의해 회전부(33)가 회전되어 차단부(34)가 이송물(80)의 이동경로를 차단한다.
차단부(34)가 이송물(80)의 이동경로를 차단하면, 제2벨트컨베이어(200)가 정지되어 이송물(80)이 역행하더라도 차단부(34)에 의해 역행이 제한된다.
따라서, 이송물(80)은 차단부(34)에 막혀 제2벨트컨베이어(200)의 단부로 낙하되지 않게된다.
또한, 차단부(34)는 이송물(80)이 가이드부(20)에 과누적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제2벨트컨베이어(200)가 재구동되더라도 이송물(80)의 과누적에 의한 제2벨트컨베이어(200)의 슬립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덕트부 20 : 가이드부
21 : 하가이드판 22 : 상가이드판
30 : 역행방지부 31 : 가변부
32 : 전달부 33 : 회전부
34 : 차단부 40 : 감지부
50 : 제어부 321 : 전달프레임
322 : 전달롤러 331 : 회전축
332 : 회전판 333 : 회전바
334 : 걸림바 335 : 무게추
341 : 커버체 342 : 차단판
343 : 고정체

Claims (8)

  1. 삭제
  2. 제1벨트컨베이어의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벨트컨베이어를 통해 낙하되는 이송물을 제2벨트컨베이어로 안내하는 덕트부;
    상기 덕트부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이송물을 안내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물의 역행을 차단하는 역행방지부;
    상기 제2벨트컨베이어의 구동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의 정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역행방지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덕트부의 하단부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벨트컨베이어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하가이드판; 및
    상기 덕트부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가이드판에 저면이 결합되어 상기 하가이드판 사이의 개구된 부분을 커버하는 상가이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역행방지부는
    상기 상가이드판의 상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로 길이가 가변되는 가변부;
    상기 가변부에 결합되고, 상기 가변부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달부;
    상기 하가이드판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전달부가 이동됨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벨트컨베이어에서 역행되는 상기 이송물을 막아내는 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는
    상기 가변부에 결합되고, 상기 가변부와 연동되는 사각띠 형상의 전달프레임; 및
    상기 전달프레임의 내측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전달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한 쌍의 상기 하가이드판을 관통하여 회전되고, 상기 차단부가 결합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에 양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상가이드판의 상방에 배치되는 회전바; 및
    상기 회전바에 결합되어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전달롤러 사이로 삽입되는 걸림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회전판에 결합되어 상기 차단부를 들어올리는 무게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회전축을 감싸는 커버체;
    상기 커버체에 결합되고, 이송물의 역행을 차단하는 차단판; 및
    상기 커버체를 통해 상기 회전축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커버체를 상기 회전축에 결합시키는 고정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KR1020120008022A 2012-01-26 2012-01-26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KR101174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8022A KR101174436B1 (ko) 2012-01-26 2012-01-26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8022A KR101174436B1 (ko) 2012-01-26 2012-01-26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4436B1 true KR101174436B1 (ko) 2012-08-16

Family

ID=46887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8022A KR101174436B1 (ko) 2012-01-26 2012-01-26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443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66294A (zh) * 2013-09-11 2013-12-25 江苏永钢集团有限公司 料槽堵料检测装置
KR101411845B1 (ko) 2012-08-30 2014-06-26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 장치
CN107032082A (zh) * 2016-12-14 2017-08-11 四川德胜集团钒钛有限公司 一种胶带输送机堵料停机装置
CN109702483A (zh) * 2019-02-22 2019-05-03 东莞顺合丰电业有限公司 装配扬声器的生产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4033B1 (ko) 2003-10-08 2010-11-11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콘베어의 운반물 낙하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4033B1 (ko) 2003-10-08 2010-11-11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콘베어의 운반물 낙하 방지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1845B1 (ko) 2012-08-30 2014-06-26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 장치
CN103466294A (zh) * 2013-09-11 2013-12-25 江苏永钢集团有限公司 料槽堵料检测装置
CN107032082A (zh) * 2016-12-14 2017-08-11 四川德胜集团钒钛有限公司 一种胶带输送机堵料停机装置
CN109702483A (zh) * 2019-02-22 2019-05-03 东莞顺合丰电业有限公司 装配扬声器的生产设备
CN109702483B (zh) * 2019-02-22 2024-03-22 东莞顺合丰电业有限公司 装配扬声器的生产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4436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CN102105371A (zh) 具有和缓的可缩回的停止部件的传送装置
KR101572359B1 (ko) 벨트 이동 방지장치
KR101411845B1 (ko) 벨트 컨베이어 장치
KR101129280B1 (ko) 벨트 컨베이어
KR102237626B1 (ko) 철편 제거장치
KR102089144B1 (ko) 벨트컨베이어용 철편제거장치
KR101237062B1 (ko) 슈트 감지장치
KR101504932B1 (ko) 연속하역장비용 주행휠 보호장치
KR100815729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스커트박스부 낙하물 차단장치
KR101516627B1 (ko)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방지장치
KR101411848B1 (ko) 이송물 충돌 방지용 슈트
KR20130046565A (ko)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KR101399884B1 (ko) 벨트컨베이어용 슈트
KR20140042086A (ko) 연속하역장비용 주행휠 보호장치
KR101543955B1 (ko) 이송물 중앙유도장치
KR101277493B1 (ko) 벨트컨베이어용 이동 호퍼
KR200462268Y1 (ko) 벨트 컨베이어용 낙광 방지장치
KR101344334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KR101294916B1 (ko) 운송물 처리장치
KR101357540B1 (ko) 트리퍼용 슈트장치
KR20130002414A (ko) 이동슈트
KR102133117B1 (ko) 벨트 컨베이어 슈트의 스커트 장치
KR101498894B1 (ko) 벨트부 끼임방지장치
KR101277577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