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5650A - 김포장장치 - Google Patents

김포장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5650A
KR20190115650A KR1020180038597A KR20180038597A KR20190115650A KR 20190115650 A KR20190115650 A KR 20190115650A KR 1020180038597 A KR1020180038597 A KR 1020180038597A KR 20180038597 A KR20180038597 A KR 20180038597A KR 20190115650 A KR20190115650 A KR 201901156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kim
laver
carrier
no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8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6860B1 (ko
Inventor
김종일
조복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양포장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양포장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양포장기계
Priority to KR1020180038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6860B1/ko
Publication of KR20190115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56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6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68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01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of foodstuffs, combined with their conse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06Packaging groups of articles, the groups being treated as single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김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캐리어를 따라 이동하는 김수용용기에서 떨어진 김이 노즈플레이트의 김낙하배출부에 의해 바닥으로 떨어지고 김수용용기는 포장지로 포장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어서 포장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된 김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노즈플레이트설치브라켓과, 노즈플레이트설치브라켓의 상부에 설치된 노즈플레이트와, 노즈플레이트의 상부에서 김수용용기를 안내하도록 설치된 김수용용기안내브라켓과, 노즈플레이트설치브라켓의 내부로 이동하는 캐리어견인수단과, 캐리어견인수단에 고정됨과 더불어 노즈플레이트 사이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김수용용기를 노즈플레이트상에서 이동시키도록 된 캐리어를 포함하는 김포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김수용용기(P)가 포장비닐로 포장되기 전 단계의 노즈플레이트(1200)의 소정위치에 노즈플레이트를 따라 캐리어(1600)에 의해 김수용용기와 함께 이동하던 김을 하부로 낙하시켜 배출하도록 된 김낙하배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김낙하배출부가 형성된 곳으로 김수용용기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캐리어에 의해 노즈플레이트의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좌우측 각각의 김수용용기안내브라켓(1300)의 내측면에 김수용용기가이드바(140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김포장장치{A packing device of laver}
본 발명은 김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캐리어를 따라 이동하는 김수용용기에서 떨어진 김에 의해 포장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된 김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내 및 일본 등 동양의 다수국에서 식생활 문화 중 주요 반찬류 중의 하나로 김이 포함되고 있고, 이러한 김은 가정에서 원료김을 구입하여 별도로 조리하기 보다는 미리 기름과 소금 등의 조미료에 의해 조리되며 구워진 상태로 생산되도록 하는 김 생산 공장에서 취식하기 용이한 크기로 절단되어 포장된 형태의 김을 구입하여 간편하게 취식하고 있는 추세에 있음은 주지된 바와 같다.
이와 같이 조리된 후 포장된 상태로 공급되는 김의 제조과정은 통상적으로, 원료김에 기름과 조미료 등을 도포한 다음 구워내는 김 조미공정과, 구워진 김을 다수장씩 적층 시킨 다음 절단한 후 그 절단된 구이김을 김수용용기내에 수납하고, 장기보관 및 유통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이김 가공공정으로 분류되어진다.
이러한 구이김 가공공정의 경우, 김 조미공정 후 구워진 김을 김수용용기내에 수납하는 일련의 과정 중에서, 김절단공정과, 일정 규격으로 절단 처리된 김을 김수용용기내 수납하는 것이 자동화되고 있다.
그러나 구이김을 절단 처리한 다음 김수용용기 내부로 절단된 구이김을 수납하는 과정에서, 대부분의 구이김이 김수용용기에 수납되어, 포장하는 과정에서 김수용용기내에 수납된 김 중의 극히 일부의 김은 김수용용기의 상부로 넘치거나 김수용용기의 상부에 걸친 상태로 캐리어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김수용용기 외측의 캐리어로 떨어져 김수용용기와 함께 캐리어를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이후 포장지로 김이 수용된 김수용용기를 포장하는 위치에서 김수용용기와 떨어진 김이 함께 있는 경우에 포장필름으로 포장시 포장지의 외부로 김이 돌출되어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참조문헌: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180686호 발명의 명칭 "노즈플레이트 및 이를 갖춘 포장기계"와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240421호 발명의 명칭 "김 자동포장기용 김절단장치의 김공급부" 및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262694호 발명의 명칭 "김 자동포장기용 김절단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요구사항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캐리어를 따라 이동하는 김수용용기에서 떨어진 김에 의해 포장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된 김포장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김수용용기의 깊이가 다른 경우에도 용이하게 떨어진 김에 의해 포장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된 김포장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김포장장치는, 메인프레임에 고정된 노즈플레이트설치브라켓과, 이 노즈플레이트설치브라켓의 상부에 설치되어 김수용용기를 상부에 위치한 상태로 캐리어에 의해 이동할 수 있도록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한 쌍의 노즈플레이트와, 이 노즈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어 김수용용기를 안내하도록 된 김수용용기안내브라켓과, 상기 노즈플레이트설치브라켓의 내부로 이동하도록 설치된 캐리어견인수단과, 이 캐리어견인수단에 고정됨과 더불어 한 쌍의 노즈플레이트 사이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김수용용기를 노즈플레이트의 상부에서 이동시키도록 된 캐리어를 포함하되, 상기 김수용용기가 포장비닐로 포장되기 전 단계의 노즈플레이트의 소정위치에 노즈플레이트를 따라 캐리어에 의해 김수용용기와 함께 이동하던 김을 하부로 낙하시켜 배출하도록 된 김낙하배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김낙하배출부가 형성된 곳으로 김수용용기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캐리어에 의해 노즈플레이트의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좌우측 각각의 김수용용기안내브라켓의 내측면에 김수용용기가이드바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김낙하배출부는, 한 쌍의 상기 노즈플레이트에서 캐리어가 지나가는 쪽 면으로 ㄷ자 형상의 도피홈이 서로 마주보고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캐리어가 빠져나가는 도피홈의 끝단에는 캐리어가 도피홈에서 빠져나가기 용이하도록 안내하는 안내홈부가 도피홈과 연장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김수용용기가이드바는, 상기 캐리어에 의해 이동하는 김수용용기가 유입되는 쪽에서부터 김수용용기이 상부에 형성된 날개형상의 플랜지가 걸려서 서서히 경사면을 따라 상부로 올라가도록 된 김수용용기날개유입부와, 상기 김수용용기날개유입부에 의해 김수용용기가 일정한 높이로 올라간 상태로 캐리어에 의해 안내되어 이동하도록 된 김수용용기이동안내부와, 상기 김수용용기이동안내부를 따라 이동한 후 노즈플레이트의 상부로 김수용용기가 안착되도록 안내하는 김수용용기하강안내부를 포함한다.
또 상기 김수용용기날개유입부와 김수용용기이동안내부의 사이에서 김수용용기가 일정한 높이로 더 올라가도록 경사면을 갖는 김수용용기견인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김포장장치에 의하면, 캐리어를 따라 이동하는 김수용용기에서 떨어진 김이 노즈플레이트의 김낙하배출부에 의해 바닥으로 떨어지고 김수용용기는 포장지로 포장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어서 포장불량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김포장장치에 의하면, 김수용용기의 깊이가 다른 경우에도 노즈플레이트이 홈으로 떨어지지 않고 김수용용기캐리어에 의해 김수용용기를 안전하게 안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김포장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우측면도,
도 4는 도 1의 노즈플레이트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도 1에서 김수용용기가이드바의 사시도,
도 6은 도 1의 김포장장치에 의해 김수용용기가 캐리어를 따라 김수용용기가이드바의 안내를 받아 이동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 김수용용기가이드브라켓과 김수용용기가이드바를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
도 8은 도 6의 우측면도,
도 9는 도 7에서 김수용용기캐리어에 의해 김수용용기가 노즈플레이트의 상부로 이동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김포장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인용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부', '하부', '앞', '뒤', '선단', '전방', '후단'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 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김포장장치(1000)는,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도시되지 않은 김포장장치의 메인프레임에 설치되는 노즈플레이트설치브라켓(1100)과, 이 노즈플레이트설치브라켓의 상부에 설치되어 김수용용기(P)를 상부에 위치한 상태로 후술하는 캐리어(1600)에 의해 김수용용기를 이동할 수 있도록 서로 마주보도록 된 한 쌍의 노즈플레이트(1200)와, 이 노즈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어 김수용용기를 후술하는 캐리어의 진행방향으로 안내하도록 노즈플레이트설치브라켓(1100)에 고정되거나 도시되지 않은 김포장장치의 메인프레임에 고정된 김수용용기안내브라켓(1300)과, 상기 노즈플레이트설치브라켓의 내부로 이동하는 체인과 같은 캐리어견인수단(1500)과, 이 캐리어견인수단에 고정됨과 더불어 한 쌍의 노즈플레이트(1200) 사이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김수용용기를 노즈플레이트의 상부에서 이동시키도록 된 캐리어(1600)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노즈플레이트(1200)로 공급된 김수용용기(P)는 김수용용기안내브라켓(1300)에 의해 안내되어 캐리어견인수단(1500)과 캐리어(1600)에 의해 포장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요지구성은, 상기 김수용용기(P)가 도시되지 않은 포장비닐로 포장되기 전 단계의 노즈플레이트(1200)의 소정위치에 마주 보는 한 쌍의 노즈플레이트(1200)를 따라 캐리어(1600)에 의해 김수용용기와 함께 이동하던 김을 하부로 낙하시켜 배출하도록 된 김낙하배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김낙하배출부가 형성된 곳으로 김수용용기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캐리어에 의해 노즈플레이트의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좌우측 각각의 김수용용기안내브라켓(1300)의 내측면에 김수용용기가이드바(1400)가 설치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캐리어(1600)를 따라 노즈플레이트(1200)의 상부로 이동하는 김수용용기(P)에서 떨어진 김이 노즈플레이트(1200)의 김낙하배출부에 의해 바닥으로 떨어지고 김수용용기(P)는 김낙하배출부로 빠지지 않고 상기 김수용용기안내브라켓(1300)의 내측면에 설치된 한 쌍의 김수용용기가이드바(1400)에 의해 지지되어 캐리어(1600)에 의해 포장지로 포장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어서 포장불량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여기서 상기 노즈플레이트설치브라켓(1100)는, 좌우측벽브라켓(1110,1120)과, 좌우측벽브라켓(1110,1120)을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세워지도록 양단이 좌우측벽브라켓(1110,1120)에 고정된 보강브라켓(1130)과, 상기 좌우측벽브라켓(1110,1120)의 단부에서 안쪽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도록 고정된 노즈플레이트서포터브라켓(1140)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좌우측벽브라켓(1110,1120)과 보강브라켓(1130) 및 노즈플레이트서포터브라켓(1140)에 의해 노즈플레이트(1200)가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노즈플레이트설치브라켓(1100)의 내측으로 캐리어견인수단(1500)과 캐리어(1600)가 이동하도록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노즈플레이트(1200)는, 상기 노즈플레이트설치브라켓(1100)을 구성하는 노즈플레이트서포터브라켓(1140)의 상부에 설치되어 김수용용기(P)를 상부에 위치한 상태로 후술하는 캐리어(1600)에 의해 김수용용기를 이동할 수 있도록 서로 마주보도록 된 한 쌍의 좌,우노즈플레이트(1210,1220)로 이루어지고, 이 좌,우노즈플레이트(1210,1220)의 끝 단부에는 포장비닐로 김수용용기를 포장하기 위한 경사진 성형부(1210a,1220a)가 형성되고, 반대쪽 단부 안쪽에는 상기 캐리어(1600)가 유입될 때 좌,우노즈플레이트(1210,1220)의 사이로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경사진 안내부(1210b,1220b)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김수용용기(P)가 도시되지 않은 포장비닐로 포장되기 전 단계의 노즈플레이트(1200)의 소정위치에 마주 보는 한 쌍의 노즈플레이트(1200)를 따라 캐리어(1600)에 의해 김수용용기와 함께 이동하던 김을 하부로 낙하시켜 배출하도록 형성된 김낙하배출부는, 한 쌍의 상기 노즈플레이트(1200)에서 캐리어(1600)가 지나가는 쪽 면으로 ㄷ자 형상의 도피홈(1211,1221)이 서로 마주보고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캐리어(1600)가 빠져나가는 도피홈(1211,1221)의 끝단에는 캐리어(1600)가 도피홈에서 빠져나가기 용이하도록 경사지거나 또는 라운드진 안내홈부(1212,1222)가 도피홈(1211,1221)과 연장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도피홈(1211,1221)에 의해 노즈플레이트(1200)에 떨어진 김이 캐리어(1600)에 의해 김수용용기(P)와 함께 노즈플레이트(1200)로 이동하다가 도피홈(1211,1221)에서 하부로 낙하하여 노즈플레이트(1200)의 상부에서 제거되어 김수용용기를 포장비닐로 포장시 김이 노출되는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안내홈부(1212,1222)에 의해 도피홈(1211,1221)으로 유입된 캐리어(1600)가 유동에 의해 도피홈(1211,1221)을 빠져 나갈때 도피홈(1211,1221)의 단부에 걸려서 캐리어(1600)와 노즈플레이트(12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자연스럽게 노즈플레이트(1200)의 사이로 안내되게 된다.
또한 상기 김수용용기안내브라켓(1300)은, 상기 김수용용기(P)을 안내할 수 있는 형태로 절곡된 브라켓이면 가능하고, 다만 본 발명의 요지구성인 상기 김수용용기가이드바(1400)를 내측면에 용접 또는 체결수단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내측면이 수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김수용용기가이드바(1400)는, 도 1과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캐리어(1600)에 의해 이동하는 김수용용기(P)가 유입되는 쪽에서부터 김수용용기이 상부에 형성된 날개형상의 플랜지가 걸려서 서서히 경사면을 따라 상부로 올라가도록 된 김수용용기날개유입부(1410)와, 상기 김수용용기날개유입부에서 일정한 높이로 올라가도록 경사면을 갖는 김수용용기견인부(1420)와, 상기 김수용용기견인부에 의해 일정한 높이로 올라간 상태로 캐리어에 의해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김수용용기이동안내부(1430)와, 상기 김수용용기이동안내부를 따라 이동한 후 노즈플레이트(1200)의 상부로 김수용용기가 안착되도록 안내하는 김수용용기하강안내부(1440)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김수용용기날개유입부(1410)와 김수용용기견인부(1420) 및 김수용용기이동안내부(1430)와 김수용용기하강안내부(1440)에 의해 김낙하배출부에 빠지지 않고 김수용용기(P)가 노즈플레이트(1200)로 안내되어 김이 포장비닐의 외부로 노출되는 불량이 발생하지 않게 포장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김수용용기가이드바(1400)의 김수용용기날개유입부(1410)와 김수용용기견인부(1420) 및 김수용용기이동안내부(1430)와 김수용용기하강안내부(1440)의 길이와 형상은 김수용용기(P)의 깊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할 수 있다.
즉, 상기 김수용용기(P)의 깊이가 얇은 경우에는 상기 김수용용기견인부(1420)가 없이 김수용용기날개유입부(1410)에서 김수용용기이동안내부(1430)로 바로 연결될 수 있고, 또 상기 김수용용기(P)의 깊이가 깊은 경우에는 상기 김수용용기날개유입부(1410)와 김수용용기이동안내부(1430)의 사이에서 김수용용기가 일정한 높이로 더 올라가도록 경사면을 갖는 김수용용기견인부(142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것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0: 김포장장치 1100: 노즈플레이트설치브라켓
1200: 노즈플레이트 1211,1221: 도피홈
1212,1222: 안내홈부 1300: 김수용용기안내브라켓
1400: 김수용용기가이드바 1410: 김수용용기날개유입부
1420: 김수용용기견인부 1430: 김수용용기이동안내부
1440: 김수용용기하강안내부 1500: 캐리어견인수단
1600: 캐리어

Claims (5)

  1. 메인프레임에 고정된 노즈플레이트설치브라켓과, 이 노즈플레이트설치브라켓의 상부에 설치되어 김수용용기를 상부에 위치한 상태로 캐리어에 의해 이동할 수 있도록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한 쌍의 노즈플레이트와, 이 노즈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어 김수용용기를 안내하도록 된 김수용용기안내브라켓과, 상기 노즈플레이트설치브라켓의 내부로 이동하도록 설치된 캐리어견인수단과, 이 캐리어견인수단에 고정됨과 더불어 한 쌍의 노즈플레이트 사이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김수용용기를 노즈플레이트의 상부에서 이동시키도록 된 캐리어를 포함하는 김포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김수용용기가 포장비닐로 포장되기 전 단계의 노즈플레이트의 소정위치에 노즈플레이트를 따라 캐리어에 의해 김수용용기와 함께 이동하던 김을 하부로 낙하시켜 배출하도록 된 김낙하배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김낙하배출부가 형성된 곳으로 김수용용기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캐리어에 의해 노즈플레이트의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좌우측 각각의 김수용용기안내브라켓의 내측면에 김수용용기가이드바(140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포장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김낙하배출부는,
    한 쌍의 상기 노즈플레이트(1200)에서 캐리어(1600)가 지나가는 쪽 면으로 ㄷ자 형상의 도피홈(1211,1221)이 서로 마주보고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포장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1600)가 빠져나가는 도피홈(1211,1221)의 끝단에는 캐리어(1600)가 도피홈에서 빠져나가기 용이하도록 안내하는 안내홈부(1212,1222)가 도피홈(1211,1221)과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포장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김수용용기가이드바(1400)는,
    상기 캐리어에 의해 이동하는 김수용용기가 유입되는 쪽에서부터 김수용용기이 상부에 형성된 날개형상의 플랜지가 걸려서 서서히 경사면을 따라 상부로 올라가도록 된 김수용용기날개유입부(1410)와,
    상기 김수용용기날개유입부(1410)에 의해 김수용용기가 일정한 높이로 올라간 상태로 캐리어에 의해 안내되어 이동하도록 된 김수용용기이동안내부(1430)와,
    상기 김수용용기이동안내부를 따라 이동한 후 노즈플레이트의 상부로 김수용용기가 안착되도록 안내하는 김수용용기하강안내부(14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포장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김수용용기날개유입부와 김수용용기이동안내부의 사이에서 김수용용기가 일정한 높이로 더 올라가도록 경사면을 갖는 김수용용기견인부(142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포장장치.
KR1020180038597A 2018-04-03 2018-04-03 김포장장치 KR102046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597A KR102046860B1 (ko) 2018-04-03 2018-04-03 김포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597A KR102046860B1 (ko) 2018-04-03 2018-04-03 김포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5650A true KR20190115650A (ko) 2019-10-14
KR102046860B1 KR102046860B1 (ko) 2019-12-02

Family

ID=68171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8597A KR102046860B1 (ko) 2018-04-03 2018-04-03 김포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6860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5323A (ja) * 2001-05-28 2003-04-03 Makoto Suzuki 海苔束包装装置
KR20050088647A (ko) * 2004-03-02 2005-09-07 정구영 조미김 포장장치
KR20060118980A (ko) * 2005-05-18 2006-11-24 강신탁 재래김 절단투입기
KR101110128B1 (ko) * 2011-10-06 2012-01-31 (주)로픽 도시락용 김이 포장된 낱개 포장용기를 이송하기 위한 장치
KR101180686B1 (ko) * 2012-04-24 2012-09-07 주식회사 한양포장기계 노즈플레이트 및 이를 갖춘 포장기계
KR101240421B1 (ko) * 2012-12-17 2013-03-11 주식회사 한양포장기계 김 자동포장기용 김절단장치의 김공급부
KR101262694B1 (ko) * 2012-12-17 2013-05-15 주식회사 한양포장기계 김 자동포장기용 김절단 장치 및 방법
KR101282063B1 (ko) * 2013-03-27 2013-07-05 주식회사 한양포장기계 포장기용 트레이의 자동이송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5323A (ja) * 2001-05-28 2003-04-03 Makoto Suzuki 海苔束包装装置
KR20050088647A (ko) * 2004-03-02 2005-09-07 정구영 조미김 포장장치
KR20060118980A (ko) * 2005-05-18 2006-11-24 강신탁 재래김 절단투입기
KR101110128B1 (ko) * 2011-10-06 2012-01-31 (주)로픽 도시락용 김이 포장된 낱개 포장용기를 이송하기 위한 장치
KR101180686B1 (ko) * 2012-04-24 2012-09-07 주식회사 한양포장기계 노즈플레이트 및 이를 갖춘 포장기계
KR101240421B1 (ko) * 2012-12-17 2013-03-11 주식회사 한양포장기계 김 자동포장기용 김절단장치의 김공급부
KR101262694B1 (ko) * 2012-12-17 2013-05-15 주식회사 한양포장기계 김 자동포장기용 김절단 장치 및 방법
KR101282063B1 (ko) * 2013-03-27 2013-07-05 주식회사 한양포장기계 포장기용 트레이의 자동이송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6860B1 (ko) 2019-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93037C (en) Improved breaded products fryer
US4986174A (en) Automatic food cooking machine
KR102341587B1 (ko) 자동 튀김 시스템
KR102046860B1 (ko) 김포장장치
US3470670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filling cases with fruit which can be floated
US3274920A (en) Continuous deep fat fryer
KR101262694B1 (ko) 김 자동포장기용 김절단 장치 및 방법
KR101689806B1 (ko) 생선 계량투입장치의 생선공급 컨베이어장치
KR101240421B1 (ko) 김 자동포장기용 김절단장치의 김공급부
EP0442281A1 (en) Pasteurizing machine
US3446138A (en) Continuous deep fat fryer
US3152537A (en) Apparatus for treating victuals in a heated liquid bath
CN106618253B (zh) 用于对油脂滴进行偏导的烤箱保持架
US1518206A (en) Cooking apparatus
KR102322895B1 (ko) 치킨 무인 조리시스템의 냉장보관장치
US1938947A (en) Egg handling machine
US2651313A (en) Shrinking machine
US3604340A (en) Precooking apparatus
US3009194A (en) Poultry processing equipment
US3118425A (en) Egg protector
CN111357782A (zh) 煎烤器
CN211391830U (zh) 一种鹌鹑蛋自动装箱机
US2545897A (en) Tortilla fryer for tostadas
CN217396862U (zh) 炒菜机中用于盛放食材的防呆仓盒及带该仓盒的下料装置
CN113316407B (zh) 具有改善的滴盘的咖啡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