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1587B1 - 자동 튀김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 튀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1587B1
KR102341587B1 KR1020210051508A KR20210051508A KR102341587B1 KR 102341587 B1 KR102341587 B1 KR 102341587B1 KR 1020210051508 A KR1020210051508 A KR 1020210051508A KR 20210051508 A KR20210051508 A KR 20210051508A KR 102341587 B1 KR102341587 B1 KR 1023415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ying
basket
tank
fryer
fr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1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영
Original Assignee
김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영 filed Critical 김태영
Priority to KR1020210051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15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1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1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66Control devices, e.g. to control temperature, level or quality of the frying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19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with means for lowering or raising the frying bask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28Automatic machines for frying and dispensing metered amounts of foo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95Frying baskets or other food hol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튀김 수량 증가에 따라 요구되는 튀김 종류별로 다른 조리시간과 다른 양념 종류의 선택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는 자동 튀김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자동 튀김 시스템으로, 상부만이 개구되게 형성되어 튀김재료를 튀길 수 있는 기름이 수용되며, 수용된 기름을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할 수 있는 튀김조와 튀김재료를 수용할 수 있는 튀김바스켓을 포함하는 튀김기; 상기 튀김기의 일측에 설치되며, 튀겨진 튀김에 바르는 양념 소스에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서 튀김을 포장할 수 있는 투입호퍼들이 구비되는 튀김포장대; 및 상기 튀김포장대의 투입호퍼와 튀김기의 튀짐조 사이를 왕복 이동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튀김바스켓을 파지할 수 있는 파지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파지수단에 의해 튀김바스켓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튀김기의 위치에서는 승강 작동되면서 튀김재료가 수용된 튀김바스켓을 튀김조에 투입하여 설정된 튀김시간 만큼 투입시간을 유지하여 튀김재료를 튀기고, 상기 튀김포장대의 위치에서는 투입호퍼들 중에서 튀김에 바르는 양념소스의 종류에 해당하는 투입호퍼에 튀김을 낙하시키도록 작동하는 직교로봇;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 튀김 시스템{Chicken automatic frying system}
본 발명은 자동 튀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튀김 수량 증가에 따라 요구되는 튀김 종류별로 다른 조리시간과 다른 양념 종류의 선택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도록 한 자동 튀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튀김요리는 바삭바삭하면서 지방 특유의 고소한 맛이 있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즐겨먹는 음식으로, 대표적으로 닭을 기름에 튀겨 만든 프라이드 치킨 또는 튀긴 닭에 양념 소스를 바른 양념 치킨, 또는 감자를 기름에 튀겨 만든 감자튀김 등이 있다.
이러한 튀김요리는 닭이나 감자 등과 같은 튀김재료의 표면에 소스와 밀가루 등을 적당히 묻힌 후 적정 온도로 가열된 기름에 넣어 튀기고, 그 후 튀겨진 튀김재료를 꺼내어 튀김재료의 내부에 흡수되어 있는 기름을 제거하는 일련의 조리과정을 거치게 된다. 즉, 튀김요리는 튀김재료의 표면에 소스 또는 밀가루를 묻히는 단계와, 기름에 튀기는 단계와, 함습된 기름을 제거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거쳐 조리하게 된다.
도 1에는 종래의 튀김기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종래의 튀김기는, 기름을 담을 수 있도록 일정체적의 유조(1a)와 하부에 배출구(16)를 구비하는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유조(1a)에 안착되어 튀김을 받쳐주는 메쉬 형상의 받침대(2)와, 상기 본체(1)의 유조(1a)에 설치되어 수용된 기름을 가열하는 가열원(3) 및 상기 본체(1)의 배출구(1b)에 설치되어 기름과 튀김찌꺼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드레인밸브(4)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튀김기는, 유조(1a)에 적량의 기름을 붓고, 가열원(3)에 의해 유조(1a)에 수용된 기름을 고온으로 가열하고, 이 상태에서 상기 받침대(2)에 해당 튀김재료(예; 닭)을 올려놓으면 투입된 튀김재료가 기름에 튀겨지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튀김기는 조리가 완료된 다수의 튀김재료를 조리자가 집게를 이용하여 수회 반복하여 유조에서 꺼내야 하므로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집게를 이용하여 꺼내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다수의 튀김재료를 담아 유조에서 튀겨내는 튀김망이 제안되었으나, 이와 같은 튀김망도 조리자에 의해 수작업으로 꺼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수작업으로 튀김재료를 꺼내므로 기름이 튀어 화상을 입을 위험성도 높았다.
또한, 후라이드 치킨, 양념 치킨, 닭강정, 감자튀김 등과 같이 튀김종류에 따라 각각 다른 튀김 시간으로 닭을 튀기는 것이 필요하며, 통상 타이머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일일히 튀김 시간을 맞추었음으로,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모든 작업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짐으로 생산성이 저하되고, 작업 인력의 증가에 따른 사업주의 인건비 부담이 가중되어 제품의 단가를 높이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제품의 부가가치가 낮아지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로서 자동 튀김기가 개시되어 있으나 종래기술에 의한 자동 튀김기는 유조에 튀김망을 승하강되도록 한 단순 구성으로 튀김망을 튀김조에 투하시키도록 승강되는 기능만을 갖는 것으로, 치킨을 꺼내 기름을 제거하고 포장하기 위해 운반하는 등의 공정은 수작업으로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전체 공정이 자동화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 실용신안 등록번호 20-0475439호, 자동 튀김기.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닭을 튀겨 치킨을 조리하는 일련의 공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 튀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튀김 수량 증가에 따라 요구되는 튀김 종류별로 다른 조리시간과 다른 양념 종류의 선택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도록 한 자동 튀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동 튀김 시스템으로, 기체(機體)의 내부에 상부만이 개구되게 형성되어 튀김재료를 튀길 수 있는 기름이 수용되며, 수용된 기름을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할 수 있는 튀김조와 상기 튀김조에서 튀김재료를 튀길 수 있도록 튀김재료를 수용할 수 있는 튀김바스켓을 포함하는 튀김기; 상기 튀김기의 일측에 설치되며, 튀김기에서 튀겨진 튀김에 바르는 양념 소스에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서 튀겨진 튀김을 포장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투입호퍼가 구비되는 튀김포장대; 및 상기 튀김포장대의 투입호퍼와 상기 튀김기의 튀짐조 사이를 왕복 이동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튀김바스켓을 파지할 수 있는 파지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파지수단에 의해 튀김바스켓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튀김기의 위치에서는 승강 작동되면서 튀김재료가 수용된 튀김바스켓을 튀김조에 투입하여 설정된 튀김시간 만큼 투입시간을 유지하여 튀김재료를 튀기고, 상기 튀김포장대의 위치에서는 투입호퍼들 중에서 튀김에 바르는 양념소스의 종류에 해당하는 투입호퍼에 튀김을 낙하시키도록 작동하는 직교로봇;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직교로봇은: 상기 튀김조의 위치에서 튀김바스켓을 하강시켜 튀김조에 투입하여 튀김재료를 튀기고, 튀김조에서 튀김재료가 튀겨지면 튀김바스켓을 상승시키도록 상기 튀김바스켓을 파지할 수 있는 파지수단을 승강 작동시킬 수 있는 승강작동수단; 상기 승강작동수단에 의해 튀김바스켓이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튀김기의 튀김조와 상기 튀김포장대의 투입호퍼 사이를 왕복 이동하도록 상기 승강작동수단을 왕복 이동시킬 수 있는 왕복이동수단; 상기 왕복이동수단에 의해 튀김포장대의 투입호퍼까지 이동된 상태에서 튀김바스켓에 담겨진 튀김을 낙하시킬 수 있도록 튀김바스켓을 개폐시키는 낙하수단; 및 각 수단이 연계하여 작동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지수단은: 상기 튀김바스켓을 파지할 수 있는 핑거부와, 상기 핑거부를 전후진시키면서 튀김바스켓을 파지할 수 있도록 핑거부를 작동시키는 핑거작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작동수단은: 상기 파지수단이 설치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를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리프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왕복이동수단은: 상기 리프트부를 왕복 이송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에 안내되도록 상기 리프트부를 왕복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튀김조의 위치에서 튀김바스켓의 승강 높이를 제한하도록 상기 지지부가 승강되는 상하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제1,제2 감지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1,제2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의해 제어수단에서 기 설정된 튀김 시간 동안 조리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튀김바스켓이 튀김조에 투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며, 설정된 튀김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튀김바스켓을 튀김조로부터 상승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왕복이동수단에 의한 리프트부의 왕복 이동되는 거리를 제한하도록 레일부의 양측에 튀김조 위치와 투입호퍼 위치에 설치되는 제3,제4 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3,제4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의해 제어수단에서 왕복 이동되는 거리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튀김조는: 상기 왕복이동수단의 이송방향을 따라 평행을 이루도록 일렬로 복수개 설치되고, 일렬로 복수개 설치되는 각각의 튀김조에서 튀겨지는 조리 시간의 설정이 다르도록 치킨의 특징에 맞게 상기 제어수단에서 제어하며, 일렬로 복수개 설치되는 각각의 튀김조에 구비되는 튀김바스켓을 상기 파지수단에 의해 파지하여 상기 승강작동수단에 의해 튀김바스켓을 승강 작동시키고, 상기 왕복이동수단에 의해 튀김바스켓을 왕복 이송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튀김 시스템에 의하면, 닭을 튀겨 치킨을 조리하는 일련의 공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튀김 조리가 자동으로 이루어짐에 의해 조리자에게 기름이 튀어 화상을 입힐 가능성을 현저히 줄여 조리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튀김 수량 증가에 따라 요구되는 튀김 종류별로 다른 조리시간과 다른 양념 종류의 선택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종류의 튀김을 편리하게 튀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튀김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튀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튀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튀김 시스템에 구비되는 승강작동수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튀김 시스템에 구비되는 튀김바스켓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튀김 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튀김 시스템에 구비되는 파지수단의 블록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튀김 시스템에 구비되는 승강작동수단의 블록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튀김 시스템에 구비되는 왕복이동수단의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들은 직접적인 접촉이나 연결뿐만 아니라 구성과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통해 접촉이나 연결된 것도 같은 범위로 해석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튀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튀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튀김 시스템에 구비되는 승강작동수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튀김 시스템에 구비되는 튀김바스켓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튀김 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튀김 시스템에 구비되는 파지수단의 블록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튀김 시스템에 구비되는 승강작동수단의 블록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튀김 시스템에 구비되는 왕복이동수단의 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튀김 시스템에는 튀김기(10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튀김기(100)는 튀김재료, 즉 닭을 튀겨 치킨을 조리할 수 있도록 기체(機體)의 내부에 상부만이 개구되는 튀김조(110)가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튀김조(110)에는 닭을 튀길 수 있는 기름이 수용된다.
이러한 튀김조(110)는 가열수단(120)에 의해 수용된 기름을 가열하여 닭을 튀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가열수단(120)은 기름을 가열하기 위해 가스 혹은 전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가열수단(120)의 기술은 통상의 튀김기에 구비되는 구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튀김조(110)에서 닭을 튀길 수 있도록 닭을 수용할 수 있는 튀김바스켓(13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튀김바스켓(130)은 망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튀김바스켓(130)에는 상부를 덮을 수 있는 상부덮개(132)를 구비하여 상기 튀김바스켓(130)이 튀김조(110)에 수용된 기름에 잠기도록 하여 닭을 튀길 경우, 닭이 기름에 뜨는 것을 방지하여 닭을 골고루 튀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튀김바스켓(130)에 닭을 수용한 후, 튀김바스켓(130)을 기름에 담그게 되면 부력에 의해 상부로 떠오르게 되어 일부위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튀겨지게 되어 골로루 튀겨지지 않게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작업자가 일일히 닭을 눌러 주어 기름에 잠기도록 한 상태로 튀겼음으로 작업자의 피로도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튀김바스켓(130)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도록 상부덮개(132)를 구비하여 튀김바스켓(130)에 닭을 수용한 후 상부덮개(132)를 닫게 되면 닭을 튀기기 위해 기름 내부에 튀김바스켓이 잠긴상태에서 부력에 의해 떠오르는 닭은 상부덮개(132)에 의해 떠오르지 못하고 튀김바스켓(130) 내에 위치하므로 골고루 튀겨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튀김바스켓(130)의 하부에는 하부망(134)을 개폐 가능하게 설치하여 닭을 튀긴 후 포장을 위해 튀김바스켓(130)으로부터 닭을 꺼낼 경우 하부망(134)을 개방하는 동작에 의해 간편하게 닭을 낙하시켜 튀김바스켓(130)으로부터 튀겨진 닭을 꺼낼 수 있다.
한편, 상기 튀김바스켓(130)에는 후술하는 파지수단에 의해 용이하게 파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튀김 시스템에는 튀김포장대(20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튀김포장대(200)는 튀김기(100)의 일측에 설치되며, 튀김기(100)에서 튀겨진 튀김에 바르는 양념 소스에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서 튀겨진 튀김을 포장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투입호퍼(21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투입호퍼(210)의 하부에 포장박스 혹은 용기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투입호퍼(210)의 상부에서 튀겨진 튀김을 낙하시켜 포장박스 혹은 용기에 용이하게 요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투입호퍼(210)의 하부에 포장박스가 위치되면 별도의 양념 소스가 필요없는 후라이드 치킨을 포함하는 경우이며, 상기 투입호퍼(210)의 하부에 용기가 위치되면 양념 소스를 발라 양념치친을 조리하는 위한 경우이다.
한편, 상기 투입호퍼(210)를 복수개로 구비함에 의해 양념 소스를 바르는 작업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도 튀김기에서 튀겨진 튀김이 이송되어 낙하되는 튀김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한개의 투입호퍼만이 구비되면 양념을 바르는 작업이 종료될 때까지 후속으로 이송되는 치킨을 대기시켜야 하지만, 투입호퍼를 복수개 구비함으로서 대기 없이 바로바로 투입호퍼로 낙하시켜 조리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튀김 시스템에는 직교로봇(30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직교로봇(300)은 직교하는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작동되는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직교로봇(300)은 튀김포장대(200)의 투입호퍼(210)와 상기 튀김기(100)의 튀김조(110) 사이를 왕복 이동하도록 작동됨과 아울러 상기 튀김바스켓(130)을 파지할 수 있는 파지수단(310)을 구비하고, 상기 파지수단(310)에 의해 튀김바스켓(130)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튀김기(100)의 위치에서는 승강 작동되면서 튀김재료가 수용된 튀김바스켓(130)을 튀김조(110)에 투입하여 설정된 튀김시간 만큼 투입시간을 유지하여 튀김재료를 튀기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직교로봇(300)에 의해 튀김포장대(200)의 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투입호퍼(210)들 중에서 튀김에 바르는 양념소스의 종류에 해당하는 투입호퍼(210)에 튀김을 낙하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직교로봇(300)은 승강작동수단(320)과 왕복이동수단(330), 낙하수단(340) 및 제어수단(35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작동수단(320)은 파지수단(310)에 의해 튀김바스켓(130)을 파지한 상태에서 튀김바스켓(130)을 승강시키도록 작동되는 것으로, 상기 튀김조(110)의 위치에서 튀김바스켓(130)을 하강시켜 튀김조(110)에 투입하여 튀김재료를 튀기고, 튀김조(110)에서 튀김재료가 튀겨지면 튀김바스켓(130)을 상승시키도록 상기 튀김바스켓(130)을 파지하고 있는 파지수단(310)을 승강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파지수단(310)은 튀김바스켓(130)을 파지할 수 있도록 핑거부(312)가 구비되며, 상기 핑거부(312)를 전후진시키면서 튀김바스켓(130)을 파지할 수 있도록 핑거부(312)를 작동시키는 핑거작동부(314)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파지수단(310)을 구성하는 핑거부(312)는 집게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핑거작동부(314)는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실린더에 의해 핑거부가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튀김바스켓(130)을 파지하는 파지수단(310)을 상기 승강작동수단(320)에 의해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파지수단에 의해 파지된 튀김바스켓(130)을 튀김조에 승강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작동수단(320)에는 파지수단(310)이 설치되는 지지부(322)와 상기 지지부(322)를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리프트부(324)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승강작동수단(320)은 상기 리프트부(324)에 의해 지지부(322)가 승강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지지부(322)가 리프트부(324)를 따라 승강되는 것에 의해 상기 핑거부(312)에 파지된 튀김바스켓(130)을 승강시켜 튀김조(110)에 튀김바스켓을 투입하거나 꺼낼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322)에 파지수단(310)이 설치되므로, 상기 지지부(322)를 승강시킴에 의해 파지수단(310)이 승강되어 튀김바스켓(130)이 승강된다.
여기서, 상기 승강작동수단(320)을 구성하는 리프트부(324)에 지지부(322)가 승강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리니어모터를 설치하여 지지부를 승강되게 구성하거나, 볼스크류를 이용하여 지지부를 승강되게 구성하거나, 실린더에 의해 지지부를 승강되게 구성할 수 있으며, 모터와 벨트, 풀리 혹은 체인, 스프라켓 등을 이용하여 지지부를 승강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왕복이동수단(330)은 승강작동수단(320)에 의해 튀김바스켓(130)이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튀김기(100)의 튀김조(110)와 상기 튀김포장대(200)의 투입호퍼(210) 사이를 왕복 이동하도록 상기 승강작동수단(320)을 왕복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왕복이동수단(330)은 상기 승강작동수단(320)에 구비되는 리프트부(324)를 왕복 이송시킬 수 있도록 레일부(332)가 설치되고, 상기 레일부(332)에 안내되도록 이송부(334)가 설치되어 상기 이송부(334)에 의해 상기 리프트부(324)를 왕복 이송시키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왕복이동수단(330)은 상기 이송부(334)에 의해 리프트부(324)를 레일부(332)에 안내되도록 왕복 이동시킴에 의해 파지수단(310)을 포함하는 승강작동수단(320)을 왕복 이동시키게 되므로, 파지수단(310)에 의해 파진된 튀김바스켓(130)을 왕복 이동시키게 되며, 상기 레일부(332)를 따라 리프트부(324)를 이송시키기 위한 상기 이송부(334)의 구성으로는 실린더를 이용할 수 있고, 양단에 풀리 혹은 스프라켓을 모터에 의해 회전되게 설치한 후 풀리 혹은 스프라켓에 벨트 혹은 체인을 설치한 후 벨트 혹은 체인에 리프트부(324)를 고정하여 상기 리프트부(324)를 왕복 이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낙하수단(340)은 왕복이동수단(330)에 의해 튀김포장대(200)의 투입호퍼(210)까지 이동된 상태에서 튀김바스켓(130)에 담겨진 튀김을 낙하시킬 수 있도록 튀김바스켓을 개폐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튀김바스켓(130)의 하부망(134)을 투입호퍼(210) 상부에서 개방하게 되면 튀김은 투입호퍼로 낙하된다.
한편, 상기 제어수단(350)은 각 수단이 연계하여 작동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튀김조(110)의 위치에서 튀김바스켓(130)의 승강 높이를 제한하도록 상기 지지부(322)가 승강되는 상하부에 위치하도록 제1,제2 감지센서(352a,352b)가 설치되고, 상기 제1,제2 감지센서(352a,352b)의 감지신호에 의해 제어수단(350)에서 기 설정된 튀김 시간 동안 조리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튀김바스켓(130)이 튀김조(110)에 투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며, 설정된 튀김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튀김바스켓(130)을 튀김조(110)로부터 상승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왕복이동수단(330)에 의한 리프트부(324)의 왕복 이동되는 거리를 제한하도록 레일부(332)의 양측에 튀김조(110) 위치와 투입호퍼(210) 위치에 제3,제4 감지센서(354a,354b)를 설치하고, 상기 제3,제4 감지센서(354a,354b)의 감지신호에 의해 제어수단(350)에서 왕복 이동되는 거리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 내지 제4 감지센서는 광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리미트 스위치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제1,제2 감지센서(352a,352b)는 리프트부(324)의 상하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지지부(322)의 승강에 의해 제1,제2 감지센서(2)를 감지하고, 상기 제3,제4 감지센서(354a,354b)는 레일부(332)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리프트부(324)의 왕복 이동에 의해 제3,제4 감지센서(354a,354b)를 감지하며, 그 감지신호는 제어수단(350)에서 제어신호로 작용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튀김 시스템에서, 상기 튀김조(110)는 왕복이동수단(330)의 이송방향을 따라 평행을 이루게 일렬로 복수개 설치될 수 있으며, 일렬로 복수개 설치되는 각각의 튀김조(110)에서는 튀겨지는 조리 시간의 설정이 다르도록 치킨의 특징에 맞게 상기 제어수단(350)에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350)에서 일렬로 복수개 설치되는 각각의 튀김조(110)에 구비되는 튀김바스켓(130)을 상기 파지수단(310)에 의해 파지하여 상기 승강작동수단(320)에 의해 튀김바스켓(130)을 승강 작동시키고, 상기 왕복이동수단(330)에 의해 튀김바스켓(130)을 왕복 이송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튀김 시스템은 상기 튀김바스켓(130)에 닭을 담은 상태에서 제어수단(350)에 신호를 인가하면, 상기 파지수단(310)이 튀김바스켓(130)을 파지하고 승강작동수단(320)의 지지부(322)가 리프트부(324)에 안내되면서 하강되어 닭이 담긴 튀김바스켓(130)을 튀김조(110)에 투입하고, 상기 제어수단(350)에서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어 닭이 튀겨져 치킨이 조리되면 상기 지지부(322)가 리프트부(324)에 안내되면서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제2 감지센서(352a,352b)에서 지지부(322)의 승하강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350)에서 치킨으로 튀겨지는 기 설정된 시간만큼 닭이 튀겨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닭이 튀겨져 치킨으로 조리되면 상기 왕복이동수단(330)의 이송부(334)에 의해 리프트부(324)가 레일부(332)에 안내되면서 튀김바스켓(130)을 튀김포장대(200)의 투입호퍼(210) 상부로 이동시키고, 튀김바스켓(130)의 하부망(134)을 개방하여 투입호퍼(210)로 낙하시켜 투입호퍼(210)의 하부에서 포장박스 혹은 용기에 담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제4 감지센서(354a,354b)에서 리프트부(324)의 왕복 이동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350)에서 이동되는 거리를 제어하게 된다.
한편, 튀김을 낙하시킨 후에는 상기 왕복이동수단(330)에 의해 리프트부(324)가 제자리로 복귀되도록 이송되어 다음 닭을 튀길 준비를 하며, 작업자는 튀김바스켓에 닭을 투입하여 계속 닭을 튀길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닭을 튀겨 치킨을 조리하여 포장대까지 운반하는 일련의 공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튀김 조리가 자동으로 이루어짐에 의해 조리자에게 기름이 튀어 화상을 입힐 가능성을 현저히 줄여 조리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100 - 튀김기 110 - 튀김조
120 - 가열수단 130 - 튀김바스켓
200 - 튀김포장대 210 - 투입호퍼
300 - 직교로봇 310 - 파지수단
320 - 승강작동수단 330 - 왕복이동수단
340 - 낙하수단 350 - 제어수단

Claims (5)

  1. 자동 튀김 시스템에 있어서,
    기체(機體)의 내부에 상부만이 개구되게 형성되어 튀김재료를 튀길 수 있는 기름이 수용되며, 수용된 기름을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할 수 있는 튀김조와 상기 튀김조에서 튀김재료를 튀길 수 있도록 튀김재료를 수용할 수 있는 튀김바스켓을 포함하는 튀김기;
    상기 튀김기의 일측에 설치되며, 튀김기에서 튀겨진 튀김에 바르는 양념 소스에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서 튀겨진 튀김을 포장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투입호퍼가 구비되는 튀김포장대; 및
    상기 튀김포장대의 투입호퍼와 상기 튀김기의 튀짐조 사이를 왕복 이동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튀김바스켓을 파지할 수 있는 파지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파지수단에 의해 튀김바스켓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튀김기의 위치에서는 승강 작동되면서 튀김재료가 수용된 튀김바스켓을 튀김조에 투입하여 설정된 튀김시간 만큼 투입시간을 유지하여 튀김재료를 튀기고, 상기 튀김포장대의 위치에서는 투입호퍼들 중에서 튀김에 바르는 양념소스의 종류에 해당하는 투입호퍼에 튀김을 낙하시키도록 작동하는 직교로봇;을 포함하되,
    상기 직교로봇은:
    상기 튀김조의 위치에서 튀김바스켓을 하강시켜 튀김조에 투입하여 튀김재료를 튀기고, 튀김조에서 튀김재료가 튀겨지면 튀김바스켓을 상승시키도록 상기 튀김바스켓을 파지할 수 있는 파지수단을 승강 작동시킬 수 있는 승강작동수단;
    상기 승강작동수단에 의해 튀김바스켓이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튀김기의 튀김조와 상기 튀김포장대의 투입호퍼 사이를 왕복 이동하도록 상기 승강작동수단을 왕복 이동시킬 수 있는 왕복이동수단;
    상기 왕복이동수단에 의해 튀김포장대의 투입호퍼까지 이동된 상태에서 튀김바스켓에 담겨진 튀김을 낙하시킬 수 있도록 튀김바스켓을 개폐시키는 낙하수단; 및
    각 수단이 연계하여 작동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튀김조의 위치에서 튀김바스켓의 승강 높이를 제한하도록 지지부가 승강되는 상하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제1,제2 감지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1,제2 감지센서의 감지신호를 근거로 기 설정된 튀김 시간 동안 조리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튀김바스켓이 튀김조에 투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며, 설정된 튀김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튀김바스켓을 튀김조로부터 상승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왕복이동수단에 의한 리프트부의 왕복 이동되는 거리를 제한하도록 레일부의 양측에 튀김조 위치와 투입호퍼 위치에 설치되는 제3,제4 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3,제4 감지센서의 감지신호를 근거로 왕복 이동되는 거리를 제어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튀김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수단은:
    상기 튀김바스켓을 파지할 수 있는 핑거부와, 상기 핑거부를 전후진시키면서 튀김바스켓을 파지할 수 있도록 핑거부를 작동시키는 핑거작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작동수단은:
    상기 파지수단이 설치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를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리프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왕복이동수단은:
    상기 리프트부를 왕복 이송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에 안내되도록 상기 리프트부를 왕복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튀김 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튀김조는:
    왕복이동수단의 이송방향을 따라 평행을 이루도록 일렬로 복수개 설치되고, 일렬로 복수개 설치되는 각각의 튀김조에서 튀겨지는 조리 시간의 설정이 다르도록 치킨의 특징에 맞게 상기 제어수단에서 제어하며, 일렬로 복수개 설치되는 각각의 튀김조에 구비되는 튀김바스켓을 상기 파지수단에 의해 파지하여 상기 승강작동수단에 의해 튀김바스켓을 승강 작동시키고, 상기 왕복이동수단에 의해 튀김바스켓을 왕복 이송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튀김 시스템.
KR1020210051508A 2021-04-21 2021-04-21 자동 튀김 시스템 KR1023415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508A KR102341587B1 (ko) 2021-04-21 2021-04-21 자동 튀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508A KR102341587B1 (ko) 2021-04-21 2021-04-21 자동 튀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1587B1 true KR102341587B1 (ko) 2021-12-21

Family

ID=79165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1508A KR102341587B1 (ko) 2021-04-21 2021-04-21 자동 튀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158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5390B1 (ko) * 2022-01-18 2022-03-17 주식회사 제이케이글로벌 원료 자동 공급장치
KR20230122302A (ko) 2022-02-14 2023-08-22 주식회사 영우디에스피 튀김 조리용 로봇
KR102571121B1 (ko) 2023-02-01 2023-08-25 (주)네온테크 로봇 튀김기 및 이에 의한 튀김 방법
KR102592912B1 (ko) * 2022-07-25 2023-10-23 조진형 레일을 이용한 튀김 로봇 암용 모듈 장치
KR20230149680A (ko) 2022-04-20 2023-10-27 안주형 자동 튀김 장치의 제어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45701A1 (en) * 2004-05-14 2007-01-24 Metalquimia, S.A. Automatic meat-processing and packing installation
KR100875750B1 (ko) * 2007-08-23 2008-12-2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조리장치
KR200475439Y1 (ko) 2012-08-14 2014-12-03 박찬명 자동 튀김기
KR20200063868A (ko) * 2018-11-28 2020-06-05 브이종합건설(주) 무인 자동화 치킨 조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45701A1 (en) * 2004-05-14 2007-01-24 Metalquimia, S.A. Automatic meat-processing and packing installation
KR100875750B1 (ko) * 2007-08-23 2008-12-2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조리장치
KR200475439Y1 (ko) 2012-08-14 2014-12-03 박찬명 자동 튀김기
KR20200063868A (ko) * 2018-11-28 2020-06-05 브이종합건설(주) 무인 자동화 치킨 조리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5390B1 (ko) * 2022-01-18 2022-03-17 주식회사 제이케이글로벌 원료 자동 공급장치
KR20230122302A (ko) 2022-02-14 2023-08-22 주식회사 영우디에스피 튀김 조리용 로봇
KR20230149680A (ko) 2022-04-20 2023-10-27 안주형 자동 튀김 장치의 제어방법
KR102592912B1 (ko) * 2022-07-25 2023-10-23 조진형 레일을 이용한 튀김 로봇 암용 모듈 장치
KR102571121B1 (ko) 2023-02-01 2023-08-25 (주)네온테크 로봇 튀김기 및 이에 의한 튀김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1587B1 (ko) 자동 튀김 시스템
US10064424B2 (en) Food movement and control within a container for food preparation
US7174830B1 (en) Robotic cooking system
TWI483209B (zh) 自動供餐系統
JP3380507B2 (ja) パン粉付き食品用フライ料理器具
CN107633607A (zh) 一种全自动烹饪售卖机
WO2006053507A1 (fr) Procede de cuisson conceptualisee
WO2001095740A1 (en) Food cooking apparatus
WO2003101262A1 (fr) Appareil de cuisson automatique d'aliments
KR102363803B1 (ko) 튀김 조리장치
WO2007062587A1 (fr) Systeme automatique ou semi-automatique de cuisson et methode de cuisson associee
KR102488735B1 (ko) 미니 튀김조리장치
KR20210059947A (ko) 튀김기용 복수개의 튀김 바스켓 리프팅 장치
US3455232A (en) Immersion cooking apparatus
JP2013158454A (ja) フライヤ装置
JP4088968B2 (ja) 連続式炊飯設備
KR102083784B1 (ko) 시간 조절이 가능한 튀김망 상하 이송장치
JP6503437B1 (ja) 食品自動販売機の調理装置
US20050072315A1 (en) Cooking assembly
JP2005052432A5 (ko)
KR102542644B1 (ko) 튀김 자동화 설비
US8381642B2 (en) Container with suspended rack
KR20210056191A (ko) 튀김기용 복수개의 튀김바구니 리프팅장치
TW202119332A (zh) 自動烹飪設備
JP3848613B2 (ja) バスケットを用いたコンベア式連続揚げ物器とそれに用いるバスケ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