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2644B1 - 튀김 자동화 설비 - Google Patents

튀김 자동화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2644B1
KR102542644B1 KR1020210073577A KR20210073577A KR102542644B1 KR 102542644 B1 KR102542644 B1 KR 102542644B1 KR 1020210073577 A KR1020210073577 A KR 1020210073577A KR 20210073577 A KR20210073577 A KR 20210073577A KR 102542644 B1 KR102542644 B1 KR 102542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oking
basket
baskets
f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3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5071A (ko
Inventor
장종대
Original Assignee
장종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종대 filed Critical 장종대
Priority to KR1020210073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2644B1/ko
Publication of KR20220165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5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2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2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76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66Control devices, e.g. to control temperature, level or quality of the frying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95Frying baskets or other food hol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실의 복수개의 제1튀김기에서 1차 튀김된 튀김이 담겨진 복수개의 바스켓이 거치되는 제1조리부; 1차 튀김된 튀김이 담긴 복수개의 바스켓이 각각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투입부를 포함하는 제1조리대기부; 상기 조리실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개의 제1투입부에 배치된 바스켓을 각각 이송시키는 로봇부;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로봇부 및 튀김시간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입력된 순서대로 상기 로봇부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바스켓이 복수개의 제2튀김기에 각각 투입된 후 2차 튀김을 수행하는 제2조리부; 상기 로봇부에 의해 2차 튀김된 튀김이 담긴 복수개의 바스켓이 각각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2투입부를 포함하는 제2조리대기부를 포함하는 튀김 자동화 설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튀김 자동화 설비에 의하면, 사용자가 1차 튀김된 튀김을 제1조리대기부에 거치하고, 상기 제어부에 제어신호를 입력하게 되고,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로봇부가 상기 제2조리부에 제1조리대기부에 거치된 바스켓을 투입하게 되고, 상기 제2조리부에서 2차 튀김이 완료되면 2차 튀김이 담긴 바스켓을 제2조리대기부에 투입하는 위의 순서가 자동화됨으로서, 사용자가 보다 손쉽게 조리를 할 수 있다.
또한, 종래기술은 튀김 조리 시 직접적으로 튀김을 파지하는 반면에 본 발명은 바스켓을 이용하여 조리할 튀김을 튀김기에 투입하게 되므로 위생과 품질이 상승하게 된다.

Description

튀김 자동화 설비{Automatic frying equipment}
본 발명은 튀김 자동화 설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스켓에 담겨진 튀김을 로봇암을 이용하여 설정된 튀김기에 투입하는 튀김 자동화 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라이드 치킨은 적당한 크기로 절단한 생닭의 표면에 반죽을 골고루 입히고, 반죽이 입혀진 상태의 생닭을 고온의 기름에 투입하고 일정시간 동안 튀겨서 프라이드치킨으로 조리하게 된다.
이러한 프라이드 치킨을 조리하기 위해서는 적당한 크기로 절단된 생닭을 반죽, 튀김가루, 각종 양념소스 등이 담겨있는 용기에 옮기고 손이나 주걱 등으로 저어서 생닭에 반죽이 입혀지도록 하는 작업을 해야하는데, 이러한 작업은 사람이 직접 진행하여야 하므로, 힘이 많이 들고 조리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면서 생산저하는 물론 추가적인 인건비도 발생하는 등, 경쟁력이 떨어진다. 또한, 반죽이나 양념소스가 닭에 골고루 입혀지지 않고, 튀김옷이 벗겨지는 등 문제가 발생되면 치킨의 맛이나 식감 등이 떨어지게 된다.
한국등록특허 10-1648135호(2016.08.08)호는 전자동 튀김기에 관한 것으로, 미리 설정된 각각의 튀김공정을 수행하는 모듈화된 복수의 공정유닛이 서로 분리되어 구획된 각각의 공간에 탈착가능하게 배치된 튀김공정부와, 상기 튀김공정부의 복수의 공정유닛에 연통하도록 설치되며, 튀김재료가 수용된 바스켓과, 상기 바스켓을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면서 상하로 승강구동시키는 반송유닛과, 상기 반송유닛을 수평이동시키는 수평이동부를 포함하는 반송부를 구비하며, 상기 반송유닛은, 승강샤프트와, 상기 승강샤프트를 따라 상하로 승강되는 반송플레이트와, 상기 반송플레이트에 설치된 전후진 가이드레일과, 상기 전후진 가이드레일을 따라 전후진 이동하며 상기 바스켓에 연결되는 연결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기술은 하나의 튀김재료가 튀김장치에 투입되면 그 튀김재료에 대한 튀김 조리가 완성될 때까지 다른 튀김재료는 여전히 대기중이어야 하므로 튀김조리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조리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한 번에 여러개의 튀김재료를 하나의 튀김장치에 투입할 경우 튀김재료가 서로 들러붙어서 불량이 발생할 염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덜 튀겨진 부분과 과도하게 튀겨진 부분이 생기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48135호(발명의 명칭 : 전자동 튀김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바스켓에 담겨진 1차 튀김된 튀김을 로봇부를 이용하여 설정된 튀김기에 투입하고, 각각의 튀김부에 센서부가 배치되어 바스켓의 존재 유무에 따라 로봇부가 자동으로 튀김기에 바스켓을 배치하는 튀김 자동화 설비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조리실의 복수개의 제1튀김기에서 1차 튀김된 튀김이 담겨진 복수개의 바스켓이 거치되는 제1조리부, 1차 튀김된 튀김이 담긴 복수개의 바스켓이 각각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투입부를 포함하는 제1조리대기부, 상기 조리실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개의 제1투입부에 배치된 바스켓을 각각 이송시키는 로봇부,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로봇부 및 튀김시간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입력된 순서대로 상기 로봇부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바스켓이 복수개의 제2튀김기에 각각 투입된 후 2차 튀김을 수행하는 제2조리부 및 상기 로봇부에 의해 2차 튀김된 튀김이 담긴 복수개의 바스켓이 각각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2투입부를 포함하는 제2조리대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스켓은, 창살 형상으로 형성되며, 튀김을 담는 용기부와, 상기 용기부 전방에 형성된 거치부와, 상기 용기부 상측에 결합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용기부와 손잡이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손잡이부측으로 돌출된 돌기부가 형성된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로봇부는, 상기 조리실 상측에 설치된 레일부와, 상단이 상기 레일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다관절 구조로 형성되고, 단부에 그립퍼가 배치되어 상기 바스켓을 집어 이송하는 로봇암부를 포함하고, 상기 그립퍼는, 내부에 상기 연결부가 수용되는 제1수용부와, 상기 제1수용부와 연결되며, 상기 돌기부가 삽입되는 제2수용부가 형성된 튀김 자동화 설비를 제공한다.
상기 바스켓은, 창살 형상으로 형성되며, 튀김을 담는 용기부와, 상기 용기부 전방에 형성된 거치부와, 상기 용기부 상측에 결합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용기부와 손잡이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손잡이부측으로 돌출된 돌기부가 형성된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손잡이부와 연결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용기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연결부로부터 상기 용기부측으로 휘어진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가 형성된 제2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조리대기부는, 상기 제1투입부 상측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거치부가 거치되는 제1거치대와, 상기 제1투입부 상측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투입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거치대의 반대 측에 배치되고, 상기 손잡이부가 거치되는 제1수용홈이 형성된 제2거치대와, 상기 제2거치대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바스켓의 유무를 감지하는 제1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조리부는, 상기 1차 튀김이 담긴 바스켓을 복수개의 포트에 각각 투입하여 2차 튀김을 조리하는 복수개의 제2튀김기와, 상기 포트 상측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부가 거치되는 제3거치대와, 상기 제3거치대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바스켓의 유무를 감지하는 제2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트는, 하나의 제2튀김기에 각각 한 쌍씩 구비되며, 상기 로봇부는, 상기 바스켓을 복수개의 포트에 투입할 때, 복수개의 제2튀김기의 기름 온도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복수개의 제2튀김기에 각각 구비된 한 쌍의 포트 중 어느 하나에만 우선하여 상기 바스켓을 전부 수용한 후, 상기 복수개의 제2튀김기에 각각 구비된 한 쌍의 포트 중 다른 하나에 상기 바스켓을 전부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제2조리대기부는, 상기 제2투입부 상측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거치부가 거치되는 제4거치대와, 상기 제2투입부 상측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2투입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4거치대의 반대 측에 배치되고, 상기 손잡이부가 거치되는 제2수용홈이 형성된 제5거치대와, 상기 제5거치대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바스켓의 유무를 감지하는 제3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튀김 자동화 설비에 의하면, 상기 복수개의 제2투입부에 상기 바스켓이 모두 배치된 상태일 경우, 상기 로봇부는, 상기 제2조리부에서 2차 튀김이 완료된 상기 바스켓을 파지하여 상기 제2조리부에서 꺼낸 상태로 일시 정지하며, 상기 복수개의 제2투입부에서 상기 2차 튀김이 조리된 복수개의 바스켓이 배출되면, 상기 로봇부는, 일시정지를 해제하고 비어있는 제2투입부로 파지한 바스켓을 투입할 수 있다.
상기 로봇부는, 상기 조리실 상측에 설치된 레일부와, 상단이 상기 레일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다관절 구조로 형성되고, 단부에 그립퍼가 배치되어 상기 바스켓을 집어 이송하는 로봇암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봇암부는, 상기 레일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몸체부와, 상기 제1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단부에 상기 그립퍼가 배치되어 상기 바스켓을 집어 이송하는 제3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그립퍼는,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3몸체부의 폭방향을 따라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바스켓을 선택적으로 파지할 수 있다.
상기 바스켓은, 창살 형상으로 형성되며, 튀김을 담는 용기부와, 상기 용기부 전방에 형성된 거치부와, 상기 용기부 상측에 결합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용기부와 손잡이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손잡이부측으로 돌출된 돌기부가 형성된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그립퍼는, 내부에 상기 제2연결부가 수용되는 제1수용부와, 상기 제1수용부와 연결되며, 상기 돌기부가 삽입되는 제2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튀김 자동화 설비에 의하면, 사용자가 1차 튀김된 튀김을 제1조리대기부에 거치하고, 상기 제어부에 제어신호를 입력하게 되고,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로봇부가 상기 제2조리부에 제1조리대기부에 거치된 바스켓을 투입하게 되고, 상기 제2조리부에서 2차 튀김이 완료되면 2차 튀김이 담긴 바스켓을 제2조리대기부에 투입하는 위의 순서가 자동화됨으로서, 사용자가 보다 손쉽게 조리를 할 수 있다.
또한, 종래기술은 튀김 조리 시 직접적으로 튀김을 파지하는 반면에 본 발명은 바스켓을 이용하여 조리할 튀김을 튀김기에 투입하게 되므로 위생과 품질이 상승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튀김 자동화 설비의 배치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 튀김 자동화 설비의 조리 과정을 나타낸다.
도 5는 제1조리대기부 및 제2조리대기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로봇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로봇부의 그립퍼를 이용하여, 바스켓을 파지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A를 확대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 튀김 자동화 설비(1000)의 간략한 배치도를 나타낸 것으로, 제1조리부(1200), 제1조리대기부(1300), 로봇부(1400), 제어부(1500), 제2조리부(1600) 및 제2조리대기부(170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조리부(1200)는, 조리실(K)에 배치된 복수개의 제1튀김기(1210)에서 1차 튀김된 튀김이 담겨진 복수개의 바스켓(1100)이 거치된다.
상기 제1조리대기부(1300)는, 복수개의 제1투입부(1310)에 1차 튀김된 튀김이 담긴 복수개의 바스켓(1100)이 각각 배치된다.
상기 로봇부(1400)는, 상기 조리실(K)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개의 제1투입부(1310)에 배치된 바스켓(1100)을 각각 이송시킨다.
상기 제어부(1500)는,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로봇부(1400) 및 튀김시간을 제어한다.
상기 제2조리부(1600)는, 상기 제어부(1500)에서 입력된 순서대로 상기 로봇부(1400)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바스켓(1100)이 복수개의 제2튀김기(1610)에 각각 투입된 후 2차 튀김을 수행한다.
상기 제2조리대기부(1700)는, 복수개의 제2투입부(1710)에 2차 튀김된 튀김이 담긴 복수개의 바스켓(1100)이 상기 로봇부(1400)에 의해 각각 배치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 튀김 자동화 설비(1000)의 조리 과정을 나타낸다.
상기 제1조리부(1200)는, 사용자가 직접 복수개의 제1튀김기(1210)에서 1차적으로 초벌 튀김을 하고, 복수개의 바스켓(1100)에 1차 튀김을 각각 담는다.
상기 제1조리대기부(1300)는, 1차 튀김이 담긴 상기 복수개의 바스켓(1100)이 상기 제1투입부(1310)에 배치되며, 제1거치대(1320), 제2거치대(1330) 및 제1센서부(1340)를 포함한다.
상기 제1거치대(1320)는 상기 제1투입부(1310) 상측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바스켓(1100)의 거치부(1120)가 거치된다.
상기 제2거치대(1330)는 상기 제1투입부(1310) 상측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투입부(1310)를 기준으로 상기 제1거치대(1320)의 반대 측에 배치되고, 상기 바스켓(1100)의 손잡이부(1130)가 거치되는 제1수용홈(1331)가 형성된다.
상기 제1센서부(1340)는 상기 제2거치대(1330)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바스켓(1100)의 유무를 감지한다.
상기 로봇부(1400)는, 상기 조리실(K)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바스켓(1100)을 각각 이송시킨다.
상기 제어부(1500)는, 사용자가 내부에 설치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이용하게 되고,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로봇부(1400) 및 튀김시간을 제어한다.
상기 제2조리부(1600)는, 1차 튀김이 끝난 튀김을 2차 튀김을 수행하고, 제2튀김기(1610), 제3거치대(1620) 및 제2센서부(1630)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제2튀김기(1610)는 상기 1차 튀김이 담긴 바스켓(1100)을 복수개의 포트(1611)에 각각 투입하여 2차 튀김을 조리한다.
상기 포트(1611)는 하나의 제2튀김기(1610)에 각각 한 쌍씩 구비되며, 상기 로봇부(1400)는 상기 바스켓(1100)을 복수개의 포트(1611)에 투입할 때, 복수개의 제2튀김기(1610)의 기름 온도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복수개의 제2튀김기(1610)에 각각 구비된 한 쌍의 포트(1611) 중 어느 하나에만 우선하여 상기 바스켓(1100)을 전부 수용한 후, 상기 복수개의 제2튀김기(1610)에 각각 구비된 한 쌍의 포트(1611) 중 다른 하나에 상기 바스켓(1100)을 전부 수용한다.
일 실시예로, 상기 복수개의 제2튀김기(1610)에 각각 구비된 한 쌍의 포트(1611) 중 좌측에 형성된 포트(1611)에 상기 바스켓(1100)을 전부 수용한 후, 우측에 형성된 포트(1611)에 상기 바스켓(1100)을 전부 수용하게 된다.
상기 제3거치대(1620)는 상기 포트(1611) 상측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바스켓(1100)의 손잡이부(1130)가 거치된다.
상기 제2센서부(1630)는 상기 제3거치대(1620)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바스켓(1100)의 유무를 감지한다.
상기 제2조리대기부(1700)는, 2차 튀김이 담긴 상기 복수개의 바스켓(1100)이 상기 제2투입부(1710)에 배치되며, 제4거치대(1720), 제5거치대(1730) 및 제3센서부(1740)를 포함한다.
상기 제4거치대(1720)는 상기 제2투입부(1710) 상측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바스켓(1100)의 거치부(1120)가 거치된다.
상기 제5거치대(1730)는 상기 제2투입부(1710) 상측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2투입부(1710)를 기준으로 상기 제4거치대(1720)의 반대 측에 배치되고, 상기 바스켓(1100)의 손잡이부(1130)가 거치되는 제2수용홈(1731)가 형성된다.
상기 제3센서부(1740)는 상기 제5거치대(1730)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바스켓(1100)의 유무를 감지한다.
상기 복수개의 제2투입부(1710)에 상기 바스켓(1100)이 모두 배치된 상태일 경우, 상기 로봇부(1400)는 상기 제2조리부(1600)에서 2차 튀김이 완료된 상기 바스켓(1100)을 파지하여 상기 제2조리부(1600)에서 꺼낸 상태로 일시 정지하며, 상기 복수개의 제2투입부(1710)에서 상기 2차 튀김이 조리된 복수개의 바스켓(1100)이 배출되면, 상기 로봇부(1400)는 일시정지를 해제하고 비어있는 제2투입부(1610)로 파지한 바스켓(1100)을 투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로봇부(1400)의 구조를 나타낸다.
상기 로봇부(1400)는, 상기 조리실(K)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바스켓(1100)을 각각 이송시키며, 레일부(1410)와 로봇암부(1420)을 포함한다.
상기 레일부(1410)는 상기 조리실(K) 상측에 설치된다.
상기 로봇암부(1420)는 상단이 상기 레일부(141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다관절 구조로 형성되고, 이동부(1421), 제1몸체부(1422), 제2몸체부(1423), 제3몸체부(1424) 및 그립퍼(1425)를 포함한다.
상기 로봇암부(1420)는 상단이 상기 레일부(141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다관절 구조로 형성되고, 이동부(1421), 제1몸체부(1422), 제2몸체부(1423), 제3몸체부(1424) 및 그립퍼(1425)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부(1421)는 상기 레일부(141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몸체부(1422)는 상기 이동부에(142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2몸체부(1423)는 상기 제1몸체부(142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3몸체부(1424)는 상기 제2몸체부(142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단부에 상기 그립퍼(1425)가 배치되어 상기 바스켓(1100)을 집어 이송한다.
상기 그립퍼(1425)는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3몸체부(1424)의 폭방향을 따라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바스켓(1100)을 선택적으로 파지하며, 제1수용부(1425a)와 제2수용부(1425b)를 포함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로봇부(1400)의 그립퍼(1425)를 이용하여, 바스켓(1100)을 파지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상기 바스켓(1100)은, 조리된 튀김을 담으며, 용기부(1110), 거치부(1120), 손잡이부(1130) 및 연결부(1140)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부(1110)는 창살 형상으로 형성되며, 조리된 튀김을 담는다.
상기 거치부(1120)는 상기 용기부(1110) 전방에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부(1130)는 상기 용기부(1110) 상측에 결합된다.
상기 연결부(1140)는 상기 용기부(1110)와 손잡이부(1130) 사이에 배치되며, 제1연결부(1141)와 제2연결부(1142)를 포함한다.
상기 제1연결부(1141)는 상기 손잡이부(1130)와 연결된다.
상기 제2연결부(1142)는 상기 용기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연결부(1141)로부터 상기 용기부(1110)측으로 휘어진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1130)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부(1143)가 형성된다.
상기 로봇부(1400)의 그립퍼(1425)를 이용하여 상기 바스켓(1100)을 선택적으로 파지하여 이송하게 되는데, 상기 그립퍼(1425)는 제1수용부(1425a)와 제2수용부(1425b)를 포함한다.
상기 제1수용부(1425a)는 내부에 상기 제2연결부(1142)가 수용된다.
상기 제2수용부(1425b)는 상기 제1수용부(1425a)와 연결되며, 상기 돌기부(1143)가 삽입된다.
1000 : 튀김 자동화 설비
1100 : 바스켓 1110 : 용기부
1120 : 거치부 1130 : 손잡이부
1140 : 연결부 1141 : 제1연결부
1142 : 제2연결부 1143 : 돌기부
1200 : 제1조리부 1210 : 제1튀김기
1300 : 제1조리대기부 1310 : 제1투입부
1320 : 제1거치대 1330 : 제2거치대
1331 : 제1수용홈 1340 : 제1센서부
1400 : 로봇부 1410 : 레일부
1420 : 로봇암부 1421 : 이동부
1422 : 제1몸체부 1423 : 제2몸체부
1424 : 제3몸체부 1425 : 그립퍼
1425a : 제1수용부 1425b : 제2수용부
1500 : 제어부 1600 : 제2조리부
1610 : 제2튀김기 1611 : 포트
1620 : 제3거치대 1630 : 제2센서부
1700 : 제2조리대기부 1710 : 제2투입부
1720 : 제4거치대 1730 : 제5거치대
1731 : 제2수용홈 1740 : 제3센서부

Claims (11)

  1. 조리실의 복수개의 제1튀김기에서 1차 튀김된 튀김이 담겨진 복수개의 바스켓이 거치되는 제1조리부;
    1차 튀김된 튀김이 담긴 복수개의 바스켓이 각각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투입부를 포함하는 제1조리대기부;
    상기 조리실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개의 제1투입부에 배치된 바스켓을 각각 이송시키는 로봇부;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로봇부 및 튀김시간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입력된 순서대로 상기 로봇부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바스켓이 복수개의 제2튀김기에 각각 투입된 후 2차 튀김을 수행하는 제2조리부;
    상기 로봇부에 의해 2차 튀김된 튀김이 담긴 복수개의 바스켓이 각각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2투입부를 포함하는 제2조리대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스켓은,
    창살 형상으로 형성되며, 튀김을 담는 용기부와,
    상기 용기부 전방에 형성된 거치부와,
    상기 용기부 상측에 결합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용기부와 손잡이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손잡이부측으로 돌출된 돌기부가 형성된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로봇부는,
    상기 조리실 상측에 설치된 레일부와,
    상단이 상기 레일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다관절 구조로 형성되고, 단부에 그립퍼가 배치되어 상기 바스켓을 집어 이송하는 로봇암부를 포함하고,
    상기 그립퍼는,
    내부에 상기 연결부가 수용되는 제1수용부와,
    상기 제1수용부와 연결되며, 상기 돌기부가 삽입되는 제2수용부가 형성된 튀김 자동화 설비.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손잡이부와 연결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용기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연결부로부터 상기 용기부측으로 휘어진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가 형성된 제2연결부를 포함하는 튀김 자동화 설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조리대기부는,
    상기 제1투입부 상측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거치부가 거치되는 제1거치대와,
    상기 제1투입부 상측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투입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거치대의 반대 측에 배치되고, 상기 손잡이부가 거치되는 제1수용홈이 형성된 제2거치대와,
    상기 제2거치대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바스켓의 유무를 감지하는 제1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튀김 자동화 설비.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조리부는,
    상기 1차 튀김이 담긴 바스켓을 복수개의 포트에 각각 투입하여 2차 튀김을 조리하는 복수개의 제2튀김기와,
    상기 포트 상측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부가 거치되는 제3거치대와,
    상기 제3거치대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바스켓의 유무를 감지하는 제2센서부를 포함하는 튀김 자동화 설비.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포트는, 하나의 제2튀김기에 각각 한 쌍씩 구비되며,
    상기 로봇부는, 상기 바스켓을 복수개의 포트에 투입할 때, 복수개의 제2튀김기의 기름 온도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복수개의 제2튀김기에 각각 구비된 한 쌍의 포트 중 어느 하나에만 우선하여 상기 바스켓을 전부 수용한 후, 상기 복수개의 제2튀김기에 각각 구비된 한 쌍의 포트 중 다른 하나에 상기 바스켓을 전부 수용하는 튀김 자동화 설비.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조리대기부는,
    상기 제2투입부 상측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거치부가 거치되는 제4거치대와,
    상기 제2투입부 상측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2투입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4거치대의 반대 측에 배치되고, 상기 손잡이부가 거치되는 제2수용홈이 형성된 제5거치대와,
    상기 제5거치대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바스켓의 유무를 감지하는 제3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튀김 자동화 설비.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2투입부에 상기 바스켓이 모두 배치된 상태일 경우, 상기 로봇부는, 상기 제2조리부에서 2차 튀김이 완료된 상기 바스켓을 파지하여 상기 제2조리부에서 꺼낸 상태로 일시 정지하며, 상기 복수개의 제2투입부에서 상기 2차 튀김이 조리된 복수개의 바스켓이 배출되면, 상기 로봇부는, 일시정지를 해제하고 비어있는 제2투입부로 파지한 바스켓을 투입하는 튀김 자동화 설비.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봇암부는,
    상기 레일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몸체부와,
    상기 제1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단부에 상기 그립퍼가 배치되어 상기 바스켓을 집어 이송하는 제3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그립퍼는,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3몸체부의 폭방향을 따라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바스켓을 선택적으로 파지하는 튀김 자동화 설비.
  11. 삭제
KR1020210073577A 2021-06-07 2021-06-07 튀김 자동화 설비 KR102542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3577A KR102542644B1 (ko) 2021-06-07 2021-06-07 튀김 자동화 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3577A KR102542644B1 (ko) 2021-06-07 2021-06-07 튀김 자동화 설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5071A KR20220165071A (ko) 2022-12-14
KR102542644B1 true KR102542644B1 (ko) 2023-06-14

Family

ID=84438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3577A KR102542644B1 (ko) 2021-06-07 2021-06-07 튀김 자동화 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26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01481A1 (ko) * 2022-11-11 2024-05-16 장종대 튀김 자동화 설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046168A1 (en) * 2018-08-10 2020-02-13 Miso Robotics, Inc. Robotic kitchen assistant for frying including agitator assembly for shaking utensil
KR102157004B1 (ko) * 2019-09-23 2020-09-16 이상범 자동튀김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0455477T3 (da) * 1990-05-04 1994-06-13 Restaurant Technology Automatiseret fødevaretilberedningssystem
KR101648135B1 (ko) 2015-03-23 2016-08-16 코닉오토메이션 주식회사 전자동 튀김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046168A1 (en) * 2018-08-10 2020-02-13 Miso Robotics, Inc. Robotic kitchen assistant for frying including agitator assembly for shaking utensil
KR102157004B1 (ko) * 2019-09-23 2020-09-16 이상범 자동튀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5071A (ko) 2022-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74830B1 (en) Robotic cooking system
KR102341587B1 (ko) 자동 튀김 시스템
CN105167567B (zh) 全智能大厨机器人
KR102060518B1 (ko) 자동화 요리 시스템
CN211748753U (zh) 烹饪系统
KR102542644B1 (ko) 튀김 자동화 설비
WO2018107547A1 (zh) 智能自动化一体厨房
KR102363803B1 (ko) 튀김 조리장치
KR20210035495A (ko) 치킨 조리 장치
KR102557727B1 (ko) 누들음식 조리용 다관절 협동로봇과 이를 이용하는 누들음식 조리 시스템 및 방법
GB2035546A (en) Frying apparatus
CN209750728U (zh) 一种智能供餐系统
CN110403448A (zh) 一种自动煮面系统
CN209995971U (zh) 一种麻辣烫自动烹饪机及麻辣烫无人餐厅
WO2007012268A1 (fr) Procede automatique/semi-automatique et continu de cuisson et systeme de cuisson associe
CN211155100U (zh) 一种自动煮面系统
CN106993953B (zh) 用于夹持烹饪器具的多轴机械手及自动烹饪机用烹饪器具
CN211155191U (zh) 一种智能煮面装置
CN211673712U (zh) 自动上菜出饭炒菜机器
CN111627163A (zh) 煎炸控制方法、设备及装置
CN111528709A (zh) 一种自动化集成烹饪设备
CN210275767U (zh) 一种智能烹饪设备
JP6503437B1 (ja) 食品自動販売機の調理装置
WO2024101481A1 (ko) 튀김 자동화 설비
US20220132905A1 (en) Automated food coat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