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1138B1 - 채소 선별기 - Google Patents

채소 선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1138B1
KR101721138B1 KR1020150177087A KR20150177087A KR101721138B1 KR 101721138 B1 KR101721138 B1 KR 101721138B1 KR 1020150177087 A KR1020150177087 A KR 1020150177087A KR 20150177087 A KR20150177087 A KR 20150177087A KR 101721138 B1 KR101721138 B1 KR 101721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ble
vegetables
frame
sorting
load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7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배
박해웅
천호현
송혜연
김민정
최은지
박상언
김보배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77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11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1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1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16Sorting according to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16Sorting according to weight
    • B07C5/18Sorting according to weight using a single stationary weighing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2501/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to be sorted
    • B07C2501/0081Sorting of food items

Landscapes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채소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피 및 중량이 크거나, 외관이 불규칙한 다양한 채소의 선별작업을 간편하고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채소의 선별과정을 수행한 후 양품과 불량품을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채소 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채소 선별기는 채소 선별기에 있어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부재; 상기 회동부재에 설치되고 채소의 중량을 측정하는 로드셀; 상기 회동부재에 회동력을 인가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회동부재구동수단; 및 상기 로드셀의 상부에 설치되고 채소가 올려지는 채소안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채소 선별기에 의하면, 호 형상으로 형성된 채소안착부재에 채소를 올려놓고 선별할 수 있어서 부피 및 중량이 큰 채소의 선별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고, 외관이 불규칙한 다양한 채소의 선별작업을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호환성 있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채소 선별기에 의하면, 채소안착부재가 채소가 올려지면 자동적으로 양품과 불량품을 선별하고 양품과 불량품을 구분하여 정해진 방향으로 배출할 수 있으므로 수작업을 최소화하여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고, 선별과정을 신속하고 간결하게 수행할 수 있어서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채소 선별기{SELECTION APPARATUS FOR VEGETABLES}
본 발명은 채소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피 및 중량이 크거나, 외관이 불규칙한 다양한 채소의 선별작업을 간편하고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채소의 선별과정을 수행한 후 양품과 불량품을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채소 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김치는 배추, 무, 오이 등을 소금에 절여서 고추, 마늘, 파, 생강, 젓갈 등의 양념을 버무려 발효하는 한국의 전통적인 채소 가공식품이다.
그리고, 김치는 익어감에 따라 항균 작용을 갖게 되고, 숙성 과정에서 발생하는 젖산균은 새콤한 맛을 더해주며, 장 속의 다른 유해균의 작용을 억제하여 이상 발효를 막을 수 있고, 병원균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을 뿐만 아니라 김치 원료인 채소는 자체에 다량의 섬유소가 함유되어 있어 변비를 예방하고 장염이나 결장염과 같은 질병을 예방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김치는 양품의 채소를 골라 준비하는 채소준비단계, 적정한 크기로 절단하는 이절단계, 채소를 절이는 절임단계,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단계, 채소를 세척하는 세척단계, 및 양념을 버무려 채소에 섞는 버무림단계 등 복잡한 다수의 단계를 통해 제조하게 된다.
그리고, 김치는 채소의 상태, 양념의 상태, 제조과정 등에 따라 맛과 품질이 결정되지만 원재료인 양질의 채소를 선별하는 과정이 매우 중요하다. 현재의 채소 선별과정은 육안에 의해 관능검사를 시행하고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중량을 가늠하는 정도로서, 일일이 수작업에 의해 수행하기 때문에 작업이 어렵고 생산성이 낮은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농산물의 선별을 위해 기 개발된 선별기를 활용하여 김치용 채소의 선별을 모색하였으나 양파, 감자 등과 같이 비교적 부피가 작고 둥근 뿌리채소나 과일을 선별하는 선별기가 주류를 이루고 있어 배추와 같은 부피 및 중량이 과대하고 형상이 불균일한 김치용 재료의 선별에 활용할 수 없거나 효율이 떨어지는 한계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 선별기는 주로 중량에 따라 농산물을 분류할 수는 있지만, 양품과 불량품을 제거하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일일이 수작업에 의해 분류, 제거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480149호 "농산물 선별장치" 한국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162715호 "중량 및 형상에 따른 과일이나 농산물의 선별장치 및 선별방법" 한국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113528호 "과일 선별장치" 한국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974879호 "양파 선별 계량포장장치"
본 발명은 상기 내용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부피 및 중량이 크거나, 외관이 불규칙한 다양한 채소의 선별작업을 간편하고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채소 선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채소의 선별과정을 수행한 후 양품과 불량품을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채소 선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채소 선별기는 채소 선별기에 있어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부재; 상기 회동부재에 설치되고 채소의 중량을 측정하는 로드셀; 및 상기 회동부재에 회동력을 인가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회동부재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채소 선별기는 채소 선별기에 있어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부재; 상기 회동부재에 설치되고 채소의 중량을 측정하는 로드셀; 상기 회동부재에 회동력을 인가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회동부재구동수단; 및 상기 로드셀의 상부에 설치되고 채소가 올려지는 채소안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채소안착부재는 호 형상으로 굴곡 형성된 안착판과, 상기 안착판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로드셀에 올려지는 지지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채소 선별기는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돌출되고, 상기 회동부재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는 회동부재접속부재가 더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동부재구동수단은, 래크가 형성된 승강봉; 상기 래크에 치합되는 피니언; 및 상기 피니언에 회전력을 인가하도록 접속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재구동수단은 상기 승강봉의 상단에 접속되는 롤러; 및 상기 롤러가 구름 이동되도록 상기 회동부재의 저면에 형성되는 롤러가이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롤러가이드부재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직사각틀 형상의 롤러이탈방지박스와, 상기 롤러이탈방지박스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바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봉이 이동되는 이동공이 형성되며, 상기 구동모터가 설치되는 구동부설치판; 및 상기 승강봉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이동공과 연통되게 설치되고, 상기 래크의 형성방향과 동축을 이루도록 절개부가 형성된 파이프 형상의 가이드보스가 더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채소 선별기는 채소의 상태 및 온도를 검출하는 열화상카메라; 및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열화상카메라가 장착되는 카메라설치대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채소 선별기는 상기 로드셀 및 상기 열화상카메라로부터 인가되는 감지신호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지신호를 근거로 상기 회동부재구동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더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채소 선별기에 의하면, 호 형상으로 형성된 채소안착부재에 채소를 올려놓고 선별할 수 있어서 부피 및 중량이 큰 채소의 선별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고, 외관이 불규칙한 다양한 채소의 선별작업을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호환성 있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채소 선별기에 의하면, 채소안착부재가 채소가 올려지면 자동적으로 양품과 불량품을 선별하고 양품과 불량품을 구분하여 정해진 방향으로 배출할 수 있으므로 수작업을 최소화하여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고, 선별과정을 신속하고 간결하게 수행할 수 있어서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소 선별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소 선별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소 선별기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4a 및 도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소 선별기의 회동부재구동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소 선별기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6a 및 도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소 선별기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6a는 채소가 양품으로 검출된 상태에서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6b는 채소가 불량품으로 검출된 상태에서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소 선별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소 선별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소 선별기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4a 및 도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소 선별기의 회동부재구동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4a는 회동부재구동수단의 분리사시도, 도4b는 회동부재구동수단과 회동부재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 내지 도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소 선별기는 다양한 형태를 갖는 채소의 선별이 가능하고, 양품 및 불량품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출, 분류할 수 있도록 프레임(1), 회동부재(2), 로드셀(3), 회동부재구동수단(4), 채소안착부재(5) 및 제어부(미도시)가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1)은 상기한 주요 구성요소를 장착하여 채소를 용이하게 올려놓고 선별할 수 있다면 구조나 형태에 특별한 제한 없이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프레임(1)은 'ㄷ'자 형강, 또는 'ㄱ'자 형강과 같은 다양한 형강재를 절단, 접합하여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사각봉으로 형성된 4개의 지주(11)와, 이 지주(11)에 연결되는 복수의 횡부재(12)로 구성되되, 인접하는 컨베이어장치(c)로 양품의 채소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는 컨베이어장치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주(11)의 하단에는 설치면에 안착되는 지지구(13)가 설치되어 있다.
회동부재(2)는 프레임(1)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요소로서, 대략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된 회동부재몸체(21)의 일측 단부 양쪽에 힌지공(221)이 형성된 힌지편(22)이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회동부재(2)는 보다 안정적인 각운동을 위해 프레임(1)의 상부에 돌출된 회동부재접속부재(6)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회동부재접속부재(6)는 대략 직삼각 형상으로 제작된 2개의 부재가 후술되는 구동부설치판(7) 또는 프레임의 상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회동부재(2)의 힌지공(221)에 삽입되는 힌지돌부(61)가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로드셀(3)은 채소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해 회동부재(2)의 상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원판형으로 형성된 4개의 로드셀이 후술되는 지지판(52)의 각 모서리 부분과 대응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로드셀(3)은 회동부재(2)에 결합되는 복수의 고정핀(32)이 하부에 돌출되고 지지판(52)에 끼워지도록 상면 중앙에 상방으로 가이드핀(33)이 돌출되어 있다.
회동부재구동수단(4)은 회동부재(2)에 회동력 인가하도록 프레임(1)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로서, 회동부재(2)를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각운동 시킬 수 있는 구동장치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봉상으로 형성된 몸체의 외면에 상하방향으로 래크(42,rack)가 형성된 승강봉(41), 승강봉(41)의 래크(42)에 치합되는 피니언(43), 및 피니언(43)에 회전력을 인가하도록 접속되는 구동모터(44)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승강봉(41)은 환봉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단에 과도한 상승으로인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링(411)이 돌출되어 있다. 또한, 구동모터(44)는 서보모터로 구성되어 구동부설치판(7)에 결합되는 모터고정브라켓(9)에 설치된다.
또한, 회동부재구동수단(4)은 승강봉(41)의 상단에 접속되는 롤러(45)와, 이 롤러(45)가 구름 이동되도록 회동부재(2)의 저면에 형성되는 롤러가이드부재(46)가 더 구비되어 있다.
롤러(45)는 2개의 휠이 연결축에 결합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고, 승강봉(41)의 상단에는 연결축이 접속되는 축연결부재(47)가 설치되어 있다.
롤러가이드부재(46)는 롤러(45)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직사각틀 형상의 롤러이탈방지박스(461)와, 이 롤러이탈방지박스(461)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바(462)가 형성된 구조로서, 가이드바(462)의 양쪽에 휠이 삽입되어 구름 이동되는 레일홈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프레임(1)에는 상기한 회동부재구동수단(4)의 설치를 위한 구동부설치판(7)이 설치되어 있다. 이 구동부설치판(7)은 사각 형태의 판재가 프레임(1)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중심에 승강봉(41)이 이동되는 이동공(미도시)이 천공되어 있고, 이동공과 접하여 구동모터(4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부설치판(7)에는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봉(41)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보스(48)가 구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보스(48)는 이동공과 연통되게 설치되는 파이프 형상의 부재로서 래크(42)의 형성방향과 동일 축 선상에 절개부(481)가 형성되어 있다.
채소안착부재(5)는 채소가 올려지도록 로드셀(3)의 상부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로서, 채소를 용이하게 올려놓을 수 있고, 양품 또는 불량품으로 선별된 채소를 정해진 위치로 배출시킬 수 있는 구조나 형태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안착판(51)과, 이 안착판(51)의 하부에 결합되는 지지판(52)으로 구성되어 있다.
안착판(51)은 다양한 채소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판재를 호 형상으로 굴곡 형성되어 있다. 지지판(52)은 상기한 로드셀(3)에 올려져 안착되도록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안착판(51)의 저면에 용접방식으로 접합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채소 선별기는 로드셀(3)을 통해 검출되는 채소의 중량을 통해 양품과 불량품을 선별할 수도 있지만, 추가로 채소의 외관상태 등을 검출하여 선별할 수 있도록 카메라(미도시)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는 열화상카메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열화상카메라는 채소의 온도, 온도분포 등을 검출할 수 있으므로 이 검출신호를 제어부에 인가하여 채소의 종류에 따라 정해지는 온도범위를 통해 양품과 불량품을 선별할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1)에는 상기한 열화상카메라의 장착을 위한 카메라설치대(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고, 열화상카메라 자체에 별도의 설치수단이 구비된 경우에는 카메라설치대의 구성을 생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소 선별기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소 선별기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6a 및 도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소 선별기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6a는 채소가 양품으로 검출된 상태에서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6b는 채소가 불량품으로 검출된 상태에서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다.
먼저, 도2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를 조립하여 도1에 도시된 구조로 제작한 채소 선별기를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품을 이송하는 컨베이어장치와 접하여 위치하도록 설치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채소안착부재(5)의 상면에 배추와 같은 채소를 올려놓게 되면 하부에 배치된 로드셀(3)에 의해 배추의 중량이 감지되어 검출신호가 제어부로 인가된다. 이러한 검출신호에 따라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중량범위에 따라 양품과 불량품을 판정하고 그 판정결과에 따라 구동신호를 인가하여 회동부재구동수단(4)의 구동모터(44)를 작동시키게 된다. 이때, 열화상카메라가 설치된 경우에는 인식된 열화상 영상 데이터를 근거로 제어부가 양품과 불량품을 판정하고 그 판정결과에 따라 구동모터(44)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하여 병충해 등으로 손상된 채소를 다시 한 번 더 걸러냄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선별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채소안착부재(5)의 상면에 올려진 배추가 양품으로 검출된 경우 제어부는 구동모터(44)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동신호를 인가하게 되고, 구동모터(44)의 출력축에 결합된 피니언(43)이 정방향으로 회전되면 이 피니언(43)에 치합된 래크(42)가 정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승강봉(41)이 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승강봉(41)이 하강되면 롤러(45)에 지지되어 있는 회동부재(2)가 힌지돌기(61)를 힌지점으로 하여 하방으로 각운동 하게 된다. 이때, 승강봉의 상단에 결합된 롤러(45)는 회동부재(2)를 떠받치며 회동부재(2)의 자유단 방향으로 구름이동 된다.
회동부재(2)가 수평상태에서 하방으로 각운동 하게 되면 이에 결합된 채소안착부재(5) 또한 동일한 방향으로 각운동 하게 되므로 배추는 컨베이어장치의 이송면을 향해 낙하한 후 정해진 위치로 이송된다
반대로, 채소안착부재(5)의 상면에 올려진 배추가 불량품으로 검출된 경우 제어부는 구동모터(44)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동신호를 인가하게 되고, 구동모터(44)의 출력축에 결합된 피니언(43)이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이 피니언(43)에 치합된 래크(42)가 역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승강봉(41)이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승강봉(41)이 상승되면 롤러(45)에 지지되어 있는 회동부재(2)가 힌지돌기(61)를 힌지점으로 하여 상방으로 각운동 하게 된다. 이때, 승강봉의 상단에 결합된 롤러(45)는 회동부재(2)를 떠받치며 자유단 방향으로 구름이동 된다.
회동부재(2)가 수평상태에서 상방으로 각운동하게 되면 이에 결합된 채소안착부재(5) 또한 들어올려지게 되고, 채소안착부재(5)에 안착되는 배추는 컨베이어장치의 반대쪽 방향으로 낙하하게 되어 수거용기에 담겨지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채소 선별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상기한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프레임 11:지주
12:횡부재 2:회동부재
21:회동부재몸체 22:힌지편
3:로드셀 4:회동부재구동수단
41:승강봉 42:래크
43:피니언 44:구동모터
45:롤러 46:롤러가이드부재
47:축연결부재 48:가이드보스
5:채소안착부재 51:안착판
52:지지판 6:회동부재접속부재
7:구동부설치판

Claims (10)

  1. 채소 선별기에 있어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부재;
    상기 회동부재에 설치되고 채소의 중량을 측정하는 로드셀;
    상기 회동부재에 회동력을 인가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회동부재구동수단;
    상기 로드셀의 상부에 설치되고 채소가 올려지는 호 형상으로 굴곡 형성된 안착판과, 상기 안착판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로드셀에 올려지는 지지판으로 구성된 채소안착부재; 및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돌출되고, 상기 회동부재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는 회동부재접속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회동부재구동수단은, 래크가 형성된 승강봉; 상기 래크에 치합되는 피니언; 상기 피니언에 회전력을 인가하도록 접속되는 구동모터; 상기 승강봉의 상단에 접속되는 롤러; 및 상기 롤러가 구름 이동되도록 상기 회동부재의 저면에 형성되는 롤러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소 선별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가이드부재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직사각틀 형상의 롤러이탈방지박스와, 상기 롤러이탈방지박스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소 선별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봉이 이동되는 이동공이 형성되며, 상기 구동모터가 설치되는 구동부설치판; 및
    상기 승강봉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이동공과 연통되게 설치되고, 상기 래크의 형성방향과 동축 선상에 절개부가 형성된 파이프 형상의 가이드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소 선별기.
  9. 제1항, 제7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채소의 상태 및 온도를 검출하는 열화상카메라; 및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열화상카메라가 장착되는 카메라설치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소 선별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셀 및 상기 열화상카메라로부터 인가되는 감지신호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지신호를 근거로 상기 회동부재구동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소 선별기.
KR1020150177087A 2015-12-11 2015-12-11 채소 선별기 KR101721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7087A KR101721138B1 (ko) 2015-12-11 2015-12-11 채소 선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7087A KR101721138B1 (ko) 2015-12-11 2015-12-11 채소 선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1138B1 true KR101721138B1 (ko) 2017-03-29

Family

ID=58498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7087A KR101721138B1 (ko) 2015-12-11 2015-12-11 채소 선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113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99179A (zh) * 2020-02-17 2020-06-19 张艺凡 一种管型工件筛选及传输系统
CN114871159A (zh) * 2022-05-05 2022-08-09 王博海 一种蔬菜加工方法
CN117733080A (zh) * 2024-02-21 2024-03-22 江苏松林汽车零部件有限公司 减速机箱体覆砂输送线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2715B1 (ko) 1995-12-29 1998-11-16 심강선 중량 및 형상에 따른 과일이나 농산물의 선별장치 및 선별방법
KR100307930B1 (ko) * 1998-09-24 2001-11-30 김배호 과일선별기
JP2003236477A (ja) * 2002-02-20 2003-08-26 Q P Corp 重量による物品の分別採取装置
KR100724242B1 (ko) * 2006-06-24 2007-05-31 곽영대 중량식 과일 선별장치
KR100974879B1 (ko) 2008-02-11 2010-08-11 (주)지엠시스템 양파 선별 계량포장장치
KR101113528B1 (ko) 2009-11-16 2012-02-27 한농쏘텍 주식회사 과일 선별장치
KR101480149B1 (ko) 2012-12-03 2015-01-08 대한민국 농산물 선별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2715B1 (ko) 1995-12-29 1998-11-16 심강선 중량 및 형상에 따른 과일이나 농산물의 선별장치 및 선별방법
KR100307930B1 (ko) * 1998-09-24 2001-11-30 김배호 과일선별기
JP2003236477A (ja) * 2002-02-20 2003-08-26 Q P Corp 重量による物品の分別採取装置
KR100724242B1 (ko) * 2006-06-24 2007-05-31 곽영대 중량식 과일 선별장치
KR100974879B1 (ko) 2008-02-11 2010-08-11 (주)지엠시스템 양파 선별 계량포장장치
KR101113528B1 (ko) 2009-11-16 2012-02-27 한농쏘텍 주식회사 과일 선별장치
KR101480149B1 (ko) 2012-12-03 2015-01-08 대한민국 농산물 선별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99179A (zh) * 2020-02-17 2020-06-19 张艺凡 一种管型工件筛选及传输系统
CN114871159A (zh) * 2022-05-05 2022-08-09 王博海 一种蔬菜加工方法
CN114871159B (zh) * 2022-05-05 2023-11-24 广东百家鲜食品科技有限公司 一种蔬菜加工方法
CN117733080A (zh) * 2024-02-21 2024-03-22 江苏松林汽车零部件有限公司 减速机箱体覆砂输送线
CN117733080B (zh) * 2024-02-21 2024-05-14 江苏松林汽车零部件有限公司 减速机箱体覆砂输送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1138B1 (ko) 채소 선별기
CN112224500B (zh) 一种水果自动上网套机
KR20170093393A (ko) 과실의 씨 분리 장치
CN110918496A (zh) 一种食品检测用传送装置
CN106475326B (zh) 一种果实筛分分装装置
KR101235875B1 (ko) 배추김치 양념 속 넣기 기계장치
CN107934007A (zh) 带筛选功能的水果打包装置
CN110193854A (zh) 一种脱水蔬菜加工用分切筛选机
KR101715686B1 (ko) 채소 선별기
CN205599535U (zh) 一种管材的自动称重筛选设备
KR101753231B1 (ko) 김치원료 처리방법 및 이를 적용한 김치원료 처리시스템
CN102205319B (zh) 贝类水产品与条茎状蔬果长度分级装置
CN208603159U (zh) 一种产品判别机
CN206305068U (zh) 果实筛分分装装置
CN108887554A (zh) 一种肉类加工蒸箱
CN211732972U (zh) 一种用于板材检验的翻转装置
KR102151312B1 (ko) 복수의 재료를 사용한 꼬치 식품의 제조장치
CN209795954U (zh) 一种检测苹果完整度和成熟度的自动装箱机
CN109051653B (zh) 一种分选敲蛋机的自动输送带
CN214750206U (zh) 一种枸杞固体饮料湿度检测装置
CN108318644B (zh) 一种可调式食品安全检测仪
CN208721588U (zh) 一种用于调味汁的异物检测设备
CN214120722U (zh) 一种用于芝士酥的烘箱出料报警装置
CN111891465B (zh) 一种置于流水线自动装卸装置
CN211104412U (zh) 一种待卤鸡蛋打孔设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