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0149B1 - 농산물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농산물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0149B1
KR101480149B1 KR20120139081A KR20120139081A KR101480149B1 KR 101480149 B1 KR101480149 B1 KR 101480149B1 KR 20120139081 A KR20120139081 A KR 20120139081A KR 20120139081 A KR20120139081 A KR 20120139081A KR 101480149 B1 KR101480149 B1 KR 101480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orting
agricultural products
agricultural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139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1108A (ko
Inventor
강석원
이강진
임종국
모창연
박종률
김재규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20120139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0149B1/ko
Publication of KR20140071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11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0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0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04Sorting according to size
    • B07C5/10Sorting according to size measured by light-responsiv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 B07C5/342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using video scanning devices, e.g. TV-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Abstract

농산물을 선별하는 과정 중 발생하는 농산물의 파손을 최소화고, 농산물의 전체표면을 촬영해 표면에 형성된 이상 유무를 검사함과 동시에 농산물의 크기를 측정하는 농산물 선별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농산물 선별장치는 공급된 농산물을 개체별로 나눠 이송하는 공급유닛과 상기 정량공급부에서 공급된 농산물을 파손되지 않도록 보호하며, 농작물을 회전에 의해 일렬로 정렬함과 동시에 이송시키는 정렬유닛과 상기 정렬유닛을 통해 회전하며 공급되는 농산물의 전체 표면을 촬영하여 농작물의 표면결함과 크기를 측정하고 등급을 나누는 선별유닛 및 상기 선별유닛을 통해 등급이 지정되어 배출되는 농산물을 같은 등급끼리 분류하는 분류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농산물 선별장치{APPARATUS FOR AGRICULTURAL SORTING PRODUCTS }
본 발명은 농산물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농산물의 크기와 표면의 결함을 검사하고 선별하는 농산물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수확한 농산물을 크기 및 외관의 양호 정도에 따라 등급을 나눠 분류하고, 분류된 등급에 따라 서로 다른 가격이 책정되어 소비자에게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러한 농산물의 크기나 외관을 사람이 직접 선별하고 있어 인건비 상승에 의한 생산 단가를 향상시키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사람이 직접 선별하기 때문에 등급에 따라 분류된 농산물의 신뢰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자동으로 농산물을 선별하는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별장치들은 선별과정에서 농산물에 충격을 가해 농산물의 상품가치를 떨어트리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농산물의 표면을 검사하기 위하여 농산물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물을 토대로 농산물의 표면의 이상 유무를 검사하는데 하나의 카메라를 통해선 컨베이어에 실려 이송되는 농산물의 전체 표면을 촬영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더불어, 애호박과 같이 상표 등이 인쇄되어진 비닐에 씌워져 재배되는 농작물은 애호박을 감싸고 있는 비닐에 의해 내부에 위치한 애호박의 크기를 정확히 선별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농산물을 선별하는 과정 중 발생하는 농산물의 파손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농산물의 전체표면을 촬영해 표면에 형성된 이상 유무를 검사하며, 비닐에 씌워져 재배되는 농산물의 실제 크기를 측정하는 농산물 선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농산물 수확장치는 공급된 농산물을 개체별로 나눠 이송하는 공급유닛, 상기 공급유닛에서 공급된 농산물이 회전에 의해 일렬로 정렬되며 이송되는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에 의해 상기 농산물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가 포함되어 구성된 정렬유닛, 상기 정렬유닛을 통해 회전하며 공급되는 농산물의 전체 표면을 촬영하여 농작물의 표면 결함과 크기를 측정하고 등급을 나누는 선별유닛 및 상기 선별유닛을 통해 등급이 지정되어 배출되는 농산물을 같은 등급끼리 분류하는 분류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이송부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샤프트 형태의 한 쌍의 롤러로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롤러는 상기 공급유닛에서 공급된 농산물이 롤러 사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일정간격이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예를 들면, 상기 선별유닛은 광원을 방출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에서 방출되는 광원 중 가시광선과 근적외선을 이용해 농산물을 촬영하는 촬영부, 및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농산물의 가시광선 영상정보와 근적외선 영상정보를 분석해 크기 및 표면을 측정하고 이를 토대로 등급을 나누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광부는, 할로겐 광원, 적외선 광원, LED 광원, 적외선LED 광원중 적어도 하나로 이뤄질수 있다.
그리고, 상기 촬영부은, 농산물이 회전하며 이송되는 동안 농산물의 전체 표면을 촬영하기 위해 연사 촬영하거나 동영상 형태로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별유닛은, 상기 정렬유닛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정렬유닛을 통해 이송되는 농산물의 근접여부를 감지하는 근접감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여기서, 상기 이송부에는 농산물의 파손을 방지하는 완충수단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부는 한 쌍의 롤러로 이뤄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탈방지부에는 농산물의 파손을 방지하는 완충수단이 포함될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분류유닛은 농산물이 이송되는 분류 컨베이어와, 상기 분류 컨베이어를 따라 설치되며, 농산물을 나누는 등급 분류에 대응하도록 설치되는 등급별 저장부, 및 상기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농작물을 상기 선별유닛에서 지정한 분류에 따라 등급별 저장부로 밀어 이송하는 분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류부는 농산물과 접하는 부분에 결합되는 충격감소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농산물 선별장치는 이송부와 이탈방지부 및 완충수단을 통해 농산물이 회전하며 일렬로 정렬되어 이송함으로서 선별유닛에서 농산물의 표면을 모두 촬영할 수 있으며 농산물이 외부로 이탈하거나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불량발생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시광과 근적외선을 이용해 농산물을 촬영하는 촬영부를 통해 비닐에 싸여진 농장물의 크기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어 농산물의 등급별 분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농산물 선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농산물 선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농산물 선별장치의 공급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농산물 선별장치의 공급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농산물 선별장치의 정렬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농산물 선별장치의 정렬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농산물 선별장치의 선별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농산물 선별장치의 분류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농산물 선별장치의 분류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농산물 선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농산물 선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농산물 선별장치의 공급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농산물 선별장치의 정렬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농산물 선별장치의 선별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 및 도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농산물 선별장치의 분류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농산물 선별장치는, 공급유닛(100), 정렬유닛(200), 선별유닛(300) 및, 분류유닛(4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급유닛(100)은, 공급된 농산물을 개체별로 나눠 이송한다. 상기 공급유닛(100)은 제1 컨베이어(110)와 제2 컨베이어(1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컨베이어(110)는, 다수의 농산물이 투입되며 상기 제2 컨베이어(120)에 농산물을 이송한다. 상기 제1 컨베이어(110)에는 농산물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도시되지 않음)가 배치되어 농산물이 감지되면 작동하고 농산물이 감지되지 않으면 정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컨베이어(120)는 상기 제1 컨베이어(110)에서 공급 되는 농산물을 개체별로 나눠 상기 정렬유닛(200)으로 공급한다. 상기 제2 컨베이어(120)는 농산물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도시되지 않음)가 배치되어 농산물이 감지되면 작동하고 농산물이 감지되지 않으면 정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컨베이어(120)는 상기 제1 컨베이어(110)에서 공급 되는 농산물을 개체별로 분리하기 용이하도록 상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2 컨베이어(120)에는 농산물의 개체별로 분리하기 위한 분리부재(121)가 포함된다. 상기 분리부재(121)는 상기 제2 컨베이어(120)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 컨베이어(110)에서 공급되는 농산물을 개체별로 분리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컨베이어(120)는 제1 컨베이어(110)의 일측을 기준으로 상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컨베이어로 이뤄지고 상기 컨베이어의 일면에는 일정 높이로 돌출되는 분리부재(121)가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농산물을 감지하고 자동으로 제2 컨베이어(120)에 공급하는 상기 제1 컨베이어(110)와 상기 제1 컨베이어(110)에서 공급받은 농산물을 개체별로 분리하는 제2 컨베이어(120)를 통해 작업자는 농산물을 개별적으로 농산물 선별장치에 투입할 필요 없이 다수의 농산물을 상기 제1 컨베이어(110)에 올려놓기만 하여도 상기 제2 컨베이어(120)에 의하여 개별적으로 분리되어 선별작업이 진행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정렬유닛(200)은, 상기 공급유닛(100)에서 공급된 농산물을 파손되지 않도록 보호하며, 농작물을 회전에 의해 일렬로 정렬함과 동시에 상기 선별유닛(300)로 이송시킨다. 예를 들면, 상기 정렬유닛(200)은 상기 공급유닛(100)에서 공급된 농산물이 회전에 의해 일렬로 정렬되며 이송된다.
상기 정렬유닛(200)은 이송부(210), 이탈방지부(220), 완충수단(230)을 포함한다.
상기 이송부(210)은,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샤프트 형태의 한 쌍의 롤러로 이뤄질 수 있다. 상기 이송부(210)은 농산물이 한 쌍의 롤러 사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이송부(210)은 회전을 통해 상기 농산물을 일렬로 정렬하며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시킨다.
상기 이탈방지부(220)은, 상기 공급유닛(100)에서 공급되는 농산물이 상기 이송부(210)에 공급될 때 회전에 의해 튕겨나가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기 위하여 상기 이탈방지부(220)은 상기 이송부(210)을 기준으로 상기 공급유닛(100)의 반대 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탈방지부(220)은 상기 이송부(210)과 마찬가지로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샤프트 형태의 한 쌍의 롤러로 이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수단과 상기 이송부(210) 사이 간격은 농산물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완충수단(230)은, 상기 이송부(210) 또는 상기 이탈방지부(220)과 결합하여 농산물의 파손을 방지한다. 상기 완충수단(230)은 상기 이송부(210)과 상기 이탈방지부(220)을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형성된다. 상기 완충수단(230)은 탄성력을 갖은 브러쉬 형태로 이뤄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완충수단(230)은 실리콘이나 합성수지로 이뤄진 브러쉬일 수 있다.
상기 선별유닛(300)은, 상기 정렬유닛(200)을 통해 회전하며 공급되는 농산물의 전체 표면을 촬영하여 농작물의 표면결함과 크기를 측정하고 등급을 나눈다.
상기 선별유닛(300)은 발광부(310), 촬영부(320), 제어부(340)를 포함한다.
상기 발광부(310)는, 전 파장 대역 광원을 방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발광부(310)는, 할로겐 광원, 적외선 광원, LED 광원, 적외선LED 광원중 적어도 하나로 이뤄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발광부(310)는 가시광선과 근적외선을 발광할 수 있는 광원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광부(310)는, 광을 발생하는 조명장치로 이뤄질 수 있다.
상기 촬영부(320)는, 발광부(310)에서 방출되는 광원 중 가시광선과 근적외선을 이용해 농산물을 촬영한다. 상기 촬영부(320)는 가시광선과 근적외선을 동시에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로 이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촬영부(320)는 각각 가시광선 영역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와 근적외선 영역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로 이뤄질 수도 있다. 상기 촬영부(320)는 도 7에 도시된 (b)와 같이 가시광선을 이용한 영상정보와 근적외선을 이용한 영상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촬영부(320)는 하나의 농산물이 회전하며 이송되는 동안 표면을 모두 촬영하기 위해 연사 촬영하거나 동영상 형태로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40)는, 상기 촬영부(320)에 의해 촬영된 농산물의 가시광선 사진과 근적외선 영상 정보를 통해 크기 및 표면을 측정하고 이를 토대로 등급을 판별한다. 상기 제어부(340)는, 하나의 농산물을 적어도 2번 촬영해 전체 표면과 길이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농산물의 등급을 결정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40)는 상기 분류유닛(400)에 분류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분류유닛(400)이 농산물을 등급별로 분류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어부(340)는 PC로 이뤄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선별유닛(300)은 상기 정렬유닛(200)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정렬유닛(200)을 통해 이송되는 농산물의 근접여부를 감지하는 근접감지부재(330)을 포함한다.
상기 근접감지부재(330)는 상기 선별유닛(300)에 농산물의 근접을 알려 상기 촬영부(320)가 농산물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기 위하여, 상기 근접감지부재(330)는 상기 정렬유닛(200)을 따라 이송되는 농산물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로 이뤄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근접감지부재(330)는 광센서로 이뤄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근접감지부재(330)는 상기 정렬유닛(200)을 따라 이송되는 농산물을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정렬유닛(200)에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근접감지부재(330)는 상기 이송부(210)에 포함된 한 쌍의 롤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한 쌍의 롤러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일부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류유닛(400)은 상기 선별유닛(300)을 통해 등급이 지정되어 배출되는 농산물을 같은 등급끼리 분류한다.
상기 분류유닛(400)은 분류 컨베이어(410), 등급별 저장부(420), 분류부(430)을 포함한다.
상기 분류 컨베이어(410)는, 상기 선별유닛(300)에서 공급되는 농산물을 이송한다. 상기 분류 컨베이어(410)는 다수의 컨베이어로 이뤄질 수 있으며, 각각의 컨베이어는 상기 선별유닛(300)에서 공급되는 농산물의 양과 간격에 따라 느려지거나 빨라질 수 있다. 즉, 상기 분류 컨베이어(410)는 농산물이 일정 간격을 형성하며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등급별 저장부(420)는, 상기 분류 컨베이어(410)를 따라 배치되며 칸막이를 통해 농산물이 섞이지 않도록 한다. 상기 등급별 저장부(420)는 상품화 막바지에 다다른 농산물이 손상되지 않도록 바닥과 측면 등 농산물이 접촉할 수 있는 부분에 완충 쿠션(421)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분류부(430)는, 상기 분류 컨베이어(410)를 따라 이송되는 농작물을 등급에 따라 밀어내 상기 등급별 저장부(420)에 공급한다. 그러기 위해서 상기 분류부(430)는 상기 등급별 저장부(420)가 배치된 위치에 대응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분류부(430)는 실린더를 통해 상기 분류 컨베이어(410) 상에 위치해 이송되는 농산물을 밀어내 상기 등급별 저장부(420)에 공급한다. 즉, 농산물을 분류하는 등급이 5개 등급으로 설정되었다면, 상기 등급별 저장부(420)와 상기 분류부(430)도 5개씩 형성 된다.
한편, 상기 분류부(430)에는 농산물과 접하는 실린더의 일측에 결합되는 충격감소부재(4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격감소부재(431)는 상기 실린더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실린더의 일면에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충격감소부재(431)의 재질은 스폰지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충격감소부재(431)는 탄성력이 있는 다공성 합성수지로 이뤄질 수도 있다. 또는 라텍스와 같은 고무재질로 이뤄질 수 있다.
위에 서술된 내용을 토대로 농산물 선별장치가 구동되는 과정을 설명하겠다. 우선 상기 제1 컨베이어(110)에 다량의 농산물이 공급된다. 농산물을 감지한 상기 제1 컨베이어(110)는 농산물을 상기 제2 컨베이어(120)로 이송시킨다. 상기 제2 컨베이어(120)에 근접한 농산물을 상기 제2 컨베이어(120)가 감지하면 상기 농산물을 상기 정렬유닛(200)으로 이송한다. 이때, 상기 제2 컨베이어(120)에 배치된 분리부재(121)를 통해 농산물이 굴러 떨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며 이송한다. 상기 공급유닛(100)에서 공급된 농산물이 상기 정렬유닛(200)에 도착하면 한 쌍의 롤러로 이뤄진 이송부(210)가 회전하며 농산물을 일렬로 정렬하며 상기 선별유닛(300)으로 이송시킨다. 이때, 상기 공급유닛(100)에서 공급되는 농산물이 상기 이송부(210)에 공급되는 순간 상기 이송부(210)의 회전력에 의해 이탈할 수 있는데 이를 이탈방지부(220)가 방지 한다. 상기 이송부(210)를 통해 선별유닛(300)에 근접하면 상기 근접감지부재(330)가 농산물을 감지한다. 상기 근접감지부재(330)에 의해 농산물의 위치가 파악되면 상기 발광부(310)가 작동해 발광하고 농산물은 상기 선별유닛(300)에 구비된 촬영부(320)를 통해 사진 또는 동영상 등으로 촬영된다. 이때, 상기 쵤영된 영상정보를 상기 제어부(340)가 분석해 농산물의 표면결함과 크기를 측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등급 분류에 따라 농산물의 등급을 판정한다. 상기 선별유닛(300)에 의해 등급이 정해진 농산물을 상기 분류유닛(400)로 공급된다. 상기 분류유닛(400)로 이송된 농산물은 상기 분류 컨베이어(410)를 따라 이송된다. 이때 상기 선별유닛(300)로부터 공급되는 농산물의 간격이 좁게 형성되어 있다면 다수로 나눠진 분류 컨베이어(410)가 각각 속도를 조절해 상기 농산물의 간격을 벌린다.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하며 분류 컨테이너를 따라 이송되는 농산물은 상기 분류부(430)에 의해 상기 비젼 설정부에서 판별된 등급으로 분류된다. 즉 상기 해당 등급별 저장부(420)에 공급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공급유닛 (110) : 제1 컨베이어
(120) :제2 컨베이어 (121) : 분리부재
(200) : 정렬유닛 (210) : 이송부
(220) : 이탈방지부 (230) : 완충수단
(300) :선별유닛 (310) : 발광부
(320) :촬영부 (340) : 제어부
(330) :근접감지부재 (400) : 분류유닛
(410) :분류 컨베이어 (420) : 등급별 저장부
(430) :분류부

Claims (11)

  1. 공급된 농산물을 개체별로 나눠 이송하는 공급유닛;
    상기 공급유닛에서 공급된 농산물이 회전에 의해 일렬로 정렬되며 이송되는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에 의해 상기 농산물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가 포함되어 구성된 정렬유닛;
    상기 정렬유닛을 통해 회전하며 공급되는 농산물의 전체 표면을 촬영하여 농작물의 표면 결함과 크기를 측정하고 등급을 나누는 선별유닛; 및
    상기 선별유닛을 통해 등급이 지정되어 배출되는 농산물을 같은 등급끼리 분류하는 분류유닛;
    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이송부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샤프트 형태의 한 쌍의 롤러로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롤러는 상기 공급유닛에서 공급된 농산물이 롤러 사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일정간격이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선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유닛은,
    광원을 방출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에서 방출되는 광원 중 가시광선과 근적외선을 이용해 농산물을 촬영하는 촬영부; 및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농산물의 가시광선 영상정보와 근적외선 영상정보를 분석해 크기 및 표면을 측정하고 이를 토대로 등급을 나누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농산물 선별장치.
  3. 삭제
  4. 제 1항 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에는 농산물의 파손을 방지하는 완충수단이 포함되는 농산물 선별장치.
  5. 제 1항 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에는 농산물의 파손을 방지하는 완충수단이 포함되는 농산물 선별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할로겐 광원, 적외선 광원, LED 광원, 적외선LED 광원중 적어도 하나로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선별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농산물이 회전하며 이송되는 동안 농산물의 전체 표면을 촬영하기 위해 연사 촬영하거나 동영상 형태로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선별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유닛은,
    농산물이 이송되는 분류 컨베이어;
    상기 분류 컨베이어를 따라 설치되며, 농산물을 나누는 등급 분류에 대응하도록 설치되는 등급별 저장부; 및
    상기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농작물을 상기 선별유닛에서 지정한 분류에 따라 등급별 저장부로 밀어 이송하는 분류부를 포함하는 농산물 선별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부는 농산물과 접하는 부분에 결합되는 충격감소부재를 더 포함하는 농산물 선별장치.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유닛은,
    상기 정렬유닛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정렬유닛을 통해 이송되는 농산물의 근접여부를 감지하는 근접감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농산물 선별장치.
  11. 제 1항 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한 쌍의 롤러로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농산물 선별장치.
KR20120139081A 2012-12-03 2012-12-03 농산물 선별장치 KR101480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39081A KR101480149B1 (ko) 2012-12-03 2012-12-03 농산물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39081A KR101480149B1 (ko) 2012-12-03 2012-12-03 농산물 선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1108A KR20140071108A (ko) 2014-06-11
KR101480149B1 true KR101480149B1 (ko) 2015-01-08

Family

ID=51125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139081A KR101480149B1 (ko) 2012-12-03 2012-12-03 농산물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014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5686B1 (ko) 2015-12-11 2017-03-13 한국식품연구원 채소 선별기
KR101721138B1 (ko) 2015-12-11 2017-03-29 한국식품연구원 채소 선별기
KR20200007385A (ko) 2018-07-13 2020-01-22 길마기술 주식회사 과일 선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6181B1 (ko) * 2016-11-04 2018-06-11 (주)아모레퍼시픽 용기 내부의 이물질 검사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0861B1 (ko) * 2000-07-05 2003-10-08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과실 외관품질 인자의 온라인 검출 및 정량화를 위한시스템 및 방법
JP2006122765A (ja) 2004-10-27 2006-05-18 Si Seiko Co Ltd 農産物検査装置
KR100590595B1 (ko) * 2004-11-12 2006-06-19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입상형 작물의 영상획득장치, 작물분배장치 및 입상형작물을 선별하기 위한 작물선별장치
KR101096791B1 (ko) 2011-03-18 2011-12-21 주식회사 생명과기술 농산물 인라인 육안 등급 판별기 및 판별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0861B1 (ko) * 2000-07-05 2003-10-08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과실 외관품질 인자의 온라인 검출 및 정량화를 위한시스템 및 방법
JP2006122765A (ja) 2004-10-27 2006-05-18 Si Seiko Co Ltd 農産物検査装置
KR100590595B1 (ko) * 2004-11-12 2006-06-19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입상형 작물의 영상획득장치, 작물분배장치 및 입상형작물을 선별하기 위한 작물선별장치
KR101096791B1 (ko) 2011-03-18 2011-12-21 주식회사 생명과기술 농산물 인라인 육안 등급 판별기 및 판별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5686B1 (ko) 2015-12-11 2017-03-13 한국식품연구원 채소 선별기
KR101721138B1 (ko) 2015-12-11 2017-03-29 한국식품연구원 채소 선별기
KR20200007385A (ko) 2018-07-13 2020-01-22 길마기술 주식회사 과일 선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1108A (ko) 2014-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43779B2 (en) Medicine inspection device, and medicine packaging device
KR101480149B1 (ko) 농산물 선별장치
US825305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orting plant material
US9638579B2 (en) Method and system for checking the color quality of preforms
US8228493B2 (en) Carrying device and appearance inspection device for test objects
US8154593B2 (en) Appearance inspection device
CN111684268A (zh) 食品检验辅助系统、食品检验辅助装置和计算机程序
US20140050397A1 (en)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waste containers based on pattern
US8019040B2 (en) X-ray inspection device and production system
US8123024B2 (en) Vibrating feeder, carrying device and inspection device
JP2004115128A (ja) 錠剤容器を連続的に充填するため自動的に錠剤を供給し、検査し、分岐させ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WO2019064802A1 (ja) 荷物仕分けシステム、投影指示装置および荷物仕分け方法
CN105606481A (zh) 一种包装盒检测系统
JP2022088474A (ja) 測定システム
TWI536011B (zh) Electronic parts inspection device
JP5449997B2 (ja) 魚卵熟度判定装置及び魚卵熟度判定方法
KR101366188B1 (ko) 측면 및 표면 검사기능을 갖는 비전 검사 장치
KR20150103832A (ko) 농산물 선별장치
CA3029632C (en) Method for sorting objects by shape and apparatus for the implementation thereof
EP2852532B1 (en) Wrapped-product quality control and packing methods, and wrapped-product quality control and packing devices
JP7354869B2 (ja) 莢果の検査装置、および莢果の検査方法
KR101771029B1 (ko) 불량 라벨의 분류를 위한 라벨 검사장치
JP2006122765A (ja) 農産物検査装置
JPH0957217A (ja) 食品の仕分け装置
JPH0957213A (ja) 茸類の品質判定装置及び仕分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