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3832A - 농산물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농산물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3832A
KR20150103832A KR1020140025349A KR20140025349A KR20150103832A KR 20150103832 A KR20150103832 A KR 20150103832A KR 1020140025349 A KR1020140025349 A KR 1020140025349A KR 20140025349 A KR20140025349 A KR 20140025349A KR 20150103832 A KR20150103832 A KR 201501038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rting
discharge
agricultural product
unit
conveying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5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진
최종태
Original Assignee
이정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진 filed Critical 이정진
Priority to KR1020140025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3832A/ko
Publication of KR20150103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38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 B07C5/342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using video scanning devices, e.g. TV-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04Sorting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16Sorting according to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2501/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to be sorted
    • B07C2501/0081Sorting of food i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2501/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to be sorted
    • B07C2501/009Sorting of fr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농산별 선별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농산물 선별장치는, 길이방향의 일측에 선별 대상물을 공급하기 위한 농산물 공급영역이 마련되고, 상기 농산물 공급영역과 대응되는 길이방향의 타측에 상기 농산물 공급영역로부터 공급되는 선별 대상물을 선별하기 위한 농산물 선별영역이 마련되는 선별기 본체; 상기 선별기 본체에 길이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결합되며, 상기 농산물 공급영역에서 공급된 선별 대상물을 상기 농산물 선별영역으로 이송하는 제1 이송컨베이어 및 상기 제1 이송컨베이어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농산물 공급영역에서 공급된 선별 대상물을 상기 농산물 선별영역으로 이송하는 제2 이송컨베이어가 마련되는 이송부; 상기 선별기 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선별 대상물을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수집하도록 마련되는 촬영부; 상기 선별기 본체의 농산물 선별영역에 결합되며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선별 대상물을 길이 및 크기별로 선별하도록 마련되는 선별부; 상기 선별부와 인접하도록 상기 선별기 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선별부에 의해 최종 선별된 선별 대상물을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배출부; 및 상기 촬영부의 영상정보를 수집한 후 기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선별부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농산물 선별장치{APPARATUS FOR SORTING AGRICULTURAL PRODUCTS}
본 발명은 농산물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이, 가지, 호박, 당근 등과 같이 일정한 길이를 갖는 농산물을 단위시간당 대량으로 선별할 수 있는 농산물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확된 농산물은 출하되기 전 상품성을 높이기 위해 크기 또는 무게별로 선별된다. 즉, 오이, 가지, 호박, 당근 등과 같은 농산물과 같이 서로 다른 크기의 물품들이 혼합된 상태에서 선별 대상물은 크기에 따라 등급을 나누어 상품으로 유통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등급에 따라 해당 물품의 상품가치 및 판매 가격이 달라지기 때문에 이들을 크기별로 선별하는 선별작업은 물품 가치의 증대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작업이라 할 수 있다.
이런 선별과정에서 객관적인 기준이 마련되지 않아 작업자의 주관적인 판단에 따라 육안으로 농산물을 분류하는 선별과정이 이루어짐에 따라, 다수의 인원을 확보한 상태에서 인력에 의한 선별작업으로 인해 인건비와 작업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므로, 근래에는 선별장치를 이용하여 비용과 시간을 줄이며 선별하고 있다.
이러한 선별장치로는 무게식, 광학식, 형상식이 있는데 특히, 형상식은 농산물의 외형에 따라 구분하는 것으로 크기가 구분 기준이 된다.
농산물 특히, 오이, 가지, 호박, 당근 등은 산지에서 수확한 후, 크기별 또는 중량별로 선별하여 규격별로 포장하여 출하하게 된다.
이처럼 크기별 또는 중량별로 선별하는 것을 자동으로 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 바로 농산물 선별장치이다.
종래의 농산물 선별장치는, 과일 및 야채 중 어느 하나의 선별 대상물을 이송시키는 메인컨베이어와, 메인컨베이어의 일측에 마련되어 메인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선별 대상물의 형상을 인식하는 형상인식부와, 형상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선별 대상물의 형상에 따라 선택적으로 선별 대상물을 파지하는 로봇 암과, 형상인식부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선별 대상물의 형상에 따라 로봇암의 파지범위가 선택적으로 조정되도록 로봇 암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선별 대상물이 메인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면, 형상인식부에서 선별 대상물의 형상을 인식하게 되고, 형상인식부의 신호에 기초한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로봇 암이 메인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선별 대상물을 파지하여 선별하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종래의 농산물 선별장치는 하나의 메인컨베이어에 의해 선별 대상물을 이송하면서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작동되는 로봇 암으로 선별 대상물을 파지하여 선별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농산물의 선별시 작업량 처리에 한계가 있어 단위시간당 소량의 농산물만 선별할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농산물의 소량 선별은 작업성 및 생산성의 저하를 의미하며 이는 기존의 인력에 의한 선별작업과 별 차이가 없어 고가의 선별장치의 사용을 기피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가 생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33610호(공개일자: 2012년 04월 09일)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오이, 가지, 호박, 당근 등과 같이 일정한 길이를 갖는 농산물을 단위시간당 대량으로 선별할 수 있는 농산물 선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길이방향의 일측에 선별 대상물을 공급하기 위한 농산물 공급영역이 마련되고, 상기 농산물 공급영역과 대응되는 길이방향의 타측에 상기 농산물 공급영역로부터 공급되는 선별 대상물을 선별하기 위한 농산물 선별영역이 마련되는 선별기 본체; 상기 선별기 본체에 길이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결합되며, 상기 농산물 공급영역에서 공급된 선별 대상물을 상기 농산물 선별영역으로 이송하는 제1 이송컨베이어 및 상기 제1 이송컨베이어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농산물 공급영역에서 공급된 선별 대상물을 상기 농산물 선별영역으로 이송하는 제2 이송컨베이어가 마련되는 이송부; 상기 선별기 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선별 대상물을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수집하도록 마련되는 촬영부; 상기 선별기 본체의 농산물 선별영역에 결합되며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선별 대상물을 길이 및 크기별로 선별하도록 마련되는 선별부; 상기 선별부와 인접하도록 상기 선별기 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선별부에 의해 최종 선별된 선별 대상물을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배출부; 및 상기 촬영부의 영상정보를 수집한 후 기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선별부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선별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선별부는, 상기 선별기 본체의 농산물 선별영역에 상기 제1 이송컨베이어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결합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작동되어 상기 제1 이송컨베이어 상에 놓인 선별 대상물을 상기 배출부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마련되는 다수의 제1 푸셔; 및 상기 제1 푸셔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2 이송컨베이어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결합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작동되어 상기 제2 이송컨베이어 상에 놓인 선별 대상물을 상기 배출부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마련되는 다수의 제2 푸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푸셔 및 제2 푸셔는, 상기 제1 이송컨베이어 및 상기 제2 이송컨베이어 상에 놓인 선별 대상물을 상기 배출부 방향으로 밀어낼 때 상기 선별 대상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전면에 결합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촬영부는, 상기 선별기 본체에 결합되는 촬영부 본체; 상기 촬영부 본체의 내부에 상기 제1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선별 대상물을 촬영하도록 마련되는 제1 카메라; 및 상기 촬영부 본체의 내부에 상기 제2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선별 대상물을 촬영하도록 마련되는 제2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부 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제1 카메라 및 제2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정보와 기저장된 정보를 비교하여 선별 대상물을 길이 및 크기별로 분류한 후 상기 제1 이송컨베이어 및 제2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상기 농산물 선별영역으로 이송되는 선별 대상물을 선별하여 상기 배출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푸셔 및 상기 제2 푸셔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부는, 상기 선별부에 의해 선별되는 선별 대상물을 분류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선별기 본체에 결합되는 격판에 의해 구획되는 다수의 배출통로; 상기 제1 이송컨베이어와 인접하도록 상기 배출통로에 선별 대상물의 배출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1 푸셔에 의해 선별되는 선별 대상물을 배출방향으로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배출가이드; 상기 제2 이송컨베이어와 인접하도록 상기 배출통로에 결합되며 상기 제2 푸셔에 의해 선별되는 선별 대상물을 배출방향으로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배출컨베이어; 및 상기 배출컨베이어와 인접하도록 상기 선별기 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배출가이드 및 배출컨베이어에 의해 상기 배출통로를 따라 배출되는 선별 대상물이 최종적으로 모일 수 있도록 마련되는 집진함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가이드는, 상기 제1 푸셔에 의해 선별되는 선별 대상물을 상기 배출컨베이어로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통로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배출컨베이어는, 상기 배출가이드에 의해 안내되는 선별 대상물과 상기 제2 푸셔에 의해 선별되는 선별 대상물을 상기 집진함체로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통로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선별기 본체의 농산물 공급영역으로 공급되는 선별 대상물을 제1, 2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이중 이송라인을 형성하여 농산물 선별영역으로 이송하도록 마련되는 이송부 및 농산물 선별영역에서 제1, 2 푸셔에 의해 제1, 2 이송컨베이어로 이송되는 선별 대상물을 선별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선별부를 갖는 농산물 선별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농산물의 선별시 단위시간당 대량으로 선별이 가능하여 주어진 조건에서 선별량을 극대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선별장치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농산물 선별장치의 평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농산물 선별장치의 측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농산물 선별장치의 배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농산물 선별장치의 선별부 및 배출부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농산물 선별장치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선별장치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선별장치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농산물 선별장치의 평면을 보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농산물 선별장치의 측면을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농산물 선별장치의 배면을 보인 도면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농산물 선별장치의 선별부 및 배출부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농산물 선별장치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선별장치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선별장치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별기 본체(10), 이송부(20), 촬영부(30), 선별부(40), 배출부(50) 및 제어부(60)를 포함한다.
선별기 본체(10)는 본 실시예의 농산물 선별장치의 메인프레임을 형성하며 길이방향의 일측에 선별 대상물을 공급하기 위한 농산물 공급영역(12)이 마련되어 있고, 농산물 공급영역(12)과 대응되는 길이방향의 타측에 선별 대상물을 선별하기 위한 농산물 선별영역(14)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농산물 공급영역(12)은 작업자에 의해 선별 대상물, 즉 농산물이 연속적으로 투입될 수 있는 영역이며, 농산물 선별영역(14)은 농산물 공급영역(12)으로부터 공급되는 선별 대상물을 길이 및 크기별로 선별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영역이다.
이송부(20)는 농산물 공급영역(12)에서 공급되는 선별 대상물을 농산물 선별영역(14)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제1 이송컨베이어(22) 및 제2 이송컨베이어(24)를 포함한다.
제1 이송컨베이어(22)는 농산물 공급영역(12)에서 선별 대상물을 농산물 선별영역(14)으로 이송할 수 있는 제1 이송라인을 형성하도록 선별기 본체(10)에 결합되어 있다.
제2 이송컨베이어(24)는 제1 이송컨베이어(22)와 마찬가지로 농산물 공급영역(12)에서 공급되는 선별 대상물을 농산물 선별영역(14)으로 이송할 수 있는 제2 이송라인을 형성하도록 선별기 본체(10)에 제1 이송컨베이어(22)와 평행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이때, 제2 이송컨베이어(24)는 제1 이송컨베이어(22)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도록 선별기 본체(10)에 결합된다. 이는 제1 이송컨베이어(22)와 제2 이송컨베이어(24)로 선별 대상물을 이송시 상호 간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이송부(20)는 제1 이송컨베이어(22) 및 제2 이송컨베이어(24)에 의해 제1, 2 이송라인을 형성하게 됨으로써 농산물 공급영역(12)으로 공급되는 선별 대상물을 농산물 선별영역(14)으로 이송시 단위시간당 대량의 농산물을 이송할 수 있는 이송라인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농산물 선별영역(14)에 위치하는 선별기 본체(10)에는 구동부(16)가 마련되며 제1 이송컨베이어(22) 및 제2 이송컨베이어(24)는 구동부(16)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농산물 공급영역(12)으로 공급되는 선별 대상물을 농산물 선별영역(14)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회전하게 된다.
촬영부(30)는 이송부(20)에 의해 이송되는 선별 대상물을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수집하도록 선별기 본체(10)에 마련되며, 촬영부 본체(32), 제1 카메라(34) 및 제2 카메라(36)를 포함한다.
촬영부 본체(32)는 촬영부(30)의 메인프레임을 형성하며 선별기 본체(10)에 결합되어 있다. 즉, 촬영부 본체(32)는 이송부(20)의 제1 이송컨베이어(22) 및 제2 이송컨베이어(24)가 통과할 수 있는 터널형 구조로 형성되어 선별기 본체(10)에 결합된다.
제1 카메라(34)는 제1 이송컨베이어(22)의 직상부에 배치되도록 촬영부 본체(32)의 내부에 결합되며 이송부(20)의 제1 이송컨베이어(22)에 의해 이송되는 선별 대상물을 촬영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즉, 제1 카메라(34)는 제1 이송컨베이어(22)에 의해 이송되는 선별 대상물의 영상정보를 수집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제2 카메라(36)는 제2 이송컨베이어(24)의 직상부에 배치되도록 촬영부 본체(32)의 내부에 결합되며 이송부(20)의 제2 이송컨베이어(24)에 의해 이송되는 선별 대상물을 촬영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즉, 제2 카메라(36)는 제2 이송컨베이어(24)에 의해 이송되는 선별 대상물의 영상정보를 수집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여기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촬영부 본체(32)의 내부에는 제1 카메라(34) 및 제2 카메라(36)로 제1, 2 이송컨베이어(22, 24)에 의해 이송되는 선별 대상물을 촬영시 일정한 조명을 제공할 수 있는 조명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선별부(40)는 이송부(20)에 의해 이송되는 선별 대상물을 길이 및 크기별로 선별하도록 선별기 본체(10)의 농산물 선별영역(14)에 마련되며, 제1 푸셔(42) 및 제2 푸셔(44)를 포함한다.
제1 푸셔(42)는 선별기 본체(10)의 농산물 선별영역에 제1 이송컨베이어(22)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도록 결합되어 있다. 즉, 제1 푸셔(42)는 제1 이송컨베이어(22)에 의해 이송되는 선별 대상물을 길이 및 크기별로 선별하여 배출부(50)로 배출할 수 있도록 선별기 본체(10)에 다수가 결합된다.
이러한 제1 푸셔(42)는 제어부(60)의 제어에 따라 제1 이송컨베이어(22) 상에 놓인 선별 대상물을 배출부(50) 방향으로 밀어내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를 위해서, 선별기 본체(10)에는 제1 푸셔(42)의 작동을 위한 제1 실린더(43)가 마련된다. 즉, 제1 실린더(43)는 제1 푸셔(42)와 결합되며 제어부(60)의 제어에 따라 제1 이송컨베이어(22) 상에 놓인 선별 대상물을 배출부(50)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제1 푸셔(42)를 작동시킨다.
제2 푸셔(44)는 선별기 본체(10)의 농산물 선별영역(14)에 제2 이송컨베이어(24)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도록 결합되어 있다. 즉, 제2 푸셔(44)는 제2 이송컨베이어(24)에 의해 이송되는 선별 대상물을 길이 및 크기별로 선별하여 배출부(50)로 배출할 수 있도록 선별기 본체(10)에 다수가 결합된다.
이러한 제2 푸셔(44)는 제어부(60)의 제어에 따라 제2 이송컨베이어(24) 상에 놓인 선별 대상물을 배출부(50) 방향으로 밀어내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를 위해서, 선별기 본체(10)에는 제2 푸셔(44)의 작동을 위한 제2 실린더(45)가 마련된다. 즉, 제2 실린더(45)는 제2 푸셔(44)와 결합되며 제어부(60)의 제어에 따라 제2 이송컨베이어(24) 상에 놓인 선별 대상물을 배출부(50)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제2 푸셔(44)를 작동시킨다.
제1 푸셔(42) 및 제2 푸셔(44)의 전면에는 제1 이송컨베이어(22) 및 제2 이송컨베이어(24) 상에 놓인 선별 대상물을 배출부(50) 방향으로 밀어낼 때 선별 대상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완충부재(46)가 결합되어 있다. 이때, 완충부재(46)는 일정한 쿠션을 가지면서도 인체에 무해한 고무 또는 실린콘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선별부(40)는 제1 푸셔(42) 및 제2 푸셔(44)가 마련됨에 따라 제1 이송컨베이어(22) 및 제2 이송컨베이어(24)에 의해 선별기 본체(10)의 농산물 선별영역(14)으로 이송되는 선별 대상물을 선별시 단위시간당 대량의 농산물을 선별할 수 있는 구조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배출부(50)는 선별부(40)에 의해 최종 선별된 선별 대상물을 배출하도록 선별기 본체(10)에 마련되며, 배출통로(52), 배출가이드(54), 배출컨베이어(56) 및 배출컨베이어(56)를 포함한다.
배출통로(52)는 선별부(40)에 의해 선별되는 선별 대상물을 분류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선별기 본체(10)에 결합되는 격판(51)에 의해 구획 형성된다. 이때, 배출통로(52)는 선별기 본체(10)의 농산물 선별영역(14)에서 격판(51)에 의해 다수의 배출통로(52)를 형성하게 된다. 이는 선별부(40)에 의해 최종 선별된 선별 대상물을 길이 및 크기별로 분류하여 배출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배출부(50)에는 총 5개의 배출통로(52)가 형성되고 각 배출통로(52)에는 선별부(40)에 마련된 제1 푸셔(42) 및 제2 푸셔(44)가 각각 배치된다. 이에 따라 선별부(40)에 의해 5개의 등급으로 최종 선별된 선별 대상물이 각 배출통로(52)를 통해 배출되게 된다.
배출가이드(54)는 제1 이송컨베이어(22)와 인접하도록 배출통로(52)에 선별 대상물의 배출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결합되어 있다. 이때, 배출가이드(54)는 제1 푸셔(42)에 의해 선별되는 선별 대상물을 배출컨베이어(56)로 안내할 수 있도록 배출통로(52)의 상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배출가이드(54)는 제1 푸셔(42)에 의해 선별되는 선별 대상물을 배출방향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배출컨베이어(56)는 제2 이송컨베이어(24)와 인접하도록 배출통로(52)에 결합되어 있다. 이때, 배출컨베이어(56)는 배출가이드(54)에 의해 안내되는 선별 대상물과 제2 푸셔(44)에 의해 선별되는 선별 대상물을 배출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배출통로(52)의 하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배출컨베이어(56)는 최종 선별된 선별 대상물을 배출컨베이어(56)로 이송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배출컨베이어(56)는 배출컨베이어(56)와 인접하도록 선별기 본체(10)에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배출컨베이어(56)는 배출가이드(54) 및 배출컨베이어(56)에 의해 배출통로(52)를 따라 배출되는 선별 대상물이 최종적으로 모일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제어부(60)는 촬영부(30)의 영상정보를 수집한 후 기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선별부(4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즉, 제어부(60)는 촬영부 본체(32)에 마련되며 제1 카메라(34) 및 제2 카메라(36)에 의해 촬영된 촬영부(30)의 영상정보와 기저장된 정보를 비교하여 선별 대상물을 길이 및 크기별로 분류한 후 제1 이송컨베이어(22) 및 제2 이송컨베이어(24)에 의해 농산물 선별영역(14)으로 이송되는 선별 대상물을 선별하여 배출부(50)로 배출할 수 있도록 선별부(40)에 마련된 제1 푸셔(42) 및 제2 푸셔(44)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제어부(60)는 촬영부(30)에 의한 영상정보 수집 후 선별기 본체(10)의 농산물 선별영역(14)에서 제1 이송컨베이어(22) 및 제2 이송컨베이어(24) 상에 놓인 선별 대상물의 이송거리를 산출하여 배출부(50)의 각 배출통로(52)에 위치하는 제1 푸셔(42) 및 제2 푸셔(44)의 작동을 제어하게 됨으로써 선별 대상물을 등급별로 선별하여 배출부(50)로 배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촬영부(30)와 같이 특정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제1 이송컨베이어(22) 및 제2 이송컨베이어(24) 상에 놓인 선별 대상물의 이송거리를 산출하는 방식은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이송장치의 전자제어 분야에서 당업자에 의해 널리 실시되고 있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선별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구동부(16)에 의해 이송부(20)에 마련된 제1 이송컨베이어(22) 및 제2 이송컨베이어(24)가 선별 대상물을 선별기 본체(10)의 농산물 공급영역(12)에서 농산물 선별영역(14)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회전된다.
이송부(20)가 작동되면, 작업자에 의해 선별기 본체(10)의 농산물 공급영역(12)에서 제1 이송컨베이어(22) 및 제2 이송컨베이어(24)에 놓이는 선별 대상물은 농산물 선별영역(14)으로 이송된다.
선별 대상물이 제1 이송컨베이어(22) 및 제2 이송컨베이어(24)에 의해 농산물 선별영역(14)으로 이동되면, 촬영부(30)는 제1 카메라(34) 및 제2 카메라(36)에 의해 촬영부 본체(32)를 통과하는 선별 대상물을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수집한다. 즉, 제1 카메라(34)는 제1 이송컨베이어(22)에 놓인 상태로 이송되는 선별 대상물을 촬영하고 제2 카메라(36)는 제2 이송컨베이어(24)에 놓인 상태로 이송되는 선별 대상물을 촬영하게 되며 이에 따라 촬영부(30)는 이송부(20)에 의해 농산물 선별영역(14)으로 이송되는 선별 대상물을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수집하게 되는 것이다.
촬영부(30)에 의해 이송부(20)로 이송되는 선별 대상물의 영상정보가 수집되면, 제어부(60)는 촬영부(30)의 영상정보와 기저장된 정보를 비교하여 선별 대상물을 길이 및 크기별로 선별하여 분류한 후 촬영부(30)를 기점으로 해서 제1 이송컨베이어(22) 및 제2 이송컨베이어(24) 상에 놓인 선별 대상물의 이송거리를 산출하여 배출부(50)의 각 배출통로(52)에서 선별부(40)에 마련된 제1 푸셔(42) 및 제2 푸셔(44)의 작동을 제어하며 이에 따라 제1 이송컨베이어(22) 및 제2 이송컨베이어(24) 상에 놓인 선별 대상물은 제1 푸셔(42) 및 제2 푸셔(44)의 미는 동작에 의해 배출부(50)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이송되게 된다.
제1 이송컨베이어(22) 및 제2 이송컨베이어(24) 상에 놓인 선별 대상물이 선별부(40)의 작동에 따라 배출부(50) 방향으로 이송되면, 제1 이송컨베이어(22) 상에 놓인 선별 대상물은 배출가이드(54)를 따라 안내되면서 배출컨베이어(56)에 의해 배출컨베이어(56)에 최종 선별된 상태로 모이게 되고, 제2 이송컨베이어(24) 상에 놓인 선별 대상물은 배출컨베이어(56)에 의해 최종 선별된 상태로 배출컨베이어(56)로 모일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농산물 선별장치는 선별기 본체(10)의 농산물 공급영역(12)으로 공급되는 선별 대상물을 제1, 2 이송컨베이어(22, 24)에 의해 이중 이송라인을 형성하여 농산물 선별영역(14)으로 이송하도록 마련되는 이송부(20) 및 농산물 선별영역(14)에서 제1, 2 푸셔(42, 44)에 의해 제1, 2 이송컨베이어(22, 24)로 이송되는 선별 대상물을 선별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선별부(40)에 의하여, 농산물의 선별시 단위시간당 대량으로 선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선별기 본체 12: 농산물 공급영역
14: 농산물 선별영역 20: 이송부
22: 제1 이송컨베이어 24: 제2 이송컨베이어
30: 촬영부 32: 촬영부 본체
34: 제1 카메라 36: 제2 카메라
40: 선별부 42: 제1 푸셔
44: 제2 푸셔 46: 완충부재
50: 배출부 52: 배출통로
54: 배출가이드 56: 배출컨베이어
58: 집진함체 60: 제어부

Claims (7)

  1. 길이방향의 일측에 선별 대상물을 공급하기 위한 농산물 공급영역이 마련되고, 상기 농산물 공급영역과 대응되는 길이방향의 타측에 상기 농산물 공급영역로부터 공급되는 선별 대상물을 선별하기 위한 농산물 선별영역이 마련되는 선별기 본체;
    상기 선별기 본체에 길이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결합되며, 상기 농산물 공급영역에서 공급된 선별 대상물을 상기 농산물 선별영역으로 이송하는 제1 이송컨베이어 및 상기 제1 이송컨베이어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농산물 공급영역에서 공급된 선별 대상물을 상기 농산물 선별영역으로 이송하는 제2 이송컨베이어가 마련되는 이송부;
    상기 선별기 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선별 대상물을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수집하도록 마련되는 촬영부;
    상기 선별기 본체의 농산물 선별영역에 결합되며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선별 대상물을 길이 및 크기별로 선별하도록 마련되는 선별부;
    상기 선별부와 인접하도록 상기 선별기 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선별부에 의해 최종 선별된 선별 대상물을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배출부; 및
    상기 촬영부의 영상정보를 수집한 후 기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선별부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선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부는,
    상기 선별기 본체의 농산물 선별영역에 상기 제1 이송컨베이어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결합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작동되어 상기 제1 이송컨베이어 상에 놓인 선별 대상물을 상기 배출부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마련되는 다수의 제1 푸셔; 및
    상기 제1 푸셔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2 이송컨베이어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결합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작동되어 상기 제2 이송컨베이어 상에 놓인 선별 대상물을 상기 배출부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마련되는 다수의 제2 푸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선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푸셔 및 제2 푸셔는,
    상기 제1 이송컨베이어 및 상기 제2 이송컨베이어 상에 놓인 선별 대상물을 상기 배출부 방향으로 밀어낼 때 상기 선별 대상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전면에 결합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선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상기 선별기 본체에 결합되는 촬영부 본체;
    상기 촬영부 본체의 내부에 상기 제1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선별 대상물을 촬영하도록 마련되는 제1 카메라; 및
    상기 촬영부 본체의 내부에 상기 제2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선별 대상물을 촬영하도록 마련되는 제2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선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부 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제1 카메라 및 제2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정보와 기저장된 정보를 비교하여 선별 대상물을 길이 및 크기별로 분류한 후 상기 제1 이송컨베이어 및 제2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상기 농산물 선별영역으로 이송되는 선별 대상물을 선별하여 상기 배출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푸셔 및 상기 제2 푸셔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선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선별부에 의해 선별되는 선별 대상물을 분류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선별기 본체에 결합되는 격판에 의해 구획되는 다수의 배출통로;
    상기 제1 이송컨베이어와 인접하도록 상기 배출통로에 선별 대상물의 배출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1 푸셔에 의해 선별되는 선별 대상물을 배출방향으로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배출가이드;
    상기 제2 이송컨베이어와 인접하도록 상기 배출통로에 결합되며 상기 제2 푸셔에 의해 선별되는 선별 대상물을 배출방향으로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배출컨베이어; 및
    상기 배출컨베이어와 인접하도록 상기 선별기 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배출가이드 및 배출컨베이어에 의해 상기 배출통로를 따라 배출되는 선별 대상물이 최종적으로 모일 수 있도록 마련되는 집진함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선별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가이드는, 상기 제1 푸셔에 의해 선별되는 선별 대상물을 상기 배출컨베이어로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통로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배출컨베이어는, 상기 배출가이드에 의해 안내되는 선별 대상물과 상기 제2 푸셔에 의해 선별되는 선별 대상물을 상기 집진함체로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통로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선별장치.
KR1020140025349A 2014-03-04 2014-03-04 농산물 선별장치 KR201501038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5349A KR20150103832A (ko) 2014-03-04 2014-03-04 농산물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5349A KR20150103832A (ko) 2014-03-04 2014-03-04 농산물 선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3832A true KR20150103832A (ko) 2015-09-14

Family

ID=54243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5349A KR20150103832A (ko) 2014-03-04 2014-03-04 농산물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0383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4680B1 (ko) * 2018-08-21 2019-03-18 (주) 새벽 냉동 수산물 출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0252677A (zh) * 2019-06-27 2019-09-20 江苏信息职业技术学院 一种圆形水果大小分拣机
CN110813788A (zh) * 2019-11-19 2020-02-21 湖南洪江嵩云禽业有限公司 根据乌鸡不同重量筛分的成品包装装置
CN114653629A (zh) * 2022-02-23 2022-06-24 深圳市如本科技有限公司 基于视觉识别的分拣方法、智能分拣系统及可读存储介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4680B1 (ko) * 2018-08-21 2019-03-18 (주) 새벽 냉동 수산물 출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0252677A (zh) * 2019-06-27 2019-09-20 江苏信息职业技术学院 一种圆形水果大小分拣机
CN110813788A (zh) * 2019-11-19 2020-02-21 湖南洪江嵩云禽业有限公司 根据乌鸡不同重量筛分的成品包装装置
CN114653629A (zh) * 2022-02-23 2022-06-24 深圳市如本科技有限公司 基于视觉识别的分拣方法、智能分拣系统及可读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555352B (zh) 自动供料系统
MX2023002972A (es) Aparato de manipulación de materiales con vehículos de entrega.
US11679936B2 (en) Launching system for robotic sausage loading machine
KR20160140348A (ko) 청과물 선별 장치 및 청과물 선별 방법
US20070208455A1 (en) System and a method for sorting items out of waste material
KR20150103832A (ko) 농산물 선별장치
MX2021007261A (es) Sistema para recoger, transportar y entregar un producto y metodo para controlar tal sistema.
CN104191232B (zh) 多种小尺寸、片状零件按顺序自动组装的机械手装置及多种小尺寸、片状零件按序自动组装的方法
EP1829621A1 (en) A system and a method for sorting items out of waste material
CA2715415C (en) Order-picking system for order-picking articles into containers
CN105151827A (zh) 薄片物料提升分料供料机
CN206307350U (zh) 一种箱皮自动暂存和拣选供料系统
CN207943246U (zh) 一种全方位自动剔除包装不合格装置
KR20140071108A (ko) 농산물 선별장치
CN105428289A (zh) 集成电路封装设备中料管的供管方法及其供管装置
KR101750533B1 (ko) 농산물 선별기
CN109374640A (zh) 一种餐盒检测设备
JP3193397U (ja) 振分装置とそれを使用した振分システム
JP6385602B1 (ja) 物品の仕分け設備
JP3340940B2 (ja) 果物類の選別装置
JPH1190351A (ja) 農産物の選別装置及びこの装置の運転方法
JP7391389B2 (ja) 物品搬送処理装置
JP7294670B2 (ja) ピッキングシステムにおける物品分別装置
KR20170021049A (ko) 과일 적재용 트레이 이송장치
US3107768A (en) Installation for sorting workpieces according to operations to be performed there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