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6197B1 - 불량 포대 자동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불량 포대 자동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6197B1
KR101896197B1 KR1020170156175A KR20170156175A KR101896197B1 KR 101896197 B1 KR101896197 B1 KR 101896197B1 KR 1020170156175 A KR1020170156175 A KR 1020170156175A KR 20170156175 A KR20170156175 A KR 20170156175A KR 101896197 B1 KR101896197 B1 KR 101896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conveyor belt
vertical rods
defective
detectio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6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찬영
Original Assignee
김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찬영 filed Critical 김찬영
Priority to KR1020170156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61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6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61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1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a code applied to the object which indicates a property of the object, e.g. quality class, contents or incorrect ind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61Processing or control devices therefor, e.g. escort memory

Landscapes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량 포대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는 포대를 제작할 수 있는 원단을 제작할 때 제작된 원단을 자동으로 두루마리형태로 감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원단 어디에 불량이 발생하더라도
그 부분만 절단할 수 없어 불량부분을 매직 등으로 표시한 다음 포대제조공정으로 이동시켜 포대 완성단계인 마지막 공정에서 표시된 불량 포대를 수작으로 선별한다.
이를 감안하여 본원발명은 불량포대를 기계의 도움으로 인식하여 자동으로 선별하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구성은 다음과 같다
지지틀(10) 상단에 컨베이어벨트(20)와; 상기 컨베이어벨트(20) 상단에 상기 컨베이어벨트(20)에 의해 이송되어가는 포대(A)의 평면을 눌러(압박)주는 압박로울러(21)와; 상기 컨베이어벨트(20) 끝단 하단의 지지틀(10)에 상기 컨베이어벨트(20)에서 지면으로 낙하하는 포대의 저면(이면에 해당)이 평면으로 향하도록 책을 넘기듯이 포대를 별도의 평판(200)으로 넘기는 포대넘기는수단(30)을 포함한 것에 있어서,
상기 포대넘기는수단(30)은 상기 지지틀(10)의 하단 폭방향 양단에 고정한 힌지공(11)에 회동가능하게 길게 수평으로 위치되어 지지된 회동축(40)과,
상기 회동축(40) 일측에 상기 회동축(40)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레버(50)를 연결하고,
상기 레버(50)의 상단(51)은 상기 레버(50)를 상기 회동축(40)을 중심으로 하여 소정각도 회동시키는 액추에이터(60)의 로드(61) 끝단과 힌지핀(62)으로 연결되고,
상기 로드(61)를 축소시키거나 연장시키는 액추에이터(60)는 힌지축(63에
의해 지지틀(10)에 연결되고

상기 회동축(40)에 복수의 수직봉(70)을 수직으로 세워 지지하되 상기 회동축(40)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수직봉(70)을 서로 일정간격 이격시켜 지지하며
상기 복수의 수직봉(70) 하단에 낙하하는 포대(A)의 하단을 받쳐주는 받침대(80)를 설치하고 상기 받침대(80) 일측에 실린더(81)의 실린더로드(82)를 연결한 것과
상기 컨베이어벨트(20) 상측에는 상기 컨베이어벨트(20)에서 이송되는 불량포대(A')를 감시하는 불량감지센서(2)가 설치되고
상기 불량감지센서(2)는 제어부와 연동된 상태에서
상기 포대(A)가 상기 컨베이어벨트(20)를 통해 상기 포대넘기는수단(30) 방향으로 이송되어 가는 도중 감지센서(1)에 의해 포대(A)가 감지되며 포대(A)가 상기 컨베이어벨트(20) 끝단을 지나 수직으로 세워진 상기 복수의 수직봉(70)을 향해 수직으로 낙하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수직으로 낙하하는 포대(A)의 하단을 받침대(80)로 받으면서 동시에 켄베이어벨트(20) 상측에 설치된 감지센서(1)와 연동되는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액추에이터(60)의 로드(61)를 연장시켜
상기 로드(61)와 연결된 레버(50) 상단이 상기 회동축(40)을 중심으로하여 회전하면 상기 회동축(40)에 연결된 상기 복수의 수직봉(70)이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면서 상기 낙하하는 정상포대(A)를 전방으로 넘긴 다음 원위치로 되돌아오도록 하고
상기 불량포대(A')가 상기 컨베이어벨트(20)를 통해 상기 포대넘기는수단(30) 방향으로 이송되어 가는 도중 상기 불량감지센서(2)에 감지되면 불량포대(A')가 상기 컨베이어벨트(20)를 지나 수직으로 세워진 상기 복수의 수직봉(70)을 향해 수직으로 낙하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실린더(81)의 실린더로드(82)를 축소시켜 상기 실린더로드(82)와 연결된 받침대(80)를 상기 복수의 수직봉(70) 하단에서 이탈시켜 불량포대(A')가 지면으로 낙하되도록 하는 구성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 포대 자동 선별장치

Description

불량 포대 자동 선별장치{SORTING SYSTEM}
본 발명은 불량 포대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는 포대를 제작할 수 있는 원단을 제작할 때 제작된 원단을 자동으로 두루마리형태로 감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원단 어디에 불량이 발생하더라도
그 부분만 절단할 수 없어 불량부분을 매직 등으로 표시한 다음 포대제조공정으로 이동시켜 포대 완성단계인 마지막 공정에서 표시된 불량 포대를 수작으로 선별한다.
이를 감안하여 본원발명은 불량포대를 기계의 도움으로 인식하여 자동으로 선별하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곡물이나 폴리프로필렌 알갱이 등을 담아서 포장하기 위한 포대는 포대 제조장치에 의한 자동화 공정에 의하여 일단이 밀봉되는 구조로 제조된다.
즉, 양방향이 개방된 튜브 형태의 포대 원단이 포대 제조장치에 공급되면 포대 제조장치의 각 공정들을 거치면서 일단이 밀봉된 구조로 제조된다.
첨부한 도 7a는 종래의 포대 제조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a에서 보듯이, 종래의 포대 제조방법은 포대 원단(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재질)을 양방향이 개방된 튜브 형태의 포대(10)로 연속적으로 제조하여 낱장 단위로 커팅하는 제대기(12)와, 제대기(12)에서 제조된 튜브 형태의 포대(10)를 일정매수 이상 적층하여 배열하는 정렬부(14)와, 정렬부(14)에 적층된 포대(10)를 낱장 단위로 공급받아서 포대(10)의 일단부를 재봉기로 재봉하는 재봉부(16)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대기(12)에서 포대 원단(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재질)을 이용하여 양방향이 개방된 튜브 형태의 포대(10)로 제조하는 단계와, 제대기(12)에서 제조된 튜브 형태의 포대(10)가 일정매수 이상의 묶음 단위로 정렬부(14)에 적층 배열되는 단계와, 정렬부(14)에 적층된 포대(10)의 가장 위쪽 것부터 차례대로 재봉부(16)에 낱장 단위로 공급하는 단계와, 재봉부(16)에서 낱장 단위로 공급받은 포대(10)의 일단부를 재봉하는 단계를 통하여, 일단부가 재봉에 의하여 밀봉된 포대(10)가 완성된다.
이렇게 완성된 포대의 개방부(재봉된 반대쪽 개방부)를 통하여 곡물이나 폴리프로필렌 알갱이 등을 담아서 포장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포대 제조 장치에 의한 포대 제조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포대를 제작할 수 있는 원단을 제작할 때 제작된 원단을 자동으로 두루마리형태로 감는데 이러한 과정에 원단 어디에 불량이 발생하더라도 그 부분만 절단할 수 없어 불량부분을 매직 등으로 표시한 다음 포대제조공정으로 이동시켜 포대 완성단계인 마지막 공정에서 표시된 불량 포대를 수작으로 선별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원발명은 불량포대를 기계의 도움으로 인식하여 자동으로 선별하는 불량포대 자동선별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첨부한 도면에 의해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지지틀(10) 상단에 컨베이어벨트(20)와; 상기 컨베이어벨트(20) 상단에 상기 컨베이어벨트(20)에 의해 이송되어가는 포대(A)의 평면을 눌러(압박)주는 압박로울러(21)와; 상기 컨베이어벨트(20) 끝단 하단의 지지틀(10)에 상기 컨베이어벨트(20)에서 지면으로 낙하하는 포대의 저면(이면에 해당)이 평면으로 향하도록 책을 넘기듯이 포대를 별도의 평판(200)으로 넘기는 포대넘기는수단(30)을 포함한 것에 있어서,
상기 포대넘기는수단(30)은 상기 지지틀(10)의 하단 폭방향 양단에 고정한 힌지공(11)에 회동가능하게 길게 수평으로 위치되어 지지된 회동축(40)과,
상기 회동축(40) 일측에 상기 회동축(40)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레버(50)를 연결하고,
상기 레버(50)의 상단(51)은 상기 레버(50)를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하여 소정각도 회동시키는 액추에이터(60)의 로드(61) 끝단과 힌지핀(62)으로 연결되며,
상기 로드(61)를 축소시키거나 연장시키는 액추에이터(60)는 힌지축(63에
의해 지지틀(10)에 연결되고
상기 회동축(40)에 복수의 수직봉(70)을 수직으로 세워 지지하되 상기 회동축(40)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수직봉(70)을 서로 일정간격 이격시켜 지지하며
상기 복수의 수직봉(70) 하단에 낙하하는 포대(A)의 하단을 받쳐주는 받침대(80)를 설치하고 상기 받침대(80) 일측에 실린더(81)의 실린더로드(82)를 연결한 것과
상기 지지틀(10)에 지지되되 상기 컨베이어벨트(20)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20)에서 이송되는 불량포대(A')를 감시하는 불량감지센서(2)와
상기 불량감지센서(2)가 제어부와 연동된 상태에서 (불량포대에는 불량표시부에 해당하는 금속판(B)이 있다)
상기 포대(A)가 상기 컨베이어벨트(20)를 통해 상기 포대넘기는수단(30) 방향으로 이송되어 가는 도중 감지센서(1)에 의해 포대(A)가 감지되며 포대(A)가 상기 컨베이어벨트(20) 끝단을 지나 수직으로 세워진 상기 복수의 수직봉(70)을 향해 수직으로 낙하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수직으로 낙하하는 포대(A)의 하단을 받침대(80)로 받으면서 동시에 컨베이어벨트(20) 상측에 설치된 감지센서(1)와 연동되는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액추에이터(60)의 로드(61)를 연장시켜
상기 로드(61)와 연결된 레버(50) 상단이 상기 회동축(40)을 중심으로하여 회전하면 상기 회동축(40)에 연결된 상기 복수의 수직봉(70)이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면서 상기 낙하하는 정상포대(A)를 전방으로 넘긴 다음 원위치로 되돌아오도록 하고
상기 불량포대(A')가 상기 컨베이어벨트(20)를 통해 상기 포대넘기는수단(30) 방향으로 이송되어 가는 도중 상기 불량감지센서(2)에 감지되면 불량포대(A')가 상기 컨베이어벨트(20)를 지나 수직으로 세워진 상기 복수의 수직봉(70)을 향해 수직으로 낙하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실린더(81)의 실린더로드(82)를 축소시켜 상기 실린더로드(82)와 연결된 받침대(80)를 상기 복수의 수직봉(70) 하단에서 이탈시켜 불량포대(A')가 지면으로 낙하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원발명은 불량포대를 기계의 도움으로 자동을 인식하여 자동으로 선별하는 불량포대 자동선별기를 제공함으로서 생산성이 높고 편리하며 불량포대가 정상포대에 뒤섞이지 않는 장점이 있다.
상기 이상의 효과는 구체적인 설명에서 더 밝혀진다.
제 1도는 본 발명의 불량 포대 자동 선별장치가 부설된 포대 제작라인,
제 2도는 제 1도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제 3도의 가)는 제 1도의 요부사시도,
제 3도의 나)는 제 3도의 가) 상태에서 저면을 바라본 사시도,
제 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가)는 받침대가 수직봉 하단에서 제거되어 불량포대가 지면으로 낙하하는 과정을 보인 사시도,
나)는 받침대가 낙하하는 정상포대를 떠받치는 것을 보인 상태의 사시 도,
다)는 나)의 상태에서 수직봉을 회전시켜 평판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보 인 사시도,
제 5도의 가)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수직봉의 길이방향으로 낙하하는 정상포대를 수직봉 하단에서 떠받치거나 불량포대를 처리하는 회전로울러가 수직봉하단에 설치된 사시도,
제 5도의 나)는 제 5의 가) 상태에서 불량포대가 낙하하면 회전로울러를 회전시켜 불량포대를 지면으로 배출시키는 과정을 나타낸사시도,
제 6도의 가)는 회전로울러가 낙하하는 정상포대를 떠받치는 것을 보인 상태의 사시도,
제 6도의 가)는 제 5도의 가)의 일부 확대도,
제 7도는 본 발명의 불량감지센서를 나타낸 사시도.
첨부한 도면에 의해 구성을 재차살펴보고 그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지지틀(10) 상단에 컨베이어벨트(20)와; 상기 컨베이어벨트(20) 상단에 상기 컨베이어벨트(20)에 의해 이송되어가는 포대(A)의 평면을 눌러(압박)주는 압박로울러(21)와; 상기 컨베이어벨트(20) 끝단 하단의 지지틀(10)에 상기 컨베이어벨트(20)에서 지면으로 낙하하는 포대의 저면(이면에 해당)이 평면으로 향하도록 책을 넘기듯이 포대를 별도의 평판(200)으로 넘기는 포대넘기는수단(30)을 포함한 것에 있어서,
상기 포대넘기는수단(30)은 상기 지지틀(10)의 하단 폭방향 양단에 고정한 힌지공(11)에 회동가능하게 길게 수평으로 위치되어 지지된 회동축(40)과,
상기 회동축(40) 일측에 상기 회동축(40)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레버(50)를 연결하고,
상기 레버(50)의 상단(51)은 상기 레버(50)를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하여 소정각도 회동시키는 액추에이터(60)의 로드(61) 끝단과 힌지핀(62)으로 연결되며,
상기 로드(61)를 축소시키거나 연장시키는 액추에이터(60)는 힌지축(63에
의해 지지틀(10)에 연결되고
상기 회동축(40)에 복수의 수직봉(70)을 수직으로 세워 지지하되 상기 회동축(40)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수직봉(70)을 서로 일정간격 이격시켜 지지하며
상기 복수의 수직봉(70) 하단에 낙하하는 포대(A)의 하단을 받쳐주는 받침대(80)를 설치하고 상기 받침대(80) 일측에 실린더(81)의 실린더로드(82)를 연결한 것과
상기 지지틀(10)에 지지되되 상기 컨베이어벨트(20)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20)에서 이송되는 불량포대(A')를 감시하는 불량감지센서(2)와
상기 불량감지센서(2)가 제어부와 연동된 상태에서 (상기 불량포대에는 불량표시부에 해당하는 금속판(B)이 있다)
상기 포대(A)가 상기 컨베이어벨트(20)를 통해 상기 포대넘기는수단(30) 방향으로 이송되어 가는 도중 감지센서(1)에 의해 포대(A)가 감지되며 포대(A)가 상기 컨베이어벨트(20) 끝단을 지나 수직으로 세워진 상기 복수의 수직봉(70)을 향해 수직으로 낙하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수직으로 낙하하는 포대(A)의 하단을 받침대(80)로 받으면서 동시에 켄베이어벨트(20) 상측에 설치된 감지센서(1)와 연동되는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액추에이터(60)의 로드(61)를 연장시켜
상기 로드(61)와 연결된 레버(50) 상단이 상기 회동축(40)을 중심으로하여 회전하면 상기 회동축(40)에 연결된 상기 복수의 수직봉(70)이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면서 상기 낙하하는 정상포대(A)를 전방으로 넘긴 다음 원위치로 되돌아오도록 하고
상기 불량포대(A')가 상기 컨베이어벨트(20)를 통해 상기 포대넘기는수단(30) 방향으로 이송되어 가는 도중 상기 불량감지센서(2)에 감지되면 불량포대(A')가 상기 컨베이어벨트(20)를 지나 수직으로 세워진 상기 복수의 수직봉(70)을 향해 수직으로 낙하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실린더(81)의 실린더로드(82)를 축소시켜 상기 실린더로드(82)와 연결된 받침대(80)를 상기 복수의 수직봉(70) 하단에서 이탈시켜 불량포대(A')가 지면으로 낙하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다음은 상기 구성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포대를 제작할 수 있는 원단을 제작할 때 제작된 원단을 자동으로 두루마리형태로 감는데 이러한 과정에 원단 어디에 불량이 발생하더라도 작업공정진행상 그 부분만 절단할 수 없다.
따라서 불량부분을 매직으로 표시하든지 아니면 불량감지센서(2)가 감지할 수 있는 방법으로 표시한다. 예를 들어 불량포대 어느 위치에 얇은 금속판(B)을 부착한다.
그 표시 후 원단을 지속적으로 두루마리형태로 감는다.
이와 같은 금속판(B)이 부착된 원단을 포대 제작과정에서 선별하는 기술이 본원발명에 해당한다.
따라서 본원발명의 금속감지센서는 금속이 부착된 불량포대를 감지하여 선별한다.
전단계에서 두루마리 원단을 지속적으로 풀면서 포대 크기에 해당하는 칫수로 절단한 후 포대(테두리가 봉재되지 않은 상태)가 콘베이어벨트 위에서 이동하는 과정에 재봉틀(미도시)에 의해 자동으로 테두리가 봉재 된다.
상기 봉재 후 포대는 이동 마지막 단계에서 컨베이어벨트 앞쪽 끝단을 지나 지면을 향해 낙하 된다.
상기 포대 낙하 과정에 불량포대는 지면으로 낙하시키고 정상포대(A)는 평판(200)으로 이동시킨다.
본원발명은 상기 포대가 지면을 향에 낙하하기 전 불량포대(A')를 불량감지센서(2)를 통해 감지하고 감지 후 그 포대가 낙하되는 과정에 선별하는 것이다.
다음은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두루마리형태의 포대 원단을 전(前)단계에서 절단하고 봉재를 마친 완성된 포대(A)가 컨베이어벨트(20) 위에서 이동 후 컨베이어벨트(20) 끝단에서 감지센서(1)에 의해 감지되면 정상포대로 판단한다.
그리고 불량감지센서(2)에 의해 감지되면 불량포대로 판단한다.
상기 감지센서(1)는 발광부(1')와 수광부(1")가 있어 발광부(1')에서 발광한 신호가 수광부(1")로 입력되지 않고 차단되는 경우 그 신호를 제어부가 읽어들여 제어부를 통해 낙하하는 포대를 포대넘기는수단(30)을 이용하여 평판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불량감지센서(2)는 포대에 표시한 금속판을 자성을 이용한 센서로서 가까이 접근하는 금속성 물체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포대에서 연장된 라벨(B')을 부착하여 라벨이 불량감지센서(2)의 발광부(2')와 수광부(2") 사이를 지나가면 이를 감지하여 불량포대임을 선별할 수 있다.
이 발광부와 수광부로 이루어진 기술은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번호 특0178170에 설명되어 있다.
실시, 정상포대가 컨베이어벨트(20) 끝단을 지나 지면으로 낙하하기 전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포대(A) 선단이 컨베이어벨트(20) 끝단(20')에 지나는 지점에서 일시적으로 수평을 유지한다. 이때가 포대 선단이 감지센서(1)의 발광부(1')와 수광부(1")사이에 위치된다. 그 후 포대가 낙하하는 과정에 포대넘기는수단(30)에
의해 평판(200)으로 이동한다.
상기 포대넘기는수단(30)의 구동방법은 상기 구성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정상포대(A)가 평판(200)으로 적층되는 도중 불량이 표시된 불량포대(A')가 컨베이어벨트(20) 끝단을 지나 지면으로 낙하하기 전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포대(A) 선단이 컨베이어벨트(20) 끝단(20')에 지나는 지점에서 일시적으로 수평을 유지한다. 이때 불량포대에 표시한 라벨(B')이 불량감지센서(2)의 발광부(2')와 수광부(2")사이를 지나게 된다. 이때
포대넘기는수단(30)은 수직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포대넘기는수단(30) 하단에 있는 받침대(80)가 낙하하는 포대의 하단을 받치지 못하도록 받침대(80)를 다른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처럼 받침대(80)를 다른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포대는 지면으로 낙하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불량포대(A')를 선별한다.
그 방법으로는 실린더(81)의 실린더로드(82)를 축소시켜 상기 실린더로드(82)와 연결된 받침대(80)를 상기 복수의 수직봉(70) 하단에서 이탈시켜 불량포대(A')가 지면으로 낙하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다음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받침대(80)는 복수의 수직봉(70) 하단 사이사이를 지나 전방으로 돌출되어 낙하하는 포대 하단을 받침하는 복수의 받침부(80)와 상기 받침부 후방은 상기 복수의 받침대(80) 후방을 서로 연결한 연결부(84)와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복수의 수직봉(70)을 회동시키는 회동축(40)과 일체되개 연결된 제2실린더(81)의 제2로드(82)와 연결된 구성이다.
상기 구성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제2실린더(81)의 제2로드(82)를 축소하면 복수의 받침대(80)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낙하하는 포대를 떠받칠 수 없고 상기 제2로드(82)를 신장하면 복수의 받침대(80)가 전방으로 돌출되므로 낙하하는 포대를 떠받칠 수 있다.
따라서 불량포대(A')인 상기 제2로드(82)를 축소하고 정상포대(A)인 경우 떠 받침과 동시에 수직봉(70)을 회전시켜 정상포대(A)를 평판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다음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회동축(40)의 길이방향으로 회동로울러(110)의 길이방향 양단을 지지틀(10) 양단에 형성한 제1힌지공(111)에 회동하도록 지지하고
상기 회동로울러(110) 일측에 상기 회동로울러(110)를 정회전 내지는 역회전시키도록 고속회전모터(112)의 구동부와 연결하며
상기 회동축(40)에 복수의 수직봉(70)을 수직으로 세워 지지하되 상기 회동축(40)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수직봉(70)을 서로 일정간격 이격시켜 지지하며
상기 지지틀(10)에 지지되되 상기 컨베이어벨트(20)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20)에서 이송되는 불량표시부(B )를 감시하는 불량감지센서(2)가 제어부와 연동된 상태에서
상기 포대(A)가 상기 컨베이어벨트(20)를 통해 상기 포대넘기는수단(30) 방향으로 이송되어 가는 도중 감지센서(1)에 의해 감지되며 포대(A)가 상기 컨베이어벨트(20)를 지나 수직으로 세워진 상기 복수의 수직봉(70)을 향해 수직으로 낙하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수직으로 낙하하는 포대(A)의 하단 길이방향을 회전로울러(110)의 길이방향으로 받으면서 동시에 상기 감지센서(1)와 연동되는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액추에이터(60)의 로드(61)를 연장시켜
상기 로드(61)와 연결된 레버(50) 상단이 상기 회동축(40)를 중심으로하여 회전하면 상기 회동축(40)에 연결된 상기 복수의 수직봉(70)이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면서 상기 낙하하는 포대를 전방으로 넘긴 다음 원위치로 되돌아오도록 하고
여기서 수직봉(70)의 상단이 회동축(40)을 중심축으로 하여 전방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할 경우 회전로울러(110) 또한 회전하여 포대 하단을 전방(평판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는 회전로울러(110)와 회동축(40) 사이에 포대(A) 하단이 끼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불량포대(A')가 상기 컨베이어벨트(20)를 통해 상기 포대넘기는수단(30) 방향으로 이송되어 가는 도중 상기 불량감지센서(2)에 감지되면 불량포대(A')가 상기 컨베이어벨트(20)를 지나 수직으로 세워진 상기 복수의 수직봉(70)을 향해 수직으로 낙하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고속회전모터()를 통해 회동로울러(110)를 회전시켜 낙하하는 포대(A)의 하단을
상기 회동축(40)에 헛돌도록 끼워진 로울러(41)와 상기 회동로울러(110) 사이로 유도하여 상기 회동로울러(110)의 회전력으로 지면으로 신속하게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불량포대(A)가 감지되면 고속회전모터()를 통해 회동로울러(110)를 고속으로 회동하면 불량포대는 상기 회동축(40)에 헛돌도록 끼워진 로울러(41)와 상기 회동로울러(110) 사이에 포대가 끼워진 상태가 되므로 포대는 신속하게 지면으로 배출된다.
여기서 참고, 포대는 가벼워 자중에 의해서 낙하하는 경우 느려 생산성이 떨어진다.
생산성이 떨어지면 가격경쟁력이 없어 현재의 중국산 포대에 밀려(가격경쟁력이 없어 시장에서 퇴출됨) 시장성이 없다.
이를 감안하여 불량포대를 신속하게 선별시켜 생산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다음 구성은 다음과 같다.
상기 회동로울러(11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돌기(110')를 형성하여 낙하하는 포대의 하단이 회전로울러()의 회전방향으로 끌어가는 구성이다.
이처럼 돌기를 형성함으로서 정상포대(A)나 불량포대(A') 하단이 회전로울러()의 원주연에서 미끄러지지 않는 장점이 있다.
상기 감지센서와 불량포대감지센서의 발광부는 수광부에 레이저를 송신하도록 서로 마주보고 있다.
상기 발광부와 수광부의 신호에 따라 주 제어시스템(미도시)이 그 값을 읽어들여 미리 설정한 데이터에 의해 고속모터(112)와, 액추에이터(60)와, 실린더(81)를 제어한다.
1 : 감지센서 2 : 불량감지센서
10 : 지지틀 11 : 힌지공
20 : 컨베이어벨트 21 : 압박로울러'
30 : 포대넘기는수단 40 : 회동축
50 : 레버 51 : 상단
60 : 액추에이터 61 : 로드
62 : 힌지핀 63 : 힌지축
70 : 수직봉 80 : 받침대
81 : 실린더 82 : 실린더로드
200: 평판 A : 포대
A': 불량포대

Claims (3)

  1. 지지틀(10) 상단에 컨베이어벨트(20)와; 상기 컨베이어벨트(20) 상단에 상기 컨베이어벨트(20)에 의해 이송되어가는 포대(A)의 평면을 눌러(압박)주는 압박로울러(21)와; 상기 컨베이어벨트(20) 끝단 하단의 지지틀(10)에 상기 컨베이어벨트(20)에서 지면으로 낙하하는 포대의 저면(이면에 해당)이 평면으로 향하도록 책을 넘기듯이 포대를 별도의 평판(200)으로 넘기는 포대넘기는수단(30)을 포함한 것에 있어서,

    상기 포대넘기는수단(30)은 상기 지지틀(10)의 하단 폭방향 양단에 고정한 힌지공(11)에 회동가능하게 길게 수평으로 위치되어 지지된 회동축(40)과,

    상기 회동축(40) 일측에 상기 회동축(40)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레버(50)를 연결하고,
    상기 레버(50)의 상단(51)은 상기 레버(50)를 상기 회동축(40)을 중심으로 하여 소정각도 회동시키는 액추에이터(60)의 로드(61) 끝단과 힌지핀(62)으로 연결되고,

    상기 로드(61)를 축소시키거나 연장시키는 액추에이터(60)는 힌지축(63)에
    의해 지지틀(10)에 연결되고

    상기 회동축(40)에 복수의 수직봉(70)을 수직으로 세워 지지하되 상기 회동축(40)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수직봉(70)을 서로 일정간격 이격시켜 지지하며

    상기 복수의 수직봉(70) 하단에 낙하하는 포대(A)의 하단을 받쳐주는 받침대(80)를 설치하고 상기 받침대(80) 일측에 실린더(81)의 실린더로드(82)를 연결한 것과

    상기 컨베이어벨트(20) 상측에는 상기 컨베이어벨트(20)에서 이송되는 불량포대(A')를 감시하는 불량감지센서(2)가 설치되고

    상기 불량감지센서(2)는 제어부와 연동된 상태에서

    상기 포대(A)가 상기 컨베이어벨트(20)를 통해 상기 포대넘기는수단(30) 방향으로 이송되어 가는 도중 감지센서(1)에 의해 포대(A)가 감지되며 포대(A)가 상기 컨베이어벨트(20) 끝단을 지나 수직으로 세워진 상기 복수의 수직봉(70)을 향해 수직으로 낙하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수직으로 낙하하는 포대(A)의 하단을 받침대(80)로 받으면서 동시에 컨베이어벨트(20) 상측에 설치된 감지센서(1)와 연동되는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액추에이터(60)의 로드(61)를 연장시켜
    상기 로드(61)와 연결된 레버(50) 상단이 상기 회동축(40)을 중심으로하여 회전하면 상기 회동축(40)에 연결된 상기 복수의 수직봉(70)이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면서 상기 낙하하는 정상포대(A)를 전방으로 넘긴 다음 원위치로 되돌아오도록 하고

    상기 불량포대(A')가 상기 컨베이어벨트(20)를 통해 상기 포대넘기는수단(30) 방향으로 이송되어 가는 도중 상기 불량감지센서(2)에 감지되면 불량포대(A')가 상기 컨베이어벨트(20)를 지나 수직으로 세워진 상기 복수의 수직봉(70)을 향해 수직으로 낙하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실린더(81)의 실린더로드(82)를 축소시켜 상기 실린더로드(82)와 연결된 받침대(80)를 상기 복수의 수직봉(70) 하단에서 이탈시켜 불량포대(A')가 지면으로 낙하되도록 하는 구성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 포대 자동 선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회동축(40)의 길이방향으로 회동로울러(110)의 길이방향 양단을 지지틀(10) 양단에 형성한 제1힌지공(111)에 회동하도록 지지하고

    상기 회동로울러(110) 일측에 상기 회동로울러(110)를 정회전 내지는 역회전시키도록 고속회전모터(112)의 구동부와 연결하며

    상기 회동축(40)에 복수의 수직봉(70)을 수직으로 세워 지지하되 상기 회동축(40)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수직봉(70)을 서로 일정간격 이격시켜 지지하며

    상기 지지틀(10)에 지지되되 상기 컨베이어벨트(20)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20)에서 이송되는 불량표시부(B )를 감시하는 불량감지센서(2)가 제어부와 연동된 상태에서

    상기 포대(A)가 상기 컨베이어벨트(20)를 통해 상기 포대넘기는수단(30) 방향으로 이송되어 가는 도중 감지센서(1)에 의해 감지되며 포대(A)가 상기 컨베이어벨트(20)를 지나 수직으로 세워진 상기 복수의 수직봉(70)을 향해 수직으로 낙하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수직으로 낙하하는 포대(A)의 하단 길이방향을 회전로울러(110)의 길이방향으로 받으면서 동시에 상기 감지센서(1)와 연동되는 제어부를 통해 액추에이터(60)의 로드(61)를 연장시켜
    상기 로드(61)와 연결된 레버(50) 상단이 상기 회동축(40)를 중심으로하여 회전하면 상기 회동축(40)에 연결된 상기 복수의 수직봉(70)이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면서 상기 낙하하는 포대를 전방으로 넘긴 다음 원위치로 되돌아오도록 하고

    상기 불량포대(A')가 상기 컨베이어벨트(20)를 통해 상기 포대넘기는수단(30) 방향으로 이송되어 가는 도중 상기 불량감지센서(2)에 감지되면 불량포대(A')가 상기 컨베이어벨트(20)를 지나 수직으로 세워진 상기 복수의 수직봉(70)을 향해 수직으로 낙하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고속회전모터(112)를 통해 회동로울러(110)를 회전시켜 낙하하는 포대(A)의 하단을
    상기 회동축(40)에 헛돌도록 끼워진 로울러(41)와 상기 회동로울러(110) 사이로 유도하여 상기 회동로울러(110)의 회전력으로 지면으로 신속하게 배출하는 구성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 포대 자동 선별장치 .
  3. 삭제
KR1020170156175A 2017-11-22 2017-11-22 불량 포대 자동 선별장치 KR101896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175A KR101896197B1 (ko) 2017-11-22 2017-11-22 불량 포대 자동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175A KR101896197B1 (ko) 2017-11-22 2017-11-22 불량 포대 자동 선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6197B1 true KR101896197B1 (ko) 2018-10-24

Family

ID=64132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6175A KR101896197B1 (ko) 2017-11-22 2017-11-22 불량 포대 자동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619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90217A (zh) * 2018-10-29 2019-02-01 合肥友高物联网标识设备有限公司 一种片状产品高速剔除机构
CN111167745A (zh) * 2020-03-06 2020-05-19 张家港保税区亚信汽车零部件科技有限公司 一种分料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3794B2 (ja) 1997-10-31 2000-09-04 山野井製袋株式会社 紙袋チューブ類の供給装置
KR200414377Y1 (ko) 2005-12-14 2006-04-20 주식회사 태평양 불량 포장튜브 선별장치
JP2017136559A (ja) 2016-02-04 2017-08-10 日立化成株式会社 鉛蓄電池の極板自動選別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3794B2 (ja) 1997-10-31 2000-09-04 山野井製袋株式会社 紙袋チューブ類の供給装置
KR200414377Y1 (ko) 2005-12-14 2006-04-20 주식회사 태평양 불량 포장튜브 선별장치
JP2017136559A (ja) 2016-02-04 2017-08-10 日立化成株式会社 鉛蓄電池の極板自動選別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90217A (zh) * 2018-10-29 2019-02-01 合肥友高物联网标识设备有限公司 一种片状产品高速剔除机构
CN111167745A (zh) * 2020-03-06 2020-05-19 张家港保税区亚信汽车零部件科技有限公司 一种分料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6197B1 (ko) 불량 포대 자동 선별장치
KR101197418B1 (ko) 오픈박스의 투명필름 자동 포장장치
US5301889A (en) Web dispensing apparatus
JPH0126985B2 (ko)
US5915555A (en) Packaging material, apparatus and method
EP0823624B1 (en) An apparatus for measuring and correcting uniformity of tyres
CN110541250B (zh) 一种编织袋切断、缝制一体装置
CN212093280U (zh) 一种基于视觉的球形水果自动分级机
JP3443277B2 (ja) 農作物の選別装置
CN210618608U (zh) 包装袋堆码装置
US10040583B2 (en) Carpet wrapp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same
CN211217575U (zh) 一种带有分料箱结构的果实优选设备
KR200436315Y1 (ko) 농산물 포대 제조 장치
CN110732492A (zh) 一种带有分料箱结构的果实优选设备
KR20190047747A (ko) Rfid태그 검수시스템
US4555102A (en) Apparatus for separating stacks of cloth
JP3315876B2 (ja) 農作物選別装置
KR102621177B1 (ko) 원단 재단 장치
CN218880421U (zh) 裁切自动分拣机
EP057371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iling a web of interconnected bags and dispensing these bags
CN114476260B (zh) 一种基于视觉的服装标识判别与剔除装置
JPH01189380A (ja) 青果物の選別装置
CN106742427B (zh) 一种用于2,6-二叔丁基-4-甲基苯酚的全自动包装码垛装置
AU648671B2 (en) Packaging material, apparatus and method
JPH06238331A (ja) コイル材の端末の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