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1177B1 - 원단 재단 장치 - Google Patents

원단 재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1177B1
KR102621177B1 KR1020220076710A KR20220076710A KR102621177B1 KR 102621177 B1 KR102621177 B1 KR 102621177B1 KR 1020220076710 A KR1020220076710 A KR 1020220076710A KR 20220076710 A KR20220076710 A KR 20220076710A KR 102621177 B1 KR102621177 B1 KR 102621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cutting
unit
cutter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6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40000137A (ko
Inventor
김훈철
Original Assignee
김훈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훈철 filed Critical 김훈철
Priority to KR1020220076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1177B1/ko
Publication of KR20240000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0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1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11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7/00Apparatus or processes for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specially adapted for the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of textile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41J3/4075Tape printers; Label pri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08Label fee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26Devices for applying lab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40Controls; Safety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3/00Inspecting textile materials
    • D06H3/08Inspecting textile materials by photo-electric or television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7/00Apparatus or processes for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specially adapted for the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of textile materials
    • D06H7/02Apparatus or processes for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specially adapted for the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of textile materials transverse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7/00Apparatus or processes for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specially adapted for the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of textile materials
    • D06H7/04Apparatus or processes for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specially adapted for the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of textile materials longitudinal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36Textiles
    • G01N33/367Fabric or woven text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단 재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모습에 따라, 지지프레임 상에 지지되고, 롤러에 감긴 원단을 제공하는 원단제공 유닛; 원단제공 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원단을 설정된 길이에 따라 가로로 절단하는 가로 절단기 및 원단을 설정된 폭에 따라 세로로 절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로 절단기를 포함하는 절단 유닛; 가로 절단기에 의한 절단이 수행되도록 가로 절단기를 설정에 따라 이송시키는 가로절단 이송기 및 세로 절단기를 각기 설정에 따른 위치로 이송시켜 정렬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로 정렬기를 포함하는 이송정렬 유닛: 원단제공 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원단을 감지하는 센서 유닛; 및 센서 유닛의 감지 결과 및 설정에 따라 원단제공 유닛, 절단 유닛 및 이송정렬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센서 유닛은 원단의 폭 일측 시작위치를 감지하는 기준위치 감지센서 및 원단제공 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원단의 길이를 감지하는 길이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재단 장치가 제안된다.

Description

원단 재단 장치{APPARATUS FOR CUTTING RAW MATERIAL}
본 발명은 원단 재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원단을 설정에 따른 길이 및 폭으로 재단하는 원단 재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설공사용 안전망이나 가림막 또는 타프 혹은 방수포 등은 원단을 설정된 크기로 절단가공하여 제작하고 있다.
이때, 원단을 원하는 길이 및 폭으로 절단하기 위해서는 2방향 재단이 가능한 원단 재단 장치가 필요하다.
종래에는 원단을 절단 가공함에 있어서, 등록특허 제10-222059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길이와 폭 방향 모두를 절단하고 있으나, 길이와 폭방향 모두를 원하는 사이즈로 정밀하게 재단하는 것은 어려웠다.
또한, 재단되는 원단이 걸리는 등의 문제가 생기는 경우 신속한 해결을 도모하기가 어려웠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20591호 (2021년 2월 22일 등록)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고 원단을 설정에 따른 길이 및 폭으로 정확하게 재단할 수 있는 원단 재단 장치를 구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원단의 길이를 감지하는 센서 외에 원단의 일측의 시작위치를 감지하여 기준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함으로써 정확한 크기의 재단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원단 재단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모습에 따라, 지지프레임 상에 지지되고, 롤러에 감긴 원단을 제공하는 원단제공 유닛; 원단제공 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원단을 설정된 길이에 따라 가로로 절단하는 가로 절단기 및 원단을 설정된 폭에 따라 세로로 절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로 절단기를 포함하는 절단 유닛; 가로 절단기에 의한 절단이 수행되도록 가로 절단기를 설정에 따라 이송시키는 가로절단 이송기 및 세로 절단기를 각기 설정에 따른 위치로 이송시켜 정렬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로 정렬기를 포함하는 이송정렬 유닛: 원단제공 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원단을 감지하는 센서 유닛; 및 센서 유닛의 감지 결과 및 설정에 따라 원단제공 유닛, 절단 유닛 및 이송정렬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센서 유닛은 원단의 폭 일측 시작위치를 감지하는 기준위치 감지센서 및 원단제공 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원단의 길이를 감지하는 길이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재단 장치가 제안된다.
하나의 예에서, 가로 및 세로 절단기 각각은 지지브라켓, 지지브라켓 상에 지지되며 절단용 모터에 의해 동작하는 회전 커터 및 회전 커터를 원단의 재단면에 수직하게 재단가공 위치로 이동시키는 절단기 푸셔를 포함하고, 가로 절단기는 원단의 폭 밖의 재단가공 위치에서 가로절단 이송기에 의해 가로방향으로 이송되며 원단을 절단하고, 세로 절단기는 가로 절단기보다 하측에 배치되며 재단가공 위치에 정지 상태에서 제공되는 원단을 절단하고, 가로절단 이송기는 가로이송 모터, 가로이송 모터 측에 결합되어 지지브라켓에 의해 고정된 가로 절단기를 이송시키는 가로이송부재 및 가로이송부재에 의한 가로 절단기의 이송을 지지하는 가로이송 지지대를 포함하고, 세로 정렬기는 지지브라켓에 의해 고정된 세로 절단기를 세로 절단기를 설정된 위치로 정렬이송시키는 가동자 및 가동자에 의한 세로 절단기의 정렬이송을 지지하는 정렬이송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또 하나의 예에서, 가로 및 세로 절단기 각각은 회전 커터가 일부 삽입되는 커팅홀을 구비하고 절단기 푸셔에 의한 재단가공 위치로 이동 후 원단이 커팅홀 전면방향에 배치되어 회전 커터에 의한 재단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커팅지지대를 더 포함하고, 가로절단 이송기 및 세로 정렬기 각각은 절단기 각각의 지지브라켓에 일단 측이 결합되고 각 절단기에 연결되는 배선이 각 절단기의 이송에 따라 정리된 상태로 뒤따르도록 하는 배선이송부재를 더 포함하고, 가로이송부재는 타이밍벨트 또는 체인 구조이고, 가동자는 리니어모터의 가동자이고 정렬이송 지지대는 리니어모터의 고정자이고, 배선이송부재는 무동력 체인구조일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센서 유닛은 제공되는 원단의 걸림 내지 쌓임을 감지하는 걸림 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준위치 감지센서는 광센서이고, 길이 감지센서는 원단의 제공에 따라 회전되는 감지롤러의 회전에 따른 길이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또 하나의 예에서, 원단 재단 장치는, 원단제공 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원단을 지지하며 텐션을 유지시키는 원단지지 유닛을 더 포함하고, 원단지지 유닛은 제공되는 원단을 회전하며 지지하는 지지롤러 및 제공되는 원단을 푸싱하며 텐션을 유지시키는 푸싱 지지바를 포함하고, 푸싱 지지바는 텐션을 유지시켜 푸싱 지지바 상측에서 가로 절단기에 의한 절단이 용이하도록 하고, 걸림 감지센서는 가로 절단기에 의해 절단 후 원단이 낙하되며 제자리로 복귀한 푸싱 지지바에 걸리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이때 하나의 예에서, 원단 재단 장치는, 원단을 감고 있는 원단 롤러를 원단제공 유닛 상에 지지되도록 옮기는 크레인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원단지지 유닛은 절단 유닛에 의해 재단된 제품이 주름지게 포개지도록 재단된 제품을 지지하며 낙하 위치를 왕복시키는 배출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원단제공 유닛은 원단을 감고 있는 원단 롤러의 중심축으로 양측에서 삽입되고 원단 롤러와 함께 회전하는 롤러 지지대, 롤러 지지대의 일측으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롤러 모터, 지지프레임 상에 지지되며 양측의 롤러 지지대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 지지대 및 원단의 폭에 따른 설정에 따라 일측의 회전 지지대를 지지프레임 상에서 선형 이동시키는 선형이동 엑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에 따르면, 제어유닛은 제어를 위한 설정 내지 설정값을 입력받는 입력패널을 포함하고, 입력패널은 터치패널 및 작동 스위치를 포함하고, 작동 스위치는 자동/수동 운전모드 선택스위치, 자동운전 시작/정지 스위치, 리셋 스위치 및 비상정지 스위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터치패널은 재단 길이 및 폭 설정값 그리고 원단제공 유닛의 롤러 조작설정을 입력받고, 롤러 조작설정은 원단풀기 속도 및 원단감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설정일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에서, 원단 재단 장치는, 제공되는 원단 상에 라벨을 부착시키는 라벨 유닛을 더 포함하고, 라벳 유닛은 라벨지를 제공하는 라벨지 제공기, 라벨지에 설정에 따른 내용을 인쇄하는 라벨 프린터 및 인쇄된 라벨지를 원단 상에 부착시키는 라벨 부착기를 포함하고, 이송정렬 유닛은 라벨 부착기를 설정에 따른 위치로 이송시키는 라벨 이송기를 더 포함하고, 제어유닛은 라벨 표시값을 입력받아 라벨 프린터의 인쇄를 제어하고 라벨 부착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원단은 안전망 제작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원단의 길이를 감지하는 센서 외에 원단의 일측의 시작위치를 감지하여 기준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함으로써 정확한 크기의 재단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직접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다양한 구성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원단 재단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원단 재단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원단 재단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원단 재단 장치의 정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내지 5c 각각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원단 재단 장치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내지 6b 각각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원단 재단 장치의 제어유닛의 입력패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본 설명에 있어서, 동일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고,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이해를 도모하기 위하여 부차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또는 배치 관계에서 '직접'이라는 한정이 없는 이상, '직접 연결, 결합 또는 배치'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그들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됨으로써 연결, 결합 또는 배치되는 형태로도 존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비록 단수적 표현이 기재되어 있을지라도, 발명의 개념에 반하거나 명백히 다르거나 모순되게 해석되지 않는 이상 복수의 구성 전체를 대표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는', '갖는', '구비하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등의 기재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그들의 조합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참조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로서, 모양, 크기, 두께 등은 각 구성들의 기술적 특징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되거나 축소되게 표현된 것일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하나의 모습에 따른 원단 재단 장치를 도 1 내지 6b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원단 재단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원단 재단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원단 재단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원단 재단 장치의 정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내지 5c 각각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원단 재단 장치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내지 6b 각각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원단 재단 장치의 제어유닛의 입력패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 5c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 따른 원단 재단 장치는 원단제공 유닛(10), 절단 유닛(20), 이송정렬 유닛(30), 센서 유닛(40) 및 제어 유닛(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 4 및 5a를 참조하면 또 하나의 예에서, 원단 재단 장치는 원단지지 유닛(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 내지 4를 참조하면 또 하나의 예에서, 원단 재단 장치는 라벨 유닛(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하나의 예에서, 원단 재단 장치는 크레인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 1 내지 4 및 5c를 참조하면, 원단제공 유닛(10)은 지지프레임(100) 상에 지지되고, 롤러(11)에 감긴 원단(M)을 제공한다. 도 1 ~ 5b를 참조하면, 절단 유닛(20)은 원단제공 유닛(10)으로부터 제공되는 원단(M)을 설정된 길이에 따라 가로로 절단하는 가로 절단기(21) 및 원단(M)을 설정된 폭에 따라 세로로 절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로 절단기(23)를 포함한다. 도 1 ~ 5b를 참조하면, 이송정렬 유닛(30)은 가로 절단기(21)에 의한 절단이 수행되도록 가로 절단기(21)를 설정에 따라 이송시키는 가로절단 이송기(31) 및 세로 절단기(23)를 각기 설정에 따른 위치로 이송시켜 정렬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로 정렬기(33)를 포함한다. 도 1 ~ 5b를 참조하면, 센서 유닛(40)은 원단제공 유닛(10)으로부터 제공되는 원단(M)을 감지한다. 그리고 도 1 내지 2를 참조하면, 제어 유닛(50)은 센서 유닛(40)의 감지 결과 및 설정에 따라 원단제공 유닛(10), 절단 유닛(20) 및 이송정렬 유닛(30)을 제어한다.
도 1 ~ 5b를 참조하면, 이때, 센서 유닛(40)은 원단(M)의 폭 일측 시작위치를 감지하는 기준위치 감지센서(41) 및 원단제공 유닛(10)으로부터 제공되는 원단(M)의 길이를 감지하는 길이 감지센서(43)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원단(M)은 안전망 제작, 가림막 제작, 타프 제작 등에 사용되는 원단일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예에서, 원단(M)은 안전망 제작용 재료일 수 있다.
각 구성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이때, 원단제공 유닛(10), 절단 유닛(20), 이송정렬 유닛(30), 센서 유닛(40) 및 제어 유닛(50)을 먼저 살펴보고, 다음으로 원단지지 유닛(60), 라벨 유닛(70) 및 크레인 유닛을 살펴볼 것이다.
원단제공 유닛(10)
도 1 내지 4 및 5c를 참조하면, 원단제공 유닛(10)은 지지프레임(100) 상에 지지된다. 원단제공 유닛(10)은 롤러(원단 롤러)(11)에 감긴 원단(M)을 제공한다. 원단제공 유닛(10)은 원단(M)이 감겨있는 원단 롤러(11)를 회전시키며 원단(M)을 제공한다. 예컨대, 원단(M)이 감겨있는 원단 롤러(11)는 크레인 유닛을 통해 원단제공 유닛(10)으로 옮겨질 수 있다.
도 3, 4 및 5c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원단제공 유닛(10)은 롤러 지지대(12), 롤러 모터(13), 회전 지지대(14) 및 선형이동 엑츄에이터(15)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 지지대(12)는 원단(M)을 감고 있는 원단 롤러(11)의 중심축으로 양측에서 삽입되고 원단 롤러(11)와 함께 회전한다. 예컨대, 원단(M)이 감겨있는 원단 롤러(11)는 크레인 유닛을 통해 원단제공 유닛(10) 측으로 옮겨진 후 크레인 유닛(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부양된 상태에서 원단 롤러(11)의 중심축으로 양측에서 롤러 지지대(12)를 삽입시킬 수 있다. 롤러 모터(13)는 롤러 지지대(12)의 일측으로 회전력을 제공한다. 또한, 회전 지지대(14)는 지지프레임(100) 상에 지지되며 양측의 롤러 지지대(12)의 회전을 지지한다. 그리고 선형이동 엑츄에이터(15)는 원단(M)의 폭에 따른 설정에 따라 일측의 회전 지지대(14)를 지지프레임(100) 상에서 선형 이동시킬 수 있다. 선형이동 엑츄에이터(15)가 구비됨에 따라 다양한 폭의 원단(M)을 재단 가공할 수 있다. 예컨대, 선형이동 엑츄에이터(15)에 의해 지지프레임(100) 상에서 선형 이동되는 회전 지지대(14) 측 방향에 기준위치 감지센서(41)가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선형이동 엑츄에이터(15)는 리드스크류 엑츄에이터일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절단 유닛(20)
도 1 ~ 5b를 참조하면, 절단 유닛(20)은 가로 절단기(21)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로 절단기(23)를 포함한다. 이때, 가로 절단기(21)는 원단제공 유닛(10)으로부터 제공되는 원단(M)을 설정된 길이에 따라 가로로 절단한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로 절단기(23)는 원단(M)을 설정된 폭에 따라 세로로 절단한다.
도 5a 내지 5b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가로 및 세로 절단기(21)(23) 각각은 지지브라켓(21a, 23a), 회전 커터(21c, 23c) 및 절단기 푸셔(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지지브라켓(21a, 23a)은 이송정렬 유닛(30)의 이동체에 지지될 수 있다. 회전 커터(21c, 23c)는 지지브라켓(21a, 23a) 상에 지지되며 절단용 모터(21b, 23b)에 의해 동작할 수 있다. 그리고 절단기 푸셔(도시되지 않음)는 회전 커터(21c, 23c)를 원단(M)의 재단면에 수직하게 재단가공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가로 절단기(21)는 원단(M)의 폭 밖의 재단가공 위치에서 가로절단 이송기(31)에 의해 가로방향으로 이송되며 원단(M)을 절단할 수 있다. 게다가, 세로 절단기(23)는 가로 절단기(21)보다 하측에 배치되며 재단가공 위치에 정지 상태에서 제공되는 원단(M)을 절단할 수 있다.
도 5a 내지 5b를 참조하면, 또 하나의 예에서, 가로 및 세로 절단기(21)(23) 각각은 커팅지지대(23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a 및 5b에서 가로 절단기(21)의 커팅지지대는 도시되지 않고 있으나, 세로 절단기(23)의 커팅지지대(23e)를 참조하여 이해할 수 있다. 커팅지지대(23e)는 회전 커터(21c, 23c)가 일부 삽입되는 커팅홀을 구비한다. 커팅지지대(23e)는 회전 커터(21c, 23c)와 함게 절단기 푸셔(도시되지 않음)에 의한 재단가공 위치로 이동된다. 재단가공 위치로 이동 후 제공되는 원단(M)이 커팅홀 전면방향에 배치되어 회전 커터(21c, 23c)에 의한 재단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송정렬 유닛(30)
도 1 ~ 5b를 참조하면, 이송정렬 유닛(30)은 가로절단 이송기(31)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로 정렬기(33)를 포함한다. 이때, 가로절단 이송기(31)는 가로 절단기(21)에 의한 절단이 수행되도록 가로 절단기(21)를 설정에 따라 이송시킨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로 정렬기(33)는 적어도 하나의 세로 절단기(23)를 각기 설정에 따른 위치로 이송시켜 정렬시킨다.
도 3, 4, 5a 및 5b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가로절단 이송기(31)는 가로이송 모터(31a), 가로이송부재(31b) 및 가로이송 지지대(31c)를 포함할 수 있다. 가로이송 모터(31a)는 가로이송부재(31b)의 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한다. 가로이송부재(31b)는 가로이송 모터(31a) 측에 결합되어 지지브라켓(21a)에 의해 고정된 가로 절단기(21)를 이송시킬 수 있다. 가로이송부재(31b) 상에 가로 절단기(21)의 지지브라켓(21a)이 고정되게 설치되어, 가로이송 모터(31a)의 회전에 따라 가로이송부재(31b)가 회전하며 가로 절단기(21)를 설정 위치로 이송시킬 수 있다. 예컨대, 가로이송부재(31b)는 타이밍벨트, 체인 또는 선형 엑츄에이터 등일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선형 엑츄에이터는 리드스크류 엑츄에이터 등일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가로이송부재(31b)는 타이밍벨트 또는 체인 구조일 수 있다. 또한, 가로이송 지지대(31c)는 가로이송부재(31b)에 의한 가로 절단기(21)의 이송을 지지할 수 있다. 가로이송부재(31b) 상에 고정된 가로 절단기(21)의 무게로 인하여 가로이송부재(31b)가 처지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으므로, 가로이송 지지대(31c)를 구비하여 가로이송부재(31b)에 고정된 가로 절단기(21)의 지지브라켓(21a)을 지지하며 가로이송부재(31b)에 의한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5b를 참조하면, 세로 정렬기(33)는 가동자(33a) 및 정렬이송 지지대(33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가동자(33a)는 지지브라켓(23a)에 의해 고정된 세로 절단기(23)를 세로 절단기(23)를 설정된 위치로 정렬이송시킬 수 있다. 예컨대, 가동자(33a)는 리니어 모터의 캐리지(Carriage)일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동자(33a)로 예컨대 리드스크류 엑츄에이터 등과 같은 선형 엑츄에이터가 사용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정밀한 정렬제어를 위해 가동자(33a)는 리니어 모터 방식의 캐리지일 수 있다. 정렬이송 지지대(33b)는 가동자(33a)에 의한 세로 절단기(23)의 정렬이송을 지지할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예에서, 가동자(33a)는 리니어모터의 가동자(33a)이고 정렬이송 지지대(33b)는 리니어모터의 고정자일 수 있다.
도 3, 4 및 5b를 참조하면, 또 하나의 예에서, 가로절단 이송기(31) 및 세로 정렬기(33) 각각은 배선이송부재(31d, 33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선이송부재(31d, 33d)는 절단기 각각의 지지브라켓(21a, 23a)에 일단 측이 결합되고 각 절단기(21, 23)에 연결되는 배선이 각 절단기(21, 23)의 이송에 따라 정리된 상태로 뒤따르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배선이송부재(31d, 33d)는 무동력 체인구조일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예에서, 이송정렬 유닛(30)은 라벨 부착기(도시되지 않음)를 설정에 따른 위치로 이송시키는 라벨 이송기(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라벨 이송기(35)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가로절단 이송기(31)와 마찬가지로 라벨이송 모터, 라벨이송부재 및 라벨이송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라벨이송 모터는 예컨대 타이밍벨트 또는 체인 등과 같은 라벨이송부재의 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한다. 라벨이송부재는 라벨이송 모터 측에 결합되어 지지브라켓(21a, 23a)에 의해 고정된 라벨부착기를 이송시킬 수 있다. 라벨이송 지지대는 라벨이송부재에 의한 라벨부착기의 이송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라벨 이송기(35)는 가로절단 이송기(31)와 마찬가지로 배선이송부재(35d)를 더 구비하여 라벨 부착기에 연결되는 배선이 라벨 부착기의 이송에 따라 정리된 상태로 뒤따르도록 할 수 있다.
센서 유닛(40)
도 1 ~ 5b를 참조하면, 센서 유닛(40)은 원단제공 유닛(10)으로부터 제공되는 원단(M)을 감지한다. 센서 유닛(40)은 기준위치 감지센서(41) 및 길이 감지센서(4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기준위치 감지센서(41)는 원단(M)의 폭 일측 시작위치를 감지한다. 또한, 길이 감지센서(43)는 원단제공 유닛(10)으로부터 제공되는 원단(M)의 길이를 감지한다.
하나의 예에서, 기준위치 감지센서(41)는 광센서일 수 있다. 예컨대, 광센서의 광조사부가 소정의 폭 범위로 빛을 조사시키고 수광부에서 원단 장애물없이 수광되는 폭 범위로부터 원단(M)의 폭 일측 시작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길이 감지센서(43)는 원단(M)의 제공에 따라 회전되는 감지롤러의 회전에 따른 길이를 감지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센서 유닛(40)은 걸림 감지센서(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걸림 감지센서(45)는 제공되는 원단(M)의 걸림 내지 쌓임을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예에서, 걸림 감지센서(45)는 가로 절단기(21)에 의해 절단 후 원단(M)이 낙하되며 제자리로 복귀한 푸싱 지지바(63)에 걸리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걸림 감지센서(45)는 광센서일 수 있다.
제어 유닛(50)
도 1 내지 2를 참조하면, 제어 유닛(50)은 센서 유닛(40)의 감지 결과 및 설정에 따라 원단제공 유닛(10), 절단 유닛(20) 및 이송정렬 유닛(30)을 제어한다.
도 2 및 6a를 참조하여 하나의 예에 따르면, 제어유닛(50)은 제어를 위한 설정 내지 설정값을 입력받는 입력패널(5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입력패널(51)은 터치패널(51a) 및 작동 스위치(51b)를 포함할 수 있다. 작동 스위치(51b)는 자동/수동 운전모드 선택스위치(511), 자동운전 시작/정지 스위치(512a, 512b), 리셋 스위치(513) 및 비상정지 스위치(514)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자동/수동 운전모드 선택스위치(511)는 운전모드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선택하는 스위치이다. 자동운전 시작/정지 스위치(512a, 512b)는 자동운전을 시작시키는 자동운전 시작 스위치(512a)이거나 자동운전을 정지시키는 자동운전 정지 스위치(512b)이거나 자동운전 시작 스위치(512a) 및 자동운전 정지 스위치(512b) 2개일 수 있다. 만일 자동운전 정지 스위치(512b)가 작동하는 경우 현재 자동운전으로 작업 중인 재단과정은 그대로 진행하여 종료된 후 자동운전이 정지될 수 있다. 비상정지 스위치(514)는 비상 시 즉시 장치 가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예컨대, 작동 스위치(51b)는 부저(51c)의 알림음을 출력을 정지시키는 부저 정지 스위치(515)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터치패널(51a)은 재단 길이 및 폭 설정값 그리고 원단제공 유닛(10)의 롤러 조작설정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롤러 조작설정(505)은 원단풀기 속도 및 원단감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설정일 수 있다. 예컨대, 원단풀기 속도는 고속, 중속, 저속 등의 설정이거나 속도값의 설정일 수 있다. 예컨대, 걸림 감지센서(45)에 의해 예컨대 푸싱 지지바(63) 상에 원단(M)이 걸려 쌓인 것이 감지된 경우 자동으로 작동이 중단되며 예컨대 부저(51c) 및/또는 알림창(506) 등으로 알림이 표시되고, 이때 수동 조작설정으로 원단감기가 입력됨에 따라 원단(M)을 원단 롤러(11)로 되감을 수 있다. 예컨대, 터치패널(51a)은 생산데이터 표시(502), 조작버튼의 표시(504), 화면전환 등의 설정 내지 표시(50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조작버튼의 표시(504)에는 라벨 입력을 설정할 수 있는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라벨 입력은 라벨지에 인쇄될 사항을 입력시킬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제어유닛(50)은 라벨 표시값을 입력받아 라벨 프린터(73)의 인쇄를 제어하고 라벨 부착기(도시되지 않음)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 유닛(50)의 입력패널(51), 예컨대 터치패널(51a)을 통하여 라벨 표시값이 입력될 수 있다.
원단지지 유닛(60)
도 2, 4 및 5a를 참조하면, 원단 재단 장치는 원단지지 유닛(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원단지지 유닛(60)은 원단제공 유닛(10)으로부터 제공되는 원단(M)을 지지하며 텐션을 유지시킬 수 있다. 예컨대, 원단지지 유닛(60)은 지지롤러(61) 및 푸싱 지지바(6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지지롤러(61)는 제공되는 원단(M)을 회전하며 지지할 수 있다. 푸싱 지지바(63)는 제공되는 원단(M)을 푸싱하며 텐션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이때, 푸싱 지지바(63)는 텐션을 유지시켜 푸싱 지지바(63) 상측에서 가로 절단기(21)에 의한 절단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원단지지 유닛(60)은 배출지지대(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출지지대(65)는 절단 유닛(20)에 의해 재단된 제품이 주름지게 포개지도록 재단된 제품을 지지하며 낙하 위치를 왕복시킬 수 있다.
라벨 유닛(70)
도 3 내지 4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원단 재단 장치는 제공되는 원단(M) 상에 라벨을 부착시키는 라벨 유닛(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라벳 유닛은 라벨지를 제공하는 라벨지 제공기(71), 라벨지에 설정에 따른 내용을 인쇄하는 라벨 프린터(73) 및 인쇄된 라벨지를 원단(M) 상에 부착시키는 라벨 부착기(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라벨 부착기(도시되지 않음)는 열융착에 의해 인쇄된 라벨지를 원단(M) 상에 부착시킬 수 있다.
크레인 유닛
도시되지 않았으나, 하나의 예에서, 원단 재단 장치는 크레인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크레인 유닛은 원단(M)을 감고 있는 원단 롤러(11)를 원단제공 유닛(10) 상에 지지되도록 옮길 수 있다.
예컨대 크레인 유닛은 원단 롤러(11)의 중심축에 파이프 내지 지지봉을 끼워 양측에서 바를 걸어 들어올린 후 원단롤 둘레로 바를 걸고 내린 후 파이프 내지 지지봉을 제거한 후 원단롤을 들어 올린 후 원단제공 유닛(10) 상으로 원단 롤러(11)를 옮길 수 있다. 예컨대, 원단제공 유닛(10) 상에서 크레인 유닛에 의해 원단 롤러(11)가 부양된 상태에서 롤러 지지대(12)를 원단 롤러(11)의 중심축으로 양측에서 삽입시킴으로써 원단제공 유닛(10) 상에 원단 롤러(11)가 안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에 대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이다. 또한, 전술한 구성들의 다양한 조합에 따른 실시예들이 앞선 구체적인 설명들로부터 당업자에게 자명하게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경, 대안, 균등물들을 포함하고 있다.
10: 원단제공 유닛 11: 원단 롤러
12: 롤러 지지대 13: 롤러 모터
14: 회전 지지대 15: 선형이동 액츄에이터
20: 절단 유닛 21: 가로 절단기
23: 세로 절단기 21a, 23a: 지지 브라켓
21b, 23b: 절단용 모터 21c, 23c: 회전 커터
23e: 커팅지지대 30: 이송정렬 유닛
31: 가로절단 이송기 31a: 가로이송 모터
31b: 가로이송부재 31c: 가로이송 지지대
31a, 33d, 35d: 배선이송부재 33: 세로 정렬기
33a: 가동자 33b: 정렬이송 지지대
35: 라벨 이송기 40: 센서 유닛
41: 기준위치 감지센서 43: 길이 감지센서
45: 걸림 감지센서 50: 제어 유닛
51: 입력패널 51a: 터치패널
51b: 작동 스위치 60: 원단지지 유닛
61: 지지 롤러 63: 푸싱 지지바
65: 배출지지대 70: 라벨 유닛
71: 라벨 제공기 73: 라벨 프린터
100: 지지프레임

Claims (10)

  1. 지지프레임 상에 지지되고, 롤러에 감긴 원단을 제공하는 원단제공 유닛;
    상기 원단제공 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원단을 설정된 길이에 따라 가로로 절단하는 가로 절단기 및 상기 원단을 설정된 폭에 따라 세로로 절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로 절단기를 포함하는 절단 유닛;
    상기 가로 절단기에 의한 절단이 수행되도록 상기 가로 절단기를 설정에 따라 이송시키는 가로절단 이송기 및 상기 세로 절단기를 각기 설정에 따른 위치로 이송시켜 정렬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로 정렬기를 포함하는 이송정렬 유닛:
    상기 원단제공 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원단을 감지하는 센서 유닛; 및
    상기 센서 유닛의 감지 결과 및 설정에 따라 상기 원단제공 유닛, 상기 절단 유닛 및 상기이송정렬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센서 유닛은 상기 원단의 폭 일측 시작위치를 감지하는 기준위치 감지센서 및 상기 원단제공 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원단의 길이를 감지하는 길이 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원단 재단 장치는, 제공되는 상기 원단 상에 라벨을 부착시키는 라벨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라벨 유닛은 라벨지를 제공하는 라벨지 제공기, 상기 라벨지에 설정에 따른 내용을 인쇄하는 라벨 프린터 및 인쇄된 상기 라벨지를 상기 원단 상에 부착시키는 라벨 부착기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정렬 유닛은 상기 라벨 부착기를 설정에 따른 위치로 이송시키는 라벨 이송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라벨 표시값을 입력받아 상기 라벨 프린터의 인쇄를 제어하고 상기 라벨 부착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재단 장치.
  2. 청구항 1에서,
    상기 가로 및 세로 절단기 각각은 지지브라켓, 상기 지지브라켓 상에 지지되며 절단용 모터에 의해 동작하는 회전 커터 및 상기 회전 커터를 상기 원단의 재단면에 수직하게 재단가공 위치로 이동시키는 절단기 푸셔를 포함하고,
    상기 가로 절단기는 상기 원단의 폭 밖의 상기 재단가공 위치에서 상기 가로절단 이송기에 의해 가로방향으로 이송되며 상기 원단을 절단하고,
    상기 세로 절단기는 상기 가로 절단기보다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재단가공 위치에 정지 상태에서 제공되는 상기 원단을 절단하고,
    상기 가로절단 이송기는 가로이송 모터, 상기 가로이송 모터 측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브라켓에 의해 고정된 상기 가로 절단기를 이송시키는 가로이송부재 및 상기 가로이송부재에 의한 상기 가로 절단기의 이송을 지지하는 가로이송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세로 정렬기는 상기 지지브라켓에 의해 고정된 상기 세로 절단기를 상기 세로 절단기를 설정된 위치로 정렬이송시키는 가동자 및 상기 가동자에 의한 상기 세로 절단기의 정렬이송을 지지하는 정렬이송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재단 장치.
  3. 지지프레임 상에 지지되고, 롤러에 감긴 원단을 제공하는 원단제공 유닛;
    상기 원단제공 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원단을 설정된 길이에 따라 가로로 절단하는 가로 절단기 및 상기 원단을 설정된 폭에 따라 세로로 절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로 절단기를 포함하는 절단 유닛;
    상기 가로 절단기에 의한 절단이 수행되도록 상기 가로 절단기를 설정에 따라 이송시키는 가로절단 이송기 및 상기 세로 절단기를 각기 설정에 따른 위치로 이송시켜 정렬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로 정렬기를 포함하는 이송정렬 유닛:
    상기 원단제공 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원단을 감지하는 센서 유닛; 및
    상기 센서 유닛의 감지 결과 및 설정에 따라 상기 원단제공 유닛, 상기 절단 유닛 및 상기이송정렬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센서 유닛은 상기 원단의 폭 일측 시작위치를 감지하는 기준위치 감지센서 및 상기 원단제공 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원단의 길이를 감지하는 길이 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가로 및 세로 절단기 각각은 지지브라켓, 상기 지지브라켓 상에 지지되며 절단용 모터에 의해 동작하는 회전 커터 및 상기 회전 커터를 상기 원단의 재단면에 수직하게 재단가공 위치로 이동시키는 절단기 푸셔를 포함하고,
    상기 가로 절단기는 상기 원단의 폭 밖의 상기 재단가공 위치에서 상기 가로절단 이송기에 의해 가로방향으로 이송되며 상기 원단을 절단하고,
    상기 세로 절단기는 상기 가로 절단기보다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재단가공 위치에 정지 상태에서 제공되는 상기 원단을 절단하고,
    상기 가로절단 이송기는 가로이송 모터, 상기 가로이송 모터 측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브라켓에 의해 고정된 상기 가로 절단기를 이송시키는 가로이송부재 및 상기 가로이송부재에 의한 상기 가로 절단기의 이송을 지지하는 가로이송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세로 정렬기는 상기 지지브라켓에 의해 고정된 상기 세로 절단기를 상기 세로 절단기를 설정된 위치로 정렬이송시키는 가동자 및 상기 가동자에 의한 상기 세로 절단기의 정렬이송을 지지하는 정렬이송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가로 및 세로 절단기 각각은 상기 회전 커터가 일부 삽입되는 커팅홀을 구비하고 상기 절단기 푸셔에 의한 상기 재단가공 위치로 이동 후 상기 원단이 상기 커팅홀 전면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 커터에 의한 재단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커팅지지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로절단 이송기 및 세로 정렬기 각각은 절단기 각각의 상기 지지브라켓에 일단 측이 결합되고 각 절단기에 연결되는 배선이 상기 각 절단기의 이송에 따라 정리된 상태로 뒤따르도록 하는 배선이송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로이송부재는 타이밍벨트 또는 체인 구조이고, 상기 가동자는 리니어모터의 가동자이고 상기 정렬이송 지지대는 상기 리니어모터의 고정자이고,
    상기 배선이송부재는 무동력 체인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재단 장치.
  4. 청구항 1에서,
    상기 센서 유닛은 제공되는 상기 원단의 걸림 내지 쌓임을 감지하는 걸림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준위치 감지센서는 광센서이고,
    상기 길이 감지센서는 상기 원단의 제공에 따라 회전되는 감지롤러의 회전에 따른 길이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재단 장치.
  5. 지지프레임 상에 지지되고, 롤러에 감긴 원단을 제공하는 원단제공 유닛;
    상기 원단제공 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원단을 설정된 길이에 따라 가로로 절단하는 가로 절단기 및 상기 원단을 설정된 폭에 따라 세로로 절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로 절단기를 포함하는 절단 유닛;
    상기 가로 절단기에 의한 절단이 수행되도록 상기 가로 절단기를 설정에 따라 이송시키는 가로절단 이송기 및 상기 세로 절단기를 각기 설정에 따른 위치로 이송시켜 정렬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로 정렬기를 포함하는 이송정렬 유닛:
    상기 원단제공 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원단을 감지하는 센서 유닛; 및
    상기 센서 유닛의 감지 결과 및 설정에 따라 상기 원단제공 유닛, 상기 절단 유닛 및 상기이송정렬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센서 유닛은 상기 원단의 폭 일측 시작위치를 감지하는 기준위치 감지센서 및 상기 원단제공 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원단의 길이를 감지하는 길이 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 유닛은 제공되는 상기 원단의 걸림 내지 쌓임을 감지하는 걸림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준위치 감지센서는 광센서이고,
    상기 길이 감지센서는 상기 원단의 제공에 따라 회전되는 감지롤러의 회전에 따른 길이를 감지하고,
    상기 원단 재단 장치는, 상기 원단제공 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원단을 지지하며 텐션을 유지시키는 원단지지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원단지지 유닛은 제공되는 상기 원단을 회전하며 지지하는 지지롤러 및 제공되는 상기 원단을 푸싱하며 상기 텐션을 유지시키는 푸싱 지지바를 포함하고,
    상기 푸싱 지지바는 상기 텐션을 유지시켜 상기 푸싱 지지바 상측에서 상기 가로 절단기에 의한 절단이 용이하도록 하고,
    상기 걸림 감지센서는 상기 가로 절단기에 의해 절단 후 상기 원단이 낙하되며 제자리로 복귀한 상기 푸싱 지지바에 걸리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재단 장치.
  6. 청구항 5에서,
    상기 원단 재단 장치는, 상기 원단을 감고 있는 원단 롤러를 상기 원단제공 유닛 상에 지지되도록 옮기는 크레인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원단지지 유닛은 상기 절단 유닛에 의해 재단된 제품이 주름지게 포개지도록 상기 재단된 제품을 지지하며 낙하 위치를 왕복시키는 배출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재단 장치.
  7. 청구항 1에서,
    상기 원단제공 유닛은 상기 원단을 감고 있는 원단 롤러의 중심축으로 양측에서 삽입되고 상기 원단 롤러와 함께 회전하는 롤러 지지대, 상기 롤러 지지대의 일측으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롤러 모터,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지지되며 양측의 상기 롤러 지지대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 지지대 및 상기 원단의 폭에 따른 설정에 따라 일측의 상기 회전 지지대를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서 선형 이동시키는 선형이동 엑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재단 장치.
  8. 청구항 1에서,
    상기 제어유닛은 제어를 위한 설정 내지 설정값을 입력받는 입력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패널은 터치패널 및 작동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 스위치는 자동/수동 운전모드 선택스위치, 자동운전 시작/정지 스위치, 리셋 스위치 및 비상정지 스위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패널은 재단 길이 및 폭 설정값 그리고 상기 원단제공 유닛의 롤러 조작설정을 입력받고,
    상기 롤러 조작설정은 원단풀기 속도 및 원단감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설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재단 장치.
  9. 청구항 3, 5 및 6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원단 재단 장치는, 제공되는 상기 원단 상에 라벨을 부착시키는 라벨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라벨 유닛은 라벨지를 제공하는 라벨지 제공기, 상기 라벨지에 설정에 따른 내용을 인쇄하는 라벨 프린터 및 인쇄된 상기 라벨지를 상기 원단 상에 부착시키는 라벨 부착기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정렬 유닛은 상기 라벨 부착기를 설정에 따른 위치로 이송시키는 라벨 이송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라벨 표시값을 입력받아 상기 라벨 프린터의 인쇄를 제어하고 상기 라벨 부착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재단 장치.
  10.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원단은 안전망 제작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재단 장치.
KR1020220076710A 2022-06-23 2022-06-23 원단 재단 장치 KR102621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6710A KR102621177B1 (ko) 2022-06-23 2022-06-23 원단 재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6710A KR102621177B1 (ko) 2022-06-23 2022-06-23 원단 재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0137A KR20240000137A (ko) 2024-01-02
KR102621177B1 true KR102621177B1 (ko) 2024-01-03

Family

ID=89512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6710A KR102621177B1 (ko) 2022-06-23 2022-06-23 원단 재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117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0591B1 (ko) * 2020-07-06 2021-02-26 오석철 원단 재단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729B1 (ko) * 2009-10-29 2015-01-1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입체상 섬유여재 절단 자동화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0591B1 (ko) * 2020-07-06 2021-02-26 오석철 원단 재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0137A (ko) 2024-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49806B1 (en) Bag making-wrapping machine
RU2167798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подачи фольги
KR101197418B1 (ko) 오픈박스의 투명필름 자동 포장장치
WO2005102625A2 (en) Quilted fabric panel cutter
KR102621177B1 (ko) 원단 재단 장치
JP2004182472A (ja) フォイルバッグ製造用のフォイルを給送する装置、及びフォイルバッグ製造装置
EP0376754A2 (en) Continuous paper sheet tearing-up apparatus
JP6902274B2 (ja) 製袋包装機
US6860481B2 (en) Sheet stacking device
JP5569006B2 (ja) 包装装置
EP2392513B2 (en) Plant and method for lateral wrapping of products by means of plastic film
KR20010094274A (ko) 슬리터 리와인더
JP2820842B2 (ja) 帯状金属薄板両側端みみ部の切断されたみみ屑の巻取り装置
JPH06191176A (ja) 中綴製本装置における折帖サイズの変更に伴う位置決め方法
KR100467771B1 (ko) 스트립 결함 방지용 피딩 테이블
JPS63277156A (ja) 延反機に於ける解反方法及び解反装置
CN113071943B (zh) 一种验布机放卷装置及其工艺
CN210653843U (zh) 一种卧式薄膜手套装袋机的送膜机构
JP3079988B2 (ja) ストレッチフィルム包装機
CN217556543U (zh) 一种松紧织带等距剪裁设备
CN220033578U (zh) 一种标签带分条机
CN109877888B (zh) 绳子切割设备
JPH04253628A (ja) ロールラベラのラベル蛇行修正装置
WO1997036816A1 (en) Winding unit for combining multiple plies into a single multi-ply web
JPH06316370A (ja) 延反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