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0591B1 - 원단 재단장치 - Google Patents

원단 재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0591B1
KR102220591B1 KR1020200082591A KR20200082591A KR102220591B1 KR 102220591 B1 KR102220591 B1 KR 102220591B1 KR 1020200082591 A KR1020200082591 A KR 1020200082591A KR 20200082591 A KR20200082591 A KR 20200082591A KR 102220591 B1 KR102220591 B1 KR 1022205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cutting
blade
roller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2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석철
Original Assignee
오석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석철 filed Critical 오석철
Priority to KR1020200082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05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0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0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7/00Apparatus or processes for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specially adapted for the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of textile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7/00Apparatus or processes for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specially adapted for the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of textile materials
    • D06H7/02Apparatus or processes for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specially adapted for the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of textile materials transverse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7/00Apparatus or processes for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specially adapted for the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of textile materials
    • D06H7/04Apparatus or processes for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specially adapted for the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of textile materials longitudin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원단이 감겨져 있는 원단롤에서 원단을 인출시켜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시키면서 컨트롤러에서 셋팅된 길이 및 개수(수량) 만큼 자동으로 원단을 재단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 및 생산성, 생산능률을 향상시키고, 인력 투입을 최대한 줄여 제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원단 재단기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원단을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면서 설정된 세로와 가로로 절단하는 원단 재단장치로서, 지면에 설치되는 기체(機體)의 어느 일측에서 원단이 공급되어 소정 경로를 거쳐 기체의 다른 일측으로 원단이 배출되도록 원단을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는 원단이송수단; 원단이송수단에 의해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원단이 지나가는 위치에 제1칼날을 설치하여 상기 제1칼날에 의해 일정 폭을 갖도록 원단을 세로방향으로 절단하는 세로절단수단; 세로절단수단에 의해 일정 폭을 갖도록 절단되어 이송되는 원단에 가로방향으로 왕복 이동되게 제2칼날을 설치하여 상기 제2칼날에 의해 원단을 가로방향으로 절단하는 가로절단수단; 가로절단수단에서 원단을 절단시 승강 작동되면서 원단을 눌러주는 클램핑수단; 및 클램핑수단과 가로절단수단 및 원단이송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원단 재단장치{Fabric cut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원단 재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단(천막천 등)을 원단롤에서 인출시켜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시키면서 컨트롤러에서 셋팅된 길이 및 개수(수량) 만큼 자동으로 원단을 재단할 수 있는 원단 재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외에서 각종 공연이나 행사를 하는 경우에는 강렬한 햇빛이나 눈 또는 비 등을 피하기 위한 천막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천막은 단순하게 제한적인 소규모의 공간 내에 설치되는 조립식 천막이 있는 반면, 대규모의 크기를 갖고 비교적 넓은 면적에 걸쳐 설치되는 천막 구조물이 있다.
이러한 천막 구조물은 일시적으로 설치되었다가 다시 철거 또는 분해되는 것이 아니라, 장기간 해당 장소에 설치되는 조형물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천막 구조물에 사용되는 천막은 장력이 우수하고 내구성이 좋은 원단으로 제작되고, 이러한 천막용 원단은 통상 롤 형태로 감김된 상태로 소비자에게 제공된다.
이에, 소비자는 원단롤에서 원단을 인출시켜 원하는 형태의 천막 구조물로 재단하여 사용하게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천막용 원단은 그 자체만으로도 무거운 중량물인데, 이러한 원단이 감김된 원단롤은 고중량물로 형성된다.
따라서, 천막용 원단의 재단시는 여러 명의 작업자가 투입되어 고중량의 원단롤에서 원단을 직접 인출시키고, 인출되는 원단을 필요한 만큼 짤라 재단하는 등의 일련의 작업공정이 모두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작업공정이 불편하고 번거롭게 이루어져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게다가, 원단의 재단 작업이 모두 수작업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생산성 및 생산능률이 저하되고, 많은 작업 인력의 투입으로 인한 인건비 상승으로 인해 제조원가가 상승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천막 및 천막 구조물에 대한 기술은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국내 등록특허 제10-0791515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원단이 감겨져 있는 원단롤에서 원단을 인출시켜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시키면서 컨트롤러에서 셋팅된 길이 및 개수(수량) 만큼 자동으로 원단을 재단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 및 생산성, 생산능률을 향상시키고, 인력 투입을 최대한 줄여 제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원단 재단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원단을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면서 설정된 폭(세로)과 길이(가로)로 절단하는 원단 재단장치로서, 지면에 설치되는 기체(機體)의 어느 일측에서 원단이 공급되어 소정 경로를 거쳐 기체의 다른 일측으로 원단이 배출되도록 원단을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는 원단이송수단; 상기 원단이송수단에 의해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원단이 지나가는 위치에 제1칼날을 설치하여 상기 제1칼날에 의해 일정 폭을 갖도록 원단을 세로방향으로 절단하는 세로절단수단; 상기 세로절단수단에 의해 일정 폭을 갖도록 절단되어 이송되는 원단에 가로방향으로 왕복 이동되게 제2칼날을 설치하여 상기 제2칼날에 의해 원단을 가로방향으로 절단하는 가로절단수단; 상기 가로절단수단에서 원단을 절단시 승강 작동되면서 원단을 눌러주는 클램핑수단; 및 상기 클램핑수단과 가로절단수단 및 원단이송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단이송수단은: 제1모터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원단을 이송시키는 구동롤러; 상기 구동롤러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롤러에 접하여 구동롤러와 함께 회전되면서 구동롤러와의 사이로 원단을 이송시키는 가압롤러; 및 상기 가압롤러를 승강시킬 수 있게 설치되는 제1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모터는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회전속도가 제어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단이송장치는: 상기 구동롤러와 가압롤러의 외주면 표면에 점착성을 갖는 고무재질의 코팅층이 형성되고, 상기 코팅층에는 이송되는 원단의 미끄럼 방지를 위한 요철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로절단수단은: 상기 제1칼날이 설치되는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이송되는 원단의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며, 원단의 이송위치에 따라 상기 고정브라켓의 위치를 변경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축;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축에 복수 개의 고정브라켓이 설치되어 복수 개의 제1칼날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로절단수단은: 상기 제2칼날이 설치되는 이동체; 상기 이동체를 안내하도록 원단의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체가 안내되도록 구동하는 구동풀리와 구동벨트; 및 상기 구동벨트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2모터;로 이루어지며, 구동벨트는 타이밍 벨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동체에는 타이밍 벨트에 대응하는 요철이 형성되어 상기 요철이 타이밍 벨트에 맞물리도록 고정 설치되되, 상기 요철은 이동체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설치되는 덮개를 구비하여 상기 덮개에 설치되고, 상기 덮개는 볼트에 의해 상기 타이밍 벨트를 관통하여 이동체에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램핑수단은: 상기 기체에서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원단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지지블럭; 상기 지지블럭의 상부에 구비되어 원단의 상부면을 눌러주는 클램핑블록; 및 상기 클램핑블록을 승강 작동시키는 작동제2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가압롤러 혹은 구동롤러의 회전속도 및 회전수를 검출하여 이송되는 원단의 길이를 산출하는 엔코더; 상기 엔코더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가압롤러의 표면에 접하여 구름되는 구름롤러; 및 상기 엔코더에서 산출되는 값에 의해 상기 구동롤러의 저속운전 및 보정수치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원단을 절단하기 위한 세팅된 길이 및 원단의 절단되는 수량을 입력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원단 재단장치에 의하면, 원단이 감겨져 있는 원단롤에서 원단을 인출시켜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시키면서 컨트롤러에서 셋팅된 길이 및 개수(수량) 만큼 자동으로 원단을 재단할 수 있도록 하여, 원단의 재단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져 작업성 및 생산성, 생산능률이 향상되고, 최소 인력의 투입으로 인건비가 절감되며, 제조원가가 낮아져 가격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단 재단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단 재단장치에 구비되는 가압롤러 및 구동롤러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단 재단장치에 구비되는 가로절단수간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단 재단장치의 실물 사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원단 재단장치에 구비되는 세로절단수단의 사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원단 재단장치에 구비되는 클램핑수단의 사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원단 재단장치에 구비되는 엔코더의 사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단 재단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단 재단장치에 구비되는 가압롤러 및 구동롤러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단 재단장치에 구비되는 가로절단수간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단 재단장치의 실물 사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원단 재단장치에 구비되는 세로절단수단의 사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원단 재단장치에 구비되는 클램핑수단의 사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원단 재단장치에 구비되는 엔코더의 사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단 재단장치는 원단(천막천 등)을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면서 원단을 설정된 폭(세로)과 길이(가로)로 절단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단 재단장치에는 원단이송수단(11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단이송수단(110)은 지면에 설치되는 기체(機體)(102)의 어느 일측에서 원단이 공급되어 소정 경로를 거쳐 기체(102)의 다른 일측으로 원단이 배출되도록 원단을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원단이송수단(110)은 제1모터(11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동롤러(112)가 설치되어 원단을 이송시키고, 상기 구동롤러(112)의 상부에는 가압롤러(114)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가압롤러(114)가 구동롤러(112)에 접하여 구동롤러(112)와 함께 회전되면서 구동롤러(112)와의 사이로 원단을 이송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압롤러(114)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제1실린더(116)가 설치되며, 상기 구동롤러(112)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모터(111)는 후술하는 제어수단에 의해 그 회전속도가 제어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원단이송수단(110)의 구동롤러(112)와 가압롤러(114)의 외주면 표면에는 점착성을 갖는 고무재질의 코팅층(118)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코팅층(118)에는 이송되는 원단의 미끄럼 방지를 위한 요철부(119)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구동롤러(112)와 가압롤러(114)의 표면에 코팅된 코팅층(118)과 요철부(119)에 의해 원단을 정확하게 이송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단 재단장치에는 세로절단수단(12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로절단수단(120)은 원단이송수단(110)에 의해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원단이 지나가는 위치에 제1칼날(122)을 설치하여 상기 제1칼날(122)에 의해 원단이 일정 폭을 갖도록 세로방향으로 절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세로절단수단(120)은 상기 제1칼날(122)이 설치되는 고정브라켓(124)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브라켓(124)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이송되는 원단의 가로방향으로 고정축(126)이 설치되어, 상기 고정브라켓(124)을 원단의 이송위치에 따라 상기 고정축(126)에 위치를 변경하여 고정시킬 수 있게 함으로서 원단의 절단되는 폭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축(126)에는 복수 개의 고정브라켓(124)이 설치되어 복수 개의 제1칼날(122)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복수 개의 제1칼날(122)을 구비하게 되면, 이송되는 원단을 세로방향으로 절단시 여러 개를 동시에 절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단 재단장치에는 가로절단수단(13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로절단수단(130)은 세로절단수단(120)에 의해 일정 폭을 갖도록 절단되어 이송되는 원단을 가로방향으로 절단하기 위한 것으로, 이송되는 원단에 대하여 가로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도록 제2칼날(132)을 설치하여 상기 제2칼날(132)의 왕복 이동에 의해 원단을 가로방향으로 절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로절단수단(130)은 상기 제2칼날(132)이 설치되며, 이송되는 원단의 가로방향으로 제2칼날(132)을 왕복 이동시키도록 무한궤도로 운동하는 구동벨트(134)를 설치하고, 상기 구동벨트(134)는 제2모터(136)에 의해 구동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2모터(136)는 정역회전되는 정역모터로서, 상기 제2모터(136)의 정역회전에 의해 구동벨트(134)가 정역회전되면서 제2칼날(132)이 왕복 이동되게 된다.
이와 같은 가로절단수단(130)은 도 3 내지 도 4표시와 같은 구조로 설치될 수 있으며, 그 구조는 원단의 횡 방향에 대하여 전(全) 길이에 걸쳐 가로 방향으로 제2모터(136)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풀리(133)와 구동벨트(134)가 설치되어, 상기 제2모터(136)의 정역회전에 의해 구동풀리(133)가 구동되면서 구동풀리(133)에 결합된 구동벨트(134)가 작동된다. 이때, 상기 구동벨트(134)는 타이밍 벨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벨트(134)에 이동체(137)가 고정되어 가이드레일(138)에 안내되게 이동체(137)가 설치되며, 상기 이동체(137)에 제2칼날(132)이 고정되어 원단을 절단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이동체(137)는 구동벨트(134)에 고정되며, 상기 구동벨트(134)의 구동에 의해 원단의 가로방향 즉, 좌측에서 우측, 우측에서 좌측으로 왕복 이동되면서 제2칼날(132)로 원단을 절단한다.
이때, 상기 구동벨트(134)에 이동체(137)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이동체(137)에는 타이밍 벨트에 대응하는 요철이 형성되어 상기 요철이 타이밍 벨트에 맞물리도록 고정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요철은 이동체(137)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설치되는 덮개(135)를 구비하여 상기 덮개(135)에 설치되고, 상기 덮개(135)는 볼트(B)에 의해 상기 타이밍 벨트(134)를 관통하여 이동체(137)에 결합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138)은 이동체(137)가 구동벨트(134)의 구동에 의해 좌우로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체(137)가 결합되어 안내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이동체(137)에 돌출되게 제2칼날(132)이 설치되어 좌우로 왕복 이동되면서 원단을 절단하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단 재단장치에는 클램핑수단(14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램핑수단(140)은 가로절단수단(130)에서 원단을 절단시 클램핑수단(140)이 승강 작동되면서 원단을 눌러주도록 하는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클램핑수단(140)은 상기 기체(102)에서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원단의 하부면에 지지블럭(142)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블럭(142)의 상부에 구비되어 원단의 상부면을 눌러주도록 클램핑블록(144)이 설치되며, 상기 클램핑블록(144)은 작동제2실린더(146)에 의해 승강 작동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작동제2실린더(146)에 의해 클램핑블록(142)이 승강되면서 원단을 눌러주게 되고, 이 상태에서 가로절단수단(130)의 제2칼날(132)이 왕복 이동되면서 원단을 가로방향으로 절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가로절단수단(130)에 의해 원단을 가로방향으로 절단시 상기 클램핑수단(140)에 의해 원단을 고정한 상태에는 상기 원단을 이송시키기 위한 구동롤러(112)를 감속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제어수단(15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수단(150)은 클램핑수단(140)과 가로절단수단(130) 및 원단이송수단(110)을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제어수단(150)은 상기 가압롤러(114) 혹은 구동롤러(112)의 회전속도 및 회전수를 검출하여 이송되는 원단의 길이를 산출하도록 엔코더(152)가 구비되며, 상기 엔코더(152)의 선단부에는 구름롤러(154)가 설치되어 상기 구름롤러(154)가 가압롤러 혹은 구동롤러의 표면에 접하여 구름되며, 상기 엔코더(152)에서 산출되는 값에 의해 상기 구동롤러(112)의 저속운전 및 보정수치를 제어하도록 컨트롤러(156)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컨트롤러(156)는 원단을 절단하기 위한 세팅된 길이 및 원단의 절단되는 수량을 입력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원단이송수단(110)에 의해 원단을 기체(102)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시킨다. 즉, 상기 원단이송수단(110)은 제1실린더(116)에 의해 가압롤러(114)가 승강되어 구동롤러(112)와 가압롤러(114)의 사이에 원단을 눌러주어 원단을 이송시킨다. 즉, 구동롤러(112)와 가압롤러(114)가 상호 맞물리며, 그 사이로 원단을 이송한다.
이때, 구동롤러(112)와 가압롤러(114)의 표면에 코팅된 점착성을 갖는 고무재질의 코팅층(118) 및 요철부(119)에 의해 미끄럼 방지되면서 원단을 정확하게 이송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송되는 원단은 상기 원단이송수단(110)에 의해 이송되는 원단은 상기 세로절단수단(120)의 제1칼날(122)을 원하는 위치로 위치시켜 원단의 공급(이송)과 동시에 커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로절단수단(130)의 제2칼날(132)은 제2모터(136)의 구동에 의해 구동벨트(134)가 무한궤도롤 작동되면서 제2칼날(132)이 구동벨트(134)에 의해 왕복 이동되면서 원단을 가로방향으로 절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수단(150)에 의해 원단이송수단(110)의 구동롤러(112)의 속도를 제어하여 원단의 공급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수단(150)은 구동롤러(112)의 저속운전 즉, 가로절단수단(130)의 제2칼날(132)에 의해 원단을 커팅시 그 커팅 처리 몇 cm 전부터 보정수치(-1, +1 mm 등) 입력이 가능하다.
또한, 원단의 절단되는 길이는 엔코더(152)로 측정되며, 가로절단수단(130)의 제2칼날(132)로 원단을 절단시 승강되는 클램핑수단(140)에 의해 원단을 눌러주어 정확한 커팅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수단(150)에 구비되는 컨트롤러(156)에서 세팅된 길이 및 개수(수량) 만큼 원단을 가로방향으로 절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110 - 원단이송수단 120 - 세로절단수단
130 - 가로절단수단 140 - 클램핑수단
150 - 제어수단

Claims (7)

  1. 원단을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면서 설정된 폭(세로)과 길이(가로)로 절단하는 원단 재단장치에 있어서,
    지면에 설치되는 기체(機體)의 어느 일측에서 원단이 공급되어 소정 경로를 거쳐 기체의 다른 일측으로 원단이 배출되도록 원단을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는 원단이송수단(110);
    상기 원단이송수단(110)에 의해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원단이 지나가는 위치에 제1칼날(122)을 설치하여 상기 제1칼날(122)에 의해 일정 폭을 갖도록 원단을 세로방향으로 절단하는 세로절단수단(120);
    상기 세로절단수단(120)에 의해 일정 폭을 갖도록 절단되어 이송되는 원단에 가로방향으로 왕복 이동되게 제2칼날(132)을 설치하여 상기 제2칼날(132)에 의해 원단을 가로방향으로 절단하는 가로절단수단(130);
    상기 가로절단수단(130)에서 원단을 절단시 승강 작동되면서 원단을 눌러주는 클램핑수단(140); 및
    상기 클램핑수단(140)과 가로절단수단(130) 및 원단이송수단(110)을 제어하는 제어수단(150);을 포함하되,
    상기 원단이송수단(110)은
    제1모터(11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원단을 이송시키는 구동롤러(112);
    상기 구동롤러(112)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롤러(112)에 접하여 구동롤러(112)와 함께 회전되면서 구동롤러(112)와의 사이로 원단을 이송시키는 가압롤러(114);
    상기 가압롤러(114)를 승강시킬 수 있게 설치되는 제1실린더(116);
    상기 구동롤러(112)와 가압롤러(114)의 외주면 표면에 점착성을 갖는 형성되는 고무재질의 코팅층(118); 및
    상기 코팅층(118)에 이송되는 원단의 미끄럼 방지를 위한 형성되는 요철부(119)를 포함하고,
    상기 제1모터(111)는 상기 제어수단(150)에 의해 회전속도가 제어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세로절단수단(120)은:
    상기 제1칼날(122)이 설치되는 고정브라켓(124);
    상기 고정브라켓(124)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이송되는 원단의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며, 원단의 이송위치에 따라 상기 고정브라켓(124)의 위치를 변경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축(126);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축(126)에 복수 개의 고정브라켓(124)이 설치되어 복수 개의 제1칼날(122)을 구비하며,
    상기 가로절단수단(130)은:
    상기 제2칼날(132)이 설치되는 이동체(137);
    상기 이동체(137)를 안내하도록 원단의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138);
    상기 가이드레일(138)을 따라 이동체(137)가 안내되도록 구동하는 구동풀리(133)와 구동벨트(134); 및
    상기 구동벨트(134)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2모터(136);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동벨트(134)는 타이밍 벨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동체(137)에는 타이밍 벨트(134)에 대응하는 요철이 형성되어 상기 요철이 타이밍 벨트(134)에 맞물리도록 고정 설치되되, 상기 요철은 이동체(137)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설치되는 덮개(135)를 구비하여 상기 덮개(135)에 설치되고, 상기 덮개(135)는 볼트(B)에 의해 상기 타이밍 벨트(134)를 관통하여 이동체(137)에 결합되며,
    상기 클램핑수단(140)은:
    상기 기체에서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원단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지지블럭(142);
    상기 지지블럭(142)의 상부에 구비되어 원단의 상부면을 눌러주는 클램핑블록(144); 및
    상기 클램핑블록(144)을 승강 작동시키는 작동제2실린더(1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재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150)은:
    상기 가압롤러(114) 혹은 구동롤러(112)의 회전속도 및 회전수를 검출하여 이송되는 원단의 길이를 산출하는 엔코더(152);
    상기 엔코더(152)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가압롤러(114)의 표면에 접하여 구름되는 구름롤러(154); 및
    상기 엔코더(152)에서 산출되는 값에 의해 상기 구동롤러(112)의 저속운전 및 보정수치를 제어하는 컨트롤러(156);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156)는 원단을 절단하기 위한 세팅된 길이 및 원단의 절단되는 수량을 입력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재단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00082591A 2020-07-06 2020-07-06 원단 재단장치 KR1022205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2591A KR102220591B1 (ko) 2020-07-06 2020-07-06 원단 재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2591A KR102220591B1 (ko) 2020-07-06 2020-07-06 원단 재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0591B1 true KR102220591B1 (ko) 2021-02-26

Family

ID=74687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2591A KR102220591B1 (ko) 2020-07-06 2020-07-06 원단 재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059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8466B1 (ko) 2021-04-05 2021-08-09 서승영 초음파를 이용한 원단 재단 장치
KR102353911B1 (ko) 2021-11-24 2022-01-20 (주)윈크린 원단 자동 커팅 및 마크 표시장치
KR20220124516A (ko) * 2021-03-03 2022-09-14 박명철 안전망 제조장치
KR20240000137A (ko) 2022-06-23 2024-01-02 김훈철 원단 재단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515B1 (ko) 2005-04-26 2008-01-07 (주)에스아이테크놀로지 야외용 천막구조물
KR20170142422A (ko) * 2016-06-17 2017-12-28 주식회사 서브코지 직물 재단장치
KR101863132B1 (ko) * 2016-08-29 2018-05-31 (주) 성원애드피아 현수막 커팅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515B1 (ko) 2005-04-26 2008-01-07 (주)에스아이테크놀로지 야외용 천막구조물
KR20170142422A (ko) * 2016-06-17 2017-12-28 주식회사 서브코지 직물 재단장치
KR101863132B1 (ko) * 2016-08-29 2018-05-31 (주) 성원애드피아 현수막 커팅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4516A (ko) * 2021-03-03 2022-09-14 박명철 안전망 제조장치
KR102486506B1 (ko) 2021-03-03 2023-01-09 박명철 안전망 제조장치
KR102288466B1 (ko) 2021-04-05 2021-08-09 서승영 초음파를 이용한 원단 재단 장치
KR102353911B1 (ko) 2021-11-24 2022-01-20 (주)윈크린 원단 자동 커팅 및 마크 표시장치
KR20240000137A (ko) 2022-06-23 2024-01-02 김훈철 원단 재단 장치
KR102621177B1 (ko) * 2022-06-23 2024-01-03 김훈철 원단 재단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0591B1 (ko) 원단 재단장치
CN103015046B (zh) 毛毯绷缝自动化生产线
CN206188106U (zh) 铺布机
KR101270054B1 (ko) 파이프 블랭킹 베벨러
CN203998268U (zh) 90°帘布裁断生产线卷取装置
CN105293139A (zh) 90°帘布裁断生产线卷取装置
CN110656664B (zh) 一种管廊侧墙铺设防水卷材装置
KR101181053B1 (ko) 프로파일 자동 랩핑 적치 시스템
JP4364830B2 (ja) シート材供給裁断装置
KR101181200B1 (ko) 프로파일 자동 로딩 적치 장치
CN109704028A (zh) 一种复合地板生产中的自动连续翻板输送装置
KR100948393B1 (ko) 배관보수용 튜브의 함침장치
CN215207236U (zh) 一种铝合金窗框加工的输送及定位机构
CN104097448A (zh) 一种马赛克铺贴自动贴纸生产设备
CN206998489U (zh) 一种带有自动定位功能石材板上料机
CN210913971U (zh) 一种重型钢材运输用调整装置
CN205381734U (zh) 堆垛机
CN205932323U (zh) 一种电梯轿厢门90度旋转机
CN219429348U (zh) 一种钢带卷绕架
CN219708620U (zh) 板材卷收装置
CN114541121B (zh) 一种全自动铺布机
CN217831323U (zh) 一种用于钢结构的矫正装置
CN219688823U (zh) 自动卷板夹紧装置
CN220828012U (zh) 一种装修用地板平整装置
CN219688870U (zh) 自动卷板送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