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7418B1 - 오픈박스의 투명필름 자동 포장장치 - Google Patents

오픈박스의 투명필름 자동 포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7418B1
KR101197418B1 KR1020100127550A KR20100127550A KR101197418B1 KR 101197418 B1 KR101197418 B1 KR 101197418B1 KR 1020100127550 A KR1020100127550 A KR 1020100127550A KR 20100127550 A KR20100127550 A KR 20100127550A KR 101197418 B1 KR101197418 B1 KR 101197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 box
transparent film
unit
roller
pivo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7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6290A (ko
Inventor
김기윤
Original Assignee
김기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윤 filed Critical 김기윤
Priority to KR1020100127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7418B1/ko
Publication of KR20120066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6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7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7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16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 B65B7/162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by feeding web material to secur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1/00Supplying or feeding container-forming sheets or wrapping material
    • B65B41/18Registering sheets, blank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65B51/16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by rotary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16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 B65B7/28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by applying separate preformed closures, e.g. lids, covers
    • B65B7/2842Securing closures on containers
    • B65B7/2864Securing closures on containers by adhesive t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1/00Supplying or feeding container-forming sheets or wrapping material
    • B65B41/12Feeding webs from rolls
    • B65B41/16Feeding webs from rolls by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02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binding or wrapp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8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causing operation of audible or visible alarm sign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4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 B65B61/06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by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6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coated or treated with anti-friction or anti-sticking materials, e.g. polytetrafluoroethyl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측이 개방된 오픈 형 오픈박스에 대한 포장용 투명필름의 부착작업을 개선하여 투명필름의 안정된 부착상태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오픈박스의 투명필름 자동 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프레임(101); 상기 본체프레임(101)의 후방으로 오픈박스(1)를 이송시켜주는 이송부(110); 상기 이송부(110)의 상측에 설치되며, 양측변 길이방향으로 양면테이프(124)의 일면이 부착되고 타면에는 접착면(124b)을 보호해주는 이형지(124a)를 구비한 투명필름(121)이 권취되는 공급롤러(123)와, 상기 공급롤러(123)로부터 투명필름(121)을 안내하여 이송공급해주는 복수의 안내롤러(125)를 포함하는 필름공급부(120); 상기 이송공급되는 투명필름(121)을 일측으로 가압하여 텐션을 유지해주는 텐션롤러부(130); 상기 이송공급되는 투명필름(121)으로부터 상기 이형지(124a)를 분리하여 상기 오픈박스에 접착되는 접착면(124b)을 노출시켜주는 이형지분리부(140); 상기 이송되는 오픈박스(1)의 상부 외주면을 따라 구름 접촉가능하게 횡설되는 하나 이상의 롤러를 구비하여 상기 오픈박스(1)에 씌워진 투명필름(121)의 접착면(124b)을 상기 오픈박스(1) 측으로 가압하여 부착해주는 접촉롤러부(150); 및 상기 접촉롤러부(150)와 인접하게 설치되어 투명필름(121)을 일정길이로 컷팅해주는 컷팅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오픈박스의 투명필름 자동 포장장치{Apparatus for Film Automatic Packing on Packing box}
본 발명은 오픈박스의 투명필름 자동 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픈형 박스에 대한 포장용 투명필름의 부착작업을 개선할 수 있는 오픈박스의 투명필름 자동 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은 규모의 물품을 저장하여 운반하거나 보관하기 위해 사용되는 박스로는 오픈형 박스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오픈형 박스는 내부의 내용물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일측 표면을 개방시킨 저장용기로서, 주로 과일을 소규모단위로 저장하여 유통하는데 많이 사용되고 있다. 오픈형 박스는 개방부를 이용하여 과일을 담은 후 그 개방부에 비닐로 된 투명커버를 부착하여 포장해주도록 구성된 것이나, 이러한 작업은 대부분 농민이 수작업으로 투명커버를 부착해주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갈수록 인구의 고령화 및 감소화 추세에 있는 현 농촌실정상 포장작업을 위한 인력확보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고, 또한 인력을 확보한다 하더라도 포장시간과 비용이 과다 소요되어 생산성 저하를 가져올 뿐만 아니라 수작업에 의한 포장시에는 투명커버를 매번 팽팽한 긴장감을 갖도록 부착해줄 수가 없어서 포장불량으로 인해 상품으로서의 가치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종래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오픈형 박스에 대한 포장용 필름 부착작업을 개선하여 기계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포장용 비닐의 부착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574388호 "과일 포장용 오픈박스의 투명커버 부착장치"에 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은 과일포장용 오픈박스의 투명커버 부착장치는 지지틀 상에 전후로 길게 설치되는 컨베이어벨트와, 상기 컨베이어벨트 양측에 갖는 안내대와, 컨베이어벨트 상부에 설치되어 투명커버를 공급하는 공급롤러와, 상기 공급롤러 후방의 지지대에 회전작동가능케 설치되며 안내롤러와 부착롤러를 갖는 부착대와, 상기 부착대 후방에 설치되며 모터에 의한 컷팅날을 사이에 두고 좌우에 부설되어 제어기를 통해 컨베이어벨트를 제어하는 감지센서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과일포장용 오픈박스의 투명커버 부착장치는 공급롤러에서 포장용 비닐이 부착되는 오픈박스까지 비닐을 인출하여 이송하는, 안내롤러, 가압롤러 및 부착롤러의 고정구조가 안정되지 못하여 좌우수평 및 전후 수평이 제대로 유지되지 못함으로써 포장용 비닐이 이송과정에서 평활도가 제대로 유지되지 못하여 포장용 비닐이 하방으로 처지거나, 한편으로 치우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포장용 비닐이 비정상적으로 부착장치의 각 부품에 끼이거나 포장용 비닐의 이송 자체가 불가하게 되거나, 포장용 비닐이 정 위치에서 오픈박스에 부착되지 않고 원래의 위치를 벗어나 오픈박스에 부착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산출된 것으로, 상측이 개방된 오픈 형 오픈박스에 대한 포장용 투명필름의 부착작업을 개선하여 투명필름의 안정된 부착상태를 얻을 수 있고, 투명필름을 오픈박스의 상면을 포함한 전, 후 측면을 함께 부착시켜줌으로써 투명필름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오픈박스의 투명필름 자동 포장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오픈박스의 투명필름 자동 포장장치는, 상측이 개방된 오픈박스를 포장하기 위한 오픈박스의 투명필름 자동 포장장치에 있어서,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의 후방으로 상기 오픈박스를 이송시켜주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의 상측에 설치되며, 양측변 길이방향으로 양면테이프의 일면이 부착되고 타면에는 접착면을 보호해주는 이형지를 구비한 투명필름이 권취되는 공급롤러와, 상기 공급롤러로부터 투명필름을 안내하여 이송공급해주는 복수의 안내롤러를 포함하는 필름공급부; 상기 이송공급되는 투명필름을 일측으로 가압하여 텐션을 유지해주는 텐션롤러부; 상기 이송공급되는 투명필름으로부터 상기 이형지를 분리하여 상기 오픈박스에 접착되는 접착면을 노출시켜주는 이형지분리부; 상기 이송되는 오픈박스의 상부 외주면을 따라 구름 접촉가능하게 횡설되는 하나 이상의 롤러를 구비하여 상기 오픈박스에 씌워진 투명필름의 접착면을 상기 오픈박스 측으로 가압하여 부착해주는 접촉롤러부; 및 상기 접촉롤러부와 인접하게 설치되어 투명필름을 일정길이로 컷팅해주는 컷팅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이송부는, 상기 본체프레임의 후방으로 상기 오픈박스가 슬라이딩 이송되도록 저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롤러와, 상기 오픈박스의 양 측면을 가압하여 길이방향으로 이송시켜주는 컨베이어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텐션롤러부는, 상기 투명필름의 저면을 지지하는 적어도 두 개의 안내롤러 사이에 상기 투명필름을 하방으로 가압하는 텐션롤러를 구비하되, 상기 텐션롤러는 양단이 고정블럭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고정블럭은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봉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텐션롤러부는, 상기 텐션롤러의 상승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공급롤러를 회전시켜주는 모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형지분리부는, 상기 투명필름으로부터 상기 이형지를 분리하여 권취시켜주는 권취롤러;와 상기 권취롤러를 일정속도로 회전시켜주는 모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형지분리부는, 상기 투명필름으로부터 분리되는 이형지의 처짐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권취롤러의 일측에는, 상기 투명필름의 양측에서 분리된 두 가닥의 이형지를 상기 권취롤러의 한곳에 집중적으로 권취되도록 유도해주는 이형지 유도부재가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접촉롤러부는, 고정브라켓에 일단이 선회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에는 이송되는 오픈박스의 전면과 맞닿을 수 있도록 전방롤러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한편 결합돌기가 구비된 제1선회부재; 상기 고정브라켓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결합돌기가 끼움되는 가이드장공이 형성된 제1링크; 상기 제1링크의 타단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링크; 상기 제2링크의 타단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고정브라켓에 선회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타단에는 이송되는 오픈박스의 후면과 맞닿을 수 있도록 후방롤러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선회부재; 및 상기 제1선회부재 또는 제2선회부재의 일측에 연결되어 선회된 제1, 2선회부재의 위치를 원상복귀시켜주는 복귀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촉롤러부는, 고정브라켓에 일단이 선회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에는 이송되는 오픈박스의 전면과 맞닿을 수 있도록 전방롤러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선회부재; 상기 제1선회부재의 타단과 근접한 부위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부재; 상기 링크부재의 타단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고정브라켓에 중심부가 선회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타단에는 이송되는 오픈박스의 후면과 맞닿을 수 있도록 후방롤러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선회부재; 및 상기 제1선회부재 또는 제2선회부재의 일측에 연결되어 선회된 제1, 2선회부재의 위치를 원상복귀시켜주는 복귀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선회부재 또는 제2선회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제1선회부재 또는 제2선회부재의 하향 선회각도를 선택적으로 제한하여 전, 후방롤러의 높낮이를 조절해주는 높낮이조절부를 더 구비하되, 상기 높낮이조절부는 상기 제1선회부재 또는 제2선회부재의 일측 수평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핀홀;과, 상기 핀홀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촉롤러부는, 상기 고정브라켓의 양 측면에 연장형성되는 고정판넬을 매개로 상기 본체프레임에 볼트결합되는 것을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판넬에 관통형성된 볼트공은 장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컷팅부는, 고정브라켓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하게 결합되되 이송되는 오픈박스의 상부에 일변이 맞닿아 상측으로 선회될 수 있도록 대각선으로 기울어지게 위치되는 컷팅바; 상기 컷팅바의 타단에 상기 컷팅바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컷팅날; 상기 컷팅바가 이송되는 오픈박스의 상부와 접촉이 끝나는 순간 컷팅날이 하향 선회되면서 투명필름을 컷팅해줄 수 있도록 컷팅바를 상기 오픈박스 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컷팅부에는, 상기 컷팅바의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조절브라켓이 고정볼트에 의해 길이조절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안내롤러의 외주면은, 상기 투명필름의 접착면이 들러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실리콘 이형처리된 것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오픈박스의 투명필름 포장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상기 오픈박스의 투입을 감지하는 제1감지센서와, 상기 오픈박스의 배출을 감지하는 제2감지센서로 이루어진 에러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에러감지부를 통한 에러 감지시 상기 본체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된 표시부에 에러를 표시해주는 한편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부의 전방에는,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이송부의 이송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오픈박스를 이송시켜주는 컨베이어벨트와, 상기 컨베이어벨트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오픈박스의 위치를 감지해주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에서 오픈박스를 감지함과 동시에 상기 오픈박스를 이송부의 투입구 측으로 밀어 투입해줄 수 있도록 공압실린더에 의해 전후진 작동되는 푸쉬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자동공급부가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오픈박스의 투명필름 자동 포장장치는, 상측이 개방된 오픈형 오픈박스에 대한 포장용 투명필름의 부착작업을 개선하여 투명필름의 안정된 부착상태를 얻을 수 있고, 부착된 투명필름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투명필름 자동 포장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투명필름 자동 포장장치의 전체구성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형지분리부 및 텐션롤러부의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촉롤러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촉롤러부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접촉롤러부에 높낮이조절부가 더 구비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컷팅부의 다른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접촉롤러부의 다른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포장장치에 자동공급부가 더 구비된 사시도,
도 10a 내지 도 10e는 본 발명에 따른 투명필름 자동 포장장치의 작동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장치에 의해 투명필름이 부착된 오픈박스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투명필름 자동 포장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투명필름 자동 포장장치의 전체구성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형지분리부 및 텐션롤러부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촉롤러부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촉롤러부의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에 표시된 A 화살표 방향을 '전방'이라 하고, B 화살표 방향을 '후방'이라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측이 개방된 오픈박스(1)를 투명필름(121)을 이용해 포장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오픈박스의 투명필름 자동 포장장치(100)는 이송부(110), 필름공급부(120), 텐션롤러부(130), 이형지분리부(140), 접촉롤러부(150), 컷팅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송부(110)는 내부에 과일 등의 내용물이 담긴 포장대상의 오픈박스(1)를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송시켜주는 것으로, 포장장치(100)의 주 몸체를 이루는 본체프레임(101)의 수평방향으로 지지롤러(111)와 컨베이어벨트(1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경우 지지롤러(111)는 오픈박스(1)가 이송되는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횡으로 설치되어 오픈박스(1)의 원활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오픈박스(1)의 저면을 지지해준다.
또한 컨베이어벨트(113)는 오픈박스(1)의 양측 길이방향으로 대칭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컨베이어벨트(113)는 모터(M1)의 동력을 전달받아 일정속도로 회전되면서 오픈박스(1)의 양 측면을 가압하여 길이방향으로 이송시켜준다.
필름공급부(120)는 이송부(110)의 상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송부(110)에 의해 후방으로 이송되는 오픈박스(1)의 개구부(2)(도 10 참조)에 투명필름(121)을 씌워줄 수 있도록 투명필름(121)을 공급해주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필름공급부(120)는 양측변 길이방향으로 양면테이프(124)의 일면이 부착되고 타면에는 접착면(124b)을 보호해주는 이형지(124a)를 구비한 투명필름(121)이 권취되는 공급롤러(123)와, 공급롤러(123)로부터 투명필름(121)을 안내하여 이송공급해줄 수 있도록 본체프레임(101) 내부에 횡으로 결합된 복수의 안내롤러(1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공급롤러(123)로부터 인출되는 투명필름(121)은 텐션롤러부(130)에 의해 팽팽하게 텐션이 유지된다.
텐션롤러부(130)는 투명필름(121)이 'S'자 걸림 방식으로 감겨 이송될 수 있도록 투명필름(121)의 저면을 지지하는 적어도 두 개의 안내롤러(125a)(125b) 사이에 투명필름(121)을 일측(하방)으로 가압해주는 텐션롤러(1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텐션롤러(131)는 양단이 고정블럭(13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고정블럭(133)은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봉(134)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텐션롤러(131)는 자중에 의해 'S'자 걸림 방식으로 감겨 이송되는 투명필름(121)을 하방으로 가압해줌으로써 투명필름(121)의 텐션을 유지해주게 된다.
한편, 텐션롤러부(130)의 일측에는 투명필름(121)의 인출과 동시에 공급롤러(123)를 소정의 속도로 회전시켜줄 수 있도록 모터(M2)의 작동시기를 판단해주는 감지센서(136)가 더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텐션롤러(131)는 투명필름(121)이 인출되지 않는 경우 가이드봉(134)의 하측에 위치하게 되고, 투명필름(121)의 공급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텐션롤러(131)가 가이드봉(134)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 순간 감지센서(136)는 텐션롤러(131)의 상승을 감지하게 되고, 이러한 감지신호에 의해 모터(M2)가 작동하게 되면서 공급롤러(123)가 소정의 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감지센서(136)에서 감지되던 신호가 차단되면 공급롤러(123)의 회전이 멈추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텐션롤러부(130)의 일측에는 텐션을 유지한 상태로 이송되는 투명필름(121)의 양측변에 부착된 이형지(124a)를 분리하여 오픈박스(1)에 접착되는 접착면(124b)을 노출시켜주는 이형지분리부(140)가 구비된다.
예컨대, 이형지분리부(140)는 투명필름(121)으로부터 상기 이형지(124a)를 분리하여 외주면에 권취시켜주는 권취롤러(141)와, 상기 권취롤러(141)를 일정속도로 회전시켜주는 모터(M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이형지분리부(140)는 분리되는 이형지(124a)를 안내하는 안내롤러(125c)의 일측에 설치되어 투명필름(121)으로부터 분리되는 이형지(124a)의 처짐을 감지하는 감지센서(143)를 더 포함하며, 감지센서(143)의 감지신호에 따라 모터(M3)의 회전속도를 제어해줌으로써 분리된 이형지(124a)를 원활하게 권취시켜주게 된다.
또한 권취롤러(141)의 일측에는 링 형상의 이형지 유도부재(145)가 구비되어 투명필름(121)의 양측에서 분리된 두 가닥의 이형지(124a)를 권취롤러(141)의 한곳에 집중적으로 권취되도록 유도해주게 된다.
이와 같은 이형지분리부(140)에 의해 양측변에 접착면(124b)이 형성된 투명필름(121)은 복수의 안내롤러(125)에 의해 연속적으로 이송공급된다. 이 경우 안내롤러(125)의 외주면은 투명필름(121)의 접착면(124b)이 들러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실리콘 이형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양측변에 접착면(124b)이 형성된 투명필름(121)은 컨베이어벨트(113)에 의해 후방으로 이송되는 오픈박스(1)의 전, 후면을 포함한 상부 외주면을 따라 구름 접촉가능하게 설치되는 접촉롤러부(150)에 의해 부착된다.
예컨대, 접촉롤러부(150)는 고정브라켓(151)에 일단이 힌지축(152a)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에는 이송되는 오픈박스(1)의 전면 상부와 맞닿을 수 있도록 전방롤러(152b)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한편 결합돌기(152c)가 구비된 제1선회부재(152)와, 일단이 고정브라켓(151)의 힌지축(154a)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선회부재(152)의 결합돌기(152c)가 끼움되는 가이드장공(154b)이 형성된 제1링크(154)와, 일단이 상기 제1링크(154)의 타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링크(156)와, 상기 제2링크(156)의 타단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고정브라켓(151)의 힌지축(158a)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에는 이송되는 오픈박스의 후면 상부와 맞닿을 수 있도록 후방롤러(158b)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선회부재(15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선회부재(152) 또는 제2선회부재(158)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제2선회부재(158)의 일측에는 선회된 제1, 2선회부재(152)(158)의 위치를 탄성복원력을 이용하여 복귀시킬 수 있도록 복귀스프링(159)이 고정브라켓(151)에 연결된다.
한편, 상기 접촉롤러부(150)와 인접한 곳에는 오픈박스(1)에 부착이 완료된 투명필름(121)을 알맞은 길이로 컷팅해주는 컷팅부(160)가 설치된다.
예컨대, 상기 컷팅부(160)는 일단이 고정브라켓(151)에 힌지축(161a)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하게 결합되되 이송되는 오픈박스(1)의 상부에 일변이 맞닿아 상측으로 선회될 수 있도록 대각선으로 기울어지게 위치되는 컷팅바(161)와, 상기 컷팅바(161)의 타단에 컷팅바(161)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컷팅날(163)과, 상기 컷팅바(161)가 이송되는 오픈박스(1)의 상부와 접촉이 끝나는 순간 컷팅날(163)이 하방으로 선회하면서 투명필름(121)을 컷팅해줄 수 있도록 컷팅바(161)를 오픈박스(1) 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16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접촉롤러부에 높낮이조절부가 더 구비된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컷팅부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접촉롤러부(150)는 오픈박스(1)의 다양한 크기에 따라 대응될 수 있도록 높낮이조절부(157)가 더 구비된다. 이러한 높낮이조절부(157)는 제1선회부재(152) 또는 제2선회부재(158)의 선회각도를 선택적으로 제한하여 전, 후방롤러(152b)(158b)의 높낮이(H)를 조절해주게 된다.
예컨대, 상기 높낮이조절부(157)는 제2선회부재(158)의 일측 수평방향으로 제2선회부재(158)의 하향 선회각도를 단계적으로 제한할 수 있도록 복수의 핀홀(157a)이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핀홀(157a) 중 어느 하나에는 제2선회부재(158)의 일변이 걸리게 되는 핀(157b)이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제2선회부재(158)의 선회각도를 제한해준다. 이에 따라, 높낮이가 서로 다른 다양한 오픈박스(1)의 전, 후면 상측(1a)(1c)에 투명필름(121)이 일정한 길이로 부착될 수 있게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전, 후방롤러(152b)(158b)의 높낮이가 높낮이조절부(157)에 조절됨에 따라 투명필름(121)을 컷팅해주는 컷팅바(161)의 길이(L) 역시 대응되게 조절되어야 한다. 이를 구현할 수 있도록 상기 컷팅바(161)에는 길이방향으로 길이(L)가 조절될 수 있도록 길이조절부(167)가 더 구비된다.
상기 길이조절부(167)는 컷팅바(161)의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관통공(167b)이 형성된 조절브라켓(167a)이 고정볼트(167c)에 의해 길이조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관통공(167b)의 일측에는 길이방향으로 또 다른 고정볼트가 체결되는 장공(167d)이 더 형성되어 조절브라켓(167a)의 견고한 조립이 가능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오픈박스(1)의 높낮이에 대응되게 조절브라켓(167a)의 길이를 조절하여 컷팅바(161)의 작동시기를 조절해줌으로써 오픈박스(1)의 전, 후면 상측(1a)(1c)에 투명필름(121)의 길이가 각각 동일하게 부착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접촉롤러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접촉롤러부(150)는 하나의 링크부재(155)를 이용하여 제1, 2선회부재(152)(158)를 연동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촉롤러부(150)는 고정브라켓(151)에 일단이 힌지축(152a)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에는 이송되는 오픈박스(1)의 전면 상부와 맞닿을 수 있도록 전방롤러(152b)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선회부재(152)와, 상기 제1선회부재(152)의 타단과 근접한 부위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부재(155)와, 상기 링크부재(155)의 타단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됨과 아울러 고정브라켓(151)의 힌지축(158a)에 중심부가 선회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타단에는 이송되는 오픈박스(1)의 후면과 맞닿을 수 있도록 후방롤러(158b)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선회부재(15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선회부재(152) 또는 제2선회부재(158)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제1선회부재(152)의 일측에는 선회된 제1, 2선회부재(152)(158)의 위치를 탄성복원력을 이용하여 복귀시킬 수 있도록 복귀스프링(159)이 고정브라켓(151)에 연결된다.
한편, 상기 링크구조를 이용한 제1, 2선회부재(152)(158)의 연동구조는 상기 실시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1, 2선회부재(152)(158)를 동시에 연동 작동시키기 위해서라면 상기 링크부재(155)의 형상 및 수량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한편, 상기 이송부(110)의 컨베이어벨트(113)와 접촉롤러부(150)는 오픈박스(1)의 다양한 크기에 따라 알맞게 너비 및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절장치가 각각 더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접촉롤러부(150)는 오픈박스(1)의 크기에 대응되게 선택적으로 교체장착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접촉롤러부(150)는 고정브라켓(151)의 양 측면에 연장형성되는 고정판넬(153)을 매개로 본체프레임(101)에 볼트결합된다. 이때 상기 고정판넬(153)에 관통형성된 볼트공은 장공(153a)으로 이루어져 있어 서로 다른 폭으로 이루어진 접촉롤러부(15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도 1 참조)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이송부(110)에는 오픈박스(1)의 투명필름(121) 포장공정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지를 판단해주는 에러감지부(170)가 더 구비된다. 예컨대, 에러감지부(170)는 이송부(110)의 전방에는 오픈박스(1)의 투입을 감지하는 제1감지센서(171)가 설치되고, 이송부(110)의 후방에는 투명필름(121)의 접착공정이 완료된 후 배출되는 오픈박스(1)를 감지하는 제2감지센서(17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에러감지부(170)는 오픈박스(1)가 제1감지센서(171)에서 최초로 감지되고 난 후 일정시간 내에 제2감지센서(172)에서 감지되지 않을 경우 제어부(미도시)에서는 이를 에러로 판단하고 포장장치(100)의 작동을 잠시 중단시킨다. 이와 동시에 본체프레임(101)의 일측에 설치된 표시부(175)를 통해 에러를 표시해주는 한편 경고음을 발생시킨다.
도 9는 본 발명의 포장장치에 자동공급부가 더 구비된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이송부(110)의 전방에는 오픈박스(1)를 투입구(110a)에 자동으로 이송 공급해주는 자동공급부(18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자동공급부(180)는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이송부(110)의 이송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오픈박스(1)를 이송시켜주는 컨베이어벨트(181)와, 컨베이어벨트(181)에 의해 이송되는 오픈박스(1)의 위치를 감지해주는 감지센서(183)와, 감지센서(183)에서 오픈박스(1)를 감지함과 동시에 오픈박스(1)를 이송부(110) 측으로 밀어 투입해줄 수 있도록 공압실린더(185a)에 의해 전후진 작동되는 푸쉬플레이트(18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면,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의 오픈박스의 투명필름 자동 포장장치의 작동과정에 대하여 설명해 보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접촉롤러부(150)는 제1링크(154)와 제2링크(156)로 구성된 경우를 일례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a 내지 도 10e는 본 발명에 따른 투명필름 자동 포장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포장장치(100)의 투입구(110a)에 오픈박스(1)가 투입되면 오픈박스(1)는 이송부(110)에 의해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송되기 시작한다. 이송되던 오픈박스(1)는 그 전면이 접촉롤러부(150)의 전방롤러(152b)와 맞닿게 된다. 이때 상기 전방롤러(152b)에는 필름공급부(120)로부터 인출된 후 이형지(124a)가 분리되어 접착면(124b)이 형성된 투명필름(121)의 선단(121a)이 대기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에 따라 오픈박스(1)의 전면 상부(1a)에 투명필름(121)이 부착됨과 아울러 그 상면에 씌워지기 시작한다.
도 10b를 참조하면, 상기 전방롤러(152b)는 오픈박스(1)의 상부 외주면을 따라 구름 접촉하게 되면서 제1선회부재(152)가 힌지축(152a)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선회하게 된다. 제1선회부재(152)의 선회에 따라 제1링크(154)가 연동하여 반시계방향으로 선회하게 되고, 상기 제1링크(154)와 연동가능하게 연결된 제2링크(156)에 의해 제2선회부재(158)가 힌지축(158a)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선회하게 되면서 후방롤러(158b) 역시 상측으로 들어올려 지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전방롤러(152b)와 인접하게 설치된 컷팅바(161)의 일변(161b)이 오픈박스(1)의 상부 외주면과 맞닿아 힌지축(161a)을 중심으로 상측으로 선회된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컷팅바(161)는 탄성부재(165)에 의해 오픈박스(1) 측으로 가압하고 있는 상태이다.
도 10c를 참조하면, 전방롤러(152b)는 이송부(110)에 의해 소정 속도로 이송되는 오픈박스(1)의 전면 상부(1a) 및 상면(1b)을 따라 구름 접촉하게 되면서 투명필름(121)을 오픈박스(1) 측으로 가압하여 부착시켜주게 된다.
도 10d를 참조하면, 전방롤러(152b)가 오픈박스(1)의 상면(1b)을 통과하게 되면 오픈박스(1)의 상면(1b)과 맞닿아 상측으로 잠시 선회하였던 컷팅바(161)가 탄성부재(165)에 의해 하측으로 선회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컷팅바(161)의 타단에 설치된 컷팅날(163)이 투명필름(121)을 오픈박스(1)의 개구부(2)에 덮여질 수 있을 정도의 알맞은 길이로 컷팅해주게 된다.
도 10e를 참조하면, 컷팅날(163)에 의해 투명필름(121)이 컷팅되고 나면, 복귀스프링(159)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후방롤러(158b)가 오픈박스(1)의 상면(1b) 및 후면 상부(1c)를 순차적으로 가압해주면서 투명필름(121)을 부착해주게 되고, 오픈박스(1)의 포장이 완료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이상과 같은 과정으로 투명필름(121)이 포장된 오픈박스(1)는 오픈박스(1)의 전면 상부(1a)와 상면(1b), 그리고 후면 상부(1c)가 일체형으로 밀착 포장됨에 따라 투명필름(121)이 개구부(2) 하측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오픈박스(1)의 포장작업이 완료된 후 검수하는 과정에서 내용물 교체(과일이 썩거나 상처가 생긴 경우)의 목적으로 부착된 투명필름(121)을 다시 떼어내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종이로 이루어진 오픈박스(1)가 양면테이프의 강한 접착력에 의해 함께 뜯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양면테이프(124)의 접착면 중 어느 한 면은 그 접착력이 다소 약하게 구성된다. 즉 접착면 중 어느 한 면에 이형코팅을 한 다음 그 상면에 다시 접착제를 도포한 형태로 접착면을 형성해줌에 따라 투명필름(121)과 오픈박스(1)에 각각 부착된 접착면 중 접착력이 약하게 형성된 접착면이 용이하게 떨어지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오픈박스 100 : 포장장치
110 : 이송부 120 : 필름공급부
121 : 투명필름 123 : 공급롤러
130 : 텐션롤러부 131 : 텐션롤러
140 : 이형지분리부 150 : 접촉롤러부
151 : 고정브라켓 152 : 제1선회부재
152b : 전방롤러 152c : 결합돌기
154 : 제1링크 154b : 가이드장공
156 : 제2링크 157 : 높낮이조절부
157a : 핀홀 157b : 핀
158 : 제2선회부재 159 : 복귀스프링
160 : 컷팅부 161 : 컷팅바
163 : 컷팅날 165 : 탄성부재
167 : 길이조절부 167a : 조절브라켓
167b : 관통공 167c : 고정볼트
167d : 장공 170 : 에러감지부
180 : 자동공급부

Claims (16)

  1. 상측이 개방된 오픈박스(1)를 포장하기 위한 오픈박스의 투명필름 자동 포장장치에 있어서,
    본체프레임(101);
    상기 본체프레임(101)의 후방으로 상기 오픈박스(1)가 슬라이딩 이송되도록 저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롤러(111)와, 상기 오픈박스(1)의 양 측면을 가압하여 길이방향으로 이송시켜주는 컨베이어벨트(113)를 포함하는 이송부(110);
    상기 이송부(110)의 상측에 설치되며, 양측변 길이방향으로 양면테이프(124)의 일면이 부착되고 타면에는 접착면(124b)을 보호해주는 이형지(124a)를 구비한 투명필름(121)이 권취되는 공급롤러(123)와, 상기 공급롤러(123)로부터 투명필름(121)을 안내하여 이송공급해주는 복수의 안내롤러(125)를 포함하는 필름공급부(120);
    상기 이송공급되는 투명필름(121)을 일측으로 가압하여 텐션을 유지해주는 텐션롤러부(130);
    상기 이송공급되는 투명필름(121)으로부터 상기 이형지(124a)를 분리하여 상기 오픈박스에 접착되는 접착면(124b)을 노출시켜주는 이형지분리부(140);
    상기 이송되는 오픈박스(1)의 상부 외주면을 따라 구름 접촉가능하게 횡설되는 하나 이상의 롤러를 구비하여 상기 오픈박스(1)에 씌워진 투명필름(121)의 접착면(124b)을 상기 오픈박스(1) 측으로 가압하여 부착해주는 접촉롤러부(150); 및
    상기 접촉롤러부(150)와 인접하게 설치되어 투명필름(121)을 일정길이로 컷팅해주는 컷팅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박스의 투명필름 자동 포장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롤러부(130)는,
    상기 투명필름(121)의 저면을 지지하는 적어도 두 개의 안내롤러(125a)(125b) 사이에 상기 투명필름(121)을 하방으로 가압하는 텐션롤러(131)를 구비하되,
    상기 텐션롤러(131)는 양단이 고정블럭(13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고정블럭(133)은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봉(13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박스의 투명필름 자동 포장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롤러부(130)는,
    상기 텐션롤러(131)의 상승을 감지하는 감지센서(136);와,
    상기 감지센서(136)의 감지신호에 따라 공급롤러(123)를 회전시켜주는 모터(M2);를 더 포함하는 오픈박스의 투명필름 자동 포장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지분리부(140)는,
    상기 투명필름(121)으로부터 상기 이형지(124a)를 분리하여 권취시켜주는 권취롤러(141);와,
    상기 권취롤러(141)를 일정속도로 회전시켜주는 모터(M3);를 포함하는 오픈박스의 투명필름 자동 포장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지분리부(140)는,
    상기 투명필름(121)으로부터 분리되는 이형지(124a)의 처짐을 감지하는 감지센서(143);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감지센서(143)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M3)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박스의 투명필름 자동 포장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롤러(141)의 일측에는,
    상기 투명필름(121)의 양측에서 분리된 두 가닥의 이형지(124a)가 상기 권취롤러(141)의 한곳에 집중적으로 권취되도록 유도해주는 이형지 유도부재(145)가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는 오픈박스의 투명필름 자동 포장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롤러부(150)는,
    고정브라켓(151)에 일단이 선회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에는 이송되는 오픈박스(1)의 전면과 맞닿을 수 있도록 전방롤러(152b)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한편 결합돌기(152c)가 구비된 제1선회부재(152);
    상기 고정브라켓(151)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결합돌기(152c)가 끼움되는 가이드장공(154b)이 형성된 제1링크(154);
    상기 제1링크(154)의 타단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링크(156);
    상기 제2링크(156)의 타단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고정브라켓(151)에 선회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타단에는 이송되는 오픈박스(1)의 후면과 맞닿을 수 있도록 후방롤러(158b)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선회부재(158); 및
    상기 제1선회부재(152) 또는 제2선회부재(158)의 일측에 연결되어 선회된 제1, 2선회부재(152)(158)의 위치를 원상복귀시켜주는 복귀스프링(159);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박스의 투명필름 자동 포장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롤러부(150)는,
    고정브라켓(151)에 일단이 선회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에는 이송되는 오픈박스(1)의 전면과 맞닿을 수 있도록 전방롤러(152b)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선회부재(152);
    상기 제1선회부재(152)의 타단과 근접한 부위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부재(155);
    상기 링크부재(155)의 타단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고정브라켓(151)에 중심부가 선회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타단에는 이송되는 오픈박스의 후면과 맞닿을 수 있도록 후방롤러(158b)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선회부재(158); 및
    상기 제1선회부재(152) 또는 제2선회부재(158)의 일측에 연결되어 선회된 제1, 2선회부재(152)(158)의 위치를 원상복귀시켜주는 복귀스프링(159);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박스의 투명필름 자동 포장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선회부재(152) 또는 제2선회부재(158)의 일측에는 상기 제1선회부재(152) 또는 제2선회부재(158)의 하향 선회각도를 선택적으로 제한하여 전, 후방롤러(152b)(158b)의 높낮이를 조절해주는 높낮이조절부(157)를 더 구비하되,
    상기 높낮이조절부(157)는 상기 제1선회부재(152) 또는 제2선회부재(158)의 일측 수평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핀홀(157a);과, 상기 핀홀(157a)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핀(157b);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박스의 투명필름 자동 포장장치.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롤러부(150)는,
    상기 고정브라켓(151)의 양 측면에 연장형성되는 고정판넬(153)을 매개로 상기 본체프레임(101)에 볼트결합되는 것을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판넬(153)에 관통형성된 볼트공은 장공(153a)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박스의 투명필름 자동 포장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컷팅부(160)는,
    고정브라켓(151)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하게 결합되되 이송되는 오픈박스(1)의 상부에 일변이 맞닿아 상측으로 선회될 수 있도록 대각선으로 기울어지게 위치되는 컷팅바(161);
    상기 컷팅바(161)의 타단에 상기 컷팅바(161)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컷팅날(163);
    상기 컷팅바(161)가 이송되는 오픈박스(1)의 상부와 접촉이 끝나는 순간 컷팅날(163)이 하향 선회되면서 투명필름(121)을 컷팅해줄 수 있도록 컷팅바(161)를 상기 오픈박스(1) 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165);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박스의 투명필름 자동 포장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컷팅부(160)에는,
    상기 컷팅바(161)의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관통공(167b)이 형성된 조절브라켓(167a)이 고정볼트(167c)에 의해 길이조절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더 포함하는 오픈박스의 투명필름 자동 포장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롤러(125)의 외주면은,
    상기 투명필름(121)의 접착면(124b)이 들러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실리콘 이형처리된 것을 더 포함하는 오픈박스의 투명필름 자동 포장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110)는,
    상기 오픈박스(1)의 투명필름(121) 포장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상기 오픈박스(1)의 투입을 감지하는 제1감지센서(171)와, 상기 오픈박스(1)의 배출을 감지하는 제2감지센서(172)로 이루어진 에러감지부(17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에러감지부(170)를 통한 에러 감지시 상기 본체프레임(101)의 일측에 구비된 표시부(175)에 에러를 표시해주는 한편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박스의 투명필름 자동 포장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110)의 전방에는,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이송부(110)의 이송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오픈박스(1)를 이송시켜주는 컨베이어벨트(181)와, 상기 컨베이어벨트(181)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오픈박스(1)의 위치를 감지해주는 감지센서(183)와, 상기 감지센서(183)에서 오픈박스(1)를 감지함과 동시에 상기 오픈박스(1)를 이송부(110)의 투입구(110a) 측으로 밀어 투입해줄 수 있도록 공압실린더(185a)에 의해 전후진 작동되는 푸쉬플레이트(185)로 이루어진 자동공급부(180)가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는 오픈박스의 투명필름 자동 포장장치.
KR1020100127550A 2010-12-14 2010-12-14 오픈박스의 투명필름 자동 포장장치 KR101197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7550A KR101197418B1 (ko) 2010-12-14 2010-12-14 오픈박스의 투명필름 자동 포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7550A KR101197418B1 (ko) 2010-12-14 2010-12-14 오픈박스의 투명필름 자동 포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6290A KR20120066290A (ko) 2012-06-22
KR101197418B1 true KR101197418B1 (ko) 2012-11-05

Family

ID=46685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7550A KR101197418B1 (ko) 2010-12-14 2010-12-14 오픈박스의 투명필름 자동 포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741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4412B1 (ko) * 2013-10-23 2015-01-19 이재석 상자 외피 부착장치
KR101891997B1 (ko) 2018-01-25 2018-08-28 이래용 운반용 박스 내부에 대한 비닐봉투 자동 삽입장치
KR102440134B1 (ko) 2021-11-11 2022-09-05 주식회사 태화팩 스티로폼 박스 필름 포장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44799B (zh) * 2013-03-19 2015-03-18 苏州雪诺机械制造有限公司 胶带封箱机
KR101673254B1 (ko) * 2014-06-24 2016-11-07 신용섭 제대 통필름 실링장치
CN106395012B (zh) * 2016-11-16 2018-09-25 上海电机学院 一种纸盒自动封口机
CN110712798B (zh) * 2018-07-12 2021-11-16 深圳市富云帝科技有限公司 一种薄膜包装机及薄膜包装方法
CN108839879A (zh) * 2018-07-30 2018-11-20 南京冠智控科技有限公司 一种连续脱氧剂的自动切分装置
CN111152989B (zh) * 2020-01-13 2021-08-17 胶州市三步纸制品有限公司 一种具有折叠边功能的纸箱高效封口机
CN111591525B (zh) * 2020-05-22 2021-06-18 重庆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封口结构及自动化包装设备
CN116692157B (zh) * 2023-08-04 2023-10-20 安徽博润药业有限公司 一种固体饮品包装箱封口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76853A1 (en) 1999-06-11 2000-12-2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ystem for printing and applying adhesive tape onto surfaces
JP2002211508A (ja) 2001-01-23 2002-07-31 Kyowa Machinery Co Ltd 卵包装装置及び卵自動選別システム
KR100965749B1 (ko) 2010-02-05 2010-06-24 김기윤 포장박스의 투명필름 자동 포장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76853A1 (en) 1999-06-11 2000-12-2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ystem for printing and applying adhesive tape onto surfaces
JP2002211508A (ja) 2001-01-23 2002-07-31 Kyowa Machinery Co Ltd 卵包装装置及び卵自動選別システム
KR100965749B1 (ko) 2010-02-05 2010-06-24 김기윤 포장박스의 투명필름 자동 포장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4412B1 (ko) * 2013-10-23 2015-01-19 이재석 상자 외피 부착장치
KR101891997B1 (ko) 2018-01-25 2018-08-28 이래용 운반용 박스 내부에 대한 비닐봉투 자동 삽입장치
KR102440134B1 (ko) 2021-11-11 2022-09-05 주식회사 태화팩 스티로폼 박스 필름 포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6290A (ko) 2012-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7418B1 (ko) 오픈박스의 투명필름 자동 포장장치
KR100965749B1 (ko) 포장박스의 투명필름 자동 포장장치
KR101597626B1 (ko) 포장 대상물이 포장 드럼을 통과하는 것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포장하는 자동 랩핑 포장 장치
US4978416A (en) Stack fed labeling machine
CH709201B1 (fr) Appareil pour alimenter une machine d'emballage en une grande quantité de sacs.
JP5480809B2 (ja) ストリングの巻取り方法
CN112849539A (zh) 全自动落袋式快递包装机
JP2006199488A (ja) 包装機
KR101762892B1 (ko) 봉지 운반용 손잡이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봉지 운반용 손잡이
WO2002098737A1 (en) Bag-making and packaging machine
US10822127B2 (en) Packaging apparatus
CN113247361A (zh) 一种垃圾袋卷包装机
EP0120333B1 (en) Apparatus for packaging, weighing and labeling merchandise
JP2011173609A (ja) 小袋投入装置
KR100574388B1 (ko) 과일포장용 오픈박스의 투명커버 부착장치
KR200352908Y1 (ko) 담배곽포 자동 증지부착장치
CN214875919U (zh) 一种垃圾袋卷包装机
JP4440791B2 (ja) フィルムロールの自動交換システム
CN215550866U (zh) 真空吸塑装置及上料模块
JP3079988B2 (ja) ストレッチフィルム包装機
CN210417170U (zh) 半自动填料装袋机
JPH0977034A (ja) ラベル貼付装置
JP2018199523A (ja) 包装装置
JP3045127U (ja) 弁当容器への箸取付機
JP3484244B2 (ja) 包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