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3254B1 - 제대 통필름 실링장치 - Google Patents

제대 통필름 실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3254B1
KR101673254B1 KR1020140077416A KR20140077416A KR101673254B1 KR 101673254 B1 KR101673254 B1 KR 101673254B1 KR 1020140077416 A KR1020140077416 A KR 1020140077416A KR 20140077416 A KR20140077416 A KR 20140077416A KR 101673254 B1 KR101673254 B1 KR 101673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guide
joining
link member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7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0254A (ko
Inventor
신용섭
Original Assignee
신용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용섭 filed Critical 신용섭
Priority to KR1020140077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3254B1/ko
Publication of KR20160000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3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3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70/00Making flexible containers, e.g. envelopes or bags
    • B31B70/60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 B31B70/64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by applying heat or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70/00Making flexible containers, e.g. envelopes or bags
    • B31B7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70/10Feeding or positioning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60/00Shape of flexible containers
    • B31B2160/10Shape of flexible containers rectangular and flat, i.e. without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 B31B2160/102Shape of flexible containers rectangular and flat, i.e. without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obtained from essentially rectangular sheets

Landscapes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대 통필름 실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필름을 제공하는 필름권취기와, 상기 필름권취기 일측으로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부로 설치되는 측면 프레임과 상기 측면프레임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프레임을 포함하는 본체프레임과, 상기 측면프레임에 레일이 연결설치되고, 상기 레일에 안내되는 필름가이드와, 상기 필름가이드와 필름안내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상부프레임에 설치되는 텐션조절수단과, 상기 베이스프레임 중앙 상부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구동축이 구비된 작동부와, 상기 작동부의 구동축 외주면에 설치되는 필름접합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필름접합수단은 구동축 외주면에 연결설치되는 베이스고정판과, 구동축 외주면에 다수개 배열설치되되, 다수개 링크부재가 상호 대응하게 작동하는 접합부조절수단과, 상기 접합부조절수단과 각각 연결되어 작동시키는 접합작동부와, 상기 접합부조절수단과 연결설치되는 열접합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접합부조절수단은 구동축 외주면에 결합되기 위해 마련된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 연결형성되는 가이드공을 가진 안내부재와, 상기 안내부재 양측면 각각 단부에 상호 대각선 방향으로 결합된 제1링크부재 및 제2링크부재와, 상기 제1링크부재와 제2링크부재와 상호 대응하게 결합하되, 일단부가 가이드공에 삽입안내되는 제1가이드링크부재 및 제2가이드링크부재와, 상기 각각의 링크부재 상단부에 결합되는 굴곡진 판형태를 갖는 밀착가압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본체 프레임에 필름권취기를 통해 제공되는 필름을 자동으로 접합할 수 있는 필름접합수단을 장착함으로써, 자동으로 필름의 폭과 길이를 조절하여 접합부를 형성할 수 있는 동시에, 자동으로 대량 생산이 신속하게 이뤄짐으로 작업에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제대 통필름 실링장치{Film sealing device}
본 발명은 제대 통필름 실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두 겹의 권취된 필름원단을 권취기를 통해 제공하는 작업과 동시에, 필름의 다양한 길이와 폭을 조절하여 자동으로 접합부를 형성할 수 있음으로써, 다양한 길이와 폭을 갖는 필름을 하나의 공정으로 자동생산가능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제대 통필름 실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대기(製袋機)란, 봉투 등 주머니 형식의 제품을 만드는 기계의 총칭(Sealing Machine)으로, 종이 봉투 또는 비닐 봉투 등 주머니를 형성하는 기계와 포장 계통의 제품을 만드는 봉합기계 또는 풀칠하여 접합(Sealing)하는 다양한 종류의 기계 등이 제대기로 불립니다.
상기 제대기를 사용하여 비닐백의 제조 과정은 권취된 필름 원단을 2겹이 되도록 접어서 이송롤러를 통해 이송 공급하고, 공급되는 필름 원단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를 열 압착시킨 후, 열 압착된 부분의 중간부분을 절단하는 비닐백 1차 가공과, 1차 가공에서 일정한 양으로 적층 정렬된 비닐백을 별도의 펀칭기로 이동시켜 비닐백의 일측단을 손잡이 모양을 펀칭 가공하는 비닐백 2차 가공으로 진행된다.
상기와 같은 제조 과정으로 진행되는 종래의 비닐백 제대기는 비닐 원단을 모터와 다수개의 롤러로 구성된 이송 경로를 통해 공급하는 공급부와, 2중으로 공급되는 비닐 원단의 소정위치를 열압착시키는 실링부와, 실링된 부분을 절단하는 절단부와, 절단되는 비닐을 일정한 양만큼 적층시키는 적층부로 구성된 1차 가공부인 제대기와, 이와는 별도로 설치되어 1차 가공된 비닐의 일측 단부에 손잡이를 형성하는 2차 가공부인 펀칭기로 나뉘어져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대기는 필름의 다양한 폭에 따라 접합부를 형성하는데에 여러 공정이 필요함으로 작업에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10-0460571 "비닐백 제대기"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필름의 다양한 길이와 폭에 따라 자동으로 접합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필름에 텐션작용 및 안내하는 필름가이드를 구비함으로써, 자동으로 대량 생산이 신속하게 이뤄질 수 있는 제대 통필름 실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필름을 제공하는 필름권취기와, 상기 필름권취기 일측으로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부로 설치되는 측면 프레임과 상기 측면프레임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프레임을 포함하는 본체프레임과, 상기 측면프레임에 레일이 연결설치되고, 상기 레일에 안내되는 필름가이드와, 상기 필름가이드와 필름안내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상부프레임에 설치되는 텐션조절수단과, 상기 베이스프레임 중앙 상부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구동축이 구비된 작동부와, 상기 작동부의 구동축 외주면에 설치되는 필름접합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필름접합수단은 구동축 외주면에 연결설치되는 베이스고정판과, 구동축 외주면에 다수개 배열설치되되, 다수개 링크부재가 상호 대응하게 작동하는 접합부조절수단과, 상기 접합부조절수단과 각각 연결되어 작동시키는 접합작동부와, 상기 접합부조절수단과 연결설치되는 열접합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접합부조절수단은 구동축 외주면에 결합되기 위해 마련된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 연결형성되는 가이드공을 가진 안내부재와, 상기 안내부재 양측면 각각 단부에 상호 대각선 방향으로 결합된 제1링크부재 및 제2링크부재와, 상기 제1링크부재와 제2링크부재와 상호 대응하게 결합하되, 일단부가 가이드공에 삽입안내되는 제1가이드링크부재 및 제2가이드링크부재와, 상기 각각의 링크부재 상단부에 결합되는 굴곡진 판형태를 갖는 밀착가압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안내부재는 양단에 축으로 연결되는 제1안내부재와 제2안내부재로 형성되며, 각각의 안내부재에 가이드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합작동부는 베이스고정판과 연결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보조판과, 상기 보조판에 고정설치되며, 축에 전달기어가 장착된 작동장치부와, 상기 전달기어와 치합작용하는 제1전달부와, 상기 제1전달부와 치합작용하는 제2전달부와, 접합부조절수단의 개수에 따라 설치된 제1전달부를 연동작용하기 위해서 연결설치되는 연동수단과, 상기 제2전달부의 작용에 따라 접합부조절수단을 상하로 링크작용시키기 위해 각각의 링크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안내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각의 링크부재 사이에 안내축이 설치되는데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 사이에 나사부가 형성된 고정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나사부과 상호 대응하게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되, 중앙에서 양단부로 상호 반대되는 나사부가 형성된 안내축이 고정부재에 관통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접합부조절수단의 개수에 따라 제1전달부을 연동작용시키는데 있어서,
각각의 제1전달부 사이 보조판에 연동수단의 텐션 작용 및 기동성을 상승시키기 위해 회전가능하게 보조기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전달부의 작용에 따라 안내축이 이동하여 접합부조절수단을 상하로 링크작용시키기 위해 베이스고정판에 원형배열 형성되는 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접합수단은 접합부조절수단에 연결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작용에 따라 작동하여 열접합하는 열접합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어, 필름을 고정하기 위해 구비된 필름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본체 프레임에 필름권취기를 통해 제공되는 필름을 자동으로 접합할 수 있는 필름접합수단을 장착함으로써, 자동으로 필름의 폭과 길이를 조절하여 접합부를 형성할 수 있는 동시에, 자동으로 대량 생산이 신속하게 이뤄짐으로 작업에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정한 거리로 필름에 접합부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대 통필름 실링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필름접합수단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합부조절수단 및 열접합수단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합부조절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대 통필름 실링장치의 작용 1을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대 통필름 실링장치의 작용 2을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도 6,7의 작용에 따른 부분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필름을 제공하는 필름권취기(110)와, 상기 필름권취기(110) 일측으로 베이스프레임(121)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21) 상부로 설치되는 측면 프레임과 상기 측면프레임(122)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프레임(123)을 포함하는 본체프레임(120)과, 상기 측면프레임(122)에 레일(124)이 연결설치되고, 상기 레일(124)에 안내되는 필름가이드(130)와, 상기 필름가이드(130)와 필름안내부재(111)에 의해 연결되어 상부프레임(123)에 설치되는 텐션조절수단(14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21) 중앙 상부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구동축(151)이 구비된 작동부(150)와, 상기 작동부(150)의 구동축(151) 외주면에 설치되는 필름접합수단(200)으로 구성되고, 상기 필름접합수단(200)은 구동축(151) 외주면에 연결설치되는 베이스고정판(210)과, 구동축(151) 외주면에 다수개 배열설치되되, 다수개 링크부재가 상호 대응하게 작동하는 접합부조절수단(220)과, 상기 접합부조절수단(220)과 각각 연결되어 작동시키는 접합작동부(230)와, 상기 접합부조절수단(220)과 연결설치되는 열접합수단(240)을 더 포함하며,상기 접합부조절수단(220)은 구동축(151) 외주면에 결합되기 위해 마련된 결합부재(221)와, 상기 결합부재(221) 연결형성되는 가이드공(222a)을 가진 안내부재(222)와, 상기 안내부재(222) 양측면 각각 단부에 상호 대각선 방향으로 결합된 제1링크부재(223) 및 제2링크부재(224)와, 상기 제1링크부재(223)와 제2링크부재(224)와 상호 대응하게 결합하되, 일단부가 가이드공(222a)에 삽입안내되는 제1가이드링크부재(225) 및 제2가이드링크부재(226)와, 상기 각각의 링크부재 상단부에 결합되는 굴곡진 판형태를 갖는 밀착가압부재(227)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럼,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 및 작용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필름권취기(110), 본체프레임(120), 필름가이드(130), 텐션조절수단(140), 작동부(150), 필름접합수단(200)으로 구성된다.
상기 필름권취기(110)는 필름이 두겹으로 원필름(100)이 권취된 권취기가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제공기로부터 공급되는 필름이 필름접합수단(200)에 의해 실링 작업과정 후, 상기 필름(100')을 권취하여 보관하기 위해, 상기 제공기와 일정한 거리를 두고 또 다른 권취기가 마련된다.
상기 본체프레임(120)은 각각의 권취기 사이에 위치하며, 각각의 구성요소를 지지하기 위해 베이스프레임(121)이 마련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121) 상부로 다수개의 측면프레임(122)이 설치되고, 상기 측면프레임(122) 상부로 상부프레임(123)이 설치된다.
상기 필름가이드(130)는 각각의 측면프레임(122) 사이에 레일(124)이 설치되되, 상호 마주보는 측면프레임(122) 사이에 각각 한 쌍이 설치되며, 구성은 레일(124)에 안내되는 회전롤러(131a)가 설치된 가이드부재(131)가 구비되되, 상호 마주보는 측면프레임(122) 사이에 설치된 가이드부재(131)에 각각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부재(131) 일측면에 안내공(132a)이 형성된 연결부재(132)가 고정되고, 상기 연결부재(132)의 안내공(132a)에 관통하여 회전작용함으로 가이드부재(131)를 이동시키는 작동축(133)이 구비되고, 상기 작동축(133)을 회전시키기 위해 가동부(134)가 구비되며, 상기 가동부(134)는 손잡이 등을 작동축(133)에 연결하여, 상기 작동축(133)을 회전시키는 수동적인 방법과 작동모터 등을 설치하여 작동축(133)을 회전시키는 자동적인 방법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름가이드(130)의 작동을 간단히 설명하면,
먼저, 가동부(134)를 가동시켜 작동축(133)을 회전시키면, 상기 작동축(133)과 연결부재(132)의 안내공(132a)이 상호 나사방식으로 작용하여 가이드부재(131)를 수평좌우로 이동하는 작용과 함께, 작동축(133)을 감싸고 있던 필름안내부재(111)를 이동하여 필름에 긴장감을 부여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텐션조절수단(140)은 상부프레임(123)에 설치되며, 구성은 상부프레임(123) 내측으로 실린더(141)가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141)의 로드 단부에 롤러(142)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롤러(142)를 수평좌우로 이동하기 위해 설치되는 가이드부(143)로 구성되며, 필름가이드(130)와 상호 작용하여 필름안내부재(111)를 이동시켜 필름의 텐션작용을 부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작동부(150)는 본체프레임(120) 일측으로 작동모터가 구비되고, 각각의 측면프레임(122)에 지지바(미도시)를 연결고정하여, 상기 지지바 상부로 구동축(151)을 회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작동모터의 구동력이 구동축(151)에 전달하기 위해 동력전달수단(152)이 구비되되, 상기 동력전달수단(152)은 작동모터에 따른 연동수단방식, 풀리방식, 기어치합방식 등으로 사용된다.
한편, 도 3 내지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핵심인 작동부(150)의 구동축(151) 외주면에 설치되는 필름접합수단(200)에 있어서,
상기 필름접합수단(200)은 베이스고정판(210), 접합부조절수단(220), 접합작동부(230), 열접합수단(240)으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고정판(210)은 구동축(151) 외주면에 고정설치되며, 원점을 중심으로 안내부(211)가 원형배열 형성되는데(도 8 참조), 상기 안내부(211)를 형성함은 접합작동부(230)의 안내축(236)이 안내부(211)를 따라 안내되어, 보다 효과적인 접합부조절수단(220)의 링크작용을 제공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접합부조절수단(220)은 구동축(151) 외주면에 다수개 배열설치되기 위해 결합부재(221)가 마련되고, 상기 결합부재(221)에 가이드공(222a)을 가진 안내부재(222)가 결합되고, 상기 안내부 재 양측면 각각 단부에 상호 대각선 방향으로 제1링크부재(223)와 제2링크부재(224)가 결합되고, 상기 제1링크부재(223) 및 제2링크부재(224)와 상호 대응하는 위치에서 결합하되, 일단부에 이동롤러가 장착되어 가이드공(222a)에 삽입안내되는 제1가이드링크부재(225)와 제2가이드링크부재(226)가 구비되고, 상기 각각의 링크부재 상부로 필름을 밀착가압하기 위해 마련된 굴곡진 판형태를 갖는 밀착가압부재(227)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안내부재(222)는 양단부가 축으로 연결되어 마련된 제1안내부재(222-1)와 제2안내부재(222-2)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안내부재(222)에 가이드공(222a)이 형성되어, 접합부조절수단(220)의 제1가이드링크부재(225)와 제2가이드링크부재(226)가 단부가 각각 가이드공(222a)에 삽입안내된다.
상기 접합작동부(230)는 베이스고정판(210)과 다수개의 연결부재(132)에 의해 고정설치되는 보조판(231)이 마련되고, 상기 보조판(231)에 축에 전달기어가 장착된 작동부(150)가 고정설치되며, 상기 전달기어와 상호 대응하여 치합하는 제1전달부(233)가 설치되고, 상기 제1전달부(233)의 작용에 따라 치합하는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제2전달부(235)가 설치되고, 접합부조절수단(220)의 개수에 따라 각각 설치된 제1전달부(233)를 연동작용하기 위해 연동수단(234)이 각각의 제1전달부(233)에 연결설치되고, 상기 제2전달부(235)의 작용에 연동되어 접합부조절수단(220)을 상하로 링크작용시키기 위해 각각의 링크부재 사이에 안내축(236)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각각의 링크부재 사이에 안내축(236)이 설치되는데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 사이에 나사부가 형성된 두 개의 고정부재(237)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나사부과 상호 대응하게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되, 중앙에서 양단부로 상호 반대되는 나사부가 형성된 안내축(236)의 양단부가 각각의 고정부재(237)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상기 안내축(236)의 회전에 따라 링크부재가 작동하여 접합부조절수단(220)을 상하방향으로 링크작용시킨다.
또한, 접합부조절수단(220)의 개수에 따라 제2전달부(235)를 연동작용시키는데 있어서,
각각의 제2전달부(235) 설치된 사이 보조판(231)에 보조기어(238)를 회전가능하게 구비함으로써, 연동수단(234)의 기동성을 향상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접합부조절수단(22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상기 열접합수단(240)은 접합부조절수단(220)의 밀착가압부재(227)에 연결되는 지지부(241)와, 상기 지지부(241)에 설치되는 실린더(242)와, 상기 실린더(242)의 작용에 따라 열접합하는 열접합부(243)로 구성되며, 필름을 가압하여 팽팽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지지부(241)에 필름고정부재(237)가 연결설치된다.
그럼,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제대 통필름 실링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필름권취기(110)에서 제공되는 두겹의 필름을 필름안내부재(111)에 안내되도록 한 다음, 필름가이드(130)와 텐션조절수단(140)을 사용하여 필름안내부재(111)를 이동시켜 필름의 텐션작용을 부여한 상태에서, 작동부(150)의 작동모터를 작동시켜 동력전달수단(152)을 통해 구동축(151)을 회동시키는 작용과 동시에, 상기 구동축(151) 외주면에 배열고정된 다수개의 접합부조절수단(220)이 지속적으로 회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필름에 일정한 간격으로 접합부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먼저, 접합되는 접합부의 간격이 넓게 형성되는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보조판(231)에 고정설치된 작동부(150)를 구동하게 되면, 상기 작동부(150)의 축에 장착된 전달기어와 제1전달부(233)의 일단부가 치합하여 제1전달부(233)를 회전시키는 작용과 함께, 각각의 접합부조절수단(220)에 설치된 제1전달부(233)가 연동수단(234)에 의해 각각의 제1전달부(233)를 회전작용 하게 되며, 각각의 제1전달부(233) 타단부에 치합된 제2전달부(235)가 회전작용과 동시에, 제2전달부(235)의 나사부와 상호 작용하여 안내축(236)이 회전하면서, 베이스고정판(210)의 안내부를 따라 고정축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작용과 동시에, 상기 안내축(236)의 회전작용으로 제1가이드링크부재(225)와 제2가이드링크부재(226)의 단부가 각각의 가이드공(222a)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하여 링크작용함으로 밀착가압부재(227)를 안내부재(222)를 기준으로 상향된다.
상기와 같은 작용과 함께 필름가이드(130), 텐션조절수단(140)이 상호 대응하게 작용하여 필름의 텐션작용을 부여한 상태에서 밀착가압부재(227)에 연결설치된 열접합수단(240)을 작동시켜 열접합부로 필름을 접합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접합부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접합부의 간격이 좁게 형성되는 작용을 설명하면,
보조판(231)에 고정설치된 작동부(150)를 구동하게 되면, 상기 작동부(150)의 축에 장착된 전달기어와 제1전달부(233)의 일단부가 치합하여 제1전달부(233)를 회전시키는 작용과 함께, 각각의 접합부조절수단(220)에 설치된 제1전달부(233)가 연동수단(234)에 의해 각각의 제1전달부(233)를 회전작용 하게 되며, 각각의 제1전달부(233) 타단부에 치합된 제2전달부(235)가 회전하게 되며, 상기 작용과 동시에, 제2전달부(235)의 나사부와 상호 작용하여 안내축(236)이 회전하면서, 베이스고정판(210)의 안내부를 따라 고정축과 멀어져 있던 안내축(236)이 좁혀지는 작용과 동시에, 상기 안내축(236)의 회전작용으로 제1가이드링크부재(225)와 제2가이드링크부재(226)의 단부가 각각의 가이드공(222a)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하여 링크작용함으로 밀착가압부재(227)를 안내부재(222)를 기준으로 하향된다.
상기와 같은 작용과 함께 필름가이드(130), 텐션조절수단(140)이 상호 대응하게 작용하여 필름의 텐션작용을 부여한 상태에서 밀착가압부재(227)에 연결설치된 열접합수단(240)을 작동시켜 열접합부로 필름을 접합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접합부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 예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10: 필름권취기
120: 본체프레임
130: 필름가이드
140: 텐션조절수단
150: 작동부
200: 필름접합수단
210: 베이스고정판
211: 안내부
220: 접합부조절수단
221: 결합부재
222: 안내부재
223,224,225,226, 제1링크부재,제2링크부재,제1가이드링크부재,제2가이드링크부재
227: 밀착가압부재
230: 접합작동부
231: 보조판
232: 작동장치부
233: 제1전달부
234: 연동수단
235: 제2전달부
236: 안내축
240: 열접합수단

Claims (13)

  1. 필름을 제공하는 필름권취기(110)와,
    상기 필름권취기(110) 일측으로 베이스프레임(121)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21) 상부로 설치되는 측면 프레임과 상기 측면프레임(122)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프레임(123)을 포함하는 본체프레임(120)과,
    상기 측면프레임(122)에 레일(124)이 연결설치되고, 상기 레일(124)에 안내되는 필름가이드(130)와,
    상기 필름가이드(130)와 필름안내부재(111)에 의해 연결되어 상부프레임(123)에 설치되는 텐션조절수단(14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21) 중앙 상부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구동축(151)이 구비된 작동부(150)와,
    상기 작동부(150)의 구동축(151) 외주면에 설치되는 필름접합수단(200)으로 구성되고,
    상기 필름접합수단(200)은 구동축(151) 외주면에 연결설치되는 베이스고정판(210)과, 구동축(151) 외주면에 다수개 배열설치되되, 다수개 링크부재가 상호 대응하게 작동하는 접합부조절수단(220)과, 상기 접합부조절수단(220)과 각각 연결되어 작동시키는 접합작동부(230)와, 상기 접합부조절수단(220)과 연결설치되는 열접합수단(24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접합부조절수단(220)은 구동축(151) 외주면에 결합되기 위해 마련된 결합부재(221)와, 상기 결합부재(221) 연결형성되는 가이드공(222a)을 가진 안내부재(222)와, 상기 안내부재(222) 양측면 각각 단부에 상호 대각선 방향으로 결합된 제1링크부재(223) 및 제2링크부재(224)와, 상기 제1링크부재(223)와 제2링크부재(224)와 상호 대응하게 결합하되, 일단부가 가이드공(222a)에 삽입안내되는 제1가이드링크부재(225) 및 제2가이드링크부재(226)와, 상기 각각의 링크부재 상단부에 결합되는 굴곡진 판형태를 갖는 밀착가압부재(227)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대 통필름 실링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222)는 양단에 축으로 연결되는 제1안내부재(222-1)와 제2안내부재(222-2)로 형성되며, 각각의 안내부재(222)에 가이드공(222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대 통필름 실링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작동부(230)는 베이스고정판(210)에 고정되는 보조판(231)과, 상기 보조판(231)에 고정설치되며, 축에 전달기어가 장착된 작동장치부(232)와, 상기 전달기어와 치합작용하는 제1전달부(233)와, 상기 제1전달부(233)와 치합작용하는 제2전달부(235)와, 접합부조절수단(220)의 개수에 따라 설치된 제1전달부(233)를 연동작용하기 위해서 연결설치되는 연동수단(234)과, 상기 제2전달부(235)의 작용에 따라 접합부조절수단(220)을 상하로 링크작용시키기 위해 각각의 링크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안내축(236)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대 통필름 실링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링크부재 사이에 안내축(236)이 설치되는데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 사이에 내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고정부재(237)가 설치되고, 상기 나사부과 상호 대응하게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되, 중앙에서 양단부로 상호 반대되는 나사부가 형성된 안내축(236)이 고정부재(237)에 관통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대 통필름 실링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접합부조절수단(220)의 개수에 따라 제1전달부(233)을 연동작용시키는데 있어서,
    각각의 제1전달부(233) 사이 보조판(231)에 연동수단(234)의 텐션 작용 및 기동성을 상승시키기 위해 회전가능하게 보조기어(238)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대 통필름 실링장치.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달부(235)의 작용에 따라 안내축(236)이 이동하여 접합부조절수단(220)을 상하로 링크작용시키기 위해 베이스고정판(210)에 원형배열 형성되는 안내부(21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대 통필름 실링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접합수단(240)은 접합부조절수단(220)에 연결되는 지지부(241)와, 상기 지지부(241)에 설치되는 실린더(242)와, 상기 실린더(242)의 작용에 따라 작동하여 열접합하는 열접합부(24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대 통필름 실링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41)에 연결되어, 필름을 고정하기 위해 구비된 필름고정부재(23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대 통필름 실링장치.
KR1020140077416A 2014-06-24 2014-06-24 제대 통필름 실링장치 KR101673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416A KR101673254B1 (ko) 2014-06-24 2014-06-24 제대 통필름 실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416A KR101673254B1 (ko) 2014-06-24 2014-06-24 제대 통필름 실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254A KR20160000254A (ko) 2016-01-04
KR101673254B1 true KR101673254B1 (ko) 2016-11-07

Family

ID=55164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7416A KR101673254B1 (ko) 2014-06-24 2014-06-24 제대 통필름 실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32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0208A (ko) * 2021-08-03 2023-02-10 영 학 김 회전식 비닐 가공기 및 이를 통해 제조된 비닐 가공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54997A (zh) * 2020-11-25 2021-03-09 浙江彩汇包装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放料的薄膜制袋机放料装置
KR102421167B1 (ko) * 2022-04-12 2022-07-15 주식회사 엔비컨스 필름 결함 판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0571B1 (ko) 2002-07-04 2004-12-08 이광천 비닐백 제대기
KR20100115561A (ko) * 2009-04-20 2010-10-28 이지용 봉지형 포장지를 사용하는 자동포장장치
KR101197418B1 (ko) * 2010-12-14 2012-11-05 김기윤 오픈박스의 투명필름 자동 포장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0208A (ko) * 2021-08-03 2023-02-10 영 학 김 회전식 비닐 가공기 및 이를 통해 제조된 비닐 가공품
KR102508980B1 (ko) * 2021-08-03 2023-03-10 김영학 회전식 비닐 가공기 및 이를 통해 제조된 비닐 가공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254A (ko) 2016-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71447B2 (ja) 袋を形成する装置および方法
KR101673254B1 (ko) 제대 통필름 실링장치
CN207943628U (zh) 高速分切机
EP4300646A1 (en) Lamination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aminated electrode assembly
KR102206370B1 (ko) 박스 포장용 테이핑 장치
KR101428379B1 (ko) 상부 개구형 박스의 제조장치
EP1588950B1 (en) A method for forming a handle on film used to produce packs of rolls of products
WO2019163496A1 (ja) 製袋機、および、プラスチック袋の製造方法
KR0129033B1 (ko) 연속재료웨브의 모서리를 접는 장치
JP4122146B2 (ja) シート折曲げ装置とその方法
JP6244197B2 (ja) ウェブの継ぎ合わせ装置
JP2016157514A (ja) セパレータ材における異常部位の除去装置およびその除去方法
CN106144701B (zh) 一种皮革布匹卷绕封装装置
KR200226840Y1 (ko) 원단포장기의 포장비닐 융착부 절단장치
CN108341291B (zh) 直线式卷纸包装机及其控制方法
KR20160057434A (ko) 판지 블랭크 처리장치
JP3897040B2 (ja) 積層板製造用の金属箔と絶縁接着フィルムの積み重ね装置及び積み重ね方法
JP2006310670A (ja) 電圧変成器コイルの巻線装置
JP7053884B2 (ja) スタンピングフォイルを駆動する装置、スタンピングステーション及びスタンピング機、及びスタンピングフォイルの駆動を制御する方法
KR20130002675U (ko) 냅킨 자동 포장장치
CN209023883U (zh) 卷筒无胶封尾装置
KR101080913B1 (ko) 덕트용 압착장치
KR101035263B1 (ko) 다용도 비닐 봉투 자동 제조장치
KR102584531B1 (ko) 회전식 비닐 가공기 및 이를 통해 제조된 비닐 가공품
KR101409334B1 (ko) 알루미늄 lldpe 합지 중포용 포대 제조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