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5561A - 봉지형 포장지를 사용하는 자동포장장치 - Google Patents

봉지형 포장지를 사용하는 자동포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5561A
KR20100115561A KR1020090034195A KR20090034195A KR20100115561A KR 20100115561 A KR20100115561 A KR 20100115561A KR 1020090034195 A KR1020090034195 A KR 1020090034195A KR 20090034195 A KR20090034195 A KR 20090034195A KR 20100115561 A KR20100115561 A KR 201001155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apping paper
support member
disposed
shaft
force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4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용
Original Assignee
이지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용 filed Critical 이지용
Priority to KR1020090034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15561A/ko
Publication of KR20100115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55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65B1/06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by gravity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12Feeding flexible bags or carton blanks in flat or collapsed state; Feeding flat bags connected to form a series or chain
    • B65B43/14Feeding individual bags or carton blanks from piles or magazines
    • B65B43/16Feeding individual bags or carton blanks from piles or magazines by grippers
    • B65B43/18Feeding individual bags or carton blanks from piles or magazines by grippers by suction-operated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26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 B65B43/30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by grippers engaging opposed walls, e.g. suction-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65B51/22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by friction or ultrasonic or high-frequency electrical means, i.e. by friction or ultrasonic or induction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02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binding or wrapp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57/04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binding or wrapp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and operating to control, or to stop, the feed of such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봉지형 포장지를 사용하는 자동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피포장물을 낙하방식으로 공급하는 공급부를 갖고, 상기 공급부의 직하방에 배치되어 피포장물을 포장할 수 있는 자동포장수단을 갖는 자동포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동포장수단은 각 구성요소를 지지 고정하기 위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하부에 위치한 포장지수납실에 수평으로 놓여 있는 포장지를 압축기에 의한 공기압을 이용 작동하는 빨판으로 흡착하여 수직하게 들어올린 다음 포장지의 양측단을 잡아서 고정하는 집게부 사이에 공급하기 위한 포장지공급부와, 상기 집게부로 포장지를 고정한 상태에서 집게부를 이동시켜 포장지의 상단 개구부를 벌리거나 닫기 위한 포장지고정부와, 상기 벌려진 포장지 내로 상기 공급부로부터 낙하되는 피포장물을 담은 후 포장지의 개구부를 열융착 방식으로 밀봉하기 위한 포장지밀봉부와, 상기 각 부의 유기적인 작동을 위해 동력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유기적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각 부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여 다음 동작 단계로 이어지도록 제어하기 위한 센서감지부로 구성된 봉지형 포장지를 사용하는 자동포장장치를 제공한다.
포장장치, 포장지, 봉지, 피포장물, 지지부재, 집게부, 열융착

Description

봉지형 포장지를 사용하는 자동포장장치{A automatic packing apparatus using packing bag}
본 발명은 봉지형 포장지를 사용하는 자동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포장수단의 하부에 위치한 포장지수납실에 수평하게 수납된 봉지형 포장지를 들어올려 집게부로 고정한 다음 포장지의 개구부를 벌리고 여기에 피포장물을 낙하방식으로 공급하여 담은 상태에서 포장지의 개구부를 열융착 방식으로 밀봉하여 포장하는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봉지형 포장지를 사용하는 자동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포장분야에서 피포장물의 종류 및 피포장물의 공급방식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포장장치가 연구 개발되어 개시되어 있다.
특히, 피포장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포장방법을 적용되고 있음은 물론, 상기 포장방법에 적합한 포장장치가 제공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그중에서도 각종 곡물류와 같은 입자형 피포장물을 포장할 때에는 봉지형 포장지(혹은 포대)를 사용하여 포장을 하는 것이 보통인 바, 이러한 입자형 피포장물을 포장하고자 할 때, 통상적으로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이나 폴리에틸 렌(PE; Polyethylene) 재질로 제조된 봉지형 포장지를 사용하게 되고, 이러한 봉지형 포장지의 내부에 피포장물이 충진된 다음, 포장지의 개구부는 열융착 방식으로 밀봉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런데, 통상의 포장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피포장물의 종류에 따라 포장방법이 달라짐은 물론, 이러한 피포장물에 알맞은 포장방법에 따라 적절한 포장구조를 갖는 포장장치가 제공되고 있는 바, 종래 대부분의 포장장치는 포장분야의 특성상 규모적으로 그 크기가 매우 크고, 그에 따라 매우 넓은 설치공간을 차지하게 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판매자가 판매하고자 하는 품목을 즉석에서 포장하여 판매하는 자동판매기와 같은 제품의 경우, 자동판매기의 전체적인 규격을 고려할 때, 종래의 대형화된 자동포장장치를 적용하는 것을 불가능하다.
즉, 자동판매기와 같은 규모가 작은 제품의 내부에 설치될 자동포장장치는 그 규격면에서 소형화될 필요성이 있음은 당연하다.
그러나, 지금까지 자동판매기와 같은 소규모 제품의 내부에 설치되어 피포장물을 즉석에서 봉지형 포장지에 포장하여 판매할 수 있도록 제작된 자동포장장치는 거의 개시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연구 개발되고 있는 봉지형 포장지를 사용하는 자동포장장치에 있어서, 자동판매기와 같은 소규모의 크기를 갖는 제품의 내부 에 설치되어 판매되는 제품을 즉석에서 봉지형 포장지로 자동 포장하여 배출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자동포장장치를 제공하고자 발명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포장수단의 하부에 위치한 포장지수납실에 수평하게 수납된 봉지형 포장지를 들어올려 집게부에서 고정한 다음 포장지의 상단 개구부를 벌리고 여기에 피포장물을 낙하 방식으로 공급하여 담은 상태에서 포장지의 개구부를 열융착 방식으로 밀봉 포장하는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봉지형 포장지를 사용하는 자동포장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자동판매기와 같은 규격이 작은 제품의 밀폐된 좁은 공간 내에 설치되어 즉석에서 피포장물을 자동 포장할 수 있도록 크기 자체가 소형화되고 포장 정밀도가 우수한 자동포장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특징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피포장물을 낙하방식으로 공급하는 공급부를 갖고, 상기 공급부의 직하방에 배치되어 피포장물을 포장할 수 있는 자동포장수단를 갖는 자동포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동포장수단는 각 구성요소를 지지 고정하기 위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하부에 위치한 포장지수납실에 수평으로 놓여 있는 포장지를 압축기에 의한 공기압을 이용 작동하는 빨판으로 흡착하여 수직하게 들어올린 다음 포장지의 양측단을 잡아서 고정하는 집게부 사이에 공급하기 위한 포장지공급부와, 상기 집게부로 포장지를 고정한 상태에서 집게부를 이동시켜 포장지의 상단 개구부를 벌리거나 닫기 위한 포장지고정부와, 상기 벌려진 포장지 내로 상기 공급부로부터 낙하되는 피포장물을 담은 후 포장지의 개구부 를 열융착 방식으로 밀봉하기 위한 포장지밀봉부와, 상기 각 부의 유기적인 작동을 위해 동력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유기적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각 부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여 다음 동작 단계로 이어지도록 제어하기 위한 센서감지부로 구성된 봉지형 포장지를 사용하는 자동포장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포장지공급부는, 상기 지지부재 저면 쪽에 배치되어 포장지를 수평하게 적층 수납할 수 있는 포장지수납실과, 상기 지지부재 중간 부위에 형성된 격자형 가이드공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부재 사이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유동축과, 상기 유동축의 끝단에 연결링크를 매개로 연결되어 가이드공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롤러와, 상기 유동축상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압축기에 의한 공기압의 변화에 따라 왕복직선 운동을 하는 피스톤 및 이 피스톤의 끝단에 설치되어 포장지를 진공 흡착하여 들어 올리는 빨판이 설치된 복수의 진공실린더를 포함하되; 상기 빨판이 포장지를 흡착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 배치된 동력모터로부터 제1구동벨트를 매개로 양 지지부재사이에 배치된 제1구동축에 동력이 전달되고, 이에 상기 제1구동축의 양끝단인 지지부재의 외측면에 각각 배치된 제1편심캠이 제1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편심 회전하게 되며, 상기 제1편심캠의 상단에서 지지부재에 고정된 고정브라켓트를 관통하여 슬라이딩 되도록 설치된 제1피동축이 상기 제1편심캠의 회전 변위에 따라 제1편심캠과 접하면서 승하강 이동하게 되고, 상기 제1피동축의 끝단에 연결된 고정풀리와 중간중간 장력을 지탱하는 복수의 보조풀리를 매개로 상기 유동축과 연결 설치된 유동벨트가 제1피동축의 승하강 이동에 따라 동작함으로써, 상기 유동축이 가이드공을 따라서 이동되어 상 기 진공실린더를 회동시킴에 따라 상기 포장지가 수직하게 상기 포장지고정부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포장지고정부는, 포장지의 양측단을 잡을 수 있는 집게구조를 가지고 있으면서 후단에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탄성수단과 이 탄성수단에 병렬로 연결 배치된 접촉롤러가 각각 마련됨과 아울러 상기 지지부재에 상하 수평하게 배치된 상,하부슬라이딩축에 보조지지대를 매개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집게부와, 상기 집게부의 탄성수단과 접촉 연동되어 집게부의 집게구조를 열고 닫도록 상기 지지부재에 수평 배치된 제2구동축에 마련된 복수개의 제3편심캠과, 상기 집게부의 접촉롤러와 접촉 연동되어 집게부의 좌우 이동을 통해서 포장지의 개구부를 벌리고 닫을 수 있도록 상기 제3편심캠의 내측 제2구동축에 배치된 복수개의 좌우간격조절캠과, 상기 집게부의 가운데 전후방에 위치하면서 포장지의 전후면에 흡착됨으로써 집게부의 이동과 함께 포장지의 개구부를 벌려줄 수 있도록 왕복직선 운동을 하는 피스톤 및 이 피스톤의 끝단에 빨판을 갖춘 복수의 진공실린더를 포함하되; 상기 상,하부슬라이딩축은 상기 보조지지대와 각각 한쪽은 고정 상태로 연결되고, 다른 한쪽은 베어링을 통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지지부재 상에서 좌우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하부슬라이딩축의 일단이 지지부재 외측면을 통해 시소바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서로 시소작용과 같은 동작을 통해 연동되고, 상기 보조지지대 사이에는 탄성스프링이 배치되어 지속적으로 당겨주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포장지밀봉부는, 상기 동력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할 수 있 도록 상기 지지부재의 외주면 하단 부위에 구동풀리축을 매개로 설치되는 제2편심캠과,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된 고정브라켓트를 관통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제2편심캠의 상부에 배치되어 제2편심캠의 편심회전에 따라 승하강 이동하는 제2피동축과, 상기 제2피동축의 상단에 일단이 하향되게 연결된 복수의 회동링크 타단이 각각 몸체의 중간부위에 연결되어 회동링크와 함께 마름모꼴 형태로 상호 연동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브라켓트의 일측에서 회동 가능하면서 상향되게 배치된 복수의 경사링크와, 상기 각각의 경사링크 상단에 일체로 장착되어 서로 마주보는 대칭구조로 상기 집게부 상부쪽에 수평하게 배치된 히터브라켓트 상에 장착된 복수개의 고주파히터와, 상기 히터브라켓트의 상단부 일측에 일단이 연결되고 지지부재 일측에 타단이 고정된 탄성스프링을 포함한다.
또, 상기 센서감지부는 상기 제1구동축과 함께 회동하도록 제1구동축에 마련된 다수의 접촉식 제1,2회동판과, 상기 복수개 구비된 진공실린더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회동판의 각 접점과 접촉을 통해 상기 압축기의 구동에 따른 공기압을 개폐하는 솔레노이드밸브의 개폐시점을 감지하는 제2감지부와, 상기 제2회동판의 각 접점과 접촉을 통해 각 부의 구동시점을 제어하기 위한 제1감지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포장수단의 하부에 위치한 포장지수납실에 수평하게 수납된 봉지형 포장지를 들어올려 집게부에서 고정한 다음 포장지의 상단 개구부를 벌리고 여기에 피포장물을 낙하 방식으로 공급하여 담은 상태에서 포장지의 개구부 를 열융착 방식으로 밀봉 포장하는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봉지형 포장지를 사용하는 자동포장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자동판매기와 같은 소규모의 크기를 갖는 제품의 내부에 설치되어 판매되는 제품을 즉석에서 봉지형 포장지로 자동 포장하여 배출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자동포장장치는 그 크기 자체가 소형화되고 포장 정밀도가 우수함으로써, 즉석 도정한 곡물류를 자동 판매할 수 있는 자동판매기와 같은 규격이 작은 제품에 적용하여 아파트나 마트와 같은 소비자가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장소에서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은 첨부도면을 통해 설명되어지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단순 설계변경 등을 통해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음을 밝힌다.
다만, 본 발명의 첨부도면 등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을 보다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 지는 것이다.
한편,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포장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포장장치의 배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포장장치의 작동 관계를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포장지고정부의 동작을 다른 방식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2구동축 상에서 제3편심캠이 집게부와 함께 좌우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연결된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써, 도 8a 및 8b는 각각 요부를 단면형태로 보여주는 자동포장장치의 배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8c는 요부를 확대도시한 것이며, 도 8d는 제2구동축과 슬라이드부재가 볼을 매개로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또한,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캠 구동 방식이 아닌 실린더 구동방식을 적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포장장치는 피포장물(180)을 낙하방식으로 공급하는 공급부(도시되지 않음)의 직하방에 설치되어 즉석에서 열융착을 통해 봉지형 포장지(122)의 개구부를 밀봉 포장할 수 있는 자동포장수단(100)을 갖는 장치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자동포장장치는, 사전에 준비된 봉지형 포장지(122)에 피포장물(180)을 담을 수 있도록 포장지(122)를 하나씩 잡아서 피포장물(180)이 낙하되는 지점에 공급한 다음, 공급된 포장지(122)의 상단 개구부를 벌려서 포장지(122)에 피포장물(180)이 일정량 담기게 되면, 고주파히터(146)를 이용한 열융착 방식으로 포장지(122)의 개구부 상단을 밀봉할 수 있는 구성을 갖는다.
이를 위해 상기 자동포장수단(100)은, 크게 각 구성요소를 지지 고정하기 위 한 좌우 한쌍으로 이루어진 판상의 지지부재(110)와, 포장지수납실(121)에 수평으로 놓여 있는 봉지형 포장지(122)를 빨판(125)이 달린 피스톤(124)으로 들어 올린 다음, 포장지(122)를 양쪽에서 잡아서 고정할 수 있는 집게부(134) 사이에 공급하기 위한 포장지공급부(120)와, 상기 포장지공급부(120)를 통해 공급되는 포장지(122)를 집게부(134)로 고정한 다음, 포장지(122)에 피포장물(180)을 담을 수 있도록 좌우 양측에 배치된 집게부(134)를 서로 상응하게 내 외측으로 이동시켜 포장지(122)의 상단 개구부를 벌리거나 닫기 위한 포장지고정부(130)와, 상기 포장지고정부(130)를 통해 포장지(122)가 지지 고정된 상태에서 포장지(122) 내에 피포장물(180)이 설정된 양만큼 담겼을 때 포장지(122)의 개구부를 열융착 방식으로 밀봉하기 위한 포장지밀봉부(140)와, 상기 각 부의 유기적인 작동을 위해 동력모터(152)의 동력을 전달받아 이 동력을 유기적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150)와, 상기 각 부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여 다음 동작 단계로 이어지도록 제어하기 위한 센서감지부(16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재(110)은 대략 사각의 판상체 형상을 가지며, 서로 마주보고 대응 배치되어 후술하는 다수의 축 및 구성요소들을 지지 고정하게 된다.
특히,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110)의 중간 부위에는 각각 서로 대응되는 격자형 가이드공(111)이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공(111)에는 가이드공(111)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도록 한 쌍의 지지부재(111) 사이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유동축(126)과 이 유동축(126)의 양끝단에 연결링크(126b)를 매개로 각각 연결되어 가이드공(111)을 따라서 안내되는 가이드롤러(126b)가 배치되게 된다.
즉, 도 3a, 도 4a 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동축(126)은 포장지공급부(12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로써 포장지(122)를 흡착하여 들어 올리는 과정에서 회동축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유동축(126)이 가이드공(111)을 이동하게 됨에 따라 상기 빨판(125)이 포장지(122)를 흡착하여 수평으로 눕혀진 수납 상태에서 상기 공급부(미도시)의 직하방에 수직 상태로 위치하도록 이동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포장지고정부(130)를 통해서 포장지(122)의 상단 개구부가 벌려졌을 때, 상기 공급부(미도시)에서 낙하되는 피포장물(180)이 포장지(122)에 담겨져 포장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유동축(126) 상에는 상기 포장지(122)를 진공 흡착하여 들어 올릴 수 있는 복수의 진공실린더(123)가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되고, 상기 진공실린더(123)에는 압축기(170)의 구동에 따른 공기압(진공 상태의 유무)의 변화에 따라 왕복직선 운동을 하는 피스톤(124)이 설치되며, 이 피스톤(124)의 끝단에는 포장지(122)에 흡착하여 들어 올리는 빨판(125)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유동축(126)을 구동하기 위한 최초의 구동력은 상기 동력전달부(150)를 구성하는 동력모터(152)의 동력에 의해서 발생한다.
즉, 상기 동력모터(152)는 지지부재(110)의 후방 중간 부위에 고정 배치되어 제1구동벨트(153)를 매개로 좌우 지지부재(110)의 하단 부위에 배치된 제1구동축(129)에 동력을 전달하게 되고, 상기 제1구동축(129)의 양끝단인 지지부재(110)의 양 외측면에는 각각 제1편심캠(127)이 연결되어 제1구동축(129)의 회전에 따라 편심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편심캠(127)의 상단에는 제1피동축(128)이 지지부재(110)에 고정된 고정브라켓트(112)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상기 제1편심캠(127)의 회전 변위에 따라 제1편심캠(127)과 접하면서 승하강 이동하게 되고, 상기 제1피동축(128)의 끝단에는 고정풀리(156)를 매개로 상기 유동축(126)과 연결된 유동벨트(151)가 설치됨으로써, 제1피동축(128)의 승하강 이동함에 따라 유동벨트(151)가 동작하여 상기 유동축(126)이 가이드공(111)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는 결과적으로, 상기 유동축(126)에 설치된 진공실린더(123)가 회동하면서 빨판(125)에 흡착된 포장지(122)를 수평 상태에서 수직 상태로 이동시켜 상기 포장지고정부(130)로 공급하게 되는 구조를 제공하고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유동벨트(151)는 일단이 유동축(126)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풀리(156)를 사이에 두고 지지부재(110) 일측에 마련된 고정축에 고정되게 되며, 유동축(126)과의 연결부위에서는 장력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유동축(126)과 연결된 유동벨트(151)는 지그재그 형태로 장력을 받을 수 있도록 중간 중간에 복수의 보조풀리(157,158)가 매개되어 상기 제1피동축(128)이 승강할 때,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벨트(151)가 유동축(126)을 당겨 가이드공(111)을 따라서 상향 이동하도록 되어 있고, 반대로 상기 제1피동축(128)이 하강할 때, 도 3a, 도 5a 및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벨트(151)가 유동축(126)을 당기는 장력이 해제되면서 유동축(126)에 연결된 연결링크(126b)의 일측에 연결된 복원스프링(126c)의 복원력 의해서 유동축(126)이 가이드공(111)을 따라서 하향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포장지공급부(120)는 상기 유동축(126) 외에도 포장지(122)를 수평하게 적층 수납할 수 있는 포장지수납실(121)을 더 포함한다.
상기 포장지수납실(121)은 포장지(122) 사용에 따른 포장지(122)의 적층 높이가 줄어들 경우에 상기 빨판(125)과 피스톤(124)의 흡착 높이가 점점 늘어나는 것을 보상해 주기 위해 포장지(122)의 수납 높이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과 같은 탄성수단을 통해서 높이 보상해 줄 수 있는 구조를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포장지수납실(121)에 200여장의 포장지(122)가 한꺼번에 수납될 수 있는 데, 적층된 포장지(122)의 무게에 따라 탄성수단이 눌려 있다가 포장지(122)의 적층량이 줄게 되면, 차츰 차츰 탄성수단이 복원되어 높이를 보상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포장지공급부(120)의 작동으로 포장지(122)가 포장지고정부(130)에 공급되면, 포장지고정부(130)에서는 좌우측에 대응되게 위치한 집게부(134)로 포장지(122)의 양측단쪽을 잡아 고정한 상태에서 포장지(122)의 상단 개구부를 벌려 낙하되는 피포장물(180)을 담을 수 있도록 동작하게 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장지고정부(130)는 포장지(122)를 잡아 고정하는 집게부(134)를 가지고 있다.
상기 집게부(134)는 그 일단이 포장지(122)를 잡을 수 있는 집게 구조를 가지고 있으면서 그 타단은 제2구동축(131)에 마련된 제3편심캠(132)과 좌우간격조절 캠(133) 사이에서 각각 연동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2구동축(131)에 마련된 제3편심캠(132)은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탄성수단(135)을 갖춘 집게부(134)의 후단과 접촉하면서 집게부(134)를 벌리고 닫는 기능을 하게 된다.
즉,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게부(134)의 후단이 제3편심캠(132)의 최단 직경을 갖는 위치에 접촉하게 되면, 집게부(134)의 후단 탄성수단(135)의 스프링 작용으로 인해 링크 연결된 집게부(134)의 일단이 벌려지면서 포장지(122)를 잡을 수 있는 준비 상태에 놓이게 된다.
반대로, 상기 벌려진 집게부(134) 사이로 상기 포장지공급부(120)의 작동으로 포장지(122)가 공급되면, 상기 제2구동축(131)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집게부(134)의 후단과 접촉하고 있는 제3편심캠(132)의 직경에 변화가 오게 되고, 이에 제3편심캠(132)이 상기 집게부(134)의 후단을 밀어주게 됨에 따라 벌어진 집게부(134)를 닫아주게 된다.
즉, 상기 제3편심캠(132)의 최단 편심직경이 집게부(134)와 접촉하고 있던 상태에서 편심회전에 따라 접촉하고 있던 편심직경 길이가 점차 늘어나면서 제3편심캠(132)의 최장 편심직경 부위에 집게부(134) 후단이 접촉하게 되는 상태에 놓이게 되고, 이로 인해 집게부(134)의 후단 탄성수단(135)이 압축되면서 링크 구동에 의해 벌어져 있던 집게부(134)가 닫치면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게 형태로 포장지(122)를 꽉잡아 주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좌우간격조절캠(133)은 상기 집게부(134) 후단에 병렬 연결된 접촉롤러(136)와 접촉하여 집게부(134)가 좌우 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집게부(134)가 포장지(122)를 꽉 잡고 있는 상태에서 포장지(122)의 상단 개구부를 벌려주거나 팽팽하게 닫아주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접촉롤러(136)와 접촉되는 상기 좌우간격조절캠(133)의 폭길이가 가변됨에 따라 좌우측에 나란히 배치된 집게부(134)가 내측방향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지(122)의 상단 개구부를 벌리게 되고, 이렇게 포장지(122)가 벌려져 있던 상태에서 집게부(122)가 외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포장지(122)의 개구부가 좌우측으로 팽팽하게 당겨지면서 닫히게 된다.
이때, 상기 집게부(134)의 좌우측 이동은 후술하는 보조지지대(165,166) 및 상,하부슬라이딩축(167,168)과의 상호 연동되는 구조를 통해서 가능하게 된다.
즉, 도 2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우측 집게부(122)는 각각 보조지지대(165,166)를 매개로 지지부재(110) 상에 상하 수평하게 배치된 상,하부슬라이딩축(167,168)에 연결되어 있는 바, 상기 상,하부슬라이딩축(167,168)은 상기 보조지지대(165,166)와 각각 한쪽은 고정 상태로 연결되고, 다른 한쪽은 베어링(165a,166a)을 통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즉, 일측 보조지지대(165)는 상부슬라이딩축(167)과는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베어링(165a)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하부슬라이딩축(168)과는 고정 연결되어 있다.
또한, 타측 보조지지대(166)는 상부슬라이딩축(167)과 고정 연결되어 있고, 하부슬라이딩축(168)과는 베어링(166a)을 통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특히, 상기 상,하부슬라이딩축(167,168)은 지지부재(110) 외측면을 통해 시소바(169)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서로 시소작용과 같은 동작을 통해 연동됨으로써, 서로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부재(110) 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보조지지대(165,166) 사이에는 탄성스프링(171)이 배치되어 보조지지대(165,166) 끼리 지속적으로 당겨주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유기적인 연결구조를 바탕으로, 상기 상,하부슬라이딩축(167,168)과 한 쌍의 보조지지대(166)는 상기 좌우간격조절캠(133)과 접촉롤러의 접촉에 의한 좌우간격조절캠(133)의 폭이 가변됨에 따라 좌우 슬라이딩 이동되고, 이에 따라 보조지지대(165,166)에 연결된 집게부(134)가 내측 혹은 외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좌우간격조절캠(133)의 최장 폭길이를 갖는 외주면과 집게부(134)의 접촉롤러(136)가 접촉된 상태에서는 상기 보조지지대(165,166)사이를 연결하는 탄성스프링(171)의 탄성력(당기는 힘)에 관계없이 집게부(134)의 이동이 제한되나, 상기 좌우간격조절캠(133)의 최단 폭길이를 갖는 외주면과 집게부(134)의 접촉롤러(136)가 접촉되면, 상기 보조지지대(165,166)사이에 연결된 탄성스프링(171)에 의한 탄성력(당기는 힘)에 의해서 좌우간격조절캠(133)의 폭길이 변화만큼 상부슬라이딩축(167)을 안쪽으로 당겨주게 되고, 이에 따라 상부슬라이딩축(167)에 연결된 보조지지대(166) 및 집게부(134)가 안쪽으로 이동하게 되며, 집게부(134)에 고 정되어 있는 포장지(122)의 양측단쪽이 내측으로 모아지면서 포장지(122)의 상단 개구부 벌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하부슬라이딩축(168)에 베어링(166a) 연결된 보조지지대(166)는 하부슬라이딩축(168) 상에서는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상부슬라이딩축(167)이 안쪽으로 당겨지게 되면, 그 반대편에 위치한 시소바(169)가 작동하여 하부슬라이딩축(168)으로 반대쪽으로 당겨주게 되고, 이때, 상기 하부슬라이딩축(168)에 고정 연결된 타측 보조지지대(165)가 안쪽으로 이동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상부슬라이딩축(167)에 베어링(165a) 연결된 타측 보조지지대(165)는 상부슬라이딩축(167) 상에서는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상기 좌우간격조절캠(133)과 접촉롤러(136)의 접촉 위치에 따라 상기 집게부(134)의 좌우 이동이 결정되고, 이는 포장지(122)의 개구부가 열리고 닫히는 작용하게 되는 바, 이러한 작동 관계가 도 4b, 도 5b 및 도 6에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한편, 상기 포장지고정부(130)에서 포장지(122)를 잡아 벌려줄 때, 상기 집게부(134)의 이동과 함께 집게부(134)의 가운데 부위에서 전후방으로 배치된 진공실린더(137)가 동작하게 된다.
상기 진공실린더(137)는 상기 유동축(126)에 설치된 진공실린더(123) 동일한 구조를 갖는 것으로써, 상기 포장지고정부(130)에 마련된 진공실린더(137)는 집게부(134)의 전후방에 위치한 보조지지대(137a,137b)상에 배치되어 압축기(170)와 연결되어 있다.
즉, 도 4b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게부(134)로 포장지(122)를 잡고 있는 상태에서 포장지(122)의 전후면에 위치하는 진공실린더(137)로부터 피스톤(138)과 빨판(139)이 이동하여 포장지(122)에 빨판(139)이 흡착된 후, 집게부(134)가 안쪽으로 이동하는 동안 진공실린더(137)의 피스톤(138)과 빨판(139)이 포장지(122)의 전후면을 바깥쪽으로 당겨 벌려주게 되고, 포장지(122)가 다 벌려진 상태에서 빨판(139)은 포장지(122)에서 떨어져 초기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한편,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장지밀봉부(140)는 고주파히터(146)를 이용하여 피포장물(180)이 담긴 포장지(122)의 개구부를 열융착 방식으로 밀봉하는 역할하는 것이다.
상기 포장지밀봉부(140)는 서로 마주보고 대응되는 복수의 히터브라켓트(145)상에 한 쌍을 이루는 고주파히터(146)가 각각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을 이루는 고주파히터(166) 사이에 포장지(122)의 개구부를 물려서 일정시간 히팅을 통해 밀봉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포장지밀봉부(140)는 상기 지지부재(110)의 외주면에 설치된 제2편심캠(141)의 편심 회전에 따라서 상기 한 쌍을 이루는 고주파히터(146)가 접촉했다 벌어졌다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편심캠(141)은 한 쌍의 지지부재(110) 외주면에 상호 대칭되는 구조로 각각 설치된다.
이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한쪽 지지부재(110)의 제2편심캠(141)만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2편심캠(141)은 상기 제1편심캠(127)의 반대편인 지지부 재(110)의 외주면 하단 부위에 구동풀리축(141a)을 매개로 설치되고, 상기 제2편심캠(141)의 상단에는 제2피동축(142)이 지지부재(110)에 고정된 고정브라켓트(113)를 관통하여 슬라이딩 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피동축(142)의 상단에는 대칭구조를 갖는 복수개의 회동링크(144) 일단이 하향 경사지게 연결됨과 동시에 회동링크(144)의 타단은 상기 고정브라켓트(113)의 일측에 지지되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개의 경사링크(143)의 중간 부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상기 복수의 회동링크(144)와 복수의 경사링크(143)는 그 연결구조에 있어서 대략 마름모꼴 형태로 상호 연동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경사링크(143) 상단에는 서로 마주보고 배치되는 한 쌍의 히터브라켓트(145)가 수평하게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히터브라켓트(145)의 내주면에는 각각 고주파히터(146)가 장착되어 있다.
이때, 안쪽 히터브라켓트(145)의 상단부 일측에는 지지부재(110) 일측에 일단이 고정된 탄성스프링(167)이 연결되어 있어 상기 히터브라켓트(145)의 움직이는 방향에 따라 스프링에 의한 탄성력 및 복원력이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처럼, 상기 한 쌍의 히터브라켓트(145)는 좌우 지지부재(110)의 양 외주면에 각각 배치된 복수의 경사링크(143)에 각각 수평 연결 고정되어 서로 마주보는 대칭구조를 가짐으로써, 도 5a 및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링크(143) 및 회동링크(144)의 절첩 동작에 따라 상기 한 쌍의 히터브라켓트(145)에 장착된 고주파히터(146)가 서로 접하거나 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경사링크(143) 및 회동링크(144)의 절첩 동작은 상기 제2편심캠(141)의 회동에 따른 편심 변위가 발생하여 상기 제2편심캠(141)에 접하고 있는 제2피동축(142)이 승하강 이동하기 때문에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제2편심캠(141)의 회동은 상기 동력모터(152)에서 발생된 동력이 상기 제1구동축(129)과 구동풀리축(141a)을 연결하는 제2구동벨트(154)를 통해서 전달되기 때문에 가능하다.
즉, 상기 제2편심캠(141)이 회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2편심캠(141)의 최장 편심직경쪽으로 상기 제2피동축(142)과 접촉하여 제2피동축(142)을 밀어주면, 상기 제2피동축(142)이 승강하면서 상기 회동링크(144)와 경사링크(143)가 안쪽으로 모아지게 되고, 그 결과, 첨부도면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링크(143)에 고정된 한 쌍의 히터브라켓트(145)가 안쪽으로 모아지면서 히터브라켓트(145)에 일체로 장착된 한 쌍의 고주파히터(146)가 포장지(122)의 개구부를 맞물어 주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일정시간 동안 고주파히터(146)로 히팅함으로써, 포장지(122)의 개구부가 밀봉되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상기 제2편심캠(141)이 회동하는 과정에서 최단 편심직경 쪽으로 상기 제2피동축(142)과 접촉하게 되면, 상기 제2피동축(142)이 하강하면서 상기 회동링크(144)와 경사링크(143)가 바깥쪽으로 벌어지게 되고, 결과적으로 한 쌍의 고주파히터(146)가 일정간격을 두고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이 상태가 포장지(122)를 밀봉하기 전의 단계로써, 상기 포장지밀봉 부(140)는 포장지(122)를 밀봉하지 않을 때에 상기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게 된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력전달부(150)는 동력모터(152)에서 발생된 동력을 순차적으로 제1구동축(129), 제2구동축(131) 및 구동풀리축(141a)으로 전달하기 위한 벨트 타입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부위를 총칭하는 것으로써, 상기 동력전달부(150)의 제1구동벨트(153)는 동력모터(152)와 제1구동축(129) 사이를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게 되고, 상기 제1구동축(129)과 좌우측 지지부재(110)에 마련된 구동풀리축(141a) 사이에는 복수개의 제2구동벨트(154)가 매개되어 각각 동력을 전달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하로 배치된 제1구동축(129)과 제2구동축(131) 사이에는 제3구동벨트가 매개되어 동력을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유동축(126)을 구동하기 위해서 별도의 유동벨트(151)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서감지부(160)는 상기 제1구동축(129)의 회전에 따른 각 부의 구동 상태를 감지하여 각 단계별 동작 시점을 제어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상기 센서감지부(150)는 상기 제1구동축(129)과 함께 회동하도록 제1구동축(129)에 마련된 다수의 접촉식 제1,2회동판(163,164)과, 상기 복수개 구비된 진공실린더(123,137)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회동판(163)의 각 접점과 접촉을 통해 상기 압축기(170)의 구동에 따른 공기압을 개폐하는 솔레노이드밸브의 개폐시점을 감지하는 제2감지부(162)와, 상기 제2회동 판(164)의 각 접점과 접촉을 통해 각 부의 구동시점을 제어하기 위한 제1감지부(161)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2감지부(161,162)는 지지부재(110)에 연결 고정된 보조지지대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1,2회동판(163,164)의 각 접점과 접촉을 통해 제어 시점을 감지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도 8a 내지 도 8d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동포장장치의 포장지고정부 중 제1실시예와 비교 대체되는 요부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동포장장치는, 상기 제1실시예에서 보여주는 포장지고정부(130)의 동작 중 포장지(122)의 개구부를 벌리고 닫는 동작과 관련하여 상기 제3편심캠(132)과 집게부(134)의 후단 탄성수단(135)의 접촉 회동시 마찰력을 감소시켜 보다 자연스럽게 동작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보조지지대(165,166)를 상하 지지하면서 시소바에 의해 연동되는 구조를 갖던 상하슬라이드축(167,168)의 기능을 변경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는 것이다.
즉,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집게부(134)에 고정된 보조지지대(165,166)가 상,하슬라이드축(167,168) 상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상,하슬라이드축(167,168)이 지지판(110) 사이에서 시소바(169)의 작동에 의해 상호 연동되어 좌우 슬라이드되도록 배치되어 있었으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상,하슬라이드축(167,168)이 지지판(110) 상에 고정된 상,하고정축(167a,168a)으로 변경 대체되고, 상기 보조지지대(165,166)는 상기 상,하고정축(167a,168a) 상에 베어링(165a,166a) 구조로 각각 체결됨으로써, 상기 상,하고정축(167a,168a) 상에서 보 조지지대(165,166)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3편심캠(132)은 슬라이드부재(132a)를 매개로 제2구동축(131) 상에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바, 상기 슬라이드부재(132a)와 제2구동축(131) 사이에는 볼(132c)이 매개되고, 상기 볼(132c)은 제2구동축(131) 상에 형성된 요홈(132d)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때,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구동축(131) 상에는 120°간격으로 세 개의 요홈(132d)이 형성되어 각각의 요홈(132d)에 적어도 하나씩 볼(132c)이 배치되어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함과 동시에 상기 제2구동축(131)이 회동할 때 제2구동축(131) 상에서 볼(132c)이 고정핀 역할을 하여 슬라이드부재(132a)가 제3편심캠(132)과 함께 회동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특히, 상기 제2구동축(131)에 형성된 요홈(132d)의 길이는 상기 집게부(134)가 안쪽으로 이동하여 포장지(122)의 개구부를 벌려주는 이동거리(혹은 길이)에 대등되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3편심캠(132)은 보조링크(132b)를 통해서 상기 집게부(134)와 일체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집게부(134)와 보조지지대(165,166)의 이동방향으로 제3편심캠(132)이 함께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좌우간격조절캠(133)과 접촉롤러(136)의 접촉 위치에 따라 상기 집게부(134)의 좌우 이동될 때, 집게부(134)와 보조지지대(165,166)의 이동방향으로 제3편심캠(132)이 함께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자동포장장치를 보여주 는 것으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나타난 제1편심캠(127), 제2편심캠(141), 제3편심캠(132)의 기능을 실린더의 피스톤 작동 방식으로 변경한 것으로, 도 9a에는 제1실시예에서 보여주는 제1편심캠(127) 대신에 제1실린더(128a)를 사용하여 제1피동축(128)을 구동함으로써, 유동벨트(151)를 통한 유동축(126)의 이동을 구현하고 있고, 상기 제1실시예에서 보여주는 제2편심캠(141) 대신에 제2실린더(142)을 통해서 제2피동축(142)을 구동함으로써, 상기 포장지밀봉부(140)의 고주파히터(146)가 상호 밀착 혹은 벌어지는 구동을 구현하고 있는 것이다.
즉, 제1실린더(128a) 및 제2실린더(142a)의 피스톤 작동을 통해 각각 제1피동축(128)과 제2피동축(142)을 보다 간편하게 구동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9b에는 제1실시에에서 상기 제3편심캠(132)과 탄성수단(135)의 상호 작용을 통해 집게부(134)를 벌려주던 것을 제3실린더(134a)에 의한 피스톤 작용으로 집게부(134)를 벌려주도록 하고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캠구동 방식이 아닌 실린더에 의한 피스톤 작동 방식으로 각 부의 구동이 가능함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 각 제1,2,3실린더(128a,142a,134a)의 구동 시점은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에 의한 제어를 통해서 이루어지게 됨은 당연하다.
이상, 본 발명은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와 이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포장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포장장치의 배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포장장치의 작동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써, 포장지를 흡착하여 포장지고정부로 공급하기 위한 동작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포장장치의 작동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써, 포장지고정부에서 집게부로 포장지를 고정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포장장치의 작동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써, 포장지고정부에서 집게부가 내측으로 이동하여 포장지의 개구부를 벌려 준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포장장치의 작동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써, 포장지 내에 피포장물이 담긴 상태에서 포장지의 개구부를 닫아주기 위해 집게부가 외측으로 이동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7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포장장치의 작동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써, 포장지밀봉부의 고주파히터를 통해서 포장지의 개구부를 밀봉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포장지고정부의 동작을 다른 방식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2구동축 상에서 제3편심캠이 집게부와 함께 좌우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연결된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써, 도 8a 및 8b는 각각 요부를 단면형태로 보여주는 자동포장장치의 배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8c는 요부를 확대도시한 것이며, 도 8d는 제2구동축과 슬라이드부재가 볼을 매개로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캠 구동 방식이 아닌 실린더 구동방식을 적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자동포장수단 110 : 지지부재
111 : 가이드공 120 : 포장지공급부
122 : 포장지 125 : 빨판
126 : 유동축 127 : 제1편심캠
130 : 포장지고정부 131 : 제1구동축
132 : 제3편심캠 133 : 좌우간격조절캠
134 : 집게부 137 : 진공실린더
140 : 포장지밀봉부 141 : 제2편심캠
146 : 고주파히터 150 : 동력전달부
151 : 유동벨트 152 : 동력모터
160 : 센서감지부 166 : 보조지지대
170 : 압축기 180 : 피포장물

Claims (13)

  1. 피포장물(180)을 낙하방식으로 공급하는 공급부를 갖고, 상기 공급부의 직하방에 배치되어 피포장물(180)을 포장할 수 있는 자동포장수단(100)을 갖는 자동포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동포장수단(100)은 각 구성요소를 지지 고정하기 위한 지지부재(110)와, 상기 지지부재(110) 하부에 위치한 포장지수납실(121)에 수평으로 놓여 있는 포장지(122)를 압축기(170)에 의한 공기압을 이용 작동하는 빨판(125)으로 흡착하여 수직하게 들어올린 다음 포장지(122)의 양측단을 잡아서 고정하는 집게부(134) 사이에 공급하기 위한 포장지공급부(120)와, 상기 집게부(134)로 포장지(122)를 고정한 상태에서 집게부(134)를 이동시켜 포장지(122)의 상단 개구부를 벌리거나 닫기 위한 포장지고정부(130)와, 상기 벌려진 포장지(122) 내로 상기 공급부로부터 낙하되는 피포장물(180)을 담은 후 포장지(122)의 개구부를 열융착 방식으로 밀봉하기 위한 포장지밀봉부(140)와, 상기 각 부의 유기적인 작동을 위해 동력모터(152)의 동력을 전달받아 유기적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150)와, 상기 각 부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여 다음 동작 단계로 이어지도록 제어하기 위한 센서감지부(1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지형 포장지를 사용하는 자동포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지공급부(120)는,
    상기 지지부재(110) 저면 쪽에 배치되어 포장지(122)를 수평하게 적층 수납할 수 있는 포장지수납실(121)과, 상기 지지부재(110) 중간 부위에 형성된 격자형 가이드공(11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부재(111) 사이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유동축(126)과, 상기 유동축(126)의 끝단에 연결링크(126b)를 매개로 연결되어 가이드공(111)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롤러(126b)와, 상기 유동축(126)상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압축기(170)에 의한 공기압의 변화에 따라 왕복직선 운동을 하는 피스톤(124) 및 이 피스톤(124)의 끝단에 설치되어 포장지(122)를 진공 흡착하여 들어 올리는 빨판(125)이 설치된 복수의 진공실린더(123)를 포함하되;
    상기 빨판(125)이 포장지(122)를 흡착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110)에 고정 배치된 동력모터(152)로부터 제1구동벨트(153)를 매개로 양 지지부재(110)사이에 배치된 제1구동축(129)에 동력이 전달되고, 이에 상기 제1구동축(129)의 양끝단인 지지부재(110)의 외측면에 각각 배치된 제1편심캠(127)이 제1구동축(129)의 회전에 따라 편심 회전하게 되며, 상기 제1편심캠(127)의 상단에서 지지부재(110)에 고정된 고정브라켓트(112)를 관통하여 슬라이딩 되도록 설치된 제1피동축(128)이 상기 제1편심캠(127)의 회전 변위에 따라 제1편심캠(127)과 접하면서 승하강 이동하게 되고, 상기 제1피동축(128)의 끝단에 연결된 고정풀리(156)와 중간중간 장력을 지탱하는 복수의 보조풀리(157,158)를 매개로 상기 유동축(126)과 연결 설치된 유동벨트(151)가 제1피동축(128)의 승하강 이동에 따라 동작함으로써, 상기 유동축(126)이 가이드공(111)을 따라서 이동되어 상기 진공실린더(123)를 회동시킴에 따라 상기 포장지(122)가 수직하게 상기 포장지고정부(130)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봉지형 포장지를 사용하는 자동포장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지고정부(130)는,
    상기 포장지(122)를 잡을 수 있는 집게구조를 가지고 있으면서 후단에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탄성수단(135)과 이 탄성수단에 병렬로 연결 배치된 접촉롤러(136)가 각각 마련됨과 아울러 상기 지지부재(110)에 상하 수평하게 배치된 상,하부슬라이딩축(167,168)에 보조지지대(165,166)를 매개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집게부(134)와, 상기 집게부(134)의 탄성수단(135)과 접촉 연동되어 집게부(134)의 집게구조를 열고 닫도록 상기 지지부재(110)에 수평 배치된 제2구동축(131)에 마련된 복수개의 제3편심캠(132)과, 상기 집게부(134)의 접촉롤러(136)와 접촉 연동되어 집게부(134)의 좌우 이동을 통해서 포장지(122)의 개구부를 벌리고 닫을 수 있도록 상기 제3편심캠(132)의 내측 제2구동축(131)에 배치된 복수개의 좌우간격조절캠(133)과, 상기 집게부(134)의 가운데 전후방에 위치하면서 포장지(122)의 전후면에 흡착됨으로써 집게부(134)의 이동과 함께 포장지(122)의 개구부를 벌려줄 수 있도록 왕복직선 운동을 하는 피스톤(138) 및 이 피스톤(138)의 끝단에 빨판(139)을 갖춘 복수의 진공실린더(137)를 포함하되;
    상기 상,하부슬라이딩축(167,168)은 상기 보조지지대(165,166)와 각각 한쪽은 고정 상태로 연결되고, 다른 한쪽은 베어링(165a,166a)을 통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지지부재(110) 상에서 좌우 슬라이딩 이동 가능 하게 배치되며, 상,하부슬라이딩축(167,168)의 일단이 지지부재(110) 외측면을 통해 시소바(169)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서로 시소작용과 같은 동작을 통해 연동되고, 상기 보조지지대(165,166) 사이에는 탄성스프링(171)이 배치되어 지속적으로 당겨주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지형 포장지를 사용하는 자동포장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지밀봉부(140)는,
    동력모터(152)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110)의 외주면 하단 부위에 구동풀리축(141a)을 매개로 설치되는 제2편심캠(141)과, 상기 지지부재(110)에 고정된 고정브라켓트(113)를 관통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제2편심캠(141)의 상부에 배치되어 제2편심캠(141)의 편심회전에 따라 승하강 이동하는 제2피동축(142)과, 상기 제2피동축(142)의 상단에 일단이 하향되게 연결된 복수의 회동링크(144) 타단이 각각 몸체의 중간부위에 연결되어 회동링크(144)와 함께 마름모꼴 형태로 상호 연동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브라켓트(113)의 일측에서 회동 가능하면서 상향되게 배치된 복수의 경사링크(143)와, 상기 각각의 경사링크(143) 상단에 일체로 장착되어 서로 마주보는 대칭구조로 상기 집게부(134) 상부쪽에 수평하게 배치된 히터브라켓트(145) 상에 장착된 복수개의 고주파히터(146)와, 상기 히터브라켓트(145)의 상단부 일측에 일단이 연결되고 지지부재(110) 일측에 타단이 고정된 탄성스프링(16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지형 포장지를 사용하는 자동포장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지밀봉부(140)는,
    상기 동력모터(152)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110)의 외주면 하단 부위에 구동풀리축(141a)을 매개로 설치되는 제2편심캠(141)과, 상기 지지부재(110)에 고정된 고정브라켓트(113)를 관통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제2편심캠(141)의 상부에 배치되어 제2편심캠(141)의 편심회전에 따라 승하강 이동하는 제2피동축(142)과, 상기 제2피동축(142)의 상단에 일단이 하향되게 연결된 복수의 회동링크(144) 타단이 각각 몸체의 중간부위에 연결되어 회동링크(144)와 함께 마름모꼴 형태로 상호 연동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브라켓트(113)의 일측에서 회동 가능하면서 상향되게 배치된 복수의 경사링크(143)와, 상기 각각의 경사링크(143) 상단에 일체로 장착되어 서로 마주보는 대칭구조로 상기 집게부(134) 상부쪽에 수평하게 배치된 히터브라켓트(145) 상에 장착된 복수개의 고주파히터(146)와, 상기 히터브라켓트(145)의 상단부 일측에 일단이 연결되고 지지부재(110) 일측에 타단이 고정된 탄성스프링(16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지형 포장지를 사용하는 자동포장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감지부(160)는 상기 제1구동축(129)과 함께 회동하도록 제1구동축(129)에 마련된 다수의 접촉식 제1,2회동판(163,164)과, 상기 복수개 구비된 진 공실린더(123,137)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회동판(163)의 각 접점과 접촉을 통해 상기 압축기(170)의 구동에 따른 공기압을 개폐하는 솔레노이드밸브의 개폐시점을 감지하는 제2감지부(162)와, 상기 제2회동판(164)의 각 접점과 접촉을 통해 각 부의 구동시점을 제어하기 위한 제1감지부(16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지형 포장지를 사용하는 자동포장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지고정부(130)는,
    상기 포장지(122)를 잡을 수 있는 집게구조를 가지고 있으면서 후단에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탄성수단(135)과 이 탄성수단에 병렬로 연결 배치된 접촉롤러(136)가 각각 마련됨과 아울러 상기 지지부재(110)에 상하 수평하게 배치된 상,하부고정축(167a,168a)에 보조지지대(165,166)를 매개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집게부(134)와, 상기 집게부(134)의 탄성수단(135)과 접촉 연동되어 집게부(134)의 집게구조를 열고 닫도록 상기 지지부재(110)에 수평 배치된 제2구동축(131)에 마련된 복수개의 제3편심캠(132)과, 상기 집게부(134)의 접촉롤러(136)와 접촉 연동되어 집게부(134)의 좌우 이동을 통해서 포장지(122)의 개구부를 벌리고 닫을 수 있도록 상기 제3편심캠(132)의 내측 제2구동축(131)에 배치된 복수개의 좌우간격조절캠(133)과, 상기 집게부(134)의 가운데 전후방에 위치하면서 포장지(122)의 전후면에 흡착됨으로써 집게부(134)의 이동과 함께 포장지(122)의 개구부를 벌려줄 수 있도록 왕복직선 운동을 하는 피스톤(138) 및 이 피스톤(138)의 끝단에 빨판(139)을 갖춘 복수의 진공실린더(137)를 포함하되;
    상기 상,하부고정축(167a,168a)은 지지부재(110) 상에 지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지지대(165,166)가 각각 베어링(165a,166a)을 통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배치되고, 상기 보조지지대(165,166) 사이에는 탄성스프링(171)이 배치되어 지속적으로 당겨주며, 상기 제3편심캠(132)은 상기 제2구동축(131) 상에 형성된 요홈(132d)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된 볼(132c)을 매개로 슬라이드부재(132a)상 일체로 조립 설치됨과 아울러 보조링크(132b)를 통해서 상기 집게부(134)와 일체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지형 포장지를 사용하는 자동포장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지밀봉부(140)는,
    상기 동력모터(152)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110)의 외주면 하단 부위에 구동풀리축(141a)을 매개로 설치되는 제2편심캠(141)과, 상기 지지부재(110)에 고정된 고정브라켓트(113)를 관통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제2편심캠(141)의 상부에 배치되어 제2편심캠(141)의 편심회전에 따라 승하강 이동하는 제2피동축(142)과, 상기 제2피동축(142)의 상단에 일단이 하향되게 연결된 복수의 회동링크(144) 타단이 각각 몸체의 중간부위에 연결되어 회동링크(144)와 함께 마름모꼴 형태로 상호 연동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브라켓트(113)의 일측에서 회동 가능하면서 상향되게 배치된 복수의 경사링크(143)와, 상기 각각의 경사링크(143) 상단에 일체로 장착되어 서로 마주보는 대칭구조로 상기 집게부(134) 상부쪽에 수평하게 배치된 히터브라켓트(145) 상에 장착된 복수개의 고주파히터(146)와, 상기 히터브라켓트(145)의 상단부 일측에 일단이 연결되고 지지부재(110) 일측에 타단이 고정된 탄성스프링(16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지형 포장지를 사용하는 자동포장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지공급부(120)는,
    상기 지지부재(110) 저면 쪽에 배치되어 포장지(122)를 수평하게 적층 수납할 수 있는 포장지수납실(121)과, 상기 지지부재(110) 중간 부위에 형성된 격자형 가이드공(11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부재(111) 사이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유동축(126)과, 상기 유동축(126)의 끝단에 연결링크(126b)를 매개로 연결되어 가이드공(111)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롤러(126b)와, 상기 유동축(126)상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압축기(170)에 의한 공기압의 변화에 따라 왕복직선 운동을 하는 피스톤(124) 및 이 피스톤(124)의 끝단에 설치되어 포장지(122)를 진공 흡착하여 들어 올리는 빨판(125)이 설치된 복수의 진공실린더(123)를 포함하되;
    상기 빨판(125)이 포장지(122)를 흡착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110)에 고정 배치된 동력모터(152)로부터 제1구동벨트(153)를 매개로 양 지지부재(110)사이에 배치된 제1구동축(129)에 동력이 전달되고, 상기 지지부재(110)의 외측면에 고정된 고정브라켓트(112)를 관통하여 슬라이딩 되도록 설치된 제1피동축(128)이 제1 실린더(128a)의 피스톤 이동에 따라 승하강 이동하게 되며, 상기 제1피동축(128)의 끝단에 연결된 고정풀리(156)와 중간중간 장력을 지탱하는 복수의 보조풀리(157,158)를 매개로 상기 유동축(126)과 연결 설치된 유동벨트(151)가 제1피동축(128)의 승하강 이동에 따라 동작함으로써, 상기 유동축(126)이 가이드공(111)을 따라서 이동되어 상기 진공실린더(123)를 회동시킴에 따라 상기 포장지(122)가 수직하게 상기 포장지고정부(130)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지형 포장지를 사용하는 자동포장장치.
  10.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지고정부(130)는,
    상기 포장지(122)를 잡을 수 있는 집게구조를 가지고 후단의 제3실린더(134a)의 피스톤 작동에 의해 벌려지고 닫히는 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제3실린더(134a) 측면에 일체로 병렬로 연결 배치된 접촉롤러(136)가 각각 마련됨과 아울러 상기 지지부재(110)에 상하 수평하게 배치된 상,하부슬라이딩축(167,168)에 보조지지대(165,166)를 매개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집게부(134)와, 상기 집게부(134)의 접촉롤러(136)와 접촉 연동되어 집게부(134)의 좌우 이동을 통해서 포장지(122)의 개구부를 벌리고 닫을 수 있도록 상기 제2구동축(131)에 배치된 복수개의 좌우간격조절캠(133)과, 상기 집게부(134)의 가운데 전후방에 위치하면서 포장지(122)의 전후면에 흡착됨으로써 집게부(134)의 이동과 함께 포장지(122)의 개구부를 벌려줄 수 있도록 왕복직선 운동을 하는 피스톤(138) 및 이 피스톤(138)의 끝 단에 빨판(139)을 갖춘 복수의 진공실린더(137)를 포함하되;
    상기 상,하부슬라이딩축(167,168)은 상기 보조지지대(165,166)와 각각 한쪽은 고정 상태로 연결되고, 다른 한쪽은 베어링(165a,166a)을 통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지지부재(110) 상에서 좌우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하부슬라이딩축(167,168)의 일단이 지지부재(110) 외측면을 통해 시소바(169)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서로 시소작용과 같은 동작을 통해 연동되고, 상기 보조지지대(165,166) 사이에는 탄성스프링(171)이 배치되어 지속적으로 당겨주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지형 포장지를 사용하는 자동포장장치.
  11.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지고정부(130)는,
    상기 포장지(122)를 잡을 수 있는 집게구조를 가지고 후단의 제3실린더(134a)의 피스톤 작동에 의해 벌려지고 닫히는 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제3실린더(134a) 측면에 일체로 병렬로 연결 배치된 접촉롤러(136)가 각각 마련됨과 아울러 상기 지지부재(110)에 상하 수평하게 배치된 상,하부고정축(167,168)에 보조지지대(165,166)를 매개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집게부(134)와, 상기 집게부(134)의 접촉롤러(136)와 접촉 연동되어 집게부(134)의 좌우 이동을 통해서 포장지(122)의 개구부를 벌리고 닫을 수 있도록 상기 제2구동축(131)에 배치된 복수개의 좌우간격조절캠(133)과, 상기 집게부(134)의 가운데 전후방에 위치하면서 포장지(122)의 전후면에 흡착됨으로써 집게부(134)의 이동과 함께 포장지(122)의 개구부를 벌려줄 수 있도록 왕복직선 운동을 하는 피스톤(138) 및 이 피스톤(138)의 끝단에 빨판(139)을 갖춘 복수의 진공실린더(137)를 포함하되;
    상기 상,하부고정축(167a,168a)은 지지부재(110) 상에 지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지지대(165,166)가 각각 베어링(165a,166a)을 통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배치되고, 상기 보조지지대(165,166) 사이에는 탄성스프링(171)이 배치되어 지속적으로 당겨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지형 포장지를 사용하는 자동포장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지밀봉부(140)는,
    상기 지지부재(110)에 고정된 고정브라켓트(113)를 관통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제2실린더(142a)의 피스톤 동작에 따라 승하강 이동하는 제2피동축(142)과, 상기 제2피동축(142)의 상단에 일단이 하향되게 연결된 복수의 회동링크(144) 타단이 각각 몸체의 중간부위에 연결되어 회동링크(144)와 함께 마름모꼴 형태로 상호 연동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브라켓트(113)의 일측에서 회동 가능하면서 상향되게 배치된 복수의 경사링크(143)와, 상기 각각의 경사링크(143) 상단에 일체로 장착되어 서로 마주보는 대칭구조로 상기 집게부(134) 상부쪽에 수평하게 배치된 히터브라켓트(145) 상에 장착된 복수개의 고주파히터(146)와, 상기 히터브라켓트(145)의 상단부 일측에 일단이 연결되고 지지부재(110) 일측에 타단이 고정된 탄성스프링(16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지형 포장지를 사용하는 자동포장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지밀봉부(140)는,
    상기 지지부재(110)에 고정된 고정브라켓트(113)를 관통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제2실린더(142a)의 피스톤 동작에 따라 승하강 이동하는 제2피동축(142)과, 상기 제2피동축(142)의 상단에 일단이 하향되게 연결된 복수의 회동링크(144) 타단이 각각 몸체의 중간부위에 연결되어 회동링크(144)와 함께 마름모꼴 형태로 상호 연동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브라켓트(113)의 일측에서 회동 가능하면서 상향되게 배치된 복수의 경사링크(143)와, 상기 각각의 경사링크(143) 상단에 일체로 장착되어 서로 마주보는 대칭구조로 상기 집게부(134) 상부쪽에 수평하게 배치된 히터브라켓트(145) 상에 장착된 복수개의 고주파히터(146)와, 상기 히터브라켓트(145)의 상단부 일측에 일단이 연결되고 지지부재(110) 일측에 타단이 고정된 탄성스프링(16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지형 포장지를 사용하는 자동포장장치.
KR1020090034195A 2009-04-20 2009-04-20 봉지형 포장지를 사용하는 자동포장장치 KR201001155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4195A KR20100115561A (ko) 2009-04-20 2009-04-20 봉지형 포장지를 사용하는 자동포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4195A KR20100115561A (ko) 2009-04-20 2009-04-20 봉지형 포장지를 사용하는 자동포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5561A true KR20100115561A (ko) 2010-10-28

Family

ID=43134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4195A KR20100115561A (ko) 2009-04-20 2009-04-20 봉지형 포장지를 사용하는 자동포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1556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0254A (ko) * 2014-06-24 2016-01-04 신용섭 제대 통필름 실링장치
CN110040292A (zh) * 2019-04-30 2019-07-23 迈得医疗工业设备股份有限公司 装料设备
CN115057047A (zh) * 2022-08-03 2022-09-16 重庆文理学院 一种茶叶打包机及其茶叶采摘机器人
CN117508786A (zh) * 2024-01-05 2024-02-06 瑞金市甬衡电子衡器有限公司 一种电子称生产用包装设备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0254A (ko) * 2014-06-24 2016-01-04 신용섭 제대 통필름 실링장치
CN110040292A (zh) * 2019-04-30 2019-07-23 迈得医疗工业设备股份有限公司 装料设备
CN115057047A (zh) * 2022-08-03 2022-09-16 重庆文理学院 一种茶叶打包机及其茶叶采摘机器人
CN115057047B (zh) * 2022-08-03 2023-12-12 重庆文理学院 一种茶叶打包机及其茶叶采摘机器人
CN117508786A (zh) * 2024-01-05 2024-02-06 瑞金市甬衡电子衡器有限公司 一种电子称生产用包装设备
CN117508786B (zh) * 2024-01-05 2024-03-26 瑞金市甬衡电子衡器有限公司 一种电子称生产用包装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4696B1 (ko) 봉지형 포장지를 사용하는 자동포장장치
CN200954881Y (zh) 一种自动包装机
KR20100115561A (ko) 봉지형 포장지를 사용하는 자동포장장치
CN111498154B (zh) 包装系统
EP1827987B1 (en) A packaging machine for making and packaging articles containing a product for infusion
JP2013233975A (ja) 連続移送式袋詰め包装機
KR20150051934A (ko) 추출백의 포장체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KR100798753B1 (ko) 포장기
KR102462142B1 (ko) 로터리형 식품 진공포장기
JP2015020777A (ja) 箱詰装置
JPH0977003A (ja) 箱詰め方法及び箱詰め装置
JP5753643B2 (ja) 段ボール箱詰めシステム
EP2812250B1 (en) Compacting and transfer device of groups of filter bags containing infusion substances
KR101112674B1 (ko) 파우치 제품 공급 및 적재장치
CN110053816B (zh) 一种多种类精准打包的全自动颗粒包装机
JP6446001B2 (ja) ガイド装置、包装袋供給機及び自動包装機
JP5597927B2 (ja) ワーク移載装置
DK2644519T3 (en) Accessories indexes to pose up space
CN112455796A (zh) 一种电子雷管装箱设备
JP5588664B2 (ja) ロータリー型包装装置の袋詰め装置
CN111017320A (zh) 丁苯橡胶成品块包装袋套装方法
JP2009120262A (ja) 袋詰め補助装置、および真空包装ユニット
JP2006213395A (ja) 袋詰装置
KR102474574B1 (ko) 진공챔버가 장착되는 로터리형 식품 진공포장기
KR100371263B1 (ko) 액즙 자동 포장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