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0913B1 - 덕트용 압착장치 - Google Patents

덕트용 압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0913B1
KR101080913B1 KR1020110029791A KR20110029791A KR101080913B1 KR 101080913 B1 KR101080913 B1 KR 101080913B1 KR 1020110029791 A KR1020110029791 A KR 1020110029791A KR 20110029791 A KR20110029791 A KR 20110029791A KR 101080913 B1 KR101080913 B1 KR 101080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moving bar
base frame
moving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9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백수
최응삼
Original Assignee
유원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원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유원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110029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09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0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0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45Manufacturing or assembly of air ducts; Method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덕트용 압착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용 압착장치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사각형태로 이루어지고, 각 모서리 내측면에 접착제가 임시로 도포된 덕트와; 상기 덕트가 삽입 안착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배치된 이동 바에 마련되고, 임시 접착된 덕트의 모서리를 동시에 압착하는 가압 롤러부; 및 상기 이동 바가 이동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덕트용 압착장치{Pressing Apparatus for Duct}
본 발명은 접착제가 도포된 덕트의 각 모서리 부분을 압착하여 밀착 접합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덕트용 압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또는 각종 기계실이 구비된 빌딩(Building)건축물에는 외부 공기의 유입 및 냉, 난방을 위해 덕트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상기 덕트는 건물의 형태 및 각 층별 배치 상태에 따라 다양하게 형태가 변형되어 사용된다.
상기 덕트는 통상적으로 아연 철판을 밴딩시킨 형태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 아연 철판으로 이루어진 덕트와는 다르게, 덕트 내부에는 단열부재가 구비되고, 외측에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덕트패널도 최근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이 사용되는 덕트 중, 단열부재와 알루미늄이 일체로 이루어진 덕트패널은 사각 형태로 조립되도록, 작업자가 상기 덕트패널이 폴딩되는 모서리 내측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에 사각형태로 폴딩시켜 조립을 실시하고, 상기 덕트의 모서리 부분의 접착 유지를 위해 손 또는 덕트의 외주면을 가압할 수 있는 부재를 이용하여 수차례 가압한 후에 작업을 종료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제작된 종래의 덕트는 모서리 부위가 들뜨거나, 틈이 발생 되었으며, 상기 모서리 부위가 전체적으로 불안정한 상태로 접착 유지되면서, 안정적인 품질 유지가 어려워서, 작업자의 세심한 주의를 필요로 하였다.
또한, 소수의 작업자가 다수개의 덕트를 조립하면서, 조립의 안정성이 저하되고, 불량품의 발생이 빈번하게 발생되어 이에 대한 대책을 필요로 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임시로 접착된 덕트의 모서리를 동시에 압착 가압시키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덕트의 모서리 부분에서의 압착 가압에 따른 변형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접합된 덕트를 제작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사각형태로 이루어지고, 각 모서리 내측면에 접착제가 임시로 도포된 덕트와; 상기 덕트가 삽입 안착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배치된 이동 바에 마련되고, 임시 접착된 덕트의 모서리를 동시에 압착하는 가압 롤러부; 및 상기 이동 바가 이동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동바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서 좌, 우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 이동바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횡으로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서 상, 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2 이동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 이동바는,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내부에 베어링이 구비된 슬라이드 레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동바는, 상기 슬라이드 레일 내부에 결합되어 서로 간에 상대 이동되도록 구비된 안내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가압 롤러부는, 상기 제1 이동바에 설치되고, 상기 덕트의 좌측 상, 하부 모서리에 밀착되는 제1,2 가압 롤러와; 상기 덕트의 우측 상, 하부 모서리에 밀착되는 제3,4 가압 롤러와; 상기 제2 이동 바에 설치되고, 상기 덕트의 상면 좌, 우측 모서리에 밀착되는 제5 가압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내지 제5 가압 롤러는, 상기 덕트와 면접촉되는 롤러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롤러는, 중앙이 외측을 향해 돌출되고, 좌, 우 양측으로 각각 경사지게 이루어진 돌출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내지 제2 이동바는, 상기 제1 내지 제5 가압 롤러가 설치되기 위해 덕트를 향해 배치된 지지 브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 브라켓은,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내측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덕트의 하면과 밀착된 상태에서 회전되는 롤러 샤프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롤러 샤프트는, 외주면에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탄성층이 형성된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롤러 샤프트에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구비된 제1 구동모터, 상기 일단이 상기 롤러 샤프트의 양단과 각각 권취되고, 타단이 상기 제1 구동모터의 모터축 단부에 구비된 풀리에 권취된 벨트를 포함하는 제1 구동부와; 상기 제1 이동바의 이동을 도모하는 제 2 구동부와; 상기 제2 이동바의 이동을 도모하는 제 3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제1 이동바를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된 제2 구동모터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 하측에 횡으로 배치되고, 외주면 길이 방향을 따라 나사선이 형성된 제1 회전축과; 상기 제1 회전축의 좌, 우측 양단에 각각 수직으로 배치되고, 베벨기어가 마련된 제2 회전축을 포함한다.
상기 제3 구동부는, 상기 제2 이동바를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된 제3 구동모터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좌, 우측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외주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사선이 형성된 제3 회전축과; 상기 제3 회전축의 상, 하측에 각각 횡으로 배치되고, 베벨기어가 마련된 제4 회전축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상기 제1,2 이동바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덕트의 모서리 부분에 대한 동시 압착을 통해 상기 모서리의 완전 밀착을 도모하고, 상기 덕트의 모서리에 대한 압착 이후에 상기 모서리 부분에서의 틈이 발생되거나, 변형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수개의 덕트에 대한 압착을 신속하게 실시하여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덕트용 압착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덕트용 압착장치의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덕트용 압착장치의 배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덕트용 압착장치의 좌측면도.
도 5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덕트용 압착장치의 평면도.
도 6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덕트용 압착장치에 구비된 스토퍼를 도시한 도면.
도 7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덕트용 압착장치에 구비된 조작패널을 도시한 정면도.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덕트용 압착장치의 작동 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덕트용 압착장치에 의해 제작된 덕트를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용 압착장치의 구성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덕트용 압착장치(1)는 덕트(10)의 안정적인 조립을 도모하기 위해 베이스 프레임(100)에 수직 프레임(102)이 마련되고, 상기 수직 프레임(102) 사이에는 횡으로 배치되고 양단이 수직 프레임(102)과 결합된 수평 프레임(104)이 마련된다.
상기 수직 프레임(102)은 하단에 베이스 프레임(100)의 높이 조절을 위한 조절부재(106)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조절부재(106)는 바퀴가 마련된다. 작업자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 전체를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자 할 때, 바닥면과 상기 바퀴가 접촉 회전되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이동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덕트패널(10)은, 확대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두께를 갖는 인슐레이터(Insulator)(10a)가 마련되고, 상기 인슐레이터(10a)의 상면과 하면에는 박판 형태의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제1 시트 부재(10b)와, 제2 시트 부재(10c)가 밀착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바와 가압 롤러부에 대해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동바(200)는 베이스 프레임(100)의 세로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제1 이동바(210)가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가로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 이동바(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2 이동바(210,220)는 서로 교차되게 배치되며, 서로 간에 상대 이동 되도록, 상기 제1 이동바(210)의 전면에 보조 이동바(214)가 배치된다. 상기 보조 이동바(214)는 상기 제1 이동바(210)의 이동 제2 이동바(220)를 동시에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첨부된 도 4를 참조하면, 제2 이동바(220)는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보조 이동바(214)를 향해 내부에 베어링(222a)이 구비된 슬라이드 레일(222)이 마련된다.
상기 보조 이동바(214)는, 상기 슬라이드 레일(222)의 베어링(222a)과 밀착되고, 상기 제1,2 이동바(210,220)가 서로 간에 상대 이동되도록 구비된 안내부재(212)를 더 포함한다. 상기 안내부재(212)는 베어링(222a)을 향해 돌출된 돌출부재이며, 상기 제1 이동바(210)의 이동에 의해 안내부재(212)와 베어링(222a)이 상대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이동바(210)와 제2 이동바(220)의 구체적인 구성은 후술하기로 한다.
가압 롤러부(300)는 상기 제1 이동바(210)와, 제2 이동바(220)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제1 이동바(210)에는 상기 덕트(10)의 일측 상, 하부 모서리에 밀착되는 제1,2 가압 롤러(310,320)와, 상기 덕트(10)의 타측 상, 하부 모서리에 밀착되는 제3,4 가압 롤러(330,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 가압 롤러(310)는 덕트(10)의 좌측면 상부 모서리 위치에 밀착 배치되고, 상기 제2 가압 롤러(320)는 덕트(10)의 좌측면 하부 모서리에 밀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가압 롤러(330)는 덕트(10)의 우측면 상부 모서리 위치에 밀착 배치되고, 상기 제4 가압 롤러(320)는 덕트(10)의 좌측면 하부 모서리에 밀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이동바(220)에는 제5 가압 롤러(350)가 상기 덕트(10)를 향해 배치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덕트(10)의 상면을 향해 2개가 배치된 것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1 내지 제5 가압 롤러(310 ~ 350)는, 상기 덕트(10)와 면접촉되는 롤러(302)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롤러(302)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이유는, 상기 롤러(302)가 덕트(10)의 제1 시트 부재(10b)와 밀착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파손 또는 자국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제1 내지 제2 이동바(210,220)는, 상기 제1 내지 제5 가압 롤러(310, 320, 330, 340, 350)가 설치되기 위해 덕트(10)를 향해 배치된 지지 브라켓(202)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 브라켓(202)은 볼트를 매개로 상기 제1 내지 제2 이동바(210,220)에 설치된다.
상기 롤러(302)는 중앙이 외측을 향해 돌출되고, 좌, 우 양측으로 각각 경사지게 이루어진 돌출부(302a)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부(302a)의 좌, 우측 경사각은 10°전후의 경사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지지 브라켓(202)은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경사각(θ)을 가지며 배치되며, 상기 지지 브라켓(202)의 경사각은 5°전후의 경사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지지 브라켓(202)이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며 설치되는 이유는,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진 각각의 모서리 부분 내측에는 상기 덕트(10)의 내측 중앙을 향해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에는 접착제가 사전에 도포된 상태에서 상기 덕트(10)의 폴딩(folding)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덕트(10)의 경사면과 경사면이 완전 밀착된 상태를 유지시키면서, 상기 롤러(302)가 모든 모서리 부분에 대한 압착이 이루어져야만, 상기 덕트(10)의 경사면에서의 이격이 발생되거나, 들뜨는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 돌출부(302a)의 경사각과, 지지 브라켓(202)의 경사각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롤러 샤프트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롤러 샤프트(110)는 베이스 프레임(100)의 하측 중앙에 배치되고, 다수개가 이격 배치된다. 상기 롤러 샤프트(110)는 덕트(10)의 하면과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덕트(10)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롤러 샤프트(110)는 소정의 직경을 가지고, 외주면에 소정의 두께로 이루어진 탄성층(112)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층(112)은 상기 롤러 샤프트(110)에 덕트(10)가 밀착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상기 덕트(1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동부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구동부(400)는 롤러 샤프트(110)에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구비된 제1 구동부(410)와, 상기 제1 이동바(210)의 이동을 도모하기 위해 구비된 제 2 구동부(420)와, 상기 제2 이동바(220)의 이동을 도모하기 위해 구비된 제 3 구동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구동부(410)는 제1 구동모터(412)가 마련되고, 상기 제1 구동모터(412)에는 모터축 단부에 풀리가 구비된다. 상기 제1 구동부(410)는 이격 배치된 롤러 샤프트(110)의 단부에 일단이 권취되고, 타단이 상기 풀리에 권취된 벨트(414)에 의해 상기 제1 구동모터(412)에서 발생된 구동력이 롤러 샤프트(110)에 전달된다. 상기 롤러 샤프트(110)는 밸트(414)에 의해 다수개가 동시에 회전될 수 있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2 구동부(420)는 베이스 프레임(100)의 전면 일측에 제2 구동모터(422)가 배치되고, 제1 회전축(424)이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 하측에 횡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2 구동모터(422)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전달받는다.
상기 제1 회전축(424)은 길이 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숫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회전축(424)에 제1 이동바(210)의 양단이 결합된다.
상기 제1 회전축(424)은 양단부에 각각 수직으로 동력 전달가능하게 배치된 제2 회전축(426)이 마련되고, 상기 제1 회전축(424)과 제2 회전축(426)은 베벨기어를 매개로 동력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축(424)이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 하측에 각각 배치되는 이유는, 상기 제1 이동바(210)가 상기 제1 회전축(424)를 따라 좌측 또는 우측 중의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제1 이동바(210)가 제1 회전축(424)에 편심되지 않고, 수직 결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제1 이동바(210)의 이동 상태를 간단히 설명하면, 제1 회전축(424)이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1 회전축(424)과 치합된 제2 회전축(426)에 회전력이 전달되고, 상기 제2 회전축(426)의 회전에 의해 제1 이동바(210)의 양단에 결합된 제1 회전축(424)이 서로 동시에 회전되면서 상기 제1 이동바(210)의 이동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이동바(210)는 상단과 하단에 스크류 조인트(23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류 조인트(230)는 내부에 제1 회전축(424)이 결합된다. 상기 스크류 조인트(230)는 상기 제1 회전축(424)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이동바(210)의 상대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스크류 조인트(230)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축(424)의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으며, 상기 제1 회전축(424)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 상태에 따라 제1 이동바(210)의 이동을 도모한다.
첨부된 도 2를 참조하면, 제3 구동부(430)는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 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2 이동바(220)의 이동을 도모하기 위해 구비된다. 상기 제3 구동부(430)는 베이스 프레임(100)의 후방에 제3 구동모터(432)가 마련되고, 상기 제3 구동모터(432)의 구동력을 전달받는 제3 회전축(434)이 구비된다.
상기 제4 회전축(436)은 베이스 프레임(100)의 좌, 우측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외주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숫 나사선이 형성되며, 상기 제3 회전축(436)의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베벨기어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이동바(210)의 좌, 우 방향으로의 이동과, 제2 이동바(220)의 상, 하 방향으로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1 내지 제3 구동모터의 배치 위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5를 참조하면, 제1 구동모터(412)는 베이스 프레임(100)의 좌측 중앙에 배치되고, 제2 구동모터(422)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전방 우측에 배치되며, 제3 구동모터(432)는 베이스 프레임의 우측 후방에 배치된다. 상기 제1 내지 제3 구동모터(412,422,432)의 배치 위치는 본 실시예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한 것이며, 상기 위치에 반드시 한정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제1,2 이동바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6을 참조하면, 베이스 프레임(100)에는, 상기 제1,2 이동바(210,220)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120)가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120)는 제1 이동바(210)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제1 회전축(424)의 양단 근처에 제1 스토퍼(121)가 배치된다.
상기 제1 스토퍼(121)는 제1 이동바(210)의 이동 경로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이동바(210)가 이동되면서 상기 제1 스토퍼(121)를 푸시(Push)하면, 상기 제1 스토퍼(121)와 연결된 릴레이의 접점 위치가 전환되면서 제2 구동모터(422)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제2 구동모터(422)의 작동은 중지되고, 상기 제1 이동바(210)의 이동은 중지된다.
상기 스토퍼(120)는 제2 이동바(220)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제3 회전축(424)의 양단 근처에 제2 스토퍼(미도시)가 배치된다.
상기 제2 스토퍼(미도시)는 제3 구동모터(432)에 인가되는 전원의 온, 오프 상태를 전환시켜, 상기 제2 이동바(22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2 스토퍼는 상기 제2 이동바(220)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이동바(220)가 이동되면서 상기 제2 스토퍼를 푸시(Push)하면, 상기 제2 스토퍼와 연결된 릴레이의 접점 위치가 전환되면서 제3 구동모터(432)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제3 구동모터(432)의 작동은 중지되고, 상기 제2 이동바(220)의 이동은 중지된다.
첨부된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베이스 프레임(100)에는 덕트(10)의 압착을 위한 조작패널(20)이 구비된다.
상기 조작패널은 덕트용 압착장치의 전체 전원의 온, 오프 상태를 전환하기 위한 전원 레버(21)와, 제1 이동바(210)의 작동을 위해 구비된 좌/우 선택 버튼(22,23)과, 제2 이동바(220)의 작동을 위해 구비된 상/하 선택 버튼(24,25)과, 롤러 샤프트(110)의 회전을 위해 구비된 전/후진 레버(26)와, 앞서 설명한 가압 롤러부(300)가 덕트(10)의 각 모서리에 밀착된 상태에서 이동을 실시하기 위한 작동 레버(2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덕트용 압착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8의 (a) 내지 (b)를 참조하면, 작업자는 덕트(10)의 압착 작업에 앞서서, 접착제가 도포된 덕트 패널에 대한 폴딩(Folding)을 실시하여 임시적으로 조립을 실시한다. 상기 덕트(10)는 접착제가 도포된 홈(11)이 V자 형태로 컷팅되어 있기 때문에, 폴딩된 후에는 상기 홈(11) 부분이 서로 간에 밀착되면서 상기 홈의 경사진 경사면(12)이 완전 밀착된 상태로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부된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작업자는 임시적으로 접합된 상태만을 유지하고 있는 덕트(10)를 베이스 프레임(100)에 구비된 롤러 샤프트(110)의 상부에 안착시킨다.
작업자는 전원 레버(21)를 온 위치로 작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덕트(100의 모서리 부분에 가압 롤러부(300)가 이동되도록, 좌/우 선택 버튼(22,23)을 작동시킨다.
제1,2 이동바(210,220)는 상기 덕트(10)의 압착이 이루어지기 이전에는 베이스 프레임(100)의 이동 경로 중, 가장 외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이동된다.
제2 구동모터(422)(도 1참조)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일 방향으로 작동되고, 제1 회전축(424)에 상기 제2 구동모터(422)의 회전력이 전달된다. 상기 제1 회전축(424)은 소정의 속도로 회전되고, 양단에 배치된 베벨기어를 통해 제2 회전축(426)에 회전력이 전달되며, 상기 제2 회전축(426)은 상기 제1 회전축(424)과 동일한 속도로 회전된다.
상기 제1 회전축(424)은 제1 이동바(21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스크류 조인트(230)를 매개로 결합되어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축(424)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이동바(210)는 좌측 또는 우측 중의 어느 한 방향을 향해 선택적으로 이동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스크류 조인트(230)는 내주면이 암나사산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1 회전축(424)은 숫 나사산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축(424)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스크류 조인트(230)가 상대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제1 이동바(210)의 이동이 이루어진다.
제2 이동바(220)는 제3 구동모터(432)가 작동되면서 발생된 구동력이 제3 회전축(434)으로 전달되고, 상기 제3 회전축(434)의 양단에 구비된 베벨기어와 치합된 제4 회전축(436)이 회전된다.
상기 제3 회전축(434)과 제4 회전축(436)은 동일한 속도로 회전되기 때문에, 상기 제2 이동바(220)가 덕트(10)의 상면을 향해 양단이 어느 한쪽으로 편심되지 않고 동일한 속도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이동된 제1,2 지지바(210,220)는 상기 제1 지지바(210)에 구비된 제1,2 가압롤러(310,320)와, 제3,4 가압롤러(330,340)가 덕트(10)의 좌, 우 양측 모서리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밀착된다.
상기 덕트(10)의 하면은 롤러 샤프트(110)에 의해 밀착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덕트(10)의 하면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덕트(10)의 상면 중 좌, 우측 모서리 부분에는 제5 가압롤러(350)가 밀착되면서, 상기 덕트(10)의 모서리 부분에 대한 롤러(302)의 밀착은 모두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내지 제4 가압롤러(310,320,330,340,350)는 상기 덕트(10)의 모서리 부분에 대해 소정의 압력을 가지며 밀착된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제1 이동바(210)가 이동되면서, 안내부재(212)는 베어링(222a)과 구름접촉되면서, 슬라이드 레일(2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제2 이동바(220)는 상기 제1 이동바(210)에 대해 상대 이동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덕트(10)의 모서리 위치로 이동이 이루어진다.
첨부된 도 11 내지 12를 참조하면, 제1 내지 제4 가압롤러(310,320,330,340,350)는 접착제가 도포된 덕트(10)의 경사면에 대한 완전 밀착을 위해 롤러(302)가 폴딩된 덕트(10)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상기 롤러(302)의 돌출부(302a)가 덕트(10)의 내측 모서리점(P)을 향해 압착된 상태로 각각 유지된다.
이와 같이 제1 내지 제4 가압롤러(310,320,330,340,350)가 덕트(10)의 모서리 부위에 압착 유지되면, 상기 경사면을 향해 롤러(302)의 압착력이 전달된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4 가압롤러(310,320,330,340,350)는 제1,2 이동바(210,220)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경사면에 대한 압착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는 작동레버를 작동시키면, 제1 구동모터(412)에 전원이 인가되고, 모터축이 회전되면서 벨트(414)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벨트(414)와 연결된 다수개의 롤러 샤프트(110)가 회전된다.
덕트(10)는 상기 롤러 샤프트(110)의 회전에 의해 하면이 압착 지지된 상태에서, 베이스 프레임(100)의 후면으로 이동되기 시작하고, 상기 덕트(10)의 모서리 부분에 압착을 유지하고 있는 제1 내지 제4 가압롤러(310,320,330,340,350)에 의해 덕트(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경사면에 대한 압착이 이루어지면서 화살표 방향으로 소정의 속도로 이동된다.
첨부된 도 13을 참조하면, 덕트(10)는 이동에 따라 경사면에 대한 압착이 동시에 이루어지면서, 상기 경사면에 도포된 접착제는 압착력에 의해 밀착되면서 별도의 틈이 발생되지 않고, 완전 밀착된다.
이와 같이 제작된 덕트(10)는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12)에 대한 접합이 완전 밀착된 상태로 이루어지면서, 부분적으로 접합 불량이 발생되거나, 틈새가 발생되지 않고, 길이 방향을 따라 완전 밀착된 상태로 제작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 덕트
100 : 베이스 프레임
110 : 롤러 샤프트
210 : 제1 이동바
220 : 제2 이동바
300 : 가압 롤러부
310,320 : 제1,2 가압 롤러
330,340 : 제3,4 가압 롤러
350 : 제5 가압 롤러
400 : 구동부
410,420,430 : 제1,2,3 구동부

Claims (13)

  1.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사각형태로 이루어지고, 각 모서리 내측면에 접착제가 임시로 도포된 덕트(10);
    상기 덕트(10)의 하면과 밀착 회전되는 롤러 샤프트(110)가 구비된 베이스 프레임(100);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좌, 우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 이동바(210)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에 횡으로 배치되고 상, 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2 이동바(220)를 포함하는 이동바(200);
    상기 제1 이동바(210)에 설치되고 상기 덕트(10)의 좌측 상, 하부 모서리에 밀착되는 제1,2 가압 롤러(310,320)와, 상기 덕트(10)의 우측 상, 하부 모서리에 밀착되는 제3,4 가압 롤러(330,340)와, 상기 제2 이동 바(220)에 설치되고 상기 덕트(10)의 상면 좌, 우측 모서리에 밀착되는 제5 가압 롤러(350)를 포함하는 가압 롤러부(300); 및
    상기 이동 바(200)가 이동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용 압착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바(220)는,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내부에 베어링(222a)이 구비된 슬라이드 레일(222)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동바(210)는,
    상기 슬라이드 레일(222) 내부에 결합되어 서로 간에 상대 이동되도록 구비된 안내부재(21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용 압착장치.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5 가압 롤러(310,320,330,340,350)는,
    상기 덕트(10)와 면접촉되는 롤러(302)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용 압착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5 가압 롤러(310,320,330,340,350)는,
    중앙이 외측을 향해 돌출되고, 좌, 우 양측으로 각각 경사지게 이루어진 돌출부(302a)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용 압착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2 이동바(210,220)는,
    양단에 덕트(10)를 향해 경사지게 구비된 지지 브라켓(20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용 압착장치.
  8. 삭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샤프트(110)는,
    외주면에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탄성층(11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용 압착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400)는,
    상기 롤러 샤프트(110)에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구비된 제1 구동모터(412)와, 상기 제1 구동모터(412)의 모터축 단부에 구비된 풀리와 롤러 샤프트(110) 사이에 권취된 벨트(414)를 포함하는 제1 구동부(410);
    상기 제1 이동바(210)의 이동을 도모하는 제 2 구동부(420);
    상기 제2 이동바(220)의 이동을 도모하는 제 3 구동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용 압착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부(420)는,
    상기 제1 이동바(210)를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된 제2 구동모터(422);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 하측에 횡으로 배치되고, 외주면 길이 방향을 따라 나사선이 형성된 제1 회전축(424);
    상기 제1 회전축(424)의 좌, 우측 양단에 각각 수직으로 배치되고, 베벨기어가 마련된 제2 회전축(42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용 압착장치.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구동부(430)는,
    상기 제2 이동바(220)를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된 제3 구동모터(432);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좌, 우측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외주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사선이 형성된 제3 회전축(434);
    상기 제3 회전축(434)의 상, 하측에 각각 횡으로 배치되고, 베벨기어가 마련된 제4 회전축(43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용 압착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에는,
    상기 제1,2 이동바(210,220)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12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용 압착장치.
KR1020110029791A 2011-03-31 2011-03-31 덕트용 압착장치 KR101080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9791A KR101080913B1 (ko) 2011-03-31 2011-03-31 덕트용 압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9791A KR101080913B1 (ko) 2011-03-31 2011-03-31 덕트용 압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0913B1 true KR101080913B1 (ko) 2011-11-08

Family

ID=45397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9791A KR101080913B1 (ko) 2011-03-31 2011-03-31 덕트용 압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091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46669A (zh) * 2016-07-29 2016-12-21 蚌埠市禹会区贵宾装饰材料商行 一种相框冲压装置
CN110425714A (zh) * 2019-09-02 2019-11-08 昆山蒂恒环保设备技术有限公司 用于滑动行程随车风道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9905U (ja) 1997-12-17 1998-06-30 株式会社フカガワ ダクトのミツイハゼ締め機
KR200355649Y1 (ko) 2004-03-06 2004-07-07 문병일 스파이럴 사각덕트 제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9905U (ja) 1997-12-17 1998-06-30 株式会社フカガワ ダクトのミツイハゼ締め機
KR200355649Y1 (ko) 2004-03-06 2004-07-07 문병일 스파이럴 사각덕트 제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46669A (zh) * 2016-07-29 2016-12-21 蚌埠市禹会区贵宾装饰材料商行 一种相框冲压装置
CN110425714A (zh) * 2019-09-02 2019-11-08 昆山蒂恒环保设备技术有限公司 用于滑动行程随车风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22638B2 (en) Curved display manufacturing device and curved display manufacturing method
US1032859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touch screen and display screen
TWI400203B (zh) 切割裝置、及使用該切割裝置之基板切斷裝置與方法
TWI669276B (zh) 玻璃壓斷裝置、玻璃壓斷方法和玻璃切割系統
US8733221B2 (en) Groove machining apparatus for insulating spacer and groove machining method for the same
CN104340418A (zh) 放杯装置
KR101080913B1 (ko) 덕트용 압착장치
CN104201246A (zh) 一种太阳能组件焊带折弯成型下料一体机
KR100980393B1 (ko) 필름 연결 장치
JP2014019164A (ja) フィルム自動貼合切断装置
KR101541049B1 (ko) 라미네이팅 장치
KR101623515B1 (ko) 접합유리 제조장치
KR101368931B1 (ko) 유리섬유 단열파이프의 접착단열시트 부착장치를 겸비한 사이드 절단장치
KR101673254B1 (ko) 제대 통필름 실링장치
CN109774110B (zh) 一种高效加热的薄膜拉伸装置
CN108481875A (zh) 铜箔软连接自动加工装置
CN111156233B (zh) 压合装置及其压合方法、压合设备
JP6455890B2 (ja) 塗布装置
CN203889761U (zh) 一种自动贴胶条设备
JP2014019160A (ja) フィルム自動貼合機
CN219562619U (zh) 一种板材抛光设备
KR20030094566A (ko) 평판디스플레이의 회로기판 및 이방전도성필름 본딩장치
KR102381394B1 (ko) 박판 Strip Bonding 장치
KR20130142019A (ko) 플레이트 합착 장치
KR20040015945A (ko) 평판디스플레이의 회로기판 및 이방전도성필름 본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