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0393B1 - 필름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필름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0393B1
KR100980393B1 KR1020100038947A KR20100038947A KR100980393B1 KR 100980393 B1 KR100980393 B1 KR 100980393B1 KR 1020100038947 A KR1020100038947 A KR 1020100038947A KR 20100038947 A KR20100038947 A KR 20100038947A KR 100980393 B1 KR100980393 B1 KR 1009803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cut
atmospheric
films
upp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8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중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제이에스텍
김훈열
최봉조
김태훈
이유민
남대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제이에스텍, 김훈열, 최봉조, 김태훈, 이유민, 남대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제이에스텍
Priority to KR1020100038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03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0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03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 B29C65/2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with direct contact, e.g. using "mirr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welding and severing, or by joining and severing, the severing being performed in the area to be joined, next to the area to be joined, in the joint area or next to the joint area
    • B29C65/741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welding and severing, or by joining and severing, the severing being performed in the area to be joined, next to the area to be joined, in the joint area or next to the joint area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joining step and the severing ste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02Position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aligning, indexing or centring
    • B29C65/7805Position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aligning, indexing or centring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positioning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41Holding or clamping means for handl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3After-treatments in the joint area
    • B29C66/032Mechanical after-treatments
    • B29C66/0326Cutting, e.g. by using waterjets, or perfo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7/00Producing 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D7/01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18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fluorescent or phosphorescent
    • B29K2995/0034Polari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광판 제조를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편광판 제조에 사용되는 PVA(Poly Vinyl Alcohol) 필름이 소진되면 이를 신규 PVA 필름(편광 필름)과 견고하게 안정적으로 연결하는 필름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되는 사용 필름을 절단하고, 절단된 사용 필름 부위를 용융시키는 상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과 대응되게 상부 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사용 필름과 접합될 대기 필름을 절단하고, 절단된 대기 필름 부위를 용융시키는 하부 프레임과;
상기 사용 필름의 절단 부위와 대기 필름의 절단 부위를 밀착시키도록 상기 상부 프레임, 또는 하부 프레임 중 어느 하나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필름 연결 장치{APPARATUS FOR CONNECTING FILM}
본 발명은 편광판 제조를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편광판 제조에 사용되는 PVA(Poly Vinyl Alcohol) 필름이 소진되면 이를 신규 PVA 필름(편광 필름)과 연결하는 필름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사용되는 편광필름은 빛의 진동면을 평면 편광으로 바꾸어 주는 기능을 한다. 이런 편광필름은 차량탑재용, 항공기용, 옥외설치용으로 사용되고, 시계, 전자계산기, 액정 TV, 노트북, 휴대전화, 대형 projector 등에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전자산업의 발달과 더불어 그 사용이 크게 늘어나고 있으며, 브라운관을 대체할 차세대 평판 디스플레이용 장치로 부상하고 있는 액정표시장치(LCD)의 부품 및 소재분야의 핵심으로서 편광필름이 주목받고 있다.
한편, 이러한 편광필름을 사용하여 편광판을 제조시 편광필름이 소진되면 신규 편광필름을 연결하여야 하는데 종래에는 사용 편광필름과 신규 편광필름의 일단을 맞댄 상태에서 그 상단과 하단에 테이프로 접합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접합방법은 테이프가 박리되거나 접합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편광판 제조를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편광판 제조에 사용되는 PVA(Poly Vinyl Alcohol) 필름이 소진되면 이를 신규 PVA 필름(편광 필름)과 견고하게 안정적으로 연결하는 필름 연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되는 사용 필름을 절단하고, 절단된 사용 필름 부위를 용융시키는 상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과 대응되게 상부 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사용 필름과 접합될 대기 필름을 절단하고, 절단된 대기 필름 부위를 용융시키는 하부 프레임과; 상기 사용 필름의 절단 부위와 대기 필름의 절단 부위를 밀착시키도록 상기 상부 프레임, 또는 하부 프레임 중 어느 하나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연결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편광판 제조에 사용되는 PVA(Poly Vinyl Alcohol) 필름이 소진되면 이를 신규 PVA 필름(편광 필름)과 견고하게 안정적으로 연결하여 편광판 제조를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산성 향상에 기여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개략적인 필름 연결 장치 및 필름 연결 장치의 동작관계를 나타낸 도면.
사용 필름(111)은 편광판을 제조하기 위한 현재 재료로서 공급되는 PVA 필름이고, 대기 필름(121)은 편광판 제조의 연속적인 제조를 위해 사용 필름(111)이 소진될 경우 사용 필름(111)의 일단과 연결하기 위한 대기 중인 PVA 필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연결 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300)과, 하부 프레임(400) 및 승강장치를 포함한다.
상부 프레임(300)은 사용되는 사용 필름(111)을 절단하고, 절단된 사용 필름(111) 부위를 용융시키는 구성으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 프레임(300)은 사용 필름(111)의 일측을 고정하는 제1 고정부(10)와, 상기 제1 고정부(10)에 의해 고정된 사용 필름(111)의 근방에 위치한 사용 필름(111) 부위를 절단하는 제1 절단부(20)와, 상기 제1 절단부(20)에 의해 절단된 사용 필름(111) 부위를 용융시키는 제1 가열부(30) 및 상기 제1 가열부(30)가 제1 절단부(20)에 의한 사용 필름(111) 절단면에 위치하도록 제1 절단부(20)와 제1 가열부(30)를 이송하는 제1 이송부(40)로 구성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 고정부(10)는 사용 필름(111)을 흡착하여 고정하며 위치가 고정되는 고정식 석션(11,12)으로 구성된다.
또한, 제1 절단부(20)는 사용 필름(111)의 절단부위의 양측을 흡착하여 고정하는 석션(21,22)과, 상기 사용 필름(111)과 직교되게 설치되어 상기 석션(21,22)의 사이로 승강하며 사용 필름(111)을 절단하는 절단기(23)로 구성된다.
또한, 제1 가열부(30)는 사용 필름(111)을 흡착하며, 이동시 사용 필름(111)을 흡착하면서 이동하는 이동식 석션(31)과, 상기 이동식 석션(31)의 일측에 설치되어 사용 필름(111)을 용융시키는 가열기(32)로 구성된다.
또한, 제1 이송부(40)는 안내 레일(41,42)과, 상기 안내 레일(41,42)을 따라 상기 절단기(23)에 의한 사용 필름(111)의 절단면에 가열기(32)가 위치하도록 석션(21,22)과 절단기(23)와 이동식 석션(31)과 가열기(32)를 동시에 이동시키는 이송 테이블(43)로 구성된다.
하부 프레임(400)은 상기 상부 프레임(300)과 대응되게 상부 프레임(300)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사용 필름(111)과 접합될 대기 필름(121)을 절단하고, 절단된 대기 필름(121) 부위를 용융시키는 구성으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 프레임(400)은 대기 필름(121)의 일측을 고정하는 제2 고정부(10')와, 상기 제2 고정부(10')에 의해 고정된 대기 필름(121)의 근방에 위치한 대기 필름(121) 부위를 절단하는 제2 절단부(20')와, 상기 제2 절단부(20')에 의해 절단된 대기 필름(121) 부위를 용융시키는 제2 가열부(30') 및 상기 제2 가열부(30')가 제2 절단부(20')에 의한 대기 필름(121) 절단면에 위치하도록 제2 절단부(20')와 제2 가열부(30')를 이송하는 제2 이송부(40')로 구성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2 고정부(10')는 대기 필름(121)을 흡착하여 고정하며 위치가 고정되는 고정식 석션(11',12')으로 구성된다.
또한, 제2 절단부(20')는 대기 필름(121)의 절단부위의 양측을 흡착하여 고정하는 석션(21',22')과, 상기 대기 필름(121)과 직교되게 설치되어 상기 석션(21',22')의 사이로 승강하며 대기 필름(121)을 절단하는 절단기(23')로 구성된다.
또한, 제2 가열부(30')는 대기 필름(121)을 흡착하며, 이동시 대기 필름(121)을 흡착하면서 이동하는 이동식 석션(31')과, 상기 이동식 석션(31')의 일측에 설치되어 대기 필름(121)을 용융시키는 가열기(32')로 구성된다.
또한, 제2 이송부(40')는 안내 레일(41',42')과, 상기 안내 레일(41',42')을 따라 상기 절단기(23')에 의한 대기 필름(121)의 절단면에 가열기(32')가 위치하도록 석션(21',22')과 절단기(23')와 이동식 석션(31')과 가열기(32')를 동시에 이동시키는 이송 테이블(43')로 구성된다.
승강장치는 상기 사용 필름(111)의 절단 부위와 대기 필름(121)의 절단 부위를 밀착시키도록 상기 상부 프레임(300), 또는 하부 프레임(400) 중 어느 하나를 승강시키는 구성으로, 도 1을 참조하면 안내 레일(51)과 상기 안내 레일(51)을 따라 승강되며, 제1 고정부(10), 제1 절단부(20), 제1 가열부(30), 제1 이송부(40)를 연동시키는 테이블(52)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필름 연결 장치의 동작관계를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도 1은 사용 필름(111)의 소진이 임박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편광판 제조를 연속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제1 회전축(210)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사용 필름 롤(110)에서 사용 필름(111)이 소진되기 전에 작업을 일시 정지한 후 사용 필름(111)과 대기 필름(121)을 연결해야 한다.
이때 필요한 구성이 도 1의 제1,2 고정부(10,10')와, 제1,2 절단부(20,20')와, 제1,2 가열부(30,30')와, 제1,2 이송부(40,40') 및 안내 레일(51)과 테이블(52)로 이루어진 승강장치인데, 각 구성의 동작을 순서대로 설명하면,
대기 필름(121)의 끝부분을 제2 절단부(20')의 석션(22')의 위치까지 끌어온 후 고정식 석션(11',12')과 석션(21',22') 및 이동식 석션(31')을 구동하여 대기 필름(121)을 흡착하여 고정한다.(도 1 참조)
다음 사용 필름 롤(110)에서 사용 필름(111)이 소진되기 전 사용 필름(111)을 고정식 석션(11,12)과 석션(21,22) 및 이동식 석션(31)을 구동하여 사용 필름(111)을 흡착하여 고정한다.
다음 제1,2 절단부(20,20')의 절단기(23,23')로 사용 필름(111) 및 대기 필름(121)을 절단한다.(도 2 참조)
다음 제1,2 절단부(20,20')의 절단기(23,23')는 복귀되고 불필요한 필름(111,121) 부분은 제거한다. 이때 제거의 편의를 위해 석션(22,22')의 구동은 해제하고, 절단된 필름(111,121) 부위는 서로 중첩되는 부분(L1)이 발생한다.(도 3 참조)
다음 고정식 석션(11,12,11',12')과 석션(21,21') 및 이동식 석션(31,31')이 구동된 상태에서 제1,2 이송부(40,40')를 통해 가열기(32,32')를 절단된 필름(111,121) 부위에 위치시키고, 제1,2 이송부(40,40')가 이송을 마치면 상기 석션(21,21')의 구동은 해제한다.(도 4 참조)
다음 승강장치로 절단된 필름(111,121) 부위를 맞닿게 하면서 제1,2 가열부(30,30')의 가열기(32,32')를 구동하면 절단된 필름(111,121) 부위가 용융되면서 접합되게 된다.(도 5,6 참조)
다음 승강장치를 복귀하고 대기 필름(121)을 편광판 제조에 사용한다.(도 7 참조)
한편, 대기 필름(121)이 소진되기 전에 제1 회전축(210)에 새로운 필름 롤을 장착하여 대기 필름(121)이 소진되면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필름 간 연결하면 지속적으로 편광판을 생산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이 양호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속하는 자들은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제1 고정부 10': 제2 고정부
11,12,11',12': 고정식 석션
20: 제1 절단부 20': 제2 절단부
21,22,21',22': 석션 23,23': 절단기
30: 제1 가열부 30': 제2 가열부
31,31': 이동식 석션 32,32': 가열기
40: 제1 이송부 40': 제2 이송부
41,42,41',42': 안내 레일 43,43': 이송 테이블
111: 사용 필름 121: 대기 필름
300: 상부 프레임 400: 하부 프레임

Claims (3)

  1. 사용되는 사용 필름(111)을 절단하고, 절단된 사용 필름(111) 부위를 용융시키는 상부 프레임(300)과;
    상기 상부 프레임(300)과 대응되게 상부 프레임(300)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사용 필름(111)과 접합될 대기 필름(121)을 절단하고, 절단된 대기 필름(121) 부위를 용융시키는 하부 프레임(400)과;
    상기 사용 필름(111)의 절단 부위와 대기 필름(121)의 절단 부위를 밀착시키도록 상기 상부 프레임(300), 또는 하부 프레임(400) 중 어느 하나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상부 프레임(300)은 사용 필름(111)의 일측을 고정하는 제1 고정부(10)와, 상기 제1 고정부(10)에 의해 고정된 사용 필름(111)의 근방에 위치한 사용 필름(111) 부위를 절단하는 제1 절단부(20)와, 상기 제1 절단부(20)에 의해 절단된 사용 필름(111) 부위를 용융시키는 제1 가열부(30) 및 상기 제1 가열부(30)가 제1 절단부(20)에 의한 사용 필름(111) 절단면에 위치하도록 제1 절단부(20)와 제1 가열부(30)를 이송하는 제1 이송부(40)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400)은 대기 필름(121)의 일측을 고정하는 제2 고정부(10')와, 상기 제2 고정부(10')에 의해 고정된 대기 필름(121)의 근방에 위치한 대기 필름(121) 부위를 절단하는 제2 절단부(20')와, 상기 제2 절단부(20')에 의해 절단된 대기 필름(121) 부위를 용융시키는 제2 가열부(30') 및 상기 제2 가열부(30')가 제2 절단부(20')에 의한 대기 필름(121) 절단면에 위치하도록 제2 절단부(20')와 제2 가열부(30')를 이송하는 제2 이송부(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연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고정부(10,10')는 필름(111,121)을 흡착하여 고정하며 위치가 고정되는 고정식 석션(11,12,11',12')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2 절단부(20,20')는 필름(111,121)의 절단부위의 양측을 흡착하여 고정하는 석션(21,22,21',22')과, 상기 필름(111,121)과 직교되게 설치되어 상기 석션(21,22,21',22')의 사이로 승강하며 필름(111,121)을 절단하는 절단기(23,23')로 구성되며,
    상기 제1,2 가열부(30,30')는 필름(111,121)을 흡착하며, 이동시 필름(111,121)을 흡착하면서 이동하는 이동식 석션(31,31')과, 상기 이동식 석션(31,31')의 일측에 설치되어 필름(111,121)을 용융시키는 가열기(32,32')로 구성되고,
    상기 제1,2 이송부(40,40')는 안내 레일(41,42,41',42')과, 상기 안내 레일(41,42,41',42')을 따라 상기 절단기(23,23')에 의한 필름(111,121) 절단면에 가열기(32,32')가 위치하도록 석션(21,22,21',22')과 절단기(23,23')와 이동식 석션(31,31')과 가열기(32,32')를 동시에 이동시키는 이송 테이블(43,4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연결 장치.
  3. 삭제
KR1020100038947A 2010-04-27 2010-04-27 필름 연결 장치 KR1009803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8947A KR100980393B1 (ko) 2010-04-27 2010-04-27 필름 연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8947A KR100980393B1 (ko) 2010-04-27 2010-04-27 필름 연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0393B1 true KR100980393B1 (ko) 2010-09-07

Family

ID=43009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8947A KR100980393B1 (ko) 2010-04-27 2010-04-27 필름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0393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96370A (zh) * 2019-10-21 2020-01-17 杭州眠之梦床上用品有限公司 一种织物的超声波焊接方法
KR102181370B1 (ko) 2019-08-01 2020-11-23 윤중식 원단 연결 기능을 구비한 언와인딩 장치
KR102209233B1 (ko) 2019-08-19 2021-01-29 윤중식 무겹침 방식 원단 연결 장치
KR102223220B1 (ko) * 2019-11-05 2021-03-05 (주)동양산기 연속공급접합부를 갖는 건축용 금속판넬 제조장치용 발포합성수지시트공급장치
KR102255935B1 (ko) 2020-05-28 2021-05-25 (주)한빛테크놀로지 필름 연결 장치
KR102414303B1 (ko) * 2021-08-27 2022-06-29 류창걸 원지 이음장치
KR102483233B1 (ko) 2021-11-29 2023-01-04 (주)지우텍 기포 및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는 광학필름용 필름 접합장치
KR102564518B1 (ko) 2022-12-22 2023-08-04 (주)지우텍 커팅각도조절이 가능하며 기포 및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는 광학필름용 필름 접합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8739A (ja) * 1991-08-30 1993-06-08 Shin Etsu Polymer Co Ltd 長尺テ−プの接続方法
JPH0616346U (ja) * 1992-07-30 1994-03-01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テ−プ用原反の接続装置
KR20090122951A (ko) * 2007-03-30 2009-12-01 파나소닉 주식회사 작업 장치, 점착 테이프 첩부 장치 및 테이프 부재의 추가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8739A (ja) * 1991-08-30 1993-06-08 Shin Etsu Polymer Co Ltd 長尺テ−プの接続方法
JPH0616346U (ja) * 1992-07-30 1994-03-01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テ−プ用原反の接続装置
KR20090122951A (ko) * 2007-03-30 2009-12-01 파나소닉 주식회사 작업 장치, 점착 테이프 첩부 장치 및 테이프 부재의 추가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1370B1 (ko) 2019-08-01 2020-11-23 윤중식 원단 연결 기능을 구비한 언와인딩 장치
KR102209233B1 (ko) 2019-08-19 2021-01-29 윤중식 무겹침 방식 원단 연결 장치
CN110696370A (zh) * 2019-10-21 2020-01-17 杭州眠之梦床上用品有限公司 一种织物的超声波焊接方法
KR102223220B1 (ko) * 2019-11-05 2021-03-05 (주)동양산기 연속공급접합부를 갖는 건축용 금속판넬 제조장치용 발포합성수지시트공급장치
KR102255935B1 (ko) 2020-05-28 2021-05-25 (주)한빛테크놀로지 필름 연결 장치
KR102414303B1 (ko) * 2021-08-27 2022-06-29 류창걸 원지 이음장치
KR102483233B1 (ko) 2021-11-29 2023-01-04 (주)지우텍 기포 및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는 광학필름용 필름 접합장치
KR102564518B1 (ko) 2022-12-22 2023-08-04 (주)지우텍 커팅각도조절이 가능하며 기포 및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는 광학필름용 필름 접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0393B1 (ko) 필름 연결 장치
CN110174715B (zh) 一种全自动屏幕双面贴片机及其贴片工艺
JP5339550B2 (ja) 真空積層システムおよび真空積層成形方法
CN205498272U (zh) 一种气压式胶辊撕膜装置
JP6390848B2 (ja) 光学フィルム連続供給装置及び光学フィルム連続供給方法
JP2007310035A (ja) 基板に貼り付けられた保護フィルムの剥離装置及び剥離方法
WO2003046647A1 (fr) Panneau a cristaux liquides, son procede et son dispositif de production et dispositif d'estampage de plaque de polarisation
WO2021120321A1 (zh) 自动贴膜机
CN203630479U (zh) 一种偏光片贴附设备
EP3468318A1 (en) Adhesion device and adhesion method for conductive adhesive
KR20160004457A (ko) 합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곡면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WO2017179239A1 (ja) 吸着部材、液晶セル吸着移動装置、および光学フィルム貼合せライン
KR101397094B1 (ko) 라미네이팅 장치 및 라미네이팅 방법
JP2004325539A (ja) 基板への偏光板貼付方法及び貼付装置
KR102192068B1 (ko) 리튬이온 배터리 전극판 접착장치의 테이프 자동공급장치
CN109622558A (zh) 一种ic剥离设备
KR101276263B1 (ko) 전자기기의 윈도우와 디스플레이 패널의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윈도우와 디스플레이 패널의 분리방법
JP2000284269A (ja) 液晶セル用偏光板の切断方法及びその接着方法
CN111605177B (zh) 一种曲面贴合设备及方法
CN110853504A (zh) 一种屏体表面贴合设备
JP6201082B1 (ja) 吸着部材、液晶セル吸着移動装置、および光学フィルム貼合せライン
KR20200090134A (ko) 필름 접합 장비
JP4262168B2 (ja) 実装装置
KR101309699B1 (ko) 라미네이팅 장치 및 라미네이팅 방법
CN112477374B (zh) 膜纸分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