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8379B1 - 상부 개구형 박스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상부 개구형 박스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8379B1
KR101428379B1 KR1020130039525A KR20130039525A KR101428379B1 KR 101428379 B1 KR101428379 B1 KR 101428379B1 KR 1020130039525 A KR1020130039525 A KR 1020130039525A KR 20130039525 A KR20130039525 A KR 20130039525A KR 101428379 B1 KR101428379 B1 KR 101428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fusing
plate
taping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9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희
Original Assignee
김승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희 filed Critical 김승희
Priority to KR1020130039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83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8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8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04Feeding sheets or blanks
    • B31B50/06Feeding sheets or blanks from st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60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 B31B50/64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by applying heat or pressure, e.g. by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60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 B31B50/72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by applying and securing strips or sheets

Abstract

본 발명은 밑지(1a)와 옆지(1b)로 전개된 원지(1)를 절곡하고 테이핑 시켜 박스(B)를 제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의 특징으로서, 상기 원지(1)를 다단으로 적층하는 슈트(11)를 구비하고, 상기 슈트(11)의 하부에 원지(1)를 연속으로 인출하고 이송하는 컨베이어(12)(13)를 구비하는 공급부(10); 상기 컨베이어(13)의 상ㆍ하부에 밑지(1a)와 옆지(1b)에 대응하는 누름판(21)과 절곡틀(25)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누름판(21)을 승ㆍ하강시켜 옆지(1b)를 절곡하는 실린더(22)를 구비하는 성형부(20); 상기 절곡틀(25)의 상부에 테이프(T)를 공급하는 보빈(31)을 구비하고, 상기 절곡틀(25)의 하부에 옆지(1b)가 맞물리는 모서리의 외면으로 테이프(T)를 융착시켜 박스(B)를 완성하는 테이핑수단을 구비하는 테이핑부(30); 및 상기 테이핑부(30)의 하부에 박스(B)를 외부로 배출하는 컨베이어(61)를 구비하고, 상기 컨베이어(61)와 체인(C)으로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65)를 구비하는 배출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전반적인 컴팩트한 크기로 설치에 따른 공간활용을 극대화 할 수 있고, 다양한 박스의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적용할 수 있는 호환성과 함께 박스를 제조하는 일련의 전 과정을 자동화로 구현하여 인력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고 제조 속도를 향상 수 있는 생산성을 지니며 특히, 하나의 모터만으로 원지를 신속하게 인출하고 정밀하게 공급함에 따라 에너지를 절감하면서도 구조를 간소화 하여 고장을 최소화 할 수 있고, 테이프를 융착하고 절단하는 기구를 한 곳에 모듈화 시킴에 따라 조립성과 정비성을 대폭 향상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 절단판이 테이프를 가압하면서도 유동됨에 따라 우수한 절단력으로 끼임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상부 개구형 박스의 제조장치{Upper open type box manufacturing unit}
본 발명은 밑지와 옆지로 전개된 원지를 절곡하고 테이핑 시켜 박스를 제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반적인 컴팩트한 크기로 설치에 따른 공간활용을 극대화 할 수 있고, 다양한 박스의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적용할 수 있는 호환성과 함께 박스를 제조하는 일련의 전 과정을 자동화로 구현하여 인력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고 제조 속도를 향상 수 있는 생산성을 지니며 특히, 하나의 모터만으로 원지를 신속하게 인출하고 정밀하게 공급함에 따라 에너지를 절감하면서도 구조를 간소화 하여 고장을 최소화 할 수 있고, 테이프를 융착하고 절단하는 기구를 한 곳에 모듈화 시킴에 따라 조립성과 정비성을 대폭 향상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 절단판이 테이프를 가압하면서도 유동됨에 따라 우수한 절단력으로 끼임을 방지할 수 있는 상부 개구형 박스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상부 개구형 박스라 함은 상하 또는 측방향으로 한 쌍이 상호 포개져 하나의 포장용 박스를 일컫는 것으로, 충분한 강도를 가질 수 있도록 골판지 또는 두꺼운 마닐라지로 형성되는 것이다. 즉, 상부 개구형 박스는 제단기를 이용하여 밑지와 옆지로 전개된 원지를 제단하고, 작업자가 제단된 원지의 옆지를 상호 절곡한 다음, 옆지가 맞물리는 모서리의 외면으로 테이프를 부착시켜 제조하였다.
주지된 바와 같이, 기존에는 절곡과 테이핑 작업을 수작업으로 진행하였으므로 인력에 따른 비용의 낭비와 함께 제조 속도의 저하로 대량 생산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무엇보다 테이핑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수작업으로 진행하였기에 부착 위치가 고르지 못하고 불량이 발생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시급한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일예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79161호 "상자제조장치"에 의하면, 절곡되지 않은 용지(2)를 수용하고 있는 용지공급부(1)와; 이 용지공급부(1)로부터 이송되어 온 용지(2)를 절곡하도록 형성된 절곡가이드(3); 이 절곡가이드(3)의 상부에 위치되어 용지(2)를 절곡가이드(3)로 밀어 넣도록 된 압력판(41)을 갖추고서 압축공기원과 연결된 제1실린더(4); 성형된 종이상자(20)의 모서리 근방에서 종이상자(20)에 테이프(50)를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프공급롤러(5); 성형된 종이상자(20)의 모서리에서 상기 테이프(50)를 종이상자(20)로 밀어붙이도록 된 누름부(61)를 갖춘 적어도 하나의 제2실린더(6); 상기 테이프(50)를 절단하도록 테이프의 공급방향에 직각되는 방향으로 설치된 절단수단(7) 및; 완성된 종이상자(20)를 이송하는 컨베이어벨트(8);를 구비하는 상자제조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다른 일예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69083호 "상부 개방박스(B) 제조장치"에 의하면, 구동수단(4)의 구동을 통해 육면체로 구성된 금형(11)을 반복적으로 승강시키는 절곡 누름부(1)와, 상기 금형(11)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부에 박스판(10)이 올려지는 양 수평대(21)를 포함하는 박스판안착부(2)와, 상기 박스판 안착부(2)의 하부 양측 전,후방에 상호 대각선 방향으로 대향되게 구비되어 구동수단(4)의 구동과 상기 금형(11)의 하강을 통해 박스판안착부(2)에 올려진 박스판(10)의 둘레판(101)을 절곡하면서 각 둘레판(101)의 접하는 부분을 테이핑하는 4개 절곡 테이핑부(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개방박스 제조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전자와 후자는 기존에 수작업으로 제조하던 박스를 자동화로 구현하여 인력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고 제조 속도를 향상 수 있는 생산성을 지니도록 개선하였다. 하지만, 전자와 후자는 테이프를 융착하고 절단하는 기구들이 별도의 장치로 형성됨에 따라 전반적인 구조가 복잡하여 조립성과 정비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무엇보다 테이프를 절단하는 과정에서 절단날과 테이프가 상호 끼임이 발생하여 작동을 빈번하게 중지해야 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79161호 "상자제조장치"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69083호 "상부 개방박스 제조장치"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반적인 컴팩트한 크기로 설치에 따른 공간활용을 극대화 할 수 있고, 다양한 박스의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적용할 수 있는 호환성과 함께 박스를 제조하는 일련의 전 과정을 자동화로 구현하여 인력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고 제조 속도를 향상 수 있는 생산성을 지니며 특히, 하나의 모터만으로 원지를 신속하게 인출하고 정밀하게 공급함에 따라 에너지를 절감하면서도 구조를 간소화 하여 고장을 최소화 할 수 있고, 테이프를 융착하고 절단하는 기구를 한 곳에 모듈화 시킴에 따라 조립성과 정비성을 대폭 향상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 절단판이 테이프를 가압하면서도 유동됨에 따라 우수한 절단력으로 끼임을 방지할 수 있는 상부 개구형 박스의 제조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밑지와 옆지로 전개된 원지를 절곡하고 테이핑 시켜 박스를 제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지를 다단으로 적층하는 슈트를 구비하고, 상기 슈트의 하부에 원지를 연속으로 인출하고 이송하는 컨베이어를 구비하는 공급부; 상기 컨베이어의 상ㆍ하부에 밑지와 옆지에 대응하는 누름판과 절곡틀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누름판을 승ㆍ하강시켜 옆지를 절곡하는 실린더를 구비하는 성형부; 상기 절곡틀의 상부에 테이프를 공급하는 보빈을 구비하고, 상기 절곡틀의 하부에 옆지가 맞물리는 모서리의 외면으로 테이프를 융착시켜 박스를 완성하는 테이핑수단을 구비하는 테이핑부; 및 상기 테이핑부의 하부에 박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컨베이어를 구비하고, 상기 컨베이어와 체인으로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를 구비하는 배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공급부는 컨베이어 상에 동력을 동시에 전달하도록 체인으로 연결되는 모터를 구비하되, 상기 컨베이어는 저속 스프라켓과 고속 스프라켓으로 각각 연결하여 인출과 이송의 속도 차이로 다수의 원지가 상호 이격된 상태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성형부는 절곡틀의 하부에 옆지를 절곡된 상태로 고정하는 받침편과, 절곡된 옆지의 상부 선단을 가압하는 걸림편을 사변에 걸쳐 하나 이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테이핑부의 테이핑수단은 베이스판 상에 보빈으로부터 테이프를 공급하도록 이송기구를 지닌 사이드판과, 공급된 테이프를 옆지가 맞물리는 모서리의 외면으로 융착하도록 융착기구를 지닌 융착블록과, 상기 이송기구와 융착기구에 각각 연결되어 작동을 부여하도록 작동기구를 지닌 고정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이송기구는 테이프를 공급하도록 수용하는 경로홈을 구비하고, 상기 경로홈 상에 상하로 천공된 작동홈을 구비하는 가이드와, 상기 작동홈 상에 테이프의 저면과 상면에 맞물려 이송하도록 회전하는 공급휠과 가압휠을 각각 구비하는 구ㆍ종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일단에 일방향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원웨이 클러치 베어링을 수용하는 스프라켓과, 일방향 회전을 유도하도록 마찰휠과 벨트를 구비하고, 상기 종동축의 타단에 공급휠과 테이프가 상호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가압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융착기구는 일단에 옆지가 맞물리는 모서리의 외면과 밀착되도록 V형의 융착홈을 구비하고, 내부에 테이프가 융착되도록 가열하는 히터와 센서를 구비하는 융착바와, 상기 융착바의 상면에 공급된 테이프를 절단하는 작동커터와, 상기 작동커터와 인접하는 상부에 용착홈으로 테이프가 공급되도록 천공된 공급홈을 구비하고, 상기 공급된 테이프를 작동커터와 연동하여 절단을 유도하는 고정커터를 수용한 절단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작동기구는 이송기구의 스프라켓과 연결되어 테이프를 공급하도록 회전력을 부여하는 공급실린더와, 융착기구의 융착바와 연결되어 옆지가 맞물리는 모서리의 외면과 밀착되도록 가압력을 부여하는 융착실린더를 구비하고, 상기 스프라켓과 벨트에 각각 연결되어 복원력과 마찰력을 부여하는 리턴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절단판은 융착블록으로부터 테이프의 두께에 따라 상하 유동할 수 있도록 조절볼트 상에 조절스프링을 탄지된 상태로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반적인 컴팩트한 크기로 설치에 따른 공간활용을 극대화 할 수 있고, 다양한 박스의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적용할 수 있는 호환성과 함께 박스를 제조하는 일련의 전 과정을 자동화로 구현하여 인력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고 제조 속도를 향상 수 있는 생산성을 지니며 특히, 하나의 모터만으로 원지를 신속하게 인출하고 정밀하게 공급함에 따라 에너지를 절감하면서도 구조를 간소화 하여 고장을 최소화 할 수 있고, 테이프를 융착하고 절단하는 기구를 한 곳에 모듈화 시킴에 따라 조립성과 정비성을 대폭 향상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 절단판이 테이프를 가압하면서도 유동됨에 따라 우수한 절단력으로 끼임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장치를 정면과 평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장치를 측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급부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성형부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핑부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핑부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분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핑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0 내지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장치의 제조과정을 나타내는 제조상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박스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밑지(1a)와 옆지(1b)로 전개된 원지(1)를 절곡하고 테이핑 시켜 박스(B)를 제조하는 장치와 관련되며, 공급부(10), 성형부(20), 테이핑부(30), 배출부(60)를 주요 구성으로 하는 상부 개구형 박스(B)의 제조장치에 관 한다. 본 발명의 제조장치는 컴팩트한 크기로 공간활용을 높이면서도 다양한 박스의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적용할 수 있는 호환성과 함께 일련의 전 과정을 자동화로 구현하여 인력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고 제조 속도를 향상 수 있어 대량 생산이 가능한 것을 주요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급부(10)는 상기 원지(1)를 다단으로 적층하는 슈트(11)를 구비하고, 상기 슈트(11)의 하부에 원지(1)를 연속으로 인출하고 이송하는 컨베이어(12)(13)를 구비한다. 공급부(10)는 도 1 내지 도 3처럼 밑지(1a)와 옆지(1b)로 전개된 다수의 원지(1)를 후술하는 성형부(20)로 낱장씩 공급하는 것으로, 슈트(11)와 컨베이어(12)(13)를 구비한다.
슈트(11)는 도 4처럼 하나 이상의 판이 절곡 또는 결합된 것으로, 다수의 원지(1)를 적층된 상태로 정렬되도록 한다. 즉, 슈트(11)는 내부에 원지(1)를 수용하는 크기를 지닌 공간을 구비하고, 상부에는 다수의 원지(1)를 정렬된 상태로 적층되도록 경사진 가이드를 구비한다. 이러한 슈트(11)는 도시된 개방형 외에도 밀폐형으로도 형성할 수 있으며, 전방에 다양한 두께를 지닌 원지(1)를 컨베이어(12)로부터 낱장씩 인출되도록 승ㆍ하강 조절되는 조절대(11a)와 인출되는 원지(1)를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한다.
컨베이어(12)는 도 4처럼 슈트(11)의 하부에 원지(1)의 다양한 두께와 대응하는 간격으로 이격되어 슈트(11)로부터 원지(1)가 낱장씩 인출되도록 구비하고, 컨베이어(13)는 컨베이어(12)의 전방에 인출된 원지(1)를 전달받아 후술하는 성형부(20)로 공급되도록 구비한다. 이러한 컨베이어(12)(13)는 원지(1)를 원활하게 인출하고 정밀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비교적 마찰력이 우수한 고무재의 이송벨트가 하나 이상 구비한다. 즉, 컨베이어(12)는 원지(1)의 전체면과 마찰되도록 비교적 넓은 면적을 지닌 이송벨트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컨베이어(13)는 성형부(20)에서 절곡할 수 있도록 옆지(1b)면과 마찰되는 간격을 지닌 한 쌍의 이송벨트를 구비하는 것이 좋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공급부(10)는 컨베이어(12)(13)상에 동력을 동시에 전달하도록 체인(C)으로 연결되는 모터(15)를 구비하되, 상기 컨베이어(12)(13)는 저속 스프라켓(16)과 고속 스프라켓(17)으로 각각 연결하여 인출과 이송의 속도 차이로 다수의 원지(1)가 상호 이격된 상태로 공급한다. 공급부(10)는 도 1 내지 도 3처럼 슈트(11)상에 적층된 다수의 원지(1)를 낱장씩 인출하고, 인출된 원지(1)를 성형부(20)로 공급하도록 컨베이어(12)(13)상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15)를 구비한다. 즉, 모터(15)는 컨베이어(12)의 일측에 체인(C)으로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고, 컨베이어(12)는 컨베이어(13)의 타측에 체인(C)으로 연결되어 동력을 동시에 전달한다.
여기서 원지(1)를 인출하는 컨베이어(12)는 저속 스프라켓(16)을 구비하고, 인출된 원지(1)를 공급하는 컨베이어(13)는 고속 스프라켓(17)을 구비하여 이들을 상호 체인(C)으로 연결한다. 즉, 원지(1)를 공급하는 컨베이어(13)는 성형부(20)에서 원할한 작동(성형)을 수행할 수 있도록 다수의 원지(1)가 이송벨트 상에서 상호 이격된 상태로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컨베이어(12)로부터 인출되는 원지(1)가 컨베이어(13)에 안착되면 상대적으로 빠른 회전을 수행하는 컨베이어(13)에 의하여 다수의 원지(1)가 상호 이격된 상태로 공급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성형부(20)는 상기 컨베이어(13)의 상ㆍ하부에 밑지(1a)와 옆지(1b)에 대응하는 누름판(21)과 절곡틀(25)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누름판(21)을 승ㆍ하강시켜 옆지(1b)를 절곡하는 실린더(22)를 구비한다. 성형부(20)는 도 1 내지 도 3처럼 컨베이어(13)로부터 공급된 원지(1)를 상자형으로 성형하는 것으로, 누름판(21)과 절곡틀(25) 및 실린더(22)를 구비한다.
누름판(21)은 도 5처럼 원지(1)의 밑지(1a)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사각의 판으로서, 컨베이어(13)의 상부에 실린더(22)와 연결되어 승하강 운동을 수행한다. 즉, 컨베이어(13)로부터 원지(1)가 공급되면, 실린더(22)에 의해 누름판(21)이 밑지(1a)만을 눌러 옆지(1b)가 상부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성형한다. 이러한 누름판(21)은 비교적 딱딱한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원지(1)의 손상과 소음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목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곡틀(25)은 도 5처럼 중앙에 원지(1)의 옆지(1b)와 대응하는 크기를 지닌 사각의 틀로서, 컨베이어(13)의 하부에 누름판(21)과 연동하여 밑지(1a)로부터 옆지(1b)가 상부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유도한다. 즉, 실린더(22)에 의해 누름판(21)이 밑지(1a)만을 눌러 절곡틀(25)을 통과시키면, 옆지(1b)가 절곡틀(25)에 의해 상부로 절곡되면서 누름판(21)의 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완전히 성형하게 된다. 이러한 절곡틀(25)은 우측 상면에 컨베이어(13)로부터 공급되는 원지(1)를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성형부(20)는 절곡틀(25)의 하부에 옆지(1b)를 절곡된 상태로 고정하는 받침편(26)과, 절곡된 옆지(1b)의 상부 선단을 가압하는 걸림편(27)을 사변에 걸쳐 하나 이상 구비한다. 절곡틀(25)은 도 5처럼 누름판(21)과 연동하여 밑지(1a)로부터 옆지(1b)를 절곡되도록 유도하는 것으로, 하부에 받침편(26)과 걸림편(27)을 각각 구비한다.
받침편(26)은 도 5처럼 누름판(21)에 의해 절곡틀(25)을 통과한 원지(1)가 하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면서 옆지(1b)가 지속적으로 절곡된 상태로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받침편(26)은 절곡틀(25)의 내주면과 동일선상에 누름판(21)의 하강 운동이 끝나는 지점까지 하부로 연장되고, 최하단은 밑지(1a)의 테두리를 지지하도록 내측으로 절곡되게 구비한다. 이러한 받침편(26)은 후술하는 테이핑부(30)가 테이프(T)를 융착할 수 있도록 지지하고 절곡된 상태를 유지되게 고정한다.
걸림편(27)은 도 5처럼 누름판(21)에 의해 절곡틀(25)을 통과한 원지(1)가 누름판(21)과 함께 승강하지 못하도록 가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걸림편(27)은 절곡틀(25)의 하부에 절곡된 옆지(1b)의 상부가 위치하는 지점까지 하부로 연장되고, 최하단은 옆지(1b)의 상부 선단을 가압하도록 내측으로 절곡되게 구비한다. 이러한 걸림편(27)은 후술하는 테이핑부(30)가 테이프(T)를 융착한 다음, 누름판(21)이 승강 운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박스(B)가 누름판(21)과 함께 승강하지 못하도록 가압한다.
한편, 받침편(26)과 걸림편(27)은 소정의 탄성력을 지니고 있어 누름판(21)이 재 하강 운동을 수행하면, 후속하는 원지(1)가 박스(B)를 가압하여 받침편(26)이 외측으로 벌어져 하부로 배출하게 된다. 그리고 재차 성형된 원지(1)를 지지하고 절곡된 상태를 유지되게 고정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테이핑부(30)는 상기 절곡틀(25)의 상부에 테이프(T)를 공급하는 보빈(31)을 구비하고, 상기 절곡틀(25)의 하부에 옆지(1b)가 맞물리는 모서리의 외면으로 테이프(T)를 융착시켜 박스(B)를 완성하는 테이핑수단을 구비한다. 테이핑부(30)는 도 1 내지 도 3처럼 옆지(1b)가 맞물리는 모서리의 외면으로 테이프(T)를 융착하는 것으로, 절곡틀(25)의 상ㆍ하부에 보빈(31)과 테이핑수단을 구비한다.
보빈(31)은 절곡틀(25)의 상부에 테이프(T)를 테이핑수단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회전가능한 축으로 구비한다. 여기서 테이프(T)은 일면에 접착제가 코팅처리된 것으로, 상온에서는 접착력이 상실된 상태를 지니다가, 열이 가해지면 접착력이 발생하는 핫-멜트이다. 테이핑수단은 절곡틀(25)의 하부에 성형부(20)에 의해 옆지(1b)가 맞물리는 모서리와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구비한다. 즉, 받침편(26)과 걸림편(27) 사이에 밑지(1a)로부터 절곡된 옆지(1b)가 맞물리는 모서리의 외면으로 테이프(T)를 융착한다.
여기서 테이핑수단은 박스(B)의 크기에 따라 위치를 가변할 수 있도록 조절수단과 연결된다. 즉, 조절수단은 별도의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도시하지 않았지만, 테이핑수단의 일정 위치를 이동할 수 있는 스크류와 핸들을 구비하거나 바이스를 구비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에나 박스(B)의 크기에 따라 테이핑수단의 위치를 보다 정밀하고 쉽고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구조를 지닌 조절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테이핑부(30)의 테이핑수단은 베이스판(32)상에 보빈(31)으로부터 테이프(T)를 공급하도록 이송기구를 지닌 사이드판(33)과, 공급된 테이프(T)를 옆지(1b)가 맞물리는 모서리의 외면으로 융착하도록 융착기구를 지닌 융착블록(34)과, 상기 이송기구와 융착기구에 각각 연결되어 작동을 부여하도록 작동기구를 지닌 고정판(35)을 구비한다. 테이핑수단은 도 6 내지 도 9처럼 옆지(1b)가 맞물리는 모서리의 외면으로 테이프(T)를 융착시켜 박스(B)를 완성하는 것으로, 베이스판(32)상에 사이드판(33)과 융착블록(34) 및 고정판(35)을 구비한다.
베이스판(32)은 도 6처럼 앞에서 전술한 조절수단에 체결되면서 테이핑수단을 지지하는 메인 브라켓으로서, 중앙에 이송기구를 지닌 사이드판(33)을 구비하고, 전방에는 융착기구를 지닌 융착블록(34)을 구비하며, 후방에는 작동기구를 지닌 고정판(35)을 구비한다. 여기서 사이드판(33)과 고정판(35)은 비교적 열전도율이 낮고 절연기능을 지닌 페놀계 합성수지인 베이클라이트(Bakelite)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융착블록(34)은 특성상 금속재로 형성되지만, 후술하는 융착바(51)와 맞물리는 위치에 사이드판(33) 및 고정판(35)과 동일한 재질의 보조판(34a)을 더 구비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이송기구는 테이프(T)를 공급하도록 수용하는 경로홈(41a)을 구비하고, 상기 경로홈(41a)상에 상하로 천공된 작동홈(41b)을 구비하는 가이드(41)와, 상기 작동홈(41b)상에 테이프(T)의 저면과 상면에 맞물려 이송하도록 회전하는 공급휠(42a)과 가압휠(43a)을 각각 구비하는 구ㆍ종동축(42)(43)과, 상기 구동축(42)의 일단에 일방향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원웨이 클러치 베어링(44)을 수용하는 스프라켓(45)과, 일방향 회전을 유도하도록 마찰휠(46)과 벨트(47)를 구비하고, 상기 종동축(43)의 타단에 공급휠(42a)과 테이프(T)가 상호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가압스프링(48)을 한다. 이송기구는 도 7처럼 사이드판(33)상에 보빈(31)으로부터 테이프(T)를 공급하는 것으로, 가이드(41)와 구ㆍ종동축(42)(43) 및 스프라켓(45)과 마찰휠(46) 그리고 벨트(47)와 가압스프링(48)을 구비한다.
가이드(41)는 도 7처럼 보빈(31)으로부터 테이프(T)를 전방에 위치한 융착블록(34)으로 공급되도록 경로를 마련해주는 것으로, 테이프(T)의 두께와 대응하도록 수용하는 경로홈(41a)과 함께 공급휠(42a)과 가압휠(43a)에 의해 테이프(T)가 전진 이송하도록 작동홈(41b)을 구비한다. 이러한 가이드(41)는 테이프(T)가 융착블록(34)상에 공급할 수 있도록 전방이 소정의 곡률로 하향 절곡된다.
구ㆍ종동축(42)(43)은 도 7처럼 테이프(T)를 전방에 위치한 융착블록(34)으로 공급되도록 이송하는 것으로, 작동홈(41b)상에 테이프(T)의 저면과 상면에 맞물려 이송하도록 회전하는 공급휠(42a)과 가압휠(43a)을 구비한다. 즉, 구동축(42)의 공급휠(42a)은 테이프(T)의 저면과 맞물려 융착블록(34)상에 공급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종동축(43)의 가압휠(43a)은 테이프(T)의 상면과 맞물려 공급휠(42a)의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가압해준다. 여기서 공급휠(42a)은 표면에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미세한 돌기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ㆍ종동축(42)(43)은 사이드판(33)상에 회전홈으로 베어링과 함께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종동축(43)의 회전홈은 상하로 유동할 수 있도록 장공형으로 형성되며 타단에 공급휠(42a)과 테이프(T)가 상호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가압스프링(48)을 구비한다.
스프라켓(45)은 구동축(42)의 일단에 작동기구인 공급실린더(56)로부터 일방향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원웨이 클러치 베어링(44)과 맞물려 결합된다. 원웨이 클러치 베어링(44)은 자전거와 같이 일방향으로는 동력을 전달하고, 역방향으로는 동력을 차단하는 것으로, 테이프(T)를 융착블록(34)으로 공급되도록 이송한 상태에서 역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도 8처럼 공급실린더(56)의 후진으로 스프라켓(45)이 회전하게 되고, 스프라켓(45)의 동력을 전달받은 공급휠(42a)은 테이프(T)를 융착블록(34)으로 일정 길이만큼만 이송한다. 이송이 완료되면 공급실린더(56)는 다음 작동을 위해 전진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원웨이 클러치 베어링(44)에 의해 스프라켓(45)을 공회전 즉, 구동축(42)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다.
마찰휠(46)은 구동축(43)의 일단에 작동기구인 리턴스프링(58)으로부터 원웨이 클러치 베어링(44)의 작동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벨트(47)로 연결된다. 원웨이 클러치 베어링(44)은 내부에 래칫을 내장하는 구조이므로 기계적인 저항이 존재할 수 밖에 없어 간혹, 테이프(T)를 융착블록(34)으로 공급된 상태에서 역전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따라서 구동축(43)과 연결된 마찰휠(46)에 리턴스프링(58)으로 당겨지는 벨트(47)를 연결하여 원웨이 클러치 베어링(44)의 자체 저항을 소멸시킬 수 있는 마찰력을 부여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융착기구는 일단에 옆지(1b)가 맞물리는 모서리의 외면과 밀착되도록 V형의 융착홈(51a)을 구비하고, 내부에 테이프(T)가 융착되도록 가열하는 히터(H)와 센서(S)를 구비하는 융착바(51)와, 상기 융착바(51)의 상면에 공급된 테이프(T)를 절단하는 작동커터(52)와, 상기 작동커터(52)와 인접하는 상부에 용착홈(51a)으로 테이프(T)가 공급되도록 천공된 공급홈(55a)을 구비하고, 상기 공급된 테이프(T)를 작동커터(52)와 연동하여 절단을 유도하는 고정커터(53)를 수용한 절단판(55)을 구비한다. 융착기구는 도 7처럼 융착블록(34)상에 이송기구로부터 공급된 테이프(T)를 옆지(1b)가 맞물리는 모서리의 외면으로 융착하는 것으로, 융착바(51)와 작동커터(52) 및 절단판(55)을 구비한다.
융착바(51)는 도 7처럼 융착블록(34)상에 작동기구인 융착실린더(57)와 연결되어 테이프(T)를 옆지(1b)가 맞물리는 모서리의 외면으로 융착하도록 슬라이드 운동하는 것으로, 일단과 내부에 융착홈(51a)과 히터(H) 및 센서(S)를 구비한다. 융착홈(51a)은 옆지(1b)가 맞물리는 모서리의 외면과 밀착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히터(H)는 테이프(T)의 표면에 코팅된 접착제가 용융되도록 가열하며, 센서(S)는 가열온도를 실시간 감지하여 피드백 제어하도록 신호를 발생한다. 즉, 도 8처럼 융착바(51)는 융착홈(51a)으로 테이프(T)가 공급되면, 도 9처럼 융착실린더(57)에 의해 융착블록(34)의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옆지(1b)가 맞물리는 모서리의 외면으로 테이프(T)를 융착한다. 여기서 융착바(51)는 상부에 융착홈(51a)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작동커터(52)를 구비함에 따라 절단판(55)과 연동하여 돌출과 함께 테이프(T)를 동시에 절단한다. 이러한 테이프(T)를 절단하는 과정에 있어서는 절단판(55)을 설명하는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겠다.
절단판(55)은 도 7처럼 융착블록(34)의 상부에 작동커터(52)와 맞물리도록 결합되어 테이프(T)가 절단되도록 유도하는 것으로, 공급홈(55a)과 고정커터(53)를 구비한다. 공급홈(55a)은 절단판(55)의 일측에 테이프(T)가 융착바(51)상에 공급되도록 경로를 마련하는 가이드(41)가 하향 절곡되어 하부로 인입할 수 있도록 구비하고, 고정커터(53)는 절단판(55)의 하부에 고정커터(53)와 맞물려 테이프(T)가 절단되도록 구비한다. 즉, 도 9처럼 옆지(1b)가 맞물리는 모서리의 외면으로 테이프(T)를 융착하기 위해 융착실린더(57)에 의해 융착블록(34)의 전방으로 돌출된다. 이때, 융착바(51)의 작동커터(52)와 고정커터(53)에 의해 융착홈(51a)으로 공급된 테이프(T)가 절단하게 된다. 한편, 고정커터(53)는 가이드(41)가 하향 절곡되어 하부로 인입할 수 있도록 공급홈(55a)의 외주면으로 형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절단판(55)은 융착블록(34)으로부터 테이프(T)의 두께에 따라 상하 유동할 수 있도록 조절볼트(59)상에 조절스프링(59a)을 탄지된 상태로 결합한다. 절단판(55)은 작동커터(52)와 맞물려 테이프(T)가 절단되도록 유도하는 것으로, 조절볼트(59)상에 조절스프링(59a)을 탄지된 상태로 융착블록(34)과 상호 결합한다. 조절스프링(59a)은 융착블록(34)의 상부에 절단판(55)을 소정의 가압력으로 밀착시켜 주고, 조절볼트(59)는 융착블록(34)으로부터 절단판(55)을 소정의 간격으로 상하 유동할 수 간격과 가압력을 조절한다. 즉, 테이프(T)를 절단하기 위해서는 작동커터(52)로부터 고정커터(53)가 테이프(T)의 두께 만큼 상호 이격된 상태로 구비해야 되는데, 실질적으로 테이프(T)의 두께만큼 정확한 이격 상태로 구비하기란 사실상 불가능하다.
예컨대, 작동커터(52)로부터 고정커터(53)의 간격이 테이프(T)의 두께보다 클 경우에는 테이프(T)를 절단할 수가 없고, 작동커터(52)로부터 고정커터(53)의 간격이 테이프(T)의 두께보다 작을 경우에는 테이프(T)가 작동커터(52)와 고정커터(53) 사이에 끼임이 발생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조절스프링(59a)이 작동커터(52)로부터 고정커터(53)의 간격을 테이프(T)의 두께보다 작도록 상시 가압하고, 절단 시에 끼임을 방지하도록 고정커터(53) 즉, 절단판(55)을 상하로 유동되도록 한다. 여기서 작동커터(52)로부터 고정커터(53)의 가압력은 조절볼트(59)를 죄거나 풀어 적절하게 조절하면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작동기구는 이송기구의 스프라켓(45)과 연결되어 테이프(T)를 공급하도록 회전력을 부여하는 공급실린더(56)와, 융착기구의 융착바(51)와 연결되어 옆지(1b)가 맞물리는 모서리의 외면과 밀착되도록 가압력을 부여하는 융착실린더(57)를 구비하고, 상기 스프라켓(45)과 벨트(47)에 각각 연결되어 복원력과 마찰력을 부여하는 리턴스프링(58)을 구비한다. 작동기구는 도 7처럼 고정판(35)상에 이송기구와 융착기구에 각각 연결되어 작동을 부여하는 것으로, 공급실린더(56)와 융착실린더(57) 및 리턴스프링(58)을 구비한다.
공급실린더(56)는 가이드(41)상에 테이프(T)가 융착블록(34)으로 전진 이송하도록 회전력을 부여하는 것으로, 구동축(32)의 일단에 스프라켓(45)과 체인으로 연결되고, 융착실린더(57)는 융착바(51)의 후방에 연결되어 옆지(1b)가 맞물리는 모서리의 외면과 밀착되도록 가압력을 부여한다. 그리고 한 쌍의 리턴스프링(58)은 스프라켓(45)과 벨트(47)에 각각 연결되어 복원력과 마찰력을 부여한다.
한편, 별도의 도면을 통해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작동기구는 공급실린더(56)와 융착실린더(57)를 제외하고, 하나의 모터만으로 구동축(32)과 융착바(51)를 작동할 수도 있다. 즉, 구동축(32)은 모터의 출력단과 체인이나 기어로 연결하고, 융착바(51)는 링크와 로드 및 캠으로 연결하여 회전력과 가압력을 동시에 부여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앞에서 전술한 원웨이 클러치 베어링(44)과 마찰휠(46) 및 벨트(47) 그리고 리턴스프링(58)을 모두 생략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에나 당업자는 이송기구와 융착기구의 동력을 가장 효율적으로 부여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구조로 채택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배출부(60)는 상기 테이핑부(30)의 하부에 박스(B)를 외부로 배출하는 컨베이어(61)를 구비하고, 상기 컨베이어(61)와 체인(C)으로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65)를 구비한다. 배출부(60)는 도 1 내지 도 4처럼 완성된 박스(B)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으로, 테이핑부(30)의 하부에 컨베이어(61)와 모터(65)를 구비한다. 컨베이어(61)는 테이핑부(30)의 하부에 받침편(26)으로부터 낙하되는 박스(B)를 공급받아 외부로 배출하는 것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65)와 체인(C)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컨베이어(61)는 공급부(10)의 컨베이어(12)(13)처럼 박스(B)를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비교적 마찰력이 우수한 고무재의 이송벨트가 하나 이상 구비하며, 배출단에 완성된 박스(B)를 카운팅하는 센서를 구비한다.
한편, 배출부(60)는 컨베이어(61)의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65)를 별도로 구비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 모터(65)를 제외하고 공급부(10)의 모터(15)만으로 동력을 전달받도록 컨베이어(13)의 고속 스프라켓(17)과 체인(C)으로 상호 연결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에나 당업자는 에너지의 절감과 작동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와 도 10 내지 도 15를 통한 작동에 있어서, 최초 작업자는 슈트(11)상에 밑지(1a)와 옆지(1b)로 전개되도록 제단된 다수의 원지(1)를 정렬된 상태로 적층하고, 테이프(T)가 권취된 보빈(31)을 장착한 다음, 테이프(T)를 테이핑부(30)로 인입시켜 작동을 준비한다. 그리고 제어부(70)를 조작하여 융착바(51)를 160~200℃가 되도록 예열하고, 예열이 완료되면 작동을 시작한다.
먼저, 도 10처럼 모터(15)가 컨베이어(12)(13)에 동력을 전달하여 슈트(11)로부터 원지(1)를 연속 인출하고, 인출된 원지(1)는 컨베이어(13)로 전달되어 절곡틀(21)상에 공급한다. 이때, 컨베이어(12)(13)는 저속 스프라켓(16)과 고속 스프라켓(17)으로 각각 연결되어 인출과 이송의 속도 차이로 다수의 원지(1)가 상호 이격된 상태로 절곡틀(21)상에 공급하게 된다.
이어서 도 11a처럼 절곡틀(21)상에 센서가 원지(1)를 감지하면 모터(15)가 정지되고, 도 11b처럼 실린더(22)가 작동하여 누름판(21)이 하강한다. 이때, 누름판(21)이 밑지(1a)만을 눌러 절곡틀(21)상으로 통과시키면, 옆지(1b)가 절곡틀(25)에 의해 상부로 절곡되면서 누름판(21)의 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완전히 성형하게 된다. 그리고 도 12처럼 누름판(21)에 의해 절곡틀(25)을 통과하여 성형된 원지(1)는 받침편(26)상에 지지되어 옆지(1b)가 지속적으로 절곡된 상태로 유지함과 함께 하부로 이탈되지 않고 고정된다.
이어서 도 8a처럼 공급실린더(56)가 스프라켓(45)을 회전시켜 도 8b처럼 융착바(51)의 융착홈(51a)으로 테이프(T)를 공급한다. 그리고 도 9처럼 융착실린더(57)가 융착바(51)를 융착블록(34)의 전방으로 돌출시키고, 도 13처럼 옆지(1b)가 맞물리는 모서리의 외면으로 테이프(T)를 융착한다. 이때, 융착바(51)의 작동커터(52)가 고정커터(53)와 연동하여 테이프(T)를 동시에 절단한다.
이어서 도 14a처럼 실린더(22)가 작동하여 누름판(21)을 승강시키고, 모터(15)가 작동하여 원지(1)를 절곡틀(21)상에 공급한다. 이때, 누름판(21)이 승강하는 과정에서 걸림편(27)이 옆지(1b)의 상부 선단을 가압하여 완성된 박스(B)가 누름판(21)과 함께 승강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재차 실린더(22)가 작동하여 누름판(21)을 하강시키면, 도 14b처럼 후속하는 원지(1)가 완성된 박스(B)를 가압하여 하부로 낙하시킨다. 이어서 낙하된 박스(B)는 컨베이어(61)상에 안착되고 모터(65)의 동력을 전달받아 외부로 완전히 배출하게 된다. 배출된 박스(B)는 도 15처럼 옆지(1b)가 맞물리는 모서리의 외면으로 테이프(T)가 융착되어 상부가 개구된 형태로 제조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전반적인 컴팩트한 크기로 설치에 따른 공간활용을 극대화 할 수 있고, 다양한 박스의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적용할 수 있는 호환성과 함께 박스를 제조하는 일련의 전 과정을 자동화로 구현하여 인력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고 제조 속도를 향상 수 있는 생산성을 지니며 특히, 하나의 모터만으로 원지를 신속하게 인출하고 정밀하게 공급함에 따라 에너지를 절감하면서도 구조를 간소화 하여 고장을 최소화 할 수 있고, 테이프를 융착하고 절단하는 기구를 한 곳에 모듈화 시킴에 따라 조립성과 정비성을 대폭 향상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 절단판이 테이프를 가압하면서도 유동됨에 따라 우수한 절단력으로 끼임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B: 박스 C: 체인
H: 히터 S: 센서
T: 테이프 1: 원지
1a: 밑지 1b: 옆지
10: 공급부 11: 슈트
11a: 조절대 12, 13, 61: 컨베이어
15, 65: 모터 16: 저속 스프라켓
17: 고속 스프라켓 20: 성형부
21: 누름판 22: 실린더
25: 절곡틀 26: 받침편
27: 걸림편 30: 테이핑부
31: 보빈 32: 베이스판
33: 사이드판 34: 융착블록
34a: 보조판 35: 고정판
41: 가이드 41a: 경로홈
41b: 작동홈 42: 구동축
42a: 공급휠 43: 종동축
43a: 가압휠 44: 원웨이 클러치 베어링
45: 스프라켓 46: 마찰휠
47: 벨트 48: 가압스프링
51: 융착바 51a: 융착홈
52: 작동커터 53: 고정커터
55: 절단판 55a: 공급홈
56: 공급실린더 57: 융착실린더
58: 리턴스프링 59: 조절볼트
59a: 조절스프링 60: 배출부

Claims (8)

  1. 삭제
  2. 밑지(1a)와 옆지(1b)로 전개된 원지(1)를 절곡하고 테이핑 시켜 박스(B)를 제조하되, 상기 원지(1)를 다단으로 적층하는 슈트(11)를 구비하고, 상기 슈트(11)의 하부에 원지(1)를 연속으로 인출하고 이송하는 컨베이어(12)(13)를 구비하는 공급부(10); 상기 컨베이어(13)의 상ㆍ하부에 밑지(1a)와 옆지(1b)에 대응하는 누름판(21)과 절곡틀(25)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누름판(21)을 승ㆍ하강시켜 옆지(1b)를 절곡하는 실린더(22)를 구비하는 성형부(20); 상기 절곡틀(25)의 상부에 테이프(T)를 공급하는 보빈(31)을 구비하고, 상기 절곡틀(25)의 하부에 옆지(1b)가 맞물리는 모서리의 외면으로 테이프(T)를 융착시켜 박스(B)를 완성하는 테이핑수단을 구비하는 테이핑부(30); 및 상기 테이핑부(30)의 하부에 박스(B)를 외부로 배출하는 컨베이어(61)를 구비하고, 상기 컨베이어(61)와 체인(C)으로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65)를 구비하는 배출부(60);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핑부(30)의 테이핑수단은 베이스판(32)상에 보빈(31)으로부터 테이프(T)를 공급하도록 이송기구를 지닌 사이드판(33)과, 공급된 테이프(T)를 옆지(1b)가 맞물리는 모서리의 외면으로 융착하도록 융착기구를 지닌 융착블록(34)과, 상기 이송기구와 융착기구에 각각 연결되어 작동을 부여하도록 작동기구를 지닌 고정판(35)을 구비하는 상부 개구형 박스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10)는 컨베이어(12)(13)상에 동력을 동시에 전달하도록 체인(C)으로 연결되는 모터(15)를 구비하되, 상기 컨베이어(12)(13)는 저속 스프라켓(16)과 고속 스프라켓(17)으로 각각 연결하여 인출과 이송의 속도 차이로 다수의 원지(1)가 상호 이격된 상태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개구형 박스의 제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부(20)는 절곡틀(25)의 하부에 옆지(1b)를 절곡된 상태로 고정하는 받침편(26)과, 절곡된 옆지(1b)의 상부 선단을 가압하는 걸림편(27)을 사변에 걸쳐 하나 이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개구형 박스의 제조장치.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기구는 테이프(T)를 공급하도록 수용하는 경로홈(41a)을 구비하고, 상기 경로홈(41a)상에 상하로 천공된 작동홈(41b)을 구비하는 가이드(41)와, 상기 작동홈(41b)상에 테이프(T)의 저면과 상면에 맞물려 이송하도록 회전하는 공급휠(42a)과 가압휠(43a)을 각각 구비하는 구ㆍ종동축(42)(43)과, 상기 구동축(42)의 일단에 일방향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원웨이 클러치 베어링(44)을 수용하는 스프라켓(45)과, 일방향 회전을 유도하도록 마찰휠(46)과 벨트(47)를 구비하고, 상기 종동축(43)의 타단에 공급휠(42a)과 테이프(T)가 상호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가압스프링(48)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개구형 박스의 제조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기구는 일단에 옆지(1b)가 맞물리는 모서리의 외면과 밀착되도록 V형의 융착홈(51a)을 구비하고, 내부에 테이프(T)가 융착되도록 가열하는 히터(H)와 센서(S)를 구비하는 융착바(51)와, 상기 융착바(51)의 상면에 공급된 테이프(T)를 절단하는 작동커터(52)와, 상기 작동커터(52)와 인접하는 상부에 용착홈(51a)으로 테이프(T)가 공급되도록 천공된 공급홈(55a)을 구비하고, 상기 공급된 테이프(T)를 작동커터(52)와 연동하여 절단을 유도하는 고정커터(53)를 수용한 절단판(5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개구형 박스의 제조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구는 이송기구의 스프라켓(45)과 연결되어 테이프(T)를 공급하도록 회전력을 부여하는 공급실린더(56)와, 융착기구의 융착바(51)와 연결되어 옆지(1b)가 맞물리는 모서리의 외면과 밀착되도록 가압력을 부여하는 융착실린더(57)를 구비하고, 상기 스프라켓(45)과 벨트(47)에 각각 연결되어 복원력과 마찰력을 부여하는 리턴스프링(58)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개구형 박스의 제조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판(55)은 융착블록(34)으로부터 테이프(T)의 두께에 따라 상하 유동할 수 있도록 조절볼트(59)상에 조절스프링(59a)을 탄지된 상태로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개구형 박스의 제조장치.
KR1020130039525A 2013-04-10 2013-04-10 상부 개구형 박스의 제조장치 KR101428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9525A KR101428379B1 (ko) 2013-04-10 2013-04-10 상부 개구형 박스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9525A KR101428379B1 (ko) 2013-04-10 2013-04-10 상부 개구형 박스의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8379B1 true KR101428379B1 (ko) 2014-08-13

Family

ID=51749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9525A KR101428379B1 (ko) 2013-04-10 2013-04-10 상부 개구형 박스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837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5206B1 (ko) 2015-10-29 2017-05-12 서태환 오픈형 골판지 박스 덮개 제조장치
KR20200080980A (ko) * 2018-12-27 2020-07-07 김익성 종이상자 성형기계
KR20200080977A (ko) * 2018-12-27 2020-07-07 김익성 종이상자 제조 시스템
CN114872374A (zh) * 2022-04-24 2022-08-09 东莞市皇盈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圆盘生产线
CN116511930A (zh) * 2023-06-29 2023-08-01 无锡维凯科技有限公司 基于锂电池外壳制造的折弯成型装置及其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4769A (ja) * 1996-07-23 1998-02-10 Oohata Seisakusho:Kk 接着準備装置
KR100655468B1 (ko) 2005-11-10 2006-12-08 주식회사 삼원기계 에이치형 박스포장용 테이핑장치
KR100679161B1 (ko) * 2005-11-07 2007-02-06 (주)비원에이피엠티 상자제조장치
EP1609585B2 (en) * 2004-06-21 2011-03-23 Europrogetti S.r.l. A box erecting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4769A (ja) * 1996-07-23 1998-02-10 Oohata Seisakusho:Kk 接着準備装置
EP1609585B2 (en) * 2004-06-21 2011-03-23 Europrogetti S.r.l. A box erecting device
KR100679161B1 (ko) * 2005-11-07 2007-02-06 (주)비원에이피엠티 상자제조장치
KR100655468B1 (ko) 2005-11-10 2006-12-08 주식회사 삼원기계 에이치형 박스포장용 테이핑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5206B1 (ko) 2015-10-29 2017-05-12 서태환 오픈형 골판지 박스 덮개 제조장치
KR20200080980A (ko) * 2018-12-27 2020-07-07 김익성 종이상자 성형기계
KR20200080977A (ko) * 2018-12-27 2020-07-07 김익성 종이상자 제조 시스템
KR102172859B1 (ko) * 2018-12-27 2020-11-02 김익성 종이상자 성형기계
KR102201339B1 (ko) 2018-12-27 2021-01-08 김익성 종이상자 제조 시스템
CN114872374A (zh) * 2022-04-24 2022-08-09 东莞市皇盈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圆盘生产线
CN114872374B (zh) * 2022-04-24 2024-02-27 东莞市皇盈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圆盘生产线
CN116511930A (zh) * 2023-06-29 2023-08-01 无锡维凯科技有限公司 基于锂电池外壳制造的折弯成型装置及其方法
CN116511930B (zh) * 2023-06-29 2023-09-22 无锡维凯科技有限公司 基于锂电池外壳制造的折弯成型装置及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8379B1 (ko) 상부 개구형 박스의 제조장치
CN106005639B (zh) 全自动贴标机
US9162834B1 (en) Front-edge paper feeding device
CN205889982U (zh) 全自动纸箱塑胶提手粘接机
JP4838869B2 (ja) 平盤打抜き装置
CN207536893U (zh) 一种全自动贴双面胶机
TWI701152B (zh) 輥軸轉換裝置以及燙金模切設備
CN205526835U (zh) 一种热缩片材全自动打卷包装设备
KR101977713B1 (ko) 비닐장갑 제조장치
CN208789147U (zh) 一种质量平整的编织袋裁切机
CN101396792A (zh) 一种用于自动安装提手的设备
CN208801658U (zh) 一种包装箱穿装塑料提手的设备
CN202826511U (zh) 立体纸盒成型机的送纸装置
CN215972543U (zh) 一种具有侧贴标功能的自动封箱机
KR101142841B1 (ko) 일회용 장갑 자동 제조장치
CN204976949U (zh) 一种板材封边机
CN109732996B (zh) 休闲零食包装袋的生产工艺
CN209649594U (zh) 一种包装盒折边成型机构
CN105692312A (zh) 一种裁纸机
JP2008272913A (ja) セラミック基板形成装置
KR20090111201A (ko) 낱장 절취가능한 비닐시트 묶음 형성장치 및 비닐시트묶음
CN215043936U (zh) 泡罩片覆膜输送装置
CN208233421U (zh) 辊板式泡罩包装机
CN203767685U (zh) 数码压痕机的防双张机构
CN211442914U (zh) 一种电器产品面板稳定传输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