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3528B1 - 과일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과일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3528B1
KR101113528B1 KR1020090110184A KR20090110184A KR101113528B1 KR 101113528 B1 KR101113528 B1 KR 101113528B1 KR 1020090110184 A KR1020090110184 A KR 1020090110184A KR 20090110184 A KR20090110184 A KR 20090110184A KR 101113528 B1 KR101113528 B1 KR 1011135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uit
operating
tray
support
piston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0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3598A (ko
Inventor
윤상필
Original Assignee
한농쏘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농쏘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농쏘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0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3528B1/ko
Publication of KR20110053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3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3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3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16Sorting according to weight
    • B07C5/18Sorting according to weight using a single stationary weighing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2501/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to be sorted
    • B07C2501/009Sorting of fruit

Landscapes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레이를 한쪽으로 젖혀(회동시켜) 과일을 떨어뜨리도록 구성한 틸팅아암을 동작시키는 작동수단에서 상기 작동수단을 구성하는 피스톤로드와 작동대가 서로 최소한의 접촉을 이룬 상태로 연결 동작하도록 구성하여 적은 접촉면적을 통해 마찰이 줄어들도록 하여 작동수단의 동작이 보다 부드럽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한 과일 선별장치를 구현하고자 한다.
과일 선별장치, 트레이, 선별기, 레버, 작동수단

Description

과일 선별장치{FRUITS GRADER}
본 발명은 과일 선별장치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틸팅아암을 동작시키는 작동수단의 동작이 보다 부드럽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한 과일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농산물 선별기는 농산물을 크기 혹은 무게별로 선별할 목적으로 제공되는 장치로서, 크게 형상선별 방식과 중량선별 방식으로 나뉘어 진다.
후자의 중량선별방식은 무게 감지장치를 이용하여 과일을 선별하는 방식으로서, 이러한 중량선별방식을 이용한 과일 선별장치는 크게 기대 상에 설치되는 이송수단인 체인컨베이어, 과일선별기 그리고 상기 레일 상면 바닥에 설치되는 로드셀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한 구성의 과일 선별장치는 과일을 실은 과일선별기가 이송수단인 체인 컨베이어를 타고 측정수단인 로드셀로 이송되면, 상기 로드셀에서 선별기에 얹혀져 있는 과일의 하중을 측정하여 과일을 크기별로 선별하게 되고, 이어서 선별된 과일 들은 과일선별기에 설치되어 있는 틸팅수단의 동작에 따라 저장통(미 도시 함)에 각각 선택적으로 저장되도록 하여 과일을 크기별로 선별하게 된다.
한편, 과일 선별기에 구비되는 틸팅수단은 로드셀에서 과일의 중량이 측정되고 난 후, 해당 저장위치로 지지대가 이동하고 나면 작동수단의 동작에 따라 틸팅 동작하며 트레이를 한쪽으로 젖혀(회동시켜) 과일을 떨어뜨리게 된다.
그러나 종래 작동수단은 각 구성간의 마찰이 많이 발생하여 동작이 부드럽게 진행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틸팅수단을 동작시키는 작동수단의 마찰을 최소화시켜 작동수단의 동작을 부드럽게 진행시킬 수 있도록 한 과일 선별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과일이 올려지는 기대와, 상기 기대 상에 위치하며 과일이 올려지는 트레이를 받쳐주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내부에 설치되며 이송 컨베이어의 구동으로 동작하며 상기 지지대를 로드셀로 이송시키는 이송대와, 상기 트레이와 지지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기대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레일에 끼워져 꺽임 동작하는 레버의 동작에 따라 상기 트레이를 틸팅 동작시키는 틸팅아암 및 상기 레버와 가이드레일을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틸팅아암을 동작시키는 작동수단을 포함하는 과일 선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은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전기적으로 구동하는 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구동으로 전, 후 이동하는 피스톤로드와, 상기 피스톤로드가 끼워지는 삽입부가 일단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로드의 동작에 따라 당겨지거나 밀려나는 동작을 수행하는 작동대 및 상기 작동대의 타단에 절곡 구성되며 상기 작동대의 동작에 따라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며 상기 레버가 기대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레일에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레일의 입구를 연결시키는 연결아암 을 포함하며, 상기 작동대의 일단 전면은 볼록하게 라운드지게 형성하고, 상기 피스톤로드의 단부는 플랜지부를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피스톤로드의 동작에 따라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작동대의 일단에 형성된 라운드부에 접촉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과일 선별장치는 트레이를 한쪽으로 젖혀(회동시켜) 과일을 떨어뜨리도록 구성한 틸팅아암을 동작시키는 작동수단에서 상기 작동수단을 구성하는 피스톤로드와 작동대가 서로 최소한의 접촉을 이룬 상태로 연결 동작하도록 구성하여 적은 접촉면적을 통해 마찰이 줄어들도록 하여 작동수단의 동작을 보다 부드럽게 진행할 수 있는 작용효과를 구현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 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에서는 트레이를 한쪽으로 젖혀(회동시켜) 과일을 떨어뜨리도록 구성한 틸팅아암을 동작시키는 작동수단에서 상기 작동수단을 구성하는 피스톤로드와 작동대가 서로 최소한의 접촉을 이룬 상태로 연결 동작하도록 구성하여 적은 접촉 면적을 통해 마찰이 줄어들도록 하여 작동수단의 동작이 보다 부드럽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한 과일 선별장치를 구현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과일 선별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과일 선별장치는 기대(5)와, 상기 기대상에 설치과일선별기(10) 그리고 상기 기대(5) 상면에 설치되는 로드셀(20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한 구성의 과일 선별장치는 과일을 실은 과일선별기(10)가 이송수단인 체인 컨베이어(100)를 타고 측정수단인 로드셀(200)로 이송되면, 상기 로드셀(200)에서 선별기(10)에 얹혀져 있는 과일의 하중을 측정하여 과일을 크기별로 선별하게 되고, 이어서 선별된 과일들은 과일선별기(10)에 설치되어 있는 틸팅수단(14)의 동작에 따라 저장통(미 도시 함)에 각각 선택적으로 저장되도록 하여 과일을 크기별로 선별하게 된다.
첨부된 도 2는 상기한 과일선별장치를 구성하는 선별기의 구성을 발췌하여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과일선별기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와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선별기(10)는 트레이(12)와, 지지대(16) 및 이송대(24)로 크게 나뉘어져 구성한다.
상기 트레이(12)는 전체적으로 접시모양의 형태를 가지며 과일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지지대(16)는 "∩"단면형태를 가지며 기대(5) 상에 얹혀지는 것으로서, 상기 지지대(16)의 상면에는 틸팅아암(30)을 사이에 두고 상기 트레이(12)가 올려지며 내부에는 이송대(24)가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한 지지대(16)는 이송대(24)의 동작에 따라 이동하며 트레이(12)를 측정수단인 로드셀(200)로 이송시키게 된다.
상기 지지대(16)의 양쪽 측면프레임(20a, 20b) 하단에는 제 1 내지 제 3접점돌기(28, 30, 31)들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내지 제 3접점돌기(28, 30, 31)들은 지지대(16)가 측정수단인 로드셀(200)로 이송되면 상기 로드셀(200)에 올려지며 트레이(12)에 올려져 있는 과일의 하중이 측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틸팅아암(30)은 트레이(12)와 지지대(16)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틸팅아암(30)은 상기 지지대(16)가 로드셀(200)로 이송된 후, 과일이 크기별로 선별되고 난 후, 선별된 과일이 올려져 있는 트레이(12)가 각각의 저장통에 위치하고 나면 후술하는 작동수단의 동작으로 동작하며 과일을 해당 저장통에 각각 떨어뜨리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삭제
상기한 틸팅아암(30)에는 레버(32)가 힌지(34)로 결합 구성된다. 상기 레버(32)는 지지대(16) 외측으로 노출된 상태에서 작동수단(40)의 연결대(50)가 가이드레일(7)의 입구쪽을 연결되고 나면, 상기 연결대(50)를 타고 가이드레일(7)로 진입한 후, 한쪽방향으로 꺽여지며 힌지(34) 결합된 틸팅아암(30)을 틸팅 동작시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과일 선별장치에는 작동수단(40)이 더 포함되어 설치된다. 상기 작동수단(40)은 로드셀(200)에서 과일의 중량이 측정되고 나면 제어부(미 도 시 함)에서 인가된 신호를 통해 전기적으로 작동하며 레버(32)가 가이드레일 쪽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틸팅아암(30)을 선택적으로 동작시키게 된다. 이때 틸팅아암(30)의 동작은 레버(32)가 기대(5)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레일(7)을 타고 이동할 때에만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바, 이때 작동수단(40)은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연결대(50)를 상기 가이드레일(7)의 입구쪽에 연결시켜 레버(32)가 가이드레일(7)로 진입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첨부된 도 4는 상기한 작동수단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서 도시하고 있는 작동수단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와 도 5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작동수단(40)은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전기적으로 동작하며 피스톤로드(44)를 전, 후 이동시키는 솔레노이드밸브(42)와, 작동대(46) 및 연결대(5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작동대(46)는 일단으로 상기 피스톤로드(44)가 끼워지기 위한 삽입부(48)이 함몰 형성되고, 그 타단에는 힌지(52)가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로드(44)의 전, 후 이동에 따라 상기 힌지(52)를 기점으로 해서 당겨지거나 밀려나며 타단에 소정각도 절곡된 상태로 연장 형성된 연결대(50)를 회동 동작시키게 된다.
상기 연결대(50)는 상기 작동대(46)의 타단에 소정각도 절곡된 상태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작동대(46)와 연결대(50)의 절곡지점에는 힌지(52)가 결합되어, 상기 작동대(46)가 피스톤로드(44)의 동작으로 당겨지거나 밀려나는 동작을 수행하면 연결대(50)는 상기 힌지(52)를 기점으로 해서 위로 들려지거나 아래로 내려가며 회동 동작을 수행하며 전술한 기대(5)의 측면에 설치된 가이드레일(7)에 레버(32)가 올려질 수 있도록 가이드레일(7)의 입구쪽을 연결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작동대(46)의 일단 전면은 전체적으로 볼록하게 라운드(R)지게 형성하고, 상기 작동대(46)의 일단 삽입부에 끼워지는 피스톤로드(44)의 단부에는 평판타입의 플랜지부(45)를 형성하여, 피스톤로드(44)의 작동에 따라 상기 플랜지부(45)가 작동대(46)의 일단 전면에 걸려지면 상기 작동대(46)의 일단 전면에 형성된 라운드부(R)의 굴곡면에 접촉하도록 하여 그 접촉면적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플랜지부(45)와 라운드부(R)간의 마찰을 줄여 작동대(46)의 당김 및 밀림동작이 보다 부드럽게 진행되어 전체적으로 작동수단의 동작을 부드럽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송대(24)는 체인 컨베이어(100)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이송대는 지지대(16)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대와 연결막대로 체결 구성되어 상기 체인 컨베이어(100)의 구동에 따라 지지대(16)를 로드셀(200)로 이송시키는 수단이다. 상기 이송대(24)의 동작에 따라 지지대(16)가 로드셀(200)에 올려지고 나면 트레이(12)에 올려져 있는 과일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으며, 여기서 중량이 측정된 과일은 중량별로 선별된 후, 틸팅아암(30)의 선택적인 동작에 따라 해당 저장통으로 자동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과일 선별기의 작용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먼저, 과일 선별기(10)를 구성하는 트레이(12)에 과일이 올려지고 나면 체인 컨베이어(100)가 구동하며 이송대(24)를 동작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이송 대(24)와 연결막대(26)로 연결 구성된 지지대(16)는 트레이(12)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이송대(24)의 동작에 따라 측정수단인 로드셀(200)로 이송되어 지고, 이어서 상기 로드셀(200)에서 트레이(12)에 올려져 있는 과일의 중량을 측정하여 제어부로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과일의 중량이 측정되고 나면 선별기는 해당 중량의 과일을 저장하는 저장통으로 이동한 후, 틸팅아암(30)의 동작으로 트레이를 한쪽으로 젖혀(회동시켜) 과일을 저장통으로 떨어뜨리게 된다. 이때 틸팅아암(30)은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작동수단(40)에 의해 선택적으로 동작하게 된다.
즉, 선별기가 설정된 저장통으로 이동하면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작동수단(40)의 솔레노이드밸브(42)가 구동하며 피스톤로드(44)를 당겨주게 되고, 이에 따라 작동대(46)는 당겨지며 힌지(52)를 기점으로 해서 연결대(50)를 아래로 회동 동작시켜 가이드레일(7) 입구쪽에 상기 연결대(50)를 연결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가이드레일(7)의 입구쪽에 연결대(50)가 연결되고 나면 틸팅아암(30)의 레버(32) 단부가 상기 연결대(50)를 타고 가이드레일(7)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꺽여지며 지지대(16)와 트레이(12) 사이에 위치하는 틸팅아암(30)을 틸팅 동작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트레이(12)는 일측의 힌지핀을 중심으로 틸팅 동작하며 과일을 해당 저장통으로 떨어뜨리게 되는 것이다.
한편, 작동수단(40)을 구성하는 피스톤로드(44)가 당겨질 때, 상기 피스톤로드(44)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부(45)는 작동대(46)의 일단 전면에 걸려진 상태로 접촉하게 되는 데, 이때 상기 작동대(46)의 전면에 형성된 라운드부(R)가 가지는 굴곡을 통해 플랜지부(45)와 작동대(46)의 전면 간의 접촉면적이 최소화됨에 따라 서로간의 마찰을 줄여 작동대(46)의 당김 및 밀림동작을 부드럽게 진행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과일 선별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선별기의 구성을 발췌하여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작동수단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에서 도시한 작동수단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에서 도시하고 있는 작동수단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과일 선별기 12: 트레이
14: 틸팅수단 16: 지지대
24: 이송대 30: 틸팅아암
32: 레버 40: 작동수단
42: 솔레노이드밸브 44: 피스톤로드
46: 작동대 50: 연결대

Claims (1)

  1. 기대(5)와, 상기 기대(5) 상에 위치하며 과일이 올려지는 트레이(12)를 받쳐주는 지지대(16)와, 상기 지지대(16)의 내부에 설치되며 이송 컨베이어(100)의 구동으로 동작하며 상기 지지대(16)를 로드셀(200)로 이송시키는 이송대(24)와, 상기 트레이(12)와 지지대 (16)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기대(5)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레일(7)에 끼워져 꺽임 동작하는 레버(32)의 동작에 따라 상기 트레이(12)를 틸팅 동작시키는 틸팅아암(46) 및 상기 레버(32)와 가이드레일(7)을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틸팅아암(46)을 동작시키는 작동수단(40)을 포함하는 과일 선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40)은;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전기적으로 구동하는 솔레노이드밸브(42)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42)의 구동으로 전, 후 이동하는 피스톤로드(44)와;
    상기 피스톤로드(44)가 끼워지는 삽입부(48)가 일단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로드(44)의 동작에 따라 당겨지거나 밀려나는 동작을 수행하는 작동대(46) 및 ;
    상기 작동대(46)의 타단에 절곡 구성되며 상기 작동대(46)의 동작에 따라 힌지(52)를 중심으로 회동하며 상기 레버(32)가 기대(5)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레일(7)에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레일(7)의 입구를 연결시키는 연결아암(50)을 포함하며;
    상기 작동대(46)의 일단 전면은 볼록하게 라운드(R)지게 형성하고;
    상기 피스톤로드(44)의 단부는 플랜지부(45)를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피스톤로드(44)의 동작에 따라 상기 플랜지부(45)는 상기 작동대(46)의 일단에 형성된 라운드부(R)에 접촉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선별장치.
KR1020090110184A 2009-11-16 2009-11-16 과일 선별장치 KR1011135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0184A KR101113528B1 (ko) 2009-11-16 2009-11-16 과일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0184A KR101113528B1 (ko) 2009-11-16 2009-11-16 과일 선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3598A KR20110053598A (ko) 2011-05-24
KR101113528B1 true KR101113528B1 (ko) 2012-02-27

Family

ID=44363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0184A KR101113528B1 (ko) 2009-11-16 2009-11-16 과일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352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357Y1 (ko) 2013-09-30 2015-02-23 유춘열 선별기의 이송장치용 브라켓
KR101715686B1 (ko) 2015-12-11 2017-03-13 한국식품연구원 채소 선별기
KR101721138B1 (ko) 2015-12-11 2017-03-29 한국식품연구원 채소 선별기
CN110000175A (zh) * 2017-12-22 2019-07-12 克朗斯股份公司 用于对瓶子进行清洁的瓶子清洁机
KR20230023528A (ko) * 2021-08-10 2023-02-17 권익삼 과일류 중량 자동 선별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84434B (zh) * 2011-08-18 2013-02-13 陈皓 果蔬分类装置的选果果盘总成
CN110624845A (zh) * 2019-10-23 2019-12-31 临海市利农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果蔬分选的稳定筛分装置
KR102651016B1 (ko) * 2023-02-20 2024-03-26 (주)로보텍 루프 회전타입의 이형택배물품의 분류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0816Y1 (ko) * 1984-01-17 1986-05-10 김용섭 과일 선별 장치
JPH0910702A (ja) * 1995-06-28 1997-01-14 Motohiro Okada 選果装置と被選果物の選別方法
KR200298866Y1 (ko) 2002-07-09 2003-01-03 (주)선영 과일선별기용 계측컵
KR100724242B1 (ko) 2006-06-24 2007-05-31 곽영대 중량식 과일 선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0816Y1 (ko) * 1984-01-17 1986-05-10 김용섭 과일 선별 장치
JPH0910702A (ja) * 1995-06-28 1997-01-14 Motohiro Okada 選果装置と被選果物の選別方法
KR200298866Y1 (ko) 2002-07-09 2003-01-03 (주)선영 과일선별기용 계측컵
KR100724242B1 (ko) 2006-06-24 2007-05-31 곽영대 중량식 과일 선별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357Y1 (ko) 2013-09-30 2015-02-23 유춘열 선별기의 이송장치용 브라켓
KR101715686B1 (ko) 2015-12-11 2017-03-13 한국식품연구원 채소 선별기
KR101721138B1 (ko) 2015-12-11 2017-03-29 한국식품연구원 채소 선별기
CN110000175A (zh) * 2017-12-22 2019-07-12 克朗斯股份公司 用于对瓶子进行清洁的瓶子清洁机
KR20230023528A (ko) * 2021-08-10 2023-02-17 권익삼 과일류 중량 자동 선별기
KR102503038B1 (ko) 2021-08-10 2023-02-23 권익삼 과일류 중량 자동 선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3598A (ko) 2011-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3528B1 (ko) 과일 선별장치
EP2294429B1 (fr) Automate de traitement et/ou d&#39;analyse avec une pince adaptée pour saisir un support d&#39;échantillons biologiques
CA2496614A1 (en) Automatic apparatus for storing and dispensing packaged medication and other small elements
KR101796898B1 (ko) 라벨기용 채혈관 자동 공급장치
JPH0520686B2 (ko)
CN111009076B (zh) 货品输出装置、货品输出机构和货柜
WO2012032865A1 (ja) 仕分システムと仕分方法
US4043460A (en) Tray stacking and unstacking apparatus
CN110709340A (zh) 垃圾箱载体和自动化容器处理系统
JP4119026B2 (ja) 敷板回収装置
US20060049729A1 (en) Book storage and transportation bin
CN201576322U (zh) 一种自动饭盒上料装置
KR102387037B1 (ko) 전복선별장치용 컵구조
CN213109943U (zh) 一种套装组合餐具装箱机构
CN210833799U (zh) 称重单元及禽蛋称重装置
CN210271087U (zh) 自动售货机的出货装置
JPH0881053A (ja) 長もの野菜選別機の供給部構造
JP3076296B2 (ja) 麺線のコンテナ取り装置及びそのコンテナ取りシステム
JP2002308201A (ja) 電気ニッケル切断ピースの荷造り装置
JP5093712B2 (ja) 選別装置
CN219193609U (zh) 一种物料理料的柔性推板理料机
KR100506798B1 (ko) 수직식 핸들러의 소형 디바이스 세퍼레이팅장치
JP2004269146A (ja) リフターの昇降制御装置
CN216103567U (zh) 一种热处理零部件转运料箱
CN216360266U (zh) 一种自动弃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