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8866Y1 - 과일선별기용 계측컵 - Google Patents

과일선별기용 계측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8866Y1
KR200298866Y1 KR20-2002-0020615U KR20020020615U KR200298866Y1 KR 200298866 Y1 KR200298866 Y1 KR 200298866Y1 KR 20020020615 U KR20020020615 U KR 20020020615U KR 200298866 Y1 KR200298866 Y1 KR 2002988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uit
measuring cup
moving
sorter
moun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06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운하
Original Assignee
(주)선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선영 filed Critical (주)선영
Priority to KR20-2002-00206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88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88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88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16Sorting according to weight
    • B07C5/24Sorting according to weight using moving weighing mechanisms, e.g. moving along a circular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8Collecting or arranging articles in 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2501/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to be sorted
    • B07C2501/009Sorting of fruit

Landscapes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중량측정에 의한 과일선별기용 계측컵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과일을 탑재하는 탑재부가 중량감지 센서를 통과할 때 과일의 중량을 측정하여 과일을 중량별로 선별하는 과일선별기용 계측컵에 있어서, 상기 과일선별기용 계측컵은 과일을 탑재하는 탑재부와; 일측 하단에 이동수단과 연결되는 공간부를 형성하는 이동부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축삽입홀이 편심되게 형성된 연결부와; 하나 이상의 탄성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부의 양측면에 형성된 플레이트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하고, 과일이 탑재된 탑재부가 선별위치에서 회전할 때 탑재부가 일정각도 이상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돌기를 형성한 슬라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탑재부에 탑재된 과일의 중량을 정확하게 측정하고, 자체중량에 의해 탑재부가 회전할 수 있게 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부품 조립 및 교체가 용이한 과일선별기용 계측컵을 제공함에 있다.

Description

과일선별기용 계측컵{A Measuring Cup For Fruit Sorter}
본 고안은 과일선별기용 계측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슬라이드 일측이 탑재부를 간섭하여 수평상태를 유지하다가, 과일선별 작업시 슬라이딩 이동에 의하여 탑재부의 간섭이 해제되는 구성을 하고 있으며, 중량감지 센서에 의한 과일의 중량 측정시에 탑재부가 이동수단이나 이동부의 간섭을 받지 않고 탑재부에 탑재된 과일의 중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과일선별기용 계측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일선별기는 생산된 과일의 상품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포장할 때 과일의 크기나 중량을 기준으로 자동적으로 선별하는 장치이다.
과일의 등급선별은 과일 각각의 크기, 무게, 형상, 색깔, 향기, 맛, 상처 유무 등 과일의 품위를 결정 지을수 있는 대상물의 특성을 기초로 이루어 진다.
과수농가에서 생산된 과일은 각기 중량이나 크기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출하전 포장할 때 크기나 중량에 따라 선별하는 작업을 통하여 상품의 등급을 정해야 한다.
소규모의 과수농가에서는 작업자의 시각적인 판단에 따라 생산된 과일을 선별하였으나, 많은 시간동안 계속적인 반복작업을 할 경우에 과일의 크기나 중량을 구별하는데 정확성을 기할 수 없었다.
최근 산업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새로운 선별방법 및 기술이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으며, 과수농가의 인력난 및 농가가 대규모 단위로 영농화되고 있는 현재의 추세에는 과일을 자동으로 선별하는 과일선별기가 보편화되고 있다.
과일을 분류하는 방법은 크게 과일의 형상에 의한 분류와 과일의 중량에 의한 분류로 나눠질 수 있다.
과일의 형상에 의한 선별기는 기계식 형상선별기와 화상처리 형상선별기 등이 있다.
기계식 형상선별기는 과일의 크기와 형상에 따라 선별하기 위하여 선별벨트 또는 회전드럼에 구멍을 뚫어 구멍크기를 작은것부터 큰것으로 배치함으로써 작은 과일부터 점점 큰것이 선별되는 원리를 가지는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조정이 쉬우며 능률이 높고 대량처리에 필요한 과일에 적합하다.
그러나, 기계식 형상선별기는 과일의 형상이 일정하지 않을시에는 해당 구멍을 통과하지 못하고 다른 크기의 구멍에 통과하게 되어 정확한 선별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화상처리 형상선별기는 카메라를 이용한 면적계산과 색채등을 구분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과일의 이상형태, 굴곡정도, 색깔, 당도, 숙도, 손상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선별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과일의 중량에 의한 선별기는 과일의 개체를 무게별로 분류하는 선별기로 이 기종은 표피가 얇아 손상되기 쉬운 사과, 배, 복숭아 등 대과종에 많이 이용된다.
과일의 중량에 의한 선별기는 다시 기계식 중량선별기와 전자식 중량선별기 등으로 나눌수 있다.
기계식 중량선별기는 이송체인에 등간격으로 설치된 선별검출장치가 턴 테이블(Turn Table) 주위를 회전하면서 큰 과일부터 점점 작은 과일을 선별하는 방식이다.
전자식 중량선별기는 각종 과일의 중량을 계량하여 미리 설정한 값에 따라 단계별로 자동 선별하는 방식으로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상·하한 중량을 임의로 입력시킬 수 있다.
전자식 중량선별기에서 측정된 과일을 중량별로 분류하기 위한 방식으로 작업자의 수작업, 천칭 저울을 이용한 반자동식, 지렛대 추저울식과 스프링 저울식을 이용한 기계식 분류방식 및 로드셀을 이용한 분류방식 등을 이용한다.
로드셀 분류방식의 전자식 중량선별기는 과일접시, 로드셀을 사용한 중량감지 센서, 광센서 신호에 따라 해당 선별 등급에서 과일접시를 구동시켜 과일을 선별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내장한 인디케이터, 각 제어부에 사용되는 무접점 전자릴레이, 이송체인 및 배출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과일접시에 과일이 공급되면 과일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감지 센서인 로드셀이 과일중량을 전기적 신호로 측정하며, 측정된 과일중량의 전기적 신호를 A/D 변환기로 수치화한다.
한편, 중량감지 센서를 통과하는 각각의 과일접시의 무게가 감지되고 광센서 신호로 솔레노이드 밸브가 과일접시를 작동시켜 선별 등급의 적정중량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과일접시를 기울임으로써 과일을 선별하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과일선별기는 중량측정용 과일접시의 양측 하부에 체인과 같은 이동수단이 직접 연결되어 있어서, 과일접시가 중량감지 센서를 통과할 때 이동수단의 진동에 의해 과일이 흔들리거나 체인이 늘어져 처짐으로 인해 과일의 중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으며, 체인의 늘어짐을 감소시키기 위해 별도의 인장력을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과일을 해당장소에 낙하하기 위하여 솔레노이드 밸브,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와 같은 별도의 과일접시 작동(기울임)장치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구조가 복잡하여 설치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고장에 의한 교체 및 수리에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과일을 탑재하는 탑재부와 고정 연결되는 연결부가 연결축을 매개로 상하 미동 가능하도록 이동수단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부와 축삽입 연결되어, 중량감지 센서에 의한 과일의 중량측정 때, 이동수단이나 이동부의 간섭을 받지 않게 되어 과일의 중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과일선별기용 계측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연결부의 축삽입홀을 편심되게 형성하고 슬라이드가 이동부의 양측면에 형성된 플레이트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과일이 탑재된 탑재부가 자체중량에 의해 회전할 수 있는 간단한 구조의 과일선별기용 계측컵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과일선별기용 계측컵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과일선별기용 계측컵의 구조를 나타낸 분리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과일선별기용 계측컵의 과일접시가 회전하기 전과 회전한 후의 위치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탑재부 112 : 과일접시
120 : 연결부 122 : 플레이트
124 : 센서접촉대 126 : 축삽입홀
130 : 이동부 132 : 축삽입홀
134 : 플레이트 136 : 걸림돌기
145 : 공간부 146 : 걸림턱
151 : 슬라이드 152 : 스프링
160 : 중량감지 센서 170 : 솔레노이드
172 : 축 174 : 롤러
210 : 연결축 212 : 고정볼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과일을 탑재하는 탑재부와, 상기탑재부에 고정 연결되는 연결부와, 일측이 소정의 이동수단에 연결되어 이동되고 연결부에 대하여 상하 미동 가능하도록 연결부와 축삽입 결합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의 양측면에 형성된 플레이트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하고, 일측은 이동부에 타측은 슬라이드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스프링을 포함하는 슬라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과일선별기용 계측컵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과일선별기용 계측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과일선별기용 계측컵의 구조를 나타낸 분리측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과일선별기용 계측컵의 과일접시가 회전하기 전과 회전한 후의 위치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과일을 탑재하는 탑재부(110)는, 과일접시(112)와 그 상부에 위치하는 접시커버(114)로 구성된다.
접시커버(114)는 과일접시(112) 상부에 형성되어 중앙부분이 오목한 형상을 가지며, 과일접시(112)와 착탈이 가능하다. 즉, 접시커버(114)의 하부면 소정위치에는 돌출된 하나 이상의 돌기(116)가 형성되어 있어 하부에 위치한 과일접시(112)의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 삽입홀(미도시)과 삽입되어 연결된다.
또한, 접시커버(114)의 하부면 중앙에도 돌출된 돌기(115)가 형성되는데 이것은 과일접시(112)의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삽입홀(미도시)과 삽입되어 연결된다.
따라서, 접시커버(114)가 손상되어 교체할 때 교체가 용이하다.
이때, 접시커버(114) 하부면에 형성된 돌기(116)는 탑재부(110)가 회전할 때 또는 이동수단(미도시)에 거꾸로 매달려 이동할 때 과일접시(112)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걸림턱(117)이 형성된 쐐기형의 형상을 가지고 있다.
접시커버(114)는 과일의 표피와 직접 닿는 곳이기 때문에 표면이 매끄럽고 유연성이 있는 재질, 즉, 고무, 합성수지, 플라스틱, 비닐 중 하나 이상의 재질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과일의 표피가 얇아 손상되기 쉬운 과일, 예컨대, 사과, 배, 복숭아와 같은 과일의 표피에 상처가 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접시커버(114)의 하부에 형성되어 과일이 탑재되는 과일접시(112)는, 접시커버(114)의 하부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하나 이상의 돌기(116)가 삽입되는 삽입홀과 접시커버(114)의 하부면 중앙에 돌출되게 형성된 돌기(115)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과일접시(112)는 중앙에 형성된 삽입홀에서 원주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연결부(120)와 볼트체결되어 있어 파손으로 인한 교체수리가 용이하다.
연결부(120)는 중앙 하부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센서접촉대(124)와, 중심선(200)의 일측에 위치하여 형성된 축삽입홀(126)과, 센서접촉대(124)의 일측과 상부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 플레이트(122)로 구성된다.
센서접촉대(124)는 연결부(120)의 중심선(200)을 기준으로 하부면 양측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서로 평행하게 대향하여 각각 형성되어 중량감지 센서(160)의 상부면에 밀착되어 이동되는 것으로, 센서접촉대(124) 밀착면의 경사여부는 과일의 정확한 중량측정 및 탑재부(110)에 탑재된 과일이 중량측정중에 탑재부(110)에서 굴러 낙하하는 것에 영향을 줄 수도 있으므로, 편평한 평면으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120)의 중심선(200) 일측에 편심되게 위치하여 형성된 축삽입홀(126)은, 이동부(130)의 축삽입홀(132)을 관통하는 연결축(210)을 매개로 하여 연결부(120)가 연결축(210)에 지지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연결부(120)에 형성된 축삽입홀(126)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Elongated)된 형상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연결부(120)는 이동부(130)에 대하여 상하로 1~10mm 정도의 미세 이동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동부(130)가 중량감지 센서(160) 위치에 왔을 때 중량감지 센서(160)가 연결부(120)를 미세하게 상부로 민 다음 중량을 측정하므로, 이동부(130)의 진동, 처짐 등에 영향을 받지않고 정확한 중량측정이 가능하다.
연결부(120)의 중앙 상부에는 과일접시(112)의 중앙 하부에 형성된 삽입홀과 동일한 직경의 삽입홀(미도시)이 형성되는데 이 삽입홀은 접시커버(114)의 하부면에 형성된 돌기(115)가 삽입된다.
이동부(130)는 체인(미도시)이나 레일(미도시) 등의 이동수단에 의해 따라 이동하는 것으로, 레일이 삽입되는 공간부(145)와, 슬라이드(151)가 삽입되는 플레이트(134)와, 연결축(210)이 삽입되는 축삽입홀(132)과, 체인 등의 이동수단과 볼트 또는 핀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나 이상의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된 부재(142)와, 탑재부(110)가 상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146)으로 구성된다.
공간부(145)는 이동부(130)의 일측(구체적으로는 스프링(152)이 연결되는 측면)에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138, 140) 사이의 공간부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동수단에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레일의 상부면과 접촉하는 제 1 플레이트(138)와, 레일의 하부면과 접촉하는 제 2 플레이트(140)와, 레일의 측면과 접촉하는 제 3 플레이트(144)에 의하여 형성된다.
이동부(130)의 다른 양측면(구체적으로는 축삽입홀(132)이 형성된 측면)에는 슬라이드(151)의 측면부가 삽입될 수 있는 한 쌍 이상의 대향 플레이트(134)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하측 플레이트는 가로 방향으로 길게 연장하는 일체형의 형상을 하고 있으며, 상측 플레이트는 소정길이의 크기를 갖는데, 이는 파손에 의한 슬라이드(151) 교체시에 슬라이드(151)를 교체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상·하측 플레이트(134) 사이의 공간부에 슬라이드(151)의 측면부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되는 것으로, 일종의 슬라이드 가이드 역할을 한다.
플레이트(134)가 형성된 이동부(130)의 양측면 상단부에는 연결축(210)의 직경과 거의 동일한 직경을 갖는 축삽입홀(132)이 형성되어 있어 연결축(210)을 매개로 연결부(120)와 연결된다.
즉, 연결축(210)은 일측의 이동부 축삽입홀(132)과 연결부 축삽입홀(126)으로부터 끼워져서, 타측의 두 축삽입홀(126, 132)까지 관통하도록 삽입된다.
이렇게 이동부(130)와 연결부(120)가 연결축(210)에 의해 연결된 상태에서, 연결부(120)의 축삽입홀(126)이 상하로 길게 연장된 형태이므로, 연결부(120)는 이동부(130)에 대하여 상하로 미세 이동 가능한 것이다.
이동부(130)의 상단 경사면 양 끝단 내측에 대향하게 형성된 한 쌍의 걸림턱(146)은 연결부(120)의 일측에 형성된 플레이트(122)와 대응하는 위치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 것으로, 탑재부(110)가 상부 방향으로 일정각도 이상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연결부(120)의 축삽입홀(126)과 이동부(130)의 축삽입홀(132)을 관통하여 연결부(120)와 이동부(130)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연결축(210)은 이동부(130)의 축삽입홀(132) 직경과 거의 동일한 직경을 가지고 있으며, 연결축(210)의 양 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고정볼트(212) 체결이 가능하다.
따라서, 연결부(120)와 이동부(130)의 연결 및 분리가 용이하고, 부품교환이나 조립이 간편하다.
물론, 연결축(210)은 연결부(120)의 축삽입홀(126)과 이동부(130)의 축삽입홀(132)을 관통하여 연결되는 축 형태 이외에도 연결부(120)와 이동부(130)를 단순히 지지해 줄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갖고, 양측에 각각 끼워지는 형태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슬라이드부(150)는 이동부(130)의 양측면에 형성된 플레이트(134)에 측면부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드(151)와, 일측이 이동부(130)에 연결되고 타측이 슬라이드(151)에 연결되어 복원력을 가진 하나 이상의 스프링(152)과, 슬라이드(151)의 일측에 형성되어 탑재부(110)가 자체중량에 의하여 회전할 때 일정각도 이상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돌기(136)로 구성된다.
작동기(176)는 이동수단의 지정된 위치에 다수개가 설치되어 선별위치에 도달하면 슬라이드(151)에 외력을 가하여 과일이 탑재된 탑재부(110)를 회전하게 하는 것으로, 솔레노이드(170)와, 솔레노이드(170) 상부에 형성되어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축(172)과, 축(172)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고 축(172)에 고정 부착되어 축(172)과 연동하며 슬라이드(151)의 일측면에 접촉되어 슬라이드(151)를 밀어 주는 역할을 하는 롤러(174)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이용하여 과일이 탑재된 탑재부(110)가 회전하는 작동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동부(130)와 축결합 하는 연결부(120)와 연동하는 탑재부(110)에 과일을 탑재하여 이동수단에 의해 이동시키면, 이동부(130), 연결부(120) 및 탑재부(110)가 레일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연결부(120)와 연동하는 탑재부(110)는 연결부(120)의 일측에 형성된 플레이트(122)에 의해 슬라이드(151)의 일측에 지지되어 수평상태를 유지하며 이동하게 된다.
이때, 연결부(120)에 형성된 축삽입홀(126)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가지고 있고, 연결축(210)이 연결부(120)에 형성된 축삽입홀(126)의 상부에접촉되어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동되던 이동부(130), 연결부(120) 및 탑재부(110)가 중량감지 센서(160)의 상부면에 밀착되어 중량이 측정될 때 연결부(120)가 상부로 미세 이동하여 연결축(210)이 축삽입홀(126) 중앙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연결부(120)의 양측단이 이동수단이나 이동부(130)의 간섭을 받지 않는 상태가 되므로, 중량감지 센서(160)에 의한 과일의 중량 측정시 연결부(120)와 연동하는 과일을 탑재한 탑재부(110)의 중량만이 정확하게 측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확하게 측정된 과일의 중량은 컨트롤부(미도시)에 입력되며, 컨트롤부의 미리 설정된 기준값에 따른 과일의 선별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선별위치로 이동하는 중에는 솔레노이드(170)의 축(172)이 상승하게 되고 이와 연동하는 롤러(174)도 상승하게 되어 슬라이드(151)가 롤러(174)와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이동하기 때문에 슬라이드(151)는 작동기(176)의 간섭을 받지 않게 된다.
선별위치에 도달할 때는 솔레노이드(170)의 축(172)이 하강하게 되고 이와 연동하는 롤러(174)도 하강하게 되어 롤러(174)의 측면이 슬라이드(151)의 측면과 접촉하면서 이동하게 되고, 롤러(174) 측면이 슬라이드(151) 측면을 밀게 된다.
따라서, 슬라이드(151)의 일측과 이동부(130)의 일측에 각각 연결되어 형성된 스프링(152)이 순간적으로 수축함과 동시에 슬라이드(151)는 이동부(130)의 양측면에 형성된 플레이트(134)에 삽입된 상태에서 스프링(152)이 수축한 거리만큼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슬라이드(151)의 일측 평면 플레이트(구체적으로는 걸림돌기(136)가 형성된 부분)에 지지되어 수평상태를 유지하던 탑재부(110) 및 연결부(120)는 지지된 상태가 해제되고, 결과적으로 연결부(120)에 고정 연결된 탑재부(110)는 자체중량에 의해 일측 방향(구체적으로는 걸림돌기(136)가 형성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탑재부(110)에 탑재된 과일이 낙하하게 되어 별도의 분류통(미도시)에 적재된다.
즉, 연결부(120)에 형성된 축삽입홀(126)은 중심선(200)을 기준하여 편심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탑재부(110)가 선별위치에 도달하여 슬라이드부(150)와의 간섭이 해제되면, 자체중량에 의해 탑재부(110)가 편심위치의 연결축(210)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한쪽으로 기울어지게 되는 것이다.
도시된바와같이, 롤러(174) 측면과 접촉되는 슬라이드(151) 측면은 V자 또는 U자 형태를 하고 있기 때문에, 롤러(174)측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이동하면 슬라이드(151)를 점진적으로 밀어서 탑재부와의 간섭을 해제하고, 다시 점진적으로 원위치로 복귀한다.
즉, 탑재부(110)가 회전한 후 수축되어 있던 스프링(152)은 스프링(152)의 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슬라이드(151)의 일측(구체적으로는 스프링(152)이 연결된 반대측)에는 돌출된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136)가 형성되는데, 이 걸림돌기(136)는 과일을 탑재한 탑재부(110)가 선별위치에서 연결축(21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과일을 낙하시킨 후에 탑재부(110)의 과일접시(112)가 걸림돌기(136)에 접촉되어 걸리게 하여탑재부(110)가 연결축(210)을 중심으로 일정각도 이상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이 걸림돌기(136)는 일체형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도 있고, 재질면에 있어서도 비교적 충격을 완화하는 기능이 우수한 고무 재질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선별위치에서 선별이 끝나게 되면 하강되었던 솔레노이드(170)의 축(172)이 다시 상승하게 되고 이와 연동하는 롤러(174)도 상승하게 되어 슬라이드(151)가 롤러(174)와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이동하게 되어 슬라이드(151)는 작동기(176)의 간섭을 받지 않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 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하였듯이, 본 고안에 따른 과일선별기용 계측컵은 중량감지 센서에 의한 과일 중량측정을 위한 것으로, 이동부의 양측면에 형성된 플레이트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드를 형성하고, 연결부에 편심되게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축삽입홀이 이동부의 축삽입홀과 축삽입 연결되어 과일중량측정 때 이동수단이나 이동부의 간섭을 받지 않게 되고, 자체중량에 의해 탑재부가 회전하게 됨으로써, 과일을 낙하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지 않게 되어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 및 교체수리가 용이하며, 과일의 중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있다.

Claims (17)

  1. 중량 측정 과일선별기용 계측컵으로서,
    과일을 탑재하는 탑재부와;
    상기 탑재부의 하부에 고정 연결되고 편심된 양측면에 축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와;
    소정의 이동수단에 연결되어 이동하고, 상기 연결부에 대하여 상하 미세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연결부와 축삽입 결합되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플레이트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부 일측이 상기 탑재부를 간섭하여 수평상태를 유지하다가, 과일 선별 작업시 슬라이딩 이동에 의하여 탑재부와의 간섭이 해제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선별기용 계측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축삽입홀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선별기용 계측컵.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탑재부는 과일이 탑재되는 과일접시와, 상기 과일접시 상부에 형성되는접시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선별기용 계측컵.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시커버 하부면에는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과일접시의 대응위치에 형성된 삽입홀에 삽입됨으로써 접시커버가 과일접시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선별기용 계측컵.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탑재부가 회전할 때나 이동수단에 거꾸로 매달려 이동할 때 상기 과일접시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걸림턱이 형성된 쐐기형의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선별기용 계측컵.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시커버는 고무, 합성수지, 플라스틱, 비닐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유연성 있는 재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선별기용 계측컵.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과일접시는 상기 연결부와 볼트체결 결합되고, 상기 과일접시 상부면에는 상기 접시커버의 하부면에 형성된 돌기와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의 삽입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선별기용 계측컵.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중앙 하부에는 양측으로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는 센서접촉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의하여 계측컵이 중량감지 센서의 위치에 도달한 때, 상기 센서접촉대가 중량감지 센서 상부면에 밀착되며, 중량 계측시에는 연결부가 상부로 미세하게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선별기용 계측컵.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일측에 형성된 플레이트는 이동수단에 의한 이동시에 상기 슬라이드 일측의 평면 플레이트에 지지되어 상기 탑재부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선별기용 계측컵.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의 상단 경사면 양 끝단 내측에는 대향하게 형성되어 상기 탑재부가 상부 방향으로 일정각도 이상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선별기용 계측컵.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축삽입홀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이동부 양측면 상단에 축삽입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동부 양측면 하부에는 상기 슬라이드부의 측면부가 삽입될 수 있는 한 쌍 이상의 대향 플레이트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선별기용 계측컵.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 하부에는 상기 이동수단에 연결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선별기용 계측컵.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의 일측 하단에는 이동수단과 볼트나 핀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나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된 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선별기용 계측컵.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의 일측에는 상기 이동부의 일측면과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선별기용 계측컵.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의 일측에는 상기 탑재부가 자체중량에 의하여 회전할 때 일정각도 이상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선별기용 계측컵.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와 상기 이동부를 축삽입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부의 축삽입홀과 상기 이동부의 축삽입홀을 관통하는 연결축을 구비하며,
    상기 연결축은 상기 이동부의 축삽입홀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상기 연결축의 양 단부에는 고정볼트와 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선별기용 계측컵.
  17. 상기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하나에 의한 과일선별기용 계측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선별기.
KR20-2002-0020615U 2002-07-09 2002-07-09 과일선별기용 계측컵 KR2002988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0615U KR200298866Y1 (ko) 2002-07-09 2002-07-09 과일선별기용 계측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0615U KR200298866Y1 (ko) 2002-07-09 2002-07-09 과일선별기용 계측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8866Y1 true KR200298866Y1 (ko) 2003-01-03

Family

ID=49329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0615U KR200298866Y1 (ko) 2002-07-09 2002-07-09 과일선별기용 계측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886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528B1 (ko) 2009-11-16 2012-02-27 한농쏘텍 주식회사 과일 선별장치
KR101159610B1 (ko) 2009-10-22 2012-07-02 박건기 과일 선별장치
CN110038821A (zh) * 2019-03-17 2019-07-23 塔里木大学 一种水果分类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9610B1 (ko) 2009-10-22 2012-07-02 박건기 과일 선별장치
KR101113528B1 (ko) 2009-11-16 2012-02-27 한농쏘텍 주식회사 과일 선별장치
CN110038821A (zh) * 2019-03-17 2019-07-23 塔里木大学 一种水果分类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XPA06009710A (es) Maquina empacadora.
KR101602770B1 (ko) 로드셀이 적용된 하부낙하식 중량 선별장치
KR200298866Y1 (ko) 과일선별기용 계측컵
US8733535B2 (en) Shallow angle vertical rotary loader for electronic device testing
JP2006320866A (ja) 果実選別装置とその選別方法
US4583636A (en) Device for weight classification of crops
KR100749797B1 (ko) 선별기용 계량컵
KR101530890B1 (ko) 회전식 고속선별기
CN113976469A (zh) 一种可称重的农产品智能物流打包装置
US20120234653A1 (en) Holder, Device and Method for Sorting and/or Transporting Products
CN214487875U (zh) 一种禽肉自动分级设备
US11801534B2 (en) Fruit quality inspecting and sorting appliance
KR102061279B1 (ko) 개량된 환형 이송구조를 갖는 중량 계측형 과일 선별시스템
RU2236997C2 (ru) Конвейер для блистерных упаковок или стопок блистерных упаковок, имеющий приемные гнезда изменяемой высоты
KR200209586Y1 (ko) 과실선별기에 있어서 중량 및 비파괴 광센서 계측을 겸한 이중 링크장치
KR101506199B1 (ko) 그물망 자동포장기
KR20230120160A (ko) 스틱포장물 선별장치
KR101730524B1 (ko) 소형정밀 소자 자동선별장치
KR20220132078A (ko) 스틱포장제품 선별장치
US5819502A (en) Shifting apparatus for objects such as eggs
WO2001076774A1 (en) A processing apparatus for measuring individual items
CN112317327A (zh) 一种农业球状果实筛选工艺
JP3579160B2 (ja) 組合せ計量装置
KR100345188B1 (ko) 계량포장장치
KR200427256Y1 (ko) 선별기용 계량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0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