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6199B1 - 그물망 자동포장기 - Google Patents
그물망 자동포장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06199B1 KR101506199B1 KR1020130118281A KR20130118281A KR101506199B1 KR 101506199 B1 KR101506199 B1 KR 101506199B1 KR 1020130118281 A KR1020130118281 A KR 1020130118281A KR 20130118281 A KR20130118281 A KR 20130118281A KR 101506199 B1 KR101506199 B1 KR 10150619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package
- plate
- mesh
- bind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10—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 B65B5/101—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9/00—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 B65B39/007—Guides or funnels for introducing article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06—Packaging groups of articles, the groups being treated as single articles
- B65B5/067—Packaging groups of articles, the groups being treated as single articles in ba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04—Applying separate sealing or securing members, e.g. clips
- B65B51/08—Applying binding material, e.g. to twisted bag nec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65B57/14—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and operating to control, or stop, the feed of articles or material to be packag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20—Applications of counting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eed of 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26—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marking or coding completed packag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9/00—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 B65B2039/009—Multiple outl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65B35/50—Stacking one article, or group of articles, upon another before packag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4—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 B65B61/06—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by cut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28—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discharging completed packages from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물망 자동포장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포장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한 후 상기 포장물이 낙하조건에 도달하면 상기 포장물을 낙하시키는 저장유닛과, 그물망이 설치되며, 상기 저장유닛에서 낙하하는 상기 포장물을 상기 그물망 내부로 안내하는 가이드유닛과, 상기 포장물이 상기 가이드유닛을 통과하여 상기 그물망에 진입하면 상기 그물망의 일부를 결속하고 결속된 상기 그물망의 상부를 절단하는 결속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그물망 자동포장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일 및 채소 등의 보관을 위해 봉지에 과일 및 채소 등을 자동으로 포장할 수 있는 포장장치가 다수 발명되어 사용 중에 있다. 하지만 공기의 통풍이 필요한 양파와 같은 과일 및 채소 등을 포장하기 위해 사용되어지는 그물망에 자동으로 공급 할 수 있는 장치의 발명은 아직 없으며, 현재로서 양파 및 과일 등의 농산물을 그물망에 넣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직접 그물망을 벌려서 그 속으로 필요한 만큼 상기 농산물을 넣은 후 상기 그물망의 단부를 끈 등을 이용하여 묶거나 결착시켜 마무리한 후 상기 그물망에 담긴 양파 또는 농산물을 운반 및 공급하기 때문에 상기 양파 및 과일 등의 농산물을 그물망으로 포장하기에는 인력에 대한 의존도가 상당히 높아, 포장하기 위한 인건비의 상승으로 인해 소비자에게 공급하는 가격이 상승한다.
또한, 농산물의 원산지 및 공급자의 신용을 나타내는 표시기를 그물망 외측에 부착하는 단순한 작업도 작업자가 일일이 손으로 부착시켜야 하기 때문에 작업시간, 작업비용이 증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그물망 자동포장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포장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한 후 상기 포장물이 낙하조건에 도달하면 상기 포장물을 낙하시키는 저장유닛과, 그물망이 설치되며, 상기 저장유닛에서 낙하하는 상기 포장물을 상기 그물망 내부로 안내하는 가이드유닛과, 상기 포장물이 상기 가이드유닛을 통과하여 상기 그물망에 진입하면 상기 그물망의 일부를 결속하고 결속된 상기 그물망의 상부를 절단하는 결속유닛을 포함하는 그물망 자동포장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외부로부터 투입된 포장물을 선별하여 상기 저장유닛으로 공급하는 포장물공급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장물공급유닛은, 상기 포장물이 투입되는 투입부와, 상기 투입부로부터 투입된 상기 포장물을 크기 또는 중량으로 선별하는 선별부와, 크기 또는 중량으로 선별된 상기 포장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와 연결되어 상기 저장부의 상기 포장물을 상기 저장유닛으로 공급하는 이송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입부는, 상기 포장물이 안착하여 슬라이딩하는 투입플레이트와, 상기 투입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브러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입플레이트는 상기 포장물이 상기 선별부 측으로 이동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별부는, 외부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제 1 지지프레임과, 상기 제 1 지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외면에 서로 상이한 간격의 스크류가 형성되어 상기 포장물을 중량 또는 크기별로 선별하는 선별롤러와, 상기 선별롤러의 하측 상기 제 1 지지프레임에 설치되어 선별된 상기 포장물을 상기 저장부로 이송시키는 슬라이딩프레임과, 상기 선별롤러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선별롤러를 구동시키는 선별롤러구동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저장유닛 방향으로 상기 저장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에 따라 상기 저장부 내부의 상기 포장물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부와, 상기 컨베이어부를 회전시키는 컨베이어구동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컨베이어부와 상기 저장유닛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부를 통하여 이송되는 상기 포장물을 상기 저장유닛으로 안내하는 가이드프레임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유닛은, 상기 포장물이 투입되는 투입박스와, 상기 투입박스에 설치되어 상기 포장물이 낙하조건에 도달하면 상기 투입박스의 상기 포장물을 상기 가이드유닛으로 낙하시키는 개폐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유닛은, 외부에 고정되는 제 2 지지프레임과, 상기 투입박스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고정부와, 상기 제 2 지지프레임 및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어 상기 투입박스를 고정시키는 고정바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부는, 상기 투입박스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개폐플레이트와,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개폐플레이트와 연결되어 상기 투입박스 내부의 포장물의 중량 또는 개수에 따라 상기 개폐플레이트를 개방하는 실린더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부는 상기 개폐플레이트의 중앙부분 및 상기 포장박스의 중앙부분으로부터 편심되도록 상기 개폐플레이트와 상기 포장박스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부는, 상기 개폐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플레이트의 회동 시 회동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개폐플레이트에 힘을 가하는 복원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유닛에 설치된 그물망은 상기 가이드유닛의 길이방향 또는 상기 가이드유닛의 폭방향으로 접철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저장유닛으로부터 상기 결속유닛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포장물이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가이드부와,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부의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그물망을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부에 결속시키는 그물망고정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속유닛은, 선형운동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그물망의 일면을 대향하는 다른 일면으로 접촉시키는 선형운동부와, 상기 선형운동부의 작동에 따라 상기 그물망이 모아지면 상기 그물망을 결속부재로 결속시키는 결속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형운동부는, 상기 그물망에 접촉하여 선형운동에 따라 상기 그물망을 중앙부분으로 모으는 제 1 선형플레이트와, 상기 제 1 선형플레이트와 연결되어 상기 제 1 선형플레이트를 선형 운동시키는 선형구동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형운동부는, 상기 제 1 선형플레이트와 연결되며, 상기 제 1 선형플레이트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그물망에 접촉하는 제 2 선형플레이트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형운동부는, 상기 제 1 선형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그물망을 상기 제 1 선형플레이트로 경사지게 안내하는 롤링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선형플레이트의 폭은 상기 그물망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선형플레이트에는 상기 그물망이 접촉하여 중앙 부분으로 모아지도록 제 1 그물망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속부는, 상기 선형운동부의 선형 운동에 따라 상기 그물망이 모아지도록 가이드하는 결속가이드플레이트와, 상기 결속가이드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그물망을 상기 결속부재로 결속시키는 클립부와, 상기 클립부를 구동시키는 클립구동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속부는, 상기 선형운동부, 상기 결속가이드플레이트 및 상기 클립부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그물망을 절단하는 절단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속가이드플레이트는, 제 1 결속가이드플레이트와, 상기 클립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 1 결속가이드플레이트와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 2 결속가이드플레이트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형운동부의 일부는 선형 운동 시 상기 제 1 결속가이드플레이트와 상기 제 2 결속가이드플레이트 사이로 진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속가이드플레이트에는 상기 그물망이 접촉하여 중앙 부분으로 모아지도록 그물망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속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포장물이 내부에 삽입된 후 상기 결속부재로 결속된 그물망에 상기 포장물의 정보를 표시하는 라벨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라벨유닛은, 상기 포장물의 정보가 표시된 라벨지가 권취된 후 권출되는 롤러와, 상기 롤러에서 권출되는 상기 라벨지를 안내하며, 상기 라벨지를 상기 롤러부터 상기 결속유닛으로 절곡시키는 가이드롤러와, 상기 가이드롤러가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롤러고정프레임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라벨유닛은, 상기 롤러와 연결되어 상기 롤러를 회전시키는 롤러구동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낙하조건인 상기 저장유닛에 저장된 상기 포장물의 하중을 측정하거나 상기 저장유닛으로 투입되는 상기 포장물의 개수를 측정하는 센서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유닛에서 측정한 상기 포장물의 개수 또는 상기 포장물의 중량이 상기 낙하조건과 동일한 경우 상기 저장유닛을 회동시켜 상기 가이드유닛에 상기 포장물을 낙하시키는 저장유닛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유닛은, 상기 포장물이 저장되는 투입박스와, 상기 투입박스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개폐플레이트와, 상기 센서유닛에서 측정한 상기 포장물의 개수 또는 상기 포장물의 중량이 상기 낙하조건과 동일한 경우 상기 개폐플레이트를 회동시켜 상기 투입박스 내부의 상기 포장물을 상기 가이드유닛으로 낙하시키는 회동구동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속부에서 낙하는 상기 포장물이 삽입된 그물망을 외부로 반출하는 반출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포장물을 그물망에 자동으로 선별하여 삽입한 후 그물망을 자동으로 포장하여 배출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 및 작업 시간, 작업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물망 자동포장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포장물공급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저장유닛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저장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저장유닛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가이드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가이드유닛에 그물망이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결속유닛 및 반출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결속유닛 및 반출유닛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라벨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그물망 자동포장기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포장물공급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저장유닛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저장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저장유닛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가이드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가이드유닛에 그물망이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결속유닛 및 반출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결속유닛 및 반출유닛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라벨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그물망 자동포장기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물망 자동포장기(1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그물망 자동포장기(100)는 포장물(S)을 그물망(미도시)에 삽입한 후 상기 그물망을 결속부재(미도시)로 결속하여 외부로 반출할 수 있다. 이때, 포장물(S)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포장물(S)은 채소 또는 과일과 같은 농산물, 물기기 등과 같은 수산물, 축구공 또는 야구공과 같은 운동용구, 장난감 등과 같은 공산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포장물(S)은 상기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낱개로 형성되어 포장 가능한 모든 물건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포장물(S)이 농산물 중 양파인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그물망은 메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그물망은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그물망은 합성수지, 천연섬유 등과 같은 유연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물망은 얇은 형태의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그물망이 일반적으로 채소 등이 유통될 때 사용되는 메쉬망과 유사한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그물망 자동포장기(100)는 포장물공급유닛(110), 저장유닛(120), 가이드유닛(130), 결속유닛(140), 라벨유닛(150) 및 반출유닛(16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포장물공급유닛(110)은 포장물(S)을 선별하여 저장유닛(120)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포장물공급유닛(110)은 공급된 포장물(S)을 낙하조건에 따라 가이드유닛(130)으로 낙하시킬 수 있다.
가이드유닛(130)은 그물망(M)이 설치되어 낙하하는 포장물(S)을 그물망(M) 내부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유닛(130)은 그물망(M)이 접철되도록 설치되어 포장물(S)의 낙하에 따라 그물망(M)을 공급할 수 있다.
결속유닛(140)은 그물망(M) 내부로 포장물(S)의 낙하가 완료되면, 그물망(M)을 결속부재(C)로 결속할 수 있다. 이때, 결속유닛(140)은 그물망(M)의 일부를 결속부재(C)로 견고하게 결속시킴으로써 그물망(M) 외부로 포장물(S)이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결속유닛(140)은 결속부재(C)가 결합된 그물망(M)의 일부를 절삭함으로써 일정 개수 또는 일정 중량의 포장물(S)이 삽입된 그물망(M)을 낙하시킬 수 있다. 이때, 반출유닛(160)은 낙하하는 그물망(M)을 슬라이딩시켜 외부로 반출시킬 수 있다.
라벨유닛(150)은 결속유닛(140)의 작동 시 포장물(S)이 삽입된 그물망(M)에 라벨지(L)를 공급할 수 있다. 이때, 라벨지(L)에는 포장물(S)의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라벨지(L)에는 포장물(S)의 생산시기, 생산장소, 상품명, 생산자, 개수, 중량 등 중 적어도 하나가 표기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포장물공급유닛(110), 저장유닛(120), 가이드유닛(130), 결속유닛(140), 라벨유닛(150) 및 반출유닛(160)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포장물공급유닛(110)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포장물공급유닛(110)은 투입부(111), 선별부(116), 저장부(117) 및 이송부(118)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투입부(111)는 외부로부터 포장물(S)이 투입되어 슬라이딩할 수 있다. 또한, 포장물(S)이 순차적으로 선별부(116)로 이동하도록 쌓여져 있는 포장물(S)을 일정하게 배열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투입부(111)는 포장물(S)이 안착하여 슬라이딩하는 투입플레이트(111b)를 포함할 수 있다. 투입플레이트(111b)는 후술할 제 1 지지프레임(112)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투입플레이트(111b)는 'ㄷ'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투입플레이트(111b)는 폭 방향의 테두리에서 상측으로 절곡되도록 양단이 형성됨으로써 포장물(S)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투입플레이트(111b)는 포장물(S)이 선별부(116) 측으로 이동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투입플레이트(111b)는 포장물(S)이 투입되는 부분이 선별부(116)와 인접한 부분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포장물(S)은 투입플레이트(111b)를 슬라이딩하여 선별부(116)로 이동할 수 있다.
투입부(111)는 투입플레이트(111b)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브러쉬(111a)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브러쉬(111a)는 포장물(S)의 이동에 따라 포개진 포장물(S) 중 상측에 있는 포장물(S)을 투입플레이트(111b)의 후면으로 이동시키거나 제자리에 머물게 함으로써 포장물(S)을 순차적으로 선별부(116)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선별부(116)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선별부(116)는 포장물(S)을 크기별, 중량별, 당도별 등 다양한 방법으로 선별할 수 있다. 이때, 선별부(116)는 저울 형태로 형성되어 크기 또는 중량별로 포장물(S)을 구분할 수 있으며, 롤러 형태로 형성되어 크기 또는 중량별로 포장물(S)을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선별부(116)는 포장물(S)의 표면에 빛이나 레이저를 조사하여 당도나 제품의 특성을 감지하여 포장물(S)을 구분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별부(116)가 크기 또는 중량별로 포장물(S)을 구분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선별부(116)는 외부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제 1 지지프레임(112)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선별부(116)는 제 1 지지프레임(112)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외면에 서로 상이한 간격의 스크류(미표기)가 형성되어 포장물(S)을 중량 또는 크기별로 선별하는 선별롤러(11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선별롤러(113)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개의 선별롤러(113)는 외면에 제 1 스크류(113g)가 형성되는 제 1 선별롤러(113a), 외면에 제 2 스크류(113h)가 형성되는 제 2 선별롤러(113b), 제 3 스크류(113i)가 외면에 형성되는 제 3 선별롤러(113c), 제 4 스크류(113j)가 외면에 형성되는 제 4 선별롤러(113d), 제 5 스크류(113k)가 외면에 형성되는 제 5 선별롤러(113e), 제 6 스크류(113l)가 외면에 형성되는 제 6 선별롤러(113f)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선별롤러(113)의 개수는 상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6개보다 작거나 크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복수개의 선별롤러(113)는 제 1 선별롤러(113a) 내지 제 6 선별롤러(113f)를 구비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복수개의 선별롤러(113)는 회전함으로써 포장물(S)을 크기별로 구분할 수 있다. 이때, 제 1 스크류(113g) 내지 제 6 스크류(113l)는 회전하면서 포장물(S)을 이동시키고, 제 1 선별롤러(113a) 내지 제 6 선별롤러(113f) 사이로 포장물(S)이 낙하하여 포장물(S)이 크기별로 정리될 수 있다.
선별부(116)는 선별롤러(113)에 연결되는 선별롤러구동부(114)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선별롤러구동부(114)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별롤러구동부(114)는 복수개의 선별롤러(113)와 연결되어 복수개의 선별롤러(113)를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으며, 각 선별롤러(113)에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각 선별롤러(113)를 각각 회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별롤러구동부(114)는 제 1 선별롤러(113a) 내지 제 6 선별롤러(113f)에 연결되어 제 1 선별롤러(113a) 내지 제 6 선별롤러(113f)를 구동시키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선별부(116)는 제 1 지지프레임(112)에 설치되어 선별된 포장물(S)을 저장부(117)로 이송시키는 슬라이딩프레임(115)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딩프레임(115)은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슬라이딩프레임(115)은 서로 연결되도록 제 1 선별롤러(113a) 내지 제 6 선별롤러(113f)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슬라이딩프레임(115)은 선별된 포장물(S)이 저장부(117)로 슬라이딩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저장부(117)는 박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저장부(117)는 각 슬라이딩프레임(115)에 대응되도록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각 슬라이딩프레임(115)으로부터 슬라이딩하는 포장물(S)을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송부(118)는 저장부(117)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고정프레임(118c)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고정프레임(118c)은 저장부(117)로부터 저장유닛(120)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고정프레임(118c)은 제 1 고정프레임(118a)과, 제 1 고정프레임(118a)과 이격되며 제 1 고정프레임(118a)과 대향하도록 설치되는 제 2 고정프레임(118b)을 포함할 수 있다.
이송부(118)는 고정프레임(118c)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회전에 따라 저장부(117)의 포장물(S)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부(118g)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컨베이어부(118g)는 제 1 고정프레임(118a)과 제 2 고정프레임(118b)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컨베이어부(118g)는 제 1 고정프레임(118a)과 제 2 고정프레임(118b)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컨베이어바디부(118e) 및 컨베이어바디부(118e)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어 포장물(S)의 이송 시 포장물(S)을 지지하는 안착부(118f)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컨베이어바디부(118e)는 환형의 띠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저장부(117)의 일면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안착부(118f)는 포장물(S)이 안착하는 안착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송부(118)는 컨베이어부(118g)를 회전시키는 컨베이어구동부(118d)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컨베이어구동부(118d)는 고정프레임(118c)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생성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샤프트에 연결되며, 컨베이어바디부(118e)와 접촉하여 컨베이어바디부(118e)를 회전시키는 회전롤러를 구비할 수 있다.
이송부(118)는 컨베이어부(118g)와 저장유닛(120) 사이에 설치되어 컨베이어부(118g)를 통하여 이송되는 포장물(S)을 저장유닛(120)으로 안내하는 가이드프레임(118h)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프레임(118h)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컨베이어부(118g)에서 공급되는 포장물(S)을 슬라이딩하여 저장유닛(120)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포장물공급유닛(110)의 작동방법을 살펴보면, 포장물(S)을 투입플레이트(111b)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투입플레이트(111b)의 경사에 의하여 포장물(S)은 투입플레이트(111b)로부터 슬라이딩하여 제 1 선별롤러(113a) 내지 제 6 선별롤러(113f)로 이동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경우 브러쉬(111a)는 회전하여 포장물(S)가 서로 겹치는 것을 방지하고 일렬로 포장물(S)을 낙하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낙하하는 포장물(S)은 선별롤러구동부(114)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는 제 1 선별롤러(113a) 내지 제 6 선별롤러(113f)에 의하여 슬라이딩프레임(115)으로 크기별 또는 중량별로 낙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낙하한 포장물은 각 슬라이딩프레임(115)으로부터 저장부(117)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저장부(117)에 낙하한 포장물(S)은 컨베이어구동부(118d)의 작동에 따라 컨베이어부(118g)를 따라 제 1 고정프레임(118a) 및 제 2 고정프레임(118b)의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컨베이어부(118g)의 상측으로 이동한 포장물(S)은 가이드프레임(118h)으로 낙하하고 가이드프레임(118h)을 따라 저장유닛(120)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저장유닛(120)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저장유닛(120)은 포장물(S)이 투입되는 투입박스(121)를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투입박스(121)는 하측면이 개구될 수 있으며, 투입박스(121)의 개구된 하면에는 하기에서 설명할 개폐플레이트(125a)가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저장유닛(120)은 투입박스(121)에 설치되어 포장물(S)이 낙하조건에 도달하면 투입박스(121)의 포장물(S)을 가이드유닛(130)으로 낙하시키는 개폐부(125)를 구비할 수 있다.
저장유닛(120)은 외부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제 2 지지프레임(122)을 구비할 수 있다. 저장유닛(120)은 투입박스(121)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고정부(124)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저장유닛(120)은 제 2 지지프레임(122) 및 투입박스(121)에 연결되어 투입박스(121)를 고정시키는 고정바(1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고정부(124)는 투입박스(121)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고정브라켓(124a)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124)는 고정브라켓(124a)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며, 고정바(123)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연결플레이트(124b)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연결플레이트(124b)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고정바(123)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고정부(124)는 고정브라켓(124a)과 고정바(123) 사이에 배치되는 부쉬(124c)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부쉬(124c)는 고정바(123)를 고정브라켓(124a)에 고정시키며, 일정 정도의 댐퍼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개폐부(125)는 투입박스(121)의 하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개폐플레이트(125a)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개폐부(125)는 고정부(124)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개폐플레이트(125a)에 연결되어 투입박스(121) 내부의 포장물(S)의 중량 또는 개수에 따라 개폐플레이트(125a)를 개방하는 실린더부(125b)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실린더부(125b)는 투입박스(121) 내부 포장물(S)의 중량 또는 개수가 설정된 낙하조건과 동일해지는 경우 작동하여 개폐플레이트(125a)를 회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실린더부(125b)는 개폐플레이트(125a)의 중앙부분 및 투입박스(121)의 중앙부분으로부터 편심되도록 개폐플레이트(125a)와 투입박스(121)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린더부(125b)의 일단은 고정브라켓(124a)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편심되도록 고정브라켓(124a)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실린더부(125b)의 타단은 개폐플레이트(125a)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폄심되도록 개폐플레이트(125a)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낙하조건에 도달하는 경우 실린더부(125b)는 개폐플레이트(125a)를 가력하여 회동시키고, 개폐플레이트(125a)의 회동에 의하여 포장물(S)을 개폐플레이트(125a)를 따라 슬라이딩하여 가이드유닛(130)으로 공급될 수 있다.
개폐부(125)는 개폐플레이트(125a)에 설치되어 개폐플레이트(125a)의 회동 시 회동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개폐플레이트(125a)에 힘을 가하는 복원부(125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원부(125c)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원부(125c)는 개폐플레이트(125a)와 투입박스(121)에 연결되는 토션 스프링일 수 있다. 또한, 복원부(125c)는 개폐플레이트(125a)에 설치되는 코일스프링일 수 있다. 복원부(125c)는 개폐플레이트(125a)와 투입박스(121)가 연결되는 개폐플레이트(125a) 부분에 설치되는 하중바일 수 있다. 이때, 복원부(125c)는 상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개폐플레이트(125a)를 작동 후 원상복귀시키는 모든 구조 및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저장유닛(120)의 작동방법을 살펴보면,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이드프레임(118h)을 통하여 포장물(S)이 투입박스(121)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개폐플레이트(125a)는 실린더부(125b)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으며, 포장물(S)의 낙하에 의한 투입박스(121) 및 개폐플레이트(125a)의 충격은 고정바(123)에 설치된 부쉬(124c)에 의하여 상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투입박스(121) 내부로 포장물(S)이 계속해서 진입하여 일정 중량에 도달하면, 개폐플레이트(125a)의 낙하조건이 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포장물(S)이 지속적으로 투입박스(121) 내부로 진입하면, 포장물(S)의 중량은 실린더의 한계값을 넘게되고, 실린더부(125b)가 작동하여 개폐플레이트(125a)를 회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개폐플레이트(125a)가 작동하면, 포장물(S)은 개폐플레이트(125a)를 따라서 가이드유닛(13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실린더부(125b)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편심되도록 설치됨으로서 개폐플레이트(125a)를 회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개폐플레이트(125a)가 회전하여 포장물(S)의 낙하가 완료되면, 복원부(125c)는 개폐플레이트(125a)를 원상태로 복귀시켜 다시 투입박스(121)의 하면을 폐쇄할 수 있다. 이때, 상기에서 설명한 컨베이어구동부(118d)는 작동을 일시적으로 중지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저장유닛(120)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저장유닛(220)은 상기의 경우 이외에도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장유닛(220)은 상기 도 3의 개폐플레이트(125a)와 투입박스(121)가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그물망 자동포장기(100)는 저장유닛(220)에 투입된 포장물(S)의 중량을 측정하거나 저장유닛(220)으로 투입되는 포장물(S)의 개수를 측정하는 센서유닛(29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센서유닛(290)은 중량센서, 수광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센서유닛(290)는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유닛(290)는 저장유닛(220)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센서유닛(290)는 도 2의 가이드프레임(118g)에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센서유닛(290)이 저장유닛(220)에 설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센서유닛(290)는 포장물(S)의 개수를 측정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물망 자동포장기(100)는 센서유닛(290)에서 측정한 포장물(S)의 개수 또는 포장물(S)의 중량이 낙하조건하고 동일한 경우 저장유닛(220)을 회동시켜 가이드유닛(미도시)으로 포장물(S)을 낙하시키는 저장유닛구동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저장유닛구동부(280)는 저장유닛(220)의 일단에 편심되도록 설치되는 실린더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저장유닛구동부(280)는 저장유닛(220)을 회전시키거나 회동시키는 모터를 구비할 수 있다.
저장유닛구동부(280)는 상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저장유닛(220)을 회전시킬 수 있는 모든 장치 및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저장유닛(220)의 작동을 살펴보면, 센서유닛(290)은 저장유닛(220) 내부의 포장물(S) 중량 또는 저장유닛(120)으로 공급되는 포장물(S) 개수를 카운터할 수 있다. 이때, 센서유닛(290)은 별도로 구비되는 제어부(미도시)로 측정된 값을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값을 낙하조건과 비교하여 동일하다고 판단되면, 저장유닛구동부(28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센서유닛(290)은 상기에서 측정된 값을 근거로 낙하조건과 비교하여 동일하다고 판단되면, 저장유닛구동부(280)를 작동시키는 신호를 저장유닛구동부(280)로 전송시킬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센서유닛(290)이 측정된 값을 낙하조건과 비교하여 저장유닛구동부(280)를 작동시키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제어방법은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센서유닛(290)에서 측정된 값을 근거로 저장유닛구동부(280)를 작동시키는 모든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센서유닛(290)에 신호가 전송되면, 저장유닛구동부(280)는 저장유닛(220)을 회동시킬 수 있다. 저장유닛(220)의 일부는 개구될 수 있으며, 개구된 부분을 통하여 포장물(S)은 상기 가이드유닛으로 낙하할 수 있다.
이때, 컨베이어부(미도시)의 작동은 일시적으로 중지할 수 있다. 또한, 저장유닛(220)은 별도의 플레임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저장유닛구동부(280)의 작동에 따라 회동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저장유닛(12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저장유닛(320)은 상기의 경우 이외에도 다른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저장유닛(320)은 하측면이 개구되며 포장물(S)이 투입되는 투입박스(321) 및 투입박스(321)의 개구된 하측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플레이트(325a)를 구비할 수 있다. 저장유닛(320)은 개폐플레이트(325a)와 연결되어 개폐플레이트(325a)를 후술할 센서유닛(390)에서 측정된 값을 근거로 개폐플레이트(325a)를 회동시키는 회동구동부(38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그물망 자동포장기(100)는 투입박스(321)로 투입되는 포장물(S)의 개수를 카운터하거나 투입박스(321)에 투입된 포장물(S)의 중량을 측정하는 센서유닛(39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센서유닛(390)은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센서유닛(390)은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유닛(390)는 개폐플레이트(325a)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센서유닛(390)은 개폐플레이트(325a)에 연결되도록 투입박스(321)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센서유닛(390)는 개폐플레이트(325a)에 가해지는 중량을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유닛(390)은 하중센서를 구비하여, 투입박스(321)에 포장물(S)이 투입되는 경우 개폐플레이트(325a)에 가해지는 하중을 센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센서유닛(390)이 개폐플레이트(325a)에 설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회동구동부(380)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회동구동부(380)는 개폐플레이트(325a)와 투입박스(321) 사이에 설치되는 모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회동구동부(380)는 개폐플레이트(325a)의 중앙부분으로부터 편심되어 설치되며, 투입박스(321)의 중앙부분으로부터 편심되도록 설치되는 실린더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린더는 개폐플레이트(325a)의 앞부분에 치우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저장유닛(320)은 투입박스(321)을 지지하는 고정바(323), 고정바(323)를 연결하는 연결플레이트(324b), 고정바(323)가 삽입되는 고정브라켓(324a), 고정바(323)가 고정되는 제 2 지지프레임(322), 고정바(323)와 고정브라켓(324a) 사이에 설치되는 부쉬(324c)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고정바(323), 연결플레이트(324b), 고정브라켓(324a), 제 2 지지프레임(322) 및 부쉬(324c)는 상기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저장유닛(320)의 작동을 살펴보면, 센서유닛(390)으로부터 측정된 값이 낙하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회동구동부(380)가 작동하여 개폐플레이트(325a)를 회동시킬 수 있다. 이때, 개폐플레이트(325a)는 투입박스(321)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경사지게 배치되며, 포장물(S)은 개폐플레이트(325a)의 경사를 따라서 투입박스의 후면으로 슬라이딩되어 가이드유닛(미도시)을 이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낙하조건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 설정된 투입박스(321) 내부의 포장물(S) 총중량 또는 투입박스(321)로 공급되는 포장물(S)의 총개수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가이드유닛(13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가이드유닛(130)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가이드유닛(130)에 그물망이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낙하하는 포장물(S)이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가이드부(131)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딩가이드부(131)는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슬라이딩가이드부(131)는 투입박스(121)로부터 결속유닛(140) 측으로 경사지게 포장물(S)을 결속유닛(140)에 삽입된 그물망(M)으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슬라이딩가이드부(131)는 내부를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가이드부(131)의 외면에는 그물망(M)이 접철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그물망(M)은 슬라이딩가이드부(131)의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으로 접철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이 그물망(M)의 길이는 슬라이딩가이드부(131)에 접철되도록 설치됨으로써 슬라이딩가이드부(131)의 길이보다 더 클 수 있다.
한편, 가이드유닛(130)은 슬라이딩가이드부(131)의 외면에 설치되어 그물망(M)을 슬라이딩가이드부(131)에 결속시키는 그물망고정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그물망고정부(132)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그물망고정부(132)는 클램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와이어 형태, 클립 형태, 핀 형태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물망고정부(132)가 클램프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가이드유닛(130)은 슬라이딩가이드부(131)의 외면에 설치되는 이격플레이트(133)를 구비할 수 있다. 이격플레이트(133)는 그물망(M)을 슬라이딩가이드부(131)의 외면으로부터 이격시켜 그물망(M)의 이동 시 슬라이딩가이드부(131)에 의하여 파손되거나 마찰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유닛(130)는 이격플레이트(133)로부터 이격된 그물망(M)을 슬라이딩가이드부(131) 측으로 누르도록 형성되는 누름플레이트(134)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누름플레이트(134)는 이격플레이트(133)와 반대로 그물망(M)을 누름으로써 그물망(M)이 너무 빨리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가이드유닛(130)에 그물망(M)을 설치하는 방법은 그물망(M)의 일단을 그물망고정부(132)를 통하여 슬라이딩가이드부(131)의 외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후 그물망(M)을 슬라이딩가이드부(131)의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으로 접철하여 계속해서 공급하여 슬라이딩가이드부(131)의 외면에 압착시킬 수 있다. 이때, 그물망고정부(132)에 결속된 그물망(M)의 일단과 다른 타단에는 이미 결속부재(C)가 적어도 한개이상 설치된 상태일 수 있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결속유닛(140) 및 반출유닛(160)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결속유닛(140) 및 반출유닛(160)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고하면, 결속유닛(140)은 선형 운동하도록 그물망(M)의 일면을 대향하는 다른 일면으로 접촉시키는 선형운동부(141)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결속유닛(140)은 선형운동부(141) 작동에 따라 그물망(M)이 모아지면 그물망(M)을 결속부재(C)로 결속시키는 결속부(143)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결속유닛(140)은 선형운동부(141) 및 결속부(143)가 설치되는 제 3 지지프레임(142)을 구비할 수 있다.
선형운동부(141)는 그물망(M)에 접촉하여 선형운동에 따라 그물망(M)을 중앙부분으로 모으는 제 1 선형플레이트(141a)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 1 선형플레이트(141a)는 제 3 지지프레임(142)을 선형 운동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 1 선형플레이트(141a)의 폭은 그물망(M)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1 선형플레이트(141a)는 그물망(M)과 완전히 접촉하여 선형운동에 따라 그물망(M)을 중앙 부분으로 모을 수 있다.
제 1 선형플레이트(141a)는 그물망(M)이 접촉하여 중앙 부분으로 모아지도록 제 1 그물망가이드홈(141e)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그물망가이드홈(141e)으로부터 제 1 선형플레이트(141a)의 끝단까지는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제 1 선형플레이트(141a)에 접촉한 그물망(M)이 슬라이딩하여 제 1 그물망가이드홈(141e)으로 모아질 수 있다.
선형운동부(141)는 제 1 선형플레이트(141a)를 선형 운동시키는 선형구동부(141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선형구동부(141b)는 제 1 선형플레이트(141a)를 그물망(M)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제 1 선형플레이트(141a)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선형구동부(141b)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선형구동부(141b)는 제 1 선형플레이트(141a)와 연결되는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형구동부(141b)는 제 1 선형플레이트(141a)와 연결되는 샤프트와, 샤프트를 선형 운동시키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선형구동부(141b)는 상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 1 선형플레이트(141a)를 선형 운동시키는 모든 구조 및 모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형구동부(141b)가 실린더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선형운동부(141)는 제 1 선형플레이트(141a)와 연결되며, 제 1 선형플레이트(141a)보다 작게 형성되는 제 2 선형플레이트(141c)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 2 선형플레이트(141c)는 제 1 선형플레이트(141a)와 서로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제 1 선형플레이트(141a)의 끝단과 제 2 선형플레이트(141c)의 끝단은 서로 다단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선형플레이트(141a)와 제 2 선형플레이트(141c)에 접촉하는 그물망(M)은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선형운동부(141)는 제 1 선형플레이트(141a)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롤링부(141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롤링부(141d)는 제 1 선형플레이트(141a)와 수직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선형플레이트(141a)가 가장 하측에 배치되며, 제 1 선형플레이트(141a)의 상부에는 제 2 선형플레이트(141c)가 설치되고, 제 2 선형플레이트(141c)의 상측에는 롤링부(141d)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롤링부(141d)는 제 1 선형플레이트(141a)에 접촉하는 그물망(M)이 제 2 선형플레이트(141c)에 접촉하여 이동할 때 그물망(M)의 이동을 보조하고 그물망(M)의 경사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롤링부(141d) 및 제 2 선형플레이트(141c)는 제 1 선형플레이트(141a)과 함께 선형 운동함으로써 후술할 결속부(143)로 그물망(M)을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선형운동부(141)는 제 1 선형플레이트(141a)의 선형 운동 시 제 1 선형플레이트(141a)를 가이드하는 선형가이드부(141f)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선형가이드부(141f)는 제 3 지지프레임(142)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제 1 선형플레이트(141a)의 측면에 복수개 배치되어 제 1 선형플레이트(141a)의 선형 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한편, 결속부(143)는 제 1 선형플레이트(141a)의 선형 운동에 따라 그물망(M)이 모아지도록 가이드하는 결속가이드플레이트(143c)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결속가이드플레이트(143c)는 제 1 결속가이드플레이트(143a) 및 제 1 결속가이드플레이트(143a)와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 2 결속가이드플레이트(143b)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 1 결속가이드플레이트(143a) 및 제 2 결속가이드플레이트(143b)는 제 3 지지프레임(142)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 1 결속가이드플레이트(143a) 및 제 2 결속가이드플레이트(143b)는 제 1 선형플레이트(141a)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결속가이드플레이트(143a) 및 제 2 결속가이드플레이트(143b)는 각각 그물망(M)이 접촉하여 중앙 부분에 모아지는 제 1 그물망안착홈(미표기) 및 제 2 그물망안착홈(미표기)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그물망안착홈 및 상기 제 2 그물망안착홈에는 후술할 클립부(143d)가 배치될 수 있으며, 후술할 라벨지(L)가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그물망안착홈과 상기 제 2 그물망안착홈을 중심으로 제 1 결속가이드플레이트(143a) 및 제 2 결속가이드플레이트(143b)의 끝단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제 1 선형플레이트(141a)의 선형 운동 시 그물망(M)을 상기 제 1 그물망안착홈 및 상기 제 2 그물망안착홈의 내부로 진입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제 1 결속가이드플레이트(143a) 및 제 2 결속가이드플레이트(143b)는 상하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 1 선형플레이트(141a)는 선형 운동에 따라 제 1 결속가이드플레이트(143a) 및 제 2 결속가이드플레이트(143b) 사이로 진입할 수 있다.
또한, 결속부(143)는 결속가이드플레이트(143c)에 설치되어 그물망(M)을 결속부재(C)로 결속시키는 클립부(143d)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클립부(143d)는 제 1 결속가이드플레이트(143a) 및 제 2 결속가이드플레이트(143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클립부(143d)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클립부(143d)는 상기 제 1 그물망안착홈 및 상기 제 2 그물망안착홈을 중심으로 일측의 제 1 결속가이드플레이트(143a) 및 제 2 결속가이드플레이트(143b)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클립부(미표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클립부(143d)는 상기 제 1 그물망안착홈 및 상기 제 2 그물망안착홈을 중심으로 상기 제 1 클립부와 대향하도록 제 1 결속가이드플레이트(143a) 및 제 2 결속가이드플레이트(143b)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클립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기 제 1 클립부와 상기 제 2 클립부는 갈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클립부와 상기 제 2 클립부는 서로 적층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클립부는 하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클립부는 상기 제 1 클립부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클립부 및 상기 제 2 클립부는 각각 작동하여 결속부재(C)를 통하여 그물망(M)의 2곳을 결속시킬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제 1 클립부와 상기 제 2 클립부가 서로 평행하게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 1 클립부와 상기 제 2 클립부 사이에는 결속부재(C)가 배치될 수 있다. 결속부재(C)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결속부재(C)는 변형이 가능한 금속 재질일 수 있다. 또한, 결속부재(C)는 변형이 가능한 합성수지 재질일 수 있다.
결속부재(C)는 상기 제 1 클립부와 상기 제 2 클립부에 수동으로 공급될 수 있으며, 자동으로 공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제 1 클립부와 상기 제 2 클립부에 자동으로 공급되는 경우 상기 제 1 클립부와 상기 제 2 클립부에는 결속부재(C) 인출홀이 형성되며, 상기 인출홀을 통하여 결속부재(C)가 그물망(M) 측으로 인출된 후 상기 제 1 클립부와 상기 제 2 클립부의 작동에 따라서 그물망(M)을 결속시킬 수 있다.
특히 결속부재(C)는 상기 제 1 클립부와 상기 제 2 클립부 사이에 상하로 적어도 2개 배치되어 그물망(M)을 적어도 2부분에서 결속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이 그물망(M)에 결속되는 적어도 2개의 클립부(143d)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후술할 절단부(미도시)가 삽입될 수 있다.
결속부(143)는 클립부(143d)를 구동시키는 클립구동부(143e)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클립구동부(143e)는 구동력을 생성하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와 클립부(143d)에 연결되는 링크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클립구동부(143e)는 구동력을 생성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클립부(143d)로 전달하는 기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결속부(143)가 실린더 및 링크부를 구비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결속부(143)는 선형운동부(141), 결속가이드플레이트(143c) 및 클립부(143d)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클립부(143d)의 작동에 따라 그물망(M)을 절단하는 상기 절단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단부가 선형운동부(141)에 설치되는 경우 선형플레이트(141a)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단부가 결속가이드플레이트(143c)에 설치되는 경우 제 1 결속가이드플레이트(143a)와 제 2 결속가이드플레이트(143a)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단부는 선형플레이트(141a)가 선형 운동하는 경우 그물망(M)에 설치된 2개의 결속부재(C) 사이로 진입하여 그물망(M)을 절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절단부가 상기 제 1 클립부와 상기 제 2 클립부에 설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절단부는 칼날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클립부에 설치되는 제 1 절단부(미도시)와 상기 제 2 클립부에 설치되는 제 2 절단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절단부와 상기 제 2 절단부는 각각 상기 제 1 클립부와 상기 제 2 클립부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일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제 1 클립부 및 상기 제 2 클립부의 작동시만 상기 제 1 클립부와 상기 제 2 클립부 외부로 노출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결속유닛(140)의 작동을 살펴보면, 우선 슬라이딩가이드부(131)를 통하여 포장물(S)이 이송될 때, 제 1 선형플레이트(141a)와 제 1 결속가이드플레이트(143a) 사이 및 제 1 선형플레이트(141a)와 제 2 결속가이드플레이트(143b) 사이에는 그물망(M)이 삽입된 상태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삽입된 그물망(M)은 슬라이딩가이드부(131)의 외주면과 동일한 폭으로 벌어진 상태일 수 있다.
슬라이딩가이드부(131)를 통과한 포장물(S)은 그물망(M) 내부로 진입할 수 있다. 이때, 정해진 양의 포장물(S)이 그물망(M) 내부로 완전히 진입한 후 선형구동부(141b)가 작동하여 제 1 선형플레이트(141a), 제 2 선형플레이트(141c) 및 롤링부(141d)를 제 1 결속가이드플레이트(143a) 및 제 2 결속가이드플레이트(143b) 측으로 선형운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 1 선형플레이트(141a), 제 2 선형플레이트(141c) 및 롤링부(141d)가 작동하는 경우, 그물망(M)은 제 1 선형플레이트(141a), 제 2 선형플레이트(141c) 및 롤링부(141d)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며, 폭 방향으로 내부의 직경이 작아질 수 있다. 이때, 롤링부(141d)는 그물망(M)의 이동에 따라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그물망(M)은 제 1 선형플레이트(141a)의 제 1 그물망가이드홈(141e)으로 모아지게 되고, 내부의 공간이 최소화될 수 있다. 즉, 그물망(M)은 모든 부분이 중앙부분으로 모여 내면이 서로 접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제 1 선형플레이트(141a)가 제 1 결속가이드플레이트(143a) 및 제 2 결속가이드플레이트(143b) 내부로 진입하면, 그물망(M)은 제 1 그물망가이드홈(141e), 상기 제 1 그물망안착홈 및 상기 제 2 그물망안착홈에 완전히 삽입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이 완료되면, 클립구동부(153e)가 작동하여 상기 제 1 클립부와 상기 제 2 클립부를 서로 가까워지도록 구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클립부와 상기 제 2 클립부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물망(M)의 적어도 2부분에 결속부재(C)를 설치하여 그물망(M)을 완전히 결속시킬 수 있다.
또한, 클립구동부(153e)는 상기 제 1 클립부와 상기 제 2 클립부를 상기와 같이 작동시키는 경우 이외에도 상기 제 1 클립부와 상기 제 2 클립부를 선형 운동시켜 상기 제 1 클립부와 상기 제 2 클립부 사이의 결속부재(C)를 그물망(M)에 끼우는 형태로 상기 제 1 클립부와 상기 제 2 클립부를 작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클립구동부(153e)가 상기 제 1 클립부와 상기 제 2 클립부를 가까워지도록 하여 구동시키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의 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절단부가 작동하여 적어도 2개 이상의 결속부재(C) 사이를 절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단부는 클립구동부(153e)가 다시 한번 작동함으로써 그물망(M)을 절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그물망(M)이 절단되면, 포장물(S)이 삽입된 그물망(M)은 반출유닛(160)을 통하여 슬라이딩되어 외부로 반출될 수 있다. 이때, 반출유닛(160)은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컨베이어 형태, 롤러 형태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반출유닛(160)이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반출유닛(160)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포장물(S)의 하중에 의하여 슬라이딩되어 외부 반출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라벨유닛(15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라벨유닛(150)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라벨유닛(150)은 결속유닛(140)에 설치되어 포장물(S)이 내부에 삽입도니 후 결속부재(C)로 결속된 그물망(M)에 포장물(S)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포장물(S)의 정보는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라벨유닛(150)은 포장물(S)의 정보가 표시된 라벨지(L)가 권취된 후 권출되는 롤러(151)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라벨유닛(150)은 롤러(151)에서 권출되는 라벨지(L)를 안내하며, 라벨지(L)를 롤러(151)로부터 결속유닛(140)으로 절곡시키는 가이드롤러(152)를 구비할 수 있다.
라벨유닛(150)은 결속유닛(140)과 롤러(151)를 연결하는 롤러고정프레임(153)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롤러(151) 및 가이드롤러(152)는 롤러고정프레임(153)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롤러고정프레임(153)은 제 3 지지프레임(142)에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롤러(151) 및 가이드롤러(152)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롤러고정프레임(153)은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롤러고정프레임(153)의 절곡되는 부분에는 가이드롤러(152)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라벨유닛(150)은 롤러(151)와 연결되어 롤러(151)를 회전시키는 롤러구동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롤러구동부는 선택에 따라 설치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롤러구동부가 롤러(151)에 설치되지 않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라벨유닛(150)의 작동을 살펴보면, 상기와 같이 결속유닛(140)에서 결속부재(C)를 통하여 그물망(M)을 결속시키는 경우 라벨지(L)는 그물망(M)의 일부와 접촉할 수 있다. 특히 라벨지(L)는 롤러(151)에서 권출되어 가이드롤러(152)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제 1 그물망안착홈 및 상기 제 2 그물망안착홈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그물망(M)이 상기 제 1 그물망안착홈 및 상기 제 2 그물망안착홈에 삽입되면, 라벨지(L)는 그물망(M)에 부착시키거나 라벨지(L)의 내용을 그물망(M)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라벨지(L)는 클립구동부(153e)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제 1 클리부와 상기 제 2 클립부의 작동 시 그물망(M)에 접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클립구동부(153e)가 작동하는 경우 상기 제 1 클립부와 상기 제 2 클립부 상이가 좁혀지면서 상기 제 1 클립부와 상기 제 2 클립부는 그물망(M) 측으로 약간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 1 결속가이드플레이트(143a)과 제 2 결속가이드플레이트(143b)도 같이 이동하게 되고, 라벨지(L)는 그물망(M)에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라벨유닛(150)은 그물망(M)에 라벨지(L)를 통하여 포장물(S)의 정보를 자동으로 기록할 수 있다.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그물망 자동포장기(100)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그물망 자동포장기(100)는 투입부(111)를 통하여 포장물(S)이 투입되면, 선별부(116)를 통하여 크기 또는 중량별로 구분하여 저장부(117)에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송부(118)를 통하여 저장유닛(120)으로 포장물(S)을 투입하고, 저장유닛(120)으로 투입된 포장물(S)의 낙하조건에 따라서 가이드유닛(130)으로 포장물(S)을 공급할 수 있다.
가이드유닛(130)을 통과한 포장물(S)은 그물망(M)의 내부로 진입하고, 결속유닛(140)을 통하여 그물망(M)을 결속하여 외부로 반출할 수 있다. 이때, 라벨유닛(150)은 그물망(M)에 라벨지(미도시)를 통하여 포장물(S)의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은 작업은 상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그물망 자동포장기(100)는 포장물(S)을 자동으로 선별하여 공급한 후 그물망(M)에 포장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노동력 및 포장시간을 절감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그물망 자동포장기(100)는 포장물(S)의 종류 또는 포장물(S)의 특성에 따라서 유사한 포장물(S)끼리 그물망(M)으로 용이하게 포장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0: 그물망 자동포장기
110: 포장물공급유닛
120: 저장유닛
130: 가이드유닛
140: 결속유닛
150: 라벨유닛
160: 반출유닛
110: 포장물공급유닛
120: 저장유닛
130: 가이드유닛
140: 결속유닛
150: 라벨유닛
160: 반출유닛
Claims (34)
- 포장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한 후 상기 포장물이 낙하조건에 도달하면 상기 포장물을 낙하시키는 저장유닛;
그물망이 설치되며, 상기 저장유닛에서 낙하하는 상기 포장물을 상기 그물망 내부로 안내하는 가이드유닛; 및
상기 포장물이 상기 가이드유닛을 통과하여 상기 그물망에 진입하면 상기 그물망의 일부를 결속하고 결속된 상기 그물망의 상부를 절단하는 결속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포장물이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가이드부;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부의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그물망을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부에 결속시키는 그물망고정부;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부의 외면에 설치되는 이격플레이트; 및
상기 이격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부의 외면에 설치되며, 상기 이격플레이트에 의해 이격된 그물망을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부 측으로 누르는 누름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그물망 자동포장기. -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투입된 포장물을 선별하여 상기 저장유닛으로 공급하는 포장물공급유닛;을 더 포함하는 그물망 자동포장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물공급유닛은,
상기 포장물이 투입되는 투입부;
상기 투입부로부터 투입된 상기 포장물을 크기 또는 중량으로 선별하는 선별부;
크기 또는 중량으로 선별된 상기 포장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와 연결되어 상기 저장부의 상기 포장물을 상기 저장유닛으로 공급하는 이송부;를 구비하는 그물망 자동포장기.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부는,
상기 포장물이 안착하여 슬라이딩하는 투입플레이트; 및
상기 투입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브러쉬;를 구비하는 그물망 자동포장기.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플레이트는 상기 포장물이 상기 선별부 측으로 이동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그물망 자동포장기.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부는,
외부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제 1 지지프레임;
상기 제 1 지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외면에 서로 상이한 간격의 스크류가 형성되어 상기 포장물을 중량 또는 크기별로 선별하는 선별롤러;
상기 선별롤러의 하측 상기 제 1 지지프레임에 설치되어 선별된 상기 포장물을 상기 저장부로 이송시키는 슬라이딩프레임; 및
상기 선별롤러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선별롤러를 구동시키는 선별롤러구동부;를 구비하는 그물망 자동포장기.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저장유닛 방향으로 상기 저장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에 따라 상기 저장부 내부의 상기 포장물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부; 및
상기 컨베이어부를 회전시키는 컨베이어구동부;를 구비하는 그물망 자동포장기.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컨베이어부와 상기 저장유닛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부를 통하여 이송되는 상기 포장물을 상기 저장유닛으로 안내하는 가이드프레임;을 더 구비하는 그물망 자동포장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유닛은,
상기 포장물이 투입되는 투입박스; 및
상기 투입박스에 설치되어 상기 포장물이 낙하조건에 도달하면 상기 투입박스의 상기 포장물을 상기 가이드유닛으로 낙하시키는 개폐부;를 구비하는 그물망 자동포장기.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유닛은,
외부에 고정되는 제 2 지지프레임;
상기 투입박스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고정부; 및
상기 제 2 지지프레임 및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어 상기 투입박스를 고정시키는 고정바;를 더 구비하는 그물망 자동포장기.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투입박스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개폐플레이트; 및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개폐플레이트와 연결되어 상기 투입박스 내부의 포장물의 중량 또는 개수에 따라 상기 개폐플레이트를 개방하는 실린더부;를 구비하는 그물망 자동포장기.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부는 상기 개폐플레이트의 중앙부분 및 상기 투입박스의 중앙부분으로부터 편심되도록 상기 개폐플레이트와 상기 투입박스를 연결하는 그물망 자동포장기.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개폐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플레이트의 회동 시 회동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개폐플레이트에 힘을 가하는 복원부;를 더 구비하는 그물망 자동포장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유닛에 설치된 그물망은 상기 가이드유닛의 길이방향 또는 상기 가이드유닛의 폭방향으로 접철되도록 설치되는 그물망 자동포장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저장유닛으로부터 상기 결속유닛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그물망 자동포장기.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유닛은,
선형운동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그물망의 일면을 대향하는 다른 일면으로 접촉시키는 선형운동부; 및
상기 선형운동부의 작동에 따라 상기 그물망이 모아지면 상기 그물망을 결속부재로 결속시키는 결속부;를 구비하는 그물망 자동포장기.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운동부는,
상기 그물망에 접촉하여 선형운동에 따라 상기 그물망을 중앙부분으로 모으는 제 1 선형플레이트; 및
상기 제 1 선형플레이트와 연결되어 상기 제 1 선형플레이트를 선형 운동시키는 선형구동부;를 구비하는 그물망 자동포장기.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운동부는, 상기 제 1 선형플레이트와 연결되며, 상기 제 1 선형플레이트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그물망에 접촉하는 제 2 선형플레이트;를 더 구비하는 그물망 자동포장기.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운동부는, 상기 제 1 선형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그물망을 상기 제 1 선형플레이트로 경사지게 안내하는 롤링부;를 더 구비하는 그물망 자동포장기.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선형플레이트의 폭은 상기 그물망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그물망 자동포장기.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선형플레이트에는 상기 그물망이 접촉하여 중앙 부분으로 모아지도록 제 1 그물망가이드홈이 형성된 그물망 자동포장기.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는,
상기 선형운동부의 선형 운동에 따라 상기 그물망이 모아지도록 가이드하는 결속가이드플레이트;
상기 결속가이드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그물망을 상기 결속부재로 결속시키는 클립부; 및
상기 클립부를 구동시키는 클립구동부;를 구비하는 그물망 자동포장기. -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는, 상기 선형운동부, 상기 결속가이드플레이트 및 상기 클립부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그물망을 절단하는 절단부;를 더 구비하는 그물망 자동포장기. -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가이드플레이트는
제 1 결속가이드플레이트; 및
상기 클립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 1 결속가이드플레이트와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 2 결속가이드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그물망 자동포장기. -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운동부의 일부는 선형 운동 시 상기 제 1 결속가이드플레이트와 상기 제 2 결속가이드플레이트 사이로 진입하는 그물망 자동포장기. -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가이드플레이트에는 상기 그물망이 접촉하여 중앙 부분으로 모아지도록 그물망안착홈이 형성된 그물망 자동포장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포장물이 내부에 삽입된 후 결속부재로 결속된 그물망에 상기 포장물의 정보를 표시하는 라벨유닛;을 더 포함하는 그물망 자동포장기. -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유닛은,
상기 포장물의 정보가 표시된 라벨지가 권취된 후 권출되는 롤러;
상기 롤러에서 권출되는 상기 라벨지를 안내하며, 상기 라벨지를 상기 롤러부터 상기 결속유닛으로 절곡시키는 가이드롤러; 및
상기 가이드롤러가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롤러고정프레임;을 구비하는 그물망 자동포장기. -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유닛은,
상기 롤러와 연결되어 상기 롤러를 회전시키는 롤러구동부;를 더 구비하는 그물망 자동포장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조건인 상기 저장유닛에 저장된 상기 포장물의 하중을 측정하거나 상기 저장유닛으로 투입되는 상기 포장물의 개수를 측정하는 센서유닛;을 더 포함하는 그물망 자동포장기. -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유닛에서 측정한 상기 포장물의 개수 또는 상기 포장물의 중량이 상기 낙하조건과 동일한 경우 상기 저장유닛을 회동시켜 상기 가이드유닛에 상기 포장물을 낙하시키는 저장유닛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그물망 자동포장기. -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유닛은,
상기 포장물이 저장되는 투입박스;
상기 투입박스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개폐플레이트; 및
상기 센서유닛에서 측정한 상기 포장물의 개수 또는 상기 포장물의 중량이 상기 낙하조건과 동일한 경우 상기 개폐플레이트를 회동시켜 상기 투입박스 내부의 상기 포장물을 상기 가이드유닛으로 낙하시키는 회동구동부;를 구비하는 그물망 자동포장기.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에서 낙하는 상기 포장물이 삽입된 그물망을 외부로 반출하는 반출유닛;을 더 포함하는 그물망 자동포장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18281A KR101506199B1 (ko) | 2013-10-04 | 2013-10-04 | 그물망 자동포장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18281A KR101506199B1 (ko) | 2013-10-04 | 2013-10-04 | 그물망 자동포장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06199B1 true KR101506199B1 (ko) | 2015-03-26 |
Family
ID=53028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18281A KR101506199B1 (ko) | 2013-10-04 | 2013-10-04 | 그물망 자동포장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06199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641961A (zh) * | 2019-09-24 | 2020-01-03 | 苏州南师大科技园投资管理有限公司 | 一种产品智能识别喷码装置 |
CN114180124A (zh) * | 2021-11-30 | 2022-03-15 | 漳州市三丘机械设备有限公司 | 一种立式食品网袋包装机 |
CN116022411A (zh) * | 2021-10-26 | 2023-04-28 | 铨发科技股份有限公司 | 束带储存绑设装置、系统及其储存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4106395A (en) * | 1978-02-07 | 1979-08-21 | Shinkichi Doi |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ally packing fruit or vegetable in pouch |
JPH0535604U (ja) * | 1991-10-18 | 1993-05-14 | 有限会社武藤選果機製作所 | 農産物の処理装置 |
KR950029133A (ko) * | 1994-04-09 | 1995-11-22 | 이충권 | 꼬막 포장방법 |
KR20070091059A (ko) * | 2006-03-04 | 2007-09-07 | 정달금 | 농산물포장기 |
-
2013
- 2013-10-04 KR KR1020130118281A patent/KR10150619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4106395A (en) * | 1978-02-07 | 1979-08-21 | Shinkichi Doi |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ally packing fruit or vegetable in pouch |
JPH0535604U (ja) * | 1991-10-18 | 1993-05-14 | 有限会社武藤選果機製作所 | 農産物の処理装置 |
KR950029133A (ko) * | 1994-04-09 | 1995-11-22 | 이충권 | 꼬막 포장방법 |
KR20070091059A (ko) * | 2006-03-04 | 2007-09-07 | 정달금 | 농산물포장기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641961A (zh) * | 2019-09-24 | 2020-01-03 | 苏州南师大科技园投资管理有限公司 | 一种产品智能识别喷码装置 |
CN116022411A (zh) * | 2021-10-26 | 2023-04-28 | 铨发科技股份有限公司 | 束带储存绑设装置、系统及其储存盘 |
CN114180124A (zh) * | 2021-11-30 | 2022-03-15 | 漳州市三丘机械设备有限公司 | 一种立式食品网袋包装机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897808B1 (en) | Device for packing items in a box, and a method for the same | |
KR101506199B1 (ko) | 그물망 자동포장기 | |
CN104797500B (zh) | 用于对配量的药品进行包装的设备以及用于运行该设备的方法 | |
KR20100094559A (ko) | 낱개 상품을 계량하고 공급하기 위한 자동화 기기 | |
US20130000249A1 (en) | Factory layouts of packaging apparatus with clippers | |
JP2006320866A (ja) | 果実選別装置とその選別方法 | |
KR20110110415A (ko) | 결속테이프를 이용한 자동 다발묶음장치 | |
CN112027150A (zh) | 一种自动包装机 | |
US3563002A (en) | Grocery packaging apparatus | |
CN109625374A (zh) | 一种散装食品制袋打包装置 | |
EP1560756B1 (en) | A device for cutting packages containing a plurality of product units | |
US5752623A (en) | Dispensing machine | |
WO2002012069A1 (en) | System and method for including inserts with goods during automated packaging | |
JPH09502036A (ja) | 包装品自動販売機 | |
JPH10323625A (ja) | 農作物の選別装置 | |
JP7462927B2 (ja) | 果菜載せ体と果菜自動選別装置 | |
KR101996956B1 (ko) | 절단된 파우치 정렬인출장치 | |
JP6615810B2 (ja) | 物品収容装置 | |
CN213650001U (zh) | 一种生鲜裹膜机 | |
CN219750192U (zh) | 一种纤维制品的打包机 | |
EP0725018B1 (en) | Cigarette parcel, container including a plurality of such cigarette parcels, and method of feeding the cigarette parcels to a vending machine | |
WO1994015472A1 (en) |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separation of sausage strands | |
NL2006544C2 (nl) | Bindsysteem. | |
JP3476653B2 (ja) | 農作物の選別装置 | |
CN117048906B (zh) | 一种鲜切花自动套袋系统和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