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1059A - 농산물포장기 - Google Patents

농산물포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1059A
KR20070091059A KR1020060020715A KR20060020715A KR20070091059A KR 20070091059 A KR20070091059 A KR 20070091059A KR 1020060020715 A KR1020060020715 A KR 1020060020715A KR 20060020715 A KR20060020715 A KR 20060020715A KR 20070091059 A KR20070091059 A KR 200700910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ricultural product
packing
network
packaging
agricultu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0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달금
임효진
배용학
Original Assignee
정달금
배용학
임효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달금, 배용학, 임효진 filed Critical 정달금
Priority to KR1020060020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91059A/ko
Publication of KR20070091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10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2Packag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65B35/12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gr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9/00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 B65B39/007Guides or funnels for introducing article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1/00Supplying or feeding container-forming sheets or wrapping material
    • B65B41/12Feeding webs from rolls
    • B65B41/16Feeding webs from rolls by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65B51/14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by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members
    • B65B51/146Closing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9/0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e.g. liquids or semiliquids, in flat, folded, or tubula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Subdividing filled flexible tubes to form packages
    • B65B9/02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etween opposed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4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 B65B61/06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by cut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ackaging Of Special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산물포장기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관통공이 형성된 지지플레이트의 일측에 포장망롤러가 설치되고 상기 포장망롤러에서 인출되는 포장망 입구측을 벌려 이동시키기 위한 개구박스가 상기 관통공과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포장망공급부와, 상기 개구박스 일측부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개구박스에 삽입된 포장망의 측부에 농산물유입공이 형성되도록 입출되는 농산물투입유닛이 마련되는 농산물공급부와, 상기 포장망공급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농산물이 채워진 포장망을 밀봉 및 절단하는 절단밀봉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연속적인 포장망 공급을 통한 신속한 농산물 포장 작업으로 작업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포장망롤러, 관통공, 농산물, 개구박스

Description

농산물포장기{PACKING APPARATUS FOR AGRICULTURAL PRODUCTS}
도 1a는 종래기술에 따른 농산물포장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농산물포장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1c는 종래기술에 따른 농산물포장장치의 내부 구성도.
도 1d는 종래기술에 따른 농산물포장장치의 농산물차단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1e는 종래기술에 따른 농산물포장장치의 그물망 절단 및 표시기 부착수단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포장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포장기를 도시한 정면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포장기의 농산물공급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포장기의 표지필름롤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h는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포장기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작동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포장망공급부 110 : 개구박스
120 : 포장망롤러 130 : 지지플레이트
140 : 관통공 150 : 안내가이드
200 : 농산물공급부 210 : 농산물투입유닛
220 : 농산물투입유닛 230 : 가이드유닛
300 : 절단밀봉부 400 : 표시필름롤러
500 : 포장망 600 : 표시필름
본 발명은 농산물포장기에 관한 것으로서, 포장망롤러과 상기 포장망롤러에서 인출되는 포장망 일측부에 농산물을 투입시키기 위한 농산물공급부가 마련되어 연속적인 농산물 포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농산물포장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파 및 과일 등의 농산물을 그물망에 넣어 포장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직접 그물망을 벌려 농산물을 넣고, 그물망의 단부를 끈과 같은 결속부재로 묶어 포장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작업자가 농산물을 일일이 포장하기 위해서는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농산물의 원산지 또는 상표 등을 나타내는 표시필름을 부착하는 경우에도 작업자가 일일이 손으로 부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농산물포장장치(등록실용신안공보:20- 0398068)가 제안된 바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농산물포장장치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내지 1c는 종래기술에 따른 농산물포장장치의 사시도, 측면도, 내부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d 및 도 1e는 종래기술에 따른 농산물포장장치의 농산물차단수단과, 그물망 절단 및 표시기 부착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a 및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농산물포장장치는 농산물 및 그물망 공급수단(20)과, 상기 농산물의 공급을 차단하는 농산물차단수단(30)과, 표시기를 공급하는 다수의 이송롤러(30)가 마련된 표시기 공급수단(40)과, 그물망과 표시기를 절단 및 압착하기 위한 그물망 절단 및 표시기 부착수단(50) 및 이를 제어하는 제어부(5)로 구성된다.
상기 농산물 및 그물망 공급수단(20)은 농산물이 이동되는 원통관(21)과 상기 원통관(21)의 단부에 부착되는 공급통(22)과 상기 원통관(21)과 공급통(22)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져 본체 상부받침대에 형성된 공급홈(6)에 원통관(21)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한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기 공급수단(40)은 표시기(2)가 권취되는 표시기롤(21)과, 상기 표시기(2)를 이송시키는 이송롤로(3)와, 상기 이송롤러(3) 일측으로 표시기(21)를 눌러 평평하게 유지하기 위한 눌림판(41)으로 구성되고, 표시기 공급수단(40) 상측에는 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농산물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수단(30)이 마련되고, 상기 표시기 공급수단(40)의 하측에는 부착수단 (50)이 설치되며, 상기 부착수단(50)의 양측면을 감싸도록 그물망 응집대(52)가 설치된다.
또한,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단수단(30)은 제1전후실린더(31)와 제1전후실린더(31) 단부에 설치되어 작동되는 실린더 이동부(32)와 상기 실린더 이동부(32)의 상부에 부착되어 공급되는 농산물을 차단하도록 상호 대향 배치되는 차단판(33)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농산물이 그물망(1)에 채워지면 제1전후실린더(31)의 이동에 의해 상기 실린더 이동부(32)가 이동되어 농산물의 공급을 차단판(33)이 차단하도록 한다.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단 및 표시기 부착수단(50)은 제2전후실린더(4)와 제2전후실린더(4)에 의해 슬라이딩하는 가압대(8)와 상기 가압대(8)를 측면에서 감싸며 그물망(1)을 모아주는 그물망 응집대(5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가압대(8)는 상기 제2전후실린더의 전면에 대층되도록 배치되어 제2전후실린더(4)의 전진으로 그물망(1) 및 표시기(2)가 압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가압대(8)의 전,후면에는 가압판(81)과 제3전후실린더(9)가 설치되고, 가압대(8)의 내부에는 실링대(92), 절단칼날(91) 및 손잡이용 칼날(93)이 구성되어 상기 제3전후실린더(9)의 작동에 의해 돌출되도록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구성은 포장망을 원료관에 씌운 후 농산물을 포장함에 따라 일정량의 농산물을 포장한 후에는 다시 원료관에 새로운 포장망을 씌워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이에 따라 작업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농산물을 포장하는 작업이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농산물포장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관통공이 형성된 지지플레이트의 일측에 포장망롤러가 설치되고, 개구박스가 상기 관통공과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포장망공급부와, 상기 개구박스 일측부에 고정되고, 상기 개구박스에 삽입된 포장망의 측부에 농산물유입공이 형성되도록 입출되는 농산물투입유닛이 마련되는 농산물공급부와, 상기 포장망공급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농산물이 채워진 포장망을 밀봉 및 절단하는 절단밀봉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포장망공급부에는 표시필름이 권취된 표시필름롤러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타측에 더 설치되고, 상기 표지필름은 상기 농산물투입유닛에 의해 형성된 농산물유입공을 감싸도록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포장망과 함께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표시필름롤러는 권취된 표시필름을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는 암압착판 및 수압착판과, 상기 암압착판을 개재하여 상기 수압착판에 고정되는 고정구과,상기 암압착판과 고정구 사이에 마련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구박스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관통공과 대향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외측박스와, 상기 외측박스의 내측면과의 이격 공간으로 포장망이 삽입되도록 상기 외측박스 내측벽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내측박스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내측 박스의 상부에는 상방향으로 축소 경사지게 연장되는 포장망 안내가이드가 형성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농산물공급부는 쐐기형상의 전방에 열선이 마련되고 상,하부가 개방되는 농산물고정구유닛과, 개방되는 상부면을 따라 상기 농산물투입유닛이 이동되도록 측부에 가이드홈이 형성된 가이드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포장기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포장기의 정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포장망롤러(120)가 일측에 마련되는 포장망공급부(100)와, 상기 포장망공급부(100)에서 인출되는 포장망(500)의 측부에 농산물을 투입시키는 위한 농산물공급부(200)와, 농산물이 담겨진 포장망(500)을 밀봉 및 절단하는 절단밀봉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포장망공급부(100)의 타측에는 표시필름(600)이 권취된 표시필름롤러(40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포장망공급부(100)는 중심부에 관통공(140)이 형성된 지지플레이트(130)와, 상기 지지플레이트(130)의 상부 일측에 포장망(500)이 권취된 포장망롤러(120)와, 상기 포장망롤러(120)로부터 인출되는 포장망(500) 내측으로 소정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관통공(140)의 상부에 마련되는 개구박스(110)를 포함한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포장기의 농산물공급부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 낸 도면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박스(110)는 상기 포장망롤러(120)에서 인출된 포장망(500) 개구를 벌려 해당 내측으로 농산물이 충진 가능한 소정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지지플레이트(130)의 관통공(140)과 대향 위치에 설치되는 외측박스(110b)와, 상기 외측박스(110b) 내측벽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내측박스(110a)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외측박스(110b)와 내측박스(110a) 사이로 포장망(500)이 이동 가능한 틈이 형성되는 바, 상기 틈을 통해 포장망(500)은 상기 절단밀봉부(300) 측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특히, 상기 외측박스(110b)와 내측공간 사이로 인출된 포장망(500)이 용이하게 투입되도록 상기 내측박스(110a)의 상부에는 해당 가장자리에서 상방향으로 축소 경사지게 연장되는 안내가이드(15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박스(110b)의 하부 가장자리에는 해당 내측방향으로 걸림테(160)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걸림테(160)는 내측박스(110a)를 지지하고, 투입된 농산물의 하중에 의해 포장지가 이동되는 경우 포장지가 하부로 과도하게 처지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외측박스(110b)와 이에 고정되는 내측박스(110a)는 일측부 및 상,하부가 개방되는 박스 형상으로, 상기 내측박스(110a)를 외측박스(110b)가 감싸는 구성이지만, 상기 외측박스(110b) 및 내측박스(110a)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인출되는 포장망(500)의 개구를 벌려 내측에 소정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개구박스(110)의 개방된 일측부에 삽입 고정되는 농산물공급부(200)는, 상기 개구박스(110)의 포장망(500) 내측으로 농산물을 투입하기 위해 포장물 측부에 농산물유입공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개구박스(110)의 개방된 일측부로 경사지게 고정되는 가이드유닛(230)과, 상기 가이드유닛(230) 상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포장망(500)의 내측으로 진입하는 농산물투입유닛(22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농산물투입유닛(220)은 전방과 이에 연결된 양측부만이 폐쇄되는 쐐기형상으로, 해당 전단부에는 전원 인가시 발열하는 열선(221)이 마련되고, 양측부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부는 상기 가이드유닛(230)과 이송연결수단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송연결수단은 유압/공압실린더의 일단이 가이드유닛(230)의 측부에 고정되고, 상기 유압/공압실린더의 타단이 상기 농산물투입유닛(220)의 측부에 고정되어 상기 가이드유닛(230)의 측부에 형성된 가이드홈(231)을 따라 진행 방향이 유도되도록 구성되지만, 상기 가이드유닛(230)을 따라 농산물투입유닛(220)이 이송되도록 연결되는 구조는 모두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유압/공압실린더의 일단과 타단은 상기 농산물투입유닛(220)의 측부와 포장망공급부(100)의 개구박스(110) 일측부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유압/공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농산물투입유닛(220)이 이동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포장기의 표지필름롤러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플레이트(130)의 상부 타측에는 상표지가 인쇄된 표시필름(600)이 권취된 표시필름롤러(40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표시필름롤러(400)에는 수압착판(410)과 이에 결합되는 암압착판(420) 사이로 표시필름(600)이 권취된 표시필름롤이 개재되고, 상기 수압착판(410)에 고정되는 고정구(430)가 탄성부재(440)를 개재하여 암압착판(420)에 관통 삽입된다. 이는 상기 탄성부재(440)가 일정 탄성력으로 암압착판(420)을 수압착판(410) 측으로 압착시킴으로써 표시필름(600의 양측부가 상기 암압착판(420)과 수압착판(410)에 의해 가압되는 구성으로, 이를 통해 상기 절단밀봉부(300)에 의한 표시필름(600) 인출시 과도하게 표시필름(600)이 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절단밀봉부(300)는 상기 포장망공급부(100)의 하부에 위치하여 농산물이 채워진 포장망(500) 및 표시필름(600)이 밀봉 및 절단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절단밀봉부(300)에는 상하 이동 및 수평 이동이 가능한 한 쌍의 가압대(310)가 대향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대향되는 가압대(310)에는 포장망(500) 및 표시필름(600)을 절단, 실링하기 위한 부재가 마련된다. 상기와 같이, 농산물이 채워진 포장망(500)과 이를 감싸는 표시필름(600)을 밀봉 및 절단하기 위한 구성은 앞서 언급한 종래의 농산물포장장치에 적용되는 구성과 동일 및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 내지 도 5c는 개구박스에 삽입된 포장망의 측부로 농산물을 투입시키기 위한 작동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박스(110)의 외측박스(110b)와 내측박스(110a) 사이로 삽입된 포장망(500)이 하부로 일정 길이 인출되면 상기 농산물투입 유닛(220)은 가이드유닛(230)을 따라 포장망(500)의 측부에 접근한다. 이때, 도 5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농산물투입유닛(220)의 선단부가 포장망(500)의 측부에 접촉되면 포장망(500)의 측부는 상기 농산물투입유닛(220)의 선단부에 마련된 열선(221)에 의해 가열되고, 도 5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농산물투입유닛(220)이 점진적으로 포장망(500)의 측부에 삽입됨에 따라 농산물 투입을 위한 농산물유입공이 형성된다.
도 5d 내지 도 5h는 개구박스에 삽입된 포장망의 측부로 농산물을 투입하고 농산물 포장을 완료하기 까지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장망(500) 측부에 농산물유입공이 형성되면 상기 농산물유입공을 통해 농산물이 투입된다. 이때, 농산물이 담겨진 포장망(500)의 외측은 표시필름롤러(400)로부터 인출된 표시필름(600)이 포장망(500)을 감싸는 상태가 유지된다. 5e 및 도 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단밀봉부(300)의 가압대(310)는 농산물이 담겨진 포장망(500)과 표시필름(600)의 상부로 이동한 후 압착한다. 도 5g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망(500)과 표시필름(600)의 상부를 압착한 상기 가압대(310)는 하부로 이동하게 되는 바, 이때, 상기 가압대(310)의 상부에 위치한 포장망(500)과 표시필름(600) 내측으로 일정량의 농산물이 투입된다. 5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대(310)의 하부에 위치한 포장망(500)과 표시필름(600)은 가압대(310)에 의해 분리되며 하나의 농산물 포장을 위한 공정이 완료된다. 이러한 농산물 포장은 도 5a 내지 도 5h의 과정을 반복하며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짧은 시간 내에 많은 양의 농산물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포장할 수 있 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포장망 내측으로 농산물을 투입하기 위한 절단 작업 없이도 포장망롤러에서 인출되는 포장망의 이동과정중에 농산물의 투입이 가능함으로써 농산물 투입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속적인 포장망의 공급과 동시에 농산물이 포장되는 과정이 자동화로 이루어짐으로써, 인건비를 절약하고, 생산 단가를 줄일 수 있으며,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속적인 공급이 이루어지는 포장망 측부에 열선이 마련된 농산물고정구유닛이 삽입 관통되며 일정량의 농산물 투입이 이루어짐으로써, 농산물 투입을 과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작업 생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포장망롤러에 권취된 포장망이 인출되면서 농산물의 포장이 이루어짐으로써, 포장망 교체를 위한 교체시간이 대폭 줄어들어 신속한 농산물 포장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관통공이 형성된 지지플레이트의 일측에 포장망롤러가 설치되고, 개구박스가 상기 관통공과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포장망공급부와,
    상기 개구박스 일측부에 고정되고, 상기 개구박스에 삽입된 포장망의 측부에 농산물유입공이 형성되도록 입출되는 농산물투입유닛이 마련되는 농산물공급부와,
    상기 포장망공급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농산물이 채워진 포장망을 밀봉 및 절단하는 절단밀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포장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장망공급부에는
    표시필름이 권취된 표시필름롤러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타측에 더 설치되고,
    상기 표지필름은 상기 농산물투입유닛에 의해 형성된 농산물유입공을 감싸도록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포장망과 함께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포장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표시필름롤러는
    권취된 표시필름을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는 암압착판 및 수압착판과,
    상기 암압착판을 개재하여 상기 수압착판에 고정되는 고정구과,
    상기 암압착판과 고정구 사이에 마련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포장기.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개구박스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관통공과 대향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외측박스와,
    상기 외측박스의 내측면과의 이격 공간으로 포장망이 삽입되도록 상기 외측박스 내측벽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내측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포장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내측박스의 상부에는
    상방향으로 축소 경사지게 연장되는 포장망 안내가이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포장기.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농산물공급부는
    쐐기형상의 전방에 열선이 마련되고 상,하부가 개방되는 농산물고정구유닛과,
    개방되는 상부면을 따라 상기 농산물투입유닛이 이동되도록 측부에 가이드홈이 형성된 가이드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포장기.
KR1020060020715A 2006-03-04 2006-03-04 농산물포장기 KR200700910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0715A KR20070091059A (ko) 2006-03-04 2006-03-04 농산물포장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0715A KR20070091059A (ko) 2006-03-04 2006-03-04 농산물포장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5880U Division KR200417858Y1 (ko) 2006-03-04 2006-03-04 농산물포장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1059A true KR20070091059A (ko) 2007-09-07

Family

ID=38689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0715A KR20070091059A (ko) 2006-03-04 2006-03-04 농산물포장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9105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289B1 (ko) * 2008-02-12 2008-07-18 강현수 포장지 제조 및 실링 기능이 구비된 볼트 자동 포장장치
KR100966135B1 (ko) * 2009-04-30 2010-06-25 박종복 농수산물 포장망 말이장치
KR101506199B1 (ko) * 2013-10-04 2015-03-26 박찬배 그물망 자동포장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289B1 (ko) * 2008-02-12 2008-07-18 강현수 포장지 제조 및 실링 기능이 구비된 볼트 자동 포장장치
KR100966135B1 (ko) * 2009-04-30 2010-06-25 박종복 농수산물 포장망 말이장치
KR101506199B1 (ko) * 2013-10-04 2015-03-26 박찬배 그물망 자동포장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681922U (zh) 纸币捆包塑封一体机
CN102249014A (zh) 四方包卫生纸全自动包装机
KR20070091059A (ko) 농산물포장기
CN109969502A (zh) 一种高线盘条打包机的垫片放置机构及垫片结构
CN204623924U (zh) 布匹封装机
KR101662248B1 (ko) 포장용 끈의 금속팁 체결장치
KR200417858Y1 (ko) 농산물포장기
CN210284760U (zh) 一种全自动连续拉伸真空包装机
CN204623905U (zh) 布匹双封机构
CN212445382U (zh) 一种全自动裁切机
KR100760564B1 (ko) 농산물포장장치
CN202310645U (zh) 二腔侧入式牧草二次压捆机
KR200444913Y1 (ko) 비닐포장대를 이용한 화장품 파우치용 자동 패킹장치
KR20110117483A (ko) 농산물 포장장치
CN206217216U (zh) 一种金属剩料自动打包装置
KR102165687B1 (ko) 캡슐형 마스크 팩 제조장치
CN206051111U (zh) 一种无纺布自动收卷机
CN210822917U (zh) 打包机打包机构
CN205872542U (zh) 全自动连续封盒包装机
KR20050093011A (ko) 식품포장대 묶음기계
CN218929865U (zh) 一种具有自动布料功能的自动定量包装机
CN215794656U (zh) 一种快速打包机
KR20200119142A (ko) 신속한 농산물포장 작업기기
CN215852290U (zh) 一种棉被包装机
CN216375146U (zh) 一种纸巾中袋自动放卷包装设备及其产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