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9142A - 신속한 농산물포장 작업기기 - Google Patents

신속한 농산물포장 작업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9142A
KR20200119142A KR1020190041599A KR20190041599A KR20200119142A KR 20200119142 A KR20200119142 A KR 20200119142A KR 1020190041599 A KR1020190041599 A KR 1020190041599A KR 20190041599 A KR20190041599 A KR 20190041599A KR 20200119142 A KR20200119142 A KR 202001191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ricultural product
packaging
net
agricultural products
agricultu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1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길성
Original Assignee
양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길성 filed Critical 양길성
Priority to KR1020190041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9142A/ko
Publication of KR20200119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91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2Packag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ts
    • B65B25/04Packaging fruit or vegetables
    • B65B25/048Packaging fruit or vegetables in 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10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4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 B65B61/06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by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02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eformed by, or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ags, s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Containers And Plastic Fillers Fo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농산물포장기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관통공이 형성된 지지플레이트의 일측에 포장망롤러가 설치되고
상기 포장망롤러에서 인출되는 포장망 입구측을 벌려 이동시키기 위한 개구박스가 상기 관통공과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포
장망공급부와, 상기 개구박스 일측부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개구박스에 삽입된 포장망의 측부에 농산물유입공이 형성되도
록 입출되는 농산물투입유닛이 마련되는 농산물공급부와, 상기 포장망공급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농산물이 채워진 포장망
을 밀봉 및 절단하는 절단밀봉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연속적인 포장망 공급을 통한 신속한 농산물 포장 작업으로 작업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신속한 농산물포장 작업기기{sinsoghan nongsanmulpojang jag-eobgigi}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관통공이 형성된 지지플레이트의 일측에 포장망롤러가 설치되고, 개구박스가 상기
관통공과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포장망공급부와, 상기 개구박스 일측부에 고정되고, 상기 개구박스에 삽입된 포장망의 측
부에 농산물유입공이 형성되도록 입출되는 농산물투입유닛이 마련되는 농산물공급부와, 상기 포장망공급부의 하부에 위
치하여 농산물이 채워진 포장망을 밀봉 및 절단하는 절단밀봉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포장망공급부에는 표시필름이 권취된 표시필름롤러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타측에 더 설치되고, 상기 표지필
름은 상기 농산물투입유닛에 의해 형성된 농산물유입공을 감싸도록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포장망과 함께 전개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표시필름롤러는 권취된 표시필름을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는 암압착판 및 수압착판과, 상
기 암압착판을 개재하여 상기 수압착판에 고정되는 고정구과,상기 암압착판과 고정구 사이에 마련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농산물포장기에 관한 것으로서, 포장망롤러과 상기 포장망롤러에서 인출되는 포장망 일측부에 농산물을 투입시
키기 위한 농산물공급부가 마련되어 연속적인 농산물 포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농산물포장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파 및 과일 등의 농산물을 그물망에 넣어 포장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직접 그물망을 벌려 농산물을 넣고,
그물망의 단부를 끈과 같은 결속부재로 묶어 포장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작업자가 농산물을 일일이 포장하기 위해서는 많
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농산물의 원산지 또는 상표 등을 나타내는 표시필름을 부착하는 경우에도
작업자가 일일이 손으로 부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전술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농산물을 포장하는 작업이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농산물포장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a 내지 1c는 종래기술에 따른 농산물포장장치의 사시도, 측면도, 내부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d 및 도 1e는
종래기술에 따른 농산물포장장치의 농산물차단수단과, 그물망 절단 및 표시기 부착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a 및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농산물포장장치는 농산물 및 그물망 공급수단(20)과, 상기 농산물의 공급을 차단하
는 농산물차단수단(30)과, 표시기를 공급하는 다수의 이송롤러(30)가 마련된 표시기 공급수단(40)과, 그물망과 표시기를
절단 및 압착하기 위한 그물망 절단 및 표시기 부착수단(50) 및 이를 제어하는 제어부(5)로 구성된다.
상기 농산물 및 그물망 공급수단(20)은 농산물이 이동되는 원통관(21)과 상기 원통관(21)의 단부에 부착되는 공급통(22)
과 상기 원통관(21)과 공급통(22)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져 본체 상부받침대에 형성된 공급홈(6)에 원통관(21)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한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기 공급수단(40)은 표시기(2)가 권취되는 표시기롤(21)과, 상기 표시기(2)를 이송시
키는 이송롤로(3)와, 상기 이송롤러(3) 일측으로 표시기(21)를 눌러 평평하게 유지하기 위한 눌림판(41)으로 구성되고, 표
시기 공급수단(40) 상측에는 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농산물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수단(30)이 마련되고, 상기 표시기
공급수단(40)의 하측에는 부착수단(50)이 설치되며, 상기 부착수단(50)의 양측면을 감싸도록 그물망 응집대(52)가 설치된
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포장망 내측으로 농산물을 투입하기 위한 절단 작업 없이도 포장망롤러에서
인출되는 포장망의 이동과정중에 농산물의 투입이 가능함으로써 농산물 투입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연속적인 포장망의 공급과 동시에 농산물이 포장되는 과정이 자동화로 이루어짐으로써, 인건비를 절약하
고, 생산 단가를 줄일 수 있으며,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연속적인 공급이 이루어지는 포장망 측부에 열선이 마련된 농산물고정구유닛이 삽입 관통되며 일정량의
농산물 투입이 이루어짐으로써, 농산물 투입을 과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작업 생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포장망롤러에 권취된 포장망이 인출되면서 농산물의 포장이 이루어짐으로써, 포장망 교체를 위한 교체시
간이 대폭 줄어들어 신속한 농산물 포장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a는 종래기술에 따른 농산물포장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농산물포장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1c는 종래기술에 따른 농산물포장장치의 내부 구성도.
도 1d는 종래기술에 따른 농산물포장장치의 농산물차단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1e는 종래기술에 따른 농산물포장장치의 그물망 절단 및 표시기 부착수단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농산물포장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농산물포장기를 도시한 정면도.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농산물포장기의 농산물공급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농산물포장기의 표지필름롤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h는 본 고안에 따른 농산물포장기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작동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포장망공급부 110 : 개구박스
120 : 포장망롤러 130 : 지지플레이트
140 : 관통공 150 : 안내가이드
200 : 농산물공급부 210 : 농산물투입유닛
220 : 농산물투입유닛 230 : 가이드유닛
300 : 절단밀봉부 400 : 표시필름롤러
500 : 포장망 600 : 표시필름
상기 개구박스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관통공과 대향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외측박스와, 상기 외측박스의 내측면과
의 이격 공간으로 포장망이 삽입되도록 상기 외측박스 내측벽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내측박스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내측
박스의 상부에는 상방향으로 축소 경사지게 연장되는 포장망 안내가이드가 형성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농산물공급부는 쐐기형상의 전방에 열선이 마련되고 상,하부가 개방되는 농산물고정구유닛과, 개방되는 상
부면을 따라 상기 농산물투입유닛이 이동되도록 측부에 가이드홈이 형성된 가이드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농산물포장기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농산물포장기의 정면도를 나타
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포장망롤러(120)가 일측에 마련되는 포장망공급부(100)와, 상기 포장망공급
부(100)에서 인출되는 포장망(500)의 측부에 농산물을 투입시키는 위한 농산물공급부(200)와, 농산물이 담겨진 포장망
(500)을 밀봉 및 절단하는 절단밀봉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포장망공급부(100)의 타측에는 표시필름
(600)이 권취된 표시필름롤러(40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포장망공급부(100)는 중심부에 관통공(140)이 형성된 지지플레이트(130)와, 상기 지지플레이트(130)의
상부 일측에 포장망(500)이 권취된 포장망롤러(120)와, 상기 포장망롤러(120)로부터 인출되는 포장망(500) 내측으로 소
정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관통공(140)의 상부에 마련되는 개구박스(110)를 포함한다.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농산물포장기의 농산물공급부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박스(110)는 상기 포장망롤러(120)에서 인출된 포장망(500) 개구를 벌려 해당 내측
으로 농산물이 충진 가능한 소정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지지플레이트(130)의 관통공(140)과 대향 위치에 설
치되는 외측박스(110b)와, 상기 외측박스(110b) 내측벽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내측박스(110a)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외
측박스(110b)와 내측박스(110a) 사이로 포장망(500)이 이동 가능한 틈이 형성되는 바, 상기 틈을 통해 포장망(500)은 상
기 절단밀봉부(300) 측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특히, 상기 외측박스(110b)와 내측공간 사이로 인출된 포장망(500)이 용이
하게 투입되도록 상기 내측박스(110a)의 상부에는 해당 가장자리에서 상방향으로 축소 경사지게 연장되는 안내가이드
(15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박스(110b)의 하부 가장자리에는 해당 내측방향으로 걸림테(160)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걸림테(160)는
내측박스(110a)를 지지하고, 투입된 농산물의 하중에 의해 포장지가 이동되는 경우 포장지가 하부로 과도하게 처지는 것
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외측박스(110b)와 이에 고정되는 내측박스(110a)는 일측부 및 상,하부가 개방되는 박스 형상으로, 상
기 내측박스(110a)를 외측박스(110b)가 감싸는 구성이지만, 상기 외측박스(110b) 및 내측박스(110a)의 형상은 이에 한
정되지 아니하고 인출되는 포장망(500)의 개구를 벌려 내측에 소정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포장망공급부에는
표시필름이 권취된 표시필름롤러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타측에 더 설치되고,
상기 표지필름은 상기 농산물투입유닛에 의해 형성된 농산물유입공을 감싸도록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포장망과 함께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포장기.

Claims (1)

  1. 관통공이 형성된 지지플레이트의 일측에 포장망롤러가 설치되고, 개구박스가 상기 관통공과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포장망
    공급부와,
    상기 개구박스 일측부에 고정되고, 상기 개구박스에 삽입된 포장망의 측부에 농산물유입공이 형성되도록 입출되는 농산물
    투입유닛이 마련되는 농산물공급부와,
    상기 포장망공급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농산물이 채워진 포장망을 밀봉 및 절단하는 절단밀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포장기.
KR1020190041599A 2019-04-09 2019-04-09 신속한 농산물포장 작업기기 KR202001191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599A KR20200119142A (ko) 2019-04-09 2019-04-09 신속한 농산물포장 작업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599A KR20200119142A (ko) 2019-04-09 2019-04-09 신속한 농산물포장 작업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9142A true KR20200119142A (ko) 2020-10-19

Family

ID=73042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1599A KR20200119142A (ko) 2019-04-09 2019-04-09 신속한 농산물포장 작업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1914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57620B1 (en) Making slide-zippered reclosable packages
GB1481378A (en) Self-standing bag and production thereof
PT994772E (pt) Metodo de realizacao de saquetes comportando perfilados de fecho accionador por cursor
CA2253066A1 (en) An automatic machine for forming, filling, and sealing bags having transverse closure strips, and bags obtained thereby
CN108773541A (zh) 一种高线盘条打包机的垫片放置改良机构
KR20200119142A (ko) 신속한 농산물포장 작업기기
GB1459536A (en) Method of producing a strapped bundle of newspapers
US3794086A (en) Apparatus for forming a seal-less type joint in overlapped flat strapping
US5987860A (en) Guiding plate for a wrapping device
SE9301547L (sv) Bana för påsband
CN207482427U (zh) 一种金属周转盒
KR20070091059A (ko) 농산물포장기
ITVE940022A1 (it) Pannello sandwich a grecatura profonda e procedimento per la sua realizzazione.
KR200417858Y1 (ko) 농산물포장기
ITTO940455A1 (it) Apparecchiatura perfezionata per la fabbricazione di filtri aria per autoveicoli.
EP1400446A2 (en) Slide-zippered reclosable packages
KR20110117483A (ko) 농산물 포장장치
CA3006299A1 (en) Crushed end of self-mating closure segment for lap or fin seal
FR2834970B1 (fr) Sac en papier a double pli, procede de fabrication d&#39;un tel sac et utilisation d&#39;un tel sac pour le conditionnement de produits alimentaires pour animaux
ITMI981509A1 (it) Dispositivo per produrre blocchi da fiocchi di espanso
CN204846435U (zh) 带道宽度可调的束带机
JP3228585U (ja) パレット梱包装置
CN219339805U (zh) 一种易于维护的打包机
CN217945888U (zh) 新型侧拆式包装纸箱
CN210882830U (zh) 一种药管包装机中的堆垛板的宽度调节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