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0890B1 - 회전식 고속선별기 - Google Patents

회전식 고속선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0890B1
KR101530890B1 KR1020130094968A KR20130094968A KR101530890B1 KR 101530890 B1 KR101530890 B1 KR 101530890B1 KR 1020130094968 A KR1020130094968 A KR 1020130094968A KR 20130094968 A KR20130094968 A KR 20130094968A KR 101530890 B1 KR101530890 B1 KR 1015308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rting
rotary
outlet
rotating plate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4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8275A (ko
Inventor
계문애
김진수
Original Assignee
계문애
김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문애, 김진수 filed Critical 계문애
Priority to KR1020130094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0890B1/ko
Publication of KR20150018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82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0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0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using momentum effects
    • B07B13/11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using momentum effects involving travel of particles over surfaces which separate by centrifugal force or by relative friction between particles and such surfaces, e.g. helical so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일측에 일정하지 않은 크기의 구형 또는 비구형의 선별대상물이 다량 투입되어 저장되는 호퍼로부터 공급된 상기 선별대상물을 회전방향을 따라 이송시키면서 크기별로 선별하도록 이루어진 회전식 선별기에 있어서, 상기 호퍼의 일측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구동수단 및 이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상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축과 연결되어 회전되며, 상면에는 정중앙부로부터 가장자리 방향으로 하향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회전판; 상기 호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선별대상물을 상기 회전판으로 투입되도록 하는 투입수단; 상기 투입수단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선별대상물이 역회전방향으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되도록 이루어지되, 투입구간과 배출구간으로 구분되도록 하는 구획부재; 상기 회전판의 가장자리 일부 구간을 감싸도록 만곡지게 형성되어 베이스상에 설치되고, 일측에 상기 투입수단의 출구와 통하도록 개구부가 형성된 고정가이드부재; 상기 투입구간에는 상기 호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선별대상물을 상기 회전판의 가장자리로 정렬시켜 이송하도록 상기 고정가이드부재 내주면과 간격을 유지하여 상기 회전판 상에 설치되는 정렬부재; 상기 회전판의 상측에 설치되되, 상기 고정가이드부재의 일측을 시작으로 상기 회전판의 원주를 따라 회전방향으로 점차 간격이 확장되어 형성되는 선별출구를 갖도록 상기 하향경사면의 가장자리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선별부재; 및 상기 선별부재의 외측방향에 설치되어, 상기 선별출구로부터 크기별로 배출된 상기 선별대상물을 대상물받침대로 이송되도록 상기 하향경사면과 동일한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배출안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고속선별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회전식 고속선별기{High-speed rotary separator}
본 발명은 선별대상물을 크기별로 선별하는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 일정하지 않은 크기의 구형 또는 비구형의 선별대상물이 저장되는 호퍼로부터 공급된 선별대상물이 회전방향을 따라 이송되면서 작은 크기에서 큰 크기별로 자동적으로 선별되도록 구성된 회전식 고속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에 의한 선별기는 대부분 중량에 의해 선별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선별대상물의 종류에 따라 크기와 무관하게 중량이 다를 수 있어 선별하기 힘든 문제가 있었고, 복잡한 구조로 인해 제조단가 및 원가가 상승되어 경제적으로 부담스러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선행기술로서, 1990년 11월 20일에 출원하여 등록받은 실용신안공보 제1993-0005804호 "과일 선별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모터를 작동시킴에 따라 감속기가 작동되며 회전되는 풀리에 의해서 풀리가 회전되면서 회전축이 회전됨에 따라 회전판이 회전하면서 과일을 선별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과일을 과일재치구에 옆으로 눕혀놓으면 과일의 하단부가 요부에 의해서 정위치된 상태로 재치되면서 회전되는 회전판이 일측으로 이동하면서 과일낙하구의 접촉편의 저면에 접촉되어 과일이 돌면서 과일낙하공을 통하여 과일안내통로의 경사판의 유연한 재질의 커버에 떨어지면서 다수개의 배출공을 통하여 각각 크기별로 선별된 과일이 배출되어 나오게 된다.
이때, 과일낙하구를 각각 일정한 높이로 선정한 상태에서 접촉편의 두께가 얇은 과일선별부의 밑으로 통과할 때 과일재치구의 상부면에서 접촉편의 하단면 거리보다 직경이 큰 과일만 접촉편에 걸려서 배출공으로 떨어지게 되고, 상기의 큰 과일이 선별되고난 작은 과일중 접촉면의 두께가 두꺼운 과일선별부의 밑으로 과일이 통과할때 과일재치구의 상부면과 접촉편의 하단면간의 거리보다 직경이 큰 과일만 접촉편에 결려서 과일낙하공으로 떨어지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과일선별기 구성에 의하면, 과일의 크기별로 선별이 양호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높이조절볼트를 조절하여 과일낙하구 자체를 상측이나 하측으로 올리거나 내릴수 있도록 함으로서 더욱더 과일의 크기를 세분화하여 선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접촉편, 과일재치구 및 커버가 유연한 재질이므로 과일의 표피에 손상을 주지 않게되는 것이며 또한 본 고안은 회전판의 크기를 필요에 따라 더 크게 구성하여 단위 시간당 과일을 다량 선별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의 경우, 회전판 상측에 과일재치구가 형성되어 있지만 회전판이 회전될 때 평면상에서 과일이 함께 회전되므로 과일의 표면이 상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되었으며, 과일이 회전판 상에서 돌다가 과일낙하공으로 정확하게 안내되기가 불확실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었기 때문에 선별 작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형성된 과일낙하공보다 크기가 큰 과일이 투입될 경우 과일이 과일낙하공에서 통과되지 못하고 오히려 과일낙하공을 막게 됨으로써 선별 작동 불량을 자주 일으키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과일낙하공의 크기를 필요에 따라 회전판에 크기별로 가공한 후 다시 그 크기보다 작거나 큰 과일을 선별할 경우, 다른 회전판으로 교체해야하므로,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었다.
또한, 선별기 구성상 함체에 배출공이 형성됨에 따라 단위 시간당 다량 선별을 목적으로 회전판의 크기를 필요에 따라 더 크게 구성하게 되면 함체 또한 회전판에 비례하게 크게 형성해야하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1993-0005804호
본 발명은, 일정하지 않은 크기의 구형 또는 비구형의 선별대상물이 다량 투입되어 저장되는 호퍼로부터 공급된 선별대상물이 회전방향을 따라 이송되면서 작은 크기에서 큰 크기 순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선별되면서도 특히, 과실과 같은 선별대상물 표면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선별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회전식 고속선별기를 제공하는 것과 관련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선별대상물이 호퍼에서 회전판 상에 투입되어 선별되는 과정에서 일렬로 정렬되면서 선별되도록 이루어진 회전식 고속선별기를 제공하는 것과 관련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선별대상물 크기와 종류에 따라 선별되어 배출되는 선별출구의 간격을 수시로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회전식 고속선별기를 제공하는 것과 관련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선별된 선별대상물이 크기와 종류에 따라 선별구간을 수시로 가변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 회전식 고속선별기를 제공하는 것과 관련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선별대상물이 선별되는 과정에서 특히 과일의 표면에 흠집 또는 상처를 내지 않으면서 선별되도록 이루어진 회전식 고속선별기를 제공하는 것과 관련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협소한 장소에 설치가능하면서도 다양한 종류와 크기의 선별대상물을 선별할 수 있도록 복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회전식 고속선별기를 제공하는 것과 관련된다.
본 발명은, 일측에 일정하지 않은 크기의 구형 또는 비구형의 선별대상물이 다량 투입되어 저장되는 호퍼로부터 공급된 상기 선별대상물을 회전방향을 따라 이송시키면서 크기별로 선별하도록 이루어진 회전식 선별기에 있어서, 상기 호퍼의 일측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구동수단 및 이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상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축과 연결되어 회전되며, 상면에는 정중앙부로부터 가장자리 방향으로 하향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회전판; 상기 호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선별대상물을 상기 회전판으로 투입되도록 하는 투입수단; 상기 투입수단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선별대상물이 역회전방향으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되도록 이루어지되, 투입구간과 배출구간으로 구분되도록 하는 구획부재; 상기 회전판의 가장자리 일부 구간을 감싸도록 만곡지게 형성되어 베이스상에 설치되고, 일측에 상기 투입수단의 출구와 통하도록 개구부가 형성된 고정가이드부재; 상기 투입구간에는 상기 호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선별대상물을 상기 회전판의 가장자리로 정렬시켜 이송하도록 상기 고정가이드부재 내주면과 간격을 유지하여 상기 회전판 상에 설치되는 정렬부재; 상기 회전판의 상측에 설치되되, 상기 고정가이드부재의 일측을 시작으로 상기 회전판의 원주를 따라 회전방향으로 점차 간격이 확장되어 형성되는 선별출구를 갖도록 상기 하향경사면의 가장자리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선별부재; 및 상기 선별부재의 외측방향에 설치되어, 상기 선별출구로부터 크기별로 배출된 상기 선별대상물을 대상물받침대로 이송되도록 상기 하향경사면과 동일한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배출안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고속선별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정렬부재는 상기 구획부재의 상단 일측에 연장 형성된 가이드부재에 결합되되, 상기 회전판의 중심방향과 상기 고정가이드부재의 내주면 사이에서 좌,우로 움직여 상기 투입구간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고속선별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정렬부재 일측에는 상기 선별대상물이 상기 고정가이드부재 내주면을 따라 일렬로 정렬되면서 상기 회전판의 회전에 의해 이송되도록 상기 고정가이드부재 내주면을 향해 탄발되게 설치되는 탄성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고속선별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 상의 일측에는 승강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승강부재의 승강로드는 상기 선별부재 상부에 구비되는 보조지지대와 연결되어 상기 선별부재를 높이 조절하여 선별출구 상,하 간격을 조절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고속선별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보조지지대 외측에는 상기 선별부재의 내측면부 곡률에 대응되는 지지프레임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 외측면에 다수의 볼트부가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선별부재 외측면에는 상기 볼트부가 끼워져 너트로 체결되는 장공이 형성되되, 상기 장공은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너트 체결에 의해 상,하로 미세하게 높이 조절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고속선별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보조지지대 외측에는 상기 선별부재의 내측면부 곡률에 대응되는 지지프레임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선별부재는 착탈부재에 의해 분리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상기 선별출구 크기가 다른 제2 선별부재와 교체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고속선별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선별부재는 상기 선별출구의 하단부가 상기 투입수단 지점을 시작으로 상기 회전판의 회전 방향으로 확장되도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형선별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고속선별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선별부재는 상기 선별출구의 하단부가 상기 투입수단 지점을 시작으로 상기 회전판의 회전 방향으로 확장되도록 상향 단차지게 형성된 계단형선별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고속선별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선별부재는 상기 회전판의 가장자리의 곡면과 동일한 곡면을 가지는 봉형상선별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고속선별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선별부재의 하측단부에 상기 선별대상물이 통과될 때 흠집 및 파손방지를 위한 연질 또는 쿠션 재질로 이루어진 파손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고속선별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판의 선별구간에는 선별부재를 통해 선별된 상기 선별대상물이 크기별로 배출되는 선별구간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격판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고속선별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격판부재 일측에는 상기 배출안내부재 또는 상기 선별부재와 착탈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착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고속선별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판은 상,하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제1회전판 및 제2회전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수단은 제1구동모터 및 제2구동모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동축은 내부회전축과, 상기 내부회전축이 내부로 관통되게 조립되도록 중공관으로 이루어진 외부회전축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구동모터는 상기 내부회전축의 하측에 연결되고, 상기 내부회전축은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회전판을 상,하로 관통하여 그 상단부가 상기 제2회전판 하부에 조립되며, 상기 제2구동모터는 상기 외부회전축 하단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고속선별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판은 상,하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제1회전판 및 제2회전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축은 상기 제1회전판을 상,하로 관통하여 제2회전판 하부와 조립되어 상기 제1회전판 및 제2회전판이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함께 회전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고속선별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일정하지 않은 크기의 구형 또는 비구형의 선별대상물이 다량 투입되어 저장되는 호퍼로부터 공급된 선별대상물이 경사진 회전판의 회전방향을 따라 차례대로 정렬되어 이송되면서 크기별로 선별이 가능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선별되어 배출되는 선별출구가 다른 각각의 선별부재를 교체하여 사용함에 따라 다양한 종류와 크기의 선별대상물을 선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선별부재와 연결되는 높이승강부재에 의하여 선별부재의 높이가 변동됨에 따라 선별부재를 통해 배출되는 선별출구의 높이조절을 용이하도록 하여 작은 크기에서 큰 크기별로 자동적으로 선별시킬 수 있는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착탈이 용이한 격판부재를 통하여 선별된 선별대상물이 크기별로 배출되는 구간을 상황에 따라 교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고속선별기에 의하면, 선별부재의 하측단부에 파손방지부재를 형성하여 선별대상물이 선별부재를 통해 선별되어 선별출구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흠집 또는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판이 복층구조로 구성됨에 따라 협소한 장소에 설치가 용이함은 물론 다양한 종류의 선별대상물을 대량으로 신속 정확하게 선별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경사진 회전판이 회전됨에 따라 가장자리로 정렬되어 차례대로 이송되면서 선별부재를 통해 크기별로 배출되되 파손없이 배출되는 고속선별되는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회전식 고속선별기의 측면개략도.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회전식 고속선별기의 사시도.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회전판의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회전식 고속선별기의 평면도.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에 의한 탄성가이드부재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선별부재 및 제2 선별부재의 결합상태도.
도 7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선별부재 및 제2 선별부재의 전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선별부재의 결합상태도.
도 9a 내지 도 9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선별부재의 전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선별부재로 이루어진 회전식 고속선별기의 사시도.
도 11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파손방지부재가 결합된 선별부재의 단면도.
도 12a 내지 도 12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격판부재의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격판부재가 결합된 회전식 고속선별기의 사시도.
도 14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복층구조 회전식 고속선별기를 나타내는 측면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본 발명의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회전식 고속선별기의 측면개략도이고,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회전식 고속선별기의 사시도이며,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회전판의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회전식 고속선별기의 평면도이며,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에 의한 탄성가이드부재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선별부재 및 제2 선별부재의 결합상태도이다.
또한, 도 7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선별부재 및 제2 선별부재의 전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선별부재의 결합상태도이며, 도 9a 내지 도 9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선별부재의 전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선별부재로 이루어진 회전식 고속선별기의 사시도이며, 도 11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파손방지부재가 결합된 선별부재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12a 내지 도 12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격판부재의 측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격판부재가 결합된 회전식 고속선별기의 사시도이며, 도 14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복층구조 회전식 고속선별기를 나타내는 측면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회전식 고속선별기(100)는 도 1 내지 도 1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하지 않은 크기의 구형 또는 비구형의 선별대상물(P)이 다량 투입되어 저장되는 호퍼(1)로부터 공급된 선별대상물(P)이 경사진 회전판(20)의 회전방향을 따라 차례대로 정렬되어 이송되면서 크기별로 선별이 가능한 구성으로서, 구동수단(11)이 구비된 베이스(10)상에 회전판(20)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판(20)의 가장자리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선별부재(7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회전판(20)의 회전방향은 상기 선별부재(70)의 설치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일례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베이스(10)상에 설치되는 회전판(20)은 상기 베이스(10) 내부에 구비된 구동수단(11)의 구동축(13)과 연결되어 회전되며, 평면상에서 볼 때 원형상으로서 정중앙부로부터 가장자리 방향으로 하향경사면(21)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판(20)은 도 3a 내지 도 3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향경사면(21)이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되거나, 원형판(20a)에 경사면을 갖는 경사부재(21a)의 결합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판(20)의 상측에는 상기 호퍼(1)의 공급부(2) 일측에서부터 연장되어 상기 회전판(20)으로 상기 선별대상물(P)이 투입되도록 투입수단(30)이 구비된다.
상기 투입수단(30)은 컨베이어장치와 같이 무한궤도운동이 가능한 장치로 구성되며, 출구(31)의 일부는 상기 회전판(20) 상측에 위치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투입수단(30)의 일측에는 상기 선별대상물(P)이 역회전방향으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되도록 하며, 상기 선별대상물(P)이 투입되어 상기 회전판(20)에 안착되는 투입구간(a)과 하기 선별출구(71)의 간격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선별부재(70)에서 선별되지 못하는 상기 선별대상물(P)에 대해 상기 회전판(20)으로부터 배출시키는 선별범위 외 배출구간(d)으로 구분되도록 구획부재(5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투입구간(a)에는 상기 회전판(20)의 가장자리 일부 구간을 감싸도록 만곡지게 형성된 고정가이드부재(40)가 설치되는데, 상기 고정가이드부재(40)의 외측으로 다수의 고정브라켓(42)이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10)상에 고정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고정가이드부재(40)는 일측에 개구부(41)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투입수단(30)의 상기 출구(31)가 상기 하향경사면(21)과 상기 하향경사면(21)과 최대한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선별대상물(P)이 투입될 때, 낙하충격에 의한 상기 선별대상물(P)의 파손(특히, 과실과 같은 선별대상물(P)의 경우, 표면 손상 및 멍등)되지 않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투입구간(a)에는 상기 호퍼(1)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선별대상물(P)의 과다투입을 방지하고, 상기 회전판(20)의 가장자리로 정렬되어 이송되도록 상기 투입수단(30)의 출구(31)와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정렬부재(60)가 형성된다.
상기 정렬부재(60)는 상기 선별대상물(P)을 상기 회전판(20)의 가장자리로 정렬시키기 위한 정렬안내부재(61)와 상기 선별대상물(P)의 투입량 및 종류, 크기에 따라 상기 정렬부재(60)가 좌,우로 조절되도록 위치조절수단(63)으로 구성된다.
상기 위치조절수단(63)은 다양한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간단한 슬라이드구조로 좌,우 이동되는 것을 일례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위치조절수단(63)은 도 상기 정렬안내부재의 상단에 돌출형성된 슬라이드홈부(63a)와 상기 슬라이드홈부(63a)의 일측에 관통 형성된 결합공(63b) 및 결합볼트(63c)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홈부(63a)는 상기 구획부재(50)의 상측 일측에 연장 형성된 가이드부재(51)에 결합되어 좌,우 이동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결합공(63b)에 결합볼트(63c)로 고정하게 된다.
한편, 상기 투입수단(30)을 시작으로 상기 회전판(20)의 상측에는 상기 회전판(20)의 원주를 따라 상기 하향경사면(21)의 가장자리에 이격되어 선별부재(70)가 설치되는데, 상기 선별부재(70)는 상기 회전판(20)의 회전방향으로 점차 간격이 확장되어 형성되는 선별출구(71)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선별부재(70)의 내측면부(70a)는 테프론(Teflon) 코팅되어 상기 회전판(20)이 회전될 때 상기 선별대상물(P)이 미끄럼 접촉되어 이송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별부재(70)의 외측방향으로 상기 선별출구(71)로부터 크기별로 배출된 상기 선별대상물(P)을 대상물받침대(200)로 이송되도록 상기 하향경사면(21)과 동일한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배출안내부재(8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안내부재(80)는 선별되어 배출된 상기 선별대상물(P)이 상기 대상물받침대(200)로 이송될 때 상기 베이스(10)상의 모서리등에 간섭받지 않도록 상기 베이스(10)의 외관보다 더 크게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회전식 고속선별기(100)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입수단(30)이 구비된 투입구간(a)을 통해 상기 회전판(20)의 상측으로 상기 선별대상물(P)이 투입되고, 상기 정렬부재(60) 및 상기 하향경사면(21)에 의해 상기 회전판(20)의 가장자리로 정렬되는 정렬구간(b)을 지나며, 상기 회전판(20)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하향경사면(21)과 선별부재(70)의 내측면부(70a)를 타고 이송되다가 상기 선별출구(71)로부터 작은 크기에서 큰 크기별로 자동적으로 선별되어 상기 배출안내부재(80)의 경사에 의해 배출되는 선별구간(c)을 통해 상기 대상물받침대(200)로 이송공급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한편, 상기 호퍼(1)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선별대상물(P)이 공급중에 상기 정렬부재(60)와 상기 선별부재(70)의 간격보다 작은 선별대상물(P)이 다량 투입될 경우에도 상기 회전판(20)의 가장자리로 정렬되어 순차적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상기 정렬부재(60)의 일측에 탄성가이드부재(160)가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탄성가이드부재(160)의 구성에 의하면, 도 5a 내지 도 5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스프링(161)과 스프링고정구(163), 힌지축(165) 및 지지대(167)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대(167)는 상기 탄성스프링(161)에 의해 탄성을 갖게됨에 따라 상기 선별부재(70)의 내측면부(70a)와 인접되도록 위치되다가, 상기 투입수단(30)으로부터 투입되어 상기 정렬부재(60)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선별대상물(P)이 상기 회전판(20)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지지대(167)를 밀게되어 상기 선별부재(70)의 내측면부(70a)와 상기 회전판(20)의 가장자리를 타고 계속 정렬되어 이송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회전식 고속선별기(100)는 상기 선별대상물(P)의 크기가 상기 선별출구(71)의 간격과 차이가 많아 선별이 어려울 경우, 상기 선별부재(70)의 높이를 조절하여 선별이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베이스(10)상의 일측에는 승강부재(15)가 설치되고, 상기 승강부재(15)의 승강로드(17)는 상기 선별부재(70)의 상단부에 구비된 보조지지대(73)의 중심과 연장 형성되어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승강부재(15)는 실린더, 상기 승강로드(17)는 실린더로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유압 또는 공압 및 수동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승강로드(17)는 수직방향으로만 움직이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선별부재(70)와 경사각이 다른 제2 선별부재(70')의 교체에 의한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선별부재(70')는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지지대(73) 외측에는 상기 선별부재의 내측면부(70a) 곡률에 대응되는 지지프레임(75)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75)과 상기 선별부재(70)는 착탈부재(177)에 의해 분리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2 선별부재(70')는 도 7a 내지 도 7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별부재(70)의 경사도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기 선별부재(70)의 최대간격(D1)과 상기 제2 선별부재(70')의 최대간격(D2)이 다르게 구성되어, 상기 선별대상물(P)의 최대크기가 상기 선별부재(70)의 최대간격(D1)보다 초과되어 선별이 어려울 경우 제2 선별부재(70')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선별부재(70)의 최대간격(D1) 내에서 0cm~30cm크기의 선별대상물(P)을 선별된다고 가정할 때, 40cm크기의 선별대상물(P)을 선별하기 위해서 상기 승강부재(15)를 통해 상기 선별부재(70)를 전체적으로 상승시키면 10cm~40cm크기에 해당되는 선별대상물(P)만 선별이 가능하게되고, 0~10cm크기 내의 선별대상물(P)은 선별이 불확실하다.
이 때, 상기 제2 선별부재(70')의 최대간격(D2) 내에서 0~60cm크기의 선별대상물(P)이 선별된다고 가정한다면, 40cm크기의 선별대상물(P)을 선별하기 위해서 상기 승강부재(15)에 의한 높이조절보다는 상기 제2 선별부재(70')로 교체하여 사용하여 정확한 선별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 선별부재(70')를 상기 승강부재(15)에 의한 높이를 조절할 경우, 선별할 수 있는 상기 선별대상물(P)의 최대크기가 늘어나므로 선별되는 범위를 더욱 넓게 지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지지대(73)의 외측에는 다수의 볼트부(77a)가 형성되고, 상기 선별부재(70)의 외측면부(70b)에는 상기 볼트부(77a)가 끼워져 너트(77b)로 체결되도록 장공(79)이 형성되되, 상기 장공(79)은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너트(77b) 체결에 의해 상,하로 미세하게 높이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선별부재(70)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어 실시될 수 있다.
상기 선별부재(70)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선별출구(71)의 하단부가 상기 투입수단(30) 지점을 시작으로 상기 회전판(20)의 회전 방향으로 확장되도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형선별부재(171)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경사형선별부재(171)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선별대상물(P)들의 크기차이가 적은 경우 선별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상기 선별부재(70)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선별출구(71)의 하단부가 상기 투입수단(30) 지점을 시작으로 상기 회전판(20)의 회전 방향으로 확장되도록 상향 단차지게 형성된 계단형선별부재(173)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계단형선별부재(173)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선별대상물(P)들의 크기차이가 많은 경우 선별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상기 선별부재(70)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회전판(20)의 가장자리 곡면과 동일한 곡면으로 만곡 형성시킨 봉형상선별부재(175)로 구성된다.
상기 봉형상선별부재(175)는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지지대(75)의 하측과 상기 봉형상선별부재(175)의 상측단부에 형성된 다수의 연결부재(175a)가 용접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봉형상선별부재(175)의 구성에 의하면 하측단부가 라운딩 형성됨에 따라 상기 선별대상물(P)의 흠집 또는 파손등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이며, 내부가 비어있는 파이프형태의 봉형상선별부재(175)일 경우, 판형의 선별부재(140)에 비해 가공비용이 적은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판형의 선별부재(70)의 경우, 상기 선별부재(70)의 하측단부의 절단면부(70c)가 다소 날카로울 수 있어,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단면부(70c)에 상기 선별대상물(P)이 통과될 때 흠집 및 파손방지를 위한 연질 또는 쿠션 재질로 이루어진 파손방지부재(177)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회전판(20)의 선별구간에는 선별부재(70)를 통해 선별된 상기 선별대상물(P)이 크기별로 배출되는 상기 선별구간(c)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격판부재(180)를 결합시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격판부재(180)는 착탈이 용이하도록 이루어져서 착탈수단(181)이 구비되며, 상기 배출안내부재(80)의 외측단부(81)에서 수시로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격판부재(180)와 대응되도록 상기 대상물받침대(200)를 다수 구비함에 따라 크기별로 선별된 상기 선별대상물(P)을 담아낼 수 있게 된다.
상기 격판부재(180)의 착탈수단(181)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도 12a 내지 12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에 집게(181a) 또는 클램프(181b)가 형성된 격판부재(180)로 구성된다.
집게(181a)가 형성된 격판부재(180)의 경우, 상기 선별출구(71)에서 배출되는 상기 선별대상물(P)이 상기 회전판(20)의 회전력에 의한 충격에 의해 움직이지 않도록 중량이 다소 가벼운 선별대상물(P)에 주로 사용된다.
클램프(181b)가 형성된 격판부재(180)의 경우, 상기 선별출구(71)에서 배출되는 상기 선별대상물(P)이 상기 회전판(20)의 회전력에 의한 충격에 의해 움직이지 않도록 중량이 다소 무거운 선별대상물(P)에 주로 사용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회전식 고속선별기(100)는 복층구조 회전식 고속선별기(100',10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복층구조 회전식 고속선별기(100')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도 1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판(20)은 상,하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제1회전판(120) 및 제2회전판(121)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수단(11)은 제1구동모터(11a) 및 제2구동모터(11b)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동축(13)은 내부회전축(13a)과, 상기 내부회전축(13a)이 내부로 관통되게 조립되도록 중공관으로 이루어진 외부회전축(13b)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구동모터(11a)는 상기 내부회전축(13a)의 하측에 연결되고, 상기 내부회전축(13a)은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회전판(120)을 상,하로 관통하여 그 상단부가 상기 제2회전판(121) 하부에 조립되며, 상기 제2구동모터(11b)는 상기 외부회전축(13b) 하단부와 연결된다.
상기 복층구조 회전식 고속선별기(100")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회전판(20)은 상,하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제1회전판(120) 및 제2회전판(121)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축(13)은 상기 제1회전판(120)을 상,하로 관통하여 제2회전판(121) 하부와 조립되어 상기 제1회전판(120) 및 제2회전판(121)이 상기 구동수단(11)에 의해 함께 회전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복층구조 회전식 고속선별기(100',100")는 2단 형성에 따른 설명으로, 높이방향으로 공간만 확보된다면 더 많은 층을 형성하여 선별할 수 있는 회전식 고속선별기(100)로 구성될 수 있다.
100; 회전식 고속선별기
100',100"; 복층구조 회전식 고속선별기
1; 호퍼 2; 공급부
10; 베이스 11; 구동수단
13; 구동축 15; 승강부재
20; 회전판 21; 하향경사면
30; 투입수단 40; 고정가이드부재
50; 구획부재 60; 정렬부재
70; 선별부재 71; 선별출구
73; 보조지지대 75; 지지프레임
80; 배출안내부재
120; 제1회전판 121; 제2회전판
160; 탄성가이드부재 171; 경사형선별부재
173; 계단형선별부재 175; 봉형상선별부재
177; 파손방지부재 180; 격판부재
200; 대상물받침대
P; 선별대상물
a; 투입구간 b; 정렬구간
c; 선별구간 d; 선별범위 외 배출구간

Claims (14)

  1. 일측에 일정하지 않은 크기의 구형 또는 비구형의 선별대상물이 다량 투입되어 저장되는 호퍼로부터 공급된 상기 선별대상물을 회전방향을 따라 이송시키면서 크기별로 선별하도록 이루어진 회전식 선별기에 있어서,
    상기 호퍼의 일측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구동수단 및 이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상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축과 연결되어 회전되며, 상면에는 정중앙부로부터 가장자리 방향으로 하향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회전판;
    상기 호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선별대상물을 상기 회전판으로 투입되도록 하는 투입수단;
    상기 투입수단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선별대상물이 역회전방향으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되도록 이루어지되, 투입구간과 배출구간으로 구분되도록 하는 구획부재;
    상기 회전판의 가장자리 일부 구간을 감싸도록 만곡지게 형성되어 베이스상에 설치되고, 일측에 상기 투입수단의 출구와 통하도록 개구부가 형성된 고정가이드부재;
    상기 투입구간에는 상기 호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선별대상물을 상기 회전판의 가장자리로 정렬시켜 이송하도록 상기 고정가이드부재 내주면과 간격을 유지하여 상기 회전판 상에 설치되는 정렬부재;
    상기 회전판의 상측에 설치되되, 상기 고정가이드부재의 일측을 시작으로 상기 회전판의 원주를 따라 회전방향으로 점차 간격이 확장되어 형성되는 선별출구를 갖도록 상기 하향경사면의 가장자리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선별부재; 및
    상기 선별부재의 외측방향에 설치되어, 상기 선별출구로부터 크기별로 배출된 상기 선별대상물을 대상물받침대로 이송되도록 상기 하향경사면과 동일한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배출안내부재를 포함하는 회전식 고속선별기에 있어서:
    상기 정렬부재는 상기 구획부재의 상단 일측에 연장 형성된 가이드부재에 결합되되, 상기 회전판의 중심방향과 상기 고정가이드부재의 내주면 사이에서 좌,우로 움직여 상기 투입구간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고속선별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부재 일측에는 상기 선별대상물이 상기 고정가이드부재 내주면을 따라 일렬로 정렬되면서 상기 회전판의 회전에 의해 이송되도록 상기 고정가이드부재 내주면을 향해 탄발되게 설치되는 탄성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고속선별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상의 일측에는 승강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승강부재의 승강로드는 상기 선별부재 상부에 구비되는 보조지지대와 연결되어 상기 선별부재를 높이 조절하여 선별출구 상,하 간격을 조절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고속선별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지지대 외측에는 상기 선별부재의 내측면부 곡률에 대응되는 지지프레임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 외측면에 다수의 볼트부가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선별부재 외측면에는 상기 볼트부가 끼워져 너트로 체결되는 장공이 형성되되, 상기 장공은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너트 체결에 의해 상,하로 미세하게 높이 조절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고속선별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지지대 외측에는 상기 선별부재의 내측면부 곡률에 대응되는 지지프레임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선별부재는 착탈부재에 의해 분리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상기 선별출구 크기가 다른 제2 선별부재와 교체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고속선별기.
  7. 제 1항 있어서,
    상기 선별부재는 상기 선별출구의 하단부가 상기 투입수단 지점을 시작으로 상기 회전판의 회전 방향으로 확장되도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형선별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고속선별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부재는 상기 선별출구의 하단부가 상기 투입수단 지점을 시작으로 상기 회전판의 회전 방향으로 확장되도록 상향 단차지게 형성된 계단형선별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고속선별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부재는 상기 회전판의 가장자리의 곡면과 동일한 곡면을 가지는 봉형상선별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고속선별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부재의 하측단부에 상기 선별대상물이 통과될 때 흠집 및 파손방지를 위한 연질 또는 쿠션 재질로 이루어진 파손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고속선별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의 선별구간에는 선별부재를 통해 선별된 상기 선별대상물이 크기별로 배출되는 선별구간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격판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고속선별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격판부재 일측에는 상기 배출안내부재 또는 상기 선별부재와 착탈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착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고속선별기.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은 상,하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제1회전판 및 제2회전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수단은 제1구동모터 및 제2구동모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동축은 내부회전축과, 상기 내부회전축이 내부로 관통되게 조립되도록 중공관으로 이루어진 외부회전축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구동모터는 상기 내부회전축의 하측에 연결되고, 상기 내부회전축은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회전판을 상,하로 관통하여 그 상단부가 상기 제2회전판 하부에 조립되며, 상기 제2구동모터는 상기 외부회전축 하단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고속선별기.
  14. 삭제
KR1020130094968A 2013-08-09 2013-08-09 회전식 고속선별기 KR1015308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4968A KR101530890B1 (ko) 2013-08-09 2013-08-09 회전식 고속선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4968A KR101530890B1 (ko) 2013-08-09 2013-08-09 회전식 고속선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8275A KR20150018275A (ko) 2015-02-23
KR101530890B1 true KR101530890B1 (ko) 2015-06-24

Family

ID=53046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4968A KR101530890B1 (ko) 2013-08-09 2013-08-09 회전식 고속선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08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17571B (zh) * 2017-11-01 2023-11-17 成都大学 水果分类筛选机
CN107890980A (zh) * 2017-12-28 2018-04-10 东莞市二郎神影像设备有限公司 矿山x光高速高效分拣机
CN108816772B (zh) * 2018-06-29 2021-03-12 崇义龙润果业有限公司 一种脐橙大小快速分选设备
CN116553059B (zh) * 2023-07-07 2023-11-10 成都飞机工业(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人机结合的高效物料拣选设备及方法
CN117983541A (zh) * 2024-04-03 2024-05-07 北京惠农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农产品自动分拣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57883A (en) * 1979-02-12 1981-03-24 Realex Corporation Parts sorting mechanism
JPH0716540A (ja) * 1993-07-02 1995-01-20 Sumitomo Osaka Cement Co Ltd 水硬性組成物または骨材の形状分離装置、これを用いた水硬性組成物または骨材の形状分離方法、形状分離された水硬性組成物または骨材、水硬性組成物硬化体、水硬性組成物硬化体構築物
JPH10286529A (ja) * 1997-04-14 1998-10-27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サイズ選別装置
JP2000070863A (ja) * 1998-08-26 2000-03-07 Sintokogio Ltd 粉粒体の分級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57883A (en) * 1979-02-12 1981-03-24 Realex Corporation Parts sorting mechanism
JPH0716540A (ja) * 1993-07-02 1995-01-20 Sumitomo Osaka Cement Co Ltd 水硬性組成物または骨材の形状分離装置、これを用いた水硬性組成物または骨材の形状分離方法、形状分離された水硬性組成物または骨材、水硬性組成物硬化体、水硬性組成物硬化体構築物
JPH10286529A (ja) * 1997-04-14 1998-10-27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サイズ選別装置
JP2000070863A (ja) * 1998-08-26 2000-03-07 Sintokogio Ltd 粉粒体の分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8275A (ko) 2015-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0890B1 (ko) 회전식 고속선별기
US10457430B2 (en) Apparatus for coupling plastic can carriers to cans
JP6001986B2 (ja) 果実種の殻割り分離分別装置
KR20170093393A (ko) 과실의 씨 분리 장치
US20050077216A1 (en) Object orienting and sorting apparatus
CN106362962A (zh) 一种隔离振源的两层履带式色选机
KR20130057565A (ko) 크기별 조개선별장치
KR20150085933A (ko) 농산물 선별기
KR20150078718A (ko) 농산물 선별기
KR20160126135A (ko) 농작물 선별장치
CN107444855B (zh) 一种多列输送定向排列机
KR101438321B1 (ko) 부품 공급장치
KR101656877B1 (ko) 과실 선별기
KR200409520Y1 (ko) 비스부재의 공급장치
KR101861301B1 (ko) 과일 선별 장치
KR102259200B1 (ko) 다목적 선별기
CN209968929U (zh) 一种豆类多级分选机
KR101448432B1 (ko) 선별기용 공급장치
KR101662619B1 (ko) 리프트 롤러 형상식 선별기
CN110022996B (zh) 用于分级系统的调节机构
KR101305409B1 (ko) 부품공급장치
CN112317327A (zh) 一种农业球状果实筛选工艺
KR200346440Y1 (ko) 전자부품용 핀 선별장치
KR101448430B1 (ko) 농산물 선별장치에 적용되는 선별판가이드
KR101250937B1 (ko) 어류 선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