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5933A - 농산물 선별기 - Google Patents

농산물 선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5933A
KR20150085933A KR1020140005930A KR20140005930A KR20150085933A KR 20150085933 A KR20150085933 A KR 20150085933A KR 1020140005930 A KR1020140005930 A KR 1020140005930A KR 20140005930 A KR20140005930 A KR 20140005930A KR 20150085933 A KR20150085933 A KR 201500859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ricultural products
adjusting means
rotation
rods
numb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5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윤희
Original Assignee
박윤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윤희 filed Critical 박윤희
Priority to KR1020140005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5933A/ko
Publication of KR20150085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59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07B13/07Apparatus in which aggregates or articles are moved along or past openings which increase in size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Abstract

본 발명은 농산물 선별기에 있어서, 다수의 프레임으로 결합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측에 경사지게 결합되어 농산물이 몸체 방향으로 공급되도록 개방부를 갖는 수용부가 형성되는 투입대; 상기 투입대로 공급되는 농산물을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이송시키도록 몸체 상부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회전봉; 상기 회전봉을 회전시키도록 몸체의 일측에 구성되는 구동수단; 상기 몸체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다수의 회전봉 중 홀수열 회전봉의 일측부를 각각 전·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수평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간격을 조절하는 제1간격조절수단; 상기 제1간격조절수단과 상호 대응되는 상기 몸체의 상부 타측에 설치되어 다수의 회전봉 중 짝수열 회전봉의 타측부를 각각 전·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수평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간격을 조절하는 제2간격조절수단; 상기 제1,2간격조절수단에 의해 간격이 조절된 다수의 회전봉 사이 간격을 통해 농산물이 낙하되어 크기별로 배출되도록 몸체의 내부에 경사지게 구비되는 배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농산물 선별기{Agricultural products screening equipment}
본 발명은 농산물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간편한 조작으로 은행, 미니토마토, 대추, 매실, 밤, 호두, 땅콩, 쪽마늘, 통마늘, 블루베리, 감자, 양파, 생감 등의 농산물이 크기별로 선별 낙하와 동시에 배출이 되도록 함으로써, 농산물의 선별작업에 소요되는 인적, 물적 자원을 최소화하고, 나아가 선별과정에서 농산물에 상처가 발생 되지 않도록 하여 우수한 품질의 농산물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농산물 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은행, 미니토마토, 대추, 매실, 밤, 호두, 땅콩, 쪽마늘, 통마늘, 블루베리, 감자, 양파, 생감 등과의 농산물의 선별은 농산물의 상품가치를 향상시키는 중요한 작업이며, 농산물의 다양한 선별인자에 따라 농산물의 등급을 결정지을 수 있는 여러 종류의 선별기가 개발되어 있다.
종래의 선별기는 형상선별 방식과 중량선별 방식으로 나뉘며, 중량선별방식은 무게감지장치 등의 설비를 사용하며, 형상선별방식으로는 드럼(drum)방식을 이용한 개별 측정방식이 있다.
그러나 상기 중량선별방식은 농산물이 이송되는 벨트상에서 농산물의 중량을 측정 후, 측정된 중량값에 맞는 선별위치에 가서 자동으로 낙하되도록 하므로서, 선별작업에 따른 작업인원과 시간을 줄일 수 있는 반면에, 중량선별방식은 고가의 무게감지장치를 필요로 하여 시설비가 과다하게 소요되고, 작업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형상선별방식으로 농산물을 선별하는 드럼(drum)방식은 드럼 내부의 수용공간에 다양한 크기의 농산물을 수용시킨 후 드럼을 회전시킴으로써, 드럼 내부에 농산물이 드럼 외주연에 선별 크기에 맞게 형성된 다수의 관통공으로 그 크기에 맞는 농산물이 배출되게 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상기 드럼방식은 드럼 내부의 수용공간 내에서 드럼의 회전으로 인해 이동하게 되는 농산물은 서로 부딪혀 상처가 생길뿐만 아니라 소음 또한 심한 문제점이 있고, 이와 더불어 비구형태에 가까운 마늘, 밤 또는 감자 등과 같은 농산물은 불규칙적으로 형성된 모서리부위로 인해 선별에 맞는 크기의 관통공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걸림되거나, 선별 크기와 다른 관통공으로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33143호 (2012.03.28)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8151호 (2013.07.1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회전봉의 간격을 핸들 조작만으로 용이하게 조절하여 은행, 미니토마토, 대추, 매실, 밤, 호두, 땅콩, 쪽마늘, 통마늘, 블루베리, 감자, 양파, 생감 등의 농산물이 크기별로 선별 낙하와 동시에 배출이 되도록 함으로써 농산물의 선별작업에 소요되는 인적, 물적 자원을 최소화하고, 나아가 선별과정에서 농산물에 상처가 발생 되지 않도록 하여 우수한 품질의 농산물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농산물 선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농산물 선별기에 있어서, 다수의 프레임으로 결합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측에 경사지게 결합되어 농산물이 몸체 방향으로 공급되도록 개방부를 갖는 수용부가 형성되는 투입대; 상기 투입대로 공급되는 농산물을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이송시키도록 몸체 상부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회전봉; 상기 회전봉을 회전시키도록 몸체의 일측에 구성되는 구동수단; 상기 몸체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다수의 회전봉 중 홀수열 회전봉의 일측부를 각각 전·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수평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간격을 조절하는 제1간격조절수단; 상기 제1간격조절수단과 상호 대응되는 상기 몸체의 상부 타측에 설치되어 다수의 회전봉 중 짝수열 회전봉의 타측부를 각각 전·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수평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간격을 조절하는 제2간격조절수단; 상기 제1,2간격조절수단에 의해 간격이 조절된 다수의 회전봉 사이 간격을 통해 농산물이 낙하되어 크기별로 배출되도록 몸체의 내부에 경사지게 구비되는 배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선별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농산물 선별기는 간단한 핸들 조작만으로 홀수열 회전봉과 짝수열 회전봉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은행, 미니토마토, 대추, 매실, 밤, 호두, 땅콩, 쪽마늘, 통마늘, 블루베리, 감자, 양파, 생감 등의 농산물이 크기별로 선별 낙하와 동시에 배출이 되도록 하여 농산물의 선별작업에 소요되는 인적, 물적 자원을 최소화하고, 나아가 선별과정에서 농산물에 상처가 발생 되지 않도록 하여 우수한 품질의 농산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회전봉을 따라 농산물이 일렬로 이송되는 구조로 인해 농산물이 서로 부딪쳐 발생되는 소음이 없어 쾌적한 환경에서 선별작업을 할 수 있고, 또한 제1,2간격조절수단으로 홀수열 회전봉과 짝수열 회전봉의 상호간격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농산물 선별을 보다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농산물 선별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투입대의 사용상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회전봉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구동수단의 결합상태를 알 수 있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회전봉의 사용상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제1간견조절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제1간견조절수단의 사용상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제2간견조절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제2간견조절수단의 사용상태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보면 본 발명에 의한 농산물 선별기는 몸체(10), 투입대(20), 회전봉(30), 구동수단(40), 제1간격조절수단(50), 제2간격조절수단(60), 배출부(70)로 이루어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는 다수의 프레임이 결합되는 직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몸체(10) 하측 모서리부에 각각의 이동바퀴(11)가 구비되어 몸체(10)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0)의 일측에 경사지게 투입대(20)가 결합된다. 상기 투입대(20)는 다수의 농산물의 수용시킬 수 있도록 수용부(21)가 형성되며, 수용부(21)로부터 농산물이 몸체(10) 방향으로 공급되도록 수용부(22)의 측부에 개방부(21)가 형성되고, 투입대(20)의 하부에 경사진 투입대(20)를 지지하는 지지대(23)가 설치되며, 지지대(23)의 하단부에 조절구(34)가 나사결합된다.
상기 지지대(23)의 하단부에 나사결합된 조절구(34)의 회전에 따라 지지대(23)의 길이가 조절되고, 이로 인해 투입대(20)의 경사각 또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투입대(20)는 몸체(10)의 상부 일측에 힌지 구조로 결합되어 미사용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대(20)를 상부방향으로 회전시켜 몸체(10)의 상측에 안착되게 함과 더불어 투입대(20)에 힌지 결합되는 지지대(23) 또한 접어 좁은 공간에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입대(20)로 공급되는 농산물을 몸체(10)의 길이방향으로 이송시키도록 몸체(10) 상부측에 회전가능하게 다수의 회전봉(30)이 설치된다.
상기 회전봉(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컨베이어 형태로 홀수열 회전봉(31,33,35,37)과 짝수열 회전봉(32,34,36,38)이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봉(30)을 회전시키도록 몸체(10)의 일측에 구동수단(40)이 구성된다. 상기 구동수단(4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 상부측에 다수 설치된 회전봉(30)의 일측단부 각각에 스프로킷(41)이 구비되며, 몸체(10)의 일측 하부에 구동모터(42)가 설치되고, 구동모터(42)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력이 스프로킷(41)으로 전달되도록 스프로킷(41)과 구동모터(42)를 서로 연결하는 체인(43)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홀수열 회전봉(31,33,35,37)의 일측단부에 구비된 스프로킷(41)에 연결되는 체인(43)은 스프로킷(41)의 하부측에 위치하게 되며, 짝수열 회전봉(32,34,36,38)는 일측단부에 구비된 스프로킷(41)에 연결되는 체인(43)은 스프로킷(41)의 상부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홀수열 회전봉(31,33,35,37)과 짝수열 회전봉(32,34,36,38)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홀수열 회전봉(31,33,35,37)과 짝수열 회전봉(32,34,36,38)은 서로 마주하는 부분에서 외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회전봉(30)을 따라 이송시키는 농산물이 홀수열 회전봉(31,33,35,37)과 짝수열 회전봉(32,34,36,38) 간격 사이로 삽입되어 파손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몸체(10)의 전방 일측부에 구동모터(42)를 작동 또는 정지시키는 스위치(44)가 설치된다.
상기 회전봉(30)의 회전은 체인(43)에 의한 구동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스프라켓(41) 대신에 풀리를 설치하고 벨트로 구동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농산물을 이송시키는 회전봉(30)은 사용시 농산물 표면에서 흙 또는 이물질이 묻게됨으로 회전봉(30)을 미사용시에 세척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봉(30)을 장기간 사용시 수차례 반복적으로 세척하게 되고, 이로 인해 회전봉(30)에 녹이 슬게 된다.
상기 녹이 쓴 회전봉(30)으로 이송되는 농산물은 녹스름에 의해 오염될 수 있으므로 회전봉(30)은 세척이 용이하며, 내식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봉(30)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는 농산물이 크기별로 순차적으로 선별되어 낙하되도록 홀수열 회전봉(31,33,35,37)과 짝수열 회전봉(32,34,36,38) 사이 간격이 농산물 이송방향으로 갈수록 상호간의 간격이 점점 넓어지게 간격을 조절하는 제1,2간격조절수단(50,60)이 몸체(10)의 상부 일측과 타측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몸체(1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는 제1간격조절수단(5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의 상부 일측에 판체 형태로 형성되는 제1고정판(51)이 고정 설치되고, 제1고정판(51)의 길이방향으로 짝수열 회전봉(32,34,36,38)의 일측부가 삽입되어 회전가능하도록 다수의 제1베어링(52)이 구비된다.
상기 제1베어링(52) 각각의 사이에 홀수열 회전봉(31,33,35,37)의 일측부가 돌출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제1관통구(53)가 형성되며, 제1고정판(51)의 전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제1핸들(54)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핸들(54)의 후방측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제1나사부(55)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판(51)의 측단부에 판체 형태로 형성되는 제1이동판(56)이 전·후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1이동판(56)의 전단부에 제1핸들(54) 조작에 의해 제1나사부(55)가 회전시 제1나사부(55)의 수평길이를 따라 이동판(56)이 이동되도록 제1나사부(55)와 나사결합하는 제1너트부(57)가 형성되며, 제1이동판(56)의 길이방향으로 홀수열 회전봉(31,33,35,37)의 일측부가 삽입되어 회전가능하도록 다수의 제2베어링(58)이 구비되고, 제2베어링(58) 각각의 사이에 짝수열 회전봉(32,34,36,38)의 일측부가 삽입된 제1베어링(52)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제2관통구(59)가 형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간격조절수단(50)의 제1핸들(54) 조작에 의해 제1이동판(56)이 이동하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제2베어링(58)에 결합된 홀수열 회전봉(31,33,35,37) 또한 일측부가 수평방향으로 경사지게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몸체(10)의 상부 타측에 설치되는 제2간격조절수단(6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의 상부 타측에 판체 형태로 형성되는 제2고정판(61)이 고정 설치되고, 제2고정판(61)의 길이방향으로 홀수열 회전봉(31,33,35,37)의 티측부가 삽입되어 회전가능하도록 다수의 제3베어링(62)이 구비된다.
상기 제3베어링(62) 각각의 사이에 짝수열 회전봉(32,34,36,38)의 타측부가 돌출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제3관통구(63)가 형성되며, 제2고정판(61)의 전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제2핸들(64)이 설치되고, 제2핸들(64)의 후방측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제2나사부(65)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고정판(61)의 측단부에 판체 형태로 형성되는 제2이동판(66)이 전·후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이동판(66)의 전단부에 제2핸들(64) 조작에 의해 제2나사부(65)가 회전시 제2나사부(65)의 수평길이를 따라 제2이동판(66)이 이동되도록 제2나사부(65)와 나사결합하는 너트부(67)가 형성된다.
상기 제2이동판(66)의 길이방향으로 짝수열 회전봉(32,34,36,38)의 타측부가 삽입되어 회전가능하도록 다수의 제4베어링(68)이 구비되고, 제4베어링(68) 각각의 사이에 홀수열 회전봉(31,33,35,37)의 티측부가 삽입된 제3베어링(62)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제4관통구(69)가 형성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간격조절수단(60)의 제2핸들(64) 조작에 의해 제2이동판(66)이 이동하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제4베어링(68)에 결합된 짝수열 회전봉(32,34,36,38) 또한 타측부가 수평방향으로 경사지게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간격조절수단(50)에 의해 홀수열 회전봉(31,33,35,37)의 간격을 조절시 홀수열 회전봉(31,33,35,37)의 일측에 설치된 스프로킷(41) 또한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스프로킷(41)에 연결된 체인(43)이 늘어나게 된다.
이때 상기 체인(43)을 지지하여 일정한 장력이 유지되도록 몸체(10)의 일측에 장력유지수단(45)이 구비되며, 장력유지수단(45)이 이동 후 탄성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장력유지수단(45)의 하단부에 스프링(46)의 일단부가 연결되게 설치되고, 스프링(46)의 타단부는 몸체(10)의 일측부에 고정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간격조절수단(50,60)에 의해 간격이 조절된 다수의 회전봉(30) 사이 간격을 통해 농산물이 낙하되어 크기별로 배출되도록 몸체(10)의 내부에 배출부(70)가 경사지게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배출부(70)의 상부측면에 농산물이 낙하시 충격을 흡수하여 농산물에 상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완충재(71)가 구비되며, 회전봉(30)으로부터 크기에 따라 선별 낙하되는 농산물이 섞이지 않게 구분되어 배출되도록 배출부(70)의 상부에 다수의 칸막이(72)가 더 설치된다.
한편 도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입대(20)의 개방부(21)측에는 이동되는 농산물의 과잉공급을 방지 하면서 다수의 회전봉(30) 사이마다 일정하게 정렬되도록 정렬부재(8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봉(30)의 농산물 유입측에는 농산물이 일렬로 배열되도록 함은 물론, 투입대(20)로부터 이동되는 농산물이 다수의 회전봉(30) 사이에 안착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판(90)이 회전봉(30)과 함께 위치조절되게 회전봉(30)의 상부측에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판(90)은 홀수열 회전봉(31,33,35,37)과 짝수열 회전봉(32,34,36,38)이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봉(30)의 상부측 길이방향으로 각각의 가이드부재(100)가 더 구비되어 회전봉(30)을 따라 이송되는 농산물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으로 인해 제1,2핸들(54,64) 조작만으로 홀수열 회전봉(31,33,35,37)과 짝수열 회전봉(32,34,36,38)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은행, 미니토마토, 대추, 매실, 밤, 호두, 땅콩, 쪽마늘, 통마늘, 블루베리, 감자, 양파, 생감 등의 농산물이 크기별로 선별 낙하와 동시에 배출이 되도록 하여 농산물의 선별작업에 소요되는 인적, 물적 자원을 최소화하고, 나아가 선별과정에서 농산물에 상처가 발생 되지 않도록 하여 우수한 품질의 농산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10 : 몸체 20 : 투입대
30 : 회전봉 40 : 구동수단
50 : 제1간격조절수단 60 : 제2간격조절수단
70 : 배출부

Claims (5)

  1. 농산물 선별기에 있어서,
    다수의 프레임으로 결합되는 몸체(10);
    상기 몸체(10)의 일측에 경사지게 결합되어 농산물이 몸체(10) 방향으로 공급되도록 개방부(22)를 갖는 수용부(21)가 형성되는 투입대(20);
    상기 투입대(20)로 공급되는 농산물을 몸체(10)의 길이방향으로 이송시키도록 몸체(10) 상부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회전봉(30);
    상기 회전봉(30)을 회전시키도록 몸체(10)의 일측에 구성되는 구동수단(40);
    상기 몸체(1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다수의 회전봉(30) 중 홀수열 회전봉(31,33,35,37)의 일측부를 각각 전·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수평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간격을 조절하는 제1간격조절수단(50);
    상기 제1간격조절수단(50)과 상호 대응되는 상기 몸체(10)의 상부 타측에 설치되어 다수의 회전봉(30) 중 짝수열 회전봉(32,34,36,38)의 타측부를 각각 전·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수평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간격을 조절하는 제2간격조절수단(60);
    상기 제1,2간격조절수단(50,60)에 의해 간격이 조절된 다수의 회전봉(30) 사이 간격을 통해 농산물이 낙하되어 크기별로 배출되도록 몸체(10)의 내부에 경사지게 구비되는 배출부(7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선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대(20)는 몸체(10)의 상부 일측에 힌지 구조로 결합되어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선별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봉(30)은 스크류컨베이어 형태로 형성되어지되, 홀수열 회전봉(31,33,35,37)과 짝수열 회전봉(32,34,36,38)이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선별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대(20)의 개방부(21)측에는 이동되는 농산물의 과잉공급을 방지 하면서 다수의 회전봉(30) 사이마다 일정하게 정렬되도록 정렬부재(80)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선별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봉(30)의 농산물 유입측에는 농산물이 일렬로 배열되도록 회전봉(30)과 함께 위치조절되는 가이드판(90)이 형성되어지되, 홀수열 회전봉(31,33,35,37)과 짝수열 회전봉(32,34,36,38)이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가이드판(90)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선별기.
KR1020140005930A 2014-01-17 2014-01-17 농산물 선별기 KR201500859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5930A KR20150085933A (ko) 2014-01-17 2014-01-17 농산물 선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5930A KR20150085933A (ko) 2014-01-17 2014-01-17 농산물 선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5933A true KR20150085933A (ko) 2015-07-27

Family

ID=53874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5930A KR20150085933A (ko) 2014-01-17 2014-01-17 농산물 선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85933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52400A (zh) * 2017-09-30 2018-01-09 浙江瀚镪自动化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瓜果分选机
CN108080280A (zh) * 2015-12-14 2018-05-29 安溪县智睿电子商务有限公司 一种蜜枣筛分机构
CN108927338A (zh) * 2018-07-10 2018-12-04 怀宁美蓝康佳食品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便于蓝莓筛选装置
CN110743829A (zh) * 2019-10-29 2020-02-04 邳州都康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农产品加工清洗机
KR20200102699A (ko) * 2019-02-22 2020-09-01 (주)슈닉스 구형농산물 선별기
KR20210017113A (ko) 2019-08-07 2021-02-17 박형석 다목적 선별기
WO2021027077A1 (zh) * 2019-08-09 2021-02-18 青岛理工大学 一种多工位自适应核桃预破壳系统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80280A (zh) * 2015-12-14 2018-05-29 安溪县智睿电子商务有限公司 一种蜜枣筛分机构
CN107552400A (zh) * 2017-09-30 2018-01-09 浙江瀚镪自动化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瓜果分选机
CN108927338A (zh) * 2018-07-10 2018-12-04 怀宁美蓝康佳食品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便于蓝莓筛选装置
KR20200102699A (ko) * 2019-02-22 2020-09-01 (주)슈닉스 구형농산물 선별기
KR20210017113A (ko) 2019-08-07 2021-02-17 박형석 다목적 선별기
WO2021027077A1 (zh) * 2019-08-09 2021-02-18 青岛理工大学 一种多工位自适应核桃预破壳系统
US11771126B2 (en) 2019-08-09 2023-10-03 Qingdao university of technology Multi-station adaptive walnut shell pre-breaking system
CN110743829A (zh) * 2019-10-29 2020-02-04 邳州都康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农产品加工清洗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85933A (ko) 농산물 선별기
US4763794A (en) Produce sorting apparatus
JP5487248B2 (ja) 作物整列機構およびそれを用いた作物選別装置
US2209340A (en) Automatic feeding device
KR102127507B1 (ko) 전복치패 자동 계수장치
KR20090081358A (ko) 농작물 선별장치
JP5344208B2 (ja) 選別装置
KR20160126135A (ko) 농작물 선별장치
JP2010158645A (ja) 選別装置
KR101265686B1 (ko) 전복선별기
JP6867006B2 (ja) 果菜自動選別方法と果菜自動選別装置
KR20180057058A (ko) 과실채소류 선별장치
KR101596929B1 (ko) 과일 선별기
JP2016022472A (ja) 長尺果菜選別装置
JP2018086618A (ja) 選別装置
JP6842023B2 (ja) 芋類の切断装置
KR20150085931A (ko) 농산물 선별기용 회전봉의 간격조절장치
JP6804764B2 (ja) 組合せ計量装置
KR102322311B1 (ko) 당도 측정기를 갖는 프리트레이 투입기
US2955696A (en) Article separating mechanism
KR102078380B1 (ko) 선별장치
KR101448432B1 (ko) 선별기용 공급장치
KR101641886B1 (ko) 과일 선별기
JP5373409B2 (ja) 選別装置
US2517341A (en) Adjustable range egg-sort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