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7507B1 - 전복치패 자동 계수장치 - Google Patents

전복치패 자동 계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7507B1
KR102127507B1 KR1020180123882A KR20180123882A KR102127507B1 KR 102127507 B1 KR102127507 B1 KR 102127507B1 KR 1020180123882 A KR1020180123882 A KR 1020180123882A KR 20180123882 A KR20180123882 A KR 20180123882A KR 102127507 B1 KR102127507 B1 KR 102127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que
abalone
rolled
coun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3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3577A (ko
Inventor
임형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경산업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경산업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경산업기계
Priority to KR1020180123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7507B1/ko
Publication of KR20200043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3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7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7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20Applications of counting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eed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07B1/286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with excentric sh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07B13/065Apparatus for grading or sorting using divergent conveyor belt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01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of foodstuffs, combined with their conse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65B35/44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by endless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10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65G21/2045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21/2063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elements not movable in the direction of load-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44Belt or chain tensio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MCOUNTING MECHANISMS; COUNTING OF OBJ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M1/00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 G06M1/08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for actuating the drive
    • G06M1/10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for actuating the drive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MCOUNTING MECHANISMS; COUNTING OF OBJ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M7/00Counting of objects carried by a conveyor
    • G06M7/02Counting of objects carried by a conveyor wherein objects ahead of the sensing element are separated to produce a distinct gap between successive objects
    • G06M7/04Counting of piece goods, e.g. of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41Quantity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Abstract

본 발명은 전복 치패를 크기에 따라 선별하고 그 선별된 전복치패 중에서 목적하는 크기로 선별된 전복치패를 자동으로 계수하여 포장할 수 있도록 한 전복치패 자동 계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하부 전/후방 양측에는 지지수단(111)이 설치되며 하부에는 물받이(112)를 형성시켜 된 본체(110)와, 상기 본체의 입측 상부에 계수대상 전복치패를 공급하도록 형성된 전복치패공급부(120)와, 상기 본체의 출측 상부에 계수된 전복치패를 배출시키도록 형성된 전복치패배출부(130)와, 상기 전복치패공급부와 전복치패배출부의 사이에 진동수단(160)의 진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전복치패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전복치패를 전복치패배출부 이송시키며 목적하는 크기의 전복치패를 선별하는 전복치패선별수단(140)과, 상기 전복치패선별수단의 상부에 설치되어 복치패선별수단을 따라 이동하는 전복치패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수단(150)으로 구성된 전복치패선별부(100);
상기 전복치패배출부에서 배출되는 전복치패를 공급받아 전복치패계수부로 이송시키도록 동력전달수단(250)과 연결 설치되어 무한궤도 형태로 회전되는 컨베이어가 설치된 전복치패이송수단(210)과, 상기 컨베이어의 상부에 하단이 컨베이어와 접촉되지 않으면서 전복치패를 1열로 가이드 하는 폭을 갖는 지그재그형태의 이송로(R)를 복수 열로 형성시켜 된 전복치패가이드수단(220)과, 상기 전복치패가이드수단의 출측에 설치되어 전복치패가이드수단에서 배출되는 전복치패의 개수를 자동으로 계수하는 전복치패계수수단(230)과, 상기 전복치패계수수단에서 계수된 전복치패를 수용 팩에 자동으로 담도록 유도하는 전복치패포장유도수단(240)과, 상기 전복치패이송수단, 전복치패계수수단, 전복치패포장유도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C)로 구성된 전복치패계수부(200);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전복치패 자동 계수장치{Automatic counter equipment abalone spat}
본 발명은 전복 치패를 크기에 따라 선별하고 그 선별된 전복치패 중에서 목적하는 크기로 선별된 전복치패를 자동으로 계수하여 포장할 수 있도록 한 전복치패 자동 계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복은 예로부터 식용으로 사용해 온 해산물로서, 영양이 매우 풍부하고 맛이 뛰어나 고급음식의 재료로 많이 사용되어 왔다.
국내에서도 매년 많은 양의 전복이 수요되고 있는데, 연간 천해(淺海)에서 어획되는 양은 450M/T(metric ton)에 이르고 양식 수확하는 양도 80M/T(metric ton)나 되며, 특히 근래에 와서는 양식에 대한 관심이 현저하게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전복의 양식은 치패(稚貝)를 양식장에 방류하고 먹이가 되는 미역이나 다시마를 공급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되는데, 양식에 사용될 치패의 공급 시 적정 크기의 치패를 공급수량에 따라 포장해야 하였다.
그러나 전복의 치패는 전복 새끼의 일종으로 그 크기가 작아 수작업으로 선별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으며, 또한 무개 단위로 포장하기 위한 계수 작업 역시 인력으로 해결하게 되면 노동력의 낭비와 작업 시간의 증가라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위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로서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46612호에 치패 선별 및 계수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위 기술은 치패를 그 크기에 따라서 선별할 수 있도록 소정 크기의 선별공들이 형성되어 있는 스크린을 포함하는 선별수단과,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서 상기 선별수단에서 선별된 치패의 개수를 광센서를 이용하여 계수하는 기술이다.
하지만, 위 기술은 광센서가 내장된 계수기가 이동됨으로써 파손되거나 변형 또는 색상의 변질 등과 같은 치패의 형상은 인식을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며, 2개 이상의 치패가 서로 근접해 있거나 접촉되어 있는 경우에도 이를 1개로 인식하여 계수함으로써 현실적으로 정확한 개수가 불가능하였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정확한 계수가 이루어지지 않음으로 후속 공정(출하 등)에서의 이중 작업을 요구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따라서 근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한국 공개특허 10-2017-0128967호의 전복 치패 계수장치가 제공되어 있으나, 이 또는 치패를 계수하는데 오류가 많고 이송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특허공개번호 10-2016-0051446 : 전복치패 선별 및 계수 시스템 한국특허공개번호 10-2018-0054042 : 치패 계수장치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발명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전복치패를 전복양식장에서 양식 가능한 크기의 전복치패와 양식 불가능한 크기의 전복치패 크기를 선별하고, 그 선별된 것 중 상기 양식 가능한 크기의 전복치패를 자동으로 계수하여 일정량씩 포장 팩에 수용시키도록 한 전복치패 자동 계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구성은,
하부 전/후방 양측에 본체와 연결 설치되는 각각의 측면고정구(111a)가 설치되고, 그 각 측면고정구에는 완충스프링(111b)의 상단이 설치되며, 상기 완충스프링의 하단은 하부에 이동바퀴(111d)가 설치된 받침구(111c)와 연결 설치하여 된 지지수단(111)이 설치되고 하부에는 물받이(112)를 형성시켜 된 본체(110)와, 상기 본체의 입측 상부에 계수대상 전복치패를 공급하도록 형성된 전복치패공급부(120)와, 상기 본체의 출측 상부에 계수된 전복치패를 배출시키도록 형성된 전복치패배출부(130)와, 상기 전복치패공급부와 전복치패배출부의 사이에 진동수단(160)의 진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전복치패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전복치패를 전복치패배출부 이송시키며 목적하는 크기의 전복치패를 선별하는 전복치패선별수단(140)과, 상기 전복치패선별수단의 상부에 설치되어 복치패선별수단을 따라 이동하는 전복치패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수단(150)으로 구성된 전복치패선별부(100);
상기 전복치패배출부에서 배출되는 전복치패를 공급받아 전복치패계수부로 이송시키도록 동력전달수단(250)과 연결 설치되어 무한궤도 형태로 회전되는 컨베이어가 설치된 전복치패이송수단(210)과, 상기 컨베이어의 상부에 지그재그형태로 절곡된 가이드패널(221)이 일정간격으로 복수 개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 설치된 가이드패널의 상부에는 가이드패널을 고정 지지하는 지지바(222)를 설치하여 전복치패를 1열로 가이드 하는 폭을 갖는 지그재그형태의 이송로(R)를 복수 열 형성시켜 된 전복치패가이드수단(220)과, 상기 전복치패가이드수단의 출측에 설치되어 전복치패가이드수단에서 배출되는 전복치패의 개수를 자동으로 계수하는 전복치패계수수단(230)과, 상기 전복치패계수수단에서 계수된 전복치패를 수용 팩에 자동으로 담도록 유도하는 전복치패포장유도수단(240)과, 상기 전복치패이송수단, 전복치패계수수단, 전복치패포장유도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C)로 구성된 전복치패계수부(200);로 이루어진다.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전복치패 계수 장치는, 상기 목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복치패를 전복양식장에서 양식 가능한 크기의 전복치패와 양식 불가능한 크기의 전복치패 크기를 선별하고, 그 선별된 것 중 상기 양식 가능한 크기의 전복치패를 계수하여 일정량씩 포장 팩에 수용시킴으로써 전복치패의 계수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음과 물론, 전복을 양식할 때에 양식효율을 높이고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복치패 자동 계수장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복치패 자동 계수장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전복치패 자동 계수장치에서 전복치패선별부 발췌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전복치패 자동 계수장치에서 전복치패선별수단 발췌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전복치패 자동 계수장치에서 제어부를 제거한 상태의 전복치패선별수단 발췌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전복치패 자동 계수장치에서 제어부를 제거한 상태의 전복치패선별수단 발췌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전복치패 계수장치에서 상/하부브래킷작동수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발췌 확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전복치패 자동 계수장치에서 전복치패포장유도수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발췌 확대 사시도.
본 발명은 전복치패를 크기에 따라 선별하고 그 선별된 전복치패 중에서 목적하는 크기로 선별된 전복치패를 자동으로 계수하여 포장할 수 있도록 한 전복치패 자동 계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 아 래 -
전복치패 자동 계수장치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양측에 측벽(113)이 형성되고, 하부 전/후방 양측에는 지지수단(111)이 설치되며, 하부에는 물받이(112)를 형성시켜 된 본체(110)가 마련되는데, 그 본체(110)의 좌/우 양측에 측벽(113)을 형성시킨 이유는, 전복치패공급부(120)로부터 공급되는 전복치패가 전복치패선별수단(140)을 따라 전복치패배출부(130)로 진행하면서 좌/우 양측으로 이탈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전복치패선별수단(140)을 따라 전복치패배출부(130)로 진행하는 전복치패는 상기 양 측벽(113)에 각각 설치된 진동수단(160)의 진동력을 전달받아 미세하게 상하로 뛰며 진행하기 때문에 상기 좌/우 양측으로 전복치패가 진행하면서 이탈할 수 있음으로 이와 같이 전복치패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측벽(113)이 설치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지지수단(111)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110)의 하부 전/후방 양측에 본체(110)와 연결 설치되는 각각의 측면고정구(111a)가 설치되고, 그 각 측면고정구(111a)에는 완충스프링(111b)의 상단이 설치되며, 상기 완충스프링(111b)의 하단은 하부에 이동바퀴(111d)가 설치된 받침구(111c)와 연결 설치함으로써 진동수단(160)에서 발생하는 진동력을 흡수 완충하여 본체(110)의 충격을 최소화하도록 하였다.
또 상기 이동바퀴(111d)는 본체(11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설치된 것이며,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이동바퀴(111d)는 잠금 기능을 갖는 것으로 본체(110)의 이동 완료 후에는 본체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본체(110)의 입측 상부에 계수대상 전복치패를 공급하도록 형성된 전복치패공급부(120)는, 입측에서 출측 방향으로 하향 기울기를 갖는 경사면(121)을 형성시켜 전복치패공급부(120)로 공급되는 전복치패가 전복치패선별수단(140)의 입측으로 용이하게 공급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전복치패배출부(130)는 상기 전복치패선별수단(140)으로부터 선별된 전복치패를 배출시키는 곳으로, 이와 같은 전복치패배출부(13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측에서 출측방향으로 하향 기울기를 갖는 경사패널(131)이 설치되고, 그 경사패널(131)의 선단에는 복수 열의 경사로(132)가 형성되며, 상기 각 경사로(132)의 양측 시작지점의 경사패널(131)에는 후방수직구(133)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양측 후방수직구(133)의 전방 중앙 지점 경사패널(131)에는 전방수직구(134)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각 경사로(132)의 끝단에는 가이드로(135)를 형성시켜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입측에서 출측방향으로 하향 기울기를 갖는 경사패널(131)을 설치한 이유는, 전복치패선별수단(140)에서 배출되는 전복치패를 경사로(132)로 용이하게 이동되도록 하기 위함이며, 상기 각 경사로(132)의 시작지점 양측 경사패널(131)에 후방수직구(133)가 설치되고, 상기 양측 후방수직구(133)의 전방 중앙 지점의 경사패널(131)에 전방수직구(134)를 각각 설치한 이유는, 상기 전복치패선별수단(140)에서 배출되는 전복치패가 붙어 진행할 수 있음으로 그 붙어 있는 전복치패가 상기 전방수직구(134) 및 후방수직구(133)와 부딪치면서 충격을 받아 분리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각 경사로(132)에 1열의 전복치패가 공급되어 용이하게 진행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전복치패선별수단(140)은, 상기 전복치패공급부(120)와 전복치패배출부(130)의 사이에 설치되어 진동수단(160)의 진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전복치패공급부(120)에서 공급되는 전복치패를 전복치패배출부(130) 이송시키며 목적하는 크기의 전복치패를 선별하는 곳이다.
상기와 같은 전복치패선별수단(140)의 일실시 예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양측의 측벽(113) 내측에 상부브래킷(141)과 하부브래킷(142)이 측벽(113)의 길이방향을 상/하 이동가능 하게 설치되고, 상기 상/하부브래킷(141,142)의 사이에는 목적하는 크기의 전복치패를 제외한 나머지 전복치패가 빠져나가는 크기의 구멍(144)이 천공된 상부선반(143)이 상/하부브래킷(141,142)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하부브래킷(142)의 하단에는 물이 배수되는 배수구멍(146)이 천공된 하부선반(145)이 설치됨으로써, 목적하는 크기의 전복치패는 상부선반(143)을 따라 진행하여 전복치패배출부(130)로 공급되고, 목적하는 크기보다 작은 크기의 전복치패는 하부선반(145)을 따라 진행하여 하부선반(145)의 출측에 별도로 마련된 수거함에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브래킷(141)의 상부 측벽(113)에는 상기 상/하부브래킷(141,142)의 사이 유격을 조절하는 상/하부브래킷작동수단(170)을 설치하되, 그 상/하부브래킷작동수단(170)은, 상기 상/하부브래킷(141,142)의 내부중앙부에 각각의 상/하부"ㄷ"자형브래킷(171,172)이 고정볼트를 매개로 고정설치되고, 상기 상/하부브래킷(141,142)의 내부에는 상기 상/하부"ㄷ"자형브래킷(171,172)을 관통하는 각각의 상/하부수직로드(173,174)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상/하부"ㄷ"자형브래킷(171,172)의 상/하부와 상/하부브래킷(141,142)의 사이에는 상기 각각의 상/하부수직로드(171,172)에 끼워지는 각각의 상/하부탄성스프링(175,176)이 설치되고, 상기 상부브래킷(141,142)의 상부 측벽(113)에는 상기 상부브래킷(141)의 상면과 접촉되는 작동레버(178)가 형성된 편심 캠(177)이 고정부재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구성에서 상/하부브래킷(141,142)의 사이에는 상부선반(143)이 끼워 결합되고, 하부브래킷(142)과 물받이(112)의 사이에는 하부선반(145)가 끼워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상/하부브래킷(141,142)의 사이에 끼워 결합된 상부선반(143)과 하부브래킷(142)과 물받이(112)의 사이에 끼워 결합된 하부선반(145)의 결합력을 강화시켜 솔치위치로부터 위치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작동레버(178)를 회전시켜 편심 캠(177)이 상부브래킷(141)을 하방으로 누르게 되면 상/하부탄성스프링(175,176)이 압축되면서 상/하부브래킷(141,142)이 하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상/하부브래킷(141,142)의 사이에 끼워 결합된 상부선반(143)과 하부브래킷(142)과 물받이(112)의 사이에 끼워 결합된 하부선반(145)의 결합력을 강화됨으로 상기 상/하부선반(143,145)의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하부선반(143,145)의 견고한 고정 력을 와해시켜 상/하부선반(143,145)을 상기 상/하부브래킷(141,142)의 사이와 하부브래킷(142)과 물받이(112)의 사이로부터 인출하기 위해서는 상기 작동레버(178)를 역회전시켜 상기 상부브래킷(141)을 하방으로 누르고 있던 상기 편심 캠(177)의 누름 력을 와해시키면 상기 압축되어 있던 상기 상/하부탄성스프링(175,176)이 복원되면서 상기 상/하부브래킷(141,142)이 원 위치되어 상기 상/하부브래킷(141,142) 사이와 하부브래킷(142)과 물받이(112)의 사이의 견고한 결합력이 와해 되므로 상기 상/하부선반(143,145)을 인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상/하부탄성스프링(175,176)이 압축되는 원리는, 작동레버(178)를 회전시켜 편심 캠(177)이 상부브래킷(141)을 하방으로 누르게 되면 그와 동시에 상/하부브래킷(141,142)은 하방으로 내려가고 상기 상/하부"ㄷ"자형브래킷(171,172)은 설치위치에 그대로 고정볼트에 의해 고정 지지된 상태를 유지함으로 상기 상/하부탄성스프링(175,176)은 상/하부브래킷(141,142)에 의해 압축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전복치패선별수단(140)의 상부에는 전복치패선별수단(140)을 따라 이동하는 전복치패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수단(150)이 설치되는데, 이와 같은 물공급수단(150)의 일실시예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 물이 공급되는 밸브가 설치된 물공급관(151)과 그 물공급관(151)에 일정간격으로 복수 개 설치되어 전복치패선별수단(140)으로 물을 분사하는 선단에 노즐(153)이 설치된 플렉시블호스(152)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물공급수단(150)의 구성에서 플렉시블호스(152)를 사용하는 이유는,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전복치패선별수단(140)을 따라 이송되는 전복에 물을 골고루 공급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상의 설명은 전복치패선별부(100)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이고, 아래에서는 전복치패계수부(200)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전복치패공급부(120)에서 공급되는 전복치패를 전복치패배출부(130)로 이송시키는 전복치패선별수단(140)에 진동력을 부여하는 상기 진동수단(160)은, 상기 본체(110)의 양 측벽(113) 동일 선상에 각각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이로, 그 일실시 예의 구성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축모터(161)의 각 축(162)에 상기 전복치패선별수단(140)으로 진동력을 전달하는 편심 캠(163)이 설치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복치패선별수단(140)의 진동력을 전복치패공급부(120)에서 전복치패배출부(130) 쪽으로 발생시키는 원리는, 상기 양축모터(161)에 설치된 편심 캠(163)이 회전되게 되면 상기 편심 캠(163)의 편심에 의해 편심 캠(163)이 1회전 할 때마다 덜컹되는 진동이 발생하고 그 덜컹되는 진동력이 편심 캠(163)의 회전방향에 따라 전복치패공급부(120)에서 전복치패배출부(130) 쪽으로 전달되므로 상기 전복치패선별수단(140)의 진동도 전복치패공급부(120)에서 전복치패배출부(130) 쪽으로 발생 되므로 전복치패선별수단(140)에 공급된 전복치패는 전복치패공급부(120)에서 전복치패배출부(130)로 이송되는 것이다.
상기 편심 캠(163)의 형상은 진동 발생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부채꼴 형태로 함이 바람직하나, 그 외에도 편심 캠(163)이 회전되면서 진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이면 모두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전복치패선별부(100)에 대한 것이고, 이하에서는 전복치패계수부(200)에 대한 설명으로, 상기 전복치패선별부(100)의 출측에는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복치패계수부(200)의 구성인 전복치패이송수단(210)이 마련되어 상기 전복치패배출부(130)에서 배출되는 전복치패를 공급받아 전복치패가이드수단(220) 및 전복치패계수수단(230)으로 진행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의 전복치패이송수단(210)은 동력전달수단(250)과 연결 설치되어 무한궤도 형태로 회전되는 컨베이어(211)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전복치패이송수단(210)의 일실시 예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컨베이어(211)의 일측단에 동력전달수단(250)과 연결 설치되는 구동롤러(212)가 설치되고, 상기 컨베이어(211)의 타측단에는 리턴롤러(213)가 설치되며, 그 리턴롤러(213)의 단부에는 리턴롤러(213)를 이동시켜 상기 컨베이어(211)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구(214)가 설치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컨베이어(211)는 컨베이어벨트로써 이와 같은 컨베이어벨트는 사용하다 보면 늘어나게 됨으로 장력을 조절해주어야 하고 따라서 상기 컨베이어(211)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리턴롤러(213)의 단부에 장력조구(214)를 설치한 것이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수단(250)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터(251)와 그 모터(251)의 축에 풀리(253)가 설치되며, 상기 풀리(253)과 구동롤러(212)의 일측단에 설치된 풀리 간에 벨트(254)가 설치되어 상기 모터(251)의 회전동력을 구동롤러(212)로 전달하는 것이다.
따라서 전복치패선별부(100)에서 전복치패계수부(200)로 공급받은 전복치패는 컨베이어(211)를 통하여 이송된다.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211)의 상부에는 하단이 컨베이어(211)와 접촉되지 않으면서 1열의 전복치패를 가이드 하는 폭을 갖는 지그재그형태의 이송로(R)를 복수 열로 형성시켜 된 전복치패가이드수단(220)이 설치됨으로써 상기 전복치패이송수단(210)에 의해 이동되는 전복치패를 전복치패계수수단(230)으로 가이드 한다.
상기와 같은 전복치패가이드수단(220)의 일실시 예는, 지그재그형태로 절곡된 가이드패널(221) 일정간격으로 복수 개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 설치된 가이드패널의 상부에는 가이드패널을 고정 지지하는 지지바(222)를 설치하여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패널(221)을 지그재그형태로 절곡시킨 이유는, 복수 개의 전복치패가 서로 붙어 이송로(R)를 따라 이송될 수 있음으로 그 붙어 이송되는 전복치패가 지그재그형태의 가이드패널(221) 절곡부와 부딪쳐 분리되도록 함과 동시에 전복치패가 이송로(R)를 따라 1열로 나란하게 이송 유도하기 위함이다.
상기 붙어 이송되는 전복치패를 분리해야 하는 이유는, 전복치패계수수단(230)에서 전복치패를 계수할 때에 붙어 이송되는 전복치패의 경우 1개의 전복치패로 계수되기 때문에 그 계수의 오류를 방지하기 위함이고, 상기 전복치패가 이송로(R)를 따라 1열로 나란하게 이송 유도하는 이유는, 전복치패계수수단(230)에서의 전복치패 계수 오류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일측의 가이드패널(221) 절곡부 (가)지점과 인접한 타측의 가이드패널(221) 대각선 절곡부 (나)지점 간의 폭(W)은 전복치패 하나의 크기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시킴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이송로(R)를 따라 이송되는 전복치패 하나하나가 모두 가이드패널(221)의 절곡부와 부딪치며 1열로 진행 유도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전복치패 하나하나가 모두 가이드패널(221)의 절곡부에 부딪치지 않고 진행할 경우 이송로(R)의 폭 방향으로 2개의 전복치패가 진행할 수 있으며 그와 같이 복수 개가 진행하게 되면 전복치패계수수단(230)에서의 전복치패 계수 오류가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하여 전복치패가이드수단(220)을 통과한 전복치패는 전복치패계수수단(230)으로 진입하여 전복치패를 계수하게 되는데, 상기 전복치패계수수단(230)의 일실시 예는, 상기 이송로(R)의 출측 상단에 센서고정바(231)가 설치되고, 센서고정바(231)의 하부에는 상기 각 이송로(R)를 향하는 계수센서(232)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며, 상기 각 계수센서는 제어부(C)와 연결 설치되어 계수센서의 계수 값을 제어부의 디스플레이부(D)에 표기되게 구성된다.
상기 계수센서(232)는 필수적으로 각 이송로(R) 마다 계수센서(232)를 각각 설치하여 계수의 정확성을 기해야 하고, 상기 계수센서(232)는 물 또는 오염물질이 계수센서(232)에 부착되지 않도록 전복치패의 두께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되게 설치해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전복치패의 두께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센서고정바(231)의 하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계수센서(232)는 각 이송로(R)를 통과하는 전복치패를 센싱하여 제어부(C)로 보내고 그 제어부(C)에서는 상기 계수센서(232)에서 센싱된 값을 연산하여 그 연산 값을 디스플레이부(D)에 표기하여 작업자가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전복치패계수수단(230)을 통과한 전복치패는 전복치패포장유도수단(240)으로 공급되어 목적하는 개수가 포장 팩에 자동 공급되는 것으로, 상기 전복치패포장유도수단(240)의 일실시 예는, 상기 각 이송로(R)에서 배출되는 전복치패를 받아 양쪽으로 나누어 배출시키는 양 출구가 형성된 전복치패배출유도구(241)가 형성되고, 상기 전복치패배출유도구의 양 출구에는 각각의 전복치패이송구(242)가 각각의 실린더(243)와 연결설치되어 그 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좌/우 양측으로 회동되게 설치되며, 상기 각 전복치패이송구의 출측에는 선단에 포장 팩의 입구를 벌리며 고정하는 걸림구(246)를 갖는 전복치패배출로(245)가 양분되게 형성된 전복치패배출구(244)를 각각 설치하여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복치패배출유도구(241)를 양쪽으로 나누어 배출시키는 이유는, 이송로(R)가 2개 이상임으로 이를 한곳에서 전복치패를 받으면 포장 팩에 전복치패가 채워지는 속도가 빨라 작업자가 포장 팩을 신속하게 교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음으로 작업자의 신속한 움직임을 덜어주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각 전복치패이송구(242)에는 각각의 실린더(243)가 설치되어 그 실린더(243)의 작동에 따라 전복치패이송구(242)가 이동되게 함으로써 상기 끝단에 걸림구(246)가 형성된 전복치패배출로(245)의 양측 중 어느 일측으로 전복치패를 배출시킨다.
상기와 같이 전복치패배출로(245)로 전복치패를 배출시켜 걸림구(246)에 결려진 포장 팩으로 목적하는 양(개수)의 전복치패가 수용되게 되면 그를 감지한 제어부(C)에서 실린더(243)를 작동시켜 전복치패이송구(243)를 타측의 전복치패배출로(245)로 이동시켜 전복치패가 타측의 전복치패배출로(245)로 배출되게 한다.
상기의 실린더(243)의 작동은 계수센서(232)에서 센싱된 값을 제어부(C)에서 연산하고 그 연산 값에 따라 해당 포장 팩에 목적하는 전복치패의 양이 수용되면 상기 제어부(C)에서 실린더(242)를 작동시키는 것이다.
상기의 실린더(243)는 에어 또는 유입실린더 모두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에어실린더를 사용함이 좋고 그 에어실린더를 작동시키는 콤프레셔(244)는 전복치패계수부(200)의 일측 또는 상기 동력전달수단(250)과 근접되게 설치하여 케이스에 위치시킴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복치패계수부(200)의 하부 전/후방 양측에는 전복치패계수부(200)와 연결 설치되는 이동바퀴가 설치된 이동수단(270)을 각각 설치하여 전복치패계수부(20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전복치패 계수장치는 상기 효과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복치패를 전복양식장에서 양식 가능한 크기의 전복치패와 양식 불가능한 크기의 전복치패 크기를 선별하고, 그 선별된 것 중 상기 양식 가능한 크기의 전복치패를 계수하여 일정량씩 포장 팩에 수용시킴으로써 전복치패의 계수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음과 물론, 전복을 양식할 때에 양식효율을 높이고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 : 전복치패선별부 110 : 본체
111 : 지지수단 111a : 측면고정구
111b : 완충스프링 111c : 받침구
111d : 이동바퀴 112 : 물받이
113 : 측벽 120 ; 전복치패공급부
121 : 경사면 300 ; 전복치패배출부
131 : 경사패널 132 : 경사로
133 : 후방수직구 134 : 전방수직구
135 : 가이드로 140 ; 전복치패선별수단
141 : 상부브래킷 142 : 하부브래킷
143 : 상부선반 144 : 구멍
145 : 하부선반 146 : 배수구멍
150 : 물공급수단 151 : 물공급관
152 : 플렉시블호스 153 : 노즐
160 : 진동수단 611 : 모터
162 : 축 163 : 편심 캠
170 : 상/하부브래킷작동수단 200 : 전복치패계수부
210 : 전복치패이송수단 211 : 컨베이어
212 : 구동롤러 213 : 리턴롤러
214 : 장력조절구 220 : 전복치패가이드수단
221 : 가이드패널이 222 : 지지바
230 ; 전복치패계수수단 240 ; 전복치패포장유도수단
241 : 전복치패배출유도구 242 : 전복치패이송구
243 : 실린더 245 : 전복치패배출로
246 : 걸림구 250 : 동력전달수단
270 : 이동수단
C : 제어부 D : 디스플레이부
S : 계수센서 R : 이송로

Claims (15)

  1. 하부 전/후방 양측에 본체와 연결 설치되는 각각의 측면고정구(111a)가 설치되고, 그 각 측면고정구에는 완충스프링(111b)의 상단이 설치되며, 상기 완충스프링의 하단은 하부에 이동바퀴(111d)가 설치된 받침구(111c)와 연결 설치하여 된 지지수단(111)이 설치되고 하부에는 물받이(112)를 형성시켜 된 본체(110)와, 상기 본체의 입측 상부에 계수대상 전복치패를 공급하도록 형성된 전복치패공급부(120)와, 상기 본체의 출측 상부에 계수된 전복치패를 배출시키도록 형성된 전복치패배출부(130)와, 상기 전복치패공급부와 전복치패배출부의 사이에 진동수단(160)의 진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전복치패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전복치패를 전복치패배출부 이송시키며 목적하는 크기의 전복치패를 선별하는 전복치패선별수단(140)과, 상기 전복치패선별수단의 상부에 설치되어 복치패선별수단을 따라 이동하는 전복치패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수단(150)으로 구성된 전복치패선별부(100);
    상기 전복치패배출부에서 배출되는 전복치패를 공급받아 전복치패계수부로 이송시키도록 동력전달수단(250)과 연결 설치되어 무한궤도 형태로 회전되는 컨베이어가 설치된 전복치패이송수단(210)과, 상기 컨베이어의 상부에 지그재그형태로 절곡된 가이드패널(221)이 일정간격으로 복수 개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 설치된 가이드패널의 상부에는 가이드패널을 고정 지지하는 지지바(222)를 설치하여 전복치패를 1열로 가이드 하는 폭을 갖는 지그재그형태의 이송로(R)를 복수 열 형성시켜 된 전복치패가이드수단(220)과, 상기 전복치패가이드수단의 출측에 설치되어 전복치패가이드수단에서 배출되는 전복치패의 개수를 자동으로 계수하는 전복치패계수수단(230)과, 상기 전복치패계수수단에서 계수된 전복치패를 수용 팩에 자동으로 담도록 유도하는 전복치패포장유도수단(240)과, 상기 전복치패이송수단, 전복치패계수수단, 전복치패포장유도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C)로 구성된 전복치패계수부(200);로 이루어진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치패 자동 계수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수단(160)은, 상기 본체의 양 측벽(113) 동일 선상에 각각 위치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치패 자동 계수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수단(160)은, 양축모터(161)의 각 축(162)에 상기 전복치패선별수단으로 진동력을 전달하는 편심 캠(163)이 설치되고, 그 편심 캠의 진동력은 상기 전복치패선별수단의 전복치패공급부에서 전복치패배출부 쪽으로 발생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치패 자동 계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복치패공급부(120)는, 입측에서 출측방향으로 하향 기울기를 갖는 경사면(121)을 형성시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치패 자동 계수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복치패배출부(130)는, 입측에서 출측방향으로 하향 기울기를 갖는 경사패널(131)이 설치되고 그 경사패널의 선단에는 복수 열의 경사로(132)가 형성되며, 상기 각 경사로의 양측 시작지점의 경사패널에는 후방수직구(133)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양측 후방수직구의 전방 중앙 지점 경사패널에는 전방수직구(134)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각 경사로의 끝단에는 가이드로(135)를 형성시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치패 자동 계수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복치패선별수단(140)은, 좌/우 양 측벽 내측에 상부브래킷(141)과 하부브래킷(142)이 상기 양 측벽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 이동되게 각각 설치되고, 상기 상/하부브래킷의 사이에는 목적하는 크기의 전복치패를 제외한 나머지 전복치패가 빠져나가는 크기의 구멍(144)이 천공된 상부선반(143)이 상기 상/하부브래킷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하부브래킷의 하단에는 물이 배수되는 배수구멍(146)이 천공된 하부선반(145)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치패 자동 계수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브래킷의 상부 벽에는 상/하부브래킷의 사이 유격을 조절하는 상/하부브래킷작동수단(170)을 설치하되, 그 상/하부브래킷작동수단은, 상기 상/하부브래킷의 내부중앙부에 각각의 상/하부"ㄷ"자형브래킷(171,172)이 고정볼트를 매개로 고정설치되고, 상기 상/하부브래킷의 내부에는 상기 상/하부"ㄷ"자형브래킷을 관통하는 각각의 상/하부수직로드(173,174)가 설치되며, 상기 상/하부"ㄷ"자형브래킷의 상/하부와 상/하부브래킷의의 사이에는 상기 각각의 상/하부수직로드에 끼워지는 각각의 상/하부탄성스프링(175,176)이 설치되고, 상기 상부브래킷의 상부 측벽에는 상기 상부브래킷의 상면과 접촉되는 작동레버(178)가 형성된 편심 캠(177)이 고정부재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치패 자동 계수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수단(150)은, 외부 물이 공급되는 밸브가 설치된 물공급관(151)과, 그 물공급관에 일정간격으로 복수 개 설치되어 전복치패선별수단으로 물을 분사하는 선단에 노즐(153)이 설치된 플렉시블호스(15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치패 자동 계수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복치패이송수단(210)은, 컨베이어(211)의 일측단에 동력전달수단(250)과 연결 설치되는 구동롤러(212)가 설치되고, 상기 컨베이어의 타측단에는 리턴롤러(213)가 설치되며, 그 리턴롤러의 단부에는 리턴롤러를 이동시켜 상기 컨베이어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구(214)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치패 자동 계수장치.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의 가이드패널 절곡부 (가)지점과 인접한 타측의 가이드패널 절곡부 (나)지점 간의 폭(W)은 전복치패 하나의 크기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시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치패 자동 계수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복치패계수수단(230)은, 상기 이송로(R)의 출측 상단에 센서고정바(231)가 설치되고, 센서고정바의 하부에는 상기 각 이송로(R)를 향하는 계수센서(232)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며, 상기 각 계수센서는 제어부(C)와 연결 설치되어 계수센서의 계수 값을 제어부의 디스플레이부(D)에 표기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치패 자동 계수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복치패포장유도수단(240)은, 상기 각 이송로(R)에서 배출되는 전복치패를 받아 양쪽으로 나누어 배출시키는 양 출구가 형성된 전복치패배출유도구(241)가 형성되고, 상기 전복치패배출유도구의 양 출구에는 각각의 전복치패이송구(242)가 각각의 실린더(243)와 연결설치되어 그 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좌/우 양측으로 회동되게 설치되며, 상기 각 전복치패이송구의 출측에는 선단에 포장 팩의 입구를 벌리며 고정하는 걸림구(246)를 갖는 전복치패배출로(245)가 양분되게 형성된 전복치패배출구(244)를 각각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치패 자동 계수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복치패계수부(200)의 하부 전/후방 양측에는 전복치패계수부와 연결 설치되는 이동바퀴가 설치된 이동수단(27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치패 자동 계수장치.
KR1020180123882A 2018-10-17 2018-10-17 전복치패 자동 계수장치 KR102127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3882A KR102127507B1 (ko) 2018-10-17 2018-10-17 전복치패 자동 계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3882A KR102127507B1 (ko) 2018-10-17 2018-10-17 전복치패 자동 계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3577A KR20200043577A (ko) 2020-04-28
KR102127507B1 true KR102127507B1 (ko) 2020-06-30

Family

ID=70455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3882A KR102127507B1 (ko) 2018-10-17 2018-10-17 전복치패 자동 계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75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0796B1 (ko) * 2020-08-28 2022-11-28 주식회사 담우광학전자기술 치패 선별장치
CN112623390A (zh) * 2020-12-31 2021-04-09 中山市固耐特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螺丝包装机
CN112793825B (zh) * 2020-12-31 2022-07-05 广西融安蚂蚁农业发展有限公司 一种自动化金桔包装设备
KR102547200B1 (ko) * 2021-01-18 2023-06-22 민은아 소형 과실 선별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7477Y1 (ko) * 2001-09-19 2002-01-18 김윤호 건멸치의 선별장치
KR101232595B1 (ko) * 2012-04-18 2013-02-13 백계호 패류 선별기의 구동장치
KR101891654B1 (ko) * 2017-02-21 2018-08-24 주식회사 담우광학전자기술 치패 계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5579B1 (ko) 2014-11-03 2016-05-30 임형용 전복치패 선별 및 계수 시스템
KR101812298B1 (ko) * 2016-05-16 2017-12-26 정태선 전복 치패 계수장치
KR101861301B1 (ko) * 2016-09-28 2018-05-28 (주)미래에스티 과일 선별 장치
KR101877000B1 (ko) 2016-11-14 2018-07-10 임형용 치패 계수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7477Y1 (ko) * 2001-09-19 2002-01-18 김윤호 건멸치의 선별장치
KR101232595B1 (ko) * 2012-04-18 2013-02-13 백계호 패류 선별기의 구동장치
KR101891654B1 (ko) * 2017-02-21 2018-08-24 주식회사 담우광학전자기술 치패 계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3577A (ko) 2020-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7507B1 (ko) 전복치패 자동 계수장치
EP0576181B1 (en) Egg collector
US20090199512A1 (en) Filling Unit
JPS59163235A (ja) 素材積重ね装置
KR20100046612A (ko) 치패 선별 및 계수 시스템
KR20150085933A (ko) 농산물 선별기
KR200402072Y1 (ko) 견과류 박피장치
KR20180003312U (ko) 구근줄기 절단 및 선별 배출장치
US11634283B2 (en) Paddle conveyor system
KR20150064723A (ko) 센서 컨베이어가 생략된 전자 중량선별기
KR102099329B1 (ko) 복수의 전자저울을 이용한 중량 선별 장치
CN209777588U (zh) 轴承外圈卸料装置及轴承外圈粗加工系统
CN209777549U (zh) 轴承外圈供料装置及轴承外圈粗加工系统
KR100707928B1 (ko) 캡 선별 장치
JP3881965B2 (ja) 物品処理装置
KR20170071280A (ko) 과일선별기
US5284190A (en) Soil distribution system to facilitate potting plants
JP5434074B2 (ja) 作物整列装置
US2536471A (en) Vertically reciprocating sifting chute
JP6896341B2 (ja) トラフ、供給フィーダ及び計量装置
JP2588734Y2 (ja) リニア振動フィーダ
JP2021145632A (ja) 丸篭内貝類取出し装置、および丸篭内貝類取出し方法
KR200419276Y1 (ko) 고추 선별기
US2625255A (en) Distributing and feeding mechanism
RU2812472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ртировки фруктов и корнеплод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